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150A - Ship - Google Patents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150A
KR20200115150A KR1020200030934A KR20200030934A KR20200115150A KR 20200115150 A KR20200115150 A KR 20200115150A KR 1020200030934 A KR1020200030934 A KR 1020200030934A KR 20200030934 A KR20200030934 A KR 20200030934A KR 20200115150 A KR20200115150 A KR 20200115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ooring
rope
ship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세이지 오카노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1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4Hawse-holes; Hawse-pipes; Hawse-ho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hip, which can form a compact structure of a bow side. The ship (100) comprises a first drum (20) which can increase ropes (81, 82) to the bow side. The first drum (20) can increase the ropes (81, 82) to the bow side when the ship performs single point mooring and when the ship performs general mooring at a port side or a starboard side. Since the drum can be communized for general mooring and single point mooring, a space at the bow side can be compact. The rope (82) for general mooring increased from a storage part (24) and a tension part (26) for general mooring can avoid a fixing part (27) so that a ship can apply a structure in which the rope (81) for single point mooring and the rope (82) for general mooring can be increased by one drum.

Description

선박{SHIP}Ship{SHIP}

본 출원은 2019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9-06336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063365 filed on March 28, 2019. The entir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종래, 선박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선박은, 선체로부터 로프를 늘려 육지에 계류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선박은, 선수(船首)측의 갑판 상에, 좌현측 및 우현측에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드럼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드럼은, 선수측을 향하여 로프를 풀어내고 있다. 그리고, 각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진 로프는, 선수측의 갑판 상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며, 좌현측 또는 우현측으로 인출된다.Conventionally, thos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re known as ships. This ship has a structure for mooring on land by extending a rope from the hull. The ship is equipped with drums capable of extending ropes on the port side and the starboard side, respectively, on a deck on the bow side. Each drum is pulling a rope toward the player side. Then, the ropes released from each drum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fore-side deck, and are drawn out to the port side or starboard side.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4874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Publication No. 3148744

여기에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계류를 위하여 선수측의 스페이스를 넓게 사용하여, 로프의 인출패턴을 고안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최근의 선박의 구조의 콤팩트화의 요구로부터, 선수측의 계류에 관한 구조에 대해서도,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Here, 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described above, it was necessary to devise a rope lead-out pattern by using a wide space on the bow side for mooring.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mand for a compact structure of a ship, a compact structure has also been demanded for a structure related to mooring on the bow sid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수측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p that can make the structure of the bow side compact.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선체에 마련된 갑판과,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제1 드럼을 구비하고, 제1 드럼은, 회전축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가지며, 제1 영역은, 일점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제2 영역은, 좌현측 및 우현측 중 일방에서 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k provided on the hull and a first drum capable of extending a rope toward the fore end in a region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and the first drums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an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axis extends. It has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in the first area,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ward the fore end when performing one point mooring, and the second area is the rope toward the fore side when mooring from one of the port side and starboard si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선박에 있어서는, 좌현측 및 우현측 중 일방을 향하여 로프를 인출하여, 육지에 계류하는 것(일반계류)에 더하여, 해상의 구조물과 접속된 체인에 의하여 계류되는 일점계류가 행해진다. 여기에서, 일점계류전용의 드럼이, 일반계류용의 드럼과는 별도로, 선수측의 갑판 상에 마련되는 경우, 드럼을 배치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선수측의 스페이스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제1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당해 제1 드럼은, 일점계류를 행할 때, 및 일반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드럼은, 일점계류용의 드럼 및 일반계류용의 드럼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을 배치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선수측의 스페이스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점계류를 행하는 경우, 드럼과 대향하는 위치에, 일점계류용의 체인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반계류용의 로프가 고정부와 간섭해 버릴 듯한 구조는 채용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제1 드럼은, 회전축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영역은, 일점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제2 영역은, 좌현측 및 우현측 중 일방에서 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일반계류용의 제2 영역이, 일점계류용의 제1 영역과 축방향으로 구획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영역으로부터 늘어나는 일반계류용의 로프는, 고정부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드럼을 일점계류용의 드럼 및 일반계류용의 드럼으로서 겸용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선수측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In ships, in addition to mooring on land (general mooring) by drawing a rope toward one of the port side and starboard side, one-point mooring is performed by a chain connected to the offshore structure. Here, when a drum dedicated for one-point mooring is provided on a deck on the bow side, separate from a drum for general moor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on the bow side required for arranging the drum increases. In contrast,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irst drum capable of extending the rope toward the bow. The first drum is capable of extending the rope toward the bow when performing one-point mooring and when performing general mooring. In this case, the first drum can be used both as a one-point mooring drum and a general mooring dru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ke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player required for arranging the drum compact. Here, in the case of performing one-point mooring, there is a case wher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hain for one-point mooring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drum. In this case, a structure in which the rope for general mooring will interfere with the fixed part cannot be adopted. In contrast, the first drum ha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axis extends. In addition, in the first reg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bow side when performing one point mooring, and in the second region, it is possible to stretch the rope toward the bow side when mooring from one of the port side and the starboard side. In this way, the second area for general mooring is divid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rea for one point mooring. Accordingly, since the fixed portion of the rope for general moor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area can be avoided, a structure in which one drum is used as both a one-point mooring drum and a general mooring drum can be adopted. By the above, the structure on the bow side can be made compact.

선박은,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드럼보다 선미(船尾)측이며 우현측에 배치된 제2 드럼과,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드럼보다 선미측이고 좌현측에 배치된 제3 드럼을 구비하며, 제2 드럼의 회전축 및 제3 드럼의 회전축은,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뻗어 있고, 제2 드럼 및 제3 드럼은, 우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우현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며, 좌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좌현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도 된다. 이와 같이, 우현측의 제2 드럼 및 좌현측의 제3 드럼이, 양방 모두, 우현측 및 좌현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일반계류전용의 드럼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선수측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In the area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a second drum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and a stern side than the first drum, and in the area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the stern side and port side than the first drum. And a third drum disposed in,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um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drum exten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ull, and the second drum and the third drum are moored from the starboard side. When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starboard side, and when mooring from the port side, it may be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port side. In this way, since the second drum on the starboard side and the third drum on the port side can extend the rope to both the starboard side and the port sid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drum dedicated to general mooring. Therefore, the structure on the bow side can be made compact.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선체의 상측에 마련된 갑판과,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우현측에 배치된 제2 드럼과,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좌현측에 배치된 제3 드럼을 구비하고, 제2 드럼의 회전축 및 제3 드럼의 회전축은,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뻗어 있으며, 제2 드럼 및 제3 드럼은, 우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우현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좌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좌현측으로 상기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k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a second drum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in the area on the bow side of the deck, and a third drum disposed on the port side in the area on the bow side of the deck. A drum is provided,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um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drum exten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ull, and when mooring from the starboard side, the second drum and the third drum are toward the starboard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and when mooring from the port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port side.

