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949B1 - 인공무릎관절 - Google Patents
인공무릎관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1949B1 KR102661949B1 KR1020210127057A KR20210127057A KR102661949B1 KR 102661949 B1 KR102661949 B1 KR 102661949B1 KR 1020210127057 A KR1020210127057 A KR 1020210127057A KR 20210127057 A KR20210127057 A KR 20210127057A KR 102661949 B1 KR102661949 B1 KR 102661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artificial knee
- knee joint
- main body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2661 Dyskin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36—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68—Joints for elbows or knees with sliding tibial bea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A61F2002/3096—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trimmed or cut to a customised siz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2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joint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은, 인체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절상측부재, 제1 축, 제2 축, 제3 축, 제4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제1 축을 중심으로 관절상측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본체부, 제2 축 및 제3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제2 축 및 제3 축에 의해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재, 의족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5 축 및 제6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절하측부재, 일단은 제3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5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일단은 제4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6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인공무릎관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각기 굴곡 시 의도치 않은 무릎 굽힘이나 과도한 무릎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무릎관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를 외부에 드러내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의족을 착용하는 장애인들은 정상인과 같이 자연스러운 걸음을 걷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의족 착용자를 위해 자연스러운 보행을 구현할 수 있는 의족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무릎관절은 의족의 가장 중요한 구성으로,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자연스러운 보행을 구현하기 위해 보행 주기의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의족이 장착되는 인공무릎관절의 움직임을 실제 무릎관절의 움직임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인공무릎관절의 경우, 입각기 굴곡 시 의족 착용자가 의도치 않은 갑작스러운 무릎 굽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공무릎관절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의족의 오작동이 유발되어 의족 착용자가 낙상하는 등 큰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작동을 예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무릎관절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KR 0879834 B1
(특허문헌 1) KR 0879834 B1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공무릎관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 시 인공무릎관절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입각기 굴곡을 가지면서도 의족 착용자가 입각기 과정에서 갑작스럽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무릎관절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은, 인체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절상측부재, 제1 축, 제2 축, 제3 축, 제4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제1 축을 중심으로 관절상측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본체부, 제2 축 및 제3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제2 축 및 제3 축에 의해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재, 의족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5 축 및 제6 축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절하측부재, 일단은 제3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5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일단은 제4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6 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는 제2 축이 관통하는 제2_1 관통부 및 제3 축이 관통하는 제3_1 관통부를 가지고, 지지부재는 제2 축이 관통하는 제2_2 관통부 및 제3 축이 관통하는 제3_2 관통부를 가지고, 제2_1 관통부의 단면 형태는 제2_2 관통부의 단면 형태와 상이하거나, 제3_1 관통부의 단면 형태는 제3_2 관통부의 단면 형태와 상이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축 및 제3 축 중 적어도 하나는 편심을 가진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축 및 제3 축은 편심축에 해당하고, 제2 축 및 제3 축의 상호 연동된 편심 이동은, 제1 링크부재가 입각기 과정에서 인공무릎관절이 접히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제동력을 제공하게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관절상측부재를 U자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관절상측부재와 접하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와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4 개의 축이 통과하도록 본체부를 구성하여, 입각기 굴곡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축 및 제3 축 중 적어도 하나는 편심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입각기 과정에서 인공무릎관절의 과도한 꺾임이나 의도치 않은 무릎 굽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U자형부재에 의해 인공무릎관절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인공관절이 일체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는 입각기 과정에서 본체부 및 U자형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입각기 굴곡에 필요한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무릎관절에 의족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는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인공무릎관절 및 의족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과 하중을 고르게 분산 및/또는 흡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사람의 보행 주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이 절단하지 및 의족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개시된 관절상측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의 유각기 굴곡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심을 가지도록 구성된 인공무릎관절의 입각기 굴곡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축 또는 제3 축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사람의 보행 주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이 절단하지 및 의족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개시된 관절상측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의 유각기 굴곡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심을 가지도록 구성된 인공무릎관절의 입각기 굴곡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축 또는 제3 축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사람의 보행 주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람의 보행 주기는 입각기(stance phase) 및 유각기(swing phase)로 구성될 수 있다. 입각기는 지면에 발이 닿는 순간부터 지면으로부터 발을 완전히 떼는 순간까지의 시기를 의미하며, 도 1에 도시된 a 내지 d 단계에 해당한다. 유각기는 발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순간부터 지면에 발을 딛는 순간까지의 시기를 의미하며, 도 1에 도시된 e 내지 g 단계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인공무릎관절은, 의족이 장착된 다리가 입각기에 있을 때, 무릎 펴짐 방향의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공무릎관절의 구부러짐이 제한되며, 인공무릎관절은 실제 무릎의 입각기 굴곡을 구현하여 의족 착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입각기 굴곡은, 입각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무릎의 구부러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각기 굴곡은 유각기 굴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입각기 중 초기 및/또는 말기의 입각기 굴곡은 입각기 중기에 비해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입각기 초기(a) 및/또는 입각기 말기(d)의 경우, 보행자가 발바닥을 지면에 딛거나, 발가락으로 지면을 밀어낼 때, 보행자의 무릎이 보행 방향으로 굽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무릎이 굽혀지는 각도는, 입각기 중기(b)에서 무릎이 완전히 구부러지는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입각기 초기(a) 및/또는 입각기 말기(d)에서의 입각기 굴곡의 경우, 인공무릎관절이 보행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을 가지고 살짝 굽혀져야 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의족 착용자가 보행을 위해 발바닥을 지면에 딛거나 지면을 밀어내는 경우, 인공무릎관절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의족 착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러운 무릎 굽힘이 발생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200)이 절단하지(1) 및 의족(3)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무릎관절(200)은 관절상측부재(210), 관절하측부재(220), 본체부(230), 지지부재(240),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240)는 U자형부재에 해당할 수 있다.
