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683A - 올레아노일 펩티드 조성물 및 콜라겐 증진 - Google Patents

올레아노일 펩티드 조성물 및 콜라겐 증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683A
KR20200115683A KR1020207027957A KR20207027957A KR20200115683A KR 20200115683 A KR20200115683 A KR 20200115683A KR 1020207027957 A KR1020207027957 A KR 1020207027957A KR 20207027957 A KR20207027957 A KR 20207027957A KR 20200115683 A KR20200115683 A KR 2020011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uman skin
peptide
expression
inc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하메드 마제에드
칼리아남 나가부샤남
Original Assignee
무하메드 마제에드
칼리아남 나가부샤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614,538 external-priority patent/US20150148297A1/en
Application filed by 무하메드 마제에드, 칼리아남 나가부샤남 filed Critical 무하메드 마제에드
Publication of KR2020011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피부 회복 및 견고함의 방법을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회복 및 견고함을 가능하게 하는 피부의 세포에서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일으키기 위해 분자 레벨에서 증가된 세포의 전달의 효과가 실현되도록, 피부 세포와 올레아놀릭산의 펜타펩티드 접합체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서 형질전환 성장 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올레아놀릭산의 펜타펩티드 접합체의 효과를 입증한다.

Description

올레아노일 펩티드 조성물 및 콜라겐 증진{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COLLAGEN ENHANCEMENT}
관련된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이들 둘 다가 모든 목적에 대해 이들의 전체로 참고문헌으로 본원에 포함되는, 차례로 "PEPTIDES MODIFIED WITH TRITERPENOIDS AND SMALL ORGANIC MOLECULES: SYNTHESIS AND USE IN COSMECEUTICALS"로 명명된 2007년 8월 7일자에 출원된 출원 Ser. 번호 11/835,165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A METHOD OF TREATING SKIN AGING"로 명명된 2010년 12월 28일자에 출원된 US 출원 번호 12/979,667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15년 2월 5일에 출원된, US 출원 번호 14/614,538의 PCT 출원이다.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연관된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의한 견고함(firming) 및 피부 회복의 방법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
피부의 외관(appearance) 및 조건은, 피부의 질병(dermatological diseases) 또는 정상 노화 과정과 같은, 병리학적 과정,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햇빛, 바람 마식(wind abrasion), 습도 등] 또는 사람이 만든(가열, 공기 조건, 오염물질 등), 환경적인 인자의 효과를 통해 저하될 수도 있다. 피부가 노출되는 다양한 손상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승 작용에 의해 작용할 수도 있다. 시간 동안에 발생할 수도 있는 피부 속성의 저하를 개선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는, 피부 보호를 위한 새로운 또는 개선된 화장품 조성물 및 화장 방법을 점점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물 또는 방법은, 주름, 선, 피부 색조의 상실, 피부의 얇아짐, 과다색소침착 또는 반점(mottling) 및 검버섯의 출현과 같은, 노화 과정의 가시적인 징후를 예방, 지연 또는 역전시킨다. 이러한 생산물 또는 방법은, 다른 잠재적인 자극물질 중에서, 화학물질, 바람, 또는 햇빛에 대한 노출에 의해 자극되는, 민감성, 건조 또는 각질 피부, 및/또는 진정 피부의 출현 및 조건을 개선하는 것이다.
노령화 집단과 함께, 인간의 몸 및, 보다 특히 인간 피부와 관련된 것과 같은 노화의 연구가 증가하였다. 예를 들어, 가는 선(fine lines), 주름 등의 존재에 의해 나타낸 노화 피부의 처리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가는 선, 주름, 이완(laxity) 및 과색소침착과 같은 노화의 진피의 징후는, 수술, 레이저 치료 및 화장품을 포함하는 많은 방법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 화장품 치료는, 진피 노화(dermal aging)의 효과를 바꾸기 위해 다양한 크림과 로션 사용이 포함한다. 선행 기술의 많은 문헌은, 몇몇의 유해한 노화 효과 중의 하나를 예방하기 위해 단일 주성분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술은, 다른 성분 없이 피부 세포의 재-성장을 자극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이드록시산 또는 레티노산을 사용하는 것이다. 노화가, 다수의 동시의 손상 경로를 통해 피부에 대한 손상을 일으키는, 다수의 근원으로부터, 피부에서 다수의 제제의 유해한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임을 인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은 결함이 있다.
소비자들은 점점 더 피부의 주름, 구김살(creasing) 및 골(furrowing)을 치료하는 "노화 방지(anti-aging)" 제품을 찾고 있다. 얼굴의 표정 선(expression lines)을 치료하기 위한 값 비싸고 고통스러운 미용 주사의 출현은, 효과적이고 비-침습적인 국소 대체재를 찾는데 있어 관심을 높이고 있다.