이 선박에서는, 우현측의 제2 드럼 및 좌현측의 제3 드럼이, 양방 모두, 우현측 및 좌현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일반계류전용의 드럼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선수측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In this ship, since the second drum on the starboard side and the third drum on the port side can extend the rope to the starboard side and the port side, both of them,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drum for general mooring. Therefore, the structure on the bow side can be made comp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선수측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하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ip with a compact structure on the bow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선박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a)는, 선박이 우현측에서 일반계류를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b)는, 선박이 일점계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선박의 선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우현측으로 일반계류를 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선박의 선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좌현측으로 일반계류를 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선박의 선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일점계류를 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관한 선박의 선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hip shown in FIG. 1.
In Fig. 3,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p is moored in general from the starboard side, and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p is moored at one point.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w side of the ship,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general mooring is performed on the starboard side.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w side of the ship,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general mooring is performed on the port side.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w side of the ship,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one-point mooring is performed.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w side of a ship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선박의 개략평면도이다. 다만, 여기에서의 선박(100)은 탱커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hip shown in FIG. 1. However, the ship 100 here is a tanker.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선박(100)에 있어서는, 선체(19) 내의 선미측(도 1 및 도 2의 좌측)에 기관실(1)이 마련되고, 이 기관실(1)보다 선수측(도 1 및 도 2의 우측)에 격벽(4)을 사이에 두고 펌프실(2)이 마련되며, 이 펌프실(2)보다 선수측에 격벽(5)을 사이에 두고 카고스페이스(3)가 복수 마련된다. 선체(19) 내의 선수측에는 선수부(13)가 마련되고, 이 선수부(13)보다 선미측에 선수격벽(14)을 사이에 두고 카고스페이스(3)가 마련된다. 또, 선박(100)에 있어서의 카고스페이스(3)측에는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탱크(6)가 복수 마련된다. 또, 기관실(1)보다 선미측에는 선미부(15)가 마련된다. 선미부(15)의 하부에는 밸러스트탱크(6)와는 다른 탱크(7)가 마련된다. 다만, 탱크(7)는, 밸러스트탱크(6)와 동일하게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것이어도 되고, 밸러스트수와 다른 액체(예를 들면 해수를 살균하여 밸러스트수를 생성하기 위한 액체)를 저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탱크(7)에는 아무것도 저류되어 있지 않아, 비어 있는 곳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선체(19)의 상측에는 갑판(10)이 마련된다. 기관실(1), 펌프실(2), 카고스페이스(3), 및 선수부(13)의 천장면은 갑판(10)으로 구성되고, 바닥면측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9)의 외각(外殼)을 형성하는 선저외판(船底外板)(11)과, 이 선저외판(11)의 선체(19) 내측에 마련된 내저판(內底板)(12)에 의하여 2중선저구조로 되어 있다. 또, 격벽(4)은, 선폭방향(도 2의 상하방향)으로 뻗음과 함께, 선저외판(11)으로부터 갑판(10)까지 뻗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격벽(5)은, 선폭방향으로 뻗음과 함께, 내저판(12)으로부터 갑판(10)까지 뻗도록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is ship 100, an engine room 1 is provided on the stern side (left side of Figs. 1 and 2) in the hull 19, and the bow is higher than the engine room 1 A pump chamber (2) is provided on the side (right side of Figs. 1 and 2) with a partition wall (4) therebetween. Multiple is provided. A bow part 13 is provided on the bow side of the hull 19, and a cargo space 3 is provided on the stern side of the bow part 13 with the collision bulkhead 14 therebetween. Further, a plurality of ballast tanks 6 for storing ballast water are provided on the cargo space 3 side of the ship 100. Further, a stern portion 15 is provided on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room 1. A tank 7 different from the ballast tank 6 is provided under the stern 15. However, the tank 7 may store ballast water in the same manner as the ballast tank 6, and to store ballast water and other liquids (for example, a liquid for sterilizing seawater to produce ballast water). You can do it. In addition, nothing is stored in the tank 7 and may be made empty. A deck 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19. The engine room (1), the pump room (2), the cargo space (3), and the bow portion (13) have a ceiling surface of the deck 10, and the bottom surface side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ull 19 A double bottom structure by means of a bottom shell plate (11) forming the outer shell of the bottom shell plate (11) and an inner bottom plate (12) provided inside the hull (19) of the bottom shell plate (11) It is made into. In addition, the partition 4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bottom shell plate 11 to the deck 10 while extending in the line width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2 ). Further, the partition wall 5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inner bottom plate 12 to the deck 10 while extending in the line width direction.

카고스페이스(3)에는, 선박(100)에 의하여 운반되는 원유, 정제유 등의 화물유가 저류된다. 카고스페이스(3)는, 선체내측을, 예를 들면 선폭방향으로 2개로 분할함과 함께 선박길이방향으로 7개로 분할함으로써 합계 14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있다.In the cargo space 3, cargo oil such as crude oil and refined oil carried by the ship 100 is stored. The cargo space 3 is divided into a total of 14 divisions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ship into two, for examp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ip and sev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선박(100)의 계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는, 선박(100)이 우현측에서 일반계류를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의 (b)는, 선박(100)이 일점계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은, 일반계류 및 일점계류를 행할 수 있다. 일반계류란, 선박(100)의 우현측 및 좌현측 일방의 육지로 로프를 인출하여, 당해 육지로 계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은, 선체(19)의 선수부(13) 및 선미부(15)로부터 우현측으로 로프(30)를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된 로프(30)는, 육지(LD)에서 고정된다. 이로써, 선박(100)이 우현측의 육지(LD)에 계류된다. 다만, 선박(100)의 좌현측에 육지(LD)가 존재할 때에는, 선박(100)은, 좌현측에 로프를 인출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mooring of the ship 100 is demonstrated. Fig. 3(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p 100 is generally mooring from the starboard side. 3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p 100 is mooring one point. As shown in FIG. 3, the ship 100 can perform general mooring and one-point mooring. The general mooring is to draw a rope to the shore of one of the starboard side and the port side of the ship 100, and mooring to the l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the ship 100 pulls out the rope 30 from the bow part 13 and the stern part 15 of the hull 19 to the starboard side. Then, the pulled rope 30 is fixed on land LD. Thereby, the ship 100 is moored on the land (LD) on the starboard side. However, when the land (LD) exists on the port side of the ship 100, the ship 100 pulls the rope to the port side.