관절상측부재(210)는 인체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상측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결합부(212)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절단하지(1))와 결합된 소켓(2)과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관절상측부재(210)와 소켓(2)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절하측부재(220)는 의족(3)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의족(3)은 파일론(4) 및 발(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하측부재(220)는 하부에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의족(3)의 파일론(4)과 결합될 수 있다.
관절상측부재(210)와 관절하측부재(220)는 본체부(230), 지지부재(240),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와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힐 수 있다. 인공무릎관절(200)은, 본체부(230), 지지부재(240),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에 의해 보행 주기에 따라 굽혀지거나 펴져서 적절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인공무릎관절(200)의 하부 구성 및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2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본체부(23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지지부재(24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개시된 관절상측부재(21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무릎관절(200)은 관절상측부재(210), 관절하측부재(220), 본체부(230), 지지부재(240),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30)는 제1 축(310), 제2 축(320), 제3 축(330), 제4 축(340)이 통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축(310), 제2 축(320), 제3 축(330), 제4 축(340)은 보행 방향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전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30)는 제1 축(310)을 중심으로 관절상측부재(2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230)는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을 통해 지지부재(2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230)는 제3 축(330)을 통해 제1 링크부재(25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230)는 제4 축(340)을 통해 제2 링크부재(2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 개의 축이 본체부(2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4 개의 축을 통해, 본체부를 관절상측부재(210), 지지부재(240),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인공무릎관절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자연스러운 입각기 굴곡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축(310)이 통과하는 제1_1 관통부(410), 제2 축(320)이 통과하는 제2_1 관통부(420), 및 제3 축(330)이 통과하는 제3_1 관통부(430), 제4 축(340)이 통과하는 제4_1 관통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_1 관통부(410) 내지 제4_1 관통부(440)는 y축 방향을 따라 본체부(230)를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부의 일부 구간은 막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축(320)이 통과하는 제2_1 관통부(420)와 제3 축(330)이 통과하는 제3_1 관통부(430)는, 본체부(230)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각각 한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_1 관통부(420) 및 제3_1 관통부(430)의 단면 형태는 원형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2_1 관통부(420) 및 제3_1 관통부(430)의 단면 형태는 타원형이거나,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축(320)이 통과하는 본체부(230)의 제2_1 관통부(420)의 단면 형태는 제2 축(320)이 통과하는 지지부재(240)의 제2_2 관통부(512, 522)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_2 관통부(512, 522)의 단면형태는 원형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축(330)이 통과하는 본체부(230)의 제3_1 관통부(430)의 단면 형태는 제3 축(330)이 통과하는 지지부재(240)의 제3_2 관통부(514, 524)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3_2 관통부(514, 524)의 단면형태는 원형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축(330)이 통과하는 본체부(230)의 제3_1 관통부(430)의 단면 형태는 제3 축(330)이 통과하는 제1 링크부재(250 또는 도 11의 1110)의 제3_3 관통부(도 11의 1120)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3_3 관통부(1120)의 단면형태는 원형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축(320) 및/또는 제3 축(330)은 단면 형태가 다른 관통부를 통과하면서 그에 대응하는 형태의 편심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010)의 중앙부의 단면과 양단의 단면 형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축(320) 및/또는 제3 축(330)에 연결된 지지부재(240) 및 제1 링크부재(250)가 편심 회전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축(320)의 본체부(230)에서의 회전 중심과 제2 축(320)의 지지부재(240)에서의 회전 중심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3 축(330)의 본체부(230)에서의 회전 중심과 제3 축(330)의 지지부재(240) 및 제1 링크부재(250)에서의 회전 중심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링크부재(250)가 인공무릎관절(200)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의족 착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러운 무릎 굽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40)는 제1 지지부재(510) 및 제2 지지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510) 및 제2 지지부재(520)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510) 및 제2 지지부재(520)는 일측에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재(510)와 제2 지지부재(520)는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5 관통부(518)(제2 지지부재(520)의 관통부는 미도시)를 통해 상호 나사 결합 또는 볼트-너트 결합되어, U자형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240)는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이 통과되고,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을 통해 본체부(230)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240)는 제2 축(320)이 통과하는 제2_2 관통부(512, 522), 및 제3 축(330)이 통과하는 제3_2 관통부(514, 5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축(320)이 본체부(230)의 제2_1 관통부(420) 및 지지부재(240)의 제2_2 관통부(512, 522)를 통과할 수 있다. 