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570A - 무릎 보호대 - Google Patents

무릎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570A
KR20200118570A KR1020190040640A KR20190040640A KR20200118570A KR 20200118570 A KR20200118570 A KR 20200118570A KR 1020190040640 A KR1020190040640 A KR 1020190040640A KR 20190040640 A KR20190040640 A KR 20190040640A KR 20200118570 A KR20200118570 A KR 20200118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support
present
upper support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400B1 (ko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19004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d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무릎의 움직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무릎관절에 무리하게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직립 보행을 하여도 다리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가벼워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걷는 중에 다리가 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넙다리뼈와 종아리뼈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뼈들 끼리 서로 마찰이 일어나지 않고 보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랜 시간 보행을 수행할 수 있으며, 뼈 사이에 있는 연골의 손상을 차단하여 퇴행성관절염 또는 다른 무릎질환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에 복원스프링을 구성하여 압착된 하부지지대를 원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다리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으며, 다리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릎 보호대{A knee pads}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무릎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무릎관절에 무리하게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직립 보행을 하여도 다리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가벼워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노인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노인에게 통증과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퇴행성관절염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 퇴행성관절염 또는 기타 질환이나 수술 후에 무릎를 보호하고, 퇴행성관절염 또는 각종 무릎질환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릎 보호대가 사용된다.
상기 무릎 보호대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30935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7379호가 있으며, 이는 힌지부의 상·하부에 지지대를 구성하여 상부의 지지대를 대퇴부에 고정시키고, 하부의 지지대는 종아리부위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상기 무릎 보호대는 직립 보행 시 넙다리뼈와 정강뼈가 서로 닿지 않도록 지지대를 대퇴부와 종아리부위에 단단히 고정시켜 사용하나, 사용 중에 지지대가 느슨해져 넙다리뼈와 정강뼈가 서로 맞닿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느슨해진 지지대를 다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무릎 보호대는 넙다리뼈와 정강뼈가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부의 중심에서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다리를 접었다 폈다하는 단순한 회전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지지대를 잘못 고정할 경우 넙다리뼈와 정강뼈가 서로 맞닿아 걷는 중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 다리의 움직임을 보조해 주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고, 장 시간 걸을 경우 통증을 유발하여 퇴행성관절염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구성이 복잡하고, 무게가 무거워 걷는 중 다리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다리의 피로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230935 B1 1999.11.15. KR 10-0957379 B1 2010.05.11.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무릎 보호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무릎관절을 보호함과 더불어 무릎의 움직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무릎부위에서 뼈들이 무리하게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장시간 직립 보행을 수행하더라도 다리의 피로도를 최소한으로 감소되도록 하며,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한 무릎보호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상단에 넙다리 밴드를 구성하고, 하단에 타원형상의 편심부를 형성한 상부지지대와; 중간에 종아리 밴드를 구성하고, 하단에 발목 밴드가 구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편심부에 면 접하도록 누름부를 형성한 하부지지대와; 상기 편심부의 중앙에 형성한 축공을 통해 결합된 상태로 상부지지대가 회동 각운동할 수 있는 작동공을 제공하며, 하부지지대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이 내장되도록 구성한 좌우 분리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좌우분리되는 커버부재는 상부지지대의 편심부가 내입되는 편심부내입공간이 형성된 회전부와, 하부지지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며 스프링삽입부가 형성되도록 안내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회전부 및 안내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지지대에 형성한 편심부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가 절곡될 때 하사점이 하부지지대의 누름부 쪽에 위치하고,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가 펴질 때 상사점이 하부지지대의 누름부 쪽에 위치하는 편심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지지대의 단부에 편심부를 형성하여 하부지지대가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함으로, 무릎 부위에 구성된 뼈들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여 즉 다리를 폈을 때 넙다리뼈와 종아리뼈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여 걷는 중 통증이 유발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랜 시간 직립 보행을 수행하여도 무릎부위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연골이 닳지 않으며, 퇴행성관절염 또는 각종 무릎에 관련 질환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내부에 복원스프링을 구성하여 압착된 하부지지대를 원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다리의 보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리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누름부의 상면에 곡률을 형성하여 상부지지대의 편심부와 면접부위를 최소화하여 마찰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품을 간소화하여 무게가 가볍고 오랜 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없기 때문에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무릎 보호대의 사시도
