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029B1 -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029B1
KR102216029B1 KR1020190090024A KR20190090024A KR102216029B1 KR 102216029 B1 KR102216029 B1 KR 102216029B1 KR 1020190090024 A KR1020190090024 A KR 1020190090024A KR 20190090024 A KR20190090024 A KR 20190090024A KR 102216029 B1 KR102216029 B1 KR 10221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area
information
display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2380A (en
Inventor
류근
Original Assignee
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근 filed Critical 류근
Priority to KR102019009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029B1/en
Publication of KR2021001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0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4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용앱을 이용하여 현재 건물의 실내 거실, 안방, 화장실 등에 색, 벽지, 바닥재, 타일 변경 등의 인테리어항목을 변경시킨 결과 사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건물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킨 후의 예상되는 심미감과 장식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hecking the change state of the interior using a smartphone, an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wallpaper, etc. in the current building's indoor living room, bedroom, and bathroom using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ntion in which a picture is displayed on a display of a smartphone as a result of changing interior items such as a floor material and a tile change so that a user can check the expected aesthetics and decorativeness after chang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using a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용앱을 이용하여 현재 건물의 실내 거실, 안방, 화장실 등에 색, 벽지, 바닥재, 타일 변경 등의 인테리어항목을 변경시킨 결과 사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건물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킨 후의 예상되는 심미감과 장식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hecking the change state of the interior using a smartphone, an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wallpaper, etc. in the current building's indoor living room, bedroom, and bathroom using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It is an invention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expected aesthetics and decorativeness after chang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y displaying a picture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as a result of changing interior items such as floor materials and tile changes.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인테리어 공사 전에 예상되는 건물실내의 변경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인테리어 공사 후에 발생되는 인테리어 공사 민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o reduce civil complaints for interior construction that occur after interior construction by allowing confirmation of an expected change in a building interior before actual interior construction.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modern society, as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our lives are becoming more convenient and more prosperous, so many life skills focusing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past are being developed and developed.

특히, 건축분야는 단순히 건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술개발에 매진했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 우리나라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단순한 건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생활 편의성, 안락성과 같은 높은 주거성과 함께 디자인적인 심미감도 요구받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unlike in the past, where we simply devoted ourselves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structural technology of buildings, as the living standard of Korea has improved in recent years, not only functions as a simple building, but also a design aesthetic sense along with high residential properties such as convenience and comfort. It is being asked.

따라서 최근에 신축되는 각종 건물의 내외부 인테리어 공사와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는 디자인적인 심미감과 장식성을 보강하는 목적으로 수행되며, 특히, 건물 실내 인테리어 공사의 경우에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체감하는 건물의 생활 편의성과 주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Therefore, the interior and exterior construction of recently built various buildings and remodeling of existing buildings a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design aesthetics and decorativenes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terior construction of buildings, the It focuses on improving living convenience and housing.

이때, 인테리어 공사란 건물의 실내 장식(interior decoration)을 각각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설계하여 공사하는 작업을 가리키며, 최근에 인테리어 공사는 주택, 사무실, 상점, 병원, 호텔, 레스토랑, 카페, 공장, 학교 등과 같은 건물부터 선박, 항공기, 기차와 교통수단까지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At this time, interior construction refers to the work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 interior decoration of a building for each purpose and purpose, and recently, interior construction has been used in houses, offices, stores, hospitals, hotels, restaurants, cafes, factories, The range is expanding from buildings such as schools to ships, aircraft, trains and transportation.

한편,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 인테리어 공사는 벽지, 바닥재, 타일과 같은 인테리어 부재들을 고객이 매장에서 견본이나 안내책자만을 통해 확인하여 선택한 다음 공사를 진행하는 방식인데, 고객이 매장에서 느끼고 선택한 인테리어 부재들의 심미감과 장식성이 막상 인테리어 공사가 완료된 후에 받게 되는 느낌과 다른 경우가 발생해 민원이 제기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interi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is a method in which a customer checks and selects interior members such as wallpaper, flooring, and tiles only through samples or brochures at the store, and then proceeds with the construc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complaints are filed because the feeling and decoration are different from the feeling that you will receive after the interior work is completed.

