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090A - 천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090A
KR20200118090A KR1020207024971A KR20207024971A KR20200118090A KR 20200118090 A KR20200118090 A KR 20200118090A KR 1020207024971 A KR1020207024971 A KR 1020207024971A KR 20207024971 A KR20207024971 A KR 20207024971A KR 20200118090 A KR20200118090 A KR 20200118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puncture
puncture system
inner tubula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스 에브넷
Original Assignee
옌스 에브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옌스 에브넷 filed Critical 옌스 에브넷
Publication of KR2020011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61B2017/3492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against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61M2025/0006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which can be secured against axial movement, e.g. by using a locking c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75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telescopic features, interengaging nestable members movable in relations to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명체의 신체 부분에 잔류하도록 설계된 외부 관형 본체를 갖는 천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천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관형 본체 및 천자 바늘을 포함하고, 내부 관형 본체는 외부 관형 본체의 작업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천자 바늘은 내부 관형 본체의 천자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내부 관형 본체는 천자 바늘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천자 시스템은 수동 작동에 의해 적어도 고정 위치 및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수동 작동 가능한 고정 요소를 갖고, 여기서, 고정 위치에서, a1)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내부 관형 본체의 및/또는 a2) 내부 관형 본체에 대한 천자 바늘의 및/또는 a3)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천자 바늘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제거되거나 감소된다.

Description

천자 시스템
본 발명은 생명체의 신체 부분에 잔류하도록 설계된 외부 관형 본체를 갖는 천자 시스템(puncture system)에 관한 것으로, 천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관형 본체 및 천자 바늘을 갖고, 내부 관형 본체는 외부 관형 본체의 작업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천자 바늘은 내부 관형 본체의 천자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내부 관형 본체는 천자 바늘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WO 2017/017095 A1호는 천자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는데, 상기 천자 시스템은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되는 3개의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천자 시스템은 예를 들어, 중심 정맥 카테터로 사용될 수 있고, 외부 관형 본체는 카테터 호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카테터 호스는 천자된 말초 정맥을 통해 신체 내에 삽입되고, 그 팁은 심장 부근의 중심 정맥에 위치된다. 액체, 약제 또는 화학 요법제가 예를 들어, 중심 정맥 카테터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중심 정맥 카테터는 심지어 한 번에 몇 주 동안 환자 내에 잔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내부 관형 본체는 중심 정맥 카테터의 표준 배치에 사용되는 셀딩거(Seldinger) 와이어를 대체한다. 내부 관형 본체는 카테터 호스를 위한 가이드 본체로서 천자된 정맥 내에 도입되어, 카테터 호스는 이어서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까지 내부 관형 본체를 통해서만 전진되기만 하면 된다. 천자 시스템은 따라서 3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천자 시스템을 더 개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천자 시스템 및 청구항 16항의 특징을 갖는 관형 본체로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천자 시스템은 수동 작동에 의해 적어도 고정 위치 및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수동 작동 가능한 고정 요소를 갖고, 고정 위치에서,
-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내부 관형 본체의 및/또는
- 내부 관형 본체에 대한 천자 바늘의 및/또는
-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천자 바늘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상쇄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공지의 해결책보다 더 용이하고 안전하게 천자 시스템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고정 요소는 천자 시스템의 상이한 층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개별 층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은 이에 의해 감소되거나 상쇄된다. 이 방식으로, 천자 바늘, 내부 관형 본체 및/또는 외부 관형 본체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이 회피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내부 관형 본체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감소되거나 상쇄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이는 생명체가 천자 바늘에 의해 천자될 때, 천자된 신체 부분의 방향으로 내부 관형 본체 및 외부 관형 본체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이 발생하는 상황을 회피한다. 그러나, 천자가 수행되고 내부 관형 본체가 천자된 신체 부분 내에 삽입된 후, 이들 요소의 이동이 회피되도록 천자 바늘이 내부 관형 본체에 대한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천자 바늘을 고정시켜, 이에 의해 천자된 신체 부분 내로의 내부 관형 본체의 안전한 안내를 보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천자 바늘, 내부 관형 본체 및 외부 관형 본체는, 예를 들어 천자 시스템이 환자에 적용된 후에 개별 층의 바람직하지 않은 길이방향 이동에 대해 천자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천자 시스템의 상이한 고정 위치는 터치에 의해, 예를 들어 천자 시스템 상의 대응 마킹에 의해 사용자에게 식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 해결책과 조합하여, 천자 시스템은 내부 관형 본체가 적어도 환자 부근의 단부에서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밀봉되게 하는 밀봉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봉은 내부 관형 본체와 외부 관형 본체 사이에 유체 교환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흡입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공기의 흡인이 또한 회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 해결책들과 조합하여, 천자 시스템은, 외부 관형 본체를 신체 부분 내에 삽입하는 역할을 하고 내부 관형 본체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확장 본체를 환자 부근의 단부에 가질 수 있는데, 확장 본체는 360° 시스템으로부터 진행하여, 11도 미만의 예각으로 테이퍼진다. 각도는 확장 본체의 2개의 외부 확장면 사이의 각도 범위와 관련되고, 확장 본체의 중심축에는 관련이 없다.
유리하게는, 확장 본체는 10.5도 미만의 예각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이는 이 프로세스에서 요구 확장이 발생하는, 확장 본체가 내부 관형 본체를 통해 천자된 신체 부분 내로 압박되고 외부 관형 본체가 신체 부분 내로 압박되는 것에 의해, 외부 관형 본체가 천자된 신체 부분 내로 용이하게 천자 부위의 부가의 확장 없이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확장 본체가 11도 미만, 특히 10.5도 미만의 예각으로 테이퍼져서, 확장 프로세스에서 피부를 통해 전진할 수 있게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확장 본체는 확장 본체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러한 재료로 코팅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확장 본체가 천자된 신체 부분 내에 삽입된 후에, 이는 확장되고 따라서 천자 부위를 확장하여, 외부 관형 본체가 천자된 신체 부분 내로 압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고정 위치에서, 종방향 변위 가능성은, 수동 작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정도로, 고정 요소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고정 요소는,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각각의 상이한 정도로 감소될 수 있는 상이한 고정 위치로, 수동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특정 요건에 따라 상이한 정도로 사용자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종방향 변위 가능성을 상쇄하거나 또는 오직 특정 정도 만큼 이를 감소시키는 것, 즉 사용자에 의해 필요하다고 간주되면, 서로에 대한 개별 층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고정 요소는,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내부 관형 본체의 및/또는
- 내부 관형 본체에 대한 천자 바늘의 및/또는
-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천자 바늘의 견지에서 조정 가능한 상이한 고정 위치로, 수동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천자 시스템의 고정 요소는 클램핑 요소로서 설계되거나 클램핑 요소를 가질 수 있고, 클램핑 요소에 의해
- 내부 관형 본체는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 천자 바늘은 내부 관형 본체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 천자 바늘은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의 제공에 의해, 천자 시스템의 개별 층은 천자 시스템의 안정한 위치를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는 여기서 원추형 슬롯 형성 슬리브와 유니온 너트(union nut)를 갖는 콜릿 척(collet chuck)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유니온 너트의 조임에 의해, 개별 층이 슬리브의 내부 원추 내로 가압되어 따라서 클램핑된다. 그러나, 이하의 대안들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 개별 층을 고정시키기 위해 천자 시스템 내에 도입되는 팽창 본체, 팽창 본체의 팽창은 내부층이 외부층에 대해 가압되어 따라서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 클립 시스템, 천자 시스템 외부에 위치된 클립이 뒤로 절첩될 때 개별 층은 압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 대응 보어를 통해 천자 시스템 내에 도입되는 나사, 나사의 회전은 압력에 의해 개별 층을 서로에 대해 고정한다.