도 2는 회전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회전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4는 회전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로 덮개가 개방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무릎 보호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커버부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커버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커버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로 덮개가 개방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릎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고, 무릎부위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커버부재(10)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부지지대(60)(7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60)는 대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에 넙다리 밴드(63)가 구성되고, 하단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편심부(61)를 형성한다.
상기 편심부(61)는 상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70)가 절곡될 때 하사점(L)이 하부지지대(70)의 누름부(71) 쪽에 위치하고, 상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70)가 펴질 때 상사점(H)이 하부지지대(70)의 누름부(71) 쪽에 위치하는 편심형으로 구성되며, 중앙에는 커버부재(10)에 축 설치될 수 있도록 축공(62)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지지대(70)는 상기 커버부재(10)의 안내부(5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며, 중간에 종아리부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종아리 밴드(73)가 구성되고, 하단에 발목부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발목 밴드(74)가 구성되고, 상단에 편심부(61)와 면접접촉될 수 있도록 누름부(71)를 형성한다.
상기 누름부(71)는 상기 상부지지대(60)가 접어지는 쪽인 후방에서 전방으로 점차 높아지는 곡률(71a)을 갖도록 형성하며, 하부의 양측에는 복원스프링(80)을 받쳐줄 수 있도록 걸림턱(72)을 형성한다.
상기 밴드들은 다리부위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신축형 밴드로 구성되고, 양단에 밸크로 테이프 또는 똑딱단추 등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일반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10)는 좌우분리되게 구성되게 본체(20)와 덮개(30)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20)는 상부에 상기 편심부(61)의 축공(62)을 통해 결합된 상태로 상부지지대(60)가 회동 각운동할 수 있는 작동공(42)을 구성하고, 내부의 상부에 상부지지대(60)의 편심부(61)가 내입되는 편심부내입공간(41)이 형성된 회전부(40)와 내부의 하부에 하부지지대(7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며 스프링삽입부(51)가 형성된 안내부(50)로 구성되며, 하단에는 하부지지대(7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공(52)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공(42)은 상기 상부지지대(60)가 회전부(40)의 중심에서 축 회전될 시 각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회전부(40) 및 안내부(50)를 밀폐시키며, 측면에 축핀(9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31)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의 중간에는 체결공(43)을 형성하여 상부지지대(60)가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축핀(90)을 구성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릎 보호대(1)는 각종 무릎 질환으로 수술한 후 무릎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지지대(60)에 편심부(61)를 구성하여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하부지지대(70)가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사람이 걷기 위해 다리가 지면에 닿을 때에는 다리가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가 됨으로, 본 발명을 넙다리부위(대퇴부)에 고정된 상부지지대(60)와 종아리부위에 고정된 하부지지대(70)가 수직인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수직 상태인 상부지지대(60)의 편심부(61)는 편심부(61)의 상사점(H)이 하부지지대(70)의 누름부(71)를 가압하여 누름부(71)의 하부 양측에 구성된 복원스프링(80)이 압착된 상태가 되며, 다리가 지면에서 떨어지면 종아리부위가 대퇴부의 뒤쪽으로 접혀야 함으로, 이때 상기 상부지지대(60)가 축핀(90)의 중심 축에서 회전하고, 상기 상부지지대(60)의 편심부(61)가 편심되게 형성되어 즉, 편심부(61)의 하사점(L)이 하부지지대(70)의 누름부(71)를 눌려주므로 압착된 복원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지지대(70)가 축핀(90)의 중심에 가깝게 상부로 상승되고, 다리에 힘을 주지 않아도 다리가 자연스럽게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다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 경우에는 상기 상부지지대(60)의 편심부(61)가 축핀(90)의 중심에서 축 회전 시 상기 편심부(61)의 상사점(H)이 축핀(90)의 중심에서 멀어져 있으므로 하부지지대(70)의 누름부를 하부로 눌러주어 상기 복원스프링(80)이 스프링삽입부(51)에서 압착되며, 넙다리뼈와 종아리뼈는 도 4와 같이 접하지 않고 이격(d)된 상태로 다리를 시키고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걷는 중에 다리가 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넙다리뼈와 종아리뼈가 이격(d)되어 있으므로, 뼈들 끼리 서로 마찰이 일어나지 않고 보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랜 시간 보행을 수행할 수 있으며, 뼈 사이에 있는 연골의 손상을 차단하여 퇴행성관절염 또는 다른 무릎질환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50)에 복원스프링(80)을 구성하여 압착된 하부지지대(70)를 원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다리의 보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리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부지지대(70)의 상면에 곡률(71a)을 형성하여 상부지지대(60)의 편심부(61)와 면접부위를 최소화하여 마찰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품을 간소화하여 무게가 가볍고 오랜 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거의 없기 때문에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개선점으로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으로,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선점에 대하여 실시한 동등한 변화 또는 등가의 변화,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 무릎 보호대
10: 커버부재 20: 본체
30: 덮개 31: 중공
40: 회전부 41: 편심부내입공간
42: 작동공 43: 체결공
50: 안내부 51: 스프링삽입부
52: 슬라이딩공
60: 상부지지대 61: 편심부
62: 축공 63: 넙다리 밴드
70: 하부지지대 71: 누름부
71a: 누름부 72: 걸림턱
73: 종아리 밴드 74: 발목 밴드
80: 복원스프링 90: 축핀

