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939A - 서브랙 어셈블리, 이를 포함한 랙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서브랙 어셈블리, 이를 포함한 랙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939A
KR20200116939A KR1020207023452A KR20207023452A KR20200116939A KR 20200116939 A KR20200116939 A KR 20200116939A KR 1020207023452 A KR1020207023452 A KR 1020207023452A KR 20207023452 A KR20207023452 A KR 20207023452A KR 20200116939 A KR20200116939 A KR 2020011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ub
frame
movable bloc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858B1 (ko
Inventor
유겐 데너라인
노먼 카운
미카일 고트
Original Assignee
후라마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라마통 filed Critical 후라마통
Publication of KR2020011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4Card cages
    • H05K7/1425Card cage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19"-sub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서브랙 어셈블리(1)는: 서브랙(3)은 두 개의 상부 레일(9), 두 개의 하부 레일(7), 및 측면 요소(5)를 포함하는 서브랙(3); 전방 크로스빔, 후방 크로스빔, 및 두 개의 측면 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21); 및 서브랙(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강성화 프레임(21)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70);를 포함하며, 커넥터(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블록(73)을 포함하며, 가동 블록은, 가동 블록이 서브랙(3)으로부터 멀어지는 삽입 위치, 및 가동 블록이 서브랙(3)을 지지하는 사용 위치, 사이에서 강성화 프레임(21)에 대하여 병진 이동할 수 있으며, 각 커넥터(70)는 서브랙(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강성화 프레임(21; 221)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각각이 서브랙(3)의 상부 또는 하부 레일(7, 9)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수직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연장된다.

Description

서브랙 어셈블리, 이를 포함한 랙 및 그 조립 방법
본 발명은 전자 랙에 장착하도록 설계된 서브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서브랙 어셈블리는: 전자 모듈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서브랙을 포함하며, 서브랙은 두 개의 상부 레일, 두 개의 하부 레일, 및 측면 요소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레일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측면 요소에 수직하게 연장하고, 서로 측면 요소와 연결된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예를 들어 계측,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과 관련된 전자 모듈과 같은 전자 장비는 일반적으로 서브랙(subrack)에 장착되고, 이러한 서브랙은 해당 전자 장비 랙에 차례로 장착된다.
이러한 원자로는 지진 지역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지진 발생시 전자 장비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지진 발생시, 전자 장비의 성능 저하 또는 고장은 원자로 작동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비가 높은 동적 부하를 받는 경우, 특히 지진의 경우에 특히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자 장비의 보호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술한 서브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방 크로스빔, 후방 크로스빔, 및 각 길이방향 단부에 후방 크로스빔에 전방 크로스빔을 연결하는 두 개의 측면 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rigidifying frame);
서브랙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강성화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며,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블록을 포함하며, 가동 블록은, 가동 블록이 서브랙으로부터 멀어지는 삽입 위치, 및 가동 블록이 서브랙을 지지하는 사용 위치, 사이에서 강성화 프레임에 대하여 병진 이동할 수 있으며,
각 커넥터는 서브랙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강성화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각각이 서브랙의 상부 또는 하부 레일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수직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연장된다.
특정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크로스빔과 후방 크로스빔 사이에 수직으로 측정된, 전방 크로스빔 및 후방 크로스빔사이의 거리는 서브랙의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 사이의 거리의 9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서브랙의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 사이의 거리 이하이다;
-강성화 프레임은,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전방 크로스빔 및 후방 크로스빔 사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스트럿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횡단 스트럿은 전방 크로스빔의 중간으로부터 후방 크로스빔의 중간까지 연장하는 중앙 횡단 스트럿이며, 바람직하게는 강성화 프레임은 중앙 횡단 스트럿의 양 측면 상에 전방 크로스빔 및 후방 크로스빔 사이로 연장하는 두 개의 추가 횡단 스트럿을 더 포함한다;
-커넥터는 위치 조절 나사및 가동 블록에 형성된 위치 조절 나사 구멍을 포함하며, 가동 블록은 조절 나사 구멍 안으로 위치 조절 나사를 조임으로써 또는 조절 나사 구멍 밖으로 위치 조절 나사를 해제함으로써 삽입 위치 및 사용 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커넥터는 잠금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잠금 시스템은 강성화 프레임에 대하여 가동 블록의 위치를 잠그도록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잠금 시스템은 가동 블록에 형성된 잠금 구멍 및 잠금 나사를 포함한다;
-각 커넥터는 상부 가동 블록 및 하부 가동 블록을 포함하며, 이들은 반대 방향에서 강성화 프레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 가동 블록은 사용 위치에서 강성화 프레임 위에 위치된 서브랙의 하부 레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하부 가동 블록은 강성화 프레임 아래에 위치된 서브랙의 상부 레일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각 가동 블록은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이고, 사용 위치에서 서브랙의 상응하는 표면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베어링 표면을 포함하는 발 부분(foot portion) 및 발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다리 부분을 포함하며, 다리 부분은 강성화 프레임의 벽을 지지한다;
-전방 크로스빔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은 폐쇄 단면을 가지는 관형 외벽을 포함한다;
-전방 크로스빔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은 관형 외벽 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한다;
-각 강화 리브는 관형 외벽의 두 개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코너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한다;
-전방 크로스빔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은 두 개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며, 이는 상응하는 크로스빔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볼 때 크로스를 형성하기 하도록 관형 외벽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코너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한다;
-전방 크로스빔으로부터 후방 크로스빔까지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인 보강 구조를 더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인 보강 구조는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중 하나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중 다른 하나의 제1 길이방향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1 대각선 스트럿, 및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중 하나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중 다른 하나의 제2 길이방향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2 대각선 스트럿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서브랙 어셈블리 및 랙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랙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랙 프레임은 수납 공간 및 수납 영역을 정의하며, 각 수납 공간은 서브랙 어셈블리의 서브랙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각 수납 공간은 서브랙 어셈블리의 강성화 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수납 공간 및 수납 영역은 랙 프레임 상에 수직 방향을 따라 교차 방식으로 배열되며, 랙은 수납 공간에 장착된 서브랙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랙 및 서브랙 위 또는 아래에 서브랙에 인접한 수납 지역에 장착된 서브랙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을 포함한다;
-서브랙 어셈블리의 각 커넥터의 가동 블록은, 가동 블록이 서브랙을 지지하는, 사용 위치를 차지한다;
-각 서브랙을 위해, 랙은 서브랙의 상부에 연결된 강성화 프레임 및 각 커넥터를 통하여 서브랙의 하부에 연결된 강성화 프레임을 포함하며, 각 커넥터의 가동 블록은, 가동 블록이 서브랙을 지지하는, 사용 위치에 있다;
-랙 프레임의 인접한 수납 공간에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서브랙을 포함하며, 공통 강성화 프레임은 서브랙 사이에 위치된 수납 영역에 배열되며, 상기 강성화 프레임은 커넥터를 통하여 상부 및 하부 서브랙 모두에 연결되고, 각 커넥터의 가동 블록은, 가동 블록이 상응하는 서브랙을 지지하는, 사용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랙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수납 공간 및 수납 영역을 포함하는 랙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각 커넥터의 가동 블록은 삽입 위치에 있으며, 수납 공간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된, 랙 프레임의 인접한 수납 영역 및 서브랙 수납 공간 각각에, 서브랙 및 강성화 프레임을 장착하는 단계;
-가동 블록이 상응하는 서브랙을 지지하도록 삽입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각 커넥터의 가동 블록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다음의 발명의 설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브랙 어셈블리의 강성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²면을 따라 취한 도 2의 강성화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중첩된 서브랙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랙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랙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의 강성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서브랙 어셈블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에서 "상단" 및 "하단"이라는 표현은 해당 랙에 삽입될 때 서브랙 어셈블리의 정상적인 방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도면에 (x, y, z) 프레임이 표시되었으며, 여기서 z축은 수직 방향, 즉 서브랙 어셈블리 또는 랙의 하부-상부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x, y) 수평면을 정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x축은 서브랙 어셈블리 또는 랙의 길이를 따라 확장되고, y축은 서브랙 어셈블리 또는 랙의 깊이 방향으로, 즉 서브랙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확장된다.