- 천자 시스템의 개별 층의 코팅은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제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 개별 층이 예를 들어 노치에 의해 서로 래치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 개별 층은 비원형 직경, 또는 개별 위치에서 증가된 직경을 가짐으로써 서로 조여 고정될(wedged) 수 있고, 따라서 개별 층의 회전 중에 또는 전진 및 후퇴 중에 서로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 클램핑 요소는 예를 들어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서, 모든 층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의 압력 또는 장력에 의해, 층들의 고정이 상쇄되고 스프링이 인장된다. 클램핑 요소가 압력 또는 장력 하에 있지 않을 때, 클램핑 요소는 스프링 메커니즘으로 인해 그 시작 위치로 복귀하고 모든 층을 서로에 대해 고정한다. 클램핑 요소의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가 단지 하나의 손가락으로 조작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고정 요소의 설명된 기능은 제어 가능하고 반복 가능하여, 고정 요소의 큰 가요성이 보장된다. 특히, 고정 요소는 또한 천자 시스템이 개별 생명체 및 이들의 개별 해부학 구조에 그리고 상이한 신체 영역의 해부학 구조에 적응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의도된다. 내부 관형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천자 바늘의 첨예한 부분은 천자가 수행될 생명체를 향해 그 자유 길이의 관점에서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천자될 구조의 의심가는 피하 깊이는 천자 시술의 시작 전에도 고려 가능하다. 이는 또한 특히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 의해, 더 깊은 해부 구조가 우발적으로 천자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는 새로운 천자 시스템의 중요한 안전 양태를 나타낸다.
유리한 개선에서, 밀봉 요소는 내부 관형 본체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고정된다. 밀봉 요소가 내부 관형 본체의 플라스틱 코팅으로서, 특히 PTFE 코팅으로서 설계되면 더 유리하다. 이는 내부 관형 본체와 외부 관형 본체 사이의 유체의 교환이 단순한 설계 수단에 의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억제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유리한 개선에서, 내부 관형 본체는 외부에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다. 불균일한 표면은 예를 들어, 내부 관형 본체가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에서와 같이 나선형으로 권취된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그 결과 불균일한 표면이 생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관형 본체의 가요성이 이러한 권취에 의해 증가될 수 있어, 따라서 환자로의 더 용이한 적용을 허용한다. 재료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및 X-선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 가능할 수 있다. 불균일한 표면의 경우에, 불균일한 표면이 적어도 환자 부근 단부의 하위 영역에서, 밀봉 요소에 의해 커버되면, 특히 기밀 방식으로 커버되면 유리할 수도 있다.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 내부 관형 본체를 제조할 때, 특히 나선형 권취의 경우에, 내부 관형 본체가 외부 관형 본체와 관하여 유체에 투과성인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밀봉 요소에 의해, 내부 관형 본체와 외부 관형 본체 사이의 유체의 교환이 적어도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의 하위 영역에서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생명체에 적용을 위한 관형 중공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되고, 관형 중공 본체는 불균일한 표면을 갖고, 외부 또는 내부에, 특정 천자 시스템에 일체화되지 않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 코팅이 제공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관형 중공 본체가 나선형 구조를 가지면 또한 유리하다. 나선형 구조에 의해, 관형 중공 본체는 큰 가요성을 갖는데, 이는 환자로의 더 용이한 적용을 허용한다. 코팅에 의한 관형 중공 본체의 적어도 부분적인 밀봉은, 가요성이 유지되고 동시에 관형 중공 본체가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이어서, 따라서 예를 들어 관형 중공 본체를 통한 체액의 제거 또는 약물의 투여를 허용하는 것을 보장한다.
필요하면, 관형 중공 본체는 추가 구조체 또는 요소로, 예를 들어 관형 중공 본체의 특정 거리를 또한 포함하거나 걸쳐 있어 이에 의해 관형 중공 본체의 풀림을 상쇄할 수 있는 횡방향, 종방향 또는 대각선 구조체 또는 요소에 의해 부가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관형 중공 본체는 관형 중공 본체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예를 들어 플라스틱 코팅, 예를 들어 PTFE 코팅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관형 중공 본체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관형 중공 본체의 전기 전도성이 또한 달성될 수 있어, 예를 들어 ECG 신호가 신체 내의 위치의 모니터링을 허용하도록 검출될 수 있게 된다.
