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702A -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 Google Patents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702A
KR20200119702A KR1020190173006A KR20190173006A KR20200119702A KR 20200119702 A KR20200119702 A KR 20200119702A KR 1020190173006 A KR1020190173006 A KR 1020190173006A KR 20190173006 A KR20190173006 A KR 20190173006A KR 20200119702 A KR20200119702 A KR 20200119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aterials
building material
building
constru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카이치 사와구치
다카히로 이시카와
다이키 호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 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 빌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 빌드
Publication of KR2020011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7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obtain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To solve the subject,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which at least overlap partially in a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ncluded completely in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on the basis of a building material group (3),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unfolded in a memory (55), and obtains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Description

건재 견적 시스템, 그 관리 서버, 및 건재 견적 방법{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Construction material estimating system, its management server, and construction material estimating metho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본 출원은 2019년 4월 1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9-074677호, 2019년 8월 30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9-158269호, 2019년 9월 3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9-160283호, 2019년 9월 3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9-16028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의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is f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074677 filed on April 10, 201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158269 filed on August 30, 2019,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filed on September 3, 2019. No. 2019-160283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160286 filed on September 3, 2019 claim priority, the entir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배치하는 타일이나 패널 등의 건재(建材)의 필요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 그 관리 서버, 및 건재 견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for obtaining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such as tiles and panels arranged on a floor or wall of a building, a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method.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타일 등의 건재를 배열하는 경우, 배열 구역의 면적을 계산하고, 그 면적을 건재의 면적으로 나누고, 손실율을 곱하거나, 그리드를 표시시켜 카운트함으로써 필요수를 산출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건재의 사이즈 등의 배열 조건 데이터나 배열 구역의 도면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컴퓨터에 있어서, 건재를 배열 구역으로 배열했을 때의 상태를 표시시켜, 건재의 필요수를 자동 계산하는 방법이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공개특허 제2002-342386, 일본공개특허 제2004-318651, 일본공개특허 제2005-242923, 일본공개특허 제2014-152528, 일본공개특허 제2018-178489, 일본특허 3965165 참조).In general, when arranging building materials such as tiles on the wall of a building, the required number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rea of the array area, dividing the area by the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multiplying the loss rate, or counting by displaying a grid. . In recent years, arranging condition data such as the size of building materials and drawing data of the arranging area are input to a computer, and the computer displays the condition when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an arrangement area, and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 method or system has been propose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342386,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31865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5-242923,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4-152528,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8-178489, Japan See patent 3965165).

그런데, 실제 건물에 있어서는, 창문이나 기둥, 도어 등과 같이,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영역이 배열 구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방법이나 시스템으로 건재의 필요수를 구하면,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영역분이 건재의 필요수로서 산출되기 때문에, 건재의 필요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없다.However, in an actual buil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areas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such as windows, columns, and doors, exist in the arrangement area. In this case, when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is calculated by the method or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area portion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s calculated as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nd therefore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일본공개특허 제2002-342386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342386 일본공개특허 제2004-318651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318651 일본공개특허 제2005-242923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5-242923 일본공개특허 제2014-152528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4-152528 일본공개특허 제2018-178489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8-178489 일본특허 3965165Japanese patent 3965165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건재의 필요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건재 견적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and the like capable of accurately obtaining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은, 건재 견적 시스템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도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including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복수의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a construction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are arranged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베이스도의 상기 시공 구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ase diagram,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와,An editing unit that executes an editing process for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와,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진다.It ha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함으로써, 건재의 개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재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finely adjusted by deleting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에서의 상기 편집부는,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외부로부터 지정한 위치에, 상기 건재를 추가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한다.The editing unit i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n editing process of adding the building material to a position designated from the outside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 배열도에서의 외부로부터 지정한 위치에, 건재를 추가함으로써, 건재의 개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재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finely adjusted by adding the building materials to a position designated from the outside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에서의 상기 편집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베이스도의 시공 구역을,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대 이동시키는 편집 처리를 실행한다.The editing unit i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n editing process in which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ase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relatively moved by an operation from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 장치에 표시된 건재 배열도와 베이스도의 시공 구역을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편집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editing can be easily performed by moving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ase draw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relative to each other by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으로서,As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도에서의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로부터 지정하는 회피 지정부를 가지고,In the construction area in the base diagram, has an avoidance designation portion for designating an array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from the outside,

상기 배열도 작성부는, 상기 건재군이,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한다.The arrangement diagram preparation unit creates a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except for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군이 배열 회피 영역을 제외하고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가 작성되는 것에 의해, 편집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excluding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is created, so that edit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으로서, 상기 베이스도 취득부는, 상기 시공 구역을 복수 가진 상기 베이스도를 취득하고,As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ap acquisition unit acquires the base map having a plurality of the construction zones,

상기 배열도 작성부는, 상기 건재 배열도를 상기 시공 구역마다 작성하고, 상기 편집부는, 상기 편집 처리를 상기 건재 배열도마다 실행한다.The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unit creates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 each construction area, and the editing unit executes the editing process for each building arrangement arrangement diagram.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시공 구역의 건재 배열도마다 편집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편집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diting operation can be quickly performed by executing the editing process for each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of a plurality of construction areas.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으로서,As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건재가 배열되는 바닥면 시공 구역 및 벽면 시공 구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도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a base diagram including a floor surface construction area and a wall surface construction area in which construction materials are arranged;

복수의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이 상기 바닥면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바닥면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고, 또한 상기 건재군이 상기 벽면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벽면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와,An arrangement diagram for creating a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a construction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are arranged covers the floor construction area, and a wall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covers the wall construction area With the composer,

상기 바닥면 건재 배열도와 상기 바닥면 시공 구역을 중복시켜 표시하고,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floor construction area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상기 바닥면 시공 구역의 구역선 상에서의 2개소의 기준점과 1개소의 방향점을 외부로부터 지정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방향점을 포함하는 상기 기준점끼리를 잇는상기 구역선 상의 범위에서의 상기 벽면 시공 구역과 상기 벽면 건재 배열도를 전개도로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The wall surface construction area in the range on the area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s including the direction points and making it possible to designate two reference points and one direction point on the area line of the floor surface construction area from the outside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wall surfac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as a developed view;

상기 바닥면 건재 배열도 및 상기 벽면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와,An editing unit for executing an editing process for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floor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wall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outside;

상기 바닥면 건재 배열도 및 상기 벽면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각각 구하는 계수부와,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floor surfac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wall surfac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진다.It ha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바닥면 건재 배열도에 있어서, 2개소의 기준점과 1개소의 방향점을 지정하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벽면의 전개도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floor surface building arrangement drawing, the developed view of the wall surface can be confirmed by a simple operation simply by designating two reference points and one direction point.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으로서,As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건물의 의장 도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장 도면 파일, 상기 건재의 사이즈 데이터 및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재 사양 파일, 상기 건재의 배열 패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턴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A database unit for storing a design drawing file including design drawing data of a building, a building material specification file including size data and shape data of the building material, and a pattern file including arrangement pattern data of the building material,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의장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도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including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based on the design drawing data of the database unit,

상기 건재 사양 파일에서의 상기 사이즈 데이터 및 상기 형상 데이터와, 상기 패턴 파일에서의 상기 배열 패턴을, 외부로부터 지정하는 건재 지정부와,A building material designating unit for designating the size data and the shape data in the building material specification file, and the arrangement pattern in the pattern file from the outside;

상기 건재 지정부에서 지정된 상기 사이즈 데이터와 상기 형상 데이터와 상기 배열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construction materials are arranged so that the construction materials are arranged based on the size data, the shape data and the arrangement pattern data designat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designation unit;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베이스도의 상기 시공 구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ase diagram,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와,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외부로부터 지정한 위치에, 상기 건재를 추가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와,An editing process for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outside, and an editing process for adding the building materials to a position designated from outside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With the editorial department,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와,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진다.It ha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함으로써, 건재의 개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재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finely adjusted by deleting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건물의 시공 구역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방법으로서,As a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to obtai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도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 공정과,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including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복수의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공정과,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in which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s formed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베이스도의 상기 시공 구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공정과,A display control process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ase diagram;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 공정과,An editing step of executing an editing process of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공정과,A counting step of obta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 견적 방법.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method comprising 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함으로써, 건재의 개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재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finely adjusted by deleting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건물의 시공 구역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의 관리 서버로서,As a management server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도(바닥면, 벽면, 천장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하는 베이스 기억 장치와,A base storage device that stores a base diagram (all or part of a floor surface, a wall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including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외부 단말기에 액세스하는 통신 장치와,A communication device for accessing an external terminal,

콘트롤러를 가지고,With a controller,

상기 콘트롤러는,The controller,

상기 베이스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베이스도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복수의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in which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베이스도의 상기 시공 구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단말기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와,A display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terminal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ase diagram,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의 일부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 처리와,An editing process for executing an editing process for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와,A counting process for obta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상기 건재의 개수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to the external terminal is executed.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함으로써, 건재의 개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재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finely adjusted by deleting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본 발명의 건재 견적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매체로서,A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medium storing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터를,Computer,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도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including a construction area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복수의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a construction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are arranged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베이스도의 상기 시공 구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ase diagram,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와,An editing unit that executes an editing process for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와,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시킨다.It functions a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군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함으로써, 건재의 개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재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finely adjusted by deleting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본 발명은, 개구부를 고려하여 건재를 계산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 등이라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or the like that calculates a building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an opening.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은,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부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부와,A construction zone setting unit for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부와,An avoidance designation section for designating an array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ng unit for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상기 시공 구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상기 건재의 시공 개수와,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상기 건재의 회피 개수를,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시공 개수로부터 상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와,Based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developed in the memory,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y subtracting the avoidance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and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진다.It ha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의 필요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시공 구역을, 상기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대 이동시키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를 가진다.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diting unit that performs an editing process of moving at least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and the construction area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relative to each other by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대 이동의 편집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edit the relative movement.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공 구역에 대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각도 변경시키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를 가진다.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diting unit that executes an editing process of changing an angle of at least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area by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각도 변경의 편집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editing process of changing the angle.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를 가진다.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diting unit that executes an editing process for deleting at least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editing process of deleting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의 건재 견적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열도 작성부는, 상기 건재를 헤링본(herringbone) 배열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한다.I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ce diagram creation unit creates a building material sequence diagram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a herringbon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헤링본 배열한 건재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with herringbone.

본 발명은, 건물의 시공 구역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방법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a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공정과,A base diagram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the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공정과,A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 of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공정과,An avoidanc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array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공정과,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step of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공정과,A display control process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상기 시공 구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상기 건재의 시공 개수와,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상기 건재의 회피 개수를,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시공 개수로부터 상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공정과,Based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developed in the memory,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A counting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y subtracting the avoidance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and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공정을 가진다.It has 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의 필요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본 발명은, 건물의 시공 구역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의 관리 서버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agement server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for obta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a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상기 건재의 개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콘트롤러를 가지고,A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data related to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nd a controller,

상기 콘트롤러는,The controller,

상기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a memory;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처리와,A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 of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처리와,An avoidance designation process in which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is designated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of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와,A display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상기 시공 구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상기 건재의 시공 개수와,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상기 건재의 회피 개수를,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시공 개수로부터 상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와,Based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developed in the memory,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A counting process for obta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y subtracting the avoidance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and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is executed.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의 필요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본 발명은, 헤링본용의 건재 견적 장치라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for herringbon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본 발명은, 건물의 시공 구역에서 헤링본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장치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for obta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herringbone in a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상기 건재의 개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콘트롤러를 가지고,A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data related to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nd a controller,

상기 콘트롤러는,The controller,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처리와,A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 of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건재를 헤링본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of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with a herringbone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와,A display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구역에 기초하여,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와,A counting process for obta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 group and the construction area developed in the memory;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To execute 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상기 계수 처리는,The counting process,

상기 시공 구역이 완전히 들어가는 정사각형상의 판정 영역을 구하고,Obtain a square judgment area into which the construction area completely enters,

헤링본 배열되는 상기 건재의 중심점 위치를, 설치 장소 후보로서 상기 판정 영역에 있어서 구하고,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d with the herringbone is obtained as an installation site candidate in the determination area,

상기 판정 영역에서의 모든 상기 설치 장소 후보에 대하여 상기 건재를 상기 메모리 상에 전개하고, 상기 시공 구역에 중복하고 있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한다.The building materials are developed on the memory for all the installation site candidates in the determination area, and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in the construction area is determined.

종래에는, 건재를 헤링본 배열로 배치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헤링본 배열의 건재 개수를 구할 수 없었지만,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헤링본 배열의 건재 개수를 구할 수 있다.Conventionally,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a herringbone arrangement,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in the herringbone arrangement could not be obtained, bu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in the herringbone arrangement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상기 콘트롤러는,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처리를 실행하고,In the construction area, an avoidance designation process for designating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is executed,

상기 계수 처리는,The counting process,

상기 시공 구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상기 건재의 시공 개수와,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상기 건재의 회피 개수를,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시공 개수로부터 상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한다.Based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developed in the memory,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The number of construction materials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의 개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본 발명은, 시공 구역을 기둥 등의 회피 부재를 제외하고 작성하는 건재 견적 장치라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that creates a construction area except for avoiding members such as pillars.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본 발명은, 건물의 시공 구역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장치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for obta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a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상기 건재의 개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콘트롤러를 가지고,A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data related to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nd a controller,

상기 콘트롤러는,The controller,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와,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처리와,A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 of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처리와,An avoidance designation process for designating an array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d

상기 시공 구역을 참값(1)으로 하고, 상기 시공 구역 이외를 거짓값(0)으로서 기억하는 제1층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거짓값(0)으로 하고, 상기 배열 회피 영역 이외를 참값(1)으로서 기억하는 제2층을, 상기 메모리에 설정하고,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을 논리곱함으로써,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을 상기 배열 회피 영역으로 하는 시공 구역 변경 처리와,The first layer for storing the construction area as a true value (1), and storing other than the construction area as a false value (0),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as a false value (0), and other than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as a true value ( A construction in which a second layer to be stored as 1) is set in the memory, and an area in which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overlap by the logical multiplication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s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Zone change processing,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와,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of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와,A display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구역에 기초하여,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와,A counting process for obta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 group and the construction area developed in the memory;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is executed.

실제 건물에 있어서는, 창문이나 기둥, 도어 등과 같이,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이나 시스템으로 배열 구역을 설정하는 경우, 방의 구석부나 벽중앙부에 배치된 기둥 등이 배열 구역의 경계 선 상에 존재하면, 기둥 등을 회피하는 처리가 필요하게 되므로, 배열 구역의 설정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시공 구역을 참값(1)으로 하고, 시공 구역 이외를 거짓값(0)으로서 기억하는 제1층과, 배열 회피 영역을 거짓값(0)으로 하고, 배열 회피 영역 이외를 참값(1)으로서 기억하는 제2층을 논리곱함으로써, 시공 구역과 배열 회피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을 배열 회피 영역으로 하므로, 시공 구역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n actual building, there are areas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such as windows, columns, and doors. In this case, in the case of setting the arrangement area by a conventional method or system, if a column or the lik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room or the center of the wall exists on the boundary line of the arrangement area, a treatment to avoid the column or the like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time to set up the arrangement area. By the wa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layer storing the construction area as a true value (1) and a false value (0) other tha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y avoidance area as a false value (0), and the array avoidance area By logically multiplying the second layer, which is stored as the true value (1), the area where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overlap is made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so that the construction area can be easily set.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의 필요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도 1a는 건재 견적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b는 건재 배열도의 설명도이다.
도 1c는 건재 배열도의 설명도이다.
도 1d는 건재 배열도의 설명도이다.
도 1e는 건재 배열도의 설명도이다.
도 1f는 건재 배열도의 설명도이다.
도 1g는 건재 배열도의 설명도이다.
도 2는 건재 견적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 3은 건재 견적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4a는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b는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는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c는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건재 배열도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화상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전개도의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a는 전개도의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b는 전개도의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c는 전개도의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d는 전개도의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e는 전개도의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헤링본 계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필요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6a는 헤링본 계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6b는 헤링본 계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7a는 작도부의 설명도이다.
도 17b는 확대 표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건재 견적 시스템의 탭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프로젝트 정보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플로어(floor)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플로어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플로어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3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4은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5는 바닥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6은 칸막이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7은 칸막이 편집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8은 칸막이 편집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39는 칸막이 전개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40은 벽 작성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41은 벽 전개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42는 천장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43은 천장 처리의 설명도이다.
1A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1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1C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1D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1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1F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1G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2 is a flowchart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program.
3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4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4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5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5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5C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diting process of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image processing.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developed view.
13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developed view.
13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developed view.
13C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developed view.
13D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developed view.
13E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developed view.
14 is a flowchart of herringbone coefficient processing.
15 is a flowchart of a necessary determination process.
16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herringbone coefficient processing.
16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herringbone coefficient processing.
17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rawing unit.
17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nlarged display screen.
1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tap management method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1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project information processing.
2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creation process.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creation process.
2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creation process.
2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2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2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2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2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2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2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3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3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3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3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3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loor preparation process.
3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artition creation process.
3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artition editing process.
3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artition editing process.
3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artition expansion process.
4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wall creation process.
4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wall expansion process.
4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eiling treatment.
4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eiling treatment.

