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711A -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711A
KR20200117711A KR1020190040229A KR20190040229A KR20200117711A KR 20200117711 A KR20200117711 A KR 20200117711A KR 1020190040229 A KR1020190040229 A KR 1020190040229A KR 20190040229 A KR20190040229 A KR 20190040229A KR 20200117711 A KR20200117711 A KR 2020011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contact
rod assembly
photo sensor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영
이현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4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711A/ko
Priority to US17/601,576 priority patent/US11821949B2/en
Priority to PCT/KR2020/003286 priority patent/WO2020204377A1/ko
Priority to CN202080025620.4A priority patent/CN113661555A/zh
Publication of KR2020011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015Means for testing or for inspecting contacts, e.g. wear indic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8Means for obtaining or monitoring the vacu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접점 마모량을 감시할 수 있는 접점 감시 장치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접점의 마모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2개의 포토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센서 자체 또는 설치 상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포토 센서나 푸시 로드의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하게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Monitoring device of contacting point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having it}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접점 마모량을 감시할 수 있는 접점 감시 장치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차단기는 진공의 절연 내력을 이용해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단락이나 지락 등의 사고 시 사고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 보호기이다.
진공차단기는 전력 수송제어 및 전력계통의 보호 역할을 한다. 진공차단기는 차단용량이 크고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작은 설치 공간에도 거치할 수 있어 중전압에서부터 고전압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진공차단기는 전류를 차단하는 핵심부품인 진공 인터럽터와, 진공 인터럽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여 진공 인터럽터 내의 접점을 투입 또는 차단하는 푸시로드 등을 포함한다. 진공차단기의 핵심 부품인 진공 인터럽터의 일 예가 한국특허등록 제10-1860348(등록일 2018. 05.16)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진공 인터럽터(100)는 절연용기(190)와, 고정전극(110)과, 가동전극(150) 및 아킹쉴드(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전극(110)과 가동전극(150)은 각각 고정접점(130) 및 가동접점(170)을 구비한다. 가동전극(150)의 상하이동에 따라 가동접점(170)이 고정접점(130)에 접촉하거나 분리된다.
고정접점(130) 및 가동접점(170)은 전류 차단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접점 마모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접점이 일정 이상 마모되면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 접점의 보수 또는 교체가 적절한 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공 인터럽터의 단시간 성능, 단락 성능 및 통전 성능의 저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확한 접점의 마모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접점 마모량은 밀리미터 단위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측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접점의 마모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센서 자체의 측정 오차나 설치 시 발생하는 오차, 센서의 조립 자체의 공차 등으로 인한 오차 등과 같이 외부적인 요인이 센서 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해 센서를 사용해 접점 마모도를 판단하는 경우 센서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의 오차를 최소화하거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보정할 수 있으면서 정확한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접점 마모량을 감시할 수 있는 접점 감시 장치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진공 인터럽터의 가동전극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이 되는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와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의 상기 출력 신호를 비교 분석해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의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변위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배치되되, 서로 같은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각각 배치되되, 서로 같은 높이에 설치되며, 센싱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는 감별 스티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 별로 감지하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포토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변위값을 비교해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오류를 판단하고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상기 진공차단기의 접점 투입 이전 초기 감지 위치에 대응하는 오픈 위치값, 접점 투입 회수 별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변위,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변위에 대한 허용 오차 범위, 상기 진공차단기의 최대 접점 마모량에 대응하는 최대 클로즈 위치값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에서 각각 감지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직 방향 변위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포토 센서 모듈의 오류로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출력값이 서로 달라지면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위치 오류,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오류 중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오류에 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출력값이 서로 달라져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위치 오류로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최초 출력값을 기준으로 상기 출력값의 증감량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오차를 보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용기 내에 고정되고 일단에 고정접점이 구비된 고정전극과, 일단에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용기 내에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전극을 갖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가동전극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 및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이 되는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와,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와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의 상기 출력 신호를 비교 분석해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의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변위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구비한 접점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배치되되, 서로 같은 높이 또는 다른 높이에 설치되거나, 서로 같은 높이에 설치되되 센싱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는 감별 스티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출력값이 서로 달라지면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위치 오류,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오류 중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오류에 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접점의 마모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 이상 진행되기 전에 접점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진공차단기의 신뢰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수평 방향의 센싱 방향을 갖는 포토 센서를 이용해 수직 방향의 변위를 갖는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마모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는 2개의 포토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센서 자체 또는 설치 상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포토 센서나 푸시 로드의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하게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가 적용된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포토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오류 상황 발생 시 도 6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오차 상황 발생 시 도 6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거리별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가 적용된 진공차단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포토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감별 스티커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B)는 진공차단기(A)의 주회로부(100) 하측에 설치되어 진공 인터럽터(130)의 접점 마모를 감시한다.