제3 축(330)이 본체부(230)의 제3_1 관통부(430) 및 지지부재(240)의 제3_2 관통부(514, 524)를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40)의 상면은 관절상측부재(210)의 A 축(도 6 참고)과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A 축과 접하는 지지부재(240)의 상면은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40)는 관절상측부재(210)의 A 축과 접하도록 형성된 함몰부(516, 5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축(320)이 돌출부(350)보다 보행 방향 기준으로 후행 배치됨으로써, 지지부재(240)는 함몰부(516, 526)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40)는 본체부(2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240)는 관절상측부재(210) 및/또는 본체부(230)를 U자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40)는 제2 축(32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1 링크부재(25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축(32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1 링크부재(250)는 개별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일체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는, 보행 주기의 각 단계에 따라 인공무릎관절(200)이 적절한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관절하측부재(220)와 본체부(230)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체부(230)는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를 통해 관절하측부재(2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축(320)은 제1 링크부재(250)의 일단(112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축(320)은 본체부(230)의 제2_1 관통부(420), 및 지지부재(240)의 제2_2 관통부(622)를 통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체부(230), 지지부재(240), 제1 링크부재(250)는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4 축(340)은 제2 링크부재(260)의 일단(112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4 축(340)은 본체부(230)의 제4_1 관통부(440)를 통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체부(230)와 제2 링크부재(260)는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관절하측부재(220)는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를 통해 본체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절하측부재(220)는 제5 축(360) 및 제6 축(370)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축(360)은 제1 링크부재(250 또는 도 11의 1110)의 타단(도 11의 113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5 축(360)은 관절하측부재(220)를 통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관절하측부재(220)와 제1 링크부재(250)가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6 축(370)은 제2 링크부재(260)의 타단(113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6 축(370)은 관절하측부재(220)를 통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관절하측부재(220)와 제2 링크부재(260)는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상측부재(210)는 제1 축(310)이 통과될 수 있다. 관절상측부재(210)는 제1 축(310)을 통해 본체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절상측부재(210)는 본체부(230)의 제1_1 관통부(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_2 관통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상측부재(210)의 제1_2 관통부(610)와 본체부(230)의 제1_1 관통부(410)는 제1 축(31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절상측부재(210)는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350, 도 6의 A 축에 해당)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350)는 지지부재(24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50)는 지지부재(240)의 함몰부(516, 526)와 접할 수 있다. 관절상측부재(210)가 제1 축(310)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350)는 지지부재(240)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50)는 롤러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지지부재(240)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지지부재(240)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200)의 유각기 굴곡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인공무릎관절(200)이 보행 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사용자가 의족을 착용하고 보행 방향(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걷게 되는 경우, 인공무릎관절(200)의 본체부(230)는 제1 링크부재(250) 및 제2 링크부재(260)에 의해 제2 축(320) 및 제4 축(340)을 중심으로 무릎이 접히는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공무릎관절(200)은 실제 무릎의 유각기 굴곡(굽혀짐)을 구현할 수 있고, 보행 주기에 따라 적절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무릎 굽힘 방향은, 인공무릎관절(200)이 굽혀지는 회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200)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구성 중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무릎관절(200)은 