(건재 견적 시스템의 개요)(Summary of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건재 견적 시스템(1)은, 천장이나 벽, 바닥 등의 시공 구역(21)에 복수의 건재(31)로 구성된 건재군(3)을 소정의 배열 패턴으로 레이아웃한 화상을 표시 장치(18)에 표시한 후, 건재군(3)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건재(31)를 1개 단위로 추가나 삭제, 변경, 이동 등의 편집 처리를 실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uilding material group 3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in a construction area 21 such as a ceiling, a wall, and a floor,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After displaying the image laid out in the display device 18, editing processing such as addition, deletion, change, and movement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n one unit of a part or all of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can be executed. hav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의장 도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장 도면 파일, 건재(31)의 사이즈 데이터 및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재 사양 파일, 건재(31)의 배열 패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턴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를 가지고 있다.Specifically,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1 includes a design drawing file including design drawing data of buildings such as houses and buildings, a building material specification file including size data and shape data of the building material 31, and a building material 31 It has a database unit 11 that stores a pattern file including the array pattern data of ).

여기서, 『의장 도면』은, 건물 전체의 형태나 방의 배치 등의 의장을 전달하는 것을 주안으로 한 도면이며, 배치도, 평면도, 지붕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전개도 등이 예시된다. 의장 도면은, CAD 데이터 외에, 주택 판매 등에 사용되는 전단지 등의 도면을 스캐너나 카메라에 의해 전자 데이터화한 것이라도 된다.Here, the "design drawing" is a drawing whose main focus is to convey design such as the shape of the whole building and the arrangement of rooms, and examples of a layout drawing, a plan view, a roof plan, an elevatio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 developed view, and the like are illustrated. In addition to CAD data, the design drawing may be obtained by converting drawings such as flyers used for home sales or the like into electronic data using a scanner or a camera.

『건재 사양 파일』은, 건재(31)의 사이즈 데이터 및 형상 데이터 외에, 재질이나 품명, 일련번호, 가격, 판매처 어드레스 등의 각종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건재(31)로서는, 직사각형 등의 직사각형의 패널이 예시되지만, 원형상이나 다각형 등의 그 외의 형상이라도 되고, 형상을 유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있으면, 소성 변형이나 탄성 변형하는 성질을 가진 재질이라도 된다. 그리고, 건재 사양은, 인터넷을 통하여 건재 메이커나 건재판매회사 등의 웹 사이트로부터 적절한 타이밍으로 자동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열 패턴 데이터로서는, 격자(格子) 배열, 폭 어긋남 배열, 헤링본 배열이 예시된다. 배열 패턴 데이터는, 격자 배열, 폭 어긋남 배열, 헤링본 배열의 3종류의 예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건재를 규칙적으로 조합한 배열을 사전에 등록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건재와 B 건재를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 배열군을 세로 방향으로 적층한 구성을 사전 등록해도 되고,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건재와 B 건재를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 제1 배열군과, B 건재와 C 건재를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 제2 배열군을,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폭 어긋나게 하여 적층한 구성을 사전 등록해도 된다.In addition to the size data and shape data of the building material 31, the "building material specification file"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material, product name, serial number, price, and sales address. As the building material 31, a rectangular panel such as a rectangle is exemplified, but other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 may be used, and as long as it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hape, a material having plastic deformation or elastic deformation properties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ilding material specifications are automatically updated at an appropriate timing from a website such as a building material manufacturer or a building material sales company through the Internet. In addition, as the arrangement pattern data, a lattice arrangement, a width shift arrangement, and a herringbone arrangement are exemplified. The arrangement pattern data is not limited to three examples of a lattice arrangement, a width shift arrangement, and a herringbone arrangement, and it is preferable that an arrangement in which various building materials are regularly combined can be registered in advan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B,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rray group in which A building materials and B building material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gistered in advance, and as shown in Fig. 1C, A building materials and B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rray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array group in which the B building materials and the C building material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gistered in advance. .

또한, 건재 견적 시스템(1)은,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포함하는 베이스도(2)를 취득하여 메모리(55)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부(1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도(2)가 시공 구역(21)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 건재군(3)을 구한 경우에는, 베이스도(2)에서의 의장 도면 전체가 시행 구역(21)이 된다. 베이스도 취득부(12)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액세스하여 적어도 의장 도면 데이터를 취득하는 액세스 기능과, 의장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베이스도(2)를 작성하는 베이스도 작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도 작성 기능은, 데이터베이스부(11)로부터 취득한 의장 도면 데이터 외에, 스캐너나 카메라 등의 기기로부터 입력된 의장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닥면이나 벽면, 천장면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낸 베이스도(2)에, 오퍼레이터가 시공 예정으로 되는 시공 구역(21)을 설정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1 has 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2 including the construction area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and storing them in the memory 55. . And, in the case where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3 is obtained in the state where the base drawing 2 does not include the construction area 21, the entire design drawing in the base drawing 2 becomes the enforcement area 21. The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has an access function for accessing the database unit 11 to acquire at least design drawing data, and a base diagram creation function for creating a base diagram 2 based on the design drawing data. In addition to the design drawing data acquired from the database unit 11, the base drawing function is based on design drawing data input from devices such as a scanner or a camera, and a base drawing showing all or part of the floor, wall, and ceiling surfaces. In (2), it is a function that enables the operator to set the construction area 21 to be constructed.

베이스도 취득부(12)는, 메모리(55)에 기억된 베이스도(2)에, 복수의 시공 구역(2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시공 구역 설정 기능은, 베이스도 취득부(12)와는 다른 시공 구역 설정부(53)의 기능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시공 구역(21)의 설정 태양(態樣)은, 복수의 시공 구역(21)이 중복되지 않도록 각각 분산 배치되어도 되고, 특정한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다른 시공 구역(21)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복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d에 있어서는, 3개소의 제1∼제3 시공 구역(21a∼21c)가 베이스도(2)의 바닥면에 설정되어 있고, 제1 시공 구역(21a)의 내부에 제2 시공 구역(21b)의 전부가 중복 배치되고, 제3 시공 구역(21c)이 제1 시공 구역(21a) 및 제2 시공 구역(21b)에 대하여 분산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e에 있어서는, 3개소의 제4∼제6 시공 구역(21d∼21f)이 베이스도(2)의 벽면에 상하 방향(세로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e는, X1점으로부터 X2점에서의 방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육안으로 본 화살표 방향(목시(目視) 방향)의 벽면을 전개도로서 나타내고, 벽면 내의 2개소에 창문 등의 개구부가 배열 회피 영역(211)으로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평면도의 벽면을 전개도로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base map acquisition unit 12 has a construction zone setting function of sett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zones 21 by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9 in the base map 2 stored in the memory 55.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zone setting function may serve as a function of the construction zone setting unit 53 different from the base also acquisition unit 12. The setting aspect of the construction zone 21 may be distributedly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construction zones 21 do not overlap, and some or all of the other construction zones 21 for a specific construction zone 21 They may be overlapped. For example, in FIG. 1D, three first to third construction zones 21a to 21c are se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drawing 2, and the second construction zone 21a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onstruction zone 21a. All of the construction zones 21b are overlapped and the third construction zones 21c are distributedly arranged for the first construction zone 21a and the second construction zone 21b. In addition, in FIG. 1E, the state in which three 4th-6th construction zones 21d-21f are each independently arrange|position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ase figure 2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s shown. In addition, FIG. 1E shows the wall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visual direction) visually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room to the outside at the point X1 to the point X2, and the openings such as windows are arranged at two places in the wall surface. The state formed as the region 211 is shown. A method of displaying the planar wall surface as a developed view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을 메모리(55)에 전개하고,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13)와, 건재 배열도(3A)와 베이스도(2)의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4)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를, 외부 장치(19)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15)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16)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출력부(17)는, 건재(31)의 개수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8)라도 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라도 된다. 또한, 출력부(17)는, 데이터 형식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 조작자가 설정한 확장자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Excel(등록상표)의 확장자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재(31)의 개수 일람표 데이터가 Excel(등록상표)의 확장자로 출력된다.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on system 1 expands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memory 55, and the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21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8 so as to overlap and display the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13 for creating the drawing 3A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the base drawing 2 14), an editing unit 15 which executes an editing process in which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s delet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19,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It has a counting unit 16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3A), and an output unit 17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7 may be a display device 18 that displays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or may be an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 addition, when outputting the output unit 17 to the outside in a data format,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put unit 17 is output with an extension set by the operator. For example, when the extension of Excel (registered trademark) is set, the number table data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s output with the extension of Excel (registered trademark).

이로써, 건재 견적 시스템(1)은, 건재군(3)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함으로써, 건재(31)의 개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재(31)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의 지정』은, 오퍼레이터가 마우스나 터치패널 등의 외부 장치(19)를 조작함으로써 지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편집부(15)는,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 외에, 건재 단위로 추가하는 편집 처리, 건재 단위로 이동, 변경 등의 각종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집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Thereby,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1 can finely adjust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by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so the required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It is made possible to obtain high precision. Here,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is designated by an operator operating an external device 19 such as a mouse or a touch panel.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diting unit 15 executes various editing processes such as editing processing add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moving and changing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editing processing of deleting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Details of the edit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베이스도 취득부(12)가 시공 구역(21)을 복수 가진 베이스도(2)를 취득하고, 배열도 작성부(13)가 건재 배열도(3A)를 시공 구역(21)마다 작성하고, 편집부(15)가 편집 처리를 건재 배열도(3A)마다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시공 구역(21)의 건재 배열도(3A)마다 편집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편집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on system 1, the base map acquisition unit 12 acquires the base map 2 hav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areas 21, and the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13 obtains the building materials sequence diagram 3A.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reated for each construction area 21, and that the editing unit 15 performs the editing process for each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In this case, by executing the editing process for each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of the plurality of construction zones 21, the editing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이로써,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시공 구역(21a)에 가로 방향의 건재를 가로 방향으로 배열한 건재군(3a)을 배치하고, 제2 시공 구역(21b)에 세로 방향의 건재를 세로 방향으로 배열한 건재군(3b)을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 각 건재군(3a·3b)마다 편집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소의 제4∼제6 시공 구역(21d∼21f)의 각각에 상이한 건재를 배치하고, 편집 작업을 행할 수 있다.Thu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d,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first construction area 21a, and in the second construction area 21b,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of arrang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b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diting can be performed for each building material group 3a and 3b. Fur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E, different building materials can be arranged in each of the three fourth to sixth construction zones 21d to 21f, and editing can be performed.

그리고, 복수의 시공 구역(21)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어느 하나 이상의 시공 구역(21)을 지정하고, 지정한 시공 구역(21)에 사용되는 건재(31)를 선정하는 조작을,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행한 후, 이 시공 구역(21)에서의 건재군(3a)의 건재 배열도(3A)를 일괄적으로 형성 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건재(31)를 선정」은, 건재(31)의 종류나 사이즈, 세로 방향 배치, 가로 방향 배치, 경사 배치 등을 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And,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onstruction zones 21 exist, the operation of designating any one or more construction zones 21 and selecting a building material 31 used in the designated construction zone 21 is performed in all construction zones. It is preferable to have a function capable of collectively forming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a in the construction zone 21 after performing the (21). Here, "selecting the building material 31" means selecting the kind or size of the building material 31, a vertical arrangement, a horizontal arrangement, an inclined arrangement, and the like.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소의 제4∼제6 시공 구역(21d∼21f)의 각각에 상이한 건재를 레이아웃한 후, 소정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제4∼제6 시공 구역(21d∼21f)에서의 건재군(3c·3d·3e)의 건재 배열도를 일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미리 모든 제4∼제6 시공 구역(21d∼21f)에서 사용되는 건재(31)의 선택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제4∼제6 시공 구역(21d∼21f)에서의 건재(31)의 선택 미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E, after laying out different building materials in each of the three fourth to sixth construction zones 21d to 21f, the fourth to fourth constructions are operated by a predetermined switch operation. 6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s 3c·3d·3e in the construction zones 21d to 21f can be formed collectively. As a result, since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selection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used in all the fourth to sixth construction areas 21d to 21f in advance, the building materials 31 in the fourth to sixth construction areas 21d to 21f You can alleviate the choice miss.

건재 견적 시스템(1)은, 각 처리부의 일부 기능이 정보 처리 장치에 인스톨된 건재 견적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 견적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를, 베이스도 취득부(12)와 배열도 작성부(13)와 표시 제어부(14)와 편집부(15)와 계수부(16)와 출력부(17)로서 기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건재 견적 프로그램은,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포함하는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S1)와,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S2)와, 건재 배열도(3A)와 베이스도(2)의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S3)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S4)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S5)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편집 처리(S4)는, 건재군(3)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건재(31)를 1개 단위로 추가나 삭제, 변경, 이동 등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건재 견적 프로그램은, CDROM이나 USB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배포되어도 되고, 인터넷 등의 양 방향이나 텔레비전 방송 등의 일 방향의 통신망이나 통신 회선을 통하여 배부되어도 된다.I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1, some functions of each processing unit may be realized by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program install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program includes a computer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unit 13, a display control unit 14, an editing unit 15, and It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the counting unit 16 and the output unit 17. That is,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program includes 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S1)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2 including the construction zone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and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3) An arrangement drawing preparation process (S2) for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formed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a construction area 21 of the building arrangement arrangement drawing (3A) and the base drawing (2) Display control processing (S3)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8 to display duplicates and editing in which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s delet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Processing (S4), counting processing (S5)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and output processing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Is supposed to run on your computer. And the editing process (S4) includes adding, deleting, changing, moving, etc.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n one unit with respect to some or all of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program may be distributed in a stat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or a USB memory, or may be distribu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munication line in both directions such as the Internet or one direction such as television broadcasting.

(배열 회피 영역의 건재수 보정 기능)(Correction function for the number of buildings in the array avoidance area)

도 1f 및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열도 작성 처리(S2)는, 시공 구역(21) 내에 개구부 등과 같이, 건재(31)가 배치되지 않은 배열 회피 영역(211)이 존재하는 경우, 이 배열 회피 영역(211)을 제외한 건재군(3)의 건재 배열도(3A)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1f는, 배열 회피 영역(211)을 내부에 가진 시공 구역(21)에 있어서, 폭 어긋남 배열의 건재군(3)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g는, 배열 회피 영역(211)을 내부에 가진 시공 구역(21)에 있어서, 헤링본 배열의 건재군(3)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s. 1F and 1G, the arrangement drawing process (S2) is performed when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 31 is not disposed exists, such as an opening in the construction area 21, this arrangement.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excluding the avoidance area 211 is formed. Here, FIG. 1F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of the width shift arrangement is displayed in the construction area 21 having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therein, and FIG. 1G shows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In the construction area 21 with the inside,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of the herringbone arrangement is displayed.