진공차단기(A)의 주요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진공차단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편의상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을 수직 방향, 높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정의한다).
진공차단기(A)는 진공 인터럽터(130)를 포함하는 주회로부(100)와, 진공 인터럽터(130)의 접점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 및 메인 샤프트(300)와, 구동력을 발생하며 메인 샤프트(30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주회로부(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진공 인터럽터(130)가 설치된다. 진공 인터럽터(130)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절연용기(132)와, 절연용기(13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전극(134)과, 고정전극(134)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접점(134a)과, 절연용기(132)의 내측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전극(136)과, 가동전극(136)의 단부에 구비된 가동접점(136a)을 구비한다. 절연용기(132)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하는 아크 실드(132a)가 수용되며, 아크 실드(132a)는 고정전극(134)과 고정접점(134a), 가동전극(136)과 가동접점(136a)의 주변을 감싼다. 가동접점(136a)은 가동전극(136)에 의해 고정접점(134a)에 접촉(투입 상태)되거나 고정접점(134a)으로부터 분리(차단 상태)된다. 가동전극(136)은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가동전극(136)을 투입 또는 차단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메인 샤프트(300)의 동력을 가동전극(136)에 전달하는 여러 축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로드 하우징(210) 상에 후술할 접점 감시 장치(B)의 일부 구성이 설치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단에 메인 샤프트(300)가 연결된다.
메인 샤프트(300)는 메커니즘 어셈블리(400)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어셈블리(40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로 전달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B)는 주회로부(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500, 500')와,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감별 스티커(700), 그리고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8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500, 500')는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 등으로 다양하게 배치되어 활용된다. 이하에서는 센서 어셈블리(500, 500')가 2개이고 수직 방향으로 단차지게 배치된 실시 예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2개의 센서 어셈블리(500, 50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세부 구조는 편의상 제1 센서 어셈블리(5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센서 어셈블리(500)는 감별 스티커(700)의 위치 감지를 위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과,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을 수용하는 제1 센서 홀더(530)와, 제1 센서 홀더(530)를 주회로부(100)의 하측에 결합시키는 제1 센서 브라켓(550)을 포함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제1 발광부(512) 및 제1 수광부(514)와, 제1 발광부(512) 및 제1 수광부(514)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1 회로부(516)를 포함한다. 제1 발광부(512) 및 제1 수광부(514)는 제1 회로부(516)의 일면에 나란히 설치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제1 발광부(512) 및 제1 수광부(514)가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로드 하우징(21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설치 방향의 의미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제1 발광부(512)에서 빛을 방사하고, 방사된 빛이 감별 스티커(700)의 표면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광량을 제1 수광부(514)에서 감지하는 타입의 광센서이다.