표정 선은, 성년의 초기에 얼굴 피부에서 발생하는 별개의 타입의 주름이다. 이들은, 안와골막, 미간, 이마 및 입주의 영역에서 얼굴 표정 근육(facial expression muscles)에 해부학적으로 관련된 것이다. 웃는 것, 찡그리는 것, 입술을 오무리는 것(pursing of the lips) 및 찌푸리는 것의 작용 동안에 이러한 근육의 활동은, 얼굴에서 다른 영역에서보다, 덮여있는 피부 상에서 보다 큰 육체적인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표정 선은, 표피와 같은, 피부의 해부학의 비-수축성 요소에 초점을 맞추는 이러한 국소적인 처리에 대해 보다 덜 반응적이다. 가장 효과적이기 위해서, 표정 선의 치료는, 피부와 연관된 안면의 표정 근육 및 근육 섬유 요소의 저해를 수반하여야 한다. 가로무늬 근육 섬유를 완화하는 무수한 물질은, 화장품 선행 기술에 기재된 것이다. 문제는, 선행 기술의 근육 이완제가, 천천히 작용하고, 충분히 강하지 않거나, 저해성 효과가 누적되지 않는 점이다. 게다가, 이러한 근육 이완제의 어떠한 것도 안면 근육 작용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피부의 변형을 빠르게 저해하는 새로 발견된 식물 추출물은 이러한 물질이 회복 및 활기(rejuvenate)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게 할 것이다.
얼굴 표정의 근육이 수축하거나 피부 아래에 이 자체로 짧아지고, 그 다음에 이의 휴식하는 길이로 이완되고 되돌아올 때 표정 선이 형성된다. 피부는 또한 짧아지고 다시 되돌아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육도 그렇다. 따라서, 상기 피부는 근육 수축으로서 내부로 휘어지고 접히는 경향이 있다. 밑에 있는 근육의 수축 및 되돌아옴(rebounding)을 견딜 수 있는 피부의 능력은, 상부 피부의 특성 및 건강에 관련된 것이다. 나이가 증가하면서, 피부의 두께, 탄력성, 콜라겐 함량 및 회복 능력은 줄어든다. 상기 피부는 이러한 작용으로부터 더 이상 돌아오지 않을 수 있고, 피부의 섬유의 내부-세포의 매트릭스는 약해지고 찢어진다. 이러한 시점에서, 피부는 영구적인 주름이 발달된다. 상기 주름은, 이러한 영역의 피부가 얼굴의 표정의 빈번한 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깊게 됨을 유지할 것이다.
표정 선의 해부학
표정 선과 연관된 피부는, 얼굴에서의 다른 곳에서 발견되는 것으로부터 조직적으로 상이하다. 피하의 연결 조직(sub-dermal connective tissue)의 소엽 사이의 격막(interlobular septa)은, 선형의 근육 조직 섬유[피하 지방층(panniculus carnosus)]을 함유한다. 이러한 섬유는, 밑에 있는 얼굴의 근육 그룹으로부터 발생한다. 이들은, 아래쪽 (그물 모양) 피부[lower (reticular) dermis]의 교원성 네트워크(collagenous network) 내에 통합된다.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s)"로서 알려진, 윗쪽 (유두) 피부[upper (papillary) dermis]에서 진피 섬유아세포의 서브-집단은, 선형 근육 조직과 유사한 수축성 특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진피 섬유아세포 내의 수축은, 선형 근육의 섬유 요소로서, 동일한 신경전달물질, 즉 아세틸콜린에 의해 매개된 것이다.
얼굴 피부 내의 근육 섬유는, 이러한 근육 섬유에 대한 신경계통의 운동신경의 유입(neural motor influx)을 조절하고, 이의 표면 평탄함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안면 신경의 벨의 마비(Bell's palsy of the facial nerve)로 고통받는 환자는, 비-마비된 면 위에서보다 얼굴의 마비된 면 위에 보다 부드러운 피부를 가진다. 또한, BotoxTM 성형 주사는, 이마 및 윗 눈썹 근육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근육의 외부 피부를 보다 부드럽게 한다. BotoxTM는 근육 섬유의 구심성 운동 뉴론의 시냅스 접합(synaptic junction) 내의 아세틸콜린의 흡수를 방해하고, 이로 인하여, 주름 및 깊은 주름(furrows)과 연관된 근육 조직의 수축을 예방한다. BotoxTM 치료는 수요가 많고, 따라서, 국부의 등가성(topical equivalency)을 발달시키기 위한 성형 과학의 목표이다(A. Blitzer et al.,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19, pages 1018 to 1022 (1993)을 참고하라) (J. D. Carruthers et al., J. Dermatol. Surg. Oncol., 18, pages 17 to 21 (1992)를 참고하라.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화장 조성물 및 화장 방법은, 피부 관리 및 치료에 대해서 발달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대다수가 아닐지라도, 생산품 또는 처리 방법은, 불충분한 결과를 유도하는 데이터에 기재된 것이거나 또는 원하지 않는 부작용에 의해 망쳐졌다. 이러한 것들은, 피부 또는 인접한 점막의 자극, 피부의 과도한 유성 또는 지성의 생산 또는 피부의 변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진피 회복: 피부의 재생시키는 능력은, 나타내는 근육(expressive muscles)의 이완 및 만성 근육 수축을 견뎌내기 위한 이의 능력과 관련된 중요성을 가진다. 노화 또는 태양 손상된 피부의 결과로서, 아래쪽 피부의 활기를 되찾게 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섬유모세포(fibroblastic cells) 및 혈관에서의 축소가 있다. 윗쪽 피부(upper dermis)의 "기저층(basal layer)"에서 섬유아세포는, 새로운 세포로 보다 더 느리게 재생하고, 콜라겐을 제조하기 위한 이들의 능력은 느슨해지고, 콜라겐 섬유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덜해진다. 진피 매트릭스가, 콜라겐의 소스(source) 및 주요한 물을 보유하는 분자, 즉 글리코아미노글리칸(glycoaminoglycans) 및 히알루론산이기 때문에, 이를 보존하는 것은, 표피의 건강에 필수적이다. 전구 단백질의 반복되는 보충 없이, 콜라겐 섬유 네트워크 및 세포외 매트릭스의 해체 및 소멸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는, 윗쪽 피부의 기계적인 저항의 약화 및 진피-상피 접합(dermal-epidermal junction)의 편평률(flattening)이다. 따라서, 노화 피부(aging skin)는, 보다 영속적인 것이 되기 위한-얼굴의 표정 동안에 발생하는-일시적인 변형에 대해 보다 더 큰 민감성(susceptibility)을 가진다. (Oikarinen, "The Aging of Skin: Chronoaging Versus Photoaging", Photodermatol. Photoimmunol. Formation, Photomed., vol. 7, pp. 3-4, 1990를 참고하라). (Thalmann et al. "A Computational Skin Model: Fold and Wrinkle Formation" pp. 1-5를 참고하라).