탄성부재(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230)는 탄성부재(810)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8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820)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830)를 통해 본체부(23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810)는 본체부(230)와 지지부재(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810)는 본체부(230)의 전방부와 지지부재(240)의 전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810)는 입각기 과정 중 본체부(230) 및 지지부재(240)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81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810)는 우레탄 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810)는 입각기 과정에서 본체부(230) 및 지지부재(240)와 접함으로써, 입각기 굴곡에 필요한 저항 값(예를 들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공무릎관절(200)에 의족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810)는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인공무릎관절(200) 및 의족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과 하중을 고르게 분산 및/또는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810)는 의족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고, 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에서, 탄성부재(810)는 직육면체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810)는 원기둥형, 구형 또는 본체부(230)와 지지부재(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810)를 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에 맞는 맞춤형 인공무릎관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200)의 입각기 굴곡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서는 입각기 굴곡 상태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인공무릎관절(200)의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제1 링크부재(도 2의 250)가 생략되었다. 종래 인공무릎관절은 의족 착용자가 보행 시 입각기 과정 또는 서있는 경우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한 무릎 꺾임이나 의도치 않은 무릎 굽힘과 같은 비정상적인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무릎관절(200)은 이를 방지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러운 입각기 굴곡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240)와 제1 링크부재(미도시)를 통과하는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의 부위와, 본체부(230)를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의 부위의 단면 형태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도 10 참고).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30)의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이 각각 통과하는 제2_1 관통부(420) 및 제3_1 관통부(430)는 비대칭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반면,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이 통과하는 지지부재(240)의 관통부 및 제1 링크부재의 관통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의 편심 회전이 가능하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 회전은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축(910)을 중심으로 관절상측부재(210)가 각도 θ1(예를 들어, 9도) 만큼 회전하는 동안, 제2 축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재의 회전 중심이 각도 θ2(예를 들어, 20도)만큼 편심 이동하고(932, 934), 제3 축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재 또는 제1 링크부재의 회전 중심이 각도 θ3(예를 들어, 10도)만큼 편심 이동한다(942, 944). 이 과정에서 돌출부(350)는 지지부재(240)의 함몰부와 접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922, 924). 즉, 제1 축을 중심으로 관절상측부재(210)가 각도 θ1(예를 들어, 9도) 만큼 회전하는 동안, 제한된 각도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이 모두 편심축에 해당할 경우의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입각기 과정에서 관절상측부재(210)가 제1 축(910)을 중심으로 각도 θ1 회전하는 동안 지지부재(240)도 도 9의 점선 표시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 9의 점선 표시). 이 때, 제2 축(320)이 화살표 1을 따라 편심 이동하는 동시에(932, 934) 제3 축(330)도 화살표 2를 따라 편심 이동한다(944, 942). 즉,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의 편심 회전이 제2 축(320) 및 제3 축(330)의 x 축 및/또는 y 축 이동으로 일부 변환된다. 화살표 2로 표시된 제3 축(330)의 편심 이동은 제3 축(330)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250) 또한 화살표 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편심 이동하는 제2 축(320) 및 제3 축(330) 간의 상호 연동은 제3 축(330)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250)로 하여금 입각기 과정에서 인공무릎관절이 접히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밀어주는 제동역할을 하게 하고 그로 인해 과도한 관절 꺽임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각기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하중을 인공무릎관절(200)이 충분히 버틸 수 있게 되어 갑작스러운 꺾임을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입각 굴곡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공무릎관절(200)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의족 착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러운 무릎 굽힘이 발생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00: 인공무릎관절
210: 관절상측부재
220: 관절하측부재
230: 본체부
240: 지지부재
250: 제1 링크부재
260: 제2 링크부재
310: 제1 축
320: 제2 축
330: 제3 축
340: 제4 축
350: 돌출부
360: 제5 축
370: 제6 축
210: 관절상측부재
220: 관절하측부재
230: 본체부
240: 지지부재
250: 제1 링크부재
260: 제2 링크부재
310: 제1 축
320: 제2 축
