KR20180057578A -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578A
KR20180057578A KR1020180041265A KR20180041265A KR20180057578A KR 20180057578 A KR20180057578 A KR 20180057578A KR 1020180041265 A KR1020180041265 A KR 1020180041265A KR 20180041265 A KR20180041265 A KR 20180041265A KR 20180057578 A KR20180057578 A KR 2018005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nformation
task
processing serv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신
안민규
박현수
허용운
서광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렉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렉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렉터
Priority to KR102018004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578A/ko
Publication of KR2018005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은,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관련 정보를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의 발생시 프로세스, 상기 프로세스에 따른 태스크, 상기 태스크에 따른 액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센싱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프로세스, 상기 태스크 및 상기 액션을 기반으로 설정된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및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processing of event}
본 발명은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 발전 및 환경 변화로 인해 다양한 생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통신망의 광대역화, 방송의 디지털화 등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경찰청에서도 최신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지능화되어가고 있는 범죄에 적극 대응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국의 긴급한 광역 및 기동성 범죄 사건에 대한 신속한 공조 및 대응으로 범인 조기 검거를 위한 사건 정보 공유를 위해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정보가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의 발전 및 스마트폰의 발전을 통해 이러한 공적 서비스 영역뿐만 아니라, 사적인 영역에서도 경보/알람 서비스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물에 대한 감시 및 보안을 위한 사설 유무선 네트워크가 활용되고, 이러한 사설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감시/보안에 관련된 알람이 관리자에게 전달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KR 10-2008-0077626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 방법은,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관련 정보를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의 발생시 프로세스, 상기 프로세스에 따른 태스크, 상기 태스크에 따른 액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센싱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프로세스, 상기 태스크 및 상기 액션을 기반으로 설정된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및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및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규칙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프로세스, 상기 태스크 및 상기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관리자 장치 및 수신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는 상기 액션에 따라 상기 관리자 장치 및 상기 수신자 장치로 전송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칸단 보드 스타일의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룰 빌더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센서 장치, 상기 관리자 장치 및 상기 수신자 장치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은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사례 가이드 정보 및 사전 알림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사례 가이드 정보 및 상기 사전 알림 메시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 상기 센서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센서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센서 장치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센서 장치의 장비 고유 아이디, 상기 센서 장치의 발생 데이터, 상기 발생 데이터의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를 위한 이벤트 처리 시스템은 이벤트 관련 정보를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사용자 장치와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의 발생시 프로세스, 상기 프로세스에 따른 태스크, 상기 태스크에 따른 액션을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프로세스, 상기 태스크 및 상기 액션을 기반으로 설정된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및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규칙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프로세스, 상기 태스크 및 상기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관리자 장치 및 수신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는 상기 액션에 따라 상기 관리자 장치 및 상기 수신자 장치로 전송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칸단 보드 스타일의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룰 빌더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센서 장치, 상기 관리자 장치 및 상기 수신자 장치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사례 가이드 정보 및 사전 알림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례 가이드 정보 및 상기 사전 알림 메시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 상기 센서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는 상기 센서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센서 장치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센서 장치의 장비 고유 아이디, 상기 센서 장치의 발생 데이터, 상기 발생 데이터의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의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한 IOT(internet of things)(사물)와 관리자 장치/수신자 장치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기반으로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를 통해 다양한 룰(Rule, condition)이 적용되어 인더스트리에 대한 제약 없이 다양한 제약 조건이 생성되고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설정 및 처리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시 수행할 태스크 및 액션에 대한 통합 가시성이 제공되고 이벤트 발생시 최적의 태스크 및 액션에 대한 설정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 방법에서는 딥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 등을 빅 데이터로 활용하여 분석하여 최적의 사례 가이드 및 사전 알림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스 링크에 기반한 이벤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서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스 링크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스 링크를 활용한 골든 타임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 러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정의에 의해 설정된 룰에 따라 이벤트의 발생 여부가 결정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스 링크에 기반한 이벤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규칙을 기반으로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해 통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벤트 처리 서버는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는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에 관련된 정보를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인케이스 링크(incase link)에 기반한 이벤트 처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된 입력 창(예를 들어, 칸반 보드(kanban board) 