진피를 강화하거나 또는 피부의 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단수형 분자 또는 이의 조성물을 기재하는 문헌(U.S. Pat. No. 6,794,362)(U.S. Pat. No. 6,777,389)에서 몇몇의 시사가 있다. 이들은, 엘라스틴의 분자 조성물을 모방하거나 이에 첨가하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유사 화합물로부터 제형화된 것이다. Mitts et al. (U.S. Pat. No. 6,809,075)는, 펩티드/레티노이드 조성물이 진피의 엘라스틴 성분 내에 통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변형으로부터 되돌아오기 위한 피부의 능력을 증가시킴을 상정한다. 좀더 자주, 선행 기술은, 천연 또는 합성 펩티드 제형이, 진피 매트릭스의 세포외 기질 또는 콜라겐 섬유 네트워크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이유로, 신규한 온전함(Lowe, N. et al., "Pharmacology of Retinols In Skin", Vol. 3 (1989), pp. 240-248). 그러나, 레티노이드에 의해 기인하는 불안정 및 자극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Dioguardi (U.S. Pat. No. 5,198,465)에 의해 지지된 접근은, 콜라겐 대사 경로의 조효소 및 합성된 전구체 콜라겐 분자의 국소적인 적용에 의해 일반적으로 피부에서 콜라게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전제는, 확산을 통한 직접적인 대체 및 전구체 물질의 흡수가 부족한 피부를 강화하는 것이다. Kludas (U.S. Pat. No. 5,055,298)에 의해 시사된 유사한 개념은, 실질적으로 천연 조성물이 진피-상피 접합에서 대표적인 및 리모델링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 분야(U.S. Pat. No. 6,906,036, U.S. Pat. No. 6,884,425)에서는,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ienases)의 저해제가 진피의 분열을 예방하고, 이를 치료하고, 정상의 건강한 피부로의 회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기 언급된 특허의 어떠한 것도, 콜라겐 전구체의 합성 및 섬유아세포 활성을 자극하기 위한 능력을 시사하지 않고; 이들의 어떠한 것도 진피 두께 및 콜라겐 섬유 네트워크를 회복하기 위해 주장하지 않았다.
최근 특허에서, Varani et al. (U.S. Pat. No. 6,919,072)에서는, 콜라겐 분해를 저해하고, 프로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함량에서 콜라겐을 촉진하고, 케라틴세포 및 섬유모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레티노이드 및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 저해제의 조성물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연대순의 나이든 피부에서 진피-상피 인터페이스의 두께를 회복하고, 이는 정상 수준으로 상피 진피 내에 콜라겐 함량을 회복한다. 이에, 환경적인 및 육체적인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한 피부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이의 특성이 있다. 다른 레티노이드와 함께, Lowe의 레티노이드는 연장된 적용을 필요로 하고, 진피 회복은, 이러한 적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보다 더 느리다.
펩티드의 중요성
조기 분야의 초점은, 새로운 콜라겐을 형성하는 분자를 물리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거나 이의 갱신 및 건강한 재형성을 가져오도록 기저층을 방해하거나 자극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물질을 드러내는데 있다. 보다 최근의 문헌은, 세포의 재-성장에 의해 이 자체를 여장하기 위해 상피 진피를 자극하는데 있어서 국소적인 펩티드 처리의 이익을 시사한다. 이러한 것은, 상기 몸이, 피부에 대한 상처 다음에 치유 과정을 자극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펩티드를 가짐을 지식에 의해 뒷받침한다. Robinson(U.S. Pat. No. 6,492,326)은, 팔미토일 펩타펩타이드-3, 펩타펩티드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의 조합을 함유하는 다양한 제형을 시사한다. Lintner (U.S. Pat. No. 6,620,419)은, 글리코사미노글리콜 및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전체 서열 팔미토일-리실-트레오닐-트레오닐-리실-세린(palmitoyl-lysyl-threonyl-threonyl-lysyl-serine)(SEQ ID No. 1에 부착된 팔미토일 기)의 펩티드 화학식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은, 예상보다 이른 제형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다른 형태의 피부 노화 및 주름을 치유하기 위해 상승작용에 의해 작용한다. Robinson에 대한 Lintner 가르침에서의 중요한 차이점은, 이러한 친유성 변형된 펩티드가 표피를 침투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따라서 진피의 형성에 중요한 층을 도달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펜타펩티드의 말단(terminal end) 위로 지방산의 첨가가 있다. 최종적인 결론은, 상피 진피의 재생 능력을 회복함으로써 피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 피부는, 이 자체의 피부 내에서 마이크로-수축(micro-contractions) 및 표정 근육의 활동적인 수축 및 이완에 의해 이에 부과된 변형을 견디는 것을 보다 가능하게 한다.