따라서 이러한 실내 인테리어 공사후의 민원을 줄이기 위해, 인테리어 공사 전에 고객이 원하는 인테리어가 반영된 사진을 고객에게 제공해 예상되는 심미감과 장식성을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civil complaints after interior interior construction, it is time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enables customers to check the expected aesthetics and decoration by providing a photo reflecting the interior desired by the customer before interior construction.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The following are prior art related to this.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6553호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26553 Method of providing interior simulation service using a camera module of a smart device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4843호 인테리어 이미지 상의 태그 라벨링을 통한 견적 이미지 제공 방법2.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9-0014843 How to provide a quote image through tag labeling on the interior image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5933호 공간 인식에 기반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3.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9-0065933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ior platform based on sp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용앱을 이용하여 현재 건물의 실내 거실, 안방, 화장실 등에 색, 벽지, 바닥재, 타일 변경 등의 인테리어항목을 변경시킨 결과 사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건물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킨 후의 예상되는 심미감과 장식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edicated app mounted on a smartphone to change interior items such as color, wallpaper, flooring, and tile changes in the current building's indoor living room, master room, and bathroom, and display a photo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user can The purpose is to confirm the expected aesthetic and decorativeness after chang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인테리어 공사 전에 예상되는 건물실내의 변경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인테리어 공사 후에 발생되는 인테리어 공사 민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civil complaints for interior construction that occur after interior construction by allowing confirmation of the expected state of change in a building interior before actual interior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checking the changed state of the interior using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거실, 안방, 화장실 등)의 전경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사진사진촬영단계(S100);A photographic photographing step (S100) of photographing and storing a foreground of an object (living room, master room, toilet, etc.) to change the interior using a camera installed on the smartphone;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용앱을 실행시키는 앱실행단계(S200);App execution step (S200) of running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촬영 저장된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 사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초기전경 표시단계(S300);An initial foreground display step (S300) of displaying a foreground picture of a target to change the taken and stored interior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진 속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키고,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가 변경된 사진을 디스플레이에 다시 표시하는 예상전경 표시단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of changing the interior of a specific area in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and displaying the changed picture of the interior of the specific area on the display again.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용앱을 이용하여 현재 건물의 실내 거실, 안방, 화장실 등에 색, 벽지, 바닥재, 타일 변경 등의 인테리어항목을 변경시킨 결과 사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건물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킨 후의 예상되는 심미감과 장식성을 인테리어 공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edicated app mounted on a smartphone to change interior items such as color, wallpaper, flooring, and tile changes in the current building's indoor living room, master room, and bathroom, and display a photo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user can It provides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check the expected aesthetics and decoration after chang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efore interior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인테리어 공사 전에 인테리어 공사 결과로 예상되는 실내의 인테리어 변경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인테리어 공사 후에 발생되는 인테리어 공사 민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civil complaints for interior construction occurring after interior construction by allowing the interior change state of the room expected as a result of interior construction to be checked before interior construction.

