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698A - 스페리컬 베어링 - Google Patents

스페리컬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698A
KR20200116698A KR1020190038387A KR20190038387A KR20200116698A KR 20200116698 A KR20200116698 A KR 20200116698A KR 1020190038387 A KR1020190038387 A KR 1020190038387A KR 20190038387 A KR20190038387 A KR 20190038387A KR 20200116698 A KR20200116698 A KR 2020011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aring
reaction force
negative reac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008B1 (ko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주)광원아이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원아이앤디 filed Critical (주)광원아이앤디
Priority to KR102019003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0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698A/ko
Priority to KR1020230097303A priority patent/KR20230117080A/ko
Priority to KR1020230097301A priority patent/KR20230117078A/ko
Priority to KR1020230097302A priority patent/KR2023011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4Bearings with only partial enclosure of the member to be borne; Bearings with local support at two or more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6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스페리컬 베어링(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부구조물(U) 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구조물(L) 측으로 전달하고 전단력에 대한 변위를 흡수하며, 상부 플레이트(10)에 적용되는 부반력의 제어를 하부 플레이트(50)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수행함으로써 전체 받침 두께 감소를 구현화하는 스페리컬 베어링(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페리컬 베어링{SPHERICAL BEARING FOR BRIDGE}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스페리컬 베어링(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부구조물(U) 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구조물(L) 측으로 전달하고 전단력에 대한 변위를 흡수하며, 상부 플레이트(10)에 적용되는 부반력의 제어를 하부 플레이트(50)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수행함으로써 전체 받침 두께 감소를 구현화하는 스페리컬 베어링(1)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은 교량의 슬라브 구조체인 상판이나 철도교의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지지구조물과 같은 상부구조물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수용하고, 계절의 기온변화나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수평으로 작용하는 전단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교량받침은 교량의 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내구성, 시공성, 유지보수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서, 교량받침이란 교량의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서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하부구조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과거에는 단순하게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으나, 근래에는 하중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이러한 교량받침은 교량의 슬래브 구조체인 상부구조물이, 이를 지지하는 교각/교대와 같은 하부구조물 상에 적절하게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교량의 규격이나 지지하중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와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교량받침은 사용되는 주재료에 따라 강재 받침과 고무 받침 등으로 구별되고, 기능에 따라서는 내진받침과 면진받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인 내진받침으로는 포트받침(Pot Bearing), 탄성받침(RubberBearing), 스페리컬 받침(Spherical Bearing), 디스크받침(Disk Bearing) 등이 있고, 또한, 면진받침으로는 납면진받침(Lead Rubber Bearing: LRB), EQS(Eradi-Quake System), FPB(Friction Pot Bearing), 스틸댐퍼(Steel Damper)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스페리컬 받침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교량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 사이에 교량받침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9)의 구성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9)은 교량 상부구조물(U)의 저면과 결합하는 상판(91), 상판 하측에 형성되는 베어링 플레이트(93),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93)가 안착되며 교량 하부구조물(L)과 결합하는 하판(95)을 포함한다. 또한, 상판(91)에는 양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입되는 결합부(911)가, 그리고 결합부(911)의 하측에는 걸림턱부(913)가 형성된다. 또한, 하판(95)의 외측면에는 대략 'ㄱ' 형상의 블럭부(951)가 형성된다. 이러한 블럭부(951)는 결합부(911) 측으로 삽입되며 걸림턱부(913)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블럭부(951)와 걸림턱부(913)의 면 접촉에 의하여 상판(10)의 상방 이탈을 방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9)은 부반력을 제어하는 구성이 상판(91) 및 하판(95)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블럭부(951)에 의하여 상판(91)과 하판(95)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판(95)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키워 상판(91)과의 이격 거리를 좁히거나, 블럭부(951)의 상하 방향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곧, 스페리컬 베어링(9)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하며, 공간이 협소한 교량 상부 및 하부구조물(U, L) 내에서 해당 베어링(9)의 설치를 비용이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신규의 구조를 가지는 스페리컬 베어링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90616호 '스페리컬 교좌 장치'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과 달리 상부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구성을 하부 플레이트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 측에 형성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증대시킬 필요가 없어 전체 두께 감소를 도모하여 공간이 협소한 교량 상하구조물 사이에서도 