보다 포괄적인 연구는, 스트레스, 태양 노출 및 음식, 물 및 공기에서 불순물과 같은 환경적인 인자가 또한, 이른 노화의 출현을 유도하고, 차례로, 피부의 외형에 영향을 주고 변경하는, 피부의 상피 및 진피 층의 구성성분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견된 것이다. 예를 들어, 자유 라디칼, 반응성 질소종("RNS"), 반응성 산소종("ROS") 및 다른 산화종("OOS")과 같은 인자는, 피부를 포함하는 인체에 불리하게 영향을 줄 수 있다. 피부의 외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견된 상기에 나타낸 그룹 내의 특정한 인자는, 산화질소,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과산화수소 및 수산화물 자유 라디칼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자는, 광손상, 피부의 전반적인 노화, 접촉성 피부염, 주름, 과산화지방질, 효소 분해, 환원 및 콜라겐 및/또는 엘라스틴의 분해, DNA의 분해 및 저해된 재생을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 조건에 다양하게 원인임을 보여준다.
항산화 활성은, 몸에서 반응성 산소 종의 생산을 감소하고 동시에 세포에 대한 회수할 수 없는 손상을 일으키는 산화를 예방하는 활성이다. 기저-상태(Ground-state) 또는 삼중 항산소(triplet oxygen)는, 효소, 감소 매커니즘, 화학적 화합물, 오염물질 및 광화학 반응과 같은 환경적인 또는 생화학적 인자에 대한 노출의 결과로서 활성화될 수 있고,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히드록시 라디칼 및 과산화수소와 같은 높은 반응성을 가지는 반응성 산소종(ROS)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는 회복할 수 없는 방해하는 세포 구성성분을 결과적으로 야기한다. 이러한 반응성 산소종의 작용은, 모든 것이 인체의 방어체계를 형성하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제 및 페록시다제와 같은 항산화 효소 및 비타민 C, 비타민 E 및 글루타티온와 같은 항산화성 물질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반응성 산소 종에 대한 노출 또는 몸에서의 이러한 방어 체계의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 반응성 산소 종은, 지질, 단백질 및 DNA를 회복불가능하게 지장을 줄 수도 있다. 노화, 암, 다수의 동맥경화증, 관절염 및 파킨슨 질병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이 그 결과이다.
BHA(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BHT(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및 NDGA[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 산(nordihydro-guaiaretic acid)]과 같은 합성 항산화물질은, 개발되고 있다. 천연 항산화물질의 예를 거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페록시다아제, 카탈라아제 및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와 같은 항산화물질 효소; 및 토코페롤(비타민 E),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카로테노이드 및 글루타티온과 같은 비-효소적인 항산화물질이 있다.
그러나, 합성의 항산화물질은, 몸에서 이들의 강한 톡성으로 인하여 알레르기성 반응 및 종양 형성을 일으킬 수 있고, 온도 민감성으로 인하여 열에 의해 쉽게 분열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천연 항산화물질은, 몸에서 합성 항산화물질보다 안전하지만, 보다 약한 효과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에서 안정성과 함께 어떠한 문제를 가지고, 또한 뛰어나 항산화물질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 항산화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소적으로-적용된 항산화물질은,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 태양 손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 세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든 피부 타입에 대한 장점을 가진다.
항산화 물질은, 피부 자극 및 염증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건강하고, 생기 있는 피부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계이고, 따라서 주름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킨다(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Pathology, 2000:257-263; Skin Pharmacology and Applied Skin Physiology, 2000: 143-149).
폴리페놀(폴리히드록시페놀) 구조를 가지는 수 백의 분자(즉, 몇몇의 히드록실 기 또는 방향족 고리)는, 식용 식물에서 확인된 것이다. 이러한 분자는 식물의 이차 대사물질이고, 병원균에 의한 공격 또는 자외선 방사에 대항하는 방어에 일반적으로 포함된다. 폴리페놀은, 과일, 야채, 곡물, 건조 콩과식물, 초콜렛 및 티, 커피 또는 와인과 같은 음료의 광범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이들이 서로 이러한 고리에 결합하는 구조적인 요소의 및 를 함유하는 몇몇의 페놀 고리의 기능으로서 상이한 기로 분류될 수도 있다. 폴리페놀의 클래스는, 페놀산,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및 리그난을 포함한다. 두 가지 클래스의 페놀산이 있다: 벤조산의 유도체 및 신남산의 유도체.
생체 내에서 각각의 및 모든 항산화물질을 측정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자가, 자유 라디칼 및 ROS를 제거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항산화물질 상태임이 또한 현재 널리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세포외 항산화물질 상태를 총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항산화물질에 의해, 타겟 표시 분자(target indicator molecules)에 도달하는 발생된 자유 라디칼의 저해를 기초로 하는 항산화물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저해 검정을 위한 공통의 특징은, 타겟 분자에 반응하기 위한 자유 라디칼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관찰되고 수량화될 수 있는 종점(endpoint)을 발생하는 것이다. 항산화물질의 첨가는 이러한 종점의 발달을 저해한다. 이러한 것의 좋은 예는, DPPH(1,1-디페닐-2-히드라질) 자유 라디칼 제거 활동(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이다.