포맷)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 등을 이벤트에 대한 과 관련된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규칙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센서에 의해 어떠한 값이 센싱된 경우, 화재의 발생으로 판단할지 여부가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에 의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장치에 대한 설정(또는 정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른 태스크 및 태스크에 따른 액션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추후 문의 개폐 여부, 카메라를 통해 상황 정보를 획득 여부, 메시지 전송 여부와 같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수행해야 할 태스크와 태스크에 따른 구체적인 액션 정보가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풍/호우 위기 대응 매뉴얼, 화재 발생 대비 지침(일반 건물), 화재 발생 대비 지침(고층 건물), 화재 발생 대비 지침(지하철), 지진 해일 대비 주민 대피 계획, 신생아실 저온 감지 대응 지침, 전기탑 이상 전류 탐지시 대응 지침, 바이러스 백신 개발 연구/실험실 생물 안전 대피 지침, 화약고 고열 발생 위기 대응 지침, 대학병원 이상 전류 감지시 정전 대비 대응 지침, 고출력 레이저 장비 일일 점검 체크 리스트, 이상 자기장 탐지시 소아암/백혈병 대비 민간 대피 계획, 고농도 방사능 탐지 대비 동/구/시 단위 대피 계획 등이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110)는 이벤트가 발생시 이벤트와 관련된 관리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관리자, 제2 이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관리자가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11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110)는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알릴 일반 수신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120)는 이벤트가 발생시 이벤트와 관련된 관리자 장치/일반 수신자 장치로 전달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칸반 보드 형태(150)의 입력 창을 통해 별도의 간단한 사용자 입력만으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110),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120)를 입력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110),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120)는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벤트 처리 서버는 수신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100),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110),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120)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프로세스/태스크/액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 서버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벤트 발생 여부를 알릴 관리자 장치 및 일반 사용자 장치와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은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관련 정보를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벤트 처리 서버가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의 발생시 프로세스, 프로세스에 따른 태스크, 태스크에 따른 액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이벤트 처리 서버가 이벤트의 발생시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을 기반으로 설정된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및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칸단 보드 스타일의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룰 빌더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이벤트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재 발생이 이벤트로 설정된 경우,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장치로 전달하는 방법이 예시적으로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벤트 발생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장치(예를 들어, 온도 센서)에 의해 화재의 발생 여부가 센싱될 수 있다(단계 S210). 온도 센서는 온도 정보를 인케이스 링크 플랜폼을 기반으로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220).
사용자는 설정 절차를 통해 온도 센서에 의해 특정 값 이상의 온도가 센싱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를 정의하여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가 촬상되고(단계S240),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230).
이벤트 처리 서버는 PNS(push notification server) 플랫폼을 통해(단계 S250), 카메라의 위치 정보, 영상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 등을 관리자 장치 및 일반 수신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260). 전송되는 정보의 포맷은 RichTextMessage 포맷일 수 있다.
관리자 장치를 통해 관리자는 카메라의 위치 정보, 영상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에 개시된 바와 같이 "3층 복도에 화재가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위 카메라 영상을 확인하시고 확인 후 조치 바랍니다."라는 메시지 정보 및 영상 정보가 관리자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서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이벤트 처리 서버의 각 구성부가 개시된다.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이벤트 처리 서버 내에 모든 구성부가 구현된 것으로 가정되나, 복수의 서버, 장치를 통해 후술할 각 구성부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벤트 처리 서버는 회원 데이터 저장부(300), 수신 대상 설정부(310), 액션 생성부(320), 메시지 생성부(330), 디바이스 정의부(340), 태스크(task) 생성부(350), 디바이스 데이터 저장부(360), 이벤트 등록부(370), 이벤트 생성부(380), 실시간 분석 엔진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데이터 저장부(300)는 이벤트 설정 절차를 수행할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회원 정보로서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수신 대상 설정부(31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관리자 장치, 일반 수신자 장치)을 설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액션 생성부(320)는 이벤트 발생시 태스크에 대한 구체적인 액션을 정의하고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태스크에 대한 구체적인 액션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의 발생시 정의된 액션에 따라 액션 생성부(320)는 문의 개폐 여부, 이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푸쉬 메시지, FAX, 문서 등의 전송 여부 등을 결정하고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330)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전송되는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시 이벤트와 관련된 관리자에게 전달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하여 수행되어야 할 지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의부(340)는 레거시(legacy) 장치 및 인케이스 장치들에 대한 정의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인케이스 장치, 레거시 장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디바이스 데이터 저장부(360)는 레거시 장치 및 인케이스 장치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레거시 장치는 기구축된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또는 그에 준하는 시스템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가지고 올 수 있다. 디바이스 데이터 저장부(360)는 레거시 장치 및 인케이스 장치들로부터 BaaS(back end as a service)(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GATEWAY)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데이터 저장부(360)는 3W(WHO(장비 고유 아이디), WHAT(발생 데이터), WHEN(데이터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 생성부(38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를 설정하고, 이벤트와 관련된 장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등록부(370)는 이벤트 생성부(380)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등록부(370)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종속적으로 이벤트를 등록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태스크에 따라 종속적으로 이벤트를 등록할 수 있다.