이 경우에 있어서의 계수 처리(S5)는, 배열 회피 영역(211)에 배치되는 건재(31)의 개수가, 시공 구역(21)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건재군(3)(건재 배열도(3A))의 총수로부터 감산되고, 감산 후의 총수가 화면 표시된다. 그리고, 감산 전의 총수와 감산수(배열 회피 영역(211)에 배치되는 건재(31)의 개수)에 대해서도, 감산 후의 총수와 함께 화면 표시되어도 된다.Counting processing (S5)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rranged in the array avoidance area 211 is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in the construction area 21 3A)) is subtracted from the total number, and the total number after subtrac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lso, the total number before subtraction and the subtraction number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rrang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together with the total number after subtraction.

건재 보정 기능을 구비한 건재 견적 시스템(1), 건재 견적 방법, 및 건재 견적 시스템의 관리 서버는,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1 with the building materials correction functio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method, and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are configured as follows.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베이스도(2)를 취득하여 메모리(55)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부(12)와, 메모리(55)에 기억된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부(53)와, 시공 구역(21) 내에, 건재(31)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21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부(20)와,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을 메모리(55)에 전개하고,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13)와, 건재 배열도와 시공 구역(21)와 배열 회피 영역(21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4)와, 시공 구역(21)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건재(31)의 시공 개수와, 배열 회피 영역(211)에 완전히 포함되는 건재(31)의 회피 개수를, 메모리(55)에 전개된 건재군(3)과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에 기초하여 구하고,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 배열도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16)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7)를 가지고 있다.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1 includes 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2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55, the base diagram 2 stored in the memory 55, and the building materials 31 The construction zone setting part 53 for setting the construction zone 21 in which the are arr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9,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zone 21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zone 21 The avoidance designation unit 20 designated by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9 and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are deployed in the memory 55, and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s a construction area ( A display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8 to overlap and display an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13 for creating a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formed to cover 21), and a construction arrangement drawing and construction area 21 and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The control unit 14,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are stored in the memory 55.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btained based on the deployed building material group 3,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rray avoidance area 211 It has a counting unit 16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and an output unit 17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건재 견적 방법은, 베이스도(2)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공정과, 메모리(55)에 기억된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공정과, 시공 구역(21) 내에, 건재(31)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21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공정과,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을 외부 장치(19)에 전개하고,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공정과, 건재 배열도와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공정과, 시공 구역(21)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건재(31)의 시공 개수와, 배열 회피 영역(211)에 완전히 포함되는 건재(31)의 회피 개수를, 메모리(55)에 전개된 건재군(3)과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에 기초하여 구하고,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 배열도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공정과,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공정을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aterial estimation method includes a base diagram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 base diagram 2 and storing it in a memory, and a construction area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stored in the memory 55. The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 set by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9,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zone 21 are design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9. An arrangement diagram for creating an avoidance designation process and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s deployed on the external device 19, and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21 The creation process, the display control process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8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rray avoidance area 211, and a building material ( The number of constructions 31)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y avoidance area 211 are calculated as the building materials 3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rray avoidance area 211 developed in the memory 55. ), and by subtracting the avoided number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a counting process for obta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are output to the outside. Includes the output process.

건재 견적 시스템의 관리 서버는, 건재(31)의 개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55)와, 콘트롤러를 가지고, 콘트롤러는, 베이스도(2)를 취득하여 메모리(55)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베이스도 취득부(12))와, 메모리(55)에 기억된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처리(시공 구역 설정부(53))와, 시공 구역(21) 내에, 건재(31)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21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처리(회피 지정부(20))와,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을 메모리(55)에 전개하고,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배열도 작성부(13))와, 건재 배열도와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표시 제어부(14))와, 시공 구역(21)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건재(31)의 시공 개수와, 배열 회피 영역(211)에 완전히 포함되는 건재(31)의 회피 개수를, 메모리(55)에 전개된 건재군(3)과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에 기초하여 구하고,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 배열도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계수부(16))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출력부(17))를 실행한다.The management server of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has a memory 55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data related to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and a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acquires the base diagram 2 and the memory 55 The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ing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stored in the memory 55 and the construction zone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stored in the memory 55 are provided with an external device 19 The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ing (construction zone setting unit 53) to be set by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9 is operated in the construction zone 21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not arranged. The avoidance designation processing (avoidance designation unit 20) and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are deployed in the memory 55, and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s the construction area 21 The display device 18 is arranged so as to overlap and display 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array diagram creation unit 13) for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as to be covered, and a construction arrangement diagram construction area 21 and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Controlling display control processing (display control unit 14),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building materials 31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avoidance of building materials 31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The number is obtained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developed in the memory 55, and by subtracting the avoidance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the building material group ( Counting processing (counting unit 16)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3) and output processing (outputting unit 17)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are performed.

상기한 건재 견적 시스템(1), 건재 견적 방법, 및 관리 서버의 구성에 의하면,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31)의 필요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material estimating system 1, the construction material estimating metho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the required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avoided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또한, 건재 견적 시스템(1)은, 건물(주택, 빌딩 등)의 시공 구역(21)(바닥면, 벽면, 천장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방법을 실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재 견적 방법은,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포함하는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 공정과,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공정과, 건재 배열도(3A)와 베이스도(2)의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공정과,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 공정과,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공정과,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공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편집 공정은, 건재군(3)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건재(31)를 1개 단위로 추가나 삭제, 변경, 이동 등의 편집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1 realizes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method that obtains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21 (all or part of the floor, wall, and ceiling) of a building (house, building, etc.). have. Specifically,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on method includes 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2 including a construction zone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and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3) By overlapping the construction area 21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the base drawing (2) with the arrangement drawing process of creating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formed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A display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8 to be displayed, and an editing process in which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s delet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And, it has a counting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and 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Further, in the editing process, editing processing such as addition, deletion, change, and movement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n one unit may be executed for some or all of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건재 견적 시스템의 개요: 관리 서버)(Overview of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management server)

건재 견적 시스템(1)은, 각 처리부(11∼19)가 유선이나 무선에 의해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처리부(11∼19)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각 처리부(1∼19)는, 1대의 정보 처리 장치에 탑재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대의 정보 처리 장치에 분산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1, each processing unit 11 to 19 is connect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via wire or wireless. A part or all of each processing unit 11 to 19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Each of the processing units 1 to 19 may be mounted on on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r may be mounted in a distributed state on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모든 각 처리부(1∼19)가 1대의 정보 처리 장치인 관리 서버(22)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재 견적 시스템(1)의 관리 서버(22)는,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포함하는 베이스도(2)를 기억하는 베이스 기억 장치(221)(데이터베이스부)와, 외부 단말기(23A∼23D)에 액세스하는 통신 장치(222)와, 콘트롤러(223)를 가지고 있다. 콘트롤러(223)는, 베이스 기억 장치(221)로부터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와,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와, 건재 배열도(3A)와 베이스도(2)의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외부 단말기(23A∼23D)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를, 외부 단말기(23A∼23D)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등의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 처리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 단말기(23A∼23D)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관리 서버(22)가 외부 단말기(23A∼23D)에 대하여 편집 처리 등의 실행 결과를 송신하고, 외부 단말기(23A∼23D)의 표시 장치(231)에 있어서 실행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외부 단말기(23A∼23D)가 외부 장치(19)로서 기능하게 된다. 관리 서버(22)는, 도 1a의 메모리(55)를 탑재하고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i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1, all the processing units 1 to 19 may be mounted on the management server 22 which is on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pecifically, the management server 22 of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1 stores the base diagram 2 including the construction area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database) Part), a communication device 222 that accesses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and a controller 223. The controller 223 includes 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2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221, and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A display control process that controls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so as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21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the base drawing 2, and the arrangement drawing preparation process for creating the arrangement drawing 3A. Wow, an editing process for executing editing processing such as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Counting processing for obta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3A) and output processing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are executed.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22 transmits the execution result such as editing processing to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and confirms the execution result on the display device 231 of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It becomes possible. And, in this case,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function as the external device 19. The management server 22 is equipped with the memory 55 of Fig. 1A.

또한, 건재 견적 시스템(1)은, 처리부(11∼19)의 일부가 외부 단말기(23C·23D)에 탑재되고, 외부 단말기(23C·23D)와 관리 서버(22)의 협동 처리에 의해 컴퓨터에 큰 부하가 걸리는 편집 처리 등을 관리 서버(22)에 있어서 실행하고, 이 실행 결과를 외부 단말기(23C·23D)에 있어서 확인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외부 단말기(23C)는, 콘트롤러(232)가 베이스도 취득 처리와 배열도 작성 처리와 표시 제어 처리와 편집 처리와 계수 처리와 출력 처리를 실행하고, 그 외의 처리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22)에 액세스함으로써 견적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23D)는, 콘트롤러(232)가 표시 제어 처리와 편집 처리와 계수 처리와 출력 처리를 실행하고, 그 외의 처리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22)에 액세스함으로써 견적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23A∼23D)로서는, 일반적인 거치형이나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가 예시된다.In addition, i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1, a part of the processing units 11 to 19 is mounted on the external terminals 23C and 23D, and the external terminals 23C and 23D and the management server 22 are cooperatively processed to provide a computer The management server 22 may execute editing processing and the like that take a heavy load, and the execution result may be confirmed at the external terminals 23C and 23D. For example, in the external terminal 23C, the controller 232 executes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ing,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ing, display control processing, editing processing, count processing, and output processing, and for other pro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By accessing (22), quot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external terminal 23D, the controller 232 performs display control processing, editing processing, counting processing, and output processing, and for other processing, quot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22. have. Here, as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a general stationary type or portable typ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s exemplified.

(건재 견적 시스템: 편집 처리)(Building material quotation system: editing processing)

건재 단위로 실행되는 추가나 삭제, 변경, 이동 등의 편집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diting processes such as addition, deletion, change, and movement perform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a 및 도 4b는,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단수의 건재(31))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 등을 행하는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지정은, 마우스 조작에 의한 아이콘으로 지정해도 되고, 건재 배열도(3A)의 표시 화면 상에 설치된 터치패널을 조작자가 접촉함으로써 지정해도 된다. 삭제 방법은, 삭제 대상의 건재(31)를 지정하고, 지정한 위치에서 도시하지 않은 삭제 버튼을 압압(押壓)함으로써 삭제되고, 또한 건재(31)를 지정 위치로부터 건재 배열도(3A) 밖으로 드랙에 의해 이동시키고, 또한 이동 시에 출현하는 트래쉬 박스 아이콘(181) 내에 이동시킴으로써 삭제된다. 그리고, 삭제는, 삭제 대상의 건재(31)를 클릭 검지(檢知)에 따라 행해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삭제 대상의 건재(31)에 대한 클릭을 검지하면, 건재(31)의 삭제가 완료하고, 건재(31)의 표시 상태가 비표시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건재(31)의 삭제가 알려진다. 또한, 삭제된 건재(31)의 위치에서 다시 클릭을 검지하면, 삭제된 건재(31)가 원래로 되돌아가고, 건재(31)의 비표시 상태가 표시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건재(31)의 부활이 알려진다. 즉, 건재(31)는, 1클릭 검지의 반복에 의해 삭제(비표시 상태)와 부활(표시 상태)이 반복된다.4A and 4B illustrate editing processing in which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singl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s delet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will be. The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may be designated by an icon by operation of a mouse, or may be designated by an operator contacting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n the deletion method, the building material 31 to be deleted is designated, and by pressing a delete button (not shown) at the designated position, it is deleted, and the building material 31 is also dragged out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from the designated position. It is moved by and is deleted by moving in the trash box icon 181 appearing at the time of movement. In addition, deletion may be performed by clicking detection on the building material 31 to be deleted. Specifically, when a click on the building material 31 to be deleted is detected, the dele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state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s switched to a non-displayed state. The deletion is known. In addition, when a click is detected again at the position of the deleted building material 31, the deleted building material 31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non-displayed state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s switched to the displayed state,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31 Is known. That is, the building material 31 is repeatedly deleted (non-displayed) and revived (displayed) by repeating 1-click detection.

건재(31)의 삭제수는, 건재 배열도(3A)를 구성하는 건재(31)의 총수로부터 감산되고, 삭제 후의 건재(31)의 총수가 화면 표시된다. 그리고, 건재(31)의 삭제수도, 삭제 후의 건재(31)의 총수와 함께 화면 표시되어도 된다. 화면 표시는, 「수동 입력」으로 삭제된 것을 나타내는 수동 입력란에 있어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건재(31)의 총수나 삭제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다시 볼 때의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number of dele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s subtracted from the tot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the tot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fter dele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number of dele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tot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fter dele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display is displayed in a manual input field indicating that it has been deleted by "manual input".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confirm when the data consisting of the tot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nd the number of deletions is viewed again.

지정된 건재(31)는, 조작자에 의해 판별이 용이하도록 강조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조 표시는, 색이나 휘도, 모양 중 1개 이상의 조합에 의해, 건재(31)와는 상이한 표시 태양이 되는 표시 상태이다. 또한, 건재(31)의 삭제 후의 영역은, 조작자에 의해 판별이 용이하도록, 지정된 건재(31)와는 상이한 표시 태양으로 강조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signated building material 31 is highlighted so that it can be easily discriminated by the operator. The highlight display is a display state in which a display mod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s achieved by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color, luminance, and patter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after dele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s highlighted in a display mode different from that of the designated building material 31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determine it.

또한, 지정된 건재(31)는, 지정 위치에서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동 후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지정 위치로부터 삭제된 건재(31)는, 트래쉬 박스 아이콘(181)에 의해 완전히 삭제하거나, 건재 배열도(3A) 외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보류 상태로 하거나, 필요에 따라 건재군(3)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esignated building material 31 can change the angle at the designated position, and the angle can be changed at the prescribed position after movement. Thereby, the building material 31 deleted from the designated position is completely deleted by the trash box icon 181, temporarily put on hold outside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or, if necessary, the other building material group 3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be placed in position.

도 5a 및 도 5b는,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복수의 건재(31))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 등을 행하는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지정 방법은, 최초의 지정 위치로부터 지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형으로 드랙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최초의 지정 위치로부터 마지막 지정 위치까지의 선형의 지정 범위(182a)에 존재하는 복수의 건재(31)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 범위(182a)는, 직선형 및 곡선형의 어느 쪽이라도 된다. 또한, 지정 범위(182a)는, 강조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A and 5B illustrate editing processing in which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s delet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will be. The designation method can be performed by linearly dragging while maintaining the designation state from the first designation position. In this case,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existing in the linear designation range 182a from the first designation position to the last designation position can be designated. In addition, the designation range 182a may be either linear or curv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esignated range 182a is highlighted.

최초의 지정 위치와 마지막 지정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드랙함으로써, 내부에 영역을 가지는 형상(원형이나 다각형상 등)의 지정 범위(182b)로 한 경우는, 지정 범위(182b)와, 지정 범위(182b)에 둘러싸여진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건재(31)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복수의 건재(31)가 강조 표시된 후, 지정된 모든 건재(31)가 지정 위치에서 삭제되거나, 혹은, 일괄적으로 이동되어 트래쉬 박스 아이콘(181)에 의해 완전히 삭제되거나, 일시 보류나 각도 변경이 행해진다.By dragging so that the first and last designated positions coincide, in the case of a designated range 182b of a shape (circular or polygonal shape) having an area inside, the designated range 182b and the designated range 182b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present in the area surrounded by) can be designated. And, after the plurality of designated building materials 31 are highlighted, all the designated building materials 31 are deleted from the designated position, or are moved collectively and are completely deleted by the trash box icon 181, temporarily held or angled. Changes are made.