관형 중공 본체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부터 나선형 스프링처럼 권취될 수 있다. 개별 층은 서로 접촉하도록 서로 밀접하게 놓일 수 있다. 이는 팽팽하게 권취된 와이어로부터 제조된 이미 공지된 셀딩거 와이어의 구성과 유사하다. 팽팽하게 권취된 금속의 층에 의해, 관형 중공 본체는 절단 및 천공에 저항성이 있다. 관형 중공 본체의 외부 및/또는 내부의 밀봉 코팅은 관형 중공 본체를 유체 불투과성이 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는 흡인 중에 공기를 흡인할 수 없다. 유리하게는, 관형 중공 본체의 팁은 천자된 신체 부분에 대한 상해를 회피하기 위해, 환자 부근의 단부에서 뒤로 굴곡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관형 중공 본체는, 예를 들어 주름형 파이프와 같은, 원주 둘레로 분포된 홈을 갖는데, 이 홈은 불균일한 표면을 제공하고, 따라서 관형 중공 본체의 고도의 가요성이 달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홈은 관형 중공 본체의 전체 원주 둘레에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유리하게는 관형 중공 본체의 길이를 따라 균등한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분포된다. 관형 중공 본체는 따라서 변화하는 직경을 갖는다. 이 방식으로, 관형 본체가 상이한 위치에 배향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홈은 원주 둘레에 분포된 나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이러한 나선형 홈은 관형 중공 본체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압력 손실이 감소되고, 동시에 유체의 소용돌이 운동이 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종류의 관형 중공 본체는 상이한 의료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호흡 튜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이는 2개 이상의 유체 충전 공간이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될 때마다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그 하나 이상의 공간이 생명체 내에 위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공간은 예를 들어 기술 장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후속 카테터 삽입을 갖거나 갖지 않는, 흉막 천자, 방광 천자, 기관 천자 또는 농양 천자에 대한 사용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이는 원리적으로 신체 내의 모든 체강 및 공간 내의 천자 및/또는 카테터 삽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천자될 구조의 의심가는 내용물의 흡인이 언제든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관형 중공 본체의 정확한 위치 결정에 의해 특히 허용된다. 관형 중공 본체가 천자된 신체 부분에 놓여 있으면, 관형 중공 본체가 예를 들어, 가스 교환에 의해 또는 액체 기둥을 통해, 천자될 구조의 내용물 및 흡인 수단의 모두와 연통하는 것에 기초하여, 위치 결정이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천자 시스템이 아직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또는 천자 시스템의 최적의 최종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여전히 탐색되고 있으면, 방금 설명된 종류의 위치 결정이 필요한 만큼 종종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천자 원리가 얻어진다.
관형 중공 본체는 여기에서 천자 시스템에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천자 시스템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환자에게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형 중공 본체는 내부 관형 본체의 큰 가요성을 달성하고 따라서 환자로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된 천자 시스템의 내부 관형 본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환자는 인간과 동물 생명체의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유리한 개선에서, 천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를 가질 수 있고, 체결 요소는 천자 시스템을 환자에게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진행중인 작업 중에 천자 시스템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자 시스템의 고정은 예를 들어 이를 피부에 봉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천자 시스템을 피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릭/클립 메커니즘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클릭/클립 메커니즘에 의해, 미세한 피부 스테이플 또는 체결 요소가 피부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피부 스테이플이 피부 또는 결합 조직을 관통하고 천자 시스템이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피부 스테이플은 환자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천자 시스템은 언제든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천자 시스템의 시간 소모적인 봉합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클릭/클립 메커니즘으로 방금 설명된 절차가 필요한 만큼 종종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 내에 너무 깊게 삽입되면, 천자 시스템은 그 위치를 교정하기 위해 특정 거리 만큼 뒤로 당겨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반복 봉합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천자 시스템은, 예를 들어 겔 패드로서 설계될 수 있고 접착 액체 또는 겔을 포함하는 액체 충전 요소를 갖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겔 패드는 접촉시 인열 개방되고, 이 때 접착 액체 또는 겔이 겔 패드로부터 빠져나가고, 천자 시스템은 접착 액체 또는 겔에 의해 환자에게 고정된다.
천자 시스템은 사용자가 천자 시스템을 파지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는 파지 본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파지 본체는 사용자에 의한 천자 시스템의 취급을 향상시켜, 환자로의 더 용이한 적용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파지 본체가 리세스를 갖고, 리세스는 스레드를 안내하기 위해 설계되면 또한 유리하다. 이 경우, 견인력이 환자의 방향으로 봉합사에 의해 인가될 수 있어, 천자 시스템의 고정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제2 파지 본체가 환자 부근의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이 파지 본체는 적소에 고정되지만 천자 시스템의 최외부층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천자 시스템은 두 손으로 안전하게 조작될 수 있다.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천자 시스템은 내부 관형 본체, 외부 관형 본체 및/또는 천자 바늘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맨드릴을 갖는다. 맨드릴은 천자된 신체 부분 내로 관형 본체 및/또는 천자 바늘의 삽입을 위한 보조기로서 역할을 한다. 맨드릴은 천자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층이 위치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맨드릴은 필요하다면 소정 거리 뒤로 견인될 수 있다. 맨드릴은 예를 들어 중공 캐뉼러로 설계될 수 있고, 맨드릴은 개별 층의 안내를 안정화하고 따라서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맨드릴은 삽입 시술의 추가의 과정 중에, 신체 내로 더 깊게 통과할 수 있는 피부의 실린더를 천자 바늘이 제거하거나 펀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척수 부근 및 일반적으로 신경 부근에서의 사용과 같이, 천자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사용 영역을 개척한다. 맨드릴이 중공이 아니고 중실이면 여기서 유리할 수도 있다. 맨드릴은 이어서 어떠한 조직 실린더도 펀칭하지 않도록, 관형 본체의 루멘을 완전히 충전한다.
천자 바늘은 고정 요소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위치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 요소의 기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맨드릴을 수용할 수 있다.
내부 관형 본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금속으로 코팅되면 유리하다. 따라서, 천자 바늘이 내부 관형 본체를 우발적으로 천공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체 부분이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천자 바늘의 천자부에 의해 천자된 후, 내부 관형 본체가 외부 관형 본체로부터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출될 수 있고,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천자 바늘의 천자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 관형 본체의 천자 루멘 내에 수용되도록 설계되면 유리하다. 이는 외부 관형 본체가 환자에게 훨씬 더 용이하고 더 신속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층 구조에 의해, 천자가 수행된 후에, 내부 관형 본체가 천자 바늘을 통해 이와 같이 형성된 개구 내로 압박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관형 본체는 천자 바늘의 팁에 의해 유발된 손상에 대해 천자된 혈관을 미리 보호한다. 외부 관형 본체는 내부 관형 본체 위로 원하는 위치로 압박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관형 본체는 외부 관형 본체를 삽입하기 위한 보조기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천자 시스템이 최종 위치에 있을 때 내부 관형 본체는 또한 그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는 특히 신체 내부에 위치된 추가 구조, 예를 들어 작은 혈관이 내부 관형 본체의 환자-근방 개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도달될 때 또한 적합할 수도 있다. 내부 관형 본체의 방사선 불투과성 실시예는 내부 관형 본체의 위치가 부가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조영제가 예를 들어 내부 관형 본체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언급된 특성은 또한 특히 중재 의학에서 사용 영역을 개척할 수 있다.