일점계류란, 선체(19)가 선수측의 위치에서, 해상의 구조물(ST)의 체인(35)에 접속됨으로써, 구조물(ST)에 대하여 1개소에서만 계류되는 것이다. 일점계류를 행하는 경우, 선체(19)의 선수부(13)로부터 로프를 바다측으로 인출하여, 당해 로프로 바다측의 체인(35)을 끌어올린다. 그리고, 선수부(13)에서는, 끌어올린 체인(35)을 고정부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선체(19)가 해상의 구조물(ST)에 체인(35)을 통하여 계류된다. 다만, 이 구조물(ST)은, 부이(부표)이다.The one-point mooring means that the hull 19 is connected to the chain 35 of the offshore structure ST at a position on the bow side, so that it is moored at only one place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ST. In the case of performing one-point mooring, the rope is drawn out from the bow part 13 of the hull 19 to the sea side, and the chain 35 on the sea side is pulled up with the rope. And, in the bow part 13, the pulled-up chain 35 is fixed to the fixing part. Thereby, the hull 19 is moored to the offshore structure ST through the chain 35. However, this structure ST is a buoy (buoy).

다음으로, 도 4~도 6을 참조하여, 선박(100)의 선수측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선박(100)의 선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우현측으로 일반계류를 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선박(100)의 선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좌현측으로 일반계류를 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선박(100)의 선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일점계류를 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도 6은, 로프의 인출양태 이외의 구성의 배치 등은 공통되어 있다. 따라서, 도 4를 이용하여 선박(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로프의 인출양태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 적절히 다른 도를 참조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bow side of the ship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w side of the ship 100,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general mooring is performed on the starboard sid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w side of the ship 100,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general mooring is performed on the port sid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w side of the ship 100,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one-point mooring is performed. 4-6, arrangement|positioning etc. of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drawing mode of a rope are common. Therefore, whe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hip 100 using FIG. 4, and explaining the drawing mode of the rope, another figure is referred as appropriat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의 선수측은,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선수측을 향함에 따라 아치형으로 끝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다만, 선수격벽(14)으로부터 선수측에 이간하는 위치에, 격벽(16)이 마련되어 있다. 선수격벽(14)과 격벽(16)의 사이의 스페이스는, 카고스페이스(3)와 선수부(13)가 직접 인접하지 않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보이드스페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선박(100)은, 선수측의 갑판(10) 상에, 제1 드럼(20)과, 제2 드럼(40)과, 제3 드럼(60)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the bow side of the ship 100 has a shape in which the tip narrows in an arc shape as it faces the bow side in a plan view. However, the bulkhead 16 is provid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collision bulkhead 14 to the bow side. The space between the collision partition wall 14 and the partition wall 16 is constituted as a void space for forming a space so that the cargo space 3 and the bow portion 13 do not directly adjacent. The ship 100 includes a first drum 20, a second drum 40, and a third drum 60 on the deck 10 on the bow side.

제1 드럼(20)은, 갑판(10)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드럼이다. 제1 드럼(20)은, 선박(100)의 중심선(CL) 부근의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드럼(20)은, 선박(100)의 선수측의 선단(100a)과 대향하도록, 당해 선단(100a)으로부터 선미측에 이간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드럼(20)은, 격벽(16) 부근의 위치이며, 당해 격벽(16)보다 선수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드럼(20)은, 회전축(21)이 선체(19)의 횡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드럼(20)은, 구동부(22)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드럼부(20A, 20B)를 갖고 있다. 드럼부(20A)는 중심선(CL)보다 우현측에 배치되고, 드럼부(20B)는, 중심선(CL)보다 좌현측에 배치된다. 드럼부(20A)와 드럼부(20B)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구조를 갖고 있다. 드럼부(20A)와 드럼부(20B)의 사이에 마련된 구동부(22)는, 양 드럼부(20A, 20B)의 공통의 구동부이다. 드럼부(20A, 20B)는, 회전축(21)을 통하여 구동부(22)와 접속되어 있다.The first drum 20 is a drum capable of extending the rope to the bow side in an area on the bow side of the deck 10. The first drum 20 is disposed at a position near the center line CL of the ship 100. The first drum 20 is dispos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tip 100a on the stern side so as to face the tip 100a on the bow side of the ship 100. The first drum 20 is a position near the partition wall 16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bow side from the partition wall 16. The drum 20 is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21 is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ull 19. The drum 20 has drum portions 20A and 20B on the left and right with the drive portion 22 therebetween. The drum portion 20A is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than the center line CL, and the drum portion 20B is disposed on the port side side than the center line CL. The drum portion 20A and the drum portion 20B have a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as a reference. The drive section 22 provided between the drum section 20A and the drum section 20B is a common drive section between the drum sections 20A and 20B. The drum portions 20A and 20B are connected to the drive unit 22 via the rotation shaft 21.