제1 회로부(516)는 제1 수광부(514)에서 감지한 빛의 세기에 비례하는 광전류가 흐르므로, 반사되어 되돌아온 광량이 클수록 발생하는 전류량이 커지게 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이 제1 발광부(512)에서 발광한 빛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므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멀어질수록 반사되어 제1 수광부(514)로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한다.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하면 광전류가 약해지므로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제1 회로부(516)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과 감지 대상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빛을 발광하고 반사광이 반사되는 방향이 센싱 방향이 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센싱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이동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회로부(516)에서는 광전류를 처리해 외부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신호는 센싱한 광량에 따라 작아지거나 커지며, 광량은 변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제1 회로부(516)에서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면 결과적으로 이동 변위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회로부(516)에서 출력된 신호는 외부 데이터 처리장치나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기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처리 장치(800)가 구비되어 각종 신호 처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센서 홀더(530)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을 수용한다. 제1 센서 홀더(53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 홀더(530)의 개방된 일측으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제1 발광부(512) 및 제1 수광부(514)가 노출된다. 제1 센서 홀더(530)는 개방된 일측과 반대쪽 타측 또는 측면부에 제1 센서 브라켓(550)에 결합되는 결합부(532)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532)는 볼트가 삽입되는 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 홀더(530)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는다면 박스 형태가 아닌 'ㄱ'자나 'ㄴ'자, 'ㄷ'자 형태 등의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센서 브라켓(550)은 주회로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장착된다. 제1 센서 브라켓(550)은 제1 센서 홀더(530)를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설치 위치가 로드 하우징(210)을 향해야 한다. 따라서 제1 센서 브라켓(550)은 역'ㄱ'자 형상을 가지며, 주회로부(100)의 하우징(110) 하측으로 연장된 면에 제1 센서 홀더(530)가 결합된다. 제1 센서 브라켓(550)의 판면에는 제1 센서 홀더(530)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과, 하우징(110)과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 브라켓(550)은 볼팅 결합 등으로 제1 센서 홀더(530) 및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제1 센서 홀더(530)와 제1 센서 브라켓(550)이 별도로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을 수용해 주회로부(100)의 하우징(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하나의 고정 수단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렇게 설치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감별 스티커(700)를 이용해 센싱 방향과 상이한 방향의 변위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제2 센서 어셈블리(500')는 제1 센서 어셈블리(500)와 동일하게 제2 포토 센서 모듈(510'), 제2 센서 홀더(530'), 제2 센서 브라켓(550')을 포함한다. 제2 센서 어셈블리(500')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이 설치된 위치보다 다소 높거나 낮게 단차진 위치에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보다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이 더 낮게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각 센서 어셈블리(500, 500')의 제1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 510')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단차지게 설치되어 각각 작동됨으로써 제1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 510')에 오차가 발생했을 때 발생한 오차를 보정(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 보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는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스티커이다. 감별 스티커(7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형상이다. 감별 스티커(700)는 포토 센서 모듈(510)을 향하는 방향에 부착된다. 감별 스티커(700)는 도 4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검정색에서 흰색이 되는 그라데이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감별 스티커(700)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검정색에서 흰색이 되는 그라데이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감별 스티커(700)는 일정 영역에서의 반사율이 다른 영역에서의 반사율과 차이가 있어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이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감별 스티커(700)의 최상단이 검정색이고 최하단이 흰색인 것은 감별 스티커(700)를 부착하는 주변부와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주변 색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감별 스티커(700)의 최상단 및 최하단 약 10% 정도에 검정색 및 흰색 영역이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그라데이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감별 스티커(700)는 최상단 및 최하단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영역이 그라데이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이 경우 최초 감지 위치나 부착 위치를 조절해 주변 색의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 감별 스티커(700)의 검정색 및 흰색을 제외한 그라데이션 영역 내에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영역이 존재하도록 감별 스티커(700)의 부착 위치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를 그라데이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각 영역의 경계를 지날 때 반사광의 전류값이 점진적으로 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감별 스티커(700)는 고정접점(134a) 및 가동접점(136a)이 일정량 이상 마모되어 푸시 로드(230)의 상승 높이가 달라지는지의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스티커이다(본 발명에서 '접점 마모량'이란 용어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투입에 의해 마모되어 푸시 로드가 상승하는 변위로 정의함. 푸시 로드의 상승 변위를 직접 측정하기 어려워 로드 하우징에 감별 스티커를 부착함으로써 푸시 로드의 변위를 간접 측정한다).
감별 스티커(700)는 접점 차단 상태에서 도 2 및 도 5의 오픈 위치(Po)가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접점 투입 상태에서 감별 스티커(700)의 클로즈 위치(Pc1)에서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다.
접점 투입이 이루어질 때마다 접점이 마모되면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가 점차 상승하므로 감별 스티커(700)도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하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값이 되는 감지 위치를 최대 클로즈 위치(Pcm)로 정의한다.