그리고,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31)를 지정하는 대신, 시공 구역(21)을 확축(擴縮) 대상으로서 지정하고,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 대각선 방향으로 드랙하면, 드랙 후의 시공 구역(21)에 맞추어서 건재(31)가 추가 및 삭제되는 것에 의해, 건재군(3)이 재배치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복수의 시공 구역(21)이 중복하고 있는 경우에는, 확축 대상인 시공 구역(21)을 확축하여 건재군(3)이 재배치됨과 동시에, 나머지 시공 구역(21)에서의 건재군(3)의 재배치도 행해지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5c, instead of designating the building material 31, the construction area 21 is designated as a target for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when dragg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diagonal direction, the construction area after the drag In accordance with (21), the building materials 31 may be added and delet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may be rearranged.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construction zones 21 overlap, the construction zone 21 to be expanded is expanded to relocate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3, and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3 in the remaining construction zone 21 ) Will also be relocated.

도 6은, 지정한 건재(31)를 다른 종류로 변경하는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건재(31)를 타원형의 지정 범위(182b)에 의해 지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종류 변경 버튼의 조작에 의해 종류 일람표(183)를 화면 표시시킨다. 그리고, 종류 일람표(183)에서의 변경 대상의 부재명(P타일 등)의 표시란을 클릭(압압 조작)함으로써, 지정한 복수의 건재(31)를 일괄적으로 변경 대상의 종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종류 일람표(183)는, 표시란의 표시수보다 부재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류의 변경은, 일시 보류나 각도 변경이 행해진 후에 있어서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6 illustrates the editing process of changing the designated building material 31 to another type. Specifically, for example,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are designated by an elliptical designation range 182b, and the type list 183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operating a type change button (not shown). Then, by clicking (pressing operation) the display column of the member name (P tile, etc.) to be changed in the type list 183, a plurality of designated building materials 31 can be collectively changed to the type of the change target. In addition, the type list 183 is scroll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re are more types of members than the number of display columns. In addition, the type can be changed even after temporary hold or angle change has been performed.

도 7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외부로부터 지정한 위치에, 건재(31)를 추가하는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가 방법은, 지정한 위치에서 도시하지 않은 추가 버튼을 압압함으로써 추가되고, 또한 선형의 지정 범위(182a)나 원형의 지정 범위(182b)의 형성 후에 추가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건재(31)를 일괄적으로 추가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버튼의 조작에 의해 종류 일람표(183)를 화면 표시시키고, 부재명을 지정하여 종류 일람표(183) 밖으로 드랙함으로써, 지정한 종류의 건재(31)가 추가된다. 그리고, 추가된 건재(31)는, 각도 변경이나 이동,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Fig. 7 illustrates the editing process of adding the building material 31 to a position designated from the outside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Specifically, the addition method is added by pressing an additional button (not shown) at a designated position, and by operating the additional button after forming the linear designated range 182a or the circular designated range 182b,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is added in bulk.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type list 183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operation of the add button, the member name is designated and dragged outside the type list 183, whereby the designated type of building material 31 is added. Then, the added building material 31 is capable of changing an angle, moving, or changing.

건재(31)의 추가수는, 건재 배열도(3A)를 구성하는 건재(31)의 총수에 가산되고, 추가 후의 건재(31)의 총수가 화면 표시된다. 그리고, 건재(31)의 추가수도, 추가 후의 건재(31)의 총수와 함께 화면 표시되어도 된다. 화면 표시는, 「수동 입력」으로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수동 입력란에 있어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건재(31)의 총수나 추가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다시 볼 때의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number of addi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s added to the tot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and the tot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fter addi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number of addi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together with the tot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fter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display is displayed in a manual input field indicating that it has been added by "manual input".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confirm when the data consisting of the total number or the additional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s viewed again.

도 9는, 표시 장치(18)에 표시된 건재 배열도(3A)와 베이스도(2)의 시공 구역(21)을,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대 이동시키는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상대 이동은, 소정 치수 단위(표시 장치(18)의 화상 픽셀 단위 등)로 상하 좌우나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18)에 표시된 건재 배열도(3A)와 베이스도(2)의 시공 구역(21)을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편집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9 illustrates an editing process in which the construction area 21 of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and the base diagram 2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8 is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by operation from the outside. Relative movement refers to movement in a predetermined dimension unit (such as an image pixel unit of the display device 18) vertically, horizontally, or in an arbitrary direction. In this case, by moving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8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of the base drawing 2 relative to each other by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edit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도(2) 및 건재 배열도(3A)를 둘러싸도록, 지정 범위(182c)를 형성한다. 그 후, 베이스도(2) 또는 건재 배열도(3A)를 지정하고, 드랙함으로써, 지정한 베이스도(2) 또는 건재 배열도(3A)를 이동시킨다. 또한, 지정한 베이스도(2) 또는 건재 배열도(3A)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건재 배열도(3A)가 지정 범위(182c)에 의해 지정된 경우에는, 모든 건재(31)가 종류를 변경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designated range 182c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base drawing 2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Thereafter, the base drawing 2 or the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drawing 3A is designated and dragged to move the designated base drawing 2 or the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drawing 3A. In addition, the designated base drawing 2 or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is made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s designated by the designated range 182c, all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an be changed in type.

여기서, 각도의 변경 시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선에 대하여 30°나 45° 등의 복수의 각도 변경선(184a)을 가진 각도 변경 화면(184)이 중복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변경선(184a)은, 변경 대상의 각도 변경선(184a)을 압압 등에 의해 지정함으로써, 각도 변경선(184a)에 대응한 각도로 건재 배열도(3A)를 자동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 변경선(184a)은, 건재 단위로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중복 표시되어도 된다.Here, when the angle is chan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change screen 184 having a plurality of angle change lines 184a such as 30° or 4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is repeatedly displayed as shown in FIG. 10. The angle change line 184a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3A to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change line 184a by designating the angle change line 184a to be changed by press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ngle change line 184a may be repeatedly displayed even when the angle is chang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건재 견적 시스템의 회피 지정)(Designation of avoidance of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도 1a, 도 1f,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베이스도(2)에서의 시공 구역(21) 내에, 건재(31)의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211)이 외부로부터 지정되는 회피 지정부(20)를 가지고, 배열도 작성부(13)는, 건재군(3)이 배열 회피 영역(211)을 제외하고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시공 구역(21) 내에서의 기둥이나 오픈 천장 등을 배열 회피 영역(211)으로 함으로써, 기둥이나 오픈 천장 등에 대한 건재(31)의 배열을 자동으로 회피할 수 있으므로, 편집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회피 지정부(20)의 동작의 상세한 것은, 도 23∼도 28의 바닥 작성 처리에서 설명한다.1A, 1F, and 1G,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1 has an unarranged array avoidance area 211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n the construction area 21 in the base diagram 2 With the avoidance designation unit 20 designated from the outside, the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13 is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3 formed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except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It is desirable to write 3A).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pillars, open ceilings, etc. can be automatically avoided by using the columns or open ceilings in the construction area 21 as the array avoidance area 211, so editing work is avoided. It can be done easily. Details of the operation of the avoidance designat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the floor creation processing in Figs. 23 to 28.

배열 회피 영역(211)에 대한 건재(3)의 회피 방법의 원리 일례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재 배열도(3A)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을, 복수의 화상 레이어 영역(제1 화상 레이어(501), 제2 화상 레이어(502), 제3 화상 레이어(503) 등)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면, 회피 대상의 화상 집합이나 비회피 대상의 화상 집합을 단위로 하여 제1 화상 레이어(501)나 제2 레이어(502) 등의 복수의 화상 레이어로서 구분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1 화상 레이어(501)에 대하여, 표시 장치(18)에서의 임의의 표시 위치를 픽셀 단위의 Ax, y로 나타내도록 하고, 회피 대상의 영역에 표시 정보 Ax, y(0)를 설정 가능하게 하고, 비회피 대상의 영역에 표시 정보 Ax, y(1)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 화상 레이어(502) 및 제3 화상 레이어(503) 등의 다른 화상 레이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회피 영역 및 비회피 영역에 표시 정보를 설정 가능하게 한다.An example of the principle of the method of avoiding the building materials 3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avoiding area 2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is defined as a plurality of image layer areas (first image It is divided into a layer 501, a second image layer 502, a third image layer 503, etc.). For example, the image set to be avoided or the image set to be non-avoided is classified as a plurality of image layers such as the first image layer 501 and the second layer 502 as a unit. And,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layer 501, an arbitrary display position in the display device 18 is represented by Ax, y in pixels, and the display information Ax, y ( 0) can be set, and display information Ax, y(1) can be set in the area to be avoided. Also, in other image layers such as the second image layer 502 and the third image layer 503, it is possible to set display information in the avoided area and the non-avoided area in the same manner.

다음으로, 제1 화상 레이어(501)에 있어서, 바닥 등의 비회피 영역에 표시 정보 Ax, y(1)를 설정하고, 그 외의 영역에 회피 영역으로서 표시 정보 Ax, y(0)를 설정한다. 또한, 제2 화상 레이어(502)에 있어서, 기둥 등의 회피 영역에 표시 정보 Ax, y(0)를 설정하고, 그 외의 영역에 비회피 영역으로서 표시 정보 Ax, y(1)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1 화상 레이어(501)와 제2 화상 레이어(502)를 합성하고, 양쪽 레이어(501·502)의 표시 정보를 논리곱함으로써, 제1 화상 레이어(501)의 바닥 등의 비회피 영역으로부터 제2 화상 레이어(502)의 기둥 등의 회피 영역이 제거된 표시 정보 ABx, y(1)를 가진 합성 화상(511)을 형성한다. 이 합성 화상(511)이 비디오 메모리로 출력됨으로써 표시 장치(18)에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 정보 ABx, y(1)와 표시 정보 ABx, y(0)의 경계선에 의해 시공 구역(21)이 형성되게 된다.Next, in the first image layer 501, display information Ax, y(1) is set in non-avoidable areas such as the floor, and display information Ax, y(0) is set as avoided areas in other areas. . Further, in the second image layer 502, display information Ax, y(0) is set in an avoided area such as a column, and display information Ax, y(1) is set as a non-avoidable area in other areas. Then,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layer 501 and the second image layer 502 and logically multiplying the display information of both layers 501·502, a non-avoidable area such as the bottom of the first image layer 501 A composite image 511 having display information ABx, y(1) from which avoidance areas such as pillars of the second image layer 502 have been removed is formed. This composite image 51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8 by being outputted to the video memory. Then, the construction area 21 is formed by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display information ABx, y(1) and the display information ABx, y(0).

그리고, 제1 화상 레이어(501) 등의 표시 위치 Ax, y는, 표시 장치(18)의 표시 단위인 픽셀 단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표시 장치(18)에 표시된 합성 화상에 있어서, 치수 범위를 지정하고, 그 치수 범위에 대응하는 실제 치수를 입력하면, 치수 범위에 존재하는 픽셀수(m)와, 치수 범위의 실제 치수(M)의 관계로부터, 화면 표시된 베이스도(2)이나 건재 배열도(3A) 등의 실제 치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치수를 구하는 표시 단위는, 픽셀 이외라도 된다.The display positions Ax and y of the first image layer 501 and the like are set in pixel units, which are display units of the display device 18. In this way, in the composit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8, if a dimension range is specified and an actual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dimension range is input, the number of pixels in the dimension range (m) and the actual dimension of the dimension range ( From the relationship of M), actual dimensions such as the base drawing 2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for obtaining the actual dimension may be other than a pixel.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도 1a, 도 1f,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시공 구역(21)에 배열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장치(건재 견적 시스템(1))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재 견적 장치는, 건재(31)의 개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55)와, 콘트롤러를 가지고 있다. 콘트롤러는,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55)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베이스도 취득부(12))와, 메모리(55)에 기억된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외부 장치(19)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처리(시공 구역 설정부(53))와, 메모리(55)에 기억된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211)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처리(회피 지정부(20))와, 시공 구역(21)을 참값(1)으로 하고, 시공 구역(21) 이외를 거짓값(0)으로서 기억하는 제1층과, 배열 회피 영역(211)을 거짓값(0)으로 하고, 배열 회피 영역(211) 이외를 참값(1)으로서 기억하는 제2층을, 메모리(55)에 설정하고, 제1층과 제2층을 논리곱함으로써,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이 중복되는 영역을 배열 회피 영역(211)으로 하는 시공 구역 변경 처리(시공 구역 변경부)와,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을 메모리(55)에 전개하고,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배열도 작성부(13))와, 건재 배열도와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표시 제어부(14))와, 메모리(55)에 전개된 건재군(3)과 시공 구역(21)에 기초하여, 건재 배열도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계수부(16))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출력부(17))를 실행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A, 1F, and 1G, a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1) for obtain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21 of the building is obtained. I can. Specifically,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has a memory 55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data related to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acquires a base diagram and stores the base diagram in the memory 55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and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stored in the memory 55. Construction area setting processing (construction area setting unit 53) for setting the construction area 21 to be performed by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9, and the base diagram 2 stored in the memory 55, the building material 31 Avoidance designation processing (avoidance designation unit 20) in which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in which) is not arranged is designated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is set as the true value (1),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A first layer that stores anything other than) as a false value (0), and a second layer that stores the array avoidance region 211 as a false value (0), and stores other than the array avoidance region 211 as a true value (1). , A construction area change process in which the area where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211 overlap by setting it in the memory 55 and multiplying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s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211 (Construction area change part) and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memory 55, and the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21 is created. A display control process (display control unit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8 to overlap and display the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array diagram creation unit 13),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14)), and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developed in the memory 55, a counting process to obtai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Counter 16) and output processing (output unit 17) of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is executed.

실제 건물에 있어서는, 창문이나 기둥, 도어 등과 같이, 건재(31)가 배열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이나 시스템에서 시공 구역(21)을 설정하는 경우, 방의 구석부나 벽중앙부에 배치된 기둥 등이 시공 구역(21)의 경계선 상에 존재하면, 기둥 등을 피하는 처리가 필요하게 되므로, 시공 구역(21)의 설정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시공 구역(21)을 참값(1)으로 하고, 시공 구역(21)을 거짓값(0)으로서 기억하는 제1층과, 배열 회피 영역(211)을 거짓값(0)으로 하고, 배열 회피 영역(211) 이외를 참값(1)으로서 기억하는 제2층을 논리곱함으로써,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이 중복되는 영역을 배열 회피 영역(211)으로 하기 때문에, 시공 구역(21)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n actual building, there is an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not arranged, such as windows, columns, and doors. In this case, in the case of setting the construction zone 21 in a conventional method or system, if a column or the like disposed in the corner of the room or in the center of the wall exists on the boundary line of the construction zone 21, the treatment to avoid the column, etc. Since it becomes necessary,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take time to set the construction area 21. By the way,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layer storing the construction zone 21 as a true value (1) and the construction zone 21 as a false value (0), and the array avoidance region 211 are set to a false value ( 0) and by logical multiplication of the second layer storing other than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211 as a true value (1), the area where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211 overlap is defined as the alignment avoidance area 211 ), the construction zone 21 can be easily set.