결합 조직의 탄성 섬유(elastic fiber)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발견되는, 엘라스틴은, 피부 톤 및 질감에 대한 책임이 있다. ELASTASE, 세린 프로테아제 효소는, 대규모의 세포내 섬유 네트워크를 함유하는, 해리 조직(dissociating tissues)에 있어서 역할을 가진다. 과량의 엘라스타아제 생산(Excess elastase production)은 피부/이른 노화의 주름이 생김을 결과적으로 나타낼 것이다.
필수적인 단백질, 콜라겐은 피부 톤 및 구조를 유지한다. COLLAGENASE은, 치유에 대한 준비된 상처 베드를 남아있는 어떠한 죽은 조직의 상처를 청소하는 세린 프로테아제 효소이다(COLLAGENASE is a serine protease enzyme that cleans the wound of any dead tissue leaving the wound bed ready for healing). 염증 동안에 초기에 생산된 콜라겐분해효소는, 피부 톤 및 구조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단백질 콜라겐을 소화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에서의 역할을 가지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 방지(Anti ageing)에 대한 다른 매커니즘은, 피부에서 콜라겐 상승이다. 이의 재생 및 건강한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기저 층을 자극하거나 또는 방해하는 물질을 첨가하고, 새로운 콜라겐을 형성하는 분자를 물리적으로 보충할 수 있는 활동은, 노화 방지 조성물에 뛰어나다. 보다 최근의 문헌은, 세포의 재-성장에 의해 이 자체를 갱신하기 위한 상부 피부를 자극하는데 있어서 국소적인 펩티드 처리의 이익을 시사한다. 이러한 것은, 몸이 피부에 대한 상처 다음에 치유하는 과정을 자극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펩티드를 가짐을 지식에 의해 뒷받침하고 있다. Robinson(U.S. Pat. No. 6,492,326)은, 팔미토일 펩타펩티드-3, 펜타펩티드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다양한 제형을 시사하고 있다. Lintner(U.S. Pat. No. 6,620,419)은, 콜라겐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lcosaminoglycans)의 합성을 증가하는 전체적인 서열 팔미토일-리신-트레오닐-리실-세린(SEQ ID No. 1에 부착된 팔미토일 기)의 펩티드 방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초기의 제형보다 보다 효율적으로 다른 형태의 피부 노화 및 주름을 치유하기 위해 상승작용에 의해 작용한다.
본 발명은,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연관된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의한 견고함(firming) 및 피부 회복의 방법에 있어서 이의 효과적인 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피부 회복 및 견고함의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고, 상기 방법은, 회복 및 견고함을 가능하게 하는 피부의 세포에서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일으키기 위해 분자 레벨에서 증가된 세포의 전달의 효과가 실현되도록, 피부 세포와 올레아놀릭산의 펜타펩티드 접합체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행하고, 추가적인 관련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요약
피부 회복 및 견고함의 방법을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회복 및 견고함을 가능하게 하는 피부의 세포에서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일으키기 위해 분자 레벨에서 증가된 세포의 전달의 효과가 실현되도록, 피부 세포와 올레아놀릭산의 펜타펩티드 접합체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서 형질전환 성장 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올레아놀릭산의 펜타펩티드 접합체의 효과를 입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예로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에 노출한 다음에,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 세포에서 형질전환 성장 인자-β (TGF- β) 발현에서 퍼센트 증가의 그래프적인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에 노출한 다음에,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 세포에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발현에서 퍼센트 증가의 그래프적인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에 노출한 다음에, 피부에서 HSP 90 유전자의 발현에서의 퍼센트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에 노출한 다음에, 피부에서 LOX 유전자의 발현에서의 퍼센트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에 노출한 다음에, 피부에서 HSP-47 유전자의 발현에서의 퍼센트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에 노출한 다음에, 피부에서 TIMP 유전자의 발현에서의 퍼센트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도 1-6)
가장 바람직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형질전환 성장 인자-β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특히 콜라겐 합성에서, 특히 콜라겐 합성에서,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의 조절을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대부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감소된 피부 흉터의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하기에 관한 것이다:
A. 인간 피부에서 HSP 90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콜라겐 회복 및 재건(collagen repair and rebuilding)의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 인간 피부에서 HSP 47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프로-콜라겐 합성(pro-collagen synthesis)을 처리하는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인간 피부에서 LOX[리실 옥시다아제(Lysyl oxidase)]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세포외 매트릭스 리모델링(extracellular matrix remodelling)의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 인간 피부에서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TIMP) 유전자의 조직 저해제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및 엘라스타아제(elastase) 같은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의 저해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하기에 관한 것이다:
A. 코르노데스모신(cornodesmosin, CDSN), 클라우딘 7(claudin 7, CLDN7), 필라그린(FLG), 후기 각화세포 외피 3D(Late Cornified Envelope 3D, LCE3D), 로리크린(loricrin, LOR) 및 인테그린 베타 4(ITGB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 로리크린(LOR) 및 칼모듈린 유사 5(calmodulin like 5, CALML5)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인간 피부에서 케라틴세포 분화(keratinocyte differentiation)를 증가시키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D), 종양 단백질 p63(TP63) 및 Ki-67 항체에 의해 확인된 항원(MKI67)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부에서 세포 주기 및 세포 증식을 개선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 피부에서 아쿠아포린5 유전자(AQP5)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수화(skin hydration)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 피부에서 연관된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1(TGFB1) 유전자(associate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gene)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 피부에서 연관된 뼈형성 단백질 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서 멜라닌형성(melanogenesis)을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하기의 대표적인 예는 본원에 포함된다.
