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675A -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 - Google Patents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675A
KR20200118675A KR1020190040930A KR20190040930A KR20200118675A KR 20200118675 A KR20200118675 A KR 20200118675A KR 1020190040930 A KR1020190040930 A KR 1020190040930A KR 20190040930 A KR20190040930 A KR 20190040930A KR 20200118675 A KR20200118675 A KR 2020011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aw material
measuring
unit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978B1 (ko
Inventor
윤민원
Original Assignee
(주)경성인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인물 filed Critical (주)경성인물
Priority to KR102019004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9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relating to feed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장치에 의해 공급 장치에서 회수 장치로 이송 시 성형 장치에 의해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후 상기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와 상기 공급 장치 및 상기 회수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 전에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여, 불필요한 연마 및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을 하는 것을 미연에 방재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Measuring apparatus and blade forming equ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 장치에서 공급되어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칼날원재료에 칼날을 성형하는 칼날 성형 설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74540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칼날을 형성하는 경우, 띠 형상의 칼날원재료를 다양한 형상의 연마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마하여 가공하며, 칼날은 원통형의 연마재의 외주면에 칼날원재료를 연마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칼날연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칼날연마장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통프레임(1)과, 상기 원통프레임 외주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연마재(2)로 이루어진다.
칼날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칼날 연마장치의 외주면에 칼날원재료(3)의 끝단을 접촉시키며 칼날(4)을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칼날(4)의 끝단 일측면은 상기 연마재(2)의 외주면에 따라 형성되어 일정 곡면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칼날의 끝단은 뾰족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끝단이 가공된 칼날은 연마와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을 거쳐서 완제품으로 완성된다.
한편, 제조시 휨이 발생한 칼날원재료의 경우, 칼날의 끝단이 정확하게 연마지되지 아니하는 불량이 발생한다. 이 경우 휨이 발생한 칼날원재료로 제조한 완제품 모두를 폐기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인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후 이송 장치로 이송되면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되는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해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여 연마 및 열처리와 같은 후속공정 전에 미리 폐기함으로써 불량품에 대하여 연마 및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을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 장치에 의해 공급 장치에서 회수 장치로 이송 시 성형 장치에 의해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후 상기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와 상기 공급 장치 및 상기 회수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와, 상기 계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로는 거리센서 또는 계측 지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측 지그는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게이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밀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부와 이송되는 칼날원재료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설정범위와 비교하거나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전단측 이격거리와 후단측 이격거리의 간극차이를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해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 형태의 칼날원재료를 풀면서 공급하는 공급 장치; 상기 공급 장치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가 상기 칼날원재료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장치를 통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에 밀착되어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에 칼날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 상기 이송 장치를 통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 및 상기 계측 장치를 통과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료를 롤 형태로 회수하는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칼날 연마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날 성형 설비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공급 장치에서 공급되어 상기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가 안착되는 안착 레일과, 상기 안착 레일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안착 레일의 일측면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 레일의 상부로 이동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와 선택적으로 접지하며, 접지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에 칼날을 성형하는 칼날 성형부재와, 상기 칼날 성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칼날 성형부재가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지되게 상기 칼날 성형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안착 레일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성형 장치를 거치면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후 상기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와 상기 공급 장치 및 상기 회수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와, 상기 계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측부로는 거리센서 또는 계측 지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측 지그는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게이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밀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부와 이송되는 칼날원재료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설정범위와 비교하거나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전단측 이격거리와 후단측 이격거리의 간극차이를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해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는 연마 및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 전에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여, 불필요한 연마 및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을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칼날연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 성형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일측면을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칼날을 성형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계측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계측부로 거리센서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칼날 연마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 성형 설비(1000)는 공급 장치(1100)와, 이송 장치(1200)와, 성형 장치(1300)와, 계측 장치(1400)와, 회수 장치(1500)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 장치(1400)는 이송 장치(1200)에 의해 공급 장치(1100)에서 회수 장치(1500)로 이송 시 성형 장치(1300)에 의해 일측면에 칼날(12)이 성형되는 칼날원재료(10)의 휨상태를 측정하여 휨상태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작업자에게 알리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 장치(1100)는 롤 형태로 감긴 칼날원재료(10)를 풀면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공급 장치(1100)에서 공급되는 칼날원재료(10)는 후술되는 회수 장치(1500)로 이송되어 롤 형태로 감기면서 회수되게 된다.