도 1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진촬영단계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상전경 표시단계의 세부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점선택단계와 영역구분단계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테리어변경단계의 예시도 1
도 7은 본 발명의 인테리어변경단계의 예시도 2
도 8은 본 발명의 예상전경 표시단계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색조화도 표시단계의 예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hecking the changed state of the interior using a smartphone
2 is an overall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photograph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flow chart of 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oint selection step and a region classific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llustration of the interior chang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
7 is an exemplary diagram 2 of the interior chang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lorization diagram displa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1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진촬영단계의 예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hecking the state of change of the interior using a smartphone, FIG. 2 is an overall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hotograph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100)에 탑재된 전용앱을 이용하여 현재 건물의 실내 거실, 안방, 화장실 등에 색, 벽지, 바닥재, 타일 변경 및 가구와 가전 등의 배치와 같은 인테리어항목을 변경시킨 결과 사진을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인테리어를 변경시킨 후의 예상되는 심미감과 장식성, 구도를 사용자가 인테리어 공사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edicated app mounted on a smartphone 100 to change colors, wallpaper, flooring, tiles, and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etc. It is an invention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expected aesthetics, decorativeness, and composition after changing the interior by displaying a photo as a result of changing the item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100 before interior constru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객의 예상과 다른 인테리어의 심미감과 장식성, 구도를 얻게 되면 인테리어 공사 전에 미리 세세하게 인테리어항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고객이 원하는 인테리어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테리어 공사로 인한 민원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civil complaints caused by interior construction by inducing the interior construction items desired by the customer to be carried out by inducing the interior items to be changed in advance before interior construction when the aesthetics, decoration, and composition of the interior are obtained different from the customer's expectations. Can be obtain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사진촬영단계(S100), 앱실행단계(S200), 초기전경 표시단계(S300), 예상전경 표시단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색조화도 표시단계(500)와 조명반영 표시단계(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photo taking step (S100), an app execution step (S200), an initial foreground display step (S300), and a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and additionally displays colorization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tep 500 and an illumination reflection display step 6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Specifically, the method of checking the changed state of the interior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거실, 안방, 화장실 등)의 전경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사진촬영단계(S100);A photo-taking step (S100) of photographing and storing a foreground of an object (living room, master room, toilet, etc.) to change the interior using a camera installed on the smartphone;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용앱을 실행시키는 앱실행단계(S200);App execution step (S200) of running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촬영 저장된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 사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초기전경 표시단계(S300);An initial foreground display step (S300) of displaying a foreground picture of a target to change the taken and stored interior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진 속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키고,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가 변경된 사진을 디스플레이에 다시 표시하는 예상전경 표시단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of changing the interior of a specific area in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and displaying the changed picture of the interior of the specific area on the display agai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진촬영단계(S10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건물실내(200)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예: 거실, 안방, 화장실 등)의 전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 3, in the photographing step (S100), the user uses a camera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0 to change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nterior 200 (eg, a living room, a master room, a toilet, etc.) This is the step of taking a picture and saving the taken picture.

여기서, 상기 사진촬영단계(S100)에서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100)의 성능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의 카메라 성능 중 해상도와 화소가 우수해야 한다.Here, the important thing in the photographing step (S100) is the performance of the smartphone 100, and in more detail, the resolution and pixels of the camera performance of the smartphone 100 should be excellent.

즉, 상기 사진촬영단계(S100)에서 촬영한 사진의 해상도가 너무 낮거나 저화소일 경우에는, 스마트폰(100)에서 실행되는 전용앱이 촬영된 사진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resolution of the photo taken in the photo taking step (S100) is too low or low pixel,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exclusive app running on the smartphone 100 cannot accurately analyze and determine the captured photo. Because.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폰(100)의 카메라 성능은 적어도 해상도가 1280×960dpi 이상, 130만 화소 이상의 제품을 사용해야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고해상도와 고화소의 카메라 성능을 갖춘 최신 스마트폰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amera performance of the smartphone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1280x960dpi or higher, and a product with 1.3 million pixels or higher should be used to check the change of the interior desired by the user. It is desirable to use the latest smartphone products equipped.

상기 앱실행단계(S200)는 사진촬영단계(S100)에서 촬영하여 저장된 사진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사후의 예상되는 전경 사진을 생성하기 위한 전용앱(mobile application program)을 실행시키는 단계이다.The app execution step (S200) is a step of executing a mobile application program for generating an expected foreground photo after interior construction by using the photo taken and stored in the photo taking step (S100).

여기서, 상기 전용앱은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스마트폰용 프로그램으로서, 미리 스마트폰(100)에 설치가 선행되어야 한다.Here, the dedicated app is a program for a smartphone that a user accesses an Internet site using the smartphone 100 and then downloads and installs, and must b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0 in advance.

상기 초기전경 표시단계(S300)는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저장된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 사진을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The initial foreground display step S300 is a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100 a foreground picture of the object to be changed,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도 4는 본 발명의 예상전경 표시단계의 세부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점선택단계와 영역구분단계의 예시도이다.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point selection step and the area classific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사진촬영단계(S100), 앱실행단계(S200), 초기전경 표시단계(S300)는 사용자가 인테리어항목을 변경시킨 결과를 얻기 위한 사전 준비단계에 해당된다.The photo taking step (S100), the app execution step (S200), and the initial foreground display step (S300) correspond to a preliminary preparation step for obtaining a result of the user changing the interior item.