용이한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에서 부반력 제어를 위하여 하판에 설치되는 블럭부가 상판까지 도달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필요 이상 길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 가능함으로써 제작 비용 절감에 의하여 경제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반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서 함입형 결합부 등 별도의 함입 구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체 구성의 단순화를 도모하도록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부반력 제한턱이 결합되며 외측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부를 구비하고, 해당 외측면은 스페리컬 베어링의 수직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원통형 또는 다각판형 베어링 플레이트에도 모두 적용 가능한 스페리컬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단 키가 삽입되는 키홀이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와, 해당 경사부에서 일정한 폭으로 상방 연장되는 연장홈부를 구비하고, 전단 키 역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방 이탈을 방지 가능하도록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를 통하여 전단 키 없이도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해당 이탈방지부가 상부 플레이트까지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증대시키거나, 해당 이탈방지부의 연장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부의 상방연장부가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해체작업이 용이한 스페리컬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저면과 결합하며 저면이 베어링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부 플레이트의 수평 변위 및 회전을 허용하도록 저면이 곡면 처리된 베어링 플레이트; 및 상면에 안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을 수용하도록 상면 일 측이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상 측으로부터의 하중을 교량 하부구조물로 전달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양 측면에 인접한 측 저면에서 하방 연장되고, 부반력 제어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바디를 형성하는 베어링 몸체부; 및 상기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턱부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에 발생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부반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인접한 측 저면에서 하방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턱; 및 상기 연장턱의 일 측과 결합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부반력 작용시 상면이 상기 부반력 제어부의 일 측과 접촉하는 사이드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부반력 제어부는 원통형의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부반력 제한턱이 결합될 외측면을 제공하며, 그 외측면은 상기 연장턱의 내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평탄화부; 및 상기 평탄화부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부반력 작용시, 저면이 상기 연장턱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반력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평탄화부는 외측면이 스페리컬 베어링의 수직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부반력 제어부는 다각판형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부반력 작용시, 저면이 상기 연장턱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반력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사이드 블럭은 연장턱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사이드 블럭은 상면이 상기 연장턱의 저면과 결합된 이후, 상기 사이드 블럭의 상하방향 관통공 및 연장턱의 상하방향 함입공 내에 결합수단 삽입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저면 일 측에 상방 함입 형성되어 전단 키의 부분 삽입을 허용하는 키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저부와 상보적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어링 접촉면; 및 상기 베어링 접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 또는 함입되어 내 측에 전단 키의 삽입을 허용하는 키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및/또는 하부 플레이트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전단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키홀은 일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베어링 접촉면까지 연장될수록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연장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키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며 경사부 내측에 위치하는 하측부; 및 상기 사측부의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며 연장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사이드 블럭은 상기 연장턱의 저면과 결합하며, 상기 연장턱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측 상면인 제1 면 및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 상면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상방 연장된 이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사이드 블럭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결합하고 상방 연장되는 상방연장부; 및 상기 상방연장부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부반력 작용시 제2 면과 접촉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방연장부는 사이드 블럭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구비되는 상기 상방연장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측에 측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수단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과 달리 상부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구성을 하부 플레이트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 측에 형성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증대시킬 필요가 없어 전체 두께 감소를 도모하여 공간이 협소한 교량 상하구조물 사이에서도 용이한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에서 부반력 제어를 위하여 하판에 설치되는 블럭부가 상판까지 도달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필요 이상 길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 가능함으로써 제작 비용 절감에 의하여 경제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부반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서 