빔의 길이 방향은 세로 축에 평행하게 확장되는 방향이다.
서브랙 어셈블리 (1)의 전면은 바람직하게는 전자 모듈이 서브랙 (3)에 삽입되는 어셈블리 (1)의 측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서브랙 어셈블리 (subrack assembly) (1)는 서브랙 (subrack)(3)을 포함한다. 특히, 서브랙 (3)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마주보는 측면 요소 (5), 2개의 하단 레일 (7) 및 2개의 상단 레일 (9)을 포함한다. 하단 및 상단 레일 (7, 9)은 각각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2개의 측면 요소(5)를 연결한다. 이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측면 요소 (5)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측면 요소 (5)는 주로 측면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각각의 측면 요소 (5)는 또한 2개의 평행한 스트럿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레일 (9)은 전방 상부 레일 (10) 및 후방 상부 레일 (11)을 포함한다. 전방 상부 레일 (10)은 측면 요소 (5)의 상부 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반면, 후방 상부 레일 (11)은 측면 요소 (5)의 상부 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유사하게, 하단 레일 (7)은 전면 하단 레일 (12) 및 후면 하단 레일 (13)을 포함한다. 전면 하단 레일 (12)은 측면 요소 (5)의 하단 전면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후면 하단 레일 (13)은 측면 요소 (5)의 하단 후면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하부 및 상부 레일 (7, 9)은 임의의 적절한 연결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나사 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취해진 길이 단부에서 측면 요소 (5)에 연결된다.
서브랙 (3)은 전자 모듈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모듈은 예를 들어 하부 및 상부 레일 (7, 9)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삽입 방향을 따라 하부 및 상부 레일 (7, 9) 사이에 삽입되어, 삽입된 위치에서 서브랙 어셈블리 (1)의 측면 요소 (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서브랙 (3)은 예를 들어 나사를 통해 랙 프레임의 수직 지지 구조에 측면 요소 (5)의 부착을 통해 랙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의도된다. 이를 위해, 서브랙 (3)은 랙 프레임에 형성된 대응하는 부착 수단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서브랙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브랙 부착 수단은 서브랙 (3)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는 서브랙 부착 브래킷을 포함하고, 부착 브래킷은 랙 프레임의 수직 지지 구조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연결 구멍을 포함한다. 서브랙 (3)과 랙 프레임 사이의 연결은 특히 해당 연결 구멍을 통해 연결 수단, 예를 들어 볼트 또는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1의 예에서 서브랙 (3)은 일반적인 서브랙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1)는 서브랙 (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 (21)을 추가로 포함한다. 강성화 프레임 (21)은 도 2 및 도 3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화 프레임 (21)은 전방 크로스빔 (22), 후방 크로스 빔 (24) 및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을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사이드빔 (28)을 포함한다. 전방 크로스빔 (22), 후방 크로스빔 (24) 및 사이드빔들 (28)은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개구를 형성한다.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들은 서브랙 (3)의 상단 및 하단 레일 (7, 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사이드빔 (28)은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의 2개의 마주하는 길이 방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는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 각각의 전방 길이 단부 및 후방 길이 단부에서 연결된다. 사이드빔 (28)은 임의의 적절한 연결 수단, 특히 나사 체결 또는 용접을 통해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에 연결된다.
전방 크로스빔 (22)과 후방 크로스빔 (24)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서브랙 (3)의 상부 레일 (9) 사이의 거리 또는 하부 레일 (7) 사이의 거리의 90% 이상이 되도록 선택된다. 전방 크로스빔 (22)과 후방 크로스빔 (24) 사이의 거리는 서브랙 (3)의 상부 레일 (9) 사이 또는 하부 레일 (7)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거리는 특히 서브랙 (3)을 냉각하기 위해 서브랙 (3)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 유리하다. 실제로, 이 경우에는 하단 레일 (7)과 상단 레일 (9) 사이에 환기 샤프트(ventilation shaft)가 형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크기를 갖는 강성화 프레임 (21)을 제공하면 서브랙 (3)을 통하는 충분한 공기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강성화 프레임 (21)의 강성은 바람직하게는 페이로드(payload)가 없는 서브랙 어셈블리 (1)의 공진 주파수가, 서브랙 어셈블리 (1)를 수용하는 랙 프레임 및/또는 서브랙(들)에 수용된 페이로드의 공진 주파수와 상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서브랙 어셈블리 (1) 및 서브랙 어셈블리 (1)를 수용하는 랙 프레임 및/또는 서브랙(들) (3)에 수용된 페이로드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의 배수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브랙 어셈블리 (1)가 랙 프레임 및/또는 서브랙 어셈블리 (1)의 서브랙(들) (3)에 수용된 페이로드와 함께 공명할 위험이 적다.
여기서 강성이라 함은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포함한다.
한편, 페이로드(하중)는 서브랙 (3)에 수용되는 전자 장비, 예를 들어 서브랙 (3)에 수용되는 전자 모듈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강성화 프레임 (21)의 강성은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강성화 프레임 (21)의 강성은 그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의 공진 주파수가 서브랙 어셈블리 (1)가 위치하도록 의도된 환경에서 관찰될 수 있는 여기 주파수 스펙트럼보다 확실히 더 크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핵장(nuclear field)에서는 지진 또는 비행기 추락의 여기 주파수가 Y 방향으로 최대 40Hz, Z 방향으로 최대 60Hz까지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화 프레임 (21)의 원하는 강성은 전방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2, 24)의 강성, 특히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전방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2, 24)의 원하는 굽힘 강성은 특히 전방 크로스빔 (22)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4)에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취해진, 굽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된 단면 프로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크로스빔 (22)은 폐쇄된 단면을 갖는 관형 외벽 (30)을 포함하는 프로파일화된 스트럿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관형 외벽 (3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굽힘 강성 측면에서는 필요에 따라 다른 단면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크로스빔 (22)은 관형 외벽 (30)의 전방으로부터 그 후방으로 관형 외벽 (30) 내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 (33)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브 (33)는 전방 크로스빔 (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전방 크로스빔 (22)은 관형 외벽 (30)의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2 개의 코너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 (3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예에서, 전방 크로스빔 (22)은 2 개의 보강 리브 (33)를 포함하며, 각 보강 리브 (33)는 관형 외벽 (30)의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코너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크로스 빔 (22)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취해진 횡단면에서 볼 때 크로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리브의 배열은 특히 굽힘 강성이 크게 증가하게 한다. 그러나 굽힘 강성 측면에서 필요에 따라 다른 리브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후방 크로스빔 (24)은 전방 크로스빔 (2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강성화 프레임 (21)의 원하는 비틀림 강성은 특히 전방 및/또는 후방 크로스 빔 (22, 24)의 비틀림 강성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전방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2, 24)의 높은 비틀림 강성은 이러한 크로스빔 (22, 24)에 대해 폐쇄된 단면 프로파일을 사용과 대각선의 보강 리브들(33)의 존재를 통해 획득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강성화 프레임 (21)은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에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스트럿 (36)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횡된 스트럿 (36)의 존재는 전후 방향 (Y 방향)에서 강성화 프레임 (21)의 강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횡단 스트럿 (36) 중 하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취해진 전방 크로스빔 (22)의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취해진 후방 크로스빔 (24)의 중앙까지 연장되는 중앙 횡단 스트럿 (38)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강성화 프레임 (21)은 바람직하게는 양측에서 중앙 횡단 스트럿 (38)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추가 횡단 스트럿 (40)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횡단 스트럿 (36)은 전방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2, 24)의 길이를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된다. 특히, 중앙 횡단 스트럿 (38)과 2개의 인접한 추가 스트럿 (40) 각각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다른 예에 따르면, 횡단 스트럿 (36)은 전방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2, 24)의 길이를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횡단 스트럿 (36)의 수는 강성화 프레임 (21)의 원하는 강성에 따라 선택되며, 강성은 횡단 스트럿 (36)의 수에 따라 증가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횡단 스트럿 (36)은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벽 (42)을 포함한다. 측벽 (42)은 연결 벽 (4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벽 (45)은 측벽 (4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횡단 스트럿 (36)은 각각의 측벽 (42)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의 크로스빔 (22, 24)을 지지하는 측면 부착 플랜지 (48)를 더 포함한다. 측면 부착 플랜지 (48)는 횡단 스트럿 (36)을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측면 플랜지 (48)는 횡단 스트럿 (36)에 대응하는 크로스빔 (22, 24)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포함한다. 그러나, 횡단 스트럿 (36)은 또한 예를 들어 용접과 같이 다른 부착 수단을 통해 크로스빔 (22, 24)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벽 (42)은 복수의 관통 구멍 (50)을 포함한다. 이러한 관통 구멍 (50)은 강성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강성화 프레임 (21)의 총 중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들은 또한 강성화 프레임 (21)을 통한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한다.