태스크(task) 생성부(35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태스크 생성부(350)는 생성될 메시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대상, 수행할 액션과 같은 태스크 별 구체적인 액션을 결정할 수 있다. 태스크 생성부(35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 및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 발생시 생성될 메시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대상, 수행할 액션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이벤트 발생시 개별 프로세스에 대한 태스크 및 액션을 정의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칸반 보드 형태의 간단한 입력 창을 통해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입력을 통해 이벤트 발생시 개별 프로세스에 대한 태스크 및 액션이 정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반 건물 화재 발생이라는 이벤트에 대하여 하위 프로세스로 최초 화재 발생 감지 프로세스, 모든 층 지침 전달 프로세스, 대피 지역 지침 전달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프로세스 별로 구체적인 태스크 및 액션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화재 발생 감지 프로세스에 대해 전층 사이렌 작동 태스크, 인근 소방서 신고 태스크, 엘리베이터 전원 차단 태스크 및 각 태스크와 관련된 액션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층 지침 전달 프로세스에 대해 길 안내 태스크, 낮은 자세로 안내에 따른 대피 태스크, 불길 통과시 태스크 및 각 태스크와 관련된 액션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 상에서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칸반 보드 형태의 간단한 입력 창을 통해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입력을 통해 태스크 및 태스크에 대한 액션을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구체적인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전층 사이렌 동작이라는 태스크를 생성하고 태스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태스크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관리자 장치 및 수신자 장치를 사용자 장치의 입력창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수신할 지침, 일반 수신자가 수신할 지침 등을 입력창을 통해 정의하여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층 사이렌 동작이라는 태스크에 대한 구체적인 액션을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메일 발송, SMS(short message service) 발송, PNS 메시지 전송, 채팅 서버와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로의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다양한 액션이 전층 사이렌 동작이라는 태스크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치의 이벤트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한 IOT(internet of things)(사물)와 관리자 장치/수신자 장치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기반으로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의 입력 정보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장치(또는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수집된 데이터 정보를 정의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메시지를 정의(예를 들어, RichTextMessage 등)하고, 다양한 액션을 통해서 정의된 메시지를 원하는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칸반 보드 스타일로 제공된 간단한 입력 창을 통해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손쉽게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를 통해 다양한 룰, 조건(rule, condition)을 적용하여 다양한 제약 조건을 만들고 재활용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 방법은 정의된 룰과 장치에 따라 인더스트리에 대한 제약 없이 다양한 사례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기종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관리자 장치, 수신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시 수행할 태스크 및 액션에 대한 통합 가시성이 제공되고 이벤트 발생시 최적의 태스크 및 액션에 대한 설정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라즈베리 파이 등)와 센서를 이용한 재난 알림, 태블릿 등을 이용 센서 데이터와 증강 현실을 결합, 매직 미러 등을 이용한 광고와 인터랙티브 알람 등과 같은 다양한 사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 방법에서는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 등을 빅 데이터로 활용하여 분석하여 최적의 사례 가이드 및 사전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딥 러닝 기술이 활용되는 경우, 사후 알림이 아닌 사전 알림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처리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이벤트에 대한 사례 가이드 정보 및 사전 알림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처리 서버가 사례 가이드 정보 및 사전 알림 메시지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스 링크의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는 이벤트에 대한 인케이스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단계 S600).
사용자는 이벤트에 대한 인케이스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수신된 정보는 회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수신 대상을 설정한다(단계 S610).
