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675A -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675A
KR20200119675A KR1020190042192A KR20190042192A KR20200119675A KR 20200119675 A KR20200119675 A KR 20200119675A KR 1020190042192 A KR1020190042192 A KR 1020190042192A KR 20190042192 A KR20190042192 A KR 20190042192A KR 20200119675 A KR20200119675 A KR 20200119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module
module
light
imag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134B1 (ko
Inventor
국경민
Original Assignee
(주)루티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티헬스 filed Critical (주)루티헬스
Priority to KR102019004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134B1/ko
Priority to US17/594,281 priority patent/US20220160230A1/en
Priority to PCT/KR2019/004348 priority patent/WO2020209418A1/ko
Publication of KR2020011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alig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저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촬상하는 제1 촬상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광이 조사된 상기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하는 제2 촬상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FUNDUS IMAGING DEVICE AND FUNDUS IMA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저는 안구 속 망막의 후반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안저 검사를 통해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부, 시신경유두 그리고 망막혈관 등을 관찰할 수 있으며, 안저 검사를 통해 고혈압 환자의 병의 경중을 판단할 수 있고, 당뇨의 눈 합병증 검사를 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의 모양으로부터 녹내장, 뇌압상승, 시신경염, 허혈성 신경병증 등 다양한 시신경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며 황반변성, 미숙아망막증 등의 망막질환에도 필수적이다. 특히 안저검사를 통해 3대 실명원인 중의 2가지인 녹내장과 황반변성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종래의 안저 카메라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검안자의 안저를 검사하기 때문에, 피검안자는 안저 검사를 받기 위해서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 방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의료기관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안저 검사를 받는 것조차 어려웠다.
한편, 종래의 안저 카메라는 광학적인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조명을 안구에 조사한다. 선명한 망막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광원이 망막으로 균일하게 들어가고, 광원이 각막, 수정체, 유리체 등에서 발생하는 반사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해야 한다.
본 발명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촬상 모듈의 위치를 정렬하고, 선명하고 정확한 망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촬상하는 제1 촬상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광이 조사된 상기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하는 제2 촬상 모듈을 포함하는, 안저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 및 조사된 상기 광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상 모듈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구동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상기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으로부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망막에서 반사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영상의 좌표를 변환하여, 상기 제1 촬상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연결되고, 일면에 제2 촬상 모듈이 설치되는 셔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이격되며 상기 셔터 유닛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촬상 모듈은 상기 동공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셔터 유닛의 표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중심축에 대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광원보다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중심축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촬상하는 제1 촬상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폐쇄하는 셔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 유닛은 상기 피검안자를 향하여 상기 제1 촬상 모듈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연결되는 셔터 홀더, 및 상기 셔터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촬상 모듈이 상기 피검안자의 양안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차폐 슬라이드를 구비하는 안저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셔터 홀더와 상기 차폐 슬라이드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피검안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폐쇄하는 플렉서블한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피검안자의 코가 삽입되는 함몰부에 배치되며, 상기 함몰부의 형상 변화를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광 조사 모듈에서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피검안자의 망막이 보이는 영역으로 제1 촬상 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2 촬상 모듈로 상기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저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공의 중심과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정렬하고,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한 쌍의 광이 상기 동공의 중심에서 대칭되게 정렬하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망막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한 영상의 좌표가 상기 제1 촬상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촬상 모듈의 촬상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선명하고 정확한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망막 촬영 전에 제1 촬상 모듈이 정확하게 위치가 정렬되므로, 광 조사 모듈의 광이 정확하게 동공의 외곽라인에 조사되어서, 선명하고 밝은 망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각막 영상을 기초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안저 촬영 장치를 정렬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에서 획득한 각막 영상을 이용하여 동공에 관한 정보와 조사된 광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정이 필요한 거리를 산출하므로 제1 촬상 모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복수회로 안저 촬영 장치를 정렬하므로, 정렬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검안 중에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위치를 다시 보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촬상 모듈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정렬은 각각 망막 영상 및 각막 영상을 이용하여 정렬하므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1 촬상 모듈의 z축 방향으로의 정렬은 망막 영상이 형성되는 범위로 z축 방향으로 우선 정렬되고, 각각 각막 영상 및 망막 영상을 이용하여 z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제1 촬상 모듈이 3축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므로, 정확하게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안저 촬영 장치는 셔터 유닛에 의해서 제1 촬상 모듈이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에서 신호를 구동 모듈이 전달 받으면 정확하게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민감하게 안저 촬영 장치를 정렬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은 정렬에 이용되는 제2 광원이 더 민감하게 망막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므로, 망막 영상을 획득시에 사용되는 제1 광원의 정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의 광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3의 광 조사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의 일부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의 일부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의 정면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촬상 모듈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촬상 모듈의 다른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정보 추출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2 정보 추출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정보 추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2 정보 추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제1 촬상 모듈의 위치 조정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10), 서버(20), 네트워크(30) 및 안저 촬영 장치(10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후술하는 안저 촬영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후술하는 안저 촬영 장치(100)에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3자가 조작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3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 2 내지 4(12, 13, 14) 및/또는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3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과 네트워크(3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2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 1(11)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1(11)은 서버(2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1(11)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20)에 접속하여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100)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100)의 광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100)는 피검안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안저 즉, 망막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안저 촬영 장치(100)는 하우징(110), 제1 촬상 모듈(120), 광 조사 모듈(130), 제2 촬상 모듈(140), 조명 유닛(145), 구동 모듈(150), 셔터 유닛(160), 컨트롤러(170) 및 쉴드 부재(1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이미지 축(A)은 제1 촬상 모듈(120)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축으로 정의하고, 제2 이미지 축(B)은 제2 촬상 모듈(140)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축으로 정의한다.