환자로부터 이격된 단부에서, 천자 시스템은 흡인 보조기 또는 흡인 보조기의 부착을 위한 흡인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주사기로서 설계될 수 있는 흡인 보조기는 예를 들어 흡인 포트를 통해 천자 바늘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흡인 보조기가 내부 또는 외부 관형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이 방식으로,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방 영역이 여전히 타겟 구조 내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흡인이 언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의 흡인에 의해, 따라서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방 영역이 여전히 혈관 내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압 요소(underpressure element)가 천자 시스템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음압 챔버는 천자가 수행된 후에 액체 또는 혈액으로 자동으로 충전된다. 천자 시스템은 혈액의 색상에 따라 정맥 또는 동맥 혈관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천자 시스템의 위치는 이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음압 요소는 예를 들어 흡인 수단 대신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압 요소는 또한 천자 시스템의 분기 또는 3방향 밸브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다수의 음압 요소가 방금 설명된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들 음압 요소는 용이하게 제자리에 배치되고 또한 용이하게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천자 시스템은 예를 들어, 외부 관형 본체의 외부에 배열된 팽창 가능한 커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커프는, 피부 아래로 도입되어 팽창되거나 액체로 충전되는 커프에 의해, 천자 시스템을 외부로부터 밀봉할 수 있고, 천자 시스템은 따라서 외부로부터 밀봉된다. 게다가, 천자 시스템은 따라서 또한 그 위치, 특히 기관과 같은 중공 신체 내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
천자 시스템은 환자-원단부에 개재된 Y-부품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3방향 밸브가 Y-부품에 장착될 수 있다. 3방향 밸브는 이 경우에 Y-부품의 연장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3방향 밸브가 Y-부품에 직접 부착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Y-부품 상의 래치 요소에 의해, 래치 요소 내에 플러깅되는 것이 가능한 3방향 밸브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Y-부품은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어, Y-부품은 사용자에 의해 유리한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3방향 밸브의 개별 장착이 또한 가능하여, 매우 고도의 가요성이 보장되고 사용자가 최적의 제어가 허용된다. 3방향 밸브는 이 경우, 예를 들어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필터가 또한 3방향 밸브에 일체화될 수 있는데, 이 필터는 예를 들어 생명체의 신체 내로의 공기, 입자 또는 세균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이 종류의 필터는 또한 천자 시스템의 다른 위치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천자 시스템은, 천자 시스템의 부분이 필요하지 않을 때 제거될 수 있도록 모듈형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Y-부품은 카테터 호스의 분할, 예를 들어 다수의 루멘, 작업 채널 또는 유동 채널로의 분할이 필요하지 않을 때, 탈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나사 연결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Y-부품은 이 경우에 탈착 가능한 커버 플레이트로서 설계될 수 있다.
천자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천자 시스템 내의 유체의 검출 및 식별을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유체의 유동 방향이 또한 이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다른 특정 양태는 작은 루멘을 갖는 내부 관형 본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천자 바늘에 의해 생성된 피부 개구가 내부 관형 본체가 압박될 때 상당히 확장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일반적인 의학적 의미에서 확장이 여기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확장 캐뉼러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대신에, 내부 관형 본체는 천자 바늘에 의해 생성된 루멘을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관형 본체는 또한 루멘 고정 캐뉼러라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내부 관형 본체의 외경은 따라서 천자 바늘의 외경의 최대 2배 만큼 크다. 유리한 개선에서, 내부 관형 본체의 외경은 천자 바늘의 외경의 최대 1.5배 만큼 크다. 여기서 직경은 특정 용도에 따라 특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자 시스템이 큰 직경 및 더 작은 직경으로 이용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다른 공지된 제안에 대조적으로, 따라서 카테터 호스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따라서 피부 내에 단지 작은 구멍만을 남겨두는 천자 바늘이 제안된다.
여기서 또한 공지의 카테터 해결책에 비해 중요한 장점이 있다. 공지의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큰 직경을 갖고 카테터 호스가 그를 통해 이어서 정맥 내에 삽입되는 캐뉼러가 사용된다. 캐뉼러는 제자리에 방치되거나, 적절하면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피부 내의 천자 구멍은 카테터 호스보다 큰 직경을 갖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피부 내로의 카테터 호스의 진입 부위로부터 출혈을 유도한다. 더욱이, 삽입될 카테터 호스의 직경은 캐뉼러의 직경에 의해 제한된다. 캐뉼러는 미리 특정 직경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카테터 호스의 직경은 제한되고, 따라서 정맥 내로의 단위 시간당 특히 대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공지의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천자를 위해 사용되는 천자 바늘이 동등하게 큰 직경을 가져, 천자가 외상을 유발하게 된다는 것이다. 부정확한 천자는 상당한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본 발명에 의해 극복된다.
이에 따라, 단지 약간의 구경(caliber)의 변화만이 천자 바늘로부터 내부 관형 본체로의 전이부에 존재한다. 내부 관형 본체의 삽입을 더 단순화하기 위해, 이는 환자 부근의 단부에서 라운딩될 수 있다.
내부 관형 본체에 비교하여, 외부 관형 본체는 더 큰 구경의 변화를 갖는데, 이는 또한 대량의 액체의 전달을 위해 요구되는 필수 내경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외부 관형 본체의 외경은 따라서 내부 관형 본체의 외경의 적어도 2배 만큼 크다. 이 방식으로, 큰 유량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내부 관형 본체의 외경은 내부 관형 본체의 외경의 적어도 3배 만큼 크다.
이에 따라, 확장 단계는 단지 정맥 내에 외부 관형 본체를 삽입할 때에만 요구된다.
천자 시스템은 멸균 슬리브를 가질 수 있는데, 멸균 슬리브는 외부 관형 본체 또는 천자 시스템 위에 제4 층으로서 놓일 수 있다. 천자 시스템은 이러한 멸균 슬리브에 의해 부가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멸균 슬리브, 특히 환자-근단부를 향해 지향된 슬리브는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천자 시스템, 특히 외부 관형 본체의 전진 중에 슬리브가 피부에 상에 다시 유지되지만, 특히 외부 관형 본체가 신체 외부에 위치되면, 이는 천자 시스템을 부가적으로 안정화시킨다. 멸균 슬리브는 피부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신체 외부의 다소 더 견고한 특성 및 신체 내부의 다소 더 가요성 특성을 갖는 천자 시스템이 얻어진다.