드럼부(20A, 20B)는, 회전축(21)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일점계류용 텐션파트(23)(제1 영역)와, 스토리지파트(24)(제2 영역)와,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제2 영역)를 중심선(CL)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각 파트(23, 24, 26)는, 구동부를 공통으로 하는 회전체 중에서, 축방향으로 각각 구획된 영역이다. 즉, 서로 다른 구동부에서 동작하는 일점계류용의 드럼과, 일반계류용의 드럼이, 동축에 나열된 바와 같은 구성은, "회전축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라는 구성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다만, 각 파트(23, 24, 26)가 어떻게 구획되는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의 원기둥체의 외주면에 구획판 등을 마련함으로써 구획해도 되고, 각 파트(23, 24, 26)가 고유의 원기둥체로 구성됨으로써 서로 구획된 상태로 해도 된다. 다만, 제1 영역인 파트(23, 24)와 제2 파트(26)의 2개의 영역에 대하여 하나의 클러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클러치가 마련되어도 된다.The drum portions 20A and 20B include a one-point mooring tension part 23 (a first area), a storage part 24 (a second area), and a general structure tha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21 extends. Mooring tension parts 26 (second area) are provided in order from the center line CL side. Each of the parts 23, 24, 26 is an area divided in the axial direction among a rotating body having a common driving unit. That i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ne-point mooring drum and the general mooring drum operating in different driving units are arranged coaxially is called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axis extends".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However, how each part (23, 24, 26) is divi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divided by providing a partition plate or the lik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cylinder, and each part (23, 24, 26) is unique. By being constituted by a cylindrical body, it is good also as a stat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However, one clutch is provided for two areas of the first area, the parts 23 and 24 and the second part 26. However, a clutch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일점계류용 텐션파트(23)는, 일점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일점계류용 로프(81)(도 6 참조)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다. 또, 일점계류용 텐션파트(23)에 대하여 선수측에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일점계류용의 체인(35)(도 3 참조)을 고정하는 고정부(27)가 마련된다. 또, 갑판(10)의 가장자리부에는, 일점계류용 텐션파트(23) 및 고정부(27)에 대하여 선수측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인출부(28)가 마련된다. 인출부(28)는, 일점계류용 로프(81) 및 체인(25)을 인출하는 부분이다. 일점계류를 행하는 경우, 드럼부(20A, 20B)는, 로프의 감아올림을 주된 기능으로서 갖고 있다.The one-point mooring tension part 23 is an area in which the one-point mooring rope 81 (refer to Fig. 6) can be stretched toward the bow when one-point mooring is performed. Further, at a position facing the one-point mooring tension part 23 from the bow side, a fixing portion 27 for fixing the one-point mooring chain 35 (see Fig. 3) is provided. Further, at the edge of the deck 10, a lead-out portion 28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one-point mooring tension part 23 and the fixing portion 27 from the bow side. The lead-out portion 28 is a portion for drawing out the one-point mooring rope 81 and the chain 25. In the case of performing one-point mooring, the drum portions 20A and 20B have the winding of the rope as a main function.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는, 좌현측 및 우현측 중 일방에서 일반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2)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다.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는, 일반계류용 로프(82)를 감아들일 때에, 감아들임 최종단계에 일반계류용 로프(82)를 고정하는 영역이다. 갑판(10)의 가장자리부에는,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에 대하여 선수측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인출부(32)가 마련된다. 인출부(32)는, 일반계류용 로프(82)를 인출하는 부분이다.The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6 is an area wher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 82 to the bow side when general mooring is performed on one of the port side and the starboard side. The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6 is an area in which the general mooring rope 82 is fixed at the final stage of winding when the general mooring rope 82 is wound. At the edge portion of the deck 10, a lead-out portion 32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6 from the bow side. The lead portion 32 is a portion for drawing out the general mooring rope 82.

스토리지파트(24)는, 좌현측 및 우현측 중 일방에서 일반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2)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다. 스토리지파트(24)는, 일반계류용 로프(82)를 늘리기 위한 긴 로프를 감아 모아 두기 위한 영역이다.The storage part 24 is an area in which the general mooring rope 82 can be stretched toward the bow side when general mooring is performed on one of the port side and the starboard side. The storage part 24 is an area for wrapping up a long rope for extending the general mooring rope 82.

제2 드럼(40)은, 갑판(10)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드럼(20)보다 선미측이며 우현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드럼(40)의 회전축(41)은, 선체(19)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여기에서는 중심선(CL))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뻗어 있다. 제2 드럼(40)의 회전축(41)은, 선수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선(CL)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 제2 드럼(40)은, 우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우현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3)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도 4 참조), 좌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좌현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3)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도 5 참조).The second drum 40 is disposed on the stern side and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first drum 20 in an area on the bow side of the deck 10. The rotation shaft 41 of the second drum 40 extends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here, the center line CL)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ull 19. The rotation shaft 41 of the second drum 40 is inclined so as to be close to the center line CL as it faces the bow. In the second drum 40, when mooring from the starboard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 83 to the starboard side (see Fig. 4), and when mooring from the port side, the general mooring rope 83 toward the port si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see Fig. 5).

제2 드럼(40)은, 회전축(41)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권출부(40a, 40b, 40c)를 선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권출부(40a)는 회전축(41)과 직결하고 있는 부분이다. 권출부(40b, 40c)에는 각각 클러치가 마련되어 있고, 각각 클러치로 회전축(4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갑판(10)의 우현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제2 드럼(40)의 권출부(40a, 40b, 40c)에 대하여, 일반계류용 로프(83)의 인출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인출부(48)가 마련된다. 인출부(48)는, 일반계류용 로프(83)를 인출하는 부분이다. 갑판(10)의 좌현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제2 드럼(40)의 권출부(40a, 40b, 40c)에 대하여, 일반계류용 로프(83)의 인출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인출부(49)가 마련된다. 인출부(49)는, 일반계류용 로프(83)를 인출하는 부분이다. 다만, 인출부(48, 49)로부터 일반계류용 로프(83)를 인출할 때, 권출부(40b, 40c)로부터의 일반계류용 로프(83)는 드럼의 브레이크로 고정되고, 권출부(40a)로부터의 일반계류용 로프(83)는 볼라드(도시하지 않음)에 감음으로써 고정된다.The second drum 40 is provided with unwinding portions 40a, 40b, 40c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shaft 41 extends, in order from the stern side. The unwinding portion 40a is a port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1. The unwinding portions 40b and 40c are provided with clutches, respectively,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haft 41 by a clutch, respectively. At the edge portion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deck 1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general mooring rope 83 with respect to the unwinding portions 40a, 40b, 40c of the second drum 40, a lead-out portion ( 48) is provided. The lead portion 48 is a portion for drawing out the general mooring rope 83.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unwinding portions 40a, 40b, 40c of the second drum 40 on the port side of the deck 10,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general mooring rope 83, a lead-out portion ( 49) is provided. The lead portion 49 is a portion for drawing out the general mooring rope 83. However, when the general mooring rope 83 is withdrawn from the lead portions 48 and 49, the general mooring rope 83 from the unwinding portions 40b and 40c is fixed with the brake of the drum, and the unwinding portion 40a The general mooring rope 83 from) is fixed by winding it around a bollard (not shown).