하우징(110)은 안저 촬영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안저 촬영 장치(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전단에는 피검안자의 얼굴이 삽입되도록 중앙부분이 움푹 패어지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도 7을 보면, 하우징(110)은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케이스(110a)와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케이스(110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전단에는 만곡된 전면 커버(111)가 배치되며, 전면 커버(111)에는 쉴드 부재(18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은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은 피검안자의 좌안, 우안 또는 양안의 망막에서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망막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촬상 모듈(120)은 광학계(121), 이미지 센서(122), 디스플레이 유닛(123), 광 경로 변경 수단(124) 및 경통(12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촬상 모듈(120)은 각막 반사(cornea reflection) 및 백 스캐터링(back-scatter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 경로상에 편광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보면, 광학계(121)는 망막에서 반사되는 광(A)의 경로 상에 배치되고, 포커싱을 위해서 이동할 수 있다. 광학계(121)는 각각의 렌즈가 자동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Auto focusing actu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A)을 검출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특정 대역 파장의 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122)는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원 및/또는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예 따른 안저 촬영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패턴을 피검안자의 좌안 또는 우안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영상은 망막을 촬영하는 동안 피검안자의 눈을 고정하기 위한 시선 고정점(fixation point)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패턴 영상은 피검안자의 색맹/색약 검사와 같은 시력 검사에 사용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 경로 변경 수단(124)은 디스플레이 유닛(123)으로부터 제공되는 패턴 영상을 피검안자의 망막으로 더 안내할 수 있다. 광 경로 변경 수단(124)은 디스플레이 유닛(123)으로부터 제공되는 패턴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여 망막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통과시켜 이미지 센서(122)로 안내할 수 있다.
경통(125)은 내부에 제1 촬상 모듈(120)과 광 조사 모듈(130)이 배치되고, 구동 모듈(150)과 연결되어 3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경통(125)이 정렬을 위해서 3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촬상 모듈(120)과 광 조사 모듈(130)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안저 촬영 장치(100)는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경통(125)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112)에 지지된다. 컨트롤러(170)가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키면, 경통(125)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공간상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레임(GF1)은 경통(125)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경통(125)이 제1 가이드 프레임(GF1)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좌안이나 우안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GF2)은 경통(125)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경통(125)이 제2 가이드 프레임(GF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의 높이를 정렬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프레임(GF3)은 경통(125)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경통(125)이 제3 가이드 프레임(GF3)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이 피검안자를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촬상 모듈(120)에 망막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경통(125)의 후단에는 포커싱을 위한 초점 조절단(F)이 배치될 수 있다. 초점 조절단(F)을 회전하여 광학계(121)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경통(125)의 내부에는 대물 렌즈(115)가 배치될 수 있다. 대물 렌즈(115)는 광 조사 모듈(130)의 앞에 배치되어, 제1 광원(L1) 또는 제2 광원(L2)을 안구(E)로 안내할 수 있다.
도 5은 도 3의 광 조사 모듈(1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 조사 모듈(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제1 촬상 모듈(120)과 함께 이동하며,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130)은 경통(125)의 내부에 장착되어, 경통(125)의 위치가 조정되어 공간상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130)은 베이스(131), 광원부(132) 및 편광판(133)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31)는 중앙에 개구(131a)가 형성되어, 제1 촬상 모듈(120)이 제1 이미지 축(A)이 C지점을 통과할 수 있다.
광원부(132)는 복수개의 광원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광원부(132)는 제1 광원(L1)과 제2 광원(L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L1)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1 촬상 모듈(120)의 중심축에 대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된다. 제1 광원(L1)은 개구(131a)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광원(L1)은 망막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 안구(E)에 조사된다. 제1 광원(L1)은 가시광선의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광원(L1)은 백색광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광원(L1)은 450nm 내지 650nm 파장 대역의 백색광일 수 있다.