함입형 결합부 등 별도의 함입 구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체 구성의 단순화를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부반력 제한턱이 결합되며 외측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부를 구비하고, 해당 외측면은 스페리컬 베어링의 수직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원통형 또는 다각판형 베어링 플레이트에도 모두 적용 가능한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단 키가 삽입되는 키홀이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와, 해당 경사부에서 일정한 폭으로 상방 연장되는 연장홈부를 구비하고, 전단 키 역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방 이탈을 방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를 통하여 전단 키 없이도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해당 이탈방지부가 상부 플레이트까지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증대시키거나, 해당 이탈방지부의 연장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부의 상방연장부가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해체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교량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 사이에 교량받침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이한 베어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스페리컬 베어링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 '교축방향'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교축 직각방향'은 상기 교축방향과 수평면 상에서 직교방향인 교량의 폭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방향 지칭 시 '내측'은 설명하기 위한 구성이 스페리컬 베어링의 수직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은 상기 내측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이한 베어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스페리컬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스페리컬 베어링(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부구조물(U) 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구조물(L) 측으로 전달하고 전단력에 대한 변위를 흡수하며, 상부 플레이트(10)에 적용되는 부반력의 제어를 하부 플레이트(50)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수행함으로써 전체 받침 두께 감소를 구현화하는 스페리컬 베어링(1)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페리컬 베어링(1)은 상부 플레이트(10), 베어링 플레이트(30), 하부 플레이트(50) 및 전단 키(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는 교량 상부구조물(U)의 저면과 결합하며 그 저면이 후술할 베어링 플레이트(30) 상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구조물(U)로부터의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0)의 형상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사각판과 같은 다각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강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교량 상부구조물(U)의 저면과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상부 플레이트(10)는 강판부(110) 및 걸림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강판부(11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저면에,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판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강판부(110)는 베어링 플레이트(30)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미끄럼재와 면 접촉하고 상부 플레이트(10)와 베어링 플레이트(30) 간 접촉 마찰을 저하시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용이한 슬라이딩을 도모하는 구성이다. 또한, 강판부(11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저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걸림턱부(13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 연장되고, 예를 들어 교축 방향을 따라 하방 연장되며, 후술할 부반력 제어부(350)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30)에 적용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는 정면 형상이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걸림턱부(130)는 연장턱(131) 및 사이드 블럭(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턱(131)은 상부 플레이트(10)의 양 테두리부와 인접한 측 저면에서 하방 연장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이러한 연장턱(131)은 교축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연장턱(131)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장턱(131)의 내측면은 후술할 부반력 제한턱(353)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부반력 제한턱(353)은 연장턱(131)의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교량 상부구조물(U)에 교축 직각 방향 변위 발생으로, 상부 플레이트(10)가 교축 직각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연장턱(131)의 내측면이 부반력 제한턱(353)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10)의 교축 직각 방향 변위 발생에 대하여 저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연장턱(131)의 기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드 블럭(133)과 함께 단순 부반력 제어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이드 블럭(133)은 상부 플레이트(10)가 후술할 베어링 플레이트(30)로부터 상방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턱(131)의 일 측과 결합하는 구성이다. 사이드 블럭(133)은 연장턱(1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사이드 블럭(133)이 연장턱(131)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스페리컬 베어링(1) 교체 시 이점이 발생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이드 블럭(133)과 연장턱(13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10)를 베어링 플레이트(30)로부터 들어올리는 경우, 사이드 블럭(133)의 상면이 부반력 제한턱(353)의 저면과 접촉되어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베어링(1)의 전체 분리 작업이 비용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사이드 블럭(133)이 연장턱(131)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먼저 사이드 블럭(133)을 해제하고, 상부 플레이트(10)을 들어올리면 부반력 제한턱(353)과 상호 접촉되지 않으므로 분리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진다.