실시예 I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TGF-β)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의 평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 세포는, 10% FBS과 함께 DMEM 배지에서 배양되었고, 테스트를 위해 96 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되었다. 접종 후에 24 hrs에, HDF는 등급된 농도(graded concentrations)로 테스트 샘플(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과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테스트되었고, 37 ℃에서 5% CO2 항온기(incubator)에서 48 hrs 동안 배양되었다. 48hrs 후에, 상청액은, 각각의 웰로부터 수집되었다. 다양한 처리된 HDF에 의해 생산된 TGF-β 및 FGF의 양은, 제조자(R&D Systems)에 의해 제공된 키트 프로토콜에 따라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되었고, 흡광도는 Fluostar Optim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측정되었다. 표준 곡선은, 적절한 TGF-β/ FGF 농도에 대항하는(against) 표준의 흡광도 수치를 나타냄으로써 발생하였다. 대조 및 테스트 샘플의 TGF-β/FGF 농도는, 표준 그래프 방정식으로부터 계산되었다. 테스트 샘플에스 표시의 퍼센트 증가는, 처리되지 않은 세포에 대하여 계산되었다. 실험의 결과는 각각 도 1 및 2에서 예시되어 있다. 세포외 매트릭스의 합성에서 TGF-β1의 중요성은 하기에 잘 정립되어 있다:
1. Yang T et al, "miR-29 mediates TGFβ1-induced extracellular matrix synthesis through activation of PI3K-AKT pathway in human lung fibroblasts", J Cell Biochem. 2013 Jun;114(6):1336-42;
2. Tan J et al, "MicroRNA-29 mediates TGFβ1-induced extracellular matrix synthesis by targeting wnt/β-catenin pathway in human orbital fibroblasts." Int J Clin Exp Pathol. 2014 Oct 15;7(11):7571-7;
3. Das D et al, "TGF-beta1-Induced MAPK activation promotes collagen synthesis, nodule formation, redox stress and cellular senescence in porcine aortic valve interstitial cells.", J Heart Valve Dis. 2013 Sep;22(5):621-30.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의 콜라겐 자극/형성 능력(collagen stimulation/building ability)을 따라서 명확하게 나타내는데 있어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TGF-β 발현에서의 증가.
유사성, 상처 치유에 있어서 섬유아세포 및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s)의 능력은 Ian. A. Derby, "Fibroblasts and myofibroblasts in wound healing", Clin Cosmet Investig Dermatol. 2014; 7: 301-311에 기록되어 있다. 흉터를 포함하는 생리적인 조직 회복 및 피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근섬유아세포와 조직화하기 위한 피부 조직 미세환경에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에서의 중요성 및 이의 생체이용률에서의 중요성은, 상기 언급된 참고문헌에 논의되어 있다.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의 생리학적 조직 회복 능력을 따라서 명확하게 나타내는데 있어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발현에서의 증가.
실시예 2
유전자 발현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 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의 적용이 피부에서 유전자 발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연구는, 생체외 피부 배양 모델(EFT-400, MatTek)에서 전층을 사용하여 실행되었다. 테스트 물질의 100 마이크로리터는, 각각의 테스트 배양의 표면에 적용되었고, 24 시간의 기간 동안에 배양되었다.
배양물의 처리 및 유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100 L의 테스트 조성물은, 각각의 EFT-400 배양물의 중심에 적용되었다. 멸균의 유리 스프레더(sterile glass spreader)는, 테스트 물질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각각의 배양물은, 평평한 분배를 확인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점검되었다. 적용 후에, 상기 배양물은, 24 시간 동안 5% CO2로 37 ℃에서 배양기로 돌려보냈다. 24 시간 후에, 테스트 물질은, 멸균 PBS로 각각의 배양물의 표면으로부터 세척되었다. 테스트 물질의 제거 후에, 각각의 배양물은 4분의 1로 절단하고(each culture was cut into quarters ), RNA 용액 내에 두었다.
RNA 분리: RNA는 OpenArray 공정에 대해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은 >200ng/uL까지 농축된 진공 및 제조사의 지시(Promega)에 따른 Maxwell 16 LEV RNA 조직 키트를 사용하여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었다. RNA 농축 및 순수성(purity)은, Nanodrop 2000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cDNA 합성: cDNA는, OpenArray 공정(Life Technologies)에 대한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른 High Capacity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발생되었다.
qPCR 과정: qPCR 반응은, OpenArray 구성방식에서 입증된 Taqman 유전자 발현 검정을 사용하여 운영되었다. OpenArrays은, Life Technologies QuantStudio 12K Flex 기구에서 운영되었다.
데이터 분석: qPCR 데이터는, 상대적인 정량(RQ)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에 대한 RealTime StatMiner 소프트웨어 v4.2 내에 나타내었다. RQ 분석의 첫 번째 단계에서, 타겟 유전자의 CT 수치는 델타 CT (dCT)를 발생하기 위해 각각의 샘플에 대한 내인성 조절 유전자의 CT 수치로 정상화된다.