적용의 시작시에, 피부 상에 안정화 효과를 갖고 배치되어 따라서 천자 시스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흡착 컵과 같은 요소가 또한 고려 가능하다. 그러나, 도포 전에 피부 상에 안정화 효과를 갖고 배치될 수 있는 스탬프형 부착이 또한 가능하다. 멸균 슬리브의 환자-근단부의 비드형 확장 또는 몇몇 다른 종류의 확장이 예를 들어, 또한 별도로 장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보호 링의 형태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확장은 또한 캡, 돌출부 또는 플랩처럼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활주 요소가 멸균 슬리브와 외부 관형 본체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그 결과 2개의 층의 최적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보장된다. 활주 요소는 예를 들어 볼로서 또는 볼형 하위 요소를 갖는 표면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데, 여기서 볼은 멸균 슬리브에 대한 외부 관형 본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윤활 겔 또는 다른 액체 또는 용액이 또한 외부 관형 본체와 멸균 슬리브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멸균 슬리브와 외부 관형 본체 사이의 전통적인 저항을 감소시키는 표면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진공의 개념에서 공기가 없는 공간이 발생되고 기밀 폐쇄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나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종류의 멸균 슬리브에 의해, 위생 양태를 만족하는 폐쇄 시스템이 생성될 수 있다. 더욱이,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 하에서 그리고 특수 상황에서 천자를 위해 또한 적합한 매우 강인한 천자 시스템이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멸균 슬리브는 또한 관형 또는 라멜라형(lamella-shaped)일 수 있다. 천자 시스템이 피부를 통과함에 따라, 멸균 슬리브는 서로 중첩하여 이에 의해 멸균 슬리브를 단축하는 멸균 슬리브의 상이한 미세 층에 의해, 망원경과 유사한 방식으로 단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멸균 슬리브는 또한 분리 가능하거나 인열 가능하고, 따라서 천자 시스템이 최종 위치에 위치되고 따라서 멸균 슬리브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제거 가능할 수 있다. 멸균 슬리브는 유리하게는 투명할 수 있어, 환자의 피부를 통한 외부 관형 본체의 전진이 항상 정확하게 추적될 수 있게 된다. 멸균 슬리브는 유리하게는 절단 및 천공에 저항성이 있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이하의 특징으로 개선될 수 있다:
- 내부 관형 본체는 천자 시스템 내로 측방향으로 삽입 가능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연결 요소는 외부 관형 본체의 루멘 내로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내부 관형 본체는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삽입 전에 부가의 멸균 슬리브 내에 미리 위치될 수 있다.
- 개별 층의 변위 가능성은, 예를 들어 회전 휠의 도움으로, 회전 휠의 회전에 의해 층들 중 하나가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변위될 층과 상호 작용하는 회전 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 천자 바늘은 천자가 이루어진 후에, 천자 바늘이 유입 유체에 의해 내부 관형 본체 내로 다시 이동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관형 본체 내에 배열된다.
- 개별 층은 고정 요소에 의해, 특히 고정 영역에서 천자 시스템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기에 적합한 재료 선택을 통해, 특히 고정 영역에서 보강될 수 있다.
- 외부 관형 본체는 액체의 유입 또는 유출을 위한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리세스는 이 경우에 외부 관형 본체의 환자-근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수의 출구 구멍이 주입될 액체의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리세스의 형상은 가변적이어서, 유동의 방향이 적합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세스는 특히 슬릿 형상 또는 경사형일 수 있다.
- 리세스는 규정된 방향으로만 액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보유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액체가 각각의 경우에 전용 채널을 통해 단지 일 방향으로만 통과하도록 허용되는 투석 카테터에서 유리할 수도 있다.
- 천자 시스템은 안전 요소를 가질 수 있는데, 안전 요소는 천자 시스템의 제거 후에 천자 바늘을 통과하여, 환자 또는 사용자가 바늘찔림 상해를 겪을 수 없게 된다. 견인 메커니즘이 또한 안전 요소로서 고려 가능할 것인데, 이 경우에 천자 바늘이 되돌아가는 것에 의해 안전이 제공된다.
- 천자 시스템의 적용은 다수의 사용 분야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색상 구성표(color scheme) 및/또는 수치표(numerical scheme)가 적용 프로세스를 더 명확하게 하고 따라서 환자의 안전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 천자 시스템은 소수성 및 친수성 구성요소의 모두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사용자 부근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액체가 축출되어 따라서 천자 시스템의 오염을 덜 야기하도록 소수성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개별 층의 대응 표면 코팅 과정에서 행해질 수 있다. 더욱이, 신체 부분 내로의 개별 층의 삽입이 더 용이해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관형 본체 내의 유량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 외부 관형 본체는 절단 및 천공에 저항성이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커버에 의해 또는 적합한 재료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천자 시스템의 모든 층은 절단 및 천공에 저항성이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 천자 시스템은 검출기 요소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검출기 요소는 압력 감응성 디자인을 갖고, 증가된 압력의 경우에, 검출기 요소는 액체로 충전된다. 이 방식으로, 동맥계의 압력이 원리적으로 정맥계에서보다 더 크기 때문에, 동맥 천자가 검출될 수 있다. 검출기 요소는 여기서 2개의 상호 별개의 지시기 챔버가 예를 들어, 생명체의 혈액 순환시에 지배하는 압력 조건에 따라 혈액으로 충전되게 하는 압력 감응식 스위치 또는 압력 감응식 밸브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정맥 천자와 동맥 천자 사이의 구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동맥 챔버"로의 유입은 단지 특정 압력을 초과할 때만 개방된다. 이 챔버가 혈액으로 충전될 때, 정맥 천자가 탐색되면, 잘못된 동맥 천자를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부가적으로 환자 안전을 증가시킨다. 압력 감도는 이 경우에 가변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환자의 순환 상황 또는 임상 상황에 적응될 수 있다.
- 천자 시스템은 천자 시스템 내로의 그리고 따라서 환자의 신체 내로의 액체의 역 외향 유동 및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가질 수 있다.
- 외부 관형 본체는, 내부 관형 본체가 제거될 때 내부 관형 본체를 수용하는 외부 관형 본체의 작업 루멘의 자동 폐쇄가 존재하도록 설계된 밸브 또는 밸브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 천자 시스템은 혈액과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다양한 장소에서 재료로 코팅될 수 있고, 여기서, 재료는 색상 변화에 의해, 혈액의 산소 함량 또는 혈액의 산소 분압을 지시한다.