(건재 견적 시스템의 전개 표시)(Display of development of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또한,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벽면과 같은 복잡한 부착 분류나 창문면 등의 개구부의 배열 등, 평면 상에서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하여, 3점의 포인트를 클릭함으로써, 전개도로서 가시화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1 visualizes as a developed view by clicking three points on a part that cannot be seen or confirmed visually on a plane, such as a complex attachment classification such as a wall surface or an arrangement of openings such as a window surface. It is desirable to have a functio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31)가 배열되는 바닥면 시공 구역 및 벽면 시공 구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12)와,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바닥면 건재 배열도(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고, 또한 건재군(3)이 벽면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벽면 건재 배열도(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13)와, 표시 제어부(14)와, 바닥면 건재 배열도 및 벽면 건재 배열도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 등의 편집을 행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15)와, 바닥면 건재 배열도 및 벽면 건재 배열도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각각 구하는 계수부(16)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7)를 가지고 있다.Specifically,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1 is 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a base diagram 2 including a floor surface construction area and a wall surface construction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1A. (12) and a floor surface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formed so that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3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31 are arranged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21 is prepared, and the construction material group ( 3) An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13 for creating a wall construction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building arrangement drawing (3A)) formed to cover this wall construction area, a display control unit 14, a floor construction arrangement drawing and a wall construction arrangement In the editing section 15 that executes editing processing, such as deleting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n the figure by designation from the outside,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and the floor surface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diagram and the wall surface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diagram A counting unit 16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respectively, and an output unit 17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are provided.

표시 제어부(14)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 상의 2개소의 기준점(301·302)과, 1개소의 방향점(304)(실선 위치나 파선 위치)을 외부로부터 지정 가능하게 하고, 방향점(304)을 포함하는 기준점(301·302)끼리를 잇는 구역선(303) 상의 범위에서의 벽면 시공 구역을 전개도로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12, the display control unit 14 enables two reference points 301 and 302 on the wall surface and one direction point 304 (solid line position or broken line position) to be designated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device 18 is controlled to display a wall surface construction area in a range on the area line 303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s 301 and 302 including the direction points 304 as a developed view.

(건재 견적 시스템의 전개 표시: 표시 방법)(Displaying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display method)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을 절곡하여 벽을 묘화하는 다각 모드의 경우에는, 묘화 개시 위치(P1)로부터 묘화 종료 위치(P2)를 향하는 묘화 방향(실선이나 파선)에 대하여 우측에 시점 위치가 설정되고, 시점 위치로부터 묘화 방향을 향하는 시선 방향의 전개도가 작성된다. 그리고, 주위가 폐쇄된 방을 4각형이나 원형의 벽으로 묘화하는 사각 모드나 원 모드의 경우에는, 방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시선 방향의 전개도가 작성된다.As shown in Fig. 13A, in the case of a multi-angle mode in which a wall is drawn by bending a straight line, the viewpoint position is on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drawing direction (solid line or broken line) from the drawing start position P1 to the drawing end position P2. It is set, and a developed view in the visual line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position toward the drawing direction is created. And, in the case of a square mode or a circle mode in which a room in which the periphery is closed is drawn with a square or circular wall, a developed view in the visual direc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oom is created.

예를 들면, 도 13b는, 다각 모드에 있어서, 묘화 개시 위치(P1)로부터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의 묘화 방향)으로 묘화하고, 묘화 종료 위치(P2)를 묘화 개시 위치(P1)에 접속함으로써, 사각형상의 방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묘화 방향 화살표 방향의 우측이 시점 위치로 되므로, 방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시선 방향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벽면 상의 2개소의 기준점(301·302)(X1·X2)과, 1개소의 방향점(304)(X3)을 외부로부터 지정하면, 방향점(304)을 포함하는 기준점(301·302)끼리를 잇는 구역선(303) 상의 범위가 시선 방향의 전개도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방의 경우에는, 벽면 상의 1군데의 기준점(301)(X1)을 지정한 후, 오른쪽 클릭하면, 방 전체의 전개도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FIG. 13B is a multi-angle mode, by drawing from the drawing start position P1 to the arrow direction (clockwise drawing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drawing end position P2 to the drawing start position P1, It shows the state of forming a square room. In this case, since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arrow direction is the viewpoint position, it is set as the visual line direc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oom. And, when two reference points 301·302 (X1·X2) on the wall surface and one direction point 304 (X3) are designated from the outside, the reference point 301·302 including the direction point 304 ) The range on the area line 303 connecting each other is displayed as a developed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line of sight. And, in the case of a room, it is preferable that a development view of the entire room is displayed by right clicking after designating one reference point 301 (X1) on the wall.

예를 들면, 도 13c·13d는, 다각 모드에 있어서, 묘화 개시 위치(P1)로부터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의 묘화 방향)으로 묘화하고, 묘화 종료 위치(P2)를 묘화 개시 위치(P1)에 접속함으로써, 사각형상의 방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묘화 방향의 우측이 시점 위치로 되므로, 방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시선 방향이 설정된다. 그리고, 벽면 상의 2개소의 기준점(301·302)(X1·X2)과, 1개소의 방향점(304)(X3)을 외부로부터 지정하면, 방향점(304)을 포함하는 기준점(301·302)끼리를 연결하는 구역선(303) 상의 범위가 시선 방향의 전개도로서 표시된다.For example, FIGS. 13C and 13D show, in the multiple mode, drawing from the drawing start position P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ounterclockwise drawing direction), and the drawing end position P2 to the drawing start position P1. By connecting, a state in which a rectangular room is formed is shown. In this case, since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is the viewpoint position, the viewing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room is set. And, when two reference points 301·302 (X1·X2) on the wall surface and one direction point 304 (X3) are designated from the outside, the reference point 301·302 including the direction point 304 The range on the area line 303 connecting each other is displayed as a developed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line of sight.

예를 들면, 도 13e는, 다각 모드에 있어서, 묘화 개시 위치(P1)로부터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의 묘화 방향)으로 묘화하고, 묘화 종료 위치(P2)를 묘화 개시 위치(P1)로부터 이격하는 것에 의하여, ㄷ자형상의 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묘화 방향의 우측이 시점 위치로 되므로, 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시선 방향이 설정된다. 그리고, 벽면 상의 2개소의 기준점(301·302)(X1·X2)을 외부로부터 지정하면, 방향점(304)(X3)을 지정하지 않아도, 기준점(301·302)끼리를 잇는 구역선(303) 상의 범위가 시선 방향의 전개도로서 표시된다.For example, FIG. 13E shows that in a multi-angle mode, the drawing start position P1 is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ounterclockwise drawing direction), and the drawing end position P2 is separated from the drawing start position P1. By this, the state in which the U-shaped wall is formed is shown. In this case, since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is the viewpoint position, the viewing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wall is set. And, if two reference points on the wall surface 301·302 (X1·X2) are designated from the outside, the area line 303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s 301·302 between the reference points 301·302 without designating the direction points 304 (X3) ) The range of the image is displayed as a development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line of sight.

(건재 견적 시스템의 헤링본 계수 방법)(Herringbone counting method of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건재군(3)을 헤링본에 의해 배열한 경우에서의 건재(31)의 계수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unting method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in the case where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is arranged by a herringb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링본 계수 처리에 있어서, 입력 처리를 실행한다(S51). 구체적으로는, 건재(31)인 타일 가로 폭, 타일 세로 폭, 시공 구역(21)의 방 좌표 정보, 비레이아웃 영역(24)이 되는 구체(軀體) 좌표 정보를 입력한다.As shown in Fig. 14, in the herringbone coefficient processing, input processing is executed (S51). Specifically, the horizontal width of the tile, the vertical width of the tile, which is the building material 31, the room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spheric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non-layout area 24 are input.

다음으로, 계산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후보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S51). 후보 산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 좌표가 완전히 들어가는 사각형상의 판정 영역(521)을 산출한다. 이 판정 영역(521)의 가로(X 방향) 폭을 W, 세로(Y 방향) 폭을 H로 한다.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311)의 치수가 가로 폭(w)(mm), 세로 폭(h)(mm), 줄눈 폭(m)(mm)일 때, 헤링본으로 배열되는 타일(311)의 중심점 위치를 판정 영역(521)에 있어서 구한다. 즉, w>h인 경우에 있어서, 판정 영역(521)의 시점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Δw, 세로 방향으로 Δh를 (식1) 및 (식2)으로 구한다. 그리고,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 관계로 중심점 C1·C2·C3…를 설치 장소 후보로서 구해 간다.Next, calculation processing is executed. Specifically, first, candidate calculation processing is executed (S51). In the description of the candidate calcul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16A, a rectangular judgment area 521 into which room coordinates are completely entered is calculated. The horizontal (X direction) width of this determination area 521 is set to W, and the vertical (Y direction) width is set to H. As shown in Fig. 16B, when the dimensions of the tile 311 are the horizontal width (w) (mm), the vertical width (h) (mm), and the joint width (m) (mm), the tiles 311 arranged in a herringbone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of) is obtained in the determination area 521. That is, when w>h, Δ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Δh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determination region 521 are obtained by (Equation 1) and (Equation 2). Then, the center point C1·C2·C3...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s shown in Fig. 16B. As a candidate for an installation location,

Δw=(h+m)×√2····(식1)Δw=(h+m)×√2····(Equation 1)

Δh=(h/2+m)×√2····(식2)Δh=(h/2+m)×√2····(Equation 2)

판정 영역(521)에서의 모든 설치 장소 후보가 산출되면, 설치 장소 후보에 대하여 타일(311)이 설치된다(S53). 설치된 타일(311)에 대하여 필요 판정 처리가 실행된다(S54).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 구역(21)에 중복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541). 중복하고 있지 않으면(S51: NO), 불필요 플래그(flag)가 설정된다(S544). 한편, 시공 구역(21)에 중복하고 있는 경우에는(S51: YES), 이어서, 비레이아웃 영역(24)과 완전히 중복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542). 완전히 중복하고 있으면(S542: YES), 불필요 플래그가 설정된다(S544). 완전히 중복하고 있지 않으면(S542: NO), 필요 플래그가 설정된다(S543).When all the installation location candidates in the determination area 521 are calculated, tiles 311 are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location candidates (S53). A necessary determination process is executed on the installed tile 311 (S54).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overlaps with the construction area 21 (S541). If there is no overlap (S51: NO), an unnecessary flag is set (S544). On the other hand, when overlapping with the construction area 21 (S51: YES), it is then determined whether or not completely overlapping with the non-layout area 24 (S542). If completely overlapping (S542: YES), an unnecessary flag is set (S544). If not completely overlapping (S542: NO), a necessary flag is set (S543).

다음으로, 필요 판정 처리에서의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타일(311)이 필요한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55). 필요하면(S55: YES), 카운터값이 1 카운트업된 후(S56), 전체 설치 장소 후보에게 대한 타일(311)의 필요 판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57). 완료하고 있지 않으면(S57: NO), S53으로부터 재실행되고, 모든 설치 장소 후보에서의 타일(311)의 필요 판정이 완료했을 때(S57: YES), 출력 처리가 실행되고, 카운터값이 타일(311)의 필요 장수인 것으로서 출력된다(S58).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ile 311 is required based on the flag information in the necessary determination processing (S55). If necessary (S55: YES), after the counter value is counted up by one (S5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ecessary determination of the tile 311 for all the installation location candidates has been completed (S57). If not completed (S57: NO), it is re-executed from S53, and when the necessary determination of the tiles 311 in all the installation site candidates is completed (S57: YES), the output processing is executed, and the counter value is set to the tile 311 ) Is output as the required longevity (S58).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계수부(16)는, 헤링본으로 건재(31)를 배열하는 경우에 있어서, 시공 구역(21)을 둘러싸는 정사각형상의 판정 영역(521)을 구하여 메모리에 전개하는 처리와, 건재(31)를 헤링본으로 배열한 건재군(3)을 판정 영역(521)에 중복시켰을 때의 모든 건재(31)의 중심점 위치를 판정 영역(521)에 있어서 구하고, 설치 장소 후보로 하는 처리와, 설치 장소 후보에 배치한 각 건재(31)가 시공 구역(21)에 중복하는지의 여부를 각각 판정하고, 중복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시공 구역(21)에 배열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with a herringbone, the counting unit 16 in the present embodiment obtains the square-shaped determination area 521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expands it in the memory. Wow, the central point positions of all the building materials 31 when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a herringbone are overlapped in the judgment area 521, in the judgment area 521, and set as candidates for installation locations. The construction area 21 is performed by performing a process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each building material 31 arranged in the installation site candidate overlaps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overlapping building materials 31.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rranged in the.

바꾸어 말하면, 헤링본용의 건재 견적 장치(건재 견적 시스템(1))는, 시공 구역(21)이 완전히 들어가는 정사각형상의 판정 영역(521)을 구하고, 헤링본 배열되는 건재(31)의 중심점 위치를, 설치 장소 후보로서 판정 영역(521)에 있어서 구하고, 판정 영역(521)에서의 모든 설치 장소 후보에 대하여 건재(31)를 메모리(555) 상에 전개하고, 시공 구역(21)에 중복하고 있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16)를 가지고 있다.In other words,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1) for a herringbone obtains a square-shaped judgment area 521 into which the construction area 21 completely enters, and installs the center point posi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n which the herringbone is arranged.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obtained in the judgment area 521 as site candidates, and for all the installation site candidates in the judgment area 521,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developed on the memory 555, and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the construction area 21 ( It has a counting unit 16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31).

이로써, 종래에는, 건재(31)를 헤링본 배열로 배치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헤링본 배열의 건재(31)의 개수를 구할 수 없었지만,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헤링본 배열의 건재(31)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Thus, conventionally,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a herringbone arrangement,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in the herringbone arrangement could not be obtained, bu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in the herringbone arrangement Can be obtained.

또한, 계수부(16)는, 설치 장소 후보에 배치한 각 건재(31)가 비레이아웃 영역(24)에 완전히 중복하는 지의 여부를 각각 판정하고, 중복하는 건재(31)의 개수를, 시공 구역(21)에 배열되는 건재(31)의 개수로부터 감산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시공 구역(21) 내에 비레이아웃 영역(24)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unting unit 16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building material 31 arranged in the installation site candidate completely overlaps the non-layout area 24,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overlapping building materials 31, the construction area By performing a process of subtracting from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arranged in (21),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even when a non-layout area 24 exists in the construction area 21. have.

바꾸어 말하면,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링본용의 건재 견적 장치(건재 견적 시스템(1))는, 시공 구역(21)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건재(31)의 시공 개수와, 배열 회피 영역(211)에 완전히 포함되는 건재(31)의 회피 개수를, 메모리(55)에 전개된 건재군(3)과 시공 구역(21)과 배열 회피 영역(211)에 기초하여 구하고,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16)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시공 개수로부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건재(31)의 개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1G,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device for herringbone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1) includes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building materials 31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an array avoidance area (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ompletely included in 211) is obtained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developed in the memory 55,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It has a counting part 16 which calculates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by subtracting.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avoidances from the number of constructions.

(건재 견적 시스템: 작도 기능)(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drawing function)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마우스 조작이나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의 수작업에 의한 도면 작성을 가능하게 하는 작도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도 기능은, 공백 화면에 의장 도면을 그려 넣는 것을 가능하게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현장에서 복도의 치수를 재어서 도면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A, it is preferable that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1 has a drawing function that enables drawing creation by manual operation of a mouse operation or a touch operation of a touch panel. The drawing function makes it possible to draw a design drawing on a blank screen. Thereb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easure and draw the dimensions of the corridor in the field.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수작업의 입력 개소를 포함하는 입력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경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영역은, 미리 설정된 확대 배율과 확대 표시 화면(41A)의 화면 사이즈에 대응하고, 입력 개소를 화면의 중심으로 하도록 결정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선도(411)에 의한 작도 중에 있어서, 선도(411)의 단부(端部)(411a·411b)끼리가 근접하였을 때, 확대 표시 화면(41A)을 육안으로 보면서 작도하는 것에 의해, 단부(411a·411b)끼리를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확대경 기능은, 「플로어 작성」에 관련시킨 「스케일」에 있어서 온/오프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17B, it is preferable that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1 has a magnifying glass function that enlarges and displays an input area including a manual input point. The input area is determ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eset enlargement magnification and the screen size of the enlarged display screen 41A, and make the input location the center of the screen. Thus, for example, during the drawing by the diagram 411, when the ends 411a and 411b of the diagram 411 are close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draw while looking at the enlarged display screen 41A with the naked eye. Thus, the ends 411a and 411b can be easily connected. In addition, the magnifying glass function may be switched by operating an on/off button in the "scale" associated with "floor creation".