제2 광원(L2)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1 광원(L1)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제2 광원(L2)은 제1 광원(L1)에서 소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광원(L2)은 적외선의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제2 광원(L2)은 망막 이미지를 정렬하기 위해서 안구(E)에 조사된다. 즉, 제2 광원(L2)은 제1 광원(L1)이 조사되기 전에 제1 촬상 모듈(120)을 정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컨대, 제2 광원(L2)은 750nm 내지 950nm 파장 대역의 적외선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광원(L1)이나 제2 광원(L2)은 복수의 파장대역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파장대역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당 수치(glucose level)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1 광원(L1) 및/또는 제2 광원(L2)은 650 내지 670nm 파장대역 및 800 내지 1300nm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자가형광 촬영을 위해서, 제1 광원(L1) 및/또는 제2 광원(L2)은 470 내지 490 nm 파장대역, 790 내지 810 nm 파장대역 및 450nm의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470 내지 490 nm 파장대역, 790 내지 810 nm 파장대역 및 450nm의 파장의 광은 각각 리포푸신(Lipofuscin), 멜라닌(melanin) 및 황색 단백질(Flavoprotein)의 자가형광 촬영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최종당산화물(AGEs)의 측정을 위해서, 제1 광원(L1) 및/또는 제2 광원(L2)은 370 내지 400 nm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산소포화도(Hemoglobin, Deoxyhemoglobin) 측정을 위해서, 제1 광원(L1) 및/또는 제2 광원(L2)은 570 내지 580nm의 파장대역의 광, 750nm 파장의 광 및 800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L1) 및/또는 제2 광원(L2)은 파장대역이 다른 광을 한번에 조사할 수 도 있고, 순차적으로 피검안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조사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광원(L1)과 제2 광원(L2)의 배치에 따라, 안저 촬영 장치(100)는 정밀하게 제1 촬상 모듈(120)을 정렬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촬영되는 망막 영상의 크기는 도 5 에서 I1으로 볼 수 있다. 제2 광원(L2)을 이용하여 먼저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정렬한 이후에 제1 광원(L1)을 이용하여 망막 영상을 확보한다. 망막 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제2 광원(L2)을 조사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정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광원(L1)은 개구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1 광원(L1)은 망막 영상(I1)의 가장자리에 대응된다. 반면에 제2 광원(L2)은 제1 광원(L1)에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어 배치되므로, 제2 광원(L2)은 망막 영상(I1)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즉, 제1 촬상 모듈(120)의 정렬에 사용되는 제2 광원(L2)이 망막 영상(I1)의 넓은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망막 영상 확보에 사용되는 제1 광원(L1)은 상대적으로 망막 영상(I1)의 좁은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컨트롤러(170)는 망막 영상(I1)을 통해서 망막에서 광원이 반사되는지를 확인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정렬한다. 제2 광원(L2)이 넓은 영역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2 광원(L2)은 제1 광원(L1)보다 민감하게 망막에서 반사된 광원이 망막 영상(I1)에 표시된다. 결국, 민감한 제2 광원(L2)의 반사 여부를 이용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조절하면, 제1 광원(L1)은 반사되지 않아 망막 영상(I1) 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망막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광원(L1)은 D1의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제2 광원(L2)은 D2의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2 광원(L2)은 한 쌍의 제1 광원(L1) 보다 제1 촬상 모듈(120)의 제1 이미지 축(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제2 광원(L2)은 제1 광원(L1)보다 C지점에서 더 멀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광원(L2)의 거리(D2)는 짧으므로 망막 영상(I1)의 넓은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제1 광원(L1)의 거리(D1)는 제2 광원의 거리(D2) 보다 기므로 망막 영상(I1)의 좁은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민감한 제2 광원(L2)의 반사 여부를 이용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조절하면, 제1 광원(L1)은 C 지점에서 이격되므로 망막 영상(I1) 에 반사된 광이 표시되지 않으며, 정확한 망막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100)는 광 조사 모듈(130)의 제1 광원(L1)과 제2 광원(L2)의 배치에 의해서, 민감하고 정확하게 제1 촬상 모듈(120)을 정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선명하고 정확한 망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14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광 조사 모듈(130)에서 광이 조사된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140)은 안구(E)의 외부를 촬상하여,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광이 동공(P)의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 모듈(150)은 제1 촬상 모듈(120)을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모듈(150)은 경통(125)을 이동시키므로, 내부에 배치된 대물 렌즈(115), 제1 촬상 모듈(120) 및 광 조사 모듈(13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모듈(150)은 적어도 3개의 축으로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 모듈(150)은 컨트롤러(170)로부터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경통(125)의 위치를 이동하는 신호를 받고, 엑츄에이터(미도시)가 구동된다. 후술하는 컨트롤러(170)에 의해서 경통(125)의 이동해야 할 거리가 산출되면, 구동 모듈(150)은 경통(125)의 치를 정렬한다.
도 6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100)의 일부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셔터 유닛(160)은 하우징(110)의 일단을 폐쇄한다. 셔터 유닛(160)은 피검안자의 양안이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외부의 빛이 안저 촬영 장치(10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 유닛(160)은 셔터 홀더에 의해서 제1 촬상 모듈(120)과 연결된다. 상기 셔터 홀더는 정렬을 위해서 제1 촬상 모듈(120)이 피검안자를 향한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셔터 홀더는 제1 촬상 모듈(120)과 차폐 슬라이더(164)를 연결한다. 셔터 홀더의 외측에는 제2 촬상 모듈(140)과 조명 유닛(145)이 장착될 수 있다. 셔터 홀더는 제1 셔터 홀더(161), 제2 셔터 홀더(162) 및 제3 셔터 홀더(163)를 가질 수 있다.
제1 셔터 홀더(161)는 차폐 슬라이더(164)의 외측에 배치되며, 외측면에 제2 촬상 모듈(140)과 조명 유닛(145)이 장착된다. 제1 셔터 홀더(161)의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제2 촬상 모듈(140)과 조명 유닛(145)이 장착 될 수 있다.