접점 마모량이 최대값이 되기 전까지 접점 투입이 이루어질 때 감지 위치는 초기 클로즈 위치(Pc1)와 최대 클로즈 위치(Pcm)의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위치 및 접점 마모량이 최대가 되는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어느 부위가 될지는 현장에 접점 감시 장치가 설치되기 전에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을 설치한 후 감지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은 제1 포토 센서 모듈(510)보다 아래 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보다 아래 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의 오픈 위치(Po'), 초기 클로즈 위치(Pc1') 및 최대 클로즈 위치(Pcm')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과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설치 높이 차이 만큼 아래에 위치한다.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은 제1 포토 센서 모듈(510)과 동일하게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을 모두 사용하여 포토 센서의 오류나 이상을 감지하고 보정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전술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는 진공차단기(A)의 외부에 설치된 데이터 처리 장치(800)로 전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진공차단기(A)의 외부에 설치되어 포토 센서 모듈(510, 510')과 통신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포토 센서 모듈(510, 5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통해 접점 마모량을 판별하고, 사용자 경고 여부를 결정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접점 마모량 판단에 필요한 접점 마모량 판단 기준을 설정하고 온도에 따라 이를 보정하는 역할도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먼저 포토 센서 모듈을 이용해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도 2의 상하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작동되므로 접점 차단 상태에서는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다. 최초 1회 투입 상태에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일정량의 수직 방향 변위를 나타낸다. 그러나 접점 마모가 발생하면 마모량만큼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가 접점 마모량이 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를 감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측에 수직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하측에는 메인 샤프트(300)가 결합되고, 진공차단기(A)의 하부 구성품들이 존재하므로 센서를 설치할만한 충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되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이동 방향에 평행한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방향은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주변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주회로부(100)의 하우징(110) 하단에서 외측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는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만 가질 뿐, 수평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일측에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을 설치하더라도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변위를 감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감별 스티커(700)를 적용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를 수평 방향 변위로 변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별 스티커(700)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과 마주보는 방향의 로드 하우징(210)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다. 이때, 로드 하우징(210)의 투입 전 위치에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제1 발광부(512) 및 제1 수광부(514)의 위치는 감별 스티커(700)의 오픈 위치(Po)에 위치한다. 오픈 위치(Po)가 투입 전 상태에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위치가 된다. 접점 투입이 반복되면서 접점 마모량이 점차 증가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한계치보다 작을 때에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위치는 감별 스티커(700)의 클로즈 위치(Pc1)에 좀더 가까울 수 있다.
투입이 반복되면서 접점 마모량이 늘어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하우징(210)이 점차 상승하게 된다. 로드 하우징(210)의 상승에 따라 감별 스티커(700) 역시 함께 상승한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제1 발광부(512) 및 제1 수광부(514)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감별 스티커(700)의 상승에 따라 발광 및 수광 위치가 점차 하강하게 된다.
접점 마모량이 점차 증가해 로드 하우징(210)이 점차 상승하고,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이르면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발광 및 수광 위치가 오픈 위치(Po)에서 멀어져 최대 클로즈 위치(Pcm)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감별 스티커(700)의 오픈 위치(Po)에 빛을 발광해 재입사되는 반사광은 최대 클로즈 위치(Pcm)에서 재입사되는 반사광보다 광량이 매우 적다. 검정색은 빛을 흡수하는 색이기 때문에 검정색에 가까울수록 반사광의 광량이 적다. 따라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센싱 위치가 감별 스티커(700)의 오픈 위치(Po)에 위치할 때보다 흰색에 가까운 최대 클로즈 위치(Pcm)에 위치할 때 발생되는 광전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가 달라지므로, 이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로드 하우징(210)의 수직 변위를 계산할 수 있다.