이벤트에 대한 액션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대상인 관리자 장치 및 수신자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수신 대상은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벤트에 대한 액션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관리자 장치 및 수신자 장치에 대한 정보는 수신 대상 설정부에 저장될 수 있다.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S620).
PNS 및 메시지 작성 시스템을 기반으로 액션을 통해 전송될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메시지는 RichTextEditor 또는 PNS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장치(또는 디바이스)를 정의한다(단계 S630).
장치에 대한 3W(WHO, WHAT, WHEN) 데이터를 관리자 요구 사항에 맞추어 정의함으로써 장치가 정의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정의부는 레거시 장치 및 인케이스 장치들에 대한 정의를 정의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 데이터 저장부는 정의된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장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진동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소음 센서 등일 수 있다.
프로세스를 정의한다(단계 S640).
이벤트의 발생시 수행되어야 할 프로세스가 정의될 수 있다.
태스크를 정의한다(단계 S650).
프로세스 별로 수행되어야 할 태스크가 정의될 수 있다.
액션을 정의한다(단계 S660).
태스크 별로 수행되어야 할 액션이 정의될 수 있다. 액션에 대한 정의를 통해 메시지 및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대상이 구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를 정의한다(단계 S670).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가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를 등록한다(단계 S680).
정의된 이벤트가 실시간 분석 엔진부에 등록될 수 있다.
실시간 분석 엔진부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690).
실시간 분석 엔진부는 저장된 장치에 대한 3W 데이터와 정의된 이벤트를 비교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실시간 분석 엔진부는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엔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케이스 링크를 활용한 골든 타임 서비스가 예시적으로 개시된다.
골든 타임 서비스는 제타버스 플랫폼의 스토어를 통해 설치형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골든 타임 서비스는 인케이스 링크를 특정 사건(재난)에 특화시켜 서비스화시킨 예시로서 재난 대응에 대한 이력 관리 제공(보고서 출력 기능 제공 필요) 기능, 시뮬레이션(모의 재난 대비)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재난에 특화된 메시지가 정의되고 재난 데이터를 센서로부터 수집하기 위해 별도의 대용량 로그 서버가 구성될 수 있다. 재난 및 사고에 대한 지능형 대응을 위해 딥 러닝(머신 러닝) 기술이 탑재될 수 있다. 딥 러닝(머신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센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예측 대응이 가능하고, 재난 대응뿐만 아니라 최적의 상태에 대한 기준 정보도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케이스 링크를 활용한 골든 타임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케이스 링크(700)를 통해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가 입력되고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케이스 링크(700)의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인케이스 링크(700)의 설정을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가 판단되고,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트리거(710)를 기반으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재난 대응 이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보고서가 출력되어 시뮬레이션 결과 이력이 관리될 수 있다.
EBS(enterprise service bus)(720)는 장치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고, BasS를 기반으로 센싱된 정보에 대한 로깅(logging), 라우팅(routing), 변환(transform)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EBS(enterprise service bus)(720)는 검색 엔진(예를 들어, 엘라스틱 서치 엔진(elastic search engine))을 기반으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케이스 링크의 형성을 위해 전송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한 재난 감지 센서 IoT(사물)와 담당자를 정의된 메시지를 통해 연결시켜 대. 중. 소 규모 재난에 상관없이 최적화된 대응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재난에 특화된 다양한 룰 템플릿 및 재난 상황에 최적화된 시스템 시나리오가 제공될 수 있다. 재난 종류에 대한 제약없이 모든 재난에 적용 가능 하고, 재난 대응에 대한 이력 관리를 보고서 양식으로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기종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재난 상황에 맞는 메세지를 관리자 장치 및 수신자 장치로 전달하고, 딥 러닝 기술을 통해서 룰로 관리되는 빅 데이터를 분석, 현재 상태에 대한 최적의 사례 가이드 및 재난 발생 가능성을 알려주는 사전 알림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상황에 대한 사후 알림이 아닌 사전 알림이 가능하고, 재난 이력 관리를 자동화하여 시스템을 통해서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비상시 대응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 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 러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딥 러닝을 위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에 대한 사례 가이드 정보 및 사전 알림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벤트 처리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및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 별로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처리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일반 건물에 화재 발생이라는 이벤트에 대한 복수의 프로세스,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따른 태스크 및 태스크에 따른 액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 서버는 이벤트에 대하여 추출된 복수의 프로세스,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따른 태스크 및 태스크에 따른 액션 중 공통 비율이 임계 비율 이상인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을 공통 프로세스, 공통 태스크 및 공통 액션으로서 추출하여 이벤트에 대한 사례 가이드 정보(800)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처리 서버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에 