또한, 사이드 블럭(133)의 연장턱(131)과의 결합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이드 블럭(133)의 내측 관통공(133a)과 연장턱(131)의 함입공(131a)을 매칭시킨 이후, 결합수단을 삽입하여 양 구성을 결합한다. 여기에서 결합수단이란 예를 들어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또는 공지될 임의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사이드 블럭(133)은 그 상면을 연장턱(131)의 저면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방식은 관통공(133a)과 함입공(131a)이 수직 방향으로 매칭되고, 상기 관통공(133a)의 말단은 개방된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사이드 블럭(133)의 용이한 해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는, 사이드 블럭(133)에 함입공(133a)이, 그리고 부반력 제한턱(353)에 관통공(353a)이 각각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사이드 블럭(133)의 외측면을 부반력 제한턱(353)의 내측면과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함입공(133a) 및 관통공(353a)을 매칭한 이후, 결합수단을 삽입하여 양 구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결합수단이 수평 방향을 따라 결합된 상태이므로, 지속적인 부반력 발생에도 상기 결합수단이 해제될 가능성이 극히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베어링 플레이트(3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하측에 배치되어 교량 상부구조물(U)로부터의 하중을 하부 플레이트(10) 측으로 전달하고 상부 플레이트(10)의 수평 변위 및 회전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베어링 플레이트(30)는 베어링 몸체부(310), 안착면(330), 부반력 제어부(350), 키홈(370) 및 미끄럼재 삽입홈(39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몸체부(310)는 베어링 플레이트(30)의 바디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베어링 몸체부(310)는 외측면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그 외측면이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다각판형으로, 예를 들어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적용 환경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몸체부(310)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면(330)은 베어링 플레이트(30)의 저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부 플레이트(10)의 회전을 수용하기 위하여 곡면 처리된다. 예를 들어 안착면(330)은 하방으로 돌출될 수도, 상방 돌출될 수도 있으며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착면(330)의 형상에 따라 후술할 하부 플레이트(50)의 베어링 접촉면(510)이 결정되며, 양 구성은 상호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반력 제어부(350)는 베어링 몸체부(3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턱부(130)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10)에 발생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부반력 제어부(350)는 평탄화부(351) 및 부반력 제한턱(353)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부(351)는 원통형 베어링 몸체부(31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부반력 제한턱(353)이 결합될 그 외측면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평탄화부(351)의 외측면은 연장턱(131)의 내측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평탄화부(351)의 외측면이 스페리컬 베어링(1)의 수직중심축과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몸체부(310)는 다각판형의 일 예시인 사각판형으로,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베어링 몸체부(3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후술할 부반력 제한턱(353)이 연장턱(131)과 대략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부(351)가 필수적이다. 평탄화부(351)의 형상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으나 부반력 제한턱(353)이 결합할 외측면은 연장턱(131)가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탄화부(351)는 부반력 제한턱(353)과 동일 높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도, 상기 부반력 제한턱(353)보다 두꺼운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평탄화부(351)는 다각판형 베어링 몸체부(310)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도 5 참고).
이러한 평탄화부(351) 역시 부반력 제한턱(353)과 일체로,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반력 제한턱(353)은 원통형 베어링 몸체부(310)에 있어서 평탄화부(351)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도 4 참고), 다각판형 베어링 몸체부(310)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몸체부(3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도 5 참고), 교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반력 제한턱(353)의 형상은 일 예로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부반력 제한턱(353)은 상부 플레이트(10)의 교축 직각 방향 변위 발생 시 연장턱(131)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0)에 부반력 작용시, 부반력 제한턱(353)의 저면이 연장턱(131)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0)가 상방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 방향 가동단 스페리컬 베어링(1)이 아닌, 고정단 스페리컬 베어링(1)의 경우, 부반력 제한턱(353) 또는 연장턱(131)의 교축 방향 말단 측에 추가적인 스토퍼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턱(131)의 교축 방향 양 말단 측의 전면 및 배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추가적인 턱(스토퍼부)를 형성하여 부반력 제한턱(353)의 교축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반력 제어부(350)의 장점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9)의 구조 및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9)은 교량 상부구조물(U)의 저면과 결합하는 상판(91), 상판 하측에 형성되는 베어링 플레이트(93),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93)가 안착되며 교량 하부구조물(L)과 결합하는 하판(95)을 포함한다. 또한, 상판(91)에는 양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입되는 결합부(911)가, 그리고 결합부(911)의 하측에는 걸림턱부(913)가 형성된다. 또한, 하판(95)의 외측면에는 대략 'ㄱ' 형상의 블럭부(951)가 형성된다. 