- 천자 시스템은 항균 또는 항미생물 코팅을 가질 수 있다.
- 천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장소에, 예를 들어 세균에 의한 오염을 지시하는 특수 표면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이 표면 재료는 또한 형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 대안적으로, 분사된 후에 오염물이 가시화되게 할 수 있는 분사기가 또한 고려 가능하다.
- 산소 함량의 값을 판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천자 시스템 상에 또는 천자 시스템의 패키징 상에 직접 인쇄될 수 있는 컬러 차트가 사용될 수 있다.
- 천자 시스템은 상이한 환자에 대한 개별 적응을 달성하기 위해 길이가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자 시스템은 종방향 변위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코디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 전술된 종류의 천자 시스템에서, 종래의 셀딩거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천자 바늘 또는 내부 또는 외부 관형 본체를 통해 환자 내에게 도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 천자 시스템의 우발적인 꼬임의 경우, 흡인 수단이 차단 작용을 갖고 설계되어, 액체의 흡입 또는 전달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되면 유리할 수 있다.
- 천자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특히 활발한 외부 영향에 의해 성형 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환자, 예를 들어 환자의 개별 크기에 대한 개별 적응이 가능하다. 더욱이, 특정 해부학적 상황, 예를 들어 특정 혈관 코스 및 신체 내의 강 및 공간의 특정 구성에 대한 적응이 또한 가능하다.
- 천자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견고한 또는 강성 디자인일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또는 모든 구성요소는 또한 특정 분야, 예를 들어 최소 침습성 수술 분야에서 사용을 위해 견고한 또는 강성 디자인일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투관침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그 최종 위치에서, 내부 관형 본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층을 제거한 후, 예를 들어 신체 내의 강 또는 공간 내로의 수술 또는 내시경 기구를 위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천자 시스템이 얻어진다.
본 발명이 도면을 사용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천자 시스템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90° 회전된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천자 시스템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의 확대도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의 확대도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천자 시스템의 환자-원단부의 확대도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천자 시스템(1)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천자 시스템(1)의 모든 루멘은 공급시의 상태에서 멸균 식염수 또는 증류수로 충전될 수 있어, 천자 시스템(1)은 배기와 함께 직접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천자 시스템(1)은 환자-근단부(2)를 갖는데, 환자-근단부는 환자 내에, 예를 들어 정맥 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환자-원단부(3)는 환자로부터 이격 지향되어 배열되고, 천자 시스템(1)은 환자-원단부(3)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천자 시스템(1)은 외부 슬리브(4), 특히 멸균 슬리브(4)를 갖고, 천자 바늘(5), 내부 관형 본체(6) 및 외부 관형 본체(7)가 멸균 슬리브 내부에 배열된다. 천자 바늘(5)은 내부 관형 본체(6)의 작업 루멘 내부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고, 내부 관형 본체(6)는 외부 관형 본체(7)의 작업 루멘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도 1은 전달 상태에서 천자 시스템(1)을 도시하고 있다. 전달 상태에서, 천자 바늘(5)은 환자-근단부(2)에서 천자 시스템(1)으로부터 아직 돌출되어 있지 않다. 천자 바늘(5)은 여전히 보호 캡(8)을 구비하는데, 이 보호 캡은 환자로의 천자 바늘의 적용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이 종류의 보호 캡(8)은 천자 바늘(5)이 심지어 적용 전에도 사용자 및/또는 환자에 상해를 입히고 천자 바늘이 비멸균 영향력에 노출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천자 시스템(1)을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적합한 색상 코딩 또는 넘버링에 의해 천자 시스템(1) 상에 예시될 수 있는 이하의 단계들:
1. 천자 바늘(5)로 정맥을 천자하는 단계
2. 내부 관형 본체(6)를 정맥 내로 원하는 위치로 전진시키는 단계
3. 천자 바늘(5)을 제거/견인 후퇴시키는 단계
4. 내부 관형 본체(6)를 폐쇄하는 단계
5. 내부 관형 본체(6)를 통해 정맥 내로 외부 관형 본체(7)를 전진시키는 단계
6. 내부 관형 본체(6)를 제거/견인 후퇴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외부 관형 본체(7)는 확장 본체(9)를 갖는데, 확장 본체(9)는 천자된 부위의 단계적 확장을 허용하여, 내부 관형 본체(6)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에 의해, 외부 관형 본체(7)가 천자된 신체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확장 본체(9)는 여기에서 11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10.5° 미만의 각도로 테이퍼지고, 따라서 천자 부위의 신뢰적인 확장을 보장한다.
멸균 슬리브(4)가 천자 시스템(1)에 안정화 효과를 갖는 점은 명백하다. 멸균 슬리브(4)는, 그 크기 때문에, 천자 부위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멸균 슬리브(4)는 예를 들어 중실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환자의 신체 내부에 내부 관형 본체(6) 및 외부 관형 본체(7)를 갖는 천자 시스템(1)은 가요성 특성을 갖고, 신체 외부의 외부 슬리브(4)에 의해, 천자 시스템(1)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가져, 환자에 적용이 더 용이하게 된다. 슬리브(4)는 투명하여, 천자 바늘(5), 내부 관형 본체(6) 및 외부 관형 본체(7)의 종방향 변위가 사용자에게 항상 식별 가능하게 된다. 천자 바늘(5), 내부 관형 본체(6) 및 외부 관형 본체(7)는 투명할 수 있다.
주사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본체(10)가 환자-원단부(3)에 제공되고, 주사기는 예를 들어, 혈액의 흡인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부착 본체(10) 상의 맨드릴(11)은 외부 관형 본체(7) 및 내부 관형 본체(6) 및 천자 바늘(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천자 시스템(1)은 2개의 체결 요소(13)를 더 갖는데, 체결 요소(13)는 천자 시스템(1)을 환자에게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천자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체결 요소(13)에서 환자에게 봉합될 수 있다.