상기 예상전경 표시단계(400)는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진 속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키고,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가 변경된 사진을 디스플레이에 다시 표시하는 단계이다.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is a step of changing the interior of a specific area in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100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and displaying the picture of the changed interior of the specific area on the display again.

즉, 상기 예상전경 표시단계(400)는 촬영된 사진(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인 예를 들어 거실, 안방, 화장실 등의 전경 사진)에 색, 벽지, 바닥재, 타일 변경 및 가구와 가전 등의 배치와 같은 인테리어항목을 적용하여 영상처리란 결과 사진을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변경시킨 후의 예상되는 심미감과 장식성, 구도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이다.That is, 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includes changes in color, wallpaper, flooring, tiles, and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etc. in the photographed picture (for example, a foreground picture of a living room, a bedroom, a bathroom, etc.) The image processing by applying the same interior item is a step in which the resulting photo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10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expected aesthetics, decoration, and composition after changing the interior.

상기 예상전경 표시단계(400)는, 도 4와 같이, 지점선택단계(S410), 영역구분단계(S420), 인테리어변경단계(S430), 인테리어결과표시단계(S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as shown in FIG. 4, includes a point selection step (S410), an area classification step (S420), an interior change step (S430), and an interior result display step (S440).

상기 지점선택단계(S410)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된 사진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도 5의 상단 그림과 같이, 인테리어를 변경시키고 싶은 특정 지점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것에 의해 선택하는 단계이며, 도 5에서는 벽면을 터치하는 것을 예시하였다.The point selection step (S410) is a step of selecting a specific point of the photo displayed on the display 100 of the smartphone, and as shown in the upper figure of FIG. 5,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oint to which the interior is to be changed by touching This is a step, and in FIG. 5, touching the wall surface is illustrated.

상기 영역구분단계(S420)는 선택된 특정 지점과 동질성을 갖는 사진 속 영역을 제1영역으로, 동질성을 갖지 않는 영역을 제2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진상에 표시하는 단계로서, 영역판단단계(S421)와 영역표시단계(S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rea classification step (S420) is a step of dividing an area in the photo that has homogeneity with a selected specific point as a first area and an area that does not have homogeneity as a second area, and displaying it on the photo, and the area determination step (S421) and It is configured including an area display step (S422).

이때, 상기 영역판단단계(S421)는 지점선택단계(S410)에서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 지점과 동일한 색, 무늬, 질감을 갖는 사진 속 영역이 어디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판단은 종래 기술인 영상인식 기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in the area determination step S421, when a specific point is selected in the point selection step S410, it is a step of determining which area in the photo has the same color, pattern, and texture as the selected specific point. Since the judgment is made using a conventional image recognitio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에, 상기 영역표시단계(S422)는 선택된 특정 지점과 동일한 색, 무늬, 질감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사진 속의 나머지 영역을 제2영역으로 확정 한 다음, 도 5의 하단 그림과 같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1영역(①)과 제2영역(②)을 구분하여 사진 상에 표시하는 단계이다.Next, in the area display step (S422), the area determined to have the same color, pattern, and texture as the selected specific point is determined as the first area, and the remaining areas in the photo excluding the first area are selected as the second area. After confirming,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of FIG. 5, this is a step of dividing the first area (①) and the second area (②)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it and displaying them on the photo.

특히, 상기 영역표시단계(S422)에서 제1영역(①)과 제2영역(②)의 구분은, 예를 들어 도 5의 하단 그림과 같이, 지점선택단계(S410)에서 선택한 특정 지점과 동질성을 갖는 벽면 전체(210)를 제1영역(①)으로 확정한 다음 상기 제1영역에 특정 색의 외곽선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division of the first area (①) and the second area (②) in the area display step (S422) is identical to the specific point selected in the point selection step (S410), for example,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of FIG. After determining the entire wall surface 210 having the first area (①), the outline of a specific color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distinguis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clearly. .