또, 제2 드럼(40)의 선수측의 단부에는, 공통의 구동부(42) 및 회전축(41)을 사이에 두고, 윈들러스(43)가 마련되어 있다. 윈들러스(43)는, 우현측의 호스파이프(44)로부터 내려지는 닻의 체인(45)의 감아내림 및 감아올림을 행한다. 따라서, 제2 드럼(40)의 횡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윈들러스(43)가 체인(45)의 감아내림 및 감아올림을 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갑판(10)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제2 드럼(40)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격벽(14, 16)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Further, a windlass 43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drum 40 on the bow side with a common driving unit 42 and a rotation shaft 41 therebetween. The windlass 43 winds down and winds up the chain 45 of the anchor that is lowered from the hose pipe 44 on the starboard side.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second drum 4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separated from the edge of the deck 10 to the extent that the windlass 43 can roll down and roll up the chain 45. . The second drum 40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partition walls 14 and 16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2 드럼(40)의 위치 및 각도는, 좌현측에 일반계류용 로프(83)를 풀어냈을 때에, 당해 로프(83)가 제3 드럼(60)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당해 관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한, 제2 드럼(40)의 전후방향 및 횡방향의 위치와,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중심선(CL)에 대한 회전축(41)의 경사각도 θ는, 45° 이하이면 되고, 80° 이하여도 된다. 즉, 경사각도 θ가 과도하게 커진 경우, 인출부(49)가 선미측에 과도하게 근접해 버리지만, 상술한 범위로 억제함으로써, 인출부(49)를 선수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 선수측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경사각도 θ는, 35° 이상이어도 된다. 즉, 경사각도 θ가 과도하게 작아진 경우, 일반계류용 로프(83)가 제3 드럼(60)과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드럼(40, 60) 사이의 치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해야만 하지만, 상기 범위로 억제함으로써, 드럼(40, 60) 사이의 위치관계를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선수측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econd drum 40 are set so that the rope 83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hird drum 60 when the general mooring rope 83 is unwound on the port side. In other words, as long as the relationship can be satisfied, the positions and angles of the second drum 4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rotation shaft 41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may be 45° or less, or 80° or less. That is,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is excessively large, the lead-out portion 49 is excessively close to the stern side, but by suppressing it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lead-out portion 49 can be positioned on the bow side. It can be made compact. Moreover, the inclination angle θ may be 35° or more. That is,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is excessively small, in order to avoid the general mooring rope 83 from interfering with the third drum 60, the dimensions between the drums 40 and 60 must be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By restraining it to the above range, by mak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ums 40 and 60 into an appropriate range, the bow side can be made compact.

제3 드럼(60)은, 갑판(10)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드럼(20)보다 선미측이며 좌현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드럼(60)의 회전축(61)은, 선체(19)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여기에서는 중심선(CL))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뻗어 있다. 제3 드럼(60)의 회전축(61)은, 선수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선(CL)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 제3 드럼(60)은, 우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우현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4)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좌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좌현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4)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도 5 참조).The third drum 60 is disposed on the port side and is a stern side than the first drum 20 in a region on the bow side of the deck 10. The rotation shaft 61 of the third drum 60 extends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here, the center line CL)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ull 19. The rotation shaft 61 of the third drum 60 is inclined so as to approach the center line CL as it faces the bow. For the third drum 60, when mooring from the starboard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 84 to the starboard side, and when mooring from the port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 84 toward the port side. Do (see Fig. 5).

제3 드럼(60)은, 회전축(61)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권출부(60a, 60b, 60c)를 선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갑판(10)의 좌현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제3 드럼(60)의 권출부(60a, 60b, 60c)에 대하여, 일반계류용 로프(84)의 인출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인출부(68)가 마련된다. 인출부(68)는, 일반계류용 로프(84)를 인출하는 부분이다. 갑판(10)의 우현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제3 드럼(60)의 권출부(60a, 60b, 60c)에 대하여, 일반계류용 로프(84)의 인출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인출부(69)가 마련된다. 인출부(69)는, 일반계류용 로프(84)를 인출하는 부분이다.The third drum 60 includes unwinding portions 60a, 60b, and 60c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61 extends, in order from the stern side. At the edge portion on the port side of the deck 1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ake-out direction of the general mooring rope 84 with respect to the unwinding portions 60a, 60b, 60c of the third drum 60, a lead-out portion ( 68) is provided. The lead portion 68 is a portion for drawing out the general mooring rope 84. At the edge portion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deck 10,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general mooring rope 84 with respect to the unwinding portions 60a, 60b, 60c of the third drum 60, a lead-out portion ( 69) is provided. The lead portion 69 is a portion for drawing out the general mooring rope 84.

또, 제3 드럼(60)의 선수측의 단부에는, 공통의 구동부(62) 및 회전축(61)을 사이에 두고, 윈들러스(63)가 마련되어 있다. 윈들러스(63)는, 좌현측의 호스파이프(64)로부터 내려지는 닻의 체인(65)의 감아내림 및 감아올림을 행한다. 따라서, 제3 드럼(60)의 횡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윈들러스(63)가 체인(65)의 감아내림 및 감아올림을 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갑판(10)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제3 드럼(60)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격벽(14, 16)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Further, a windlass 63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third drum 60 on the bow side with a common driving unit 62 and a rotation shaft 61 therebetween. The windlass 63 winds down and winds up the chain 65 of the anchor lowered from the hose pipe 64 on the port side.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third drum 6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separated from the edge of the deck 10 to the extent that the windlass 63 can roll down and roll up the chain 65. . The third drum 60 is disposed near the partition walls 14 and 16 in the front-rear direction.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드럼(60)은, 제2 드럼(40)과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제3 드럼(60)의 경사각도는, 상술한 제2 드럼(40)의 경사각도 θ와 동 취지의 관계가 성립된다. 단, 제3 드럼(60)의 경사각도, 및 전후방향·횡방향의 위치는, 반드시 제2 드럼(40)과 좌우대칭인 관계가 아니어도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drum 60 is in a symmetric relationship with the second drum 40 and the center line CL as a reference. According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hird drum 60 has the same relationship with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second drum 40 described above. Howeve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3rd drum 60 and th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relationship which is horizontally symmetric with the 2nd drum 40.