제2 셔터 홀더(162)는 차폐 슬라이더(164)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 셔터 홀더(161)와 제2 셔터 홀더(162)가 결합하여, 차폐 슬라이더(16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셔터 홀더(162)의 일측에는 정렬 돌기(162a)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 돌기(162a)는 제3 셔터 홀더(163)의 정렬 그루브(163a)에 삽입되며, 제3 셔터 홀더(163)에 연결된 제1 촬상 모듈(120)이 j방향(y축)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3 셔터 홀더(163)는 경통(125)의 단부와 연결된다. 경통(125)은 제3 셔터 홀더(163)에 삽입되되, i방향(z축)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경통(125)과 제3 셔터 홀더(163)는 z축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구동 모듈(150)이 경통(125)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3 셔터 홀더(16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제3 셔터 홀더(163)의 일측에는 정렬 그루브(16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셔터 홀더(162)의 정렬 돌기(162a)가 정렬 그루브(163a)에 삽입되어, 제3 셔터 홀더(163)는 j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다른 실시예로, 제2 셔터 홀더(162)에 정렬 그루브가 형성되고, 제3 셔터 홀더(163)에 정렬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100)의 일부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폐 슬라이더(164)는 하우징(110)의 전단을 폐쇄하여, 외부의 빛이 안저 촬영 장치(10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폐 슬라이더(164)가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제1 촬상 모듈(120)이 좌안 또는 우안으로 이동하더라도 외부광이 들어오는 것을 지속적으로 막을 수 있다. 차폐 슬라이더(164)는 제1 셔터 홀더(161) 및 제2 셔터 홀더(162)와 연결되고, 제1 촬상 모듈(120)이 피검안자의 양안 방향(k 방향)으로 이동시에 함께 이동한다.
하우징(110)에는 차폐 슬라이더(164)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유닛(113)을 포함한다. 제1 케이스(110a)에는 제1 가이드 레일(113a)이 설치되고, 제2 케이스(110b)에는 제2 가이드 레일(113b)이 설치된다. 제1 가이드 레일(113a)과 제2 가이드 레일(113b)은 차폐 슬라이더(164)의 상단 및 하단에 삽입되어, 차폐 슬라이더(164)의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되, k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한다.
가이드 레일 유닛(113)의 정면은 차폐 슬라이더(164)의 두께보다 넓은 제1 폭(t1)을 가지고, 측면은 차폐 슬라이더(164)의 두께와 거의 같은 제2 폭(t2)을 가진다. 광폭단(114)의 제1 폭(t1)에 삽입된 차폐 슬라이더(164)는 전후 방향(z축)으로 소정 범위 이동할 수 있다. 즉, 경통(125)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셔터 홀더(161)가 소정의 범위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유닛(113)의 광폭단(114)은 셔터 유닛(160)의 z축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유닛(113)은 전방에는 둔턱이 없으나, 후방에는 지지벽(114a)이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 유닛(113)이 전방은 개방되므로, 경통(125)이 피검안자의 안구(E)를 향해 z축 방향으로 이동시에 차폐 슬라이더(164)도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 유닛(113)은 전방이 개방되어, 제1 촬상 모듈(120)의 이동을 허용하는 자유도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114a)은 차폐 슬라이더(164)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통(125)을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지지벽(114a)이 차폐 슬라이더(164)를 지지하여 차폐 슬라이더(164)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을 보면, 안저 촬영 장치(100)는 경통(125)이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가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켜 경통(125)이 k 방향으로 이동하면, 차폐 슬라이더(164)도 가이드 레일 유닛(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경통(125)이 j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셔터 홀더(163)는 제2 셔터 홀더(162)에 대해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경통(125)이 i 방향으로 이동하면, 경통(125)은 제3 셔터 홀더(163)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레일 유닛(113)의 전방에 둔턱이 없어 z축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100)의 정면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2 촬상 모듈(140)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촬상 모듈(140)과 조명 유닛(145)은 셔터 유닛(160)에 장착되고, 피검안자의 각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140)은 제1 셔터 홀더(161)의 일측에 배치되어, 안구(E)의 외측을 촬영한다. 제2 촬상 모듈(140)은 광 조사 모듈(130)에서 광이 조사되면 촬영된 각막 영상을 통해서 안구(E)에 조사된 광을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2 촬상 모듈(140)에서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광원이나 동공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120)을 정렬한다.
제2 촬상 모듈(140)은 동공(P)의 중심을 향하도록 셔터 유닛(160)의 표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촬상 모듈(140)의 제2 이미지 축(B)은 제1 이미지 축(A)과 다르며, 제1 이미지 축(A)과 경사를 가진다. 도 9에서 제2 촬상 모듈(140)은 제1 셔터 홀더(161)의 표면에서 θ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한 이미지는 동공(P) 중심을 향할 수 있다. θ는 15도 내지 60도 중 어느 하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조명 유닛(145)은 제2 촬상 모듈(140)과 이격되고, 셔터 유닛(16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다. 조명 유닛(145)은 제2 촬상 모듈(140)이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광을 비출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조명 유닛(145)과 제2 촬상 모듈(140)은 셔터 유닛(160)의 개구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유닛(145)는 다양한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조명 유닛(140)은 피검안자에 따라 최적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조명 유닛(140)이 복수개의 각각의 광원을 가지거나, 단수개의 광원에서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인종에 따라 동공의 패턴은 서로 다르므로, 조명 유닛(140)이 인종에 따라 최적의 파장을 조사하여, 제2 촬상 모듈(140)이 가장 선명하고 명확한 동공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유닛(145)은 600nm 내지 1100nm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조명 유닛(140)은 850nm 내지 1000nm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조명 유닛(145)은 복수개의 광원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조명(145a)와 제2 조명(145b)를 가질 수 있다. 