이러한 블럭부(951)는 결합부(911) 측으로 삽입되며 걸림턱부(913)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블럭부(951)와 걸림턱부(913)의 면 접촉에 의하여 상판(10)에 적용되는 부반력에 대하여 저항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9)은 부반력을 제어하는 구성이 상판(91) 및 하판(95)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블럭부(951)에 의하여 상판(91)과 하판(95)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판(95)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키워 상판(91)과의 이격 거리를 좁혀야 한다. 이는 곧, 스페리컬 베어링(9)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하며, 공간이 협소한 교량 상부 및 하부구조물(U, L) 내에서 해당 베어링(9)의 설치를 비용이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는, 블럭부(951)의 상하 방향 길이를 상판(91)과 하판(95)의 이격 거리를 커버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하여야 한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9)은 부반력을 제어하는 부반력 제어부(350)가 하부 플레이트(50)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30) 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하부 플레이트(50)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할 필요도, 또는 부반력 제어부(350)의 상하 방향 길이를 종래와 같이 길게 형성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협소한 교량 이격 공간 내에서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제작 비용 절감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0) 또는 하부 플레이트(50) 상에 종래의 함입형 결합부(911)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키홈(370)은 안착면(330)의 저면 일 측에 형성되어 내측 홈에 후술할 전단 키(70)의 부분 삽입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키홈(370)은 안착면(330)의 저면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깊이 함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홈(37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단 키(70) 외주면의 나사산과 상호 맞물려 상기 전단 키(70)의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키홈(370)은 후술할 키홀(530)과 상호 매칭시킨 이후, 결합수단을 삽입하여 베어링 플레이트(30) 및 하부 플레이트(50) 간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10)에 부반력 적용 시,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상부 플레이트(10)와 함께 상방 이탈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미끄럼재 삽입홈(390) 베어링 몸체부(3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깊이 함임되어 내 측에 미끄럼재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미끄럼재는 PTF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판부(110)와의 접촉면의 마찰 계수 크기를 작게 하여, 상부 플레이트(1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도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0)는 상면에 안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상부 플레이트(10)의 회전을 수용하도록 하며, 상 측으로부터의 하중을 교량 하부구조물(L)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하부 플레이트(50) 역시 상부 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강재로 이루어지며, 그 외면이 전체적인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하부 플레이트(50)는 베어링 접촉면(510) 및 키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접촉면(510)은 안착면(330)의 저부와 상보적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베어링 접촉면(510)은 상방으로 볼록한 돌출형으로, 또는 하방으로 볼록한 함입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접촉면(510)과 안착면(330) 사이에는 안착면(330)의 용이한 슬라이딩을 도모하기 위하여 PTFE 재질의 미끄럼재가 배치될 수 있다.
키홀(530)은 베어링 접촉면(510)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 또는 함입되어 내 측에 전단 키(70)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키홀(530)은 베어링 접촉면(510)의 중앙부로부터 하부 플레이트(50)의 저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홀(530)의 내면은 일 측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531)와, 상기 경사부(531)로부터 베어링 접촉면(510)까지 연장될수록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연장홈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전단 키(70)의 경사진 하측부(710)가 경사부(531) 측에 배치되고, 일정한 폭의 상측부(730)가 연장홈부(533) 측에 배치된다. 결국, 부반력 작용 시,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상방으로 이탈하려고 할 때에, 경사부(531) 및 상측부(730)가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전단 키(70)는 베어링 플레이트(30) 및/또는 하부 플레이트(50)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키홈(370) 및 키홀(530)의 내 측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 키(70)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하측부(710)와, 상기 하측부(71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상방 연장되는 상측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부(7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1')은 전술한 스페리컬 베어링(1)과 달리, 전단 키(70)와 상기 전단 키(70)가 배치되는 키홀(530) 및 키홈(370)을 구비하지 않고, 사이드 블럭(133')의 형상이 상이하며, 하부 플레이트(50')에 별도의 이탈방지부(530')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1)과 중복되는 구성들에 대한 재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블럭(133')은 연장턱(131')의 일 측과 결합하며, 예를 들어 그 상면 일 측이 연장턱(131')의 저면과 결합하고 상기 연장턱(131')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걸림턱부(130')가 전체적으로 'T'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플레이트(10')에 부반력 작용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도록, 부반력 제한턱(353')의 저면과 접촉하며 사이드 블럭(133')의 연장턱(131') 내측으로 연장되는 측 상면을 제1 면(133a')으로, 베어링 플레이트(3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할 이탈방지부(530')의 절곡부(533')의 저면과 접촉하고 연장턱(131')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 상면을 제2 면(133b')으로 지칭한다.