도 6은 본 발명의 인테리어변경단계의 예시도 1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인테리어변경단계의 예시도 2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1 of an interior chang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2 of an interior chang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테리어변경단계(S4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정보가 제1영역에 반영되도록 제1영역의 인테리어 내용을 변경시키는 단계로서, 인테리어항목 표시단계(S431), 인테리어항목 선택단계(S432), 인테리어정보 표시단계(S433), 인테리어정보 선택단계(S434), 인테리어정보 반영단계(S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interior change step (S430) is a step of changing the interior contents of the first area so that the interior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s reflected in the first area, interior item display step (S431), interior item selection step (S432), interior information display step (S433), interior information selection step (S434), and interior information reflecting step (S435).

상기 인테리어항목 표시단계(S431)는 제1영역의 인테리어 내용을 변경 시킬 인테리어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색, 벽지, 바닥재, 타일, 등과 같은 인테리어항목에 관련된 복수의 아이콘(110)이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이다.The interior item display step (S431) is a step of displaying interior items to change the interior content of the first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related to interior items such as color, wallpaper, flooring, tiles, etc. This is a step in which the icon 1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100.

본 발명에서 상기 인테리어항목은 색, 벽지, 바닥재, 타일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인테리어항목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items are not limited to colors, wallpaper, flooring, and tiles, and a user can add or change necessary interior items.

상기 인테리어항목 선택단계(S432)는, 도 6의 하단 그림과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110) 중에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인테리어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도 6에서는 제1영역으로 확정된 벽면에 대한 인테리어항목을 변경하기 위해 벽지 아이콘(110)을 선택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In the interior item selection step (S432),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of FIG. 6, the user touch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11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100, thereby As a step of selecting, FIG. 6 illustrates that the wallpaper icon 110 is selected in order to change the interior item for the wall surface determined as the first area.

상기 인테리어정보 표시단계(S433)는 인테리어항목 선택단계(S432)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한 인테리어항목에 관련된 후보 인테리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인테리어항목 선택단계(S432)를 통해 벽지란 인테리어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도 7의 상단 그림과 같이, 다양한 색과 디자인을 갖는 복수의 벽지 아이콘이 후보 인테리어 정보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The interior information display step (S433) is a step of displaying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related to any one interior item selected through the interior item selection step (S432), for example, the wallpaper column interior item through the interior item selection step (S432). If is selected, as shown in the upper figure of FIG. 7, a plurality of wallpaper icons having various colors and design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s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물론, 인테리어항목 선택단계(S432)를 통해 타일이나 바닥재란 인테리어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다양한 색과 디자인을 갖는 복수의 타일이나 바닥재 아이콘이 후보 인테리어 정보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Of course, if an interior item such as a tile or a flooring material is selected through the interior item selection step (S432), a plurality of tiles or flooring icons having various colors and design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s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즉, 상기 인테리어정보 표시단계(S433)에서의 후보 인테리어 정보는,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색인 경우 다양한 복수의 색에 대한 정보이고,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벽지인 경우 다양한 스타일의 복수의 벽지에 대한 정보이고,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바닥재인 경우 다양한 스타일의 복수의 바닥재에 대한 정보이고,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타일인 경우 다양한 스타일의 복수의 타일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in the interior information display step (S433) i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s when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indexed, and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wallpaper in various styles when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wallpaper, When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a flooring material, it i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looring materials of various styles, and when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a tile, it i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iles of various styles.

이때, 상기 후보 인테리어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폰(100)에 저장되는 정보이며, 상기 스마트폰(100)에 탑재된 전용앱을 통해 수시로 후보 인테리어 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100 by the user in advance, and the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can be updated from time to time through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100.

상기 인테리어정보 선택단계(S434)는 표시된 후보 인테리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도 7의 상단 그림에서는 패턴 무늬의 벽지가 선택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The interior information selection step (S434) is a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In the upper figure of FIG. 7, it is illustrated that the wallpaper of the pattern pattern is selected.

