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536A -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536A
KR20200113536A KR1020190033878A KR20190033878A KR20200113536A KR 20200113536 A KR20200113536 A KR 20200113536A KR 1020190033878 A KR1020190033878 A KR 1020190033878A KR 20190033878 A KR20190033878 A KR 20190033878A KR 20200113536 A KR20200113536 A KR 20200113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synthetic resin
waste synthetic
area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나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나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나이엔티
Priority to KR102019003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536A/ko
Publication of KR2020011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29B7/826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상기 타이머에서 전달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권취롤회전모터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키
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Description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pyehabseongsuji jaehwal-yong siseutem imuljiljegeojangchi}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의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압출실린더와, 상기 압출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폐합성수지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압출실린더 내의 폐합성수지를 용융시키는 용융히터를 갖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
스템의 상기 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출구에 접하는 압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챔
버와; 상기 압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챔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여과망권취롤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
기 양 여과망권취롤에 권취되며 일구간이 상기 압출구에 접하는 여과망시트를 갖는 여과유닛과; 상기 압출구 대응영역의
상기 여과망시트 전방에 접하는 영역과 이격되는 영역을 향해 폐루프상으로 순환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압출공을 갖
는 다수의 압출블록과, 상기 압출블록들을 순환구동시키는 압출블록구동부를 갖는 압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에 의하여, 재활용수지의 생산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생산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주원료로 사용하는 각종 석유화학제품들은 사용 후 폐기할 때, 사회 기반시설인 매립장에 매립
되거나 소각장에서 소각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폐기물(이하 "폐합성수지"라 함)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폐합성수지를 매
립 처리할 경우에는 토양을 황폐화 시킬뿐만 아니라 우천 등의 발생시 타 오염물질과 섞여 하천으로 흘러들어 수질을 오염
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폐합성수지를 소각 처리할 경우에는 각종 중금속의 배출과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인해 대기
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수질 및 대기 오염은 자연환경의 파괴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과 인체의 건강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
템들이 지속적으로 개발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간략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물질제거장치 영역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101)은 폐합성수지가 투입되는 재료투입부(110)와, 투입된 폐
합성수지을 용융 압출하는 용융압출부(120)와, 용융압출부(120)의 배출영역에서 용융수지(용융된 폐합성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130)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수지의 생산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생산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폐합성수지 재
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폐합성수지의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압출실린더와, 상기 압출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폐합성수지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압출실린더 내의 폐합성수지를 용융시키는 용융히터를 갖는 폐
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상기 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접하는 압출구가 형성
되어 있는 챔버와; 상기 압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챔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여과망권취롤과, 길이방
향 양측이 상기 양 여과망권취롤에 권취되며 일구간이 상기 압출구에 접하는 여과망시트를 갖는 여과유닛과; 상기 압출구
대응영역의 상기 여과망시트 전방에 접하는 영역과 이격되는 영역을 향해 폐루프상으로 순환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압출공을 갖는 다수의 압출블록과, 상기 압출블록들을 순환구동시키는 압출블록구동부를 갖는 압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압출블록구동부는 상기 챔버내의 상기 여과망시트 전방에서 상기 압출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방향으
로 설치되며 상하부에 스프라켓이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스프라켓축과, 상기 양 스프라켓축 상하부에 폐루프상으로 설치
되어 상기 압출블록들을 순환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 체인과, 상기 양 스프라켓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
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 여과망권취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권취롤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권취롤회전수단은 상기 스프라켓축과 상기 여과망권취롤의 축에 마련되는 연동스프라켓과, 상기 양 연동스프
라켓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크로스 연동체인으로 마련될 수 있다.
혹은, 상기 권취롤회전수단은 상기 여과망권취롤의 축을 회전시키는 권취롤회전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간략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이물질제거장치 영역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를 갖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이물질제거장치 영역의 예를 나타낸 절취 사시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여과유닛 및 압출유닛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3 내지 도 5의 이물질제거장치 영역 평면도로서 챔버개폐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이물질제거장치 영역 평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이물질제거장치 영역 확대단면도로서 재활용수지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이물질제거장치 영역 다른 형태의 확대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를 갖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간략한 제어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 7 : 압출실린더
6 : 이송스크류 9 : 용융히터
10 : 챔버 11 : 압출구
20 : 여과유닛 21 : 여과망권취롤
22 : 여과망시트 25 : 이물질제거수단
30 : 압출유닛 31 : 압출블록
33 : 압출블록구동부 35,36 : 상하 체인
39 : 잔여물히팅제거장치 40 : 제어유닛
권취롤회전수단(23)의 구동에 의해 압출구(11)에 인접하던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망시트(22)는 도 7의 표시부"b"빙
향으로 이동하여 일측 권취롤에 권취되고 타측 원취롤에 권취되어 있던 새로운 여과망시트(22)의 일부 구간이 압출구(11)
에 인접하게 위치 이동한다. 이때, 압출블록구동부(33)와 권취롤회전수단(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권취롤회전수단(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의 구조를 갖도록 하여 도 와 같이 챔버
(10)를 개방하여 압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3)에 의해 구동모터(37)가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하게 되면, 압출구(11)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던 여과
망시트(22)는 일측의 여과망권취롤(21)로 권취되고, 압출구(11)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여과망시트(22)에 인접하게 위치하
던 압출블록(31)들은 여과망시트(22)와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압출구(11)영역에는 새로운 여과망시트
(22)의 일구간이 위치하게 되고, 압출블록(31) 역시 새로운 영역의 압출블록(31)들이 여과망시트(22)에 인접하여 압출면
(31a)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유닛(4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42)와, 타이머(42)에서 전달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압출블
록구동부(33) 및 권취롤회전수단(23)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부(43)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이머
(42)의 시간 간격은 압출실린더(7)의 배출영역과 챔버(10)의 압출구(11) 영역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기 전의 시간을 미
리 계산하여 그 시간 간격으로 제어부(43)가 압출블록구동부(33) 및 권취롤회전수단(23)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
키도록 한 것이다. 압출블록구동부(33) 및 권취롤회전수단(23)의 구동시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
다.
그리고, 제어유닛(40)의 제어부(43)는 전술한 압출실린더(7)의 스크류구동부(4) 및 용융히터(9)의 구동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