강성화 프레임 (21)은 강성화 프레임 (21)을 랙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 (65)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부착 수단 (65)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강성화 프레임 (21)의 모서리에 위치된 부착 브래킷 (66)을 포함한다. 각 부착 브래킷 (66)은 대응하는 부착 부재, 예를 들어 강성화 프레임 (21)을 랙에 연결하기 위한 볼트 또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구멍 (68)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부착 브래킷 (66)은 2개의 부착 구멍 (68)을 포함한다. 부착 구멍 (68)은 랙 프레임에, 특히 수직 지지 구조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과 결합하도록 안내된다.
서브랙 어셈블리 (1)는 강성화 프레임 (21)을 서브랙 (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70)를 더 포함한다.
각 커넥터 (70)는 강성화 프레임 (21)을 서브랙 (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이 각각 서브랙 (3)의 하부 레일 (7) 또는 상부 레일 (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유리하게 서브랙 어셈블리 (1)는 강성화 프레임 (21)을 서브랙 (3)의 전면 레일 (10, 12)에 연결하기 위해 강성화 프레임 (21)의 전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70) 및 강성화 프레임 (21)을 서브랙 (3)의 후방 레일 (11, 13)에 연결하기 위해 강성화 프레임 21)의 후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서브랙 어셈블리 (1)는 각각의 횡단 스트럿 (36)을 위한 2개의 커넥터 (70)를 포함한다.
커넥터 (70)는 특히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커넥터 (70)는 대응하는 서브랙 (3)으로부터 이격된 삽입 위치와 대응하는 서브랙 (3)에 대해 지지하는 사용 위치 사이에서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블록 (73)을 포함한다. 특히, 커넥터 (70)의 가동 블록 (73)은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강성화 프레임 (21) 상에 장착된다. 유리하게, 가동 블록 (73)은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해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70)는 그 삽입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가동 블록 (73)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위치 조정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위치 조정 시스템은 서브랙 (3)에 대한 가동 블록 (73)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위치 조정 시스템은 위치 조정 나사 (75)와 가동 블록 (73)에 형성된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을 포함한다.
위치 조정 시스템은 위치 조정 나사 (75)를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에 나사로 조이거나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 밖으로 나감으로써 가동 블록 (73)이 삽입 위치와 그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조정 나사 (75)는 서브랙 (3)의 대응 하부 또는 상부 레일 (7, 9)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레일 (7, 9)에 대하여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 위치 조정 나사 (75)의 헤드와 정렬된다.
도 3에서, 위치 조정 시스템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좌측에 위치한 커넥터 (70)에만 도시되었다. 그러나, 각 커넥터 (70)는 이러한 위치 조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가동 블록 (73)은 L자형을 갖는다. 이는 발 부분 (76) 및 발 부분 (76)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다리 부분 (78)을 포함한다. 특히, 발 부분 (76)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반면, 다리 부분 (78)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발 부분 (76)은 대응하는 서브랙 (3)에 대해, 특히 하부 또는 상부 레일 (7, 9)에 대해 베어링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표면 (80)을 한정한다. 베어링 표면 (80)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이 예에서,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은 가동 블록 (73)의 발 부분 (76)에서 연장된다.
다리 부분 (78)은 강성화 프레임 (21)의 벽을 지지한다.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전방 커넥터 (70)의 다리 부분 (78) (도 3의 좌측)은 전방 크로스빔 (22)의 후방 벽 (79)을 지지하고, 후방 커넥터 (70)의 다리 부분 (78) (도 3의 우측)은 전방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2, 24)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횡단 스트럿 (36)의 벽에 대해 지지되고, 특히 횡단 스트럿 (36)의 연결 벽 (45)에 대하여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커넥터 (70)는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한 그 사용 위치에서 가동 블록 (73)을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잠금 시스템은 가동 블록 (73)을 통해 그리고 강성화 프레임 (21)의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구멍 (86) 및 잠금 구멍 (86)을 통해 연장되는 잠금 나사 (88)를 포함한다.
잠금 시스템은 잠금 나사 (88)를 잠금 구멍 (86)으로 나사로 조이면 가동 블록 (73), 특히 그 다리 부분 (78)이 강성화 프레임 (21)의 대응 벽에 대해 가압되어 가동 블록 (73)을 그 위치에서 잠근다.
잠금 구멍 (86)은 가동 블록 (73)의 변위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을 갖는다. 유리하게, 잠금 구멍 (86)의 축은 전방 크로스빔 (22)의 길이 방향, 즉 Y 방향을 따라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된다. .
가동 블록 (73)을 통해 연장되는 잠금 구멍 (86)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긴 형상을 갖는다. 강성화 프레임 (21)의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잠금 구멍 (86)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이 있다.
도 3에서, 잠금 시스템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좌측에 위치한 커넥터 (70)에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커넥터 (70)는 이러한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그리고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전방 크로스빔 (22)은 Y 축을 따라 각각의 가동 블록 (73)의 잠금 구멍 (86)과 정렬되어 연장되는 공구 통로 관통 구멍 (91)을 포함한다. 각 도구 통로 관통 구멍 (91)은 전방 벽을 통해 그리고 전방 크로스빔 (22)의 후방 벽을 통해 연장된다. 강성화 프레임 (21)이 전방 크로스빔 (22)과 잠금 구멍 (86)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벽 (45)을 더 포함하는 경우, 연결 벽 (45)은 또한 Y 축을 따라 각각의 가동 블록 (73)의 잠금 구멍 (86)과 정렬되어 연장되는 도구 통로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따라서, 강성화 프레임 (21)의 전방으로부터 공구 통로 관통 구멍을 통해 스크루 드라이버가 도입되어 전방 및 후방 가동 블록 (73)을 제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랙 프레임에 조립되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강성화 프레임 (21)의 후면에 접근할 필요 없이 강성화 프레임 (21)의 전면으로부터 제 위치에 전면 및 후면 가동 블록 (73)을 잠글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각 커넥터 (70)는 양방향이다. 이는, 커넥터 (70)가 강성화 프레임 (21) 위에 및/또는 아래에 위치한 서브랙 (3)에 강성화 프레임 (21)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블록 (73)은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 가동 블록 (73) 및 하부 가동 블록 (73)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 가동 블록 (73)의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의 나사산은 위치 조정 나사 (75)를 상부 가동 블록 (73)에 나사로 조이면 이 블록 (73)이 위쪽으로 변위되도록 형성된다. 반면에, 위치 조정 나사 (75)를 하부 가동 블록 (73)으로 나사 체결하면 가동 블록 (73)이 하향 변위된다.