Y-부품(14)이 환자-근단부(2)와 환자-원단부(3) 사이에서 천자 시스템(1) 상에 배열된다. 3방향 밸브(15.1)가 Y-부품(14)에 부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이한 액체의 동시 투여를 허용하는 다수의 액세스 경로를 천자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3방향 밸브(15.1)는 여기서 래치 메커니즘(15.2)을 통해 Y-부품(14)에 연결되는데, 래치 메커니즘은 래치 메커니즘(15.2) 내에 3방향 밸브(15.1)를 래치 결합함으로써 신속하고 신뢰적인 연결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천자 시스템(1)을 통한 연속 ECG 포착을 위한 주사기, 주입 라인 또는 전기 접속 라인이 3방향 밸브(15.1)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필터가 또한 3방향 밸브에 일체화될 수 있는데, 이 필터는 예를 들어 인간 신체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가 규정된 방향으로만 유동하게 하는 플랩이 3방향 밸브에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방향으로 천자 시스템으로부터의 비의도된 액체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천자 시스템(1)은 고정 요소(16)를 갖는데, 고정 요소(16)는 종방향 슬롯 형성 슬리브(17) 및 유니온 너트(18)로 형성된다. 천자 바늘(5), 내부 관형 본체(6) 및/또는 외부 관형 본체(7)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고정 요소(16)에 의해 감소되거나 상쇄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유니온 너트(18)를 조임으로써, 천자 시스템(1)이 그 위치에서 안정화되는 방식으로 천자 바늘(5), 내부 관형 본체(6) 및/또는 외부 관형 본체(7)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환자로의 적용이 더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층 중 2개만이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른 층들이 적용 단계에 따라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도 2는 90° 회전된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천자 시스템(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천자 시스템(1)이 파지 본체(19.1)를 갖는 것을 이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데, 파지 본체(19.1)는, 사용자가 적용 프로세스 중에 환자-근단부(2)를 파지 및 제어하고, 또는 더 안정화하기 위해 그 다른 손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천자 시스템(1)을 조작자에게 사용이 더 용이하게 한다.
파지 본체는 스레드를 안내하기 위해 구성된 리세스(19.2)를 갖는다. 리세스(19.2) 및 체결 요소(13)(도 1 참조)를 통해 환자에게 봉합되는 봉합사에 의해, 인장력이 환자의 방향으로 인가될 수 있어, 환자로의 고정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천자 시스템(1)의 환자-근단부(2)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천자 시스템(2)의 3층 구조가 명백하게 보여질 수 있다. 천자 바늘(5)은 종축(L)의 방향으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내부 관형 본체(6)의 작업 루멘 내부에 배열되고, 내부 관형 본체(6)는 외부 관형 본체(7)의 작업 루멘 내에 배열된다. 외부 관형 본체(7)가 확장 요소(9)를 갖는 것이 또한 명백한데, 확장 요소(9)는 11° 미만의 예각으로 테이퍼져서, 천자된 신체 부분의 확장이 달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외부 관형 본체(7)는 천자 부위를 통해 환자의 신체 내로 안내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천자 바늘(5)에 대한 직경의 차이가 너무 작아 내부 관형 본체(6)가 천자 부위를 통해 신체 내로 어떠한 문제도 없이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관형 본체(6) 상의 확장 본체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외부 관형 본체(7)가 구멍(20)을 갖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외부 관형 본체(7)의 외부에 있는 이러한 구멍(20)은 액체 출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멍(20)은 여기에서 그 형상의 관점에서 한정되지 않으며, 실제로 또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멍은 예를 들어 액체의 유동의 방향에 적절하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경사형 또는 또는 슬롯형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또한 도 3에 따른 천자 시스템(1)의 환자-근단부(2)의 확대도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천자 시스템(1)은 외부 관형 본체(7)의 외부에 복수의 구멍(20)을 갖는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고, 구멍(20)은 환자-근단부(2)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열된다.
외부 관형 본체의 각각의 채널(21)이 각각의 구멍(20)에 할당된다. 이는 특히 액체가 들어가고 또한 나갈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이어서 자율 채널(21) 중 하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내부 관형 본체(6)가 원주 둘레로 연장하는 밀봉 요소(22)를 갖는 것을 또한 도 4로부터 볼 수 있을 것이다. 밀봉 요소(22)는 예를 들어 PTFE 코팅일 수 있고, 내부 관형 본체(6)의 외부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관형 본체(6)가 권취 구조를 가지면, 내부 관형 본체(6)와 외부 관형 본체(7) 사이에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밀봉이 필요하다. 도 4에서, 밀봉 요소(22)는 관형 본체(6) 둘레에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밀봉 요소(22)가 관형 본체(6)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천자 시스템(1)의 환자-원단부(3)의 확대도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고정 요소(16)는 종방향 슬롯 형성 슬리브(17) 및 유니온 너트(18)로 형성된다. 유니온 너트(18)가 조여진 후에, 천자 바늘(5) 및 내부 관형 본체(6)가 종방향 슬롯 형성 슬리브(17) 내로 가압되고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이 방식으로 감소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어느 층에서 종방향 변위 가능성 감소되는지의 문제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관형 본체(7)가 종방향 슬롯 형성 슬리브(17) 내에 수용되어, 모든 3개의 층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감소되거나 상쇄될 수 있게 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시의 다른 형태가 또한 고려 가능하다. 더욱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성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로 연계되지 않고,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체적으로 설명된 구성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별 요소의 수, 길이 또는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항상 고려 가능하다.

Claims (16)

  1. 생명체의 신체 부분에 잔류하도록 설계된 외부 관형 본체를 갖는 천자 시스템이며, 천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관형 본체 및 천자 바늘을 갖고, 상기 내부 관형 본체는 상기 외부 관형 본체의 작업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천자 바늘은 상기 내부 관형 본체의 천자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내부 관형 본체는 상기 천자 바늘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천자 시스템에 있어서, 이하의 특징 a), b), c):
    a) 상기 천자 시스템은 수동 작동에 의해 적어도 고정 위치 및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수동 작동 가능한 고정 요소를 갖고, 상기 고정 위치에서,
    a1) 상기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내부 관형 본체의 및/또는
    a2) 상기 내부 관형 본체에 대한 상기 천자 바늘의 및/또는
    a3) 상기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한 상기 천자 바늘의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상쇄되거나 감소되는 것,
    b) 상기 천자 시스템은 상기 내부 관형 본체가 적어도 환자 부근의 단부에서 상기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밀봉되게 하는 밀봉 요소를 갖는 것,
    c) 상기 천자 시스템은, 상기 외부 관형 본체를 신체 부분 내에 삽입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내부 관형 본체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확장 본체를 환자 부근의 단부에 갖고, 상기 확장 본체는 11도 미만의 예각으로 테이퍼지는 것
    중 하나, 그 이상, 또는 모두를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 변위 가능성은, 수동 작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고정 요소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각각의 상이한 정도로 감소될 수 있는 상이한 고정 위치로, 수동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종방향 변위 가능성이 각각의 경우에 제1항의 특징 a1), a2), a3)의 상이한 조합에 관하여 조정 가능한 상이한 고정 위치로, 수동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는 클램핑 요소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클램핑 요소를 갖고, 상기 클램핑 요소에 의해
    a1) 상기 내부 관형 본체는 상기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a2) 상기 천자 바늘은 상기 내부 관형 본체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a3) 상기 천자 바늘은 상기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는 상기 내부 관형 본체의 외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는 상기 내부 관형 본체의 플라스틱 코팅으로서, 특히 PTFE 코팅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형 본체는 외부에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균일한 표면은 적어도 환자 부근 단부의 하위 영역에서, 상기 밀봉 요소에 의해 커버되고, 특히 기밀 방식으로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를 갖고, 상기 체결 요소는 상기 천자 시스템을 환자에게 고정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자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천자 시스템을 파지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 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본체는 리세스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스레드를 안내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자 시스템은 상기 내부 관형 본체, 상기 외부 관형 본체 및/또는 상기 천자 바늘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맨드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형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금속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체 부분이 상기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천자 바늘의 천자부에 의해 천자된 후, 상기 내부 관형 본체는 상기 외부 관형 본체로부터 상기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출될 수 있고, 상기 천자 시스템의 환자-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천자 바늘의 천자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관형 본체의 천자 루멘 내에 수용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시스템.