제1 조명(145a)와 제2 조명(145b)는 서로 다른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조명(145a)의 밝기가 제2 조명(145b)의 밝기보다 작다면, 피검안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서 제1 조명(145a)를 이용하여 각막 영상을 확보하고, 각막 영상이 선명하지 않다면 더 밝은 제2 조명(145b)를 이용하여 각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제2 촬상 모듈(140a)의 다른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촬상 모듈(140a)은 변형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140a)이 셔터 유닛(160)의 개구의 대각 방향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140a)이 안구(E)의 아래 방향에서 윗 방향을 향한 각막 영상을 확보하여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촬상 모듈은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치 위치, 피검안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도 8의 제2 촬상 모듈(140)과 도 10의 제2 촬상 모듈(140a)가 함께 셔터 유닛(160)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쉴드 부재(180)는 셔터 유닛(160)의 전방에 장착되며, 피검안자와 하우징(110) 사이를 폐쇄한다. 쉴드 부재(180)는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지므로, 피검안자의 얼굴이 밀착되어서 외부 빛이 안저 촬영 장치(10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쉴드 부재(180)는 피검안자와 차폐 슬라이더 사이의 공간이 암실로 형성되도록, 외부의 광이 암실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암실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쉴드 부재(180)는 피검안자의 코와 접촉하는 함몰부(181)를 가지고, 함몰부(181)의 형상 변화를 허용하는 슬릿(182)을 가질 수 있다. 슬릿(182)은 함몰부(181)의 중심라인을 따라 연장된다. 쉴드 부재(180)에서 함몰부(181)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고, 슬릿(182)이 함몰부(181)에 형성되므로, 다양한 코의 크기를 가진 피검안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안저 촬영 장치(100)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1 정보 추출부(172)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제2 정보 추출부(173)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70)는 제1 촬상 모듈(120), 제2 촬상 모듈(140) 및 구동 모듈(150)과 연결된다. 컨트롤러(170) 제1 촬상 모듈(120)로부터 망막 영상을 전달받고, 제2 촬상 모듈(140)로부터 각막 영상을 전달 받으며,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켜서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 및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170)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이미지 변환부(171), 제1 정보 추출부(172), 제2 정보 추출부(173), 광축 정렬부(174), 광원 분포 분석부(175), 광원 패턴 분석부(176), 망막 영상 분석부(177), 정렬 거리 산출부(178) 및 구동신호 생성부(17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171)는 제2 촬상 모듈(140)에서 획득한 각막 영상의 좌표를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171)는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된 영상의 좌표를 변환하여,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미지 변환없이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된 각막 영상을 이용하여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촬상 모듈(120)은 제1 이미지 축(A)으로 들어오는 망막 이미지를 획득하나, 제2 촬상 모듈(140)은 제2 이미지 축(B)으로 들어오는 각막 이미지를 획득한다. 최종적으로 획득하는 영상은 A방향의 망막 이미지이므로, 각막 이미지를 A방향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미지 변환부(171)는 B방향으로 촬영된 각막 이미지를 A방향으로 변경하여, 컨트롤러(170)가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정보 추출부(172)는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정보 추출부(172)는 각막 영상에서 동공의 정보를 분석하여, 레퍼런스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제1 정보 추출부(172)는 동공 외곽라인 검출부(1721), 동공 중심 검출부(1722) 및 동공 크기 검출부(1723)를 구비할 수 있다.
동공 외곽라인 검출부(1721)는 촬상된 각막 영상에서 동공의 외곽라인을 검출할 수 있다. 동공의 외곽라인을 따라 제1 광원(L1)이 조사되면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선명한 망막 영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각막 영상에서 동공 외곽라인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공 외곽라인 검출부(1721)는 색상의 차이, 색 농도의 차이 등을 이용하여 동공 외곽라인을 추출할 수 있다.
동공 중심 검출부(1722)는 촬상된 각막 영상에서 동공의 중심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과 안구(E)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동공의 중심이 제1 촬상 모듈(120)의 광축과 일치되어야 한다. 동공 중심 검출부(1722)는 동공 외곽라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동공 중심을 추출할 수 있다.
동공 크기 검출부(1723)는 촬상된 각막 영상에서 동공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피검안자 별로 동공의 크기 및 형상은 상이하므로, 동공의 크기를 정확하게 검출한 뒤에, 광 조사 모듈(130)에서 동공의 외곽라인에 광원이 조사되어야 한다. 동공 크기 검출부(1723)는 색상의 차이, 색 농도의 차이, 외곽라인의 면적 등을 이용하여 동공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정보 추출부(173)는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정보 추출부(173)는 각막 영상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광의 정보를 분석하여, 레퍼런스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제2 정보 추출부(173)는 광원 위치 검출부(1731), 광원 크기 검출부(1732), 광원 밝기 검출부(1733)를 구비할 수 있다.
광원 위치 검출부(1731)는 각막 영상에서 광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광원 위치 검출부(1731)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컨트롤러(170)는 한 쌍의 광원이 편향되어 있는지 여부와 동공의 중심에서 대칭되는지 여부와, 동공의 내부에 배치되는지 여부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광원 크기 검출부(1732)는 각막 영상에서 광원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광원의 초점이 동공 표면의 외곽라인에 배치되어야 선명한 망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광원 크기 검출부(1732)는 광원의 크기를 비교하여 광원의 초점이 안구(E)의 표면에 형성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광원 밝기 검출부(1733)는 각막 영상에서 광원의 밝기를 검출할 수 있다. 광원의 밝기는 광원의 초점과 연관된다. 따라서, 영상에서의 광원의 밝기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광원의 초점이 안구(E)의 표면에 형성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광축 정렬부(174)는 제1 촬상 모듈(120)의 중심축인 광축을 정렬한다. 광축 정렬부(174)는 제1 촬상 모듈(120)에서 망막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광학계(121)의 z축 방향의 위치에 따라 제1 촬상 모듈(120)에서 망막 영상이 생성되거나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광축 정렬부(174)는 제1 촬상 모듈(120)에서 망막 영상이 생성되도록, z축 방향으로 광학계(121)를 이동 시킬 수 있다.