도 3, 4, 5 및 6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의 적용 후에 하기의 유전자의 피부 발현에서의 퍼센트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피부 건강에서 유전자 발현 및 이들의 연관된 이익은, 하기에 강조되어 있다.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의 적용 후에 피부에서 각각의 유전자 발현의 상향-조절은, 피부 건강 이익과 연관된 유전자 발현을 실현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HSP-90 (DNA 회복 및 세포외 매트릭스 리모델링에 도움이 되다-Radovanac K et al, "Stabilization of integrin-linked kinase by the Hsp90-CHIP axis impacts cellular force generation, migration and the fibrotic response.", EMBO J. 2013 May 15;32(10):1409-24);
2. HSP-47 (프로콜라겐 분자의 접힘 및 조립을 용이하기 하고, ER 내에서 접혀지지 않은 분자를 유지하고, ER에서 골지체까지의 정확하게 접혀진 분자의 수송을 보조하는, 분자 샤프론으로서 역할한다-Mohammed Tasab et al, "Hsp47: a molecular chaperone that interacts with and stabilizes correctly-folded procollagen", EMBO J. May 15, 2000; 19(10): 2204-2211)
3. LOX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 교차-결합에 도움을 준다-Rucker RB et al, "Copper, lysyl oxidase, an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cross-linking", Am J Clin Nutr. 1998 May;67(5 Suppl):996S-1002S) 및
4. TIMP(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의 조직 저해는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 활성을 조절하고, 매트릭스 변질을 최소화한다-Dimitra Bourboulia et al,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s):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ors intumor cell adhesion", Semin Cancer Biol. Jun 2010; 20(3): 161-168).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에 의해 다른 중요한 유전자의 상향-조절은, 표 1에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향-조절은, 다양한 측면의 피부 건강(항상성, 온전함 및 기능)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알려진 유전자 작용을 초래하기 위해,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의 능력에 이르게 한다.
유전자 유전자 이름 배 증가
(fold increase)
유전자 기능
CDSN 코르노데스모신(corneodesmosin) 1.78 장벽 기능
CLDN7 클라우딘 7 1.69 장벽 기능
FLG 필라그린 2.23 장벽 기능
LCE3D 후기 각화세포 외피 3D 1.61 장벽 기능
LOR 로리크린 1.63 장벽/ 케라틴세포 분화
ITGB4 인테그린, 베타 4 1.76 세포 부착/장벽 기능
PPARD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 1.59 세포 주기/세포 증식
TP63 종양 단백질 p63 1.56 세포 주기/세포 증식
MKI67 Ki-67 항체에 의해 확인된 항원 1.83 세포 증식
KLK5 칼리크레인-관련된 펩티다아제 5
(kallikrein-related peptidase 5)
2.44 박리(Desquamation)/
세포외 매트릭스
TGFB1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 1 1.72 세포외 매트릭스/콜라겐 합성
DSG3 데스모글레인 3(desmoglein 3) 2.19 세포외 매트릭스/세포 부착
AQP5 아쿠아포린 5(aquaporin 5) 1.97 수화(Hydration)
CALML5 칼모듈린 유사 5 1.91 케라틴세포 분화
BMP2 뼈형성 단백질 2 1.80 표백(Whitening)/멜라닌형성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에 의한 다른 중요한 유전자의 하향-조절(down-regulation)은, 표 2에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하향 조절은, 이렇게 함으로써 최적의 피부 건강을 조성하게 하는, 알려진 유전자 작용의 효과를 줄이기 위해,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테스트 조성물의 능력에 직접적으로 이르게 한다.
유전자 유전자 이름 배 감소
(fold decrease)
유전자 기능
IL1A 인터류킨 1, 알파 -1.77 염증반응
IL8 인터류킨 8 -1.68 염증반응
PTGS2 프로스타글리딘
엔도페록시드 생성효소
(endoperoxide synthase)
2/ COX2
-1.80 염증반응
TNF 종양 괴사 인자
(TNFsuperfamily,member)
-4.34 염증반응/
KRT10 케라틴 10 -1.71 케라틴세포 분화
KRT4 케라틴 4 -2.11 케라틴세포 분화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와 관련하여서만 해석되는 것이다.
<110> MAJEED, Muhammed NAGABHUSHANAM, Kalyanam CHANDRAMOULI, Renukeshwar H SOOD, Rattan PRAKASH, Subbalakshmi TATHAPUDI, Susmitha Anand <120>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COLLAGEN ENHANCEMENT <130> APC-2017-0307 <150> US 11/835165 <151> 2007-08-07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 Synthetic peptide <400> 1 Lys Thr Thr Lys Ser 1 5

Claims (12)

  1.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형질전환 성장 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특히 콜라겐 합성에서,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의 조절을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2
    .
  2.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감소된 피부 흉터의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3
    .
  3. 인간 피부에서 HSP 90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콜라겐 회복 및 재건(collagen repair and rebuilding)의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4
    .
  4. 인간 피부에서 HSP 47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프로-콜라겐 합성(pro-collagen synthesis)을 처리하는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5
    .
  5. 인간 피부에서 LOX[리실 옥시다아제(Lysyl oxidase)]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세포외 매트릭스 리모델링(extracellular matrix remodelling)의 효과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6
    .
  6. 인간 피부에서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TIMP) 유전자의 조직 저해제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콜라게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 같은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의 저해를 유발하도록,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7
    .
  7. 코르노데스모신(cornodesmosin, CDSN), 클라우딘 7(claudin 7, CLDN7), 필라그린(FLG), 후기 각화세포 외피 3D(Late Cornified Envelope 3D, LCE3D), 로리크린(loricrin, LOR) 및 인테그린 베타 4(ITGB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8
    .