상부 및 하부 가동 블록 (73)은 동일하지만, 머리부터 꼬리로 배열된다. 특히, 상부 가동 블록 (73)은 다리 부분 (78)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부 가동 블록 (73)은 다리 부분 (78)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가동 블록 (73)의 다리 부분 (78)은 서로에 대해 지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가동 블록 (73)의 다리 부분 (78)은 커넥터 (70)의 다른 가동 블록 (73)의 다리 부분 (78)을 통해 간접적으로 고려되는 벽 (79, 45)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가동 블록 (73)은 대응하는 잠금 나사 (88) 및 잠금 구멍 (86) 및 대응하는 위치 조정 나사 (75) 및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과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전방 크로스빔 (22)의 상부 벽 (95) 및/또는 하부 벽 (97)은 그의 삽입으로부터 사용 위치까지의 변위 동안 전방 커넥터 (70)의 가동 블록 (73)의 통로를 위한 통로 구멍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후방 커넥터 (70)는 후방 크로스빔 (24)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서브랙 어셈블리 (1)를 포함하는 랙 (100)에 관한 것이다. 랙 (1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랙 (100)은 랙 프레임 (102) (도 5에 도시됨) 및 랙 프레임 (102)과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랙 어셈블리 (1)를 포함한다. 단순화를 위해, 랙 프레임 (102)은 도 4에 도시하지 않았다.
랙 프레임 (102)은 수직 서브랙 지지 구조 (10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직 서브랙 지지 구조 (106)는 수직 포스트 (1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 따르면, 수직 서브랙 지지 구조 (106)는 수직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서브랙 지지 구조 (106)의 포스트 (108) 또는 벽은 적어도 그 상단 및 하단 단부에서 수평 구조 (11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수평 구조는 수직 포스트 (108) 또는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평 빔 (114)을 포함한다. 수평 구조 (112)는 수평 빔 (114)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평 벽 (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 따르면, 수평 구조 (112)는 수직 포스트 (108) 또는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평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랙 프레임 (102)은 전기 캐비닛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랙 프레임 (102)은 수직으로 중첩된 여러 서브랙 수용 공간 (118)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서브랙 수용 공간 (118)은 서브랙 (3)을 랙 프레임 (102)에 부착하기 위해 서브랙 (3) 상에 제공된 서브랙 부착 수단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랙 프레임 부착 수단 (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착 수단 (120)은 특히 수직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된 부착 구멍 (122)을 포함한다. 부착 구멍 (122)은 수직 서브랙 지지 구조 (106) 및 예를 들어 수직 기둥 (108)에 형성된다.
부착 구멍 (122)의 간격은 서브랙 (3)에 제공된 부착 구멍 사이의 수직 간격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서브랙 (3) 및 그 위에 제공된 부착 구멍의 치수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서브랙 (3)이 주어진 랙 프레임 (102)과 조립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다.
랙 프레임 (102)의 서브랙 수용 공간 (118)은 부착 수단 (120)에 의해 구획된다. 서브랙 수용 공간 (118)의 위치는 부착 구멍 (122)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서브랙 (3)은 랙 프레임 (102) 및 서브랙 (3)의 정렬된 부착 구멍을 통해 삽입된 볼트 또는 나사 (미도시)를 통해 랙 프레임 (102)에 부착된다.
랙 프레임 (102)은 강성화 프레임 (21)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구역 (124)을 더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수용 구역 (124)은 서브랙 수용 공간 (118)의 위 및/또는 아래에 수직으로,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서브랙 수용 공간 (118) 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 구역 (124) 및 서브랙 수용 공간 (118)은 수직 방향을 따라 교대한다.
각각의 수용 구역 (124)은 유리하게는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 (21)의 부착을 위한 강성화 프레임 부착 수단 (126)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착 수단 (126)은 예를 들어 부착 구멍 (128)으로서 형성된다.
수용 구역 (124)은 부착 수단 (126)에 의해 한정된다. 수용 구역 (124)의 위치는 부착 구멍 (128)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랙 (100)은 랙 프레임 (102)의 서브랙 수용 공간 (118)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랙 (3) 및 서브랙 수용 공간 (118)에 인접한 랙 프레임 (102)의 수용 구역 (124)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 (21)을 포함한다. 강성화 프레임 (21)을 수용하는 수용 구역 (124)은 서브랙 (3)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서브랙(들) (3) 및 강성화 프레임(들) (21)은 랙 프레임 (102)에 표시되지 않았다.
사용 구성에서, 강성화 프레임 (21)은 하나 또는 각각의 커넥터 (70)를 통해 서브랙 (3)에 연결된다. 하나 또는 각각의 커넥터 (70)의 가동 블록 (73)은 서브랙 (3)에 대해 지지되는 사용 위치에 있다.
서브랙(들) (3) 및 강성화 프레임(들) (21)이 랙 프레임 (102)과 조립될 때, 각 커넥터 (70)에 대해 위치 조정 나사 (75)는 서브랙 (3)의 대응하는 레일 (7, 9)를 통해 위치 조정 나사 구멍으로 연장된다. 나사의 머리는 가동 블록 (73)의 반대편에 위치한 대응하는 레일 (7, 9)의 표면에 대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커넥터 (70)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잠금 나사 (88)는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한 위치에서 가동 블록 (73)을 잠그도록 잠금 구멍 (86)을 통해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랙 프레임 (102)의 주어진 수용 공간 (118)에 배열된 각각의 서브랙 (3)에 대해, 랙 (100)은 서브랙 수용 공간 (118) 바로 위에 위치되고 그 커넥터(들) (70)을 통해 서브랙(3)의 상부에 연결되는 수용 구역 (124)에 배열된 강성화 프레임 (21) 및 서브랙 수용 공간 (118)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그 커넥터(들) (70)을 통해 서브랙(3)의 하부에 연결된 수용 구역 (124)에 배열된 강성화 프레임 (21)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그리고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랙 (100)은 랙 프레임 (102)의 인접한 서브랙 수용 공간 (118)에 장착된 적어도 2개의 서브랙 (3)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나의 공통 강성화 프레임 (21)이 위치된 수용 구역 (124)에 배열된다. 서브랙 (3) 사이에서, 이 강성화 프레임 (21)은 커넥터(들) (70)를 통해 상부 및 하부 서브랙 (3) 모두에 연결된다.
이 경우, 공통 강성화 프레임 (21)의 커넥터(들) (70)의 하나 또는 각각의 상부 이동 블록 (73)은 공통 강성화 프레임 (21) 바로 위에 위치한 서브랙 (3)의 각각의 하부 레일 (7) 및 하나 또는 각각의 하부 이동 가능 블록에 연결된다. 공통 강성화 프레임 (21)의 커넥터(들) (70)의 블록 (73)은 공통 강성화 프레임 (21) 바로 아래에 위치한 서브랙 (3)의 각각의 상부 레일 (9)에 연결된다.