  1. 폐합성수지의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압출실린더와, 상기 압출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폐합성수지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압출실린더 내의 폐합성수지를 용융시키는 용융히터를 갖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상
    기 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접하는 압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챔버와;
    상기 압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챔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여과망권취롤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양
    여과망권취롤에 권취되며 일구간이 상기 압출구에 접하는 여과망시트를 갖는 여과유닛과;
    상기 압출구 대응영역의 상기 여과망시트 전방에 접하는 영역과 이격되는 영역을 향해 폐루프상으로 순환회전하도록 설치
    되는 다수의 압출공을 갖는 다수의 압출블록과, 상기 압출블록들을 순환구동시키는 압출블록구동부를 갖는 압출유닛을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20190033878A 2019-03-25 2019-03-25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200113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878A KR20200113536A (ko) 2019-03-25 2019-03-25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878A KR20200113536A (ko) 2019-03-25 2019-03-25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36A true KR20200113536A (ko) 2020-10-07

Family

ID=7288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878A KR20200113536A (ko) 2019-03-25 2019-03-25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5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838B1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EP0458090B1 (de) Anordnung zur Gasbehandlung von verunreinigtem Erdreich
KR20200113536A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1327264B1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DE2436543A1 (de) Anlage zur verarbeitung von muell
AT50333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lastifizierung von kunststoffmaterial
DE4212118A1 (de)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Sondermüll
CN111086119A (zh) 一种塑料挤出造粒机组
KR101612617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합성수지 압출기의 여과장치
KR20170071163A (ko) 합성수지 압출기용 자동 다이스
KR101976013B1 (ko)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갖춘 협잡물 처리장치
US5645233A (en) Apparatus for recycling scrapped polylon
KR101661422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합성수지 압출기의 여과장치
JP2512381B2 (ja)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減容機
EP0280364A1 (de) Einrichtung zur Zerstörung von halogenierten Aromaten, wie chlorierte Dibenzodioxine, chlorierte Dibenzofurane oder dgl., in Flugaschen aus Abfallverbrennungsanlagen
KR101746754B1 (ko) 합성수지 압출기용 스크린 교체장치
CN219913079U (zh) 一种适用于污染土壤处理的高温焚烧炉
CN219283339U (zh) 一种高效危废焚烧装置
KR20140025852A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폐가스 제거장치
KR101311962B1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222441Y1 (ko) 발포스티로폼의 용해처리장치
CN218810493U (zh) 一种具有分级过滤功能的隧道式洗笼机
KR20130093897A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6180540B (zh) 一种利用废旧路面沥青的沥青热再生装置及制备方法
CN218096994U (zh) 一种便于更换滚筒的热风烘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