  8. 로리크린(LOR) 및 칼모듈린 유사 5(calmodulin like 5, CALML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인간 피부에서 케라틴세포 분화를 증가시키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09
    .
  9.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된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D), 종양 단백질 p63(TP63) 및 Ki-67 항체에 의해 확인된 항원(MKI67)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부에서 세포 주기 및 세포 증식을 개선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10
    .
  10. 피부에서 아쿠아포린5 유전자(AQP5)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수화(skin hydration)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11
    .
  11. 피부에서 연관된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1(TGFB1) 유전자(associate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gene)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12
    .
  12. 피부에서 연관된 뼈형성 단백질 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서 멜라닌형성을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STR#1에 의해 나타낸 올레아놀릭산에 연결된 SEQ ID No. 1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유효한 농도의 조성물과 인간 피부를 접촉시키는(인간 피부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at00013

KR1020207027957A 2015-02-05 2015-12-22 올레아노일 펩티드 조성물 및 콜라겐 증진 KR202001156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14,538 US20150148297A1 (en) 2007-08-07 2015-02-05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collagen enhancement
US14/614,538 2015-02-05
PCT/US2015/067277 WO2016126343A1 (en) 2015-02-05 2015-12-22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collagen enhance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364A Division KR20170101946A (ko) 2010-12-28 2015-12-22 올레아노일 펩티드 조성물 및 콜라겐 증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683A true KR20200115683A (ko) 2020-10-07

Family

ID=5656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957A KR20200115683A (ko) 2015-02-05 2015-12-22 올레아노일 펩티드 조성물 및 콜라겐 증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253400B1 (ko)
KR (1) KR20200115683A (ko)
PH (1) PH12017501234A1 (ko)
WO (1) WO20161263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298A (en) 1987-12-01 1991-10-08 Chemisches Laboratorium Dr. Kurt Richter Gmbh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ellular connective tissue matrix
US5198465A (en) 1991-06-19 1993-03-30 Dioguardi Francesco S Compositions based on amino aci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recursor deficiencies in the synthesis of collagen
IL131543A (en) 1997-02-25 2005-08-31 Univ Michigan Cosmeti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ronological aging in human skin
US6809075B1 (en) 2000-05-30 2004-10-26 Connective Tissue Imagineering Llc Elastin peptide analogs and uses of same incombination with skin enhancing agents
FR2783169B1 (fr) 1998-09-15 2001-11-02 Sederma Sa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de peptides pour la cicatrisation et pour l'amelioration de l'aspect cutane lors du vieillissement naturel ou accelere (heliodermie, pollution)
US6777389B1 (en) 1998-11-19 2004-08-17 Connective Tissue Imagineering Llc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 of 7-hydroxylated steroids in combination with elastin derived peptides
US6492326B1 (en) 1999-04-19 2002-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ombination of skin care actives
US6794362B1 (en) 2000-05-30 2004-09-21 Connective Tissue Imagineering Llc Asparagine containing elastin peptide analogs
FR2826266B1 (fr) 2001-06-26 2005-02-2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mprenant une association entre un compose de la famille des n-acylaminoamides et au moins un inhibiteur de metalloproteinases matricielles
US6906036B2 (en) 2001-08-16 2005-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ging and wound healing compounds
US8383594B2 (en) * 2007-08-07 2013-02-26 Sami Labs Limited Peptides modified with triterpenoids and small organic molecules: synthesis and use in cosmeceuticals
US8987212B2 (en) * 2007-08-07 2015-03-24 Muhammed Majeed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aging
US20110294731A1 (en) * 2009-02-13 2011-12-01 Invitrx, Inc. Skin c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6343A1 (en) 2016-08-11
PH12017501234A1 (en) 2017-10-30
EP3253400A1 (en) 2017-12-13
EP3253400A4 (en) 2018-08-01
EP3253400B1 (en)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81703B2 (en)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collagen enhancement
US20140206842A1 (en) Peptides Modified with Triterpenoids and Small Organic Molecules: Synthesis and use in Cosmeceutical
KR102281774B1 (ko) 피부 재생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17950B1 (ko)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515704A (ja) アクアポリンの発現を活性化するための活性薬剤としてイナゴマメの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および/または医薬組成物
US8383594B2 (en) Peptides modified with triterpenoids and small organic molecules: synthesis and use in cosmeceuticals
JP6979518B2 (ja) オレアノール酸を含有するトリペプチドを調製する方法およびその治療用途
US9084744B1 (en) Use of Tiliacora triandra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JP2008100943A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分泌促進作用を有する皮膚外用剤
AU2009261809B2 (en) Combination of a tiliroside and a peptide
RU2675702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возрастных нарушений кожи, содержащая ретинальдегид и экстракт Leontopodium alpinum
EP3253400B1 (en)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KR20160000142A (ko) 말 사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말 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60078530A1 (en) Using high-density grapes to rejuvenate human skin
CN117815216A (zh) 抗光老化和/或真皮色素沉着抑制剂
KR102504644B1 (ko) Atage-905 콜라겐 엘라스틴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식품 조성물
KR101460672B1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손상 방지용 조성물
KR100692951B1 (ko) 카텝신 비 저해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
KR101134703B1 (ko) 훈자 살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33775A1 (en) Collagen-boos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230109833A (ko) 유자박 유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 및 미백 기능을 갖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1460670B1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727921A (zh) 链孢红素用于保护皮肤免受蓝光的有害影响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