랙 (100)은 필요한 만큼 많은 서브랙 (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강성화 프레임 (21)은 수직으로 인접한 각 서브랙 (3) 쌍 사이에 개재되고 커넥터(들) (70)를 통해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하나의 최하부 강성화 프레임 (21)은 최상부 서브랙 (3) 위에 위치되고 커넥터(들) (70)를 통해 그 상단에 연결되고, 및/또는, 하나의 최상부 강성화 프레임 (21)은 최하부 서브랙 (3) 아래에 위치되고 커넥터(들) (70)를 통해 그 하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랙 (100)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 강성화 프레임 (21)을 위한 서브랙 수용 공간 (118) 및 수용 구역 (124)을 포함하는 랙 프레임 (102)을 제공하는 단계;
- 서브랙 (3) 및 강성화 프레임 (21)을 랙 프레임 (102)에 조립하는 단계, 서브랙 (3) 및 강성화 프레임은 각각 랙 프레임 (102)의 서브랙 수용 공간 (118) 및 수용 구역 (124)에 위치되고, 각 커넥터 (70)의 가동 블록 (73)은 삽입 위치에 있고;
- 서브랙 (3)을 지지하도록 각 커넥터 (70)의 가동 블록 (73)을 삽입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블록 (73)을 변위시키는 단계는:
- 위치 조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동 블록 (73)을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하여 서브랙 (3)을 향해 그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 잠금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동 블록 (73)의 위치를 잠그는 잠금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동 블록 (73)을 변위시키는 단계는 가동 블록 (73)을 변위시키기 위해 가동 블록 (73)의 위치 조정 나사 구멍 (77)에 위치 조정 나사 (75)를 나사로 조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잠금 단계는 강성화 프레임 (21)에 대한 위치에서 가동 블록 (73)을 잠그도록 잠금 구멍 (86)을 통해 잠금 나사 (88)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랙 (100)이 여러 개의 중첩된 서브랙 (3)을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모든 강성화 프레임 (21)은 그 사이에 서브랙 (3)을 장착하기 전에 랙 프레임 (102)과 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70)의 가동 블록 (73)은 모든 서브랙 (3) 및 강성화 프레임 (21)이 랙 프레임 (102)에 부착된 후에만 사용 위치로 변위된다.
대안에 따르면, 가동 블록 (73)은 서브랙 (3) 및 강성화 프레임 (21)으로 구성된 대응하는 쌍이 랙 프레임 (102)에 장착되는 즉시 그 사용 위치로 옮겨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1) 및 랙 (100)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실제로, 서브랙 (3)의 상단 및 하단 레일 (7, 9)의 앞뒤 방향 (Y 방향)과 수직 방향 (Z 방향)의 낮은 강성은 이 방향으로 강성화 프레임 (21) 없이 자체적으로는 서브랙 (3)의 낮은 강성을 초래한다. 더욱이, 자체적인 서브랙 (3)의 Y 방향 및 Z 방향의 강성은 일반적으로 설치 위치의 경계 조건으로 인해 증가시킬 수 없다. Y 및 Z 방향의 이러한 낮은 강성은 이 방향으로 서브랙 (3)의 낮은 공진 주파수를 초래하며, 서브랙 (3)이 페이로드, 즉 전자 모듈로 채워지면 공진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대략 50Hz이다. 핵장에서는, 예를 들어 지진이나 비행기 추락으로 인해 Y 방향으로 최대 40Hz의 여기 주파수 스펙트럼과 Z 방향으로 최대 60Hz의 여기 주파수 스펙트럼을 관찰 할 수 있다. 이는 서브랙 (3)이 공진 주파수 주변에서 여기되어 높은 진폭의 공진 진동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서브랙 (3)의 이러한 행동은 높은 동적 부하를 받을 때, 그 자체적으로는 서브랙 (3) 및 그 안에 포함 된 전자 모듈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1)에서, 강성화 프레임 (21) 및 커넥터 (70)의 존재로 인해 Y 방향의 전체 강성이 상당히 증가되고, 따라서 이 방향으로 공진 주파수가 상당히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1) 및 랙 (100)을 사용하면, 높은 동적 부하의 경우 열화 위험이 훨씬 감소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강성화 프레임 (21)에서, 굽힘 강성은 표준 랙에서의 구현과 관련된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면서 최적화되었다. 특히, 표준 랙에서 인접한 서브랙 (3)의 부착 구역 사이의 제한된 수직 공간으로 인해, 서브랙 (3)의 설치 공간의 손실 없이 크로스빔 (22, 24)의 높이를 무제한 증가시켜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는 없다.
사이드빔 (28) 및 선택적인 횡단 스트럿 (36)을 통해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 24) 사이의 전후 연결을 제공하는 것은 Y 방향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더욱이, 강성화 프레임 (21)의 특정 형상은 최소화되어야 하는 프레임 (21)의 중량과 최대화되어야 하는 구조적 강성 사이에 매우 좋은 절충안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강성화 프레임 (21)은 0 내지 120Hz, 특히 0 내지 100Hz로 구성된 주파수에서 동적 진동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가능한 커넥터 (70)는 또한 서브랙 어셈블리 (1) 및 이러한 서브랙 어셈블리 (1)를 포함하는 랙 (100)의 강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는 한편, 동시에 랙 프레임 (102)에 서브랙 (3) 및 강성화 프레임 (21)의 용이한 장착을 제공한다. 실제로, 강성화 프레임(들) (21) 및 서브랙(들) (3)은 각각의 커넥터 (70)의 가동 블록 (73)이 삽입 위치에 있는 동안 랙 프레임 (102) 상의 대응하는 수용 공간 (118) 또는 수용 구역 (124)에 개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서브랙 (3)과 강성화 프레임 (21)이 랙 프레임 (102)과 조립되면 가동 블록 (73)은 사용 위치로 이동하고, 인접한 서브랙 (3)에 접하며, 랙 프레임 (102)의 수용 공간 (118) 및 수용 구역 (124)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공차에도 불구하고 서브랙 (3)과 인접한 강성화 프레임 (21) 사이의 최적의 연결을 제공한다. 서브랙 (3)과 강성화 프레임 (21) 사이의 연결 품질은 강성화 프레임 (21)이 그 강화 역할을 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서브랙 어셈블리 (1), 상응하는 랙 및 조립 방법은 원자로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기 또는 기차와 같은 항공 전자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201)가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201)는 강성화 프레임 (221) 및 커넥터(들) (270)의 구조에 관한 것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1)와 다르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요소와 유사한 요소는 200씩 증가된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 만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서브랙 (3) 및 랙 프레임 (102)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동일하며,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화 프레임 (221)은 전방 크로스빔 (222), 후방 크로스빔 (224) 및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2, 224)을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사이드빔 (228)을 포함한다.
제2 실시 예에서, 전방 크로스빔 (222)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 (224)은 폐쇄 단면을 갖지 않는 프로파일링된 스트럿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웹 (225) 및 상기 웹 (225)에 대해 소정 각도로 상기 웹 (225)으로부터 연장되고 유리하게는 상기 웹 (225)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226)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프로파일링된 스트럿은 웹 (225)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되고 유리하게는 상기 웹 (225)에 수직인 2개의 플랜지 (226)를 포함한다.