상기 인테리어정보 반영단계(S435)는 선택된 후보 인테리어 정보가 제1영역에 반영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도 7의 상단 그림과 같이 인테리어정보 선택단계(S434)를 통해 패턴 무늬의 벽지가 선택되었다면 도 7의 하단 그림과 같이 제1영역인 벽면 전체가 패턴 무늬의 벽지로 변경되도록 반영 처리하는 단계이다.The interior information reflecting step (S435) is a step of reflecting the selected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For example, if the wallpaper of the pattern pattern is selected through the interior information selection step (S434) as shown in the upper figure of FIG. This is a step of reflecting so that the entire wall surface, which is the first area, is changed into a patterned wallpaper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of FIG. 7.

상기 인테리어결과표시단계(S440)는 인테리어변경단계(S43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정보가 모두 반영된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 사진을 재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로서,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정보가 모두 반영된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 사진을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The interior result display step (S440) is a step of regenerating a foreground picture of the object to be changed, in which all interior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s reflected through the interior change step (S430),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This is a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100 a foreground picture of the object to be changed, in which all the desired interior information is reflected.

도 8에는 전장, 바닥, 기둥, 침대 등의 인테리어가 변경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field, the floor, the pillar, and the bed is changed.

특히, 사용자는 상기 인테리어결과표시단계(S440)을 통해 인테리어 공사후의 예상 상태를 시각적으로 미리 확인한 다음, 사용자의 예상과 다른 인테리어의 심미감, 장식성, 구도를 얻게 되면 다시 상술한 과정을 거쳐 인테리어항목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user visually checks the expected state after interior construction through the interior result display step (S440), and then, when the user obtains the aesthetic, decorativeness, and composition of the interior different from the user's expectations, the interior item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gain. Can be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예상전경 표시단계(400) 이후에 색조화도 표시단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색조화도 표시단계(500) 역시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lorization level display step 500 after 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and the colorization level display step 500 is also performed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상기 색조화도 표시단계(500)는 인테리어가 변경 된 특정 영역의 색 정보와 특정 영역 이외의 색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도 9와 같이, 인테리어가 변경된 특정 영역과 특정 영역 이외의 영역과의 색 조화도를 수치(예: 93, 95, 96, 97%)로 계산하여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The colorization degree display step 500 compares color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interior has been changed with color information other than the specific area, and as shown in FIG. 9, color harmony between the specific area where the interior has been changed and the area other than the specific area The degree is calculated as a numerical value (eg, 93, 95, 96, 97%)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100.

이때, 상기 색 조화도의 수치가 100%에 가까울수록 각 영역간 색 조화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색 조화도는 인테리어를 위해 실내에 사용된 색상들의 색 바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색 조화도가 우수할수록 거주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closer the value of the color harmony is to 100%, the better the color harmony between each area, and the color harmony means the color balance of colors used indoors for interior purposes. The better, the more comfortable the occupants will fee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예상전경 표시단계(400) 이후에 조명반영 표시단계(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조명반영 표시단계(600) 역시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ighting reflection display step 600 after 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the lighting reflection display step 600 is also performed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상기 조명반영 표시단계(600)는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인테리어가 변경된 전경 사진에 조명이 반영되었을 때의 느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명 효과가 적용된 전경 사진을 새롭게 생성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In the lighting reflection display step 600, a foreground photo to which the lighting effect is applied is newly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in order to check the feeling of when the lighting is reflected in the foreground photo of which the interior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executed exclusive app. This is the stage to mark.