Claims (3)

  1. 상단에 넙다리 밴드(63)를 구성하고, 하단에 타원형상의 편심부(61)를 형성한 상부지지대(60)와;
    중간에 종아리 밴드(73)를 구성하고, 하단에 발목 밴드(74)가 구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편심부(61)에 면 접하도록 누름부(71)를 형성한 하부지지대(70)와;
    상기 편심부(61)의 중앙에 형성한 축공(62)을 통해 결합된 상태로 상부지지대(60)가 회동 각운동할 수 있는 작동공(42)을 제공하며, 하부지지대(70)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스프링(80)이 내장되도록 구성한 좌우 분리되는 커버부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분리되는 커버부재(10)는 상부지지대(60)의 편심부(61)가 내입되는 편심부내입공간(41)이 형성된 회전부(40)와, 하부지지대(7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며 스프링삽입부(51)가 형성되도록 안내부(50)가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회전부(40) 및 안내부(50)를 밀폐하는 덮개(30)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60)에 형성한 편심부(61)는 상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70)가 절곡될 때 하사점(L)이 하부지지대(70)의 누름부(71) 쪽에 위치하고, 상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70)가 펴질 때 상사점(H)이 하부지지대(70)의 누름부(71) 쪽에 위치하는 편심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누름부(71)는 상부지지대(60)가 접어지는 쪽인 후방에서 전방으로 점차 높아지는 곡률(71a)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KR1020190040640A 2019-04-08 2019-04-08 무릎 보호대 KR10221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40A KR102213400B1 (ko) 2019-04-08 2019-04-08 무릎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40A KR102213400B1 (ko) 2019-04-08 2019-04-08 무릎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570A true KR20200118570A (ko) 2020-10-16
KR102213400B1 KR102213400B1 (ko) 2021-02-08

Family

ID=7303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640A KR102213400B1 (ko) 2019-04-08 2019-04-08 무릎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63B1 (ko) 2021-11-09 2022-03-21 (주)에이더 족하수 보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935B1 (ko) 1997-09-12 1999-11-15 유영호 무릎정형보조기
KR200409248Y1 (ko) * 2005-12-08 2006-02-22 김철운 무릎 관절염 질환 치료보조와 통증완화를 위한 보조기구
KR20060109740A (ko) * 2005-04-18 2006-10-23 조상덕 무릎관절의 통증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무릎관절 지지대
KR100957379B1 (ko) 2008-05-02 2010-05-11 최종섭 체중의 압력을 이용한 보행보조기구
KR20100102259A (ko) * 2009-03-11 2010-09-24 (주)트리플씨메디칼 피스톤식 무릎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935B1 (ko) 1997-09-12 1999-11-15 유영호 무릎정형보조기
KR20060109740A (ko) * 2005-04-18 2006-10-23 조상덕 무릎관절의 통증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무릎관절 지지대
KR200409248Y1 (ko) * 2005-12-08 2006-02-22 김철운 무릎 관절염 질환 치료보조와 통증완화를 위한 보조기구
KR100957379B1 (ko) 2008-05-02 2010-05-11 최종섭 체중의 압력을 이용한 보행보조기구
KR20100102259A (ko) * 2009-03-11 2010-09-24 (주)트리플씨메디칼 피스톤식 무릎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63B1 (ko) 2021-11-09 2022-03-21 (주)에이더 족하수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400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600B1 (ko) 족부 스트레칭 장치
TW580382B (en) Homan body supportive device
JP5189714B2 (ja) 膝装具及び外脚側ジョイント及び内脚側ジョイントのセット
KR101641883B1 (ko) 관절보조기구
US2587166A (en) Knee-supporting brace
KR102213400B1 (ko) 무릎 보호대
JP2019141570A (ja) 運動補助装置
KR102260966B1 (ko) 인공무릎관절
KR102157514B1 (ko) 등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2004329945A (ja) 関節装具
KR101635920B1 (ko) 인공발
JP2007117644A (ja) 関節支持装具
KR100680655B1 (ko) 무릎관절의 통증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무릎관절 지지대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KR100328303B1 (ko) 인공발용 다축 관절장치
KR20190136346A (ko) 발목 근력 보조기
KR200390002Y1 (ko) 무릎관절의 통증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무릎관절 지지대
KR101309712B1 (ko) 기능성 무릎 보호대
KR101679635B1 (ko) 기능성 무릎 보호대
KR20190046369A (ko) 관절 보조장치
US10966854B1 (en) Brace with a variable resistance band system
KR102012393B1 (ko) 근력보조기
KR102661949B1 (ko) 인공무릎관절
KR101486014B1 (ko)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EP1279383A1 (en) Ankle brace particularly useful for footdr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