광축 정렬부(174)는 제1 촬상 모듈(120)의 광축이 동공 중심과 일치하도록, 제1 촬상 모듈(120)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촬상된 망막 영상의 중심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 촬상 모듈(120)의 제1 이미지 축(A)과 동공 중심을 정렬할 수 있다.
광원 분포 분석부(175)는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의 분포를 분석하여, 광원이 정확한 x축 및 y축 위치에 조사되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기초로, 한 쌍의 광원이 동공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는지, 동공의 외곽라인을 따라 배치되는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광원 분포 분석부(175)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제1 촬상 모듈(120)을 이동 및 정렬할 수 있다.
광원 패턴 분석부(176)는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의 패턴을 분석하여 광원이 정확한 z축 위치에 조사되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제1 정보와 제2 정보, 특히 각막 영상에서 표시되는 한 쌍의 광원의 크기와 형상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광원을 z축 방향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광원의 초점이 동공의 표면에 위치하면 기 설정된 밝기,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진다. 광원 패턴 분석부(176)는 각막 영상에서 표시되는 한 쌍의 광원의 밝기, 크기 또는 형상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망막 영상 분석부(177)는 제1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으로부터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이 망막에서 반사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광원 패턴 분석부(176)에서 제2 광원(L2)을 이용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 방향으로 정렬하더라도, 오차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망막 영상 분석부(177)는 최종 망막 영상에서 제1 광원(L1) 또는 제2 광원(L2)이 반사되는지를 확인하고, z축 방향으로 제1 촬상 모듈(120)을 정렬할 수 있다.
정렬 거리 산출부(178)는 광축 정렬부(174), 광원 분포 분석부(175), 광원 패턴 분석부(176) 및 망막 영상 분석부(177)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제1 촬상 모듈(120)이 이동해야 하는 거리를 산출한다.
구동신호 생성부(179)는 구동 모듈(150)과 연결되고,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켜서 제1 촬상 모듈(120)의 공간상의 위치를 정렬한다. 구동신호 생성부(179) 정렬 거리 산출부(178)에서 산출된 거리만큼 제1 촬상 모듈(120)이 이동하도록, 구동신호를 생성 및 생성된 구동신호를 구동 모듈(150)로 전달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제1 정보 추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제2 정보 추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제1 촬상 모듈의 위치 조정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안저 촬영 방법은 광 조사 모듈에서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고, 피검안자의 망막이 보이는 영역으로 제1 촬상 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2 촬상 모듈로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와,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 조사 모듈에서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고, 피검안자의 망막이 보이는 영역으로 제1 촬상 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 촬상 모듈(120)에서 망막 영상이 형성되는 위치까지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먼저, 광 조사 모듈(130)에서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고(S1), 망막 영상의 생성 여부를 판단한다(S2). 제1 촬상 모듈(120)에서 망막 영상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켜서 망막 영상이 보이는 영역으로 광학계(12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3).
제2 촬상 모듈로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S4)는 광 조사 모듈(130)에서 광이 안구(E)에 조사된 상태에서 제2 촬상 모듈(140)이 각막 영상을 촬영한다.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된 각막 영상에는 동공과 광원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5)는 각막 영상을 기초로 피검안자의 동공 정보를 확보한다.
한편, 각막 영상의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S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된 이미지는 안구(E)의 측면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므로,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촬상된 이미지와 대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촬상 모듈(140)에서 촬상한 영상의 좌표가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촬상 모듈의 촬상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가 이미지 변환부(171)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동공 외곽라인 검출부(1721)는 각막 영상을 기초로 동공 외곽라인을 검출하며(S52), 동공 중심 검출부(1722)는 각막 영상을 기초로 동공 중심을 검출하고(S53), 동공 크기 검출부(1723)는 각막 영상을 기초로 동공 크기를 검출한다(S54). 동공 외곽라인, 동공 중심 및 동공 크기는 제1 촬상 모듈(120)의 정렬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 사용된다.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6)는 각막 영상을 기초로 조사된 광의 정보를 확보한다.
광원 위치 검출부(1731)는 각막 영상에서 광원 위치를 검출하며(S61), 광원 크기 검출부(1732)는 각막 영상에서 광원 크기를 검출하고(S62), 광원 밝기 검출부(1733)는 각막 영상에서 광원 밝기를 검출한다(S63).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7)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120)이 정렬을 위해 이동해야 할 거리를 산출하고, 구동 모듈(150)을 구동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이동시킨다.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7)는 1) 동공의 중심과 제1 촬상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고(S71), 2)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한 쌍의 광이 동공의 중심에서 대칭되는지 판단하며(S72), 3)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한 쌍의 광의 패턴이 레퍼런스 패턴과 유사한지 판단하며(S73), 4)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망막에서 반사되는지 판단한다(S74). 이때, 정렬을 위해서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켜서 제1 촬상 모듈(120)을 이동시킨다(S75).