로드 하우징(210)의 수직 변위가 곧 접점 마모량이므로,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접점 마모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가 되었는지 여부를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알 수 있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은 센싱 방향에 수직이 되는 수직 방향 변위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없으나, 감별 스티커(700)의 명암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가 수직 변위를 수평 변위로 전환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을 적용해 접점 마모량을 간접적으로 감시 및 감지할 수 있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에 의해 감시되는 접점 마모량은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로 감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 마모량이 한계치 이상 진행되기 전에 접점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지 보수 시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진공차단기의 신뢰성 및 성능이 향상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포토 센서 모듈(510') 역시 접점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포토 센서 모듈의 오류나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이하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판단이나 제어의 주체는 데이터 처리장치임).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에 의해 감지되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진공차단기(A)의 설치 이전 초기 감지 위치인 오픈 위치(Po)에 대한 정보(오픈 위치값), 접점 투입 회수에 따른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에 대한 허용 오차 범위, 최대 접점 마모량에 대응하는 최대 클로즈 위치(Pcm)에 대한 정보(클로즈 위치값)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 각각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각 저장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 위치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아래의 수치는 감별 스티커의 총 높이 50mm를 기준으로 상단에서부터 각 감지 위치까지 거리를 나타냄).
구분(단위: mm) 제1 포토 센서 모듈 기준 제2 포토 센서 모듈 기준
Po 15 20
Pc1 25 30
Pc2 26 31
Pc3 27 32
::
Pcm 40 45
이때,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에 대해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는 ±0.02mm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감지한 1회 접점 투입 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변위는 24.8~25.2mm의 범위가 정상 변위의 범위로 판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에서 감지한 1회 접점 투입 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변위는 29.8~30.2mm의 범위가 정상 변위의 범위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장치(800)가 1회 접점 투입 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의 출력 신호를 분석한 결과,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가 각각 24.8~25.2mm/29.8~30.2mm에 해당하면 제1 포토 센서 모듈(510)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출력 신호 분석 결과와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의 출력 신호 분석 결과가 상이하다면,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결과를 나타내는 쪽의 포토 센서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장치(800)는 포토 센서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오류 발생 신호(경고음, 화면 출력 등)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오류 발생 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포토 센서 모듈(510, 510')을 사용함으로써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접점 마모량을 감지함은 물론, 센서 하나가 고장나거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정상 동작되는 다른 하나의 센서를 기준으로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푸시 로드 어셈블리(200)의 수직 방향 변위에 대해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는 일 예를 기재한 것일 뿐, 기재된 수치가 절대적인 값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포토 센서 모듈(510, 510')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함으로써 최대 접점 마모량 알림 기준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을 최대 접점 마모량을 나타내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제2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값을 임계값 또는 경고값으로 설정하고, 제1 포토 센서 모듈(510)의 감지값이 상기 임계값 또는 경고값과 같아지면 데이터 처리장치(800)에서 작업자에게 교체 및 점검을 위한 알림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포토 센서 모듈이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로드 하우징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변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면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토 센서 모듈의 센싱 방향과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므로 감별 스티커 없이도 수직 방향의 이동 변위인 접점 마모량을 포토 센서를 통해 직접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포토 센서 모듈을 사용해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좌우 위치 변화에 따른 오차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하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은 제1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함).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오류 상황 발생 시 도 6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오차 상황 발생 시 도 6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거리별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B)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과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이 동일한 높이에 서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은 로드 하우징(210)의 일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편의상 도면에 푸시 로드 어셈블리 중 로드 하우징만을 대표로 도시함). 로드 하우징(210)에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과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을 마주보는 위치에 감별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은 발광부(512a) 및 수광부(514a), 회로부(516a)를 구비한다(센서 홀더 및 센서 브라켓은 편의상 생략함).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은 발광부(512a') 및 수광부(514a'), 회로부(516a')를 구비한다.
이때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의 발광부(512a)는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발광부(512a')와,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수광부(514a)는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수광부(514a')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점 감시 장치(B)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과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을 이용해 접점 마모량을 감지함과 동시에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좌우 방향 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여기서 좌우 방향이란 도 6에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좌우 방향 위치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을 동일한 높이에 배치하되, 로드 하우징(210)의 가상의 중심점(L)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한다. 이때 가상의 중심점(L)로부터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각각 d1, d2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d1과 d2는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이 설치되는 경우, 감지하고자 하는 대상(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감별 스티커, 이하 감지 대상)까지의 거리(D)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출력을 측정하면 동일한 출력을 나타낸다.