즉, 상기 조명반영 표시단계(600)는 야간에 실내 조명이 비추어졌을 때 어떠한 느낌을 제공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That is, the lighting reflection display step 600 is a step for confirming what kind of feeling is provided when the indoor lighting is illuminated at nigh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 clear fact tha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폰
200 : 건물실내
S100 : 사진촬영단계
S200 : 앱실행단계
S300 : 초기전경 표시단계
S400 : 예상전경 표시단계
S500 : 색조화도 표시단계
S600 : 조명반영 표시단계
100: smartphone
200: inside the building
S100: Photo-taking stage
S200: App execution step
S300: Initial foreground display stage
S400: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age
S500: Tonality display step
S600: Lighting reflection display stage

Claims (9)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 인테리어항목을 변경하여 예상되는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사진촬영단계(S100);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용앱을 실행시키는 앱실행단계(S200);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촬영 저장된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 사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초기전경 표시단계(S300);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진 속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를 변경시키고, 특정 영역의 인테리어가 변경된 사진을 디스플레이에 다시 표시하는 예상전경 표시단계(400)와;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인테리어가 변경 된 특정 영역의 색 정보와 특정 영역 이외의 색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인테리어가 변경된 특정 영역과 특정 영역 이외의 영역과의 색 조화도를 수치로 계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색조화도 표시단계(500)와;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인테리어가 변경된 전경 사진에 조명이 반영되었을 때의 느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명 효과가 적용된 전경 사진을 새롭게 생성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조명반영 표시단계(600)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전경 표시단계(400)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진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지점선택단계(S410);
선택된 특정 지점과 동질성을 갖는 사진 속 영역을 제1영역으로, 동질성을 갖지 않는 영역을 제2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진상에 표시하는 영역구분단계(S420);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정보가 제1영역에 반영되도록 제1영역의 인테리어 내용을 변경시키는 인테리어변경단계(S430);
인테리어변경단계(S43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정보가 모두 반영된 인테리어를 변경시킬 대상의 전경 사진을 재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인테리어결과표시단계(S440)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구분단계(S420)는,
선택된 특정 지점과 동일한 색, 무늬, 질감을 갖는 사진 속 영역을 판단하는 영역판단단계(S421);
선택된 특정 지점과 동일한 색, 무늬, 질감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하고 나머지 영역을 제2영역으로 하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분하여 사진상에 표시하는 영역표시단계(S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checking the expected state of change by changing the indoor interior items of the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 photographing step (S100) of photographing and storing a foreground of an object whose interior is to be changed using a camera installed on a smartphone;
App execution step (S200) of executing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An initial foreground display step (S300) of displaying a foreground picture of a target to change the taken and stored interior through the executed dedicated app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A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of changing the interior of a specific area in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executed exclusive app and re-displaying the changed picture of the interior of the specific area on the display;
Through the executed exclusive app, the color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where the interior has been changed and color information other than the specific area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color harmony between the specific area where the interior has changed and the area other than the specific area is calculated and displayed numerically. A colorization degree display step 50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order to be able to check the feeling when the lighting is reflected in the foreground photo with the interior changed through the executed exclusive app, the lighting reflection display step 600 in which a foreground photo to which the lighting effect is applied is newly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 and