그리고, 확대경 기능은, 작도 기능이 실행될 때 자동적으로 실행되어도 되고, 전환 조작에 의해 실행 상태와 정지 상태가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확대경 기능의 실행 상태에 있어서, 확대 조건이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확대경 기능의 실행 상태에 있어서, 확대 표시 화면(41A)의 단부(411a·411b)가 확대 영역 내에 존재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때에만, 확대 표시 화면(41A)이 출현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확대경 기능은, 작도 기능의 실행 이외의 타이밍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건재(31) 등의 지정이나 수치 입력에 있어서, 입력 개소가 확대 표시되는 것에 의해, 작은 화면 사이즈의 휴대 단말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했을 때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Further, the magnifying glass function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when the drawing function is executed, or the execution state and the stop state may be switchable by switching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execution state of the magnifying glass fun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ifying condition can be set. For example, in the execution state of the magnifying glass function, the enlarged display screen 41A may appear only when a condition in which the ends 411a and 411b of the enlarged display screen 41A exist in the enlarged area is satisfied. . Further, the magnifying glass function may be made executable at a timing other than the execution of the drawing function. In this case, when an input loc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designa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31 or the like or in numerical input, operation whe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mall screen size is used is facilitated.

이상의 설명에서의 건재 견적 시스템(1), 건재 견적 방법, 관리 서버(22), 건재 견적 프로그램은, 건재군(3)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건재(31)를 1개 단위로 추가나 삭제, 변경, 이동 등의 편집 처리를 실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건재 견적 시스템(1), 건재 견적 방법, 관리 서버(22), 건재 견적 프로그램은, 편집 처리 대신, 혹은, 편집 처리에 더하여,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복수의 시공 구역(21)을 설정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시공 구역(21)을 지정하고, 지정한 시공 구역(21)에 사용되는 건재(31)를 선정하는 처리가 행해지는 구성이라도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1,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method, the management server 22, and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program add, delete, or change the building materials 31 in one unit for some or all of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Although editing processing such as, move, etc. can be executed,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1,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method, the management server 22, and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program, instead of the editing process or in addition to the editing process,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There may b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ocess of setting the construction zone 21 of, designating any one or more construction zones 21, and selecting the building material 31 used in the designated construction zone 21 is perform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12)와,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복수의 시공 구역(21)을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부(53)와, 시공 구역(2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시공 구역(21)에 사용되는 건재(31)를 지정하는 건재 지정부(54)와, 건재 지정부(54)에서 지정된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건재 지정부(54)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13)와, 건재 배열도(3A)와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4)와, 건재 지정부(54)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된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각각 구하는 계수부(16)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7)를 가지고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A, i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on system 1, the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2, and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A construction zone setting unit 53 that sets a plurality of construction zones 21 to be constructed, and a construction material that selects any one or more of the construction zones 21, and designates a construction material 31 used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zone 21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formed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in the designation part 54 and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arranged with the building materials 31 designated by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part 54 is shown in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part ( A display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device 18 to overlap and display the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13 for all the construction areas 21 selected in 54),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14) and 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created for all the construction areas 21 selected in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unit 54 ( 16) and an output unit 17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또한, 건재 견적 방법은,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 공정과,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복수의 시공 구역(21)을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공정과, 시공 구역(2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시공 구역(21)에 사용되는 건재(31)를 지정하는 건재 지정 공정과, 건재 지정 공정에서 지정된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건재 지정 공정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공정과, 건재 배열도(3A)와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공정과, 건재 지정 공정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된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각각 구하는 계수 공정과,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공정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method includes 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2, a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 for sett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zones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and , A construction material designation process for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designating the building material 31 used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area 21, and a building material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designated in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process are arrange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formed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by the group 3 is prepared for all the construction areas 21 selected in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process,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display control process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8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created for all the construction areas 21 selected in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process. ) And a counting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 and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또한, 관리 서버(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도(2)를 기억하는 베이스 기억 장치(221)와, 외부 단말기(23A∼23D)에 액세스하는 통신 장치(222)와, 콘트롤러(223)를 가지고, 콘트롤러(223)는, 베이스 기억 장치(221)로부터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와,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복수의 시공 구역(21)을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처리와, 시공 구역(2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시공 구역(21)에 사용되는 건재(31)를 지정하는 건재지정 처리와, 건재 지정 처리에사 지정된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건재 지정 처리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와, 건재 배열도(3A)와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외부 단말기(23A∼23D)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와, 건재 지정 처리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된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각각 구하는 계수 처리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 단말기(23A∼23D)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management server 22 includes a base storage device 221 for storing the base diagram 2, a communication device 222 for accessing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and a controller. With 223, the controller 223 has 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2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221, and a plurality of constructions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ing for setting the area 21, construction material designation processing for selecting any one or more of the construction zone 21 and designating the building material 31 used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area 21, and construction material designation processing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diagram 3A formed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in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31 designated by the company are arranged, is prepared for all the construction areas 21 selected in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process. All the construction zones 21 selected from the arrangement drawing processing to be performed, the display control processing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processing A counting process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created for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and an output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external terminals 23A to 23D Execute the process.

건재 견적 프로그램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를, 베이스도(2)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와, 베이스도(2)에, 건재(31)가 배열되는 복수의 시공 구역(21)을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부와, 시공 구역(2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시공 구역(21)에 사용되는 건재(31)를 지정하는 건재 지정부와, 건재 지정부에서 지정된 복수의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건재 지정부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와, 건재 배열도(3A)와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건재 지정부에서 선택된 모든 시공 구역(21)에 대하여 작성된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각각 구하는 계수부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program includes a computer, 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base diagram 2, and a plurality of construction areas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2 A construction zone setting unit to set up and a construction material designation unit to select any one or more of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to designate a building material (31) to be used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area (21), and a plurality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creates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formed so as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for all the construction areas 21 selected in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unit. Wow, a display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play device 18 so as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the construction area 21, and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created for all the construction areas 21 selected from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unit. ), 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상기한 건재 견적 시스템(1), 건재 견적 방법, 관리 서버(22), 건재 견적 프로그램의 구성에 의하면, 어느 하나 이상의 시공 구역(21)을 선택하고, 선택한 시공 구역(21)에 사용되는 건재(31)를 지정함으로써, 미리 시공 구역(21)의 선택과 건재(31)의 지정을 완료한 후에, 일괄적으로 건재 배열도(3A)가 작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시공 구역(21)에 있어서 건재(31)를 지정하여 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경우보다, 재확인이 용이하므로, 각 시공 구역(21)에서의 건재의 지정 미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도(2)에서의 건재(31)의 배치 예정의 복수의 영역을 시공 구역(21)으로서 설정함으로써, 배치 예정이 없는 영역이 건재(31)의 필요수 산출 대상으로부터 제외되기 때문에, 건재(31)의 필요수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system 1,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method, management server 22,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ng program, any one or more construction areas 21 are selected, and building materials used in the selected construction area 21 ( By designating 31), after the selection of the construction zone 21 and the designa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31 are completed in advance, the construction materials arrangement diagram 3A is collectively created, so that the construction materials in each construction zone 21 Since reconfirmation is easier than the case where (31) is designated and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is prepar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signation error of the building materials in each construction area 21.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setting a plurality of areas scheduled to be disposed of the building material 31 in the base drawing 2 as the construction area 21, the area not scheduled to be disposed is calculated as the required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Since it is excluded from the target, the required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Specific example of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다음으로, 건재 견적 시스템(1)이, 건물(주택, 빌딩 등)의 의장 도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장 도면 파일, 건재(31)의 사이즈 데이터 및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재 사양 파일(사이즈, 형상, 재질, 품명, 일련번호, 가격 등), 건재(31)의 배열 패턴 데이터(격자 배열, 폭 어긋남 배열, 헤링본 배열)를 포함하는 패턴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와, 데이터베이스부(11)의 의장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재(31)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21)을 포함하는 베이스도(2)(바닥면, 벽면, 천장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베이스도 취득부(12)와, 건재 사양 파일에서의 사이즈 데이터 및 형상 데이터와, 패턴 파일에서의 배열 패턴을, 외부로부터 지정하는 건재 지정부와, 건재 지정부에서 지정된 사이즈 데이터와 형상 데이터와 배열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재(31)를 배열한 건재군(3)이, 시공 구역(21)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3A)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13)와, 건재 배열도(3A)와 베이스도(2)의 시공 구역(21)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8)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4)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의 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외부로부터 지정한 위치에, 건재(31)를 추가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15)와, 건재 배열도(3A)에서의 건재군(3)을 구성하는 건재(31)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16)와, 건재(31)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7)를 가지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ion system 1 includes a design drawing file including design drawing data of a building (house, building, etc.), a building material specification file (size, shape, and configuration data including size data and shape data of the building material 31). A database unit 11 storing a pattern file including material, product name, serial number, price, etc.), and arrangement pattern data (grid arrangement, width shift arrangement, herringbon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material 31, and the database unit 11 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12 that acquires a base diagram (2) (all or part of a floor surface, a wall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including the construction area 21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31 are arranged, based on the design drawing data of ), and the size data and shape data in the building material specification file, and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unit specifying the arrangement pattern in the pattern file from the outside, and the construction material based on the size data and shape data and arrangement pattern data designated by the building material designation unit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3 arranged with (31) arranged to cover the construction area 21 is an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section 13 for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3A and a base drawing ( The display control unit 14 that controls the display device 18 so as to overlap and display the construction area 21 of 2), and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are designated from the outside. In the editing unit 15 which executes the editing process to be deleted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and the editing process of adding the building materials 31 to a position designated from the outside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3A, and the building materials arrangement diagram 3A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unting unit 16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3 and an output unit 17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the outsi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 탭 관리)(Specific example of building material quotation system: tab management)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재 견적 시스템(1)은, 화면 표시된 복수 계층의 탭이나 아이콘에 소정의 처리를 대응시킴으로써, 큰 기능의 처리로부터 단계적으로 상세한 기능의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층의 「플로어 작성」에 관련시킨 제2층으로서 「도면 판독(reading)」, 「각도 보정」, 「불균일 보정」, 「잘라내기」, 「스케일」이 존재한다. 또한, 제1층의 「바닥 작성」에 관련시킨 제2층으로서 「플로어 선택」, 「구체 설치」, 「방 작성」, 「방 편집」, 「룰러」, 「메모」가 존재한다. 그리고, 제2층의 「방 편집」에 관련시킨 제3층으로서 「벽 높이 변경」, 「영역 작성」, 「감산 추가」, 「레이아웃 개시」, 「레이아웃 편집」, 「프리 입력」, 「편집 확정」이 존재한다. 제3층의 「영역 작성」에는, 「방 동형」, 「에리어 복사」가 제4층으로서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의 계층 구조는 예시이며, 도시되지 않는 각종 기능에 대응한 탭이나 아이콘이 존재한다.As shown in Fig. 18, the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1 is configured to perform detailed function processing step by step from processing of a large function by matching predetermined processing to a plurality of hierarchical tabs and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as the second layer related to the "floor creation" of the first layer, there are "drawing reading", "angle correction", "unevenness correction", "cutting out" and "scale". In addition, as the second floor related to the "floor creation" of the first floor, there are "floor selection", "specific installation", "room creation", "room editing", "ruler", and "memo". And as the third floor related to the "room editing" of the second floor, "wall height change", "area creation", "subtraction addition", "layout start", "layout editing", "pre-input", "edit Confirmation” exists. In the "area creation" of the third layer, "radiation type" and "area copying" are related as the fourth layer. In additi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FIG. 18 is an example, and tabs and icons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not shown are present.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층의 탭은, 프로젝트 정보, 플로어 작성, 바닥 작성, 벽 작성, 천장 작성, 칸막이 작성, 부재 마스터, 개구 마스터, 부재수 계산, 장표 출력의 처리에 각각 대응되어 있다. 여기서, 부재 마스터 탭은, 데이터베이스부(11)에 대응되어 있고, 건재(31)의 각종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개구 마스터 탭은, 전술한 회피 지정부(20)의 처리에 대응되어 있고, 창문이나 도어 등의 배열 회피 영역의 각종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부재수 계산 탭은, 계수부(16)에 대응되어 있다. 장표 출력 탭은, 출력부(17)의 기능 외에, 건재(31)의 단가, 및 건재(31)의 개수에 기초한 구입 금액 등을 출력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 외의 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Specifically, the tabs on the first floor correspond to processing of project information, floor creation, floor creation, wall creation, ceiling creation, partition creation, member master, opening master, member count, and report output. Here, the member master tab corresponds to the database unit 11 and is capable of rea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he building material 31. The opening master tab corresponds to the processing of the avoidance designation unit 20 described above, and is capable of readi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on an arrangement avoidance area such as a window or a door. The member counting tab corresponds to the counting unit 16.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output unit 17, the report output tab enables the unit price of the building materials 31 and the purchase price based o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31 to be output. Other tabs will be described later.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 프로젝트 정보 처리)(Specific example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project information processing)

도 19는, 정보 처리 장치의 기동 시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601)이며, 초기 화면(601)에서의 상부에 제1층용의 탭 선택 영역(6011)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탭 선택 영역(6011)의 아래쪽에 처리영역(6012)이 배치되어 있다. 프로젝트 정보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의 기동 시에 실행되도록 되어 있고, 처리 영역(6012)에 등록 영역(6102a)이 표시된다. 등록 영역(6102a)은, 기본 정보<고객명, 공사 명칭 등>를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폴트에서는, 5개의 항목, 즉 「고객명」, 「담당 업자」, 「공사 명칭」, 「담당자」, 「시공일」의 항목이 표시되지만, 임의의 항목을 자유롭게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19 is an initial screen 601 displayed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started, a first layer tap selection area 6011 is disposed above the initial screen 601, and a tab selection area 6011 A processing area 6012 is disposed below ). Project inform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started, and a registration area 6102a is displayed in the processing area 6012. In the registration area 6102a, basic information <customer name, construction name, etc.> can be input. And, by default, five items are displayed, namely, ``customer name'', ``worker in charge'', ``construction name'', ``person in charge'', and ``construction date'', but it is possible to freely add arbitrary items. have.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 플로어 작성 처리)(Specific example of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floor creation processing)

도 20은, 플로어 작성 탭을 조작했을 때의 표시 화면이다. 통상은, 프로젝트 정보의 입력 후에, 플로어 작성 탭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도면(6014)을 일람 표시한 도면 판독(reading) 윈도우(6013)로부터 원하는 도면이 판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의 판독이 완료되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6014)이 처리 영역(6012)의 대략 중앙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면(6014)에 대하여 각도의 어긋남이나 불균일을 수정하는 경우에는, 각도 수정 아이콘, 불균일 수정 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수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20 is a display screen when a floor creation tab is operated. Normally, after inputting the project information, it moves to the floor creation tab, and a desired drawing is readable from a drawing reading window 6013 in which a plurality of drawings 6014 are listed. When reading of the draw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1, the drawing 6014 is display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area 6012. In the case of correcting an angle shift or non-uniformity with respect to the drawing 6014, the correction can be made by operating the angle correction icon and the non-uniformity correction icon.