상기 공급 장치(1100)에서 공급되는 상기 칼날원재료(10)는 이송 장치(1200)를 통해 회수 장치(1500)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장치(1200)는 안착 레일(1210)과,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220)와, 슬라이드 이동부재(123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 레일(1210)은 상기 공급 장치(1100)에서 공급되어 후술되는 회수 장치(1500)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220)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220)는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10)가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220)는 슬라이드 이동부재(123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1230)는 각각의 가이드 롤러(1220)를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가이드 롤러(122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1230)는 슬라이드 이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수단(미도시)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123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롤러(1220)를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 장치(1220)의 일면에는 성형 장치(1300)가 구비되며, 상기 성형 장치(1300)는 칼날 성형부재(1310)와, 전후 이동부재(1320)를 포함한다. 상기 칼날 성형부재(1310)는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상부로 이동되는 상기 칼날원재료(10)와 선택적으로 접지되면서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일측면에 칼날(12)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칼날 성형부재(1310)는 전후 이동부재(1320)와 연결되며, 상기 전후 이동부재(1320)는 상기 칼날 성형부재(1310)가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지되게 상기 칼날 성형부재(131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 이동부재(1320)는 전후 이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전후 이동수단(미도시)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전후 이동부재(123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칼날 성형부재(1310)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일측면에 칼날(12)을 성형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 장치(1200)를 통해 이송되면서 일측면에 칼날(12)이 성형된 칼날원재료(10)는 계측 장치(1400)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계측 장치(1400)는 이송 장치(12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의 휨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측 장치(1400)는 계측부(1410)와, 제어부(1420)를 포함한다. 상기 계측부(1410)는 상기 성형 장치(1300)를 지나면서 일측면에 칼날(12)이 성형된 상기 칼날원재료(10)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 일측면과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측부(1410)로는 거리센서(1411) 또는 계측 지그(1412)가 사용되고, 상기 거리센서(1411)로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되며, 상기 칼날원재료(10)에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송신하여 상기 칼날원재료(10)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격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계측 지그(1412)는 밀착부재(1414)와, 본체(1416)와, 연결부재(1418)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재(1414)는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일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밀착부재(1414)는 본체(1416)와 연결된다. 상기 본체(1416)는 상기 안착 레일(1210)의 일측면에 이격되게 고정되며, 상기 본체(1416)에는 상기 밀착부재(1414)가 전후로 이동되는 거리가 표시되는 표시게이지(G)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재(1414)와 상기 본체(1416)는 연결부재(1418)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1418)에 의해 상기 본체(1416)에 상기 밀착부재(1414)가 탄력적으로 연결되면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의 휨에 따라 상기 밀착부재(1414)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된다.