상세하게, 동공의 중심과 제1 촬상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71)는 광축 정렬부(174)에서 제1 촬상 모듈(120)의 광축이 동공 중심과 일치하도록, 제1 촬상 모듈(120)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의 광축인 제1 이미지 축(A)이 동공 중심과 일치하도록, 경통(125)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7에서는 S71 단계가 제2 촬상 모듈(140)에서 각막 영상을 분석한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막 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축 정렬부(174)는 S2 단계 이전 또는 S2 단계 이후에 동공의 중심과 제1 촬상 모듈(120)의 광축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x축 및 y축으로 제1 촬상 모듈(1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한 쌍의 광이 동공의 중심에서 대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72)는 광원 분포 분석부(175)에서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의 분포를 분석하여, 광원이 정확한 x축 및 y축 위치에 조사되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기초로, 한 쌍의 광원이 동공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는지, 동공의 외곽라인을 따라 배치되는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광원 분포 분석부(175)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정렬 거리 산출부(178)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를 산출하고, 구동신호 생성부(179)에서 구동 모듈(150)을 구동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이동 및 정렬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한 쌍의 광의 패턴이 레퍼런스 패턴과 유사한지 판단하는 단계(S73)는 광원 패턴 분석부(176)에서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의 패턴을 분석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이 적절하게 z축을 따라 위치하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제1 정보와 제2 정보, 특히 각막 영상에서 표시되는 한 쌍의 광원의 크기와 형상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광원의 초점이 z축 방향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광원의 초점이 동공의 표면에 위치하면 기 설정된 밝기,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진다. 광원 패턴 분석부(176)는 각막 영상에서 표시되는 한 쌍의 광원의 밝기, 크기 또는 형상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광원의 초점이 적절하게 형성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정렬 거리 산출부(178)는 광원 패턴 분석부(176)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z축 방향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를 산출하고, 구동신호 생성부(179)에서 구동 모듈(150)을 구동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 방향으로 이동 및 정렬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망막에서 반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74)는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생성한 망막 영상에 반사광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S72단계와 S73단계는 각막 영상을 기초로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조정하고, S74단계는 망막 영상을 기초로 다시 한번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세하게, 망막 영상 분석부(177)는 제1 촬상 모듈(120)에서 촬상된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으로부터 광 조사 모듈(130)에서 조사된 광이 망막에서 반사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광원 패턴 분석부(176)에서 제2 광원(L2)을 이용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을 z축 방향으로 정렬하더라도, 오차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망막 영상 분석부(177)는 최종 망막 영상에서 제1 광원(L1) 또는 제2 광원(L2)이 반사되는지를 확인하고, z축 방향으로 제1 촬상 모듈(120)을 정렬할 수 있다.
정렬을 위해서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켜서 제1 촬상 모듈(120)을 이동시키는 단계(S75)는 S71 내지 S74 단계 각각이 수행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S71단계가 완료될 때까지 S71 단계와 S75 단계가 수행되고, 이후에 S72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S72단계가 완료될 때까지 S72 단계와 S7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S71 내지 S74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S71 내지 S74 단계 중에서 선정된 복수개가 동시에 수행되고, 그 결과로 S75 단계가 수행된다. 선정된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나머지 단계와 S7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S75단계가 수행되면 다시 특정 단계로 돌아가서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S73단계 이후에 S75단계가 수행되면, 설정된 처음으로 돌아가서 S71단계부터 수행하거나, 설정된 S72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구동 모듈(150)을 구동시켜서, 제1 촬상 모듈(120)을 이동시키는 단계(S75)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기초로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7)에서 선택적,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다. S75 단계는 제1 촬상 모듈(120)의 정렬을 위한 피드백 제어를 형성하여 제1 촬상 모듈(1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을 포커싱 하는 단계(S8)는 광학계(121)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듈(120)의 공간상의 위치가 정렬된 이후에, 제1 촬상 모듈(120)의 초점을 조절한다.
제1 촬상 모듈로 망막 영상을 촬영 하는 단계(S9)는 광 조사 모듈(130)의 제1 광원(L1)에서 광을 조사하고, 제1 촬상 모듈(120)이 망막 영상을 획득한다. S7 단계에 의해서 제1 촬상 모듈(120)의 공간상의 위치가 정렬되었으므로, 제1 광원(L1)은 동공의 외곽라인에 배치된다. 즉, 제1 광원(L1)은 정확한 위치에 조사되므로 제1 촬상 모듈(120)이 선명하고 밝은 망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선명하고 정확한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망막 촬영 전에 제1 촬상 모듈(120)이 정확하게 위치가 정렬되므로, 광 조사 모듈(130)의 광이 정확하게 동공의 외곽라인에 조사되어서, 선명하고 밝은 망막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각막 영상을 기초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안저 촬영 장치를 정렬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듈(140)에서 획득한 각막 영상을 이용하여 동공에 관한 정보와 조사된 광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정이 필요한 거리를 산출하므로 제1 촬상 모듈(120)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복수회로 안저 촬영 장치를 정렬하므로, 정렬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검안 중에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위치를 다시 보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촬상 모듈(120)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정렬은 S71단계에서 망막 영상과 S72단계에서 각막 영상을 이용하여 정렬하므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1 촬상 모듈(120)의 z축 방향으로의 정렬은 S2 단계에서 망막 영상이 형성되는 범위로 z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S73단계에서 각막 영상을 이용하여 z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S74단계에서 망막 영상을 이용하여 z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제1 촬상 모듈(120)이 3축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므로, 정확하게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안저 촬영 장치(100)는 셔터 유닛(160)에 의해서 제1 촬상 모듈(120)이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170)에서 신호를 구동 모듈(150)이 전달 받으면 정확하게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촬영 장치 및 안저 촬영 방법은 민감하게 안저 촬영 장치를 정렬할 수 있다. 광 조사 모듈(130)은 정렬에 이용되는 제2 광원이 더 민감하게 망막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므로, 망막 영상을 획득시에 사용되는 제1 광원의 정렬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안저 촬영 장치
110: 하우징
120: 제1 촬상 모듈
130: 광 조사 모듈
140: 제2 촬상 모듈
145: 조명 유닛
150: 구동 모듈
160: 셔터 유닛
170: 컨트롤러