또한, 도면(6014)에 대하여 원하는 해당 개소(베이스도(2))만을 잘라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잘라내는 방법은, 잘라내기 아이콘을 클릭하고, 해당 개소를 마우스 조작으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 잘라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개소의 영역 좌측 위 정점(頂点)을 클릭하고, 우측 아래로 마우스 조작함으로써, 해당 개소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후에 설명에 있어서, 표시 화면에 대한 각종 지정이나 조작을 마우스 조작의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터치패널을 사용한 터치 조작이라도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ut out only the desired location (base diagram 2) with respect to the drawing 6014. The cutting method can be cut by clicking the cut icon and surrounding the location with a mouse oper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urround the location by clicking on the upper left vertex of the region and operating the mouse to the lower righ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various designations and operations on the display screen will be described using expressions of mouse operations, but touch operations using a touch panel may be used.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케일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면(6014)의 각소의 실제 치수를 산출하는 스케일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스케일의 기준으로 하고자 하는 도면(6014) 상의 가장 긴 스케일 범위(6015)의 양단이 되는 2개소를 클릭하고, 스케일 입력 화면(6016)이 기동되었을 때, 클릭한 스케일 범위의 실제 치수인 「10, 714」을 입력한다. 이로써, 스케일 범위(6015)의 실제 치수와 스케일 범위(6015) 내에 존재하는 픽셀수의 관계에 기초하여, 도면(6014)의 각소의 실제 치수가 산출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when the scale icon is clicked, scale processing for calculating the actual dimensions of each place in the figure 6014 is executed. For example, when two ends of the longest scale range 6015 on the drawing 6014 to be scaled are clicked and the scale input screen 6016 is started, the actual dimensions of the clicked scale range Enter "10, 714". Thereb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size of the scale range 6015 and the number of pixels present in the scale range 6015, the actual size of each element in the drawing 6014 is calculated.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 바닥 작성 처리)(Specific example of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floor creation processing)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작성 탭을 조작하면, 바닥 작성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바닥 작성 탭으로부터 플로어 선택 아이콘을 클릭하고, 스케일 설정한 도면을 호출하여 화면 표시한 경우에는, 도면이 화면 중앙에 표시된다. 이 후,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체 위치 <기둥·오픈 천장>을 설정하는 구체 설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구체 설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기둥 작성과 오픈 천장 작성을 선택 가능하게 한다. 기둥 선택을 하는 경우에는, 기둥 작성 아이콘을 선택하고, 사각 아이콘(6301), 원 아이콘(6302), 다각 아이콘(6303)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형상 아이콘(6310·6302·6303)을 선택하고, 화면 표시된 기둥의 화상을 둘러싸도록 마우스 조작한다. 도 24에 있어서는, 사각 아이콘(6301)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사각 모드로 기둥을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방의 끝에 있는 기둥(6017)은, 조금 돌출하도록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3, when the floor creation tab is operated, floor creation processing is executed. For example, when a floor selection icon is clicked on the floor creation tab and a drawing with scale settings is call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e drawing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reafter, as shown in Fig. 24,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concrete installation process for setting the specific position <pillar/open ceiling>, by selecting the concrete installation icon, the creation of the pillar and the creation of the open ceiling can be selected. In the case of selecting a column, a column creation icon is selected, and a square icon 6301, a circle icon 6302, and a multiple icon 6303 are displayed. Then, any one shape icon 6310·6302·6303 is selected, and the mouse is operated to surround the image of the column displayed on the screen. In Fig. 24, the pillars are surrounded in a square mode executed by selection of a square icon 6301. And, it is possible to surround the pillar 6017 at the end of the room so as to protrude slightly.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 작성」이나 「오픈 천장 작성」의 처리의 완료 후, 공통벽 높이 아이콘을 클릭하여 벽 높이를 입력한다. 즉, 공통벽 높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벽 높이 입력 윈도우(6018)가 출현한다. 그리고, 벽높이 입력 윈도우(6018) 내의 입력란에 공통벽 높이를 입력하고, 편집 확정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구체 설치 처리를 종료한다.As shown in FIG. 25,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ss of "column creation" or "open ceiling creation", the common wall height icon is clicked to input the wall height. That is, when the common wall height icon is clicked, the wall height input window 6018 appears. Then, by inputting the common wall height into the input field in the wall height input window 6018 and clicking the edit confirmation icon, the concrete installation process is terminated.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 작성 아이콘을 조작하면, 방을 선택하는 방 작성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바닥 탑 표시부(6101)에 표시된 아이콘 중에서 방 작성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방 작성 표시부(6102)를 출현시킨다. 방 작성 표시부(6102)에서의 사각 아이콘(6102a), 원 아이콘(6102b), 다각 아이콘(6102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아이콘(6102a·6102b·6102c)에 대응한 묘화 모드 처리에 의해 방 작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디폴트의 묘화 모드 처리는, 다각 묘화이다.As shown in Fig. 26, when a room creation icon is operated, a room creation process for selecting a room is executed. Specifically, by selecting a room creation icon from the icons displayed on the floor top display portion 6101, the room creation display portion 6102 appears. When any one of the square icon 6102a, the circle icon 6102b, and the multiple icon 6102c is selected in the room creation display unit 6102, the room is processed by drawing mod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s 6102a, 6102b, 6102c. It becomes possible to write. And the default drawing mode processing is multiple drawing.

이 후, 예를 들면, 다각 모드로 방 작성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다각 아이콘(6102c)에서의 묘화 모드 처리를 선택하고, 마우스 조작으로 적색의 강조선을 도면을 참조하여 묘화한다. 강조선을 절곡한 개소에서 클릭하고, 방을 강조선으로 둘러싸도록 묘화한다. 그리고, 구체의 개소는, 구체를 따르도록 묘화한다. 강조선이 시점에 가까운 개소에 도달했을 때, 오른쪽 클릭하면, 「시점과 잇는다」의 보조 윈도우(6019)가 출현한다. 「시점과 잇는다」를 선택하면, 강조선의 시점과 종점이 자동적으로 일치하고, 방이 강조선으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강조선으로 둘러싼 방전체의 면적·둘레 길이·벽 면적이 화면 좌측 아래의 표시란에 표시된다. 그리고, 방 내에 독립 기둥 등의 구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체의 둘레 길이가 강조선으로 둘러싼 방 전체의 둘레 길이에 가산되는 한편, 구체의 설치 면적이 방 전체의 바닥 면적으로부터 감산된다. 또한, 방 내에 오픈 천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픈 천장의 설치 면적이 바닥 면적으로부터 감산될 뿐이며, 방 전체의 둘레 길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둘레 길이가 유지된다.Thereaf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performing room creation in the multiple mode, the drawing mode processing in the multiple icon 6102c is selected, and a red highlight line is draw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by a mouse operation. Click the highlight line at the bent point and draw so that the room is surrounded by the highlight line. And the point of the sphere is drawn so as to follow the sphere. When the highlight line reaches a point close to the viewpoint, when right-clicking, an auxiliary window 6019 of "connect with the viewpoint" appears. If you select ``Connect with the starting point'',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of the highlight line are automatically matched, the room is surrounded by the highlight line, and the area, circumference length, and wall area of the discharge body surrounded by the highlight line are displayed in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screen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a sphere such as an independent pillar exists in the room, the circumference of the sphere is add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entire room surrounded by the emphasis line, while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sphere is subtracted from the floor area of the entire room.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open ceiling in the room,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open ceiling is only subtracted from the floor area, and the circumference length is maintained without affecting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entire room.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 편집 아이콘을 조작하면, 방 전체에 대하여 「영역」(시공 구역(21))을 설정하는 방 편집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방 편집 아이콘을 클릭하여, 방 편집 표시부(6103)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방 편집 표시부(6103)에 표시된 에리어 작성 아이콘을 클릭하여, 에리어 작성 표시부(6104)를 표시시킨다. 에리어 작성 표시부(6104)는, 방 동형 아이콘과 에리어 묘사 아이콘이 존재하고, 선택한 아이콘의 묘화 모드 처리에 의해 작성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7, when the room editing icon is operated, room editing processing for setting a "area" (construction area 21) for the entire room is executed. Specifically, by clicking the room editing icon, the room editing display unit 6103 is displayed. Then, the area creation icon displayed on the room editing display portion 6103 is clicked to display the area creation display portion 6104. In the area creation display unit 6104, there are a ballistic icon and an area description icon, and can be created by drawing mode processing of the selected icon.

방과 동일한 형의 「에리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방 동형 아이콘을 선택하고, 방과 상이한 형의 「에리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에리어 묘사 아이콘을 선택한다. 에리어 묘사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에는, 에리어 묘사 표시부(6105)가 출현하고, 사각 아이콘, 원 아이콘, 다각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 묘사 처리가 선택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각 아이콘의 묘화 모드 처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대상이 되는 「에리어」의 좌측 위 정점을 클릭하고, 우측 아래 방향으로 마우스 조작한다. 그리고, 좌측 위 정점은, 「에리어」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마우스 조작에 의해 적색의 사각형상이 확대되고, 「에리어」가 사각형상의 적색선으로 둘러싸여졌을 때, 「에리어」가 확정된 것으로 보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사각형상의 적선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 등의 건재(31)를 레이아웃 불필요한 개소가 배열 회피 영역(211)으로서 지정되어 있으면, 그 개소를 피해서 묘화된다.When selecting the "area" of the same type as the room, the room type icon is selected, and when selecting the "area" of the type different from the room, the area description icon is selected. When the area description icon is selected, the area description display unit 6105 appears, and a descrip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 square icon, a circle icon, and a multiple icon can be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drawing mode process of a square icon is selected, the upper left vertex of the target "area" is clicked, and the mouse is operated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And, the upper left vertex may be located outside the "area". When the red square image is enlarged by the mouse operation and the "area" is surrounded by the square red line, the processing is ended as the "area" is determin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8, the rectangular red line is drawn avoiding the location where the building material 31 such as a pillar is not laid out as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211.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아웃 개시 아이콘을 조작하면, 「에리어」 작성한 범위에 바닥재를 레이아웃하는 레이아웃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아웃 개시 아이콘을 클릭하면, 등록되어 있는 부재 마스터의 표시 윈도우(6020)가 출현한다. 예를 들면, 250×1,000의 타일 카페트를 선택하여 OK 버튼을 클릭하면, 이어서, 레이아웃 방법 선택 윈도우(6021)가 출현한다. 레이아웃 방법 선택 윈도우(6021)는, 「보통」, 「어긋남 줄눈<폭 어긋남>」 「어긋남 줄눈<높이 어긋남>」, 「헤링본」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아웃 방법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 방법의 선택 후에, 레이아웃 각도 선택 윈도우(6022)가 출현한다.As shown in Fig. 29, when the layout start icon is operated, the layout process of laying out the flooring material in the created area "area" is executed. Specifically, when the layout start icon is clicked, the registered member master display window 6020 appears. For example, when a tile carpet of 250 x 1,000 is selected and the OK button is clicked, a layout method selection window 6021 appears next. The layout method selection window 6021 displays a selection of a layout method consisting of "normal", "shift joint <width deviation>", "displacement joint <height deviation>", and "herringbone", and any one of the layout methods After selection, a layout angle selection window 6022 appears.

예를 들면, 레이아웃 방법 선택 윈도우(6021)에 있어서 「어긋남 줄눈」을 선택하고, 레이아웃 각도 선택 윈도우(6022)에 있어서 「90° 회전」을 입력하고, 가(假)레이아웃 버튼을 클릭하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번의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그리드(6023)(건재군(3))가 표시된다. 또한, 그리드(6023)의 근방에 십자 키 윈도우(6024)가 출현하고, 십자 키를 클릭함으로써 그리드(6023)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돌출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if you select ``difference joint'' in the layout method selection window 6021, input ``90° rotation'' in the layout angle selection window 6022, and click the temporary layout button, As shown in Fig. 30, a grid 6023 (building materials group 3) corresponding to this layout is displayed. Further, a cross key window 6024 appears in the vicinity of the grid 6023, and by clicking the cross key, the grid 6023 is move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the projection position can be moved.