  16. 생명체에 적용하기 위한 관형 중공 본체이며, 상기 관형 중공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관형 중공 본체는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 관형 중공 본체에 있어서, 상기 관형 중공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또는 내부에 밀봉 코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중공 본체.
KR1020207024971A 2018-02-02 2019-01-24 천자 시스템 KR20200118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2390.1 2018-02-02
DE102018102390.1A DE102018102390A1 (de) 2018-02-02 2018-02-02 Punktionssystem
PCT/EP2019/051751 WO2019149615A1 (de) 2018-02-02 2019-01-24 Punktions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090A true KR20200118090A (ko) 2020-10-14

Family

ID=6536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971A KR20200118090A (ko) 2018-02-02 2019-01-24 천자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44611B2 (ko)
EP (1) EP3746167B1 (ko)
JP (1) JP7313698B2 (ko)
KR (1) KR20200118090A (ko)
CN (1) CN111655321B (ko)
AU (1) AU2019215680B2 (ko)
BR (1) BR112020015371A8 (ko)
DE (1) DE102018102390A1 (ko)
WO (1) WO20191496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459A (ko) 2021-02-04 2022-08-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1203A1 (en) * 2020-07-30 2022-02-0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erebrospinal Fluid
DE102021115847A1 (de) 2021-06-18 2022-12-22 Ebnet Medical Gmbh Punktionsvorrichtung
US20230256209A1 (en) * 2022-02-15 2023-08-17 Bard Access Systems, Inc. Central Catheters, Assemblies, and Methods Thereof
DE102022121022A1 (de) 2022-08-19 2024-02-22 Ebnet Medical Gmbh Medizinisches Zuga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667A (en) 1986-09-19 1988-08-16 Microvasive, Inc. Tissue-penetrating catheter device
ATE77058T1 (de) * 1987-06-27 1992-06-15 Haindl Hans Kathetervorrichtung.
DE19702898A1 (de) * 1996-04-04 1998-07-23 Somatex Medizintechnische Inst Laser-Applikationskatheter
US6530902B1 (en) * 1998-01-23 2003-03-11 Medtronic, Inc. Cannula placement system
US6419643B1 (en) * 1998-04-21 2002-07-16 Alsius Corporation Central venous catheter with heat exchange properties
EP2248549A3 (en) * 2001-12-26 2010-12-08 Yale University Vascular access device
US7192433B2 (en) * 2002-03-15 2007-03-20 Oscor Inc. Locking vascular introducer assembly with adjustable hemostatic seal
DE10215191A1 (de) * 2002-04-05 2003-10-16 Pajunk Ohg Besitzverwaltung Kanüle
US7166088B2 (en) 2003-01-27 2007-01-23 Heuser Richard R Catheter introducer system
US7163525B2 (en) * 2004-12-17 2007-01-16 Ethicon Endo-Surgery, Inc. Duckbill seal protector
WO2008092029A2 (en) * 2007-01-24 2008-07-31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US8652104B2 (en) * 2010-06-25 2014-02-18 Smiths Medical Asd, Inc. Catheter assembly with seal member
WO2012162677A1 (en) * 2011-05-25 2012-11-29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US9358039B2 (en) * 2012-05-08 2016-06-07 Greatbatch Ltd. Transseptal needle apparatus
DE102015117923A1 (de) 2015-07-29 2017-02-02 Jens Ebnet Punktions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459A (ko) 2021-02-04 2022-08-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9615A1 (de) 2019-08-08
JP7313698B2 (ja) 2023-07-25
DE102018102390A1 (de) 2019-08-08
AU2019215680B2 (en) 2024-05-02
EP3746167C0 (de) 2023-07-26
US11744611B2 (en) 2023-09-05
EP3746167B1 (de) 2023-07-26
JP2021512666A (ja) 2021-05-20
BR112020015371A2 (pt) 2020-12-08
AU2019215680A1 (en) 2020-09-03
US20220175416A1 (en) 2022-06-09
BR112020015371A8 (pt) 2022-12-06
CN111655321A (zh) 2020-09-11
CN111655321B (zh) 2023-01-03
EP3746167A1 (de)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8090A (ko) 천자 시스템
JP2834573B2 (ja) カテーテル導入シリンジ
US5257979A (en) Instrument for catheterization
US5695479A (en) Instrument, system, kit and method for catheterization procedures
US5290244A (en) Syringe and needle with guide wire for cannulation of central veins
US11957849B2 (en) Puncturing system
JP4430939B2 (ja) 血管到達具
EP0615767A1 (en) Catheter introducer with enhanced needle gripping
JP6043301B2 (ja) 血管用針システム
US20110313399A1 (en) Intravenous cannula
JP2021518224A (ja) 静脈留置カニューレ
US10806894B2 (en) Catheter hub with sealed access port
JP2020523167A (ja) 医療用穿刺器具
CN115052650A (zh) 静脉留置套管
WO2021183436A1 (en) Arterial access needle with proximal port
JPH11347130A (ja) 医療用シース
JP7374686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CN115554482A (zh) 一种药物或者食物中毒的导管引流组件
US8882715B2 (en) Catheterization device and method
WO1995009662A1 (en) Instrument for catheterization
CA2173443A1 (en) Instrument for cathet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