만약, 전술한 설치 상태에서 외력 등의 원인에 의해 로드 하우징(210)이 우측으로 옮겨지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과 감지 대상과의 거리(D1)와,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과 감지 대상과의 거리(D2)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로드 하우징(21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D1은 D2보다 커지고, d1 역시 d2보다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출력이 서로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로드 하우징(210)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D1이 D2보다 작아지고, d1 역시 d2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때 d1 및 d2는 로드 하우징의 좌우 이동량만큼 증가하거나 감소된다.
도 8에서 X축은 로드 하우징(210)이 중심점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거리이고, Y축은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출력값이다. 따라서 로드 하우징(210)이 우측으로 이동 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출력값은 도 8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드 하우징(210)이 중심점에서 좌측으로 이동 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출력은 도 9와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이 없을 때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의 출력값을 기준으로 증감량을 각각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이 발생했을 때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제2 실시 예에서 접점 감시 장치(B)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a)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a’)이 별도로 각각 설치되는 예를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B)는 하나의 포토 센서 모듈(510b)이 두 쌍의 발광부(512b, 512b') 및 수광부(514b, 514b')를 구비하고, 두 쌍의 발광부(512b, 512b') 및 수광부(514b, 514b')가 하나의 회로부(516b)를 공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위치에 따른 오차 보정 및 접점 마모량 감시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포토 센서 모듈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접점 감시 장치(B)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c)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c’)이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되, 감지 대상을 향하는 센싱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포토 센서 모듈(510c)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c’)과 감지 대상과의 거리(D)는 서로 동일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포토 센서 모듈(510c)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c’) 중 어느 하나는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좌우 방향 이동의 오차를 보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1 포토 센서 모듈(510c) 및 제2 포토 센서 모듈(510c’)이 접점 마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포토 센서 모듈(510c)은 가상의 중심선 L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도 11 기준으로 상하 방향), 제2 포토 센서 모듈(510c’)은 가상의 중심선 L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오차를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A: 진공차단기
100: 주회로부 110: 하우징
130: 진공 인터럽터 134: 고정전극
136: 가동전극 200: 푸시 로드 어셈블리
210: 로드 하우징 300: 메인 샤프트
B: 접점 감시 장치
500: 센서 어셈블리 510: 포토 센서 모듈
512: 발광부 514: 수광부
516: 회로부 530: 센서 홀더
550: 센서 브라켓 700, 700': 감별 스티커
Po: 오픈 위치 Pcm: 최대 클로즈 위치

Claims (15)

  1. 진공 인터럽터의 가동전극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이 되는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와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의 상기 출력 신호를 비교 분석해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의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변위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배치되되, 서로 같은 높이에 설치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각각 배치되되, 서로 같은 높이에 설치되며, 센싱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는 감별 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
    를 구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 별로 감지하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포토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변위값을 비교해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오류를 판단하고 오차를 보정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값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상기 진공차단기의 접점 투입 이전 초기 감지 위치에 대응하는 오픈 위치값, 접점 투입 회수 별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변위,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변위에 대한 허용 오차 범위, 상기 진공차단기의 최대 접점 마모량에 대응하는 최대 클로즈 위치값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에서 각각 감지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직 방향 변위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포토 센서 모듈의 오류로 판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출력값이 서로 달라지면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위치 오류,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오류 중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오류에 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출력값이 서로 달라져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위치 오류로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최초 출력값을 기준으로 상기 출력값의 증감량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오차를 보상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2. 절연용기 내에 고정되고 일단에 고정접점이 구비된 고정전극과, 일단에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용기 내에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전극을 갖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가동전극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전극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푸시 로드 어셈블리; 및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이 되는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와,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와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의 상기 출력 신호를 비교 분석해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의 접점 마모량을 감지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변위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구비한 접점 감시 장치;