다음으로, 도 4~도 6을 참조하여, 각 계류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each moor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이 우현측에 계류를 행할 때, 제1 드럼(20)의 드럼부(20A, 20B)의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로부터 선수측으로 풀어내진 일반계류용 로프(82)가, 인출부(32)를 통하여 우현측으로 인출된다. 제2 드럼(40)의 권출부(40a, 40b, 40c)로부터 우현측으로 풀어내진 일반계류용 로프(83)가, 인출부(48)를 통하여 우현측으로 인출된다. 제3 드럼(60)의 권출부(60a, 60b, 60c)로부터 우현측으로 풀어내진 일반계류용 로프(84)가, 인출부(48)를 통하여 우현측으로 인출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ship 100 is mooring on the starboard side, the general mooring released from the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6 of the drum portions 20A, 20B of the first drum 20 toward the bow side The dragon rope 82 is drawn out to the starboard side through the lead-out portion 32. The general mooring rope 83 unwound from the unwinding portions 40a, 40b, and 40c of the second drum 40 to the starboard side is drawn out to the starboard side through the lead-out portion 48. The general mooring rope 84 unwound from the unwinding portions 60a, 60b, 60c of the third drum 60 to the starboard side is drawn out to the starboard side through the lead-out portion 48.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이 좌현측에 계류를 행할 때, 제1 드럼(20)의 드럼부(20A, 20B)의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로부터 선수측으로 풀어내진 일반계류용 로프(82)가, 인출부(32)를 통하여 좌현측으로 인출된다. 제2 드럼(40)의 권출부(40a, 40b, 40c)로부터 좌현측에 풀어내진 일반계류용 로프(83)가, 인출부(49)를 통하여 좌현측으로 인출된다. 제3 드럼(60)의 권출부(60a, 60b, 60c)로부터 좌현측에 풀어내진 일반계류용 로프(84)가, 인출부(68)를 통하여 좌현측으로 인출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ship 100 is mooring on the port side, the general mooring released from the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6 of the drum portions 20A, 20B of the first drum 20 toward the bow side The dragon rope 82 is drawn out to the port side through the lead portion 32. The general mooring rope 83 unwound from the unwinding portions 40a, 40b, 40c of the second drum 40 to the port side is drawn out to the port side through the take-out portion 49. The general mooring rope 84 unwound from the unwinding portions 60a, 60b, 60c of the third drum 60 to the port side is drawn out to the port side through the lead portion 68.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이 일점계류를 행할 때, 제1 드럼(20)의 드럼부(20A, 20B)의 일점계류용 텐션파트(23)로부터 선수측으로 뻗은 일점계류용 로프(81)가, 인출부(28)를 통하여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제1 드럼(20)은, 일점계류용 로프(81)에 해상의 구조물의 체인(35)(도 3의 (b) 참조)을 접속하면, 당해 일점계류용 로프(81)를 감아올린다. 그리고, 체인(35)이 고정부(27)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ship 100 performs one-point mooring, a one-point mooring rope extending from the one-point mooring tension part 23 of the drum portions 20A and 20B of the first drum 20 toward the bow ( 81) is drawn out through the lead-out portion 28 forward. And, when the 1st drum 20 connects the chain 35 (refer FIG. 3(b)) of the marine structure to the one point mooring rope 81, the said one point mooring rope 81 is wound up. . And, the chain 35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27).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sh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비교예에 관한 선박(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에 관한 선박(200)은, 선수측에 배치된 일점계류용 드럼(120)과, 우현측에 배치된 일반계류용 드럼(140)과, 좌현측에 배치된 일반계류용 드럼(160)과, 각 드럼(140, 160)보다 선미측에 배치된 일반계류용 드럼(170)을 구비한다.First, a ship 200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ship 2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cludes a one-point mooring drum 120 disposed on the bow side, a general mooring drum 140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and a general mooring drum 160 disposed on the port side. And, it includes a general mooring drum 170 disposed at the stern side of each drum (140, 160).

일점계류용 드럼(120)은, 선수측을 향하여 직접 로프(181)를 늘릴 수 있도록 마련된 드럼이다. 예를 들면, 일반계류용 드럼(160)으로부터의 로프(182)를 롤러(161)로 방향전환하여 선수측으로 인출하는 것 자체는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로프(182)를 일점계류에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방향전환한 로프를 일점계류에 이용하는 것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규제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안전성향상을 위하여, 일점계류용 드럼(120)과 같은 구성이 채용된다.The one-point mooring drum 120 is a drum provided to extend the rope 181 directly toward the bow. For example, since it is possible to turn the rope 182 from the general mooring drum 160 to the roller 161 and take it out to the bow side, it is also possible to use such a rope 182 for one point mooring. I can think. However, the use of ropes that have been diverted in this way for one-point mooring is sometimes restricted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afet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ne-point mooring drum 120 is employed.

이와 같은 선박(200)에서는, 우현측으로 일반계류를 행할 때에는, 일반계류용 드럼(140)이 로프(181)를 우현측으로 늘리고 있다. 일반계류용 드럼(160)이 롤러(161)로 방향전환한 후 로프(182)를 선수측으로 풀어내고, 그것을 우현측으로 인출하고 있다. 또, 우현측 및 좌현측의 양방으로 늘리는 것이 가능한 일반계류용 드럼(170)이, 우현측으로 로프(183)를 풀어내고 있다. 선박(200)이 좌현측으로 일반계류를 행할 때에는, 상기 로프의 관계가 좌우대칭이 된다.In such a ship 200, when performing general mooring to the starboard side, the general mooring drum 140 extends the rope 181 to the starboard side. After the general mooring drum 160 is turned to the roller 161, the rope 182 is released toward the bow, and it is drawn to the starboard side. In addition, a general mooring drum 170 that can be stretched to both the starboard side and the port side unwinds the rope 183 to the starboard side. When the ship 200 performs general mooring toward the port si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pes becomes symmetrical.