180: 쉴드 부재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촬상하는 제1 촬상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광이 조사된 상기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하는 제2 촬상 모듈;을 포함하는, 안저 촬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 및 조사된 상기 광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안저 촬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모듈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구동 모듈을 구동시키는, 안저 촬영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상기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으로부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망막에서 반사되는지를 확인하는, 안저 촬영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영상의 좌표를 변환하여, 상기 제1 촬상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에 대응시키는, 안저 촬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연결되고, 일면에 제2 촬상 모듈이 설치되는 셔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저 촬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이격되며 상기 셔터 유닛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저 촬영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상 모듈은
    상기 동공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셔터 유닛의 표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안저 촬영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광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중심축에 대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광원보다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중심축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광원;을 구비하는, 안저 촬영 장치.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검안자의 망막 영상을 촬상하는 제1 촬상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폐쇄하는 셔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 유닛은
    상기 피검안자를 향하여 상기 제1 촬상 모듈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연결되는 셔터 홀더; 및
    상기 셔터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촬상 모듈이 상기 피검안자의 양안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차폐 슬라이드;를 구비하는, 안저 촬영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홀더와 상기 차폐 슬라이드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피검안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폐쇄하는 플렉서블한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저 촬영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피검안자의 코가 삽입되는 함몰부에 배치되며, 상기 함몰부의 형상 변화를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안저 촬영 장치.
  13. 광 조사 모듈에서 피검안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피검안자의 망막이 보이는 영역으로 제1 촬상 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
    제2 촬상 모듈로 상기 피검안자의 각막이나 동공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검안자의 동공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저 촬영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공의 중심과 상기 제1 촬상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정렬하고,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한 쌍의 광이 상기 동공의 중심에서 대칭되게 정렬하며,
    상기 광 조사 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망막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정렬하는, 안저 촬영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상 모듈에서 촬상한 영상의 좌표가 상기 제1 촬상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촬상 모듈의 촬상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저 촬영 방법.
KR1020190042192A 2019-04-10 2019-04-10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KR10224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92A KR102244134B1 (ko) 2019-04-10 2019-04-10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US17/594,281 US20220160230A1 (en) 2019-04-10 2019-04-11 Fundus oculi imaging device and fundus oculi imaging method using same
PCT/KR2019/004348 WO2020209418A1 (ko) 2019-04-10 2019-04-11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92A KR102244134B1 (ko) 2019-04-10 2019-04-10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505A Division KR20210048456A (ko) 2021-04-19 2021-04-19 안저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675A true KR20200119675A (ko) 2020-10-20
KR102244134B1 KR102244134B1 (ko) 2021-04-23

Family

ID=7275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192A KR102244134B1 (ko) 2019-04-10 2019-04-10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60230A1 (ko)
KR (1) KR102244134B1 (ko)
WO (1) WO20202094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7339A (zh) * 2023-08-01 2023-09-05 杭州目乐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眼底相机的图像拍摄方法、眼底相机、装置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0192A1 (en) * 2022-08-04 2024-02-08 Verily Life Sciences Llc Retinal imaging system and retinal imaging adaptor and related methods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1727B2 (ja) * 2004-06-01 2010-06-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カメラ
KR101911441B1 (ko) * 2017-02-01 2018-10-24 주식회사 루티헬스 휴대용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7214A2 (en) * 2009-10-14 2011-04-21 Optimum Technologies, Inc. Portable retinal camera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ITTV20100131A1 (it) * 2010-09-29 2012-03-30 Ct Vue S P A Apparato d ispezione del fondo oculare
US10226174B2 (en) * 2011-03-02 2019-03-12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Ocular fundus imag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1727B2 (ja) * 2004-06-01 2010-06-1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カメラ
KR101911441B1 (ko) * 2017-02-01 2018-10-24 주식회사 루티헬스 휴대용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7339A (zh) * 2023-08-01 2023-09-05 杭州目乐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眼底相机的图像拍摄方法、眼底相机、装置及介质
CN116687339B (zh) * 2023-08-01 2023-10-31 杭州目乐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眼底相机的图像拍摄方法、眼底相机、装置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418A1 (ko) 2020-10-15
KR102244134B1 (ko) 2021-04-23
US20220160230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643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USRE49024E1 (en) Fundus observation apparatus
CN113164036B (zh) 用于眼科测试和测量的方法、设备和系统
US9706920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US9408531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US9526415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EP2786700B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ES2946253T3 (es) Aparato oftalmológico
US9615734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KR101942465B1 (ko)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KR102244134B1 (ko) 안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안저 촬영 방법
JP2020507386A (ja) 網膜撮影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網膜撮影方法
KR20210048456A (ko) 안저 촬영 장치
KR102263830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한 안저 영상 촬영 장치
JP7430082B2 (ja) 眼科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20230014952A1 (en) Retinal imaging system
JP2021069714A (ja) 眼底撮像装置および眼疾検査装置
WO2021048913A1 (ja) 眼科装置
CZ2013756A3 (cs) Oftalmologické diagnostické zařízení a způsob jeho činnosti
CZ26535U1 (cs) Oftalmologické diagnostické zaříze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