The predicted foreground display step 400,
A point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specific point of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display (S410);
An area classification step (S420) of dividing an area in the photo having homogeneity with the selected specific point as a first area and an area not having homogeneity as a second area and displaying the area on the photo (S420);
Interior change step (S430) of changing the interior contents of the first area so that the interior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s reflected in the first area;
Including an interior result display step (S440) of regenerating a foreground picture of the target to be changed, in which all interior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s reflected through the interior change step (S430),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The area classification step (S420),
An area determination step (S421) of determining an area in the photo having the same color, pattern, and texture as the selected specific point;
The area judged to have the same color, pattern, and texture as the selected specific point is set as the first area, and the remaining area is set as the second area, bu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separated and displayed on the photo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 method of checking the changed state of the interior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ea display step (S4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변경단계(S430)는,
제1영역의 인테리어 내용을 변경 시킬 인테리어항목을 표시하는 인테리어항목 표시단계(S431);
표시된 인테리어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인테리어항목 선택단계(S432);
선택된 어느 한 인테리어항목에 관련된 후보 인테리어 정보를 표시하는 인테리어정보 표시단계(S433);
표시된 후보 인테리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인테리어정보 선택단계(S434);
선택된 후보 인테리어 정보가 제1영역에 반영되도록 하는 인테리어정보 반영단계(S4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ior change step (S430),
An interior item display step (S431) of displaying an interior item for changing the interior content of the first area;
Interior item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interior items (S432);
Interior information display step (S433) of displaying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related to one selected interior item;
Interior informa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S434);
Interior information reflecting step (S435) of allowing the selected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to be reflected in the first area, wherein the method of checking the interior change state using a smartph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역표시단계(S422)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구분은,
제1영역에 특정 색의 외곽선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vis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n the area display step (S422),
A method of checking an interior change state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an outline of a specific color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항목 표시단계(S431)에서 인테리어항목은,
색, 벽지, 바닥재, 타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interior item display step (S431), the interior item,
A method of checking the changed state of the interior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olor, wallpaper, flooring, and til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정보 표시단계(S433)에서 후보 인테리어 정보는,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색인 경우 다양한 복수의 색에 대한 정보이고,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벽지인 경우 다양한 스타일의 복수의 벽지에 대한 정보이고,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바닥재인 경우 다양한 스타일의 복수의 바닥재에 대한 정보이고,
선택된 인테리어항목이 타일인 경우 다양한 스타일의 복수의 타일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후보 인테리어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interior information display step (S433),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If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indexed, it i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lors,
If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wallpaper, it i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wallpaper of various styles,
If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a flooring material, it i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looring materials of various styles,
If the selected interior item is a tile, it i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iles of various styles,
The candidate interi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by a user in advance. A method of confirming an interior change state using a smart 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90024A 2019-07-25 2019-07-25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KR102216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24A KR102216029B1 (en) 2019-07-25 2019-07-25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24A KR102216029B1 (en) 2019-07-25 2019-07-25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380A KR20210012380A (en) 2021-02-03
KR102216029B1 true KR102216029B1 (en) 2021-02-16

Family

ID=7457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024A KR102216029B1 (en) 2019-07-25 2019-07-25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0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05A1 (en) * 2022-08-10 2024-02-15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Image block-based block connection pattern generating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WO2024034718A1 (en) * 2022-08-12 2024-02-15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Image block-based rotation connection pattern generating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WO2024034717A1 (en) * 2022-08-12 2024-02-15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Image block-based square pattern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WO2024038920A1 (en)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Image block-based figure pattern generating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553A (en) 2011-07-26 2013-03-14 최원국 Interior design simul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camera module of smart device
KR20160033495A (en) * 2014-09-18 2016-03-2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furniture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067576B1 (en) 2017-08-04 2020-01-17 주식회사 스타키움 Method for providing cost image through labelling tag information on interior image
KR102186899B1 (en) 2017-12-04 2020-12-04 주식회사 양파 Method for interior platform based on spatial awareness
KR20190067586A (en) * 2017-12-07 2019-06-17 송정우 Cloud Platform Based Home Design Service Deliver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380A (en)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029B1 (en) Method of checking preview to change interior designs of housing by a mobile application
US8751950B2 (en) Capturing a user's intent in design software
CN112055856B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building design
KR20190067586A (en) Cloud Platform Based Home Design Service Delivery Method
US10331807B2 (en) Generating a rules database for multi condition takeoff in a construction project
US11270366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building product literature
US20210117582A1 (en) Visualizing Building Interior Information In A User-Customized Manner
CN107807980A (en) Report automatic generatioin system and its generation method
CN111226218B (en) Russian square house design system
JP6395092B2 (en) Light environment design support device, light environment design support system, program
CN114718307B (en) Metho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for constructing fabricated building
CN106663295B (en) Virtual space division method using partition wall
JP6694192B1 (en) Building material quotation system, its management server, and building material quotation method
CN107818213B (en) Strong electric panel design system, desig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4300053B2 (en) Building inspection support device
JP7383193B1 (en) Reform support equipment
US20140225510A1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JP2023092194A (en) Material counting system
WO2023023778A1 (en) A room or area visualisation system
JP3974885B2 (en) Interior proposal system in architecture
JP2006107183A (en) System for estimation of house exterior finish work
KR20240005378A (en) Application providing interior design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JPH07114574A (en) Code input device
KR20060021651A (en) Gui display method using plane figure of home network
JP2000170397A (en) Presen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