    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일측을 향해 배치되되, 서로 같은 높이 또는 다른 높이에 설치되거나, 서로 같은 높이에 설치되되 센싱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원통형의 로드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반사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는 감별 스티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감별 스티커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별 스티커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부를 구비한 포토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의 출력값이 서로 달라지면 상기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수평 방향 위치 오류, 복수의 상기 포토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오류 중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오류에 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KR1020190040229A 2019-04-05 2019-04-05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20200117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29A KR20200117711A (ko) 2019-04-05 2019-04-05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US17/601,576 US11821949B2 (en) 2019-04-05 2020-03-09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PCT/KR2020/003286 WO2020204377A1 (ko) 2019-04-05 2020-03-09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CN202080025620.4A CN113661555A (zh) 2019-04-05 2020-03-09 用于真空断路器的触头监测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真空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29A KR20200117711A (ko) 2019-04-05 2019-04-05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11A true KR20200117711A (ko) 2020-10-14

Family

ID=7266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29A KR20200117711A (ko) 2019-04-05 2019-04-05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21949B2 (ko)
KR (1) KR20200117711A (ko)
CN (1) CN113661555A (ko)
WO (1) WO2020204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5106A1 (en) * 2021-07-27 2023-02-01 Abb Schweiz Ag Monitoring system for a low voltage, medium voltage, 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US11860230B2 (en) * 2021-12-21 2024-01-02 Jst Power Equipment, Inc. Testing system that determines contact erosion in circuit breaker
US11804338B2 (en) 2021-12-21 2023-10-31 Jst Power Equipment, Inc. Switchgear system that determines contact erosion in circuit breaker
CN117766348A (zh) * 2024-02-22 2024-03-26 山东泰开电力开关有限公司 一种断路器用平衡调节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262A (en) * 1978-06-19 1979-12-27 Tokyo Shibaura Electric Co Switching gear for vacuum switch
US6150625A (en) * 1999-10-12 2000-11-21 Eaton Corporation Vacuum circuit breaker with contact wear indicator tool
KR100907952B1 (ko) 2004-05-13 2009-07-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태 파악 장치 및 이 상태 파악 장치를 사용한 전력 개폐 기기의 개폐 제어 장치
US7417554B2 (en) * 2004-10-12 2008-08-26 Gaton Corporation Wireless system for one or more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JP2006310133A (ja)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遮断器およびその接点のスロークローズ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点の摩耗量測定方法および接点間のギャップ長さ設定方法
CN101813750B (zh) * 2009-02-24 2014-04-16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接触器磨损老化检测装置及方法
KR101860348B1 (ko) 2014-08-18 2018-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US9378901B2 (en) * 2014-11-13 2016-06-28 Eaton Corporation Mechanical wear, wipe and stroke measurement system for circuit breakers
CN104701064B (zh) * 2015-03-26 2015-12-09 江苏现代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柔性分合闸技术的智能集成中压交流真空开关设备
US10012697B2 (en) * 2015-08-13 2018-07-0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ailure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for vacuum circuit breakers
US11004619B2 (en) * 2018-12-13 2021-05-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ircuit interrupters with non-contact sensor systems for evaluating erosion of electrical contact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21949B2 (en) 2023-11-21
CN113661555A (zh) 2021-11-16
WO2020204377A1 (ko) 2020-10-08
US20220206069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7711A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20110102338A (ko) 가스-절연된 개폐기 시스템의 동작 파라미터를 모니터링 및/또는 신호 발신 또는 시각화하기 위한 유닛
US20220199341A1 (en) Contact point monitoring module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KR102307853B1 (ko) 진공차단기용 동작 감지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JP7263530B2 (ja) 真空遮断器用接点監視装置、及びこれを含む真空遮断器
KR102186753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20200117707A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그에 따른 보정 방법
KR102169247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그에 따른 보정 방법
JP7263623B2 (ja) 真空遮断器用の接点監視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真空遮断器
KR102186756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US11953553B2 (en) Contact point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correction method performed through same
KR102364021B1 (ko) 전기설비용 화재 감지 경보장치
KR20210030650A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20210030649A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20210108685A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차단기
KR101713823B1 (ko) 지진 내지 진동에 대한 감시 및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634703B1 (ko) 패드형 온도/가스 감지 장치
CN114894087B (zh) 一种电力保护装置
KR102130848B1 (ko)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JP3801478B2 (ja) 防水検査装置
KR102279394B1 (ko) 낙뢰 피해 방지 태양광 발전 장치
CN210742100U (zh) 一种新型单路激光发射装置
KR20210090829A (ko) 아크 제거기의 위치 검출장치
CN117570869A (zh) 高压开关柜用触头盒检测装置
JPH08308186A (ja) 刷子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