330: 제3 축
340: 제4 축
350: 돌출부
360: 제5 축
370: 제6 축
Claims (7)
- 인공무릎관절에 있어서,
인체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 축(310)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절상측부재(210);
상기 제1 축(310), 제2 축(320), 제3 축(330) 및 제4 축(34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관절상측부재(2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본체부(230);
상기 제2 축(320) 및 상기 제3 축(33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축(320) 및 상기 제3 축(330)에 의해 상기 본체부(230)와 연결되는 지지부재(240);
의족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5 축(360) 및 제6 축(370)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절하측부재(220);
일단은 상기 제3 축(33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5 축(36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250); 및
일단은 상기 제4 축(34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6 축(37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260)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축(320)이 관통하는 제2_1 관통부(420) 및 상기 제3 축(330)이 관통하는 제3_1 관통부(430)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제2 축(320)이 관통하는 제2_2 관통부(512, 522) 및 상기 제3 축(330)이 관통하는 제3_2 관통부(514, 524)를 가지고,
상기 제2_1 관통부(420)의 단면 형태는 상기 제2_2 관통부(512, 522)의 단면 형태와 상이하고,
상기 제3_1 관통부(430)의 단면 형태는 제3_2 관통부(514, 524)의 단면 형태와 상이하고,
상기 제2_1 관통부(420) 및 상기 제3_1 관통부(430)의 단면 형태는 비대칭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축(320) 및 상기 제3 축(330)이 편심을 가지는, 인공무릎관절.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320) 및 상기 제3 축(330)은 편심축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축(320) 및 상기 제3 축(330)의 상호 연동된 편심 이동은, 상기 제1 링크부재(250)가 입각기 과정에서 인공무릎관절이 접히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제동력을 제공하게 하는, 인공무릎관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관절상측부재(210)를 U자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인공무릎관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관절상측부재(210)와 접하도록 형성된 함몰부(526)를 포함하는, 인공무릎관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30)와 상기 지지부재(240)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810)를 더 포함하는, 인공무릎관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2/008661 WO2022265464A1 (ko) | 2021-06-17 | 2022-06-17 | 인공무릎관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9020 | 2021-06-17 | ||
KR20210079020 | 2021-06-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938A KR20220168938A (ko) | 2022-12-26 |
KR102661949B1 true KR102661949B1 (ko) | 2024-05-24 |
Family
ID=8454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7057A KR102661949B1 (ko) | 2021-06-17 | 2021-09-27 | 인공무릎관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194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14615A (ja) | 1999-11-23 | 2003-04-22 | グラムテク インノボシューン アクチボラゲット | 膝関節補綴装置 |
KR101897459B1 (ko) * | 2018-07-17 | 2018-09-12 | 김보일 | 다축 인공무릎관절 |
KR102260966B1 (ko) * | 2020-06-24 | 2021-06-04 | (주)보일랩스 | 인공무릎관절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9106Y1 (ko) * | 1996-09-20 | 1999-04-01 | 센 중 첸 | 의족의 무릎 관절 구조체 |
-
2021
- 2021-09-27 KR KR1020210127057A patent/KR102661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14615A (ja) | 1999-11-23 | 2003-04-22 | グラムテク インノボシューン アクチボラゲット | 膝関節補綴装置 |
KR101897459B1 (ko) * | 2018-07-17 | 2018-09-12 | 김보일 | 다축 인공무릎관절 |
KR102260966B1 (ko) * | 2020-06-24 | 2021-06-04 | (주)보일랩스 | 인공무릎관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938A (ko) | 2022-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89481B1 (ko) | 인공무릎관절 | |
US5314499A (en) | Artificial limb including a shin, ankle and foot | |
CN107411939B (zh) | 一种单侧下肢残疾人士专用助力康复机器人 | |
US4241730A (en) | Knee support | |
US4603690A (en) | Sliding pivot knee joint | |
CA2079587C (en) | Artificial toggle joint | |
US9439786B2 (en) | Prosthetic ankle module | |
US4005496A (en) | Prosthetic knee joint | |
JP2018518318A (ja) | 動力抑制的人口膝 | |
US20200253774A1 (en) | Ankle Brace or Ankle Exoskeleton | |
CN111212623B (zh) | 步行辅助装置及具有该步行辅助装置的步行机器人 | |
CN110831549B (zh) | 假体和假足适配器 | |
JP2018533415A (ja) | 切換可能な回転拘束クラッチ付きの機械式関節 | |
US10702402B1 (en) | Position/weight-activated knee locking mechanism | |
KR101897459B1 (ko) | 다축 인공무릎관절 | |
KR102071611B1 (ko) | 발목 근력 보조기 | |
KR102661949B1 (ko) | 인공무릎관절 | |
EP3380048B1 (en) | Dynamic linear adjustable prosthetic | |
EP3162515B1 (en) | Exoskeleton | |
JP6475725B2 (ja) | 膝関節用装具 | |
US3801990A (en) | Artificial limb with a joint that simulates a bicondylar joint movement | |
RU2200513C2 (ru) | Искусственная стопа | |
KR102483561B1 (ko) | 의족 | |
KR20220102382A (ko) | 스프링을 활용한 무동력 의족 | |
US20220273468A1 (en) | Anatomically Aligned Prosthetic Ank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