이탈방지부(530')는 하부 플레이트(5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 연장된 이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중간 플레이트(3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상방연장부(531') 및 절곡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방연장부(531')는 하부 플레이트(50')의 외측면과 결합하고, 소정 높이 상방 연장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방연장부(531')는 사이드 블럭(133')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방연장부(531')는 그 상단부가 사이드 블럭(133')의 상면으로부터 절곡부(533')의 두께 이상 상방 연장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방연장부(531')는 하부 플레이트(50')와 결합하는 측에 측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결합공(531a')이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50')의 함입공과의 위치 매칭 후 결합수단의 삽입을 통해 상호 구성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베어링(1') 해제 시 이탈방지부(530') 및 사이드 블럭(133')을 순차적으로 해제하여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용이한 해제 작업이 가능하다.
절곡부(533')는 상방연장부(531')의 일 측에, 예를 들어 상방연장부(531')의 내측면 상 측에 결합되어 베어링 플레이트(30')에 부반력 작용시 연장턱(131')의 제2 면(133b')과 접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절곡부(533')는 평상시 그 상면이 사이드 블럭(133')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곡부(533')는 상방연장부(5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50')에 이탈방지부(530')를 구비하여도, 상기 이탈방지부(530')는 상부 플레이트(10')까지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10')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증대시키거나, 이탈방지부(530')의 연장 길이를 지나치게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
10 : 상부 플레이트
110 : 강판부 130 : 걸림턱부
131 : 연장턱 131a : 함입공
133 : 사이드 블럭 133a : 관통공
30 : 베어링 플레이트
310 : 베어링 몸체부 330 : 안착면
350 : 부반력 제어부
351 : 평탄화부 353 : 부반력 제한턱
370 : 키홈 390 : 미끄럼재 삽입홈
50 : 하부 플레이트
510 : 베어링 접촉면 530 : 키홀
531 : 경사부 533 : 연장홈부
70 : 전단 키
710 : 하측부 730 : 상측부
1'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리컬 베어링
10' : 상부 플레이트
133' : 사이드 블럭
133a' : 제1 면 133b' : 제2 면
50' : 하부 플레이트
530' : 이탈방지부
531' : 상방연장부 531a' : 결합공
533' : 절곡부
9 : 종래의 스페리컬 베어링
91 : 상판
911 : 결합부 913 : 걸림턱부
93 : 베어링 플레이트
95 : 하판
951 : 블럭부

Claims (12)

  1. 교량 상부구조물의 저면과 결합하며 저면이 베어링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부 플레이트의 수평 변위 및 회전을 허용하도록 저면이 곡면 처리된 베어링 플레이트; 및
    상면에 안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을 수용하도록 상면 일 측이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상 측으로부터의 하중을 교량 하부구조물로 전달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양 측면에 인접한 측 저면에서 하방 연장되고, 부반력 제어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바디를 형성하는 베어링 몸체부; 및 상기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턱부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에 발생하는 부반력을 제어하는 부반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인접한 측 저면에서 하방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턱; 및
    상기 연장턱의 일 측과 결합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부반력 작용시 상면이 상기 부반력 제어부의 일 측과 접촉하는 사이드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력 제어부는
    원통형의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부반력 제한턱이 결합될 외측면을 제공하며, 그 외측면은 상기 연장턱의 내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평탄화부; 및
    상기 평탄화부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부반력 작용시, 저면이 상기 연장턱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반력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부는
    외측면이 외측면이 스페리컬 베어링의 수직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력 제어부는
    다각판형 베어링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부반력 작용시, 저면이 상기 연장턱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반력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블럭은
    연장턱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블럭은
    상면이 상기 연장턱의 저면과 결합된 이후, 상기 사이드 블럭의 상하방향 관통공 및 연장턱의 상하방향 함입공 내에 결합수단 삽입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저면 일 측에 상방 함입 형성되어 전단 키의 부분 삽입을 허용하는 키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저부와 상보적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어링 접촉면; 및 상기 베어링 접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 또는 함입되어 내 측에 전단 키의 삽입을 허용하는 키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및/또는 하부 플레이트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전단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은
    일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베어링 접촉면까지 연장될수록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연장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키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며 경사부 내측에 위치하는 하측부; 및 상기 사측부의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며 연장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10.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블럭은