상기 계측부(1410)는 제어부(142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420)로는 상기 계측부(1410)가 측정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계측부(1410)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양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양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급 장치(1100) 및 후술되는 회수 장치(1500)와 연결되어 상기 계측부(1410)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공급 장치(1100) 및 후술되는 회수 장치(1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칼날원재료(10)의 이송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계측부(1410)가 측정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의 전단측 이격거리와 후단측 이격거리의 간극차이를 미리입력된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양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계측 장치(1400)는 알람부(1430)와, 디스플레이부(1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430)는 상기 제어부(142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계측부(1410)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알람부(1430)을 동작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공급 장치(1100) 및 후술되는 회수 장치(1500)는 상기 제어부(1420)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이 중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람부(1430)에 발생되는 경보음을 들은 작업자에 의해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40)는 상기 계측부(1410)가 측정한 데이터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게 되며, 상기 알람부(14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440)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계측 장치(1400)는 상기 성형 장치(1300)를 거친 상기 칼날원재료(10)의 일측면을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측 장치(1400)가 상기 성형 장치(1300)를 거치기 전의 칼날원재료(10)의 일측면을 계측하게 되면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버 등의 잔물에 의해 칼날원재료(10)의 휨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게 되나, 상기 계측 장치(1400)가 상기 성형 장치(1300)를 거쳐 버 등의 잔물이 제거되면서 칼날(10)이 성형된 칼날원재료(10)를 계측함으로써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의 휨상태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성형 장치(1300)와 상기 계측 장치(1400)를 거치면서 일측면에 칼날(12)이 정상적으로 성형된 칼날원재료(10)는 회수 장치(1500)로 이송되며, 상기 회수 장치(1500)에서 롤 형태로 회수된 후 후속 작업공정으로 이동되어 후속 작업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가 구비된 칼날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칼날을 성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롤 형태의 칼날원재료(10)를 공급 장치(1100)가 풀면서 이송 장치(1200)를 통해 회수 장치(150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칼날원재료(10)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1200)의 일측면에는 칼날(12)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1300) 및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의 휨상태를 측정하여 칼날원재료(10)의 일측면에 칼날(12)이 정상적으로 성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계측 장치(1400)가 구비된다.
상기 칼날원재료(10)가 상기 성형 장치(1300)를 거치면서 일측면에 칼날(12)이 성형되고, 상기 성형 장치(1300)를 거친 칼날원재료(10)와의 이격거리를 상기 계측 장치(1400)의 측정부(1410)가 측정한 후 미리 입력된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의 휨상태를 측정하여 이송되는 칼날원재료(10)의 양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측정부(1410)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칼날원재료(10)를 회수 장치(15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측정부(1410)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1430)를 동작시켜 상기 칼날원재료(10)에 불량을 작업자에게 알려 휨이 발생한 칼날원재료(10)를 회수하도록 하여 후속공정이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 전에 칼날원재료(10)의 휨상태를 측정하여, 불필요한 연마 및 열처리 등의 후속공정을 하는 것을 미연에 방재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칼날 성형 설비 1100 : 공급 장치
1200 : 이송 장치 1210 : 안착 레일
1220 : 가이드 롤러 1230 : 슬라이드 이동부재
1300 : 성형 장치 1310 : 칼날 성형부재
1320 : 전후 이동부재 1400 : 계측 장치
1410 : 계측부 1420 : 제어부
1430 : 알람부 1440 : 디스플레이부
1500 : 회수 장치

Claims (15)

  1. 이송 장치에 의해 공급 장치에서 회수 장치로 이송 시 성형 장치에 의해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후 상기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와 상기 공급 장치 및 상기 회수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로는 거리센서 또는 계측 지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계측 지그는,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게이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밀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부와 이송되는 칼날원재료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설정범위와 비교하거나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전단측 이격거리와 후단측 이격거리의 간극차이를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해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7. 롤 형태의 칼날원재료를 풀면서 공급하는 공급 장치;
    상기 공급 장치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가 상기 칼날원재료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장치를 통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에 밀착되어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에 칼날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
    상기 이송 장치를 통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 및
    상기 계측 장치를 통과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칼날원재룔를 롤 형태로 회수하는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칼날 성형 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공급 장치에서 공급되어 상기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가 안착되는 안착 레일과,
    상기 안착 레일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칼날 성형 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안착 레일의 일측면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 레일의 상부로 이동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와 선택적으로 접지하며, 접지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에 칼날을 성형하는 칼날 성형부재와,
    상기 칼날 성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칼날 성형부재가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지되게 상기 칼날 성형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칼날 성형 설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안착 레일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성형 장치를 거치면서 일측면에 칼날이 성형된 후 상기 회수 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와 상기 공급 장치 및 상기 회수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칼날 성형 설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격거리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칼날 성형 설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계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칼날 성형 설비.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로는 거리센서 또는 계측 지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성형 설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계측 지그는,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칼날원재료의 일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밀착부재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게이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밀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칼날 성형 설비.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부와 이송되는 칼날원재료 일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설정범위와 비교하거나 상기 계측부가 측정한 이송되는 칼날원재료의 전단측 이격거리와 후단측 이격거리의 간극차이를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칼날원재료의 휨상태를 측정해 칼날원재료의 양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칼날 성형 설비.