이와 같이, 비교예에 관한 선박(200)에서는, 선수측의 갑판 상에 일반계류용 드럼(140, 160, 170)과, 일점계류를 행하기 위한 전용의 일점계류용 드럼(120)이, 따로 따로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드럼을 별개로 배치하기 위한 선수측의 스페이스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hip 2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e general mooring drums 140, 160, 170 and the dedicated one-point mooring drum 120 for performing the one-point mooring are separately provided on the deck on the bow side. It is prepared separately.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player for disposing each drum separately becomes large.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은, 선수측으로 로프(81, 82)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제1 드럼(20)을 구비하고 있다. 당해 제1 드럼(20)은, 일점계류를 행할 때, 및 일반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로프(81, 82)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드럼(20)은, 일점계류용의 드럼 및 일반계류용의 드럼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을 배치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선수측의 스페이스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sh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first drum 20 capable of extending the ropes 81 and 82 toward the bow. The first drum 20 can extend the ropes 81 and 82 toward the bow side when performing one-point mooring and general mooring. In this case, the first drum 20 can be used both as a one-point mooring drum and a general mooring dru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ke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player required for arranging the drum compact.

여기에서, 일점계류를 행하는 경우, 드럼과 대향하는 위치에, 일점계류용의 체인을 고정하는 고정부(예를 들면 도 4의 고정부(27), 및 도 7의 고정부(127))가 마련된다. 이 경우, 일반계류용의 로프가 고정부와 간섭해 버릴 듯한 구조는 채용할 수 없다. 특히, 일반계류에서 이용되는 로프는 매우 길고, 텐션파트에 더하여, 로프를 모아 두는 스토리지파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반계류를 행할 때의 로프의 횡방향에 대한 흔들림폭이 커서, 고정부와 간섭하기 쉬워진다.Here, in the case of performing one-point mooring, a fixing portion (for example, a fixing portion 27 in FIG. 4 and a fixing portion 127 in FIG. 7) for fixing the chain for one-point moor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rum is provided. It is prepared. In this case, a structure in which the rope for general mooring will interfere with the fixed part cannot be adopted. In particular, the ropes used in general mooring are very long, and in addition to the tension par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ropes. Accordingly, the swing width of the ro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ring general mooring is large, and it is easy to interfere with the fixed portion.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의 제1 드럼(20)은, 회전축(21)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일점계류용 텐션파트(23)와, 스토리지파트(24) 및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를 갖는다. 그리고, 일점계류용 텐션파트(23)는, 일점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일점계류용 로프(81)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스토리지파트(24) 및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는, 좌현측 및 우현측 중 일방에서 계류를 행할 때에 선수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2)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일반계류용의 영역이, 일점계류용의 영역과 축방향으로 구획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리지파트(24) 및 일반계류용 텐션파트(26)로부터 늘어나는 일반계류용 로프(82)는, 고정부(27)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드럼을 일점계류용 로프(81) 및 일반계류용 로프(82)로서 겸용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선수측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first drum 20 of the sh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one-point mooring tension part 23 and a storage part 24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21 extends. And general mooring tension parts 26. In addition, the one-point mooring tension part 23 can extend the one-point mooring rope 81 to the bow side when performing one-point mooring, and the storage part 24 and the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6 are on the port side. And when mooring is performed on one of the starboard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 82 to the bow side. In this way, the general mooring area is divid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ne-point mooring area. Therefore, the general mooring rope 82 extending from the storage part 24 and the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6 can avoid the fixing part 27, so that one drum is attached to the one point mooring rope 81. And it is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that also serves as the general mooring rope 82. By the above, the structure on the bow side can be made compact.

여기에서, 도 7의 비교예에 관한 선박(200)에 있어서, 일점계류용 드럼(120)을 대신하여, 도 4의 제1 드럼(20)과 같은, 일점계류용의 드럼 및 일반계류용의 드럼으로서 겸용할 수 있는 드럼을 채용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겸용드럼이 선수측으로부터 로프를 인출하여 우현측으로 인출한다고 해도, 일반계류용 드럼(160)은, 유효하게 우현측으로 로프(182)를 풀어낼 수 없다. 따라서, 우현측 및 좌현측 양방에 로프(183)를 풀어낼 수 있는 일반계류용 드럼(170)이 필요해진다. 즉, 겸용드럼을 채용했다고 해도, 합계의 드럼의 수를 줄일 수 없다.Here, in the ship 2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7, instead of the one-point mooring drum 120, the one-point mooring drum and general mooring drum such as the first drum 20 of FIG. 4 Suppose you have adopted a drum that can be used as a drum. However, even if the combined drum pulls out the rope from the bow side and pulls it out to the starboard side, the general mooring drum 160 cannot effectively release the rope 182 toward the starboard sid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 mooring drum 170 capable of unwinding the rope 183 on both the starboard side and the port side. That is, even if a dual drum is employed, the total number of drums cannot be reduced.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은, 갑판(10)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드럼(20)보다 선미측이며 우현측에 배치된 제2 드럼(40)과, 갑판(10)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드럼(20)보다 선미측이고 좌현측에 배치된 제3 드럼(60)을 구비하며, 제2 드럼(40)의 회전축(41) 및 제3 드럼(60)의 회전축(61)은, 선체(19)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뻗어 있고, 제2 드럼(40) 및 제3 드럼(60)은, 우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우현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3, 84)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좌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좌현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3, 84)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우현측의 제2 드럼(40) 및 좌현측의 제3 드럼(60)이, 양방 모두, 우현측 및 좌현측으로 일반계류용 로프(83, 84)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7의 일반계류용 드럼(170)과 같은 전용드럼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선수측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rea on the bow side of the deck 10, the second drum 40 disposed on the stern side and the starboard side than the first drum 20, In the fore-side area of the deck 10, the third drum 60 is disposed on the stern side and on the port side than the first drum 20, and the rotation shaft 41 and the second drum 40 3 The rotating shaft 61 of the drum 60 extends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ull 19, and when the second drum 40 and the third drum 60 are mooring from the starboard side ,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s 83 and 84 to the starboard side, and when mooring from the port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s 83 and 84 to the port sid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drum 40 on the starboard side and the third drum 60 on the port side can extend the general mooring ropes 83 and 84 to both the starboard side and the port side, Fig. 7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dedicated drum such as the general mooring drum 170 of. Therefore, the structure on the bow side can be made compact.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를 들면, 각 드럼(20, 40, 60), 및 주변의 구조물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 드럼은 반드시 드럼(20, 40, 6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과잉된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는 한 다른 드럼을 추가해도 된다.For example, the arrangement of each drum 20, 40, 60 and surrounding structur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drum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rums 20, 40, and 60, and another drum may be added as long as an excess space is not taken.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선박을 탱커로 하고 있지만, 오일뿐만 아니라 광석이나 석탄 등의 고형화물(벌크)도 실을 수 있는 겸용선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ship is used as a tanker as a particularly suitable one, it is also applicable to a combined-use ship capable of carrying not only oil but also solid cargo (bulk) such as ore and coal.