언급된 크로스빔 (222, 224)에 대하여, 플랜지 (226)는 예를 들어 웹 (225)으로부터 반대쪽 크로스 빔 (222, 224)을 향해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크로스빔 (222) 및 후방 크로스빔 (224)은 U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U자의 바닥부 (해당 크로스빔에 의해 형성된 프로파일링된 스트럿의 웹 225에 해당)는 해당 크로스빔의 길이 방향과 U의 다리부 (2개의 플랜지에 해당)를 포함하는 수직 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해당 크로스빔 (222, 224)에 의해 형성된 프로파일된 스트럿(226)은 수평면에서 U의 바닥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해당 크로스빔 (222, 224)의 경우, U의 다리부는 U의 바닥부에서 반대편 크로스빔 (222, 224)을 향해 연장된다.
U자형은 크로스빔 (222, 224)의 가능한 프로파일의 한 예시일 뿐이며, 수직 방향으로 크로스빔 (222, 224)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단면 프로파일, 예를 들어 I자형 또는 T자형도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강성화 프레임 (221)은 전방 크로스빔 (222)과 후방 크로스빔 (224) 사이에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V자형 보강 구조 (231)를 더 포함한다. 이 구조 (231)는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2, 224) 중 하나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2, 224) 중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로 연장하는 제1 대각 스트럿(239) 및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2, 224) 중 하나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2, 224) 중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로 연장하는 제2 대각 스트럿(239)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대각 스트럿 (239, 241)은 원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대각 스트럿 (239)은 전방 크로스빔 (222)의 중앙 영역에서 후방 크로스빔 (224)의 제1 길이방향 단부까지 연장되는 반면, 제2 대각 스트럿 (241)은 전방 크로스빔 (222)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후방 크로스빔 (224)의 제2 길이방향 단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보강 구조 (231)는 전방 크로스빔 (222)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꼭지점을 갖는 V자 구조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대각 스트럿 (239, 241)은 이들이 전방 크로스빔 (222)에 연결되는 연결 구역에서 만난다. 연결 구역은 유리하게는 길이 방향을 따라 취해진 대응 크로스빔 (222, 224)의 중간에 위치한다. .
선택적으로, 강성화 프레임 (221)은 전방 크로스빔 (222)과 후방 크로스빔 (224)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2, 224)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그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되는 횡단 스트럿 (236)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 스트럿 (236)은 전방 크로스빔 (222)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후방 크로스빔 (224)의 중앙 영역까지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는 전방 크로스빔 (222)의 중간으로부터 후방 크로스빔 (224)의 중간까지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횡단 스트럿 (236)은 원형 단면을 갖는다. 대안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이 사용될 수 있다.
횡단 스트럿 (236)은 꼭지점에서 V자형 보강 구조(231)와 교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횡단 스트럿 (236)은 V자형 보강 구조 (231)의 대칭 평면에 위치한다.
상기 설명에서, V자형 보강 구조 (231)는 전방 크로스빔 (222)에 위치하는 꼭지점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대안에 따르면, 꼭지점은 후방 크로스빔 (224)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구성에 대한 설명이 "전면"에서 "후면"으로 대체되어 적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강성화 프레임 (221)은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270), 특히 두 개의 커넥터 (27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화 프레임 (221)은 강성화 프레임 (221)의 전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270)와 강성화 프레임 (221)의 후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각 커넥터 (270)는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빔 (222, 2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취해진 강성화 프레임 (22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각 커넥터 (270)는 강성화 프레임 (221)의 수직 중간 측면에 위치한다. 이는 특히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 (222, 224)의 수직 중간 측면에 위치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1)는 V자형 보강 구조 (231)의 꼭지점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27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커넥터(들) (270)의 하나 또는 각각의 가동 블록 (273)은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가동 블록 (273)은 강성화 프레임 (221)의 수용 블록 (205)에 수용되어 수직 방향으로 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동 블록 (273)은 수용 블록 (205)에 형성된 수용 및 안내 슬롯 (206)에 수용된다. 이 슬롯 (206)은 가동 블록 (273)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이는 대응하는 서브랙 (3)을 향해 수직으로 개방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슬롯 (206)은 개방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서 폐쇄된다. 슬롯 (206)의 측벽은 가동 블록 (273)의 병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270)의 삽입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 (273)은 슬롯 (206)에서 전체적으로 연장되고, 가동 블록 (273)의 상부 표면은 수용 블록 (205)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에 있다. 커넥터 (270)의 사용 위치에서, 가동 블록 (273)은 슬롯 (206)의 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외부로 연장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위치 조정 시스템은 각각의 가동 블록 (273)에 대해 그를 통해 연장하는 2개의 인접한 위치 조정 나사 구멍 (277)을 포함한다. 각각의 위치 조정 나사 구멍 (277)은 실질적으로 수직 축을 따라 연장된다. 해당 가동 블록 (273)의 위치 조정 나사 구멍 (277)은 크로스빔 (222, 224)의 길이 방향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이 실시예에서, 위치 조정 시스템은 각각의 위치 조정 나사 구멍 (277)에 대해 하나의 위치 조정 나사 (275)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잠금 시스템은 잠금 구멍 (286) 및 그를 통해 연장되는 잠금 나사 (288)를 포함한다. 잠금 구멍 (286)은 크로스빔 (222, 224)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고 위치 조정 나사 구멍 (277)의 축에 수직인 축을 따라 연장된다.
잠금 구멍 (286)은 가동 블록 (273)을 통해 연장되는 가동 부분 (210) 및 잠금 구멍 (286)의 축을 따라 가동 부분 (210)에 인접하고 강성화 프레임 (221)의 일부를 통해, 특히 수신 블록 (205)을 통해 연장되는 고정 부분 (212)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 (212)은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는 잠금 나사 (288)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한편 가동 부분 (210)은 나사산이 없다. 가동 블록 (273)의 변위 방향에서 가동부 (210)의 치수는 잠금 나사 (288)의 직경보다 크다. 잠금 위치에서 잠금 나사 (288)는 가동부 (210) 및 잠금의 자유 단부를 통해 연장된다. 나사 (288)는 강성화 프레임 (221)에 대한 가동 블록 (273)의 위치를 잠그도록 잠금 나사 (288)의 헤드가 가동 블록 (273)에 대해 지지될 때까지 잠금 구멍 (286)의 고정 부분 (212)에 나사 결합된다.
유리하게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커넥터 (270)는 양방향이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 블록 (273)은 상부 가동 블록 (273) 및 하부 가동 블록 (273)을 포함한다. 커넥터 블록 (205)은 각각을 수용하는 상부 및 하부 수용 및 안내 슬롯 (206)을 더 포함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수용 및 안내 슬롯 (206)은 수직 상향으로 개방되고, 하부 수용 및 안내 슬롯 (206)은 수직 하부로 개방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랙과 유사하며, 유일한 차이점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성화 프레임 (221) 및 커넥터 (270)의 구조에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랙의 조립 방법은 또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립 방법과 유사하지만, 유일한 차이점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성화 프레임 (221) 및 커넥터 (270)의 구조에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201)에서, Y 방향에서 서브랙 (3)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강성은 강성화 프레임 (221) 및 커넥터 (270)에 의해 크게 증가하고, 따라서 이 방향으로의 공진 주파수가 강성화 프레임 (221)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랙 어셈블리 (201) 및 랙을 사용하면, 높은 동적 진동의 경우 열화 위험도 감소된다. 그러나 Y 방향의 저항은 제1 실시예에서보다 작으며, 특히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의 구조의 차이로 인해 더 작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V자형 보강 구조 (231) 덕분에 전후 방향 (Y 방향)의 강성이 증가한다. 특히, V자형 보강 구조 (231)는 중앙 영역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고, 또는 보강 프레임 (221)의 가장 약한 부분인 보강 프레임 (221)의 중간 부분과 강성화 프레임 (221)이 랙 프레임 (102)의 수직 지지 구조에 부착된 모서리까지도 연결을 형성한다. 따라서, 응력은 이러한 V자형 보강 구조 (231)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중앙 영역으로부터 랙 프레임 (102)의 상대적으로 강한 수직 지지 구조 (106) 내로 전이된다.