대한 설정이 없더라도, 딥 러닝을 기반으로 이벤트 및 장비에 대한 정의를 기반으로 이벤트에 대한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을 추가적으로 설정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처리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 정의부에 정의된 장치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의 가능한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정의부에 의해 제1 장치 및 제2 장치가 정의되어 있고, 사용자가 제1 장치 및 제2 장치 각각에 대한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만을 설정한 경우, 이벤트 처리 서버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태스크 및 액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처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은,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관련 정보를 이벤트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의 발생시 프로세스, 상기 프로세스에 따른 태스크, 상기 태스크에 따른 액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센싱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프로세스, 상기 태스크 및 상기 액션을 기반으로 설정된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는 이벤트 발생 규칙 정보, 이벤트 담당자 설정 정보 및 이벤트 별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41265A 2018-04-09 2018-04-09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57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65A KR20180057578A (ko) 2018-04-09 2018-04-09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65A KR20180057578A (ko) 2018-04-09 2018-04-09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06A Division KR20170128917A (ko) 2016-05-16 2016-05-16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578A true KR20180057578A (ko) 2018-05-30

Family

ID=6230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265A KR20180057578A (ko) 2018-04-09 2018-04-09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5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78B1 (ko) * 2021-11-29 2022-05-13 대한민국 이종 통신망과 연결된 기존센서의 통합 재난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80596A (ko) * 2020-12-07 2022-06-14 (주)헤리트 IoT 기기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IoT 공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6892B1 (ko) * 2021-11-29 2022-07-05 대한민국 재난대응절차 기반 센서-서버 간 지능형 재난대응시스템
KR102563866B1 (ko) * 2022-05-03 2023-08-04 에스텍아이앤씨(주) 재난안전위기 대응기능을 갖춘 빌딩자동화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596A (ko) * 2020-12-07 2022-06-14 (주)헤리트 IoT 기기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IoT 공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97978B1 (ko) * 2021-11-29 2022-05-13 대한민국 이종 통신망과 연결된 기존센서의 통합 재난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16892B1 (ko) * 2021-11-29 2022-07-05 대한민국 재난대응절차 기반 센서-서버 간 지능형 재난대응시스템
KR102563866B1 (ko) * 2022-05-03 2023-08-04 에스텍아이앤씨(주) 재난안전위기 대응기능을 갖춘 빌딩자동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7149B2 (en) Emergency alert system
KR20180057578A (ko)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US7724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emergency messages
US10854058B2 (en) Emergency alert system
US87046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based communication over a cellular network for a dwelling
JP2017506788A (ja) スマート非常出口表示
US20200294387A1 (en) Security system with cooperative behavior
KR20170122107A (ko) 스마트 경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지능적인 보안 허브
Piscitello et al. Danger-system: Exploring new ways to manage occupants safety in smart building
US11195404B2 (en) Interpreting reactions of other people for physically impaired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KR20170128917A (ko)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25848B1 (ko) 맥 어드레스를 이용한 물리 보안 관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113887A (ko)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86423A (ko) 모바일 기기와 인공지능 영상 분류기를 이용한 제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67255A (ko) 밀집도 분석에 기반한 과밀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과밀 방지 시스템
Raj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mobile sensing based crowd evacuation system: A big actor approach
Machina et al. Object Oriented Analysis and Design of Fire Emergency Mobile Application and Central System (FEMACS)
KR102360564B1 (ko) IoT 기반 사회 공공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28540B1 (ko)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9726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yfinding in hazardous environments
US202300896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ersonalized messages and personalized evacuation guidelines indoors or outdoors
WO2023170936A1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2239102B1 (ko) 특정공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마트 중계 시스템
US20240105040A1 (en) Dynamic Context Aware Response System for Enterprise Protection
Haase Robust detection of persons in emergency situations in public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