KR1020190040930A 2019-04-08 2019-04-08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 KR10217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30A KR102172978B1 (ko) 2019-04-08 2019-04-08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30A KR102172978B1 (ko) 2019-04-08 2019-04-08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75A true KR20200118675A (ko) 2020-10-16
KR102172978B1 KR102172978B1 (ko) 2020-11-02

Family

ID=7303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30A KR102172978B1 (ko) 2019-04-08 2019-04-08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9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712B1 (ko) * 1994-08-23 1998-05-15 김만제 코일형 철판의 측면 모서리부 연마장치
JPH11216516A (ja) * 1998-01-28 1999-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イドガイド装置
KR20090018777A (ko) * 2006-05-27 2009-02-23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스트립 또는 슬라브의 폭 및/또는 위치 측정 장치
KR20100085456A (ko) * 2009-01-20 2010-07-29 윤병환 칼날 연마장치
KR101962685B1 (ko) *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712B1 (ko) * 1994-08-23 1998-05-15 김만제 코일형 철판의 측면 모서리부 연마장치
JPH11216516A (ja) * 1998-01-28 1999-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イドガイド装置
KR20090018777A (ko) * 2006-05-27 2009-02-23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스트립 또는 슬라브의 폭 및/또는 위치 측정 장치
KR20100085456A (ko) * 2009-01-20 2010-07-29 윤병환 칼날 연마장치
KR101962685B1 (ko) *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978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22290A1 (en) Grinding device
CN107097146B (zh) 研磨装置以及研磨方法
KR20150006208A (ko) 샤프트 드라이브의 표면 경화를 위한 고주파 열처리 장치
JPWO2009119772A1 (ja) ガラス基板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CN108311997A (zh) 一种玻璃四边磨边机及其磨边方法
JP2020517483A (ja) 表面を部分的に研削する方法および本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研削装置
US1122495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imension between the back and the cutting edge of a vibrating blade mounted on a cutting tool
CN106965076B (zh) 板状体的研磨方法及板状体的研磨装置
KR102172978B1 (ko)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날 성형 설비
KR101553061B1 (ko) 칼날 자동 연마수단을 구비한 테이프롤 재단기
JP2018534153A (ja) ストリップにおける欠陥の検出のための方法
KR101113257B1 (ko) 브레이크 패드용 백플레이트 버르제거시스템의 회전브러쉬유니트 조절장치
EP4355699A1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at least one useful part from a glass pane
KR102138999B1 (ko) 소재의 공급 및 연마 장치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JP2017196719A (ja) 研削盤
JPS59224256A (ja) 鋼板疵取り装置
CN206264396U (zh) 包布贴合模板装置及包布贴合设备
KR20100073575A (ko) 반도체 연마 공정의 이물질 감지장치
JP2017196718A (ja) 研削盤
JP3113180U (ja) 板材の研削装置
KR20060101732A (ko) 스트립 표면의 결함 자동 검출 장치
JP2017112240A (ja) 部品圧着装置
IT201700017212A1 (it) Dispositivo disgregatore per fianchi di pneumatici
KR20020049174A (ko) 레벨라 롤 클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