    상기 연장턱의 저면과 결합하며, 상기 연장턱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측 상면인 제1 면 및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 상면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상방 연장된 이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블럭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결합하고 상방 연장되는 상방연장부; 및
    상기 상방연장부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부반력 작용시 제2 면과 접촉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방연장부는
    상단부가 사이드 블럭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연장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측에 측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수단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190038387A 2019-04-02 2019-04-02 스페리컬 베어링 KR10262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387A KR102622008B1 (ko) 2019-04-02 2019-04-02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3A KR20230117080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1A KR20230117078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2A KR20230117079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387A KR102622008B1 (ko) 2019-04-02 2019-04-02 스페리컬 베어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302A Division KR20230117079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1A Division KR20230117078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3A Division KR20230117080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698A true KR20200116698A (ko) 2020-10-13
KR102622008B1 KR102622008B1 (ko) 2024-01-10

Family

ID=7288501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387A KR102622008B1 (ko) 2019-04-02 2019-04-02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1A KR20230117078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2A KR20230117079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3A KR20230117080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301A KR20230117078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2A KR20230117079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230097303A KR20230117080A (ko) 2019-04-02 2023-07-26 스페리컬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622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8901A (zh) * 2020-11-05 2021-03-09 滁州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波形钢腹板体外预应力箱梁桥转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35B1 (ko) * 2009-02-13 2009-09-10 웅진엔지니어링(주) 교량 측면 경사 방지 및 교량 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교량받침
KR101370820B1 (ko) * 2013-04-12 2014-03-07 조현화 교량받침장치
KR101790616B1 (ko) 2017-06-01 2017-11-20 매크로드 주식회사 스페리컬 교좌 장치
KR101853619B1 (ko) * 2017-07-06 2018-06-20 (주)광원아이앤디 탈착형 걸림부를 가지는 교량용 스페리컬 베어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35B1 (ko) * 2009-02-13 2009-09-10 웅진엔지니어링(주) 교량 측면 경사 방지 및 교량 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교량받침
KR101370820B1 (ko) * 2013-04-12 2014-03-07 조현화 교량받침장치
KR101790616B1 (ko) 2017-06-01 2017-11-20 매크로드 주식회사 스페리컬 교좌 장치
KR101853619B1 (ko) * 2017-07-06 2018-06-20 (주)광원아이앤디 탈착형 걸림부를 가지는 교량용 스페리컬 베어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8901A (zh) * 2020-11-05 2021-03-09 滁州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波形钢腹板体外预应力箱梁桥转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078A (ko) 2023-08-07
KR102622008B1 (ko) 2024-01-10
KR20230117079A (ko) 2023-08-07
KR20230117080A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064B1 (ko) 교좌장치의 수평하중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US4109585A (en) Frictionally snubbed railway car truck
SK285586B6 (sk) Premostenie
US10266993B2 (en) Bearing pad
KR20230117080A (ko) 스페리컬 베어링
US8136456B2 (en) Friction wedge for railroad car truck
KR100986696B1 (ko)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2단의 변위제어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KR102058684B1 (ko) 탄성복원력을 활용한 교량받침장치
KR101093573B1 (ko) 유지 보수형 스페리컬 교좌장치
KR101822905B1 (ko) 교량용 면진장치
KR101297635B1 (ko) 마찰판의 탈락 방지수단을 구비한 구조용 받침
KR101386048B1 (ko) 스페리칼 받침
KR20200116699A (ko) 교량용 디스크 받침
US2669944A (en) Railway car truck construction
US6758406B2 (en) Rail switch brace
KR102221247B1 (ko)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JPH0349123Y2 (ko)
US4210281A (en) Spring type anchors
KR102077321B1 (ko) 쐐기부재를 이용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탄성받침
US2360566A (en) Draft gear
JP2006312841A (ja) 構造物移動制限用ストッパ装置
GB2049875A (en)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leaf springs
TWI573908B (zh) Strip fixing member and rail fixing method
US20230349147A1 (en) Structural sliding bearing and structural bearing system
US20230003011A1 (en) Gutter system, cover unit and secur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