위치 확정 버튼을 클릭하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릭한 시점에서의 돌출 위치에서의 타일 카페트(6023a)의 전체 수량(100장)이 표시된다. 또한,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필요로 여겨지는 타일 카페트(6023a)에 대해서는, 해당 타일 카페트(6023a)가 클릭되는 것에 의해, 그리드(6023)로부터 삭제되고, 또한 전체 수량으로부터 감산된다. 도 33에 있어서는, 3개소의 위치에 배치된 타일 카페트가 클릭되는 것에 의하여, 클릭 개소의 타일 카페트가 삭제되고, 또한 3장이 감산된 전체 수량(97장)이 표시된다. 임의의 장수 감산을 끝낸 후, 레이아웃 확정 버튼을 클릭하면, 레이아웃을 행한 타일 카페트의 장수 정보가 화면 하부에 배치된 레이아웃 정보 표시부에 추가된다. 또한, 레이아웃 정보 표시부에서의 「수량」의 표시 영역을 더블클릭하면, 임의의 장수가 추가 가능하게 된다.When the positioning button is clicked, as shown in Fig. 31, the total quantity (100 sheets) of the tile carpet 6023a at the protruding position at the clicked time is display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2, the tile carpet 6023a considered unnecessary is deleted from the grid 6023 when the tile carpet 6023a is clicked and further subtracted from the total quantity. In Fig. 33, when the tile carpets arranged at the three positions are clicked, the tile carpet at the click position is deleted, and the total quantity (97 sheets) from which the three sheets have been subtracted is displayed. When the layout confirmation button is clicked after completing the subtraction of the arbitrary number of shee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heets of tile carpets that have been laid out is added to the layout information display unit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urther, by double-clicking the display area of the "quantity" in the layout information display unit, an arbitrary number of sheets can be added.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 편집에 있어서 프리 입력 아이콘을 조작하면, 프리 입력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색깔이 다른 250×1,000의 바닥재가 5장 필요하게 된 경우, 프리 입력 아이콘을 클릭하고, 등록되어 있는 부재 마스터의 표시 윈도우(6020)를 출현시켜, 해당 부재를 선택한다. 해당 부재를 선택하면, 수량의 입력 화면 윈도우(6025)가 출현하므로, 필요 수량을 입력하고, OK 버튼을 클릭한다. 이로써, 입력한 데이터가 레이아웃 정보 표시부(6026)에 추가된다.As shown in Fig. 34, when the pre-entry icon is operated in room editing, pre-input processing is executed. For example, when five flooring materials of 250×1,000 of different colors are required, the pre-input icon is clicked, the registered member master display window 6020 appears, and the member is selected. When the member is selected, a quantity input screen window 6025 appears, so the required quantity is input and the OK button is clicked. Thereby, the inputted data is added to the layout information display unit 6026.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룰러 아이콘을 조작하면, 도면에서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치수를 구하는 룰러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도면 상의 시점을 클릭하고, 마우스 조작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까지 커서를 이동시켜 다시 클릭한다. 이로써, 시점과 종점 사이의 치수가 표시된다. 그리고,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사이에 중간점이 존재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절곡이나 만곡된 벽 등의 측정 대상선을 따라 중간점을 배치함으로써, 각종 형상의 측정 대상선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한번, 표시한 수치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룰러로 그은 개소의 붉은 원 부분에 커서를 맞추고 오른쪽 클릭함으로써, 삭제 메시지를 표시시키고, 다시 클릭함으로써 삭제를 확정시킨다. 또한, 룰러로 표시되는 수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붉은 원에서 왼쪽 클릭하면서 마우스 조작함으로써 이동시킨 후, 다시 클릭하는 것으로 이동을 확정시킨다.As shown in Fig. 35, when the ruler icon is operated, a ruler process for obtaining the dimensions from the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in the drawing is executed. Specifically, the viewpoint on the drawing is clicked, the cursor is moved to the point to be measured by mouse operation and clicked again. Thereby, the dimension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is displayed. And an intermediate point may exist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Thereby, the length of the measurement object line of various shapes can be measured by arrange|positioning an intermediate point along a measurement object line, such as a bent or curved wall, for examp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deleting the displayed numerical value once, the cursor is placed on the red circle part of the point drawn with a ruler and right-clicked to display the deletion message, and the deletion is confirmed by clicking again. In addition, in the case of moving the numerical value displayed by the ruler, the movement is confirmed by moving the mouse by left-clicking on the red circle and then clicking again.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 칸막이 작성 처리)(Specific example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partition creation processing)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작성 탭을 조작하면, 칸막이 작성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어 선택 처리에 의해 도면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칸막이 작성 아이콘을 클릭한다. 칸막이 작성은, 직선 처리 및 다각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실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각 처리에 의해 작성하는 경우에는, 칸막이의 시점으로부터 마우스 조작에 의해 절곡선(6026)을 작성하고, 칸막이의 종점에서 오른쪽 클릭하여, 절곡선(6026)을 확정시킨다. 절곡선 확정의 선택 후, OK 버튼을 클릭하여, 벽 높이의 입력 화면 윈도우(6027)를 출현시킨다. 벽 높이를 입력하고, OK 버튼을 클릭하면, 칸막이의 표시와 함께, 칸막이 정보가 표시된다.As shown in Fig. 36, when the partition creation tab is operated, the partition creation process is executed. Specifically, drawing data is received by floor selection processing, and the partition creation icon is clicked. The partition creation is made to be capable of performing either a straight line process or a multiple process. In the case of creating by multiple processing, the bending line 6026 is created by mouse oper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artition, and the bending line 6026 is determined by right-clicking at the end point of the partition. After selecting the bending line confirmation, the OK button is clicked, and the input screen window 6027 of the wall height appears. If you enter the wall height and click the OK button, the parti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long with the display of the partition.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편집 아이콘을 조작하면, 칸막이에 대하여 개구<도어 등>를 설치하는 칸막이 편집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 편집 아이콘을 클릭하고, 계속하여 표시되는 개구 추가 아이콘을 클릭하면, 개구 마스터의 표시 윈도우(6028)가 출현한다. 그리고, 추가하는 개구 마스터를 선택하고, 개수를 입력한 후에 OK 버튼을 클릭한다. 이 후,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상에 개수와 함께 표시된 개구 아이콘(6029)을 마우스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고, 칸막이 부분의 해당 개소에서 클릭함으로써 배치한다. 그리고,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전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칸막이 전개도가 출현하고, 칸막이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칸막이 전개도는, 묘화 개시점(P1)으로부터 묘화 종료점(P2)을 향하여 묘화되고 있는 경우, 묘화 방향의 우측이 시점 위치로 되므로, 화면을 향하여 좌상 측으로부터 벽 방향을 향하는 시선 방향의 전개도가 된다.As shown in Fig. 37, when the partition editing icon is operated, the partition editing process is performed to provide an opening <door, etc.> to the partition.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edit icon is clicked and the opening addition icon displayed continuously is clicked, the display window 6028 of the opening master appears. Then, select the opening master to be added, input the number, and click the OK button. Thereafter, as shown in Fig. 38, the opening icon 6029 displayed together with the number on the screen is moved by a mouse operation, and is placed by clicking at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partition. And, as shown in FIG. 39, when the divider expansion icon is clicked, the divider expanded view appears,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ivider can be confirmed. In addition, when the drawing is drawn from the drawing start point P1 toward the drawing end point P2, the expanded view of the partition is the view posi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so the developed view in the viewing direction from the upper left side toward the screen toward the wall direction do.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 벽 작성 처리: 방 편집 처리)(Specific example of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wall creation processing: room editing processing)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 작성 탭을 조작하고, 이어서, 벽 편집 아이콘을 클릭하면, 벽 편집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벽 편집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벽 편집 아이콘을 클릭한 후, 들보를 설치하고자 하는 개소에 2점을 클릭하고, 들보 높이 입력의 화면 윈도우(6030)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들보 높이의 수치를 입력한다. 계속하여 들보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한다. 들보의 작성을 완료한 후에, OK 버튼을 클릭하면, 도면 상의 들보 작성을 한 개소에, 노란색 강조선이 표시되는 것에 의해, 육안에 의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0은, 바닥 정보를 이어받은 경우이지만, 통상은, 벽 작성 후에 들보 추가가 실행된다.As shown in Fig. 40, when the wall creation tab is operated and then the wall editing icon is clicked, the wall editing process is executed. Specifically, after clicking the wall editing icon displayed by the wall editing process, two points are clicked at the location where the beam is to be installed, and the screen window 6030 for inputting the beam height is displayed. Then, input the value of the height of the beam. In the case of continuously adding a beam, 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After completing the creation of the beam, if the OK button is clicked, a yellow highlight line is displayed at one location on the drawing where the beam was created, so that visual confirm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although FIG. 40 is a case where floor information is inherited, in general, beam addition is performed after wall creation.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 전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개도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벽 전개 아이콘을 클릭한 후, 마우스 조작에 의해 평행면의 2점을 클릭함으로써, 2점간의 전개도면을 표시한 전개도 윈도우(6031)를 출현시킨다.As shown in Fig. 41, when the wall expansion icon is clicked, the expanded view process is executed. Specifically, by clicking on the wall expansion icon and then clicking on two points on the parallel plane with a mouse operation, a developed view window 6031 displaying the expanded view between the two points is displayed.

(건재 견적 시스템의 구체예: 천장의 개구 편집 처리)(Specific example of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editing processing of openings in ceiling)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작성 탭을 조작하고, 이어서, 개구 편집 아이콘을 클릭하면, 개구 편집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 편집 아이콘을 클릭하고, 조명 기구나 가스 감지기 등의 개구 부분을 설치하는 개구 편집 처리를 개시한다. 개구 추가 아이콘을 클릭하면, 개구 마스터의 표시 윈도우(6031)가 출현하고, 설치할 개구 마스터를 선택하고, 개수를 입력하여 OK 버튼을 클릭한다. 이로써, 선택한 개구 아이콘(6032)과 개수량이 화면 표시된다. 이 후, 도면 상의 배치하고자 하는 개소에서 클릭하여, 개구 아이콘(6032)의 배치를 완료한다.As shown in Fig. 42, when the ceiling creation tab is operated and then the opening editing icon is clicked, the opening editing process is executed. Specifically, the opening editing icon is clicked to start the opening editing process of installing an opening portion such as a lighting fixture or a gas sensor. When the opening addition icon is clicked, the display window 6031 of the opening master appears, selects the opening master to be installed, enters the number, and clicks the OK button. As a result, the selected opening icon 6032 and the quantit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fter that, it is clicked at the position to be arranged on the drawing, and the arrangement of the opening icon 6032 is completed.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편집 처리에 있어서, 들보 작성 아이콘을 클릭하면, 들보 작성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들보 작성 표시에 있어서, 「들보를 작성합니다. 1-2, 3-4 점째가 평행이 됩니다. 묘사 후, 들보의 높이를 입력해 주세요.」의 설명 문장이 표시된다. 이 설명 문장에 따라, 도면 상의 4점을 클릭하여 들보(6033)를 작성한다. 즉, 1-2 점째, 3-4 점째가 각각 평행하게 된 들보(6033)가 표시된다. 이 후, 높이 입력 화면(6034)이 표시되고, 높이를 입력한 후, OK 버튼의 클릭에 의해 들보(6033)를 확정한다. 들보(6033)가 확정되면, 들보 면적이 표시되고, 또한 들보 정보로서 「들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마스터데이터화된다. 그리고, 들보 면적은, 전체의 면적으로부터 감산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상의 4점을 클릭하는 것 이외에, 오른쪽 클릭에 의해 들보 폭을 입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3, in the opening editing process, when the beam creating icon is clicked, the beam creating process is executed. Specifically, in the display of creating a beam, "I create a beam. Points 1-2, 3-4 become parallel. After describing, please enter the height of the beam.” is displayed. According to this explanatory text, a beam 6033 is created by clicking four points on the drawing. That is, the beams 6033 in which the 1-2 points and 3-4 points are parallel are displayed. Thereafter, a height input screen 6034 is displayed, after inputting the height, the beam 6033 is determined by clicking the OK button. When the beam 6033 is determined, the area of the beam is displayed, and it is registered in the "beam list" as beam information to become master data. In addition, the beam area can be selected to be subtracted from the entire area. In addition, in addition to clicking the four points on the drawing, you can input the beam width by right-clicking.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구체예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고, 각 수단 등의 구체적 구성은, 적절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only specific examples have been exempl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specific configurations of each means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in design. In addition,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those enumerating the most preferable effects generat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建材)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부;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부;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부;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시공 구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상기 건재의 시공 개수와,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상기 건재의 회피 개수를,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시공 개수로부터 상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부; 및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
A base diagram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A construction zone setting unit for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construction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 avoidance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n array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for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A display control unit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developed in the memory,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A coun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y subtracting the avoided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Building materials estimating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시공 구역을, 상기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대 이동시키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diting unit that executes an editing process for moving at least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and the construction area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relative to each other by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시공 구역에 대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각도 변경시키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diting unit that executes an editing process for changing an angle of at least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area by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정에 의해 건재 단위로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diting unit for executing editing processing for deleting at least a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units of building materials by design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도 작성부는, 상기 건재를 헤링본(herringbone) 배열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rrangement drawing creation unit creates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rawing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a herringbone.
건물의 시공 구역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방법으로서,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공정;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공정;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공정;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공정;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공정;
상기 시공 구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상기 건재의 시공 개수와,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상기 건재의 회피 개수를,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시공 개수로부터 상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공정; 및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공정
을 포함하는 건재 견적 방법.
As a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to obtain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A base diagram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a memory;
A construction zone setting step of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 avoidance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array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step of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A display control process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developed in the memory,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A counting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y subtracting the avoided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And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method including.
건물의 시공 구역에 배열되는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의 관리 서버로서,
상기 건재의 개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콘트롤러를 가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베이스도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베이스도 취득 처리;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베이스도에, 건재가 배열되는 시공 구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하는 시공 구역 설정 처리;
상기 시공 구역 내에, 상기 건재가 배열되지 않는 배열 회피 영역을 외부 장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는 회피 지정 처리;
상기 건재를 배열한 건재군을 상기 메모리에 전개하고, 상기 건재군이 상기 시공 구역을 덮도록 형성된 건재 배열도를 작성하는 배열도 작성 처리;
상기 건재 배열도와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을 중복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
상기 시공 구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상기 건재의 시공 개수와,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상기 건재의 회피 개수를, 상기 메모리에 전개된 상기 건재군과 상기 시공 구역과 상기 배열 회피 영역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시공 개수로부터 상기 회피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건재 배열도에서의 상기 건재군을 구성하는 상기 건재의 개수를 구하는 계수 처리; 및
상기 건재의 개수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
를 실행하는, 건재 견적 시스템의 관리 서버.
As a management server of a building material estimate system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of a building,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data related to the number of building materials,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A base diagram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base diagram and storing it in a memory;
A construction zone setting process of setting a construction zone in which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base diagram stored in the memory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 avoidance designation process for designating an array avoidance area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not arranged in the construction area by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 arrangement diagram creation process of developing a building material group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s are arranged in the memory, and creating a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formed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 group covers the construction area;
Display control processing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overlap and display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and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of the building materials overlapping at least in part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number of avoidances of the building materials completely included in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based on the building materials group developed in the memory,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arrangement avoidance area. A counting process for obtaining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building material group in the building material arrangement diagram by subtracting the avoidance number from the construction number; And
Output processing to output the number of the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side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building materials estimate system to run.
KR1020190173006A 2019-04-10 2019-12-23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KR2020011970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4677 2019-04-10
JPJP-P-2019-074677 2019-04-10
JPJP-P-2019-158269 2019-08-30
JP2019158269A JP6694192B1 (en) 2019-04-10 2019-08-30 Building material quotation system, its management server, and building material quotation method
JPJP-P-2019-160283 2019-09-03
JPJP-P-2019-160286 2019-09-03
JP2019160283A JP6678889B1 (en) 2019-04-10 2019-09-03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device
JP2019160286A JP2020173768A (en) 2019-04-10 2019-09-03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702A true KR20200119702A (en) 2020-10-20

Family

ID=7016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006A KR20200119702A (en) 2019-04-10 2019-12-23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6694192B1 (en)
KR (1) KR20200119702A (en)
CN (1) CN11181422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5643B1 (en) 2021-06-30 2022-08-25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386A (en) 2001-05-17 2002-11-29 Sumitomo Forestry Co Ltd Method for calculating the total number of regular- shaped members
JP2004318651A (en) 2003-04-18 2004-11-11 Wood One:Kk Interior material precutting processing method, processor and processing system
JP2005242923A (en) 2004-02-27 2005-09-08 Nichiha Corp System for estimating use quantity and price of building materials in house building
JP3965165B2 (en) 2004-03-31 2007-08-29 ニチハ株式会社 System for assigning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er wall of a house
JP2014152528A (en) 2013-02-08 2014-08-25 Yoshimasa Sato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material
JP2018178489A (en) 2017-04-11 2018-11-15 株式会社三光ホーム Reform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9386A (en) * 1998-02-04 1999-08-10 Kozo Keikaku Engineering Inc Draft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03227223A (en) * 2002-01-31 2003-08-1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Unit arranging method and unit arranging program to arranging place
JP2003242203A (en) * 2002-02-19 2003-08-29 Sekisui House Ltd Support system for building exterior member selection, and construction layout drawing and order preparation
WO2016038896A1 (en) * 2014-09-12 2016-03-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Allocation device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386A (en) 2001-05-17 2002-11-29 Sumitomo Forestry Co Ltd Method for calculating the total number of regular- shaped members
JP2004318651A (en) 2003-04-18 2004-11-11 Wood One:Kk Interior material precutting processing method, processor and processing system
JP2005242923A (en) 2004-02-27 2005-09-08 Nichiha Corp System for estimating use quantity and price of building materials in house building
JP3965165B2 (en) 2004-03-31 2007-08-29 ニチハ株式会社 System for assigning building materials to the outer wall of a house
JP2014152528A (en) 2013-02-08 2014-08-25 Yoshimasa Sato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material
JP2018178489A (en) 2017-04-11 2018-11-15 株式会社三光ホーム Reform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73766A (en) 2020-10-22
JP2020173768A (en) 2020-10-22
CN111814224A (en) 2020-10-23
JP2020173767A (en) 2020-10-22
JP6694192B1 (en) 2020-05-13
JP6678889B1 (en)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56B2 (en) Automated tools for generating mapping information for buildings
US20220164493A1 (en) Automated Tools For Generating Mapping Information For Buildings
US10331807B2 (en) Generating a rules database for multi condition takeoff in a construction project
KR20180131471A (en) Apparatu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rrors using 3d scanning with bim and method thereof
US20110153279A1 (en) Approach for planning, designing and observing building systems
US11010500B2 (en) Direct room modeling in computer-aided design
US20200327261A1 (en)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US11270366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building product literature
US20240169104A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building design
CN102156769A (en) Multi-dimensional artifact assemblage for infrastructure and other assets with interface node mediators
KR102216029B1 (en)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KR20210083574A (en) A method for providing tag interfaces using a virtual space interior an apparatus using it
KR20200119702A (en)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estimation method
US20220189075A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Of Commercial And Residential Features During In-Person Real Estate Showings/Open Houses and Vacation Rental Stays
JP2017199259A (en) Material recognition device and material recognition method
US11320803B2 (en) Custom assembly of 3D printed building modules
EP23230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graphical models and alphanumeric data
JP2018082756A (en) Laying tile carpet set and its preparation method
WO2021178925A1 (en) Custom assembly of 3d printed building modules
AU2021107245A4 (en) A Room and Area Visualisation System
JP6673761B2 (en) Viewpoint candidate display program and viewpoint candidate display device
CN110780782A (en) Building exhibition method and device, memory and mobile terminal
JP2005215863A (en)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work estimation system
CN115495001B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dvertisement position information display component by selecting position from frame
JP7383193B1 (en) Reform support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