10…갑판
20…제1 드럼
21…회전축
23…일점계류용 텐션파트(제1 영역)
24…스토리지파트(제2 영역)
26…일반계류용 텐션파트(제2 영역)
27…고정부
40…제2 드럼
41…회전축
60…제3 드럼
61…회전축
100…선박
10… deck
20… First drum
21... Rotating shaft
23... Tension part for one point mooring (1st area)
24... Storage part (2nd area)
26... General mooring tension part (2nd area)
27... Fixed part
40… 2nd drum
41... Rotating shaft
60… 3rd drum
61... Rotating shaft
100… Ship

Claims (3)

선체에 마련된 갑판과,
상기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선수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제1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드럼은, 회전축이 뻗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구획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일점계류를 행할 때에 상기 선수측으로 상기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좌현측 및 우현측 중 일방에서 계류를 행할 때에 상기 선수측으로 상기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선박.
A deck provided in the hull,
In an area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a first drum capable of extending a rope to the fore side is provided,
The first drum ha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an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axis extends,
In the first area,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ward the bow when performing one point mooring,
The second area is a ship capable of extending the rope to the bow side when mooring is performed on one of a port side and a starboard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보다 선미측이며 우현측에 배치된 제2 드럼과,
상기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보다 선미측이고 좌현측에 배치된 제3 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드럼의 회전축 및 상기 제3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뻗어 있고,
상기 제2 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은,
상기 우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상기 우현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좌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상기 좌현측으로 상기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drum disposed on a starboard side and a stern side than the first drum in an area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In a region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a third drum disposed on a port side and a stern side than the first drum is provide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um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drum exten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ull,
The second drum and the third drum,
When mooring from the starboard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starboard side,
When mooring from the port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port side.
선체의 상측에 마련된 갑판과,
상기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우현측에 배치된 제2 드럼과,
상기 갑판의 선수측의 영역에 있어서, 좌현측에 배치된 제3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드럼의 회전축 및 상기 제3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기준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뻗어 있으며,
상기 제2 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은,
상기 우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상기 우현측으로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좌현측에서 계류할 때에는, 상기 좌현측으로 상기 로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한, 선박.
A deck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A second drum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in the area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In the area on the fore side of the deck, a third drum disposed on the port side is provide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um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drum exten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ull,
The second drum and the third drum,
When mooring from the starboard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starboard side,
When mooring from the port sid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ope to the port side.
KR1020200030934A 2019-03-28 2020-03-12 Ship KR2020011515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3365A JP2020163876A (en) 2019-03-28 2019-03-28 Ship
JPJP-P-2019-063365 2019-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150A true KR20200115150A (en) 2020-10-07

Family

ID=7267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934A KR20200115150A (en) 2019-03-28 2020-03-12 Ship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163876A (en)
KR (1) KR20200115150A (en)
CN (1) CN11174671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902B (en) * 2021-07-29 2022-10-11 广船国际有限公司 Mooring method and mooring system of ship and sh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744U (en) 2008-12-12 2009-02-2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Moor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4232Y2 (en) * 1972-03-24 1976-12-24
JPS61268588A (en) * 1985-05-22 1986-11-28 Hitachi Zosen Corp Actuation of mooring device
JPS641346Y2 (en) * 1986-10-02 1989-01-12
JPH1024892A (en) * 1996-07-11 1998-01-27 Mitsubishi Heavy Ind Ltd Horizontal container type anchor handling device
JP4863133B2 (en) * 2005-02-02 2012-01-25 浅川造船株式会社 Mooring equipment
JP2011105447A (en) * 2009-11-17 2011-06-02 Ihi Corp Windlass and winding method
CN202279211U (en) * 2011-10-27 2012-06-20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Layout structure for anchoring and mooring fittings of container ship
JP5912620B2 (en) * 2012-02-09 2016-04-27 五洋建設株式会社 Throwing management system and throwing management method
CN202923839U (en) * 2012-11-14 2013-05-08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Anchoring and mooring system of yacht and yacht comprising same
CN105523143A (en) * 2014-10-23 2016-04-27 中集船舶海洋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Ship bow anchoring and mooring device and ship
CN204802027U (en) * 2015-05-20 2015-11-25 深圳海油工程水下技术有限公司 Anchor cable cylinder
KR101855116B1 (en) * 2017-12-06 2018-05-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Bow structure of hull with improved mo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744U (en) 2008-12-12 2009-02-2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Moor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46716A (en) 2020-10-09
CN111746716B (en) 2022-07-26
JP2020163876A (en)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3198A1 (en) Ship-shaped structure
CN108045495B (en) Transport vessel for transporting fluid, method for transporting fluid and transport device
CN210000500U (en) mooring arrangement suitable for deck space limitation
CN103395477B (en) Combined semi-submerged ship and compound type semi-submerged ship
KR20200115150A (en) Ship
JP2020132082A (en) Fuel supply ship
CN108928433A (en) ship
CN105523143A (en) Ship bow anchoring and mooring device and ship
JP7382237B2 (en) ship
NO300536B1 (en) Three anchor system for ships
CN215205256U (en) Combined functional marine towing device
JP6992942B2 (en) Bulk carrier
WO2014013584A1 (en) Ship
JP2022076753A (en) Vessel
CN204210696U (en) Boats and ships bow anchoring mooring gear and boats and ships
CN105775042A (en) Mooring arrangement structure of small LNG ship
CN112736778A (en) Primary-secondary type multifunctional submarine cable laying construction ship equipment system
GB2071580A (en) Service vessels for offshore work
USRE30040E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barges and other floating cargoes
US3865062A (en) Marine geophysical exploration system
KR102083477B1 (en) Mooring apparatus
JP2002316688A (en) Cargo ship
WO2023112598A1 (en) Liquefied gas carrying ship
KR102011862B1 (en) Container ship
JP5201804B2 (en) Trimaran structure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