또한 횡단 스트럿 (236)이 존재하면 Y 방향으로 서브랙 어셈블리 (201)의 강성을 더 증가시킨다.

Claims (20)

  1. 전자 랙(100)에 장착하도록 설계된 서브랙 어셈블리(1; 201)로서,
    상기 서브랙 어셈블리(1)는 전자 모듈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서브랙(3)을 포함하며,
    서브랙(3)은 두 개의 상부 레일(9), 두 개의 하부 레일(7), 및 측면 요소(5)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레일(7, 9)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측면 요소(5)에 수직하게 연장하고, 서로 측면 요소(5)를 연결하며,
    상기 서브랙 어셈블리는:
    전방 크로스빔(22; 222), 후방 크로스빔(24; 224), 및 각 길이방향 단부에 후방 크로스빔에 전방 크로스빔을 연결하는 두 개의 측면 빔(28; 228)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rigidifying frame)(21; 221); 및
    서브랙(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강성화 프레임(21; 221)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70; 270);를 포함하며,
    커넥터(70; 2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블록(73; 273)을 포함하며, 가동 블록은, 가동 블록이 서브랙(3)으로부터 멀어지는 삽입 위치, 및 가동 블록이 서브랙(3)을 지지하는 사용 위치의 사이에서 강성화 프레임(21; 221)에 대하여 병진 이동할 수 있으며,
    각 커넥터(70; 270)는 서브랙(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강성화 프레임(21; 221)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22, 24; 222, 224) 각각이 서브랙(3)의 상부 또는 하부 레일(7, 9)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수직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연장되는 서브랙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빔과 후방 크로스빔 사이에 수직으로 측정된, 전방 크로스빔(22; 222) 및 후방 크로스빔(24; 224) 사이의 거리는 서브랙(3)의 상부 레일(9) 또는 하부 레일(7) 사이의 거리의 9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서브랙(3)의 상부 레일(9) 또는 하부 레일(7) 사이의 거리 이하인 서브랙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강성화 프레임(21; 221)은,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22, 24; 222, 224)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22, 24; 222, 22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전방 크로스빔(22; 222) 및 후방 크로스빔(24; 224) 사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스트럿(36; 236)을 더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횡단 스트럿(36; 236)은 전방 크로스빔(22; 222)의 중간으로부터 후방 크로스빔(24; 224)의 중간까지 연장하는 중앙 횡단 스트럿이며,
    바람직하게는 강성화 프레임(21)은 중앙 횡단 스트럿의 양 측면 상에 전방 크로스빔(22) 및 후방 크로스빔(24) 사이로 연장하는 두 개의 추가 횡단 스트럿(40)을 더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70; 270)는 위치 조절 나사(75; 275) 및 가동 블록(73; 273)에 형성된 위치 조절 나사 구멍(77; 277)을 포함하며,
    가동 블록(73; 273)은 조절 나사 구멍(77; 277) 안으로 위치 조절 나사(75, 275)를 조임으로써 또는 조절 나사 구멍(77; 277) 밖으로 위치 조절 나사를 해제함으로써 삽입 위치 및 사용 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서브랙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70; 270)는 잠금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잠금 시스템은 강성화 프레임(21; 221)에 대하여 가동 블록(73; 273)의 위치를 잠그도록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잠금 시스템은 가동 블록(73; 273)에 형성된 잠금 구멍(86; 286) 및 잠금 나사(88; 288)을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커넥터(70; 270)은 상부 가동 블록(73; 273) 및 하부 가동 블록(73; 273)을 포함하며, 이들은 반대 방향에서 강성화 프레임(21; 22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 가동 블록(73; 273)은 사용 위치에서 강성화 프레임(21; 221) 위에 위치된 서브랙(3)의 하부 레일(7)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하부 가동 블록(73, 273)은 강성화 프레임(21; 221) 아래에 위치된 서브랙(3)의 상부 레일(9)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서브랙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가동 블록(73)은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이고, 사용 위치에서 서브랙(3)의 상응하는 표면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베어링 표면(80)을 포함하는 발 부분(foot portion)(76) 및 발 부분(76)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다리 부분(78)을 포함하며, 다리 부분(78)은 강성화 프레임(21)의 벽을 지지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빔(22)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24)은 폐쇄 단면을 가지는 관형 외벽(30)을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빔(22)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24)은 관형 외벽(30) 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33)를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보강 리브(33)는 관형 외벽(30)의 두 개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코너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빔(22) 및/또는 후방 크로스빔(24)은 두 개의 보강 리브(33)를 포함하며, 이는 상응하는 크로스빔(22, 24)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볼 때 크로스를 형성하기 하도록 관형 외벽(30)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코너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빔(222)으로부터 후방 크로스빔(224)까지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인 보강 구조(231)를 더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인 보강 구조(231)는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222, 224) 중 하나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222, 224) 중 다른 하나의 제1 길이방향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1 대각 스트럿(239), 및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222, 224) 중 하나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 및 후방 크로스빔(222, 224) 중 다른 하나의 제2 길이방향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2 대각 스트럿(241)을 포함하는 서브랙 어셈블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서브랙 어셈블리(1; 201) 및 랙 프레임(102)을 포함하는 랙(100).
  16. 제 15 항에 있어서,
    랙 프레임(102)은 수용 공간(118) 및 수용 구역(124)을 정의하며,
    각 수용 공간(118)은 서브랙 어셈블리(1; 201)의 서브랙(3)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각 수용 구역(124)은 서브랙 어셈블리(1; 201)의 강성화 프레임(21; 221)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수용 공간(118) 및 수용 구역(124)은 랙 프레임(102) 상에 수직 방향을 따라 교차 방식으로 배열되며,
    랙(100)은 수용 공간(118)에 장착된 서브랙 어셈블리(1; 201)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랙(3) 및 서브랙(3) 위 또는 아래에 서브랙(3)에 인접한 수납 지역(120)에 장착된 서브랙 어셈블리(1; 201)의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프레임(21; 221)을 포함하는 랙.
  17. 제 16 항에 있어서,
    서브랙 어셈블리(1)의 각 커넥터(70)의 가동 블록(73)은 사용 위치를 차지하여, 가동 블록이 서브랙(3)을 지지하는 랙.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서브랙(3)을 위해, 랙(100)은 서브랙(3)의 상부에 연결된 강성화 프레임(21; 221) 및 각 커넥터(70; 270)를 통하여 서브랙(3)의 하부에 연결된 강성화 프레임(21; 221)을 포함하며,
    각 커넥터(70; 270)의 가동 블록(73; 273)은 사용 위치에 있고, 가동 블록(73; 273)이 서브랙(3)을 지지하는 랙.
  19. 제 18 항에 있어서,
    랙 프레임(102)의 인접한 수용 공간(118)에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서브랙(3)을 포함하며,
    공통 강성화 프레임(21; 221)은 서브랙(3) 사이에 위치된 수용 구역(124)에 배열되며, 상기 강성화 프레임(21; 221)은 커넥터(70; 270)를 통하여 상부 및 하부 서브랙(3) 모두에 연결되고,
    각 커넥터(70; 270)의 가동 블록(73; 273)은 사용 위치에 있고, 가동 블록(73; 273)이 상응하는 서브랙(3)을 지지하는 랙.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랙(100)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수용 공간(118) 및 수용 구역(124)을 포함하는 랙 프레임(102)을 준비하는 단계;
    각 커넥터(70; 270)의 가동 블록(73; 273)은 삽입 위치에 있으며, 수용 공간(118)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된, 랙 프레임(102)의 인접한 수용 구역(124) 및 서브랙 수용 공간(118) 각각에, 서브랙(3) 및 강성화 프레임(21)을 장착하는 단계;
    가동 블록이 상응하는 서브랙(3)을 지지하도록 삽입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각 커넥터(70; 270)의 가동 블록(73; 273)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랙(100)을 조립하는 방법.
KR1020207023452A 2018-02-13 2018-02-13 서브랙 어셈블리, 이를 포함한 랙 및 그 조립 방법 KR102525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8/000978 WO2019158962A1 (en) 2018-02-13 2018-02-13 Subrack assembly, associated rack and assembly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939A true KR20200116939A (ko) 2020-10-13
KR102525858B1 KR102525858B1 (ko) 2023-04-26

Family

ID=6355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452A KR102525858B1 (ko) 2018-02-13 2018-02-13 서브랙 어셈블리, 이를 포함한 랙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92951B2 (ko)
EP (1) EP3753382A1 (ko)
KR (1) KR102525858B1 (ko)
CN (1) CN111801991B (ko)
RU (1) RU2749910C1 (ko)
WO (1) WO2019158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5398A (zh) * 2020-05-21 2020-08-18 南京力骏新能源储能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移动电源设备附件装备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2574A (ja) * 1993-02-26 1994-09-09 Nec Eng Ltd ヒートシンク付プリント基板の放熱構造
US20030174474A1 (en) * 2000-06-20 2003-09-18 Eduard Mair Composite subrack for modules
JP2004014638A (ja) * 2002-06-04 2004-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装置
KR101978430B1 (ko) * 2018-08-22 2019-05-14 주식회사 아이티스퀘어 탈부착 가능한 내함을 갖는 2중 구조의 함체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9892A (en) * 1988-03-08 1990-02-13 Northern Telecom Limited Earthquake-resistant electronic equipment frame
US5142447A (en) * 1989-10-27 1992-08-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ounding apparatus for rail-mounted devices employed in a computer
IT1259375B (it) 1992-03-31 1996-03-12 Olivetti & Co Spa Inchiostro particolarmente adatto per una stampante a getto d'inchiostro
JP2702353B2 (ja) * 1992-04-15 1998-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ビルディングボックス型プラグインモジュールラック構造
JP2693906B2 (ja) 1993-12-03 1997-12-24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通信装置取付枠
DE29714762U1 (de) * 1997-08-18 1997-12-18 Siemens Ag Gehäuse zur Aufnahme von elektrischen Baugruppen
DE19817089C1 (de) * 1998-04-17 1999-08-19 Schroff Gmbh Baugruppenträger
US6561602B1 (en) * 1998-06-23 2003-05-13 Hendry Mechanical Works Equipment mounting racks and cabinets
US6318091B1 (en) * 1999-10-28 2001-11-20 Helix Technology Corporation Cryopump system with modular electronics
US6293637B1 (en) * 2000-05-12 2001-09-25 Amco Engineering Co. Earthquake-resistant electronic equipment frame
JP3476011B2 (ja) * 2000-10-18 2003-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防振構造
US6434018B1 (en) * 2000-10-27 2002-08-13 Rittal Corp. Rack mount system for pluggable computer modules
WO2002045225A2 (en) * 2000-11-30 2002-06-06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Earthquake resistant equipment rack
US6719150B2 (en) * 2001-05-30 2004-04-13 Kim Manufacturing Company Battery rack and system
US7007809B2 (en) * 2002-05-06 2006-03-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supporting a backplane between card cages
DE102004049681B4 (de) 2004-10-12 2006-08-24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Erdbebensicheres Serverrack
WO2006054332A1 (ja) * 2004-11-16 2006-05-26 Fujitsu Limited 通信装置及び架構造
US8047383B2 (en) 2005-11-29 2011-11-01 Foundry Networks, Llc Rackmount system including conversion rail
CN200944310Y (zh) * 2006-06-30 2007-09-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存储器固定装置
TWI465179B (zh) * 2012-03-07 2014-12-11 Wistron Corp 固定裝置
CN102709793B (zh) * 2012-05-16 201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pcb板的插拔机构、成品板及插框
JP6148200B2 (ja) 2014-04-24 2017-06-14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収納ラック
RU164421U1 (ru) 2015-12-04 2016-08-27 Андрей Валентинович Пакулин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DE102015121193B4 (de) 2015-12-04 2017-07-13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 Schaltschrankanordnung
CN107155279B (zh) * 2016-03-03 2020-06-0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层架式调温装置及调温系统
US10201115B2 (en) * 2017-03-27 2019-02-05 Dell Products, Lp Server chassis with a liquid cooling enablement module in an input/output module bay
US10959348B1 (en) * 2018-11-28 2021-03-23 ZT Group Int'l, Inc. Seismic braces for use with computer racks
US11659692B2 (en) * 2019-12-20 2023-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ck assembly for vertical airflow cooled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2574A (ja) * 1993-02-26 1994-09-09 Nec Eng Ltd ヒートシンク付プリント基板の放熱構造
US20030174474A1 (en) * 2000-06-20 2003-09-18 Eduard Mair Composite subrack for modules
JP2004014638A (ja) * 2002-06-04 2004-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装置
KR101978430B1 (ko) * 2018-08-22 2019-05-14 주식회사 아이티스퀘어 탈부착 가능한 내함을 갖는 2중 구조의 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8962A1 (en) 2019-08-22
EP3753382A1 (en) 2020-12-23
KR102525858B1 (ko) 2023-04-26
US11792951B2 (en) 2023-10-17
US20210037669A1 (en) 2021-02-04
CN111801991A (zh) 2020-10-20
RU2749910C1 (ru) 2021-06-21
CN111801991B (zh)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42B1 (ko)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장치용 랙 프레임
US9144175B2 (en) Electronics cabinet
US6629614B2 (en) Mounting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9301408B2 (en) Equipment cabinet
EP3500077B1 (en) Low down seismic shock rack design
KR101538314B1 (ko) 텐션와이어 제진장치가 장착된 내진 배전반
KR101658791B1 (ko)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전기 통신 장비 지지 장치
KR20130119500A (ko) 스위치 기어
US11840284B2 (en) Modular saddle mount with isolator retained in a frame for reducing vibration in heavy equipment cabs
US20230134022A1 (en) Modular Saddle Mount Retained In A Frame Cross Member for Reducing Vibration in Heavy Equipment Cabs
KR102525858B1 (ko) 서브랙 어셈블리, 이를 포함한 랙 및 그 조립 방법
US10398053B2 (en) Equipment clamping assembly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clamps for use in rugged and other environments
WO2017070014A1 (en) Modular aviation equipment rack
KR101995248B1 (ko)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CN215097154U (zh) 交通工具
CN210381656U (zh) 机架式服务器机柜
KR101538111B1 (ko) 가새 구조를 갖는 내진 배전반
KR102624029B1 (ko) 내진 어셈블리를 이용한 내진성능이 강화된 배전반
CN216287378U (zh) 一种带有缓冲装置的led箱体
CN216332013U (zh) 一种电气系统及轨道车辆
CN214507577U (zh) 一种地震预警系统专用抗震机柜
CN212501086U (zh) 一种吊舱结构
US3606020A (en) Rack for electronic modules
KR20240011363A (ko) 조립성이 향상된 통신장비 보관용 랙 마운트
KR102633722B1 (ko) 원자력 발전소의 비상전원 축전지 면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