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515A - 가두리 양식장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515A
KR20200113515A KR1020190033798A KR20190033798A KR20200113515A KR 20200113515 A KR20200113515 A KR 20200113515A KR 1020190033798 A KR1020190033798 A KR 1020190033798A KR 20190033798 A KR20190033798 A KR 20190033798A KR 20200113515 A KR20200113515 A KR 20200113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guide
frame
far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015B1 (ko
Inventor
한인수
Original Assignee
한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수 filed Critical 한인수
Priority to KR102019003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0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은, 부력체 상단에 위치하고, 가두리그물이 연결되는 가두리프레임, 상기 가두리프레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두리그물과 연결되는 걸림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두리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FISH FARMING CAGES}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은 연안 해역이나 외해 등의 수역(水域)에 일정 범위만큼 가두리그물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각종 어류를 양식하는 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가두리그물의 설치와 수산생물의 관리에 필요한 공간 및 통로를 제공하도록 개략 "田" 형태의 발판구조물을 제작 후, 발판구조물의 하부에 부력체를 연결 설치하며, 발판구조물의 내주면을 따라 가두리그물을 연결시켜 놓은 것이 대부분이다.
가두리그물의 그물코를 통하여 가두리 안팎의 해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므로, 해수의 교환 및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양식어류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노폐물이나 사료찌꺼기 또한 가두리그물을 거쳐 외부로 자동 배출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더라도 가두리그물 내부의 수질이 악화되지 않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대규모 양식어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가두리 양식장이 설치된 해역에 적조나 태풍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적조는 식물 플랑크톤의 대량 번식으로 바닷물의 색깔이 적색, 황색, 적갈색 등으로 변색되는 자연 현상이다. 식물 플랑크톤은 수중의 용존 산소량을 급격히 소모하면서, 다량의 점액질을 분비하고, 이 점액질이 어류 아가미에 부착되어 산소공급을 차단하므로, 어류의 집단 폐사가 발생하게 된다. 적조는 해류 및 조류(潮流)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일조량, 수온, 염분, 영양염 류 등 적조생물의 대량번식에 적합한 해양환경이 조성되어야 나타난다.
이러한 자연현상에 의해서 양식업자들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감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조의 발생시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 자체를 방파제의 내항 측이나 적조가 유입되지 않은 수역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두리그물 자체가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가지는 대형의 그물자루가 됨으로서,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가두리그물이 선박의 예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쏠리면서 가두리그물의 변형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박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의 위치 이동 과정에서 가두리그물의 과도한 쏠림이 발생하여, 가두리그물의 내부공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아지게 되면, 가두리그물의 내부에 갇혀 있는 양식어류가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양식어류가 가두리그물의 표면에 쓸리거나 양식어류끼리 서로 부딪힘에 따라 어체의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스트레스와 어체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양식어류의 대량 폐사라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두리그물의 쏠림을 방지하면서도, 수중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닻의 마찰력을 향상시킨 가두리 양식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은, 부력체 상단에 위치하고, 가두리그물이 연결되는 가두리프레임, 상기 가두리프레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두리그물과 연결되는 걸림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두리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중량체를 갖는 닻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가 격자구조로 교차 연결되어 격자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가 교차 연결되는 교차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두리그물에 걸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드럼에 감거나 풀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는, 바닥에는 내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은, 이동 시 가두리그물의 과도한 쏠림을 방지하여, 적조가 발생하였을 때 피해가 미치지 않는 인근 수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적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닻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측면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측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의 가이드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의 가이드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닻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닻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닻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닻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예인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그물(130)에서 가두리프레임(100) 쪽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가두리프레임(100)에서 가두리그물(130)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1)은 가두리프레임(100), 부력체(110), 가두리그물(130), 가이드부(150), 승하강부(170), 닻(19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두리프레임(100)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면이 소정의 폭을 가지는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두리프레임(100)은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가두리프레임(100)의 하면에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10)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해수중으로 드리워지는 가두리그물(130)이 가두리프레임(100)과 연결되고, 가두리그물(130)의 내측 하부에는 가이드부(150)가 배치되며, 가두리프레임(100)의 상부에는 가이드부(150)를 상승 및 하강시킬수 있는 승하강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두리그물(130)은 가두리프레임(100)의 구조에 맞추어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두리프레임(100)의 외측면에는 계류로프(107)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재(105)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계류로프(107)의 타단에는 닻(190)이 연결될 수 있어, 닻(190)에 의해 가두리프레임(100)이 일정한 장소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닻(190)은 계류로프(107)를 통해 가두리프레임(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일측면도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타측면도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가두리프레임(100)의 하면에는 부력체(11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가두리프레임(100)의 하면에는 금속제 바 형상의 보강부재(101)가 배치될 수 있고, 보강부재(101)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오버레이층(103)에 의하여 가두리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오버레이층(103)은 보강부재(101)의 표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부력체(110)는 오버레이층(103)을 포함하는 보강부재(101)와 맞물린 상태로 가두리프레임(100)의 하면과 일체로 접합 및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부력체(1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밸러스트수(117)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체(110)는 횡단면이 "∪"자형인 통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부력체(110)는 PE(polyethylene), FRP(fiber-reinforced plastic) 등의 고분자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수지 소재로 구성되는 부력체(110)는 가볍고 견고함과 동시에 내부식성 또한 우수하여, 해수중에서 받는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딜 수 있다.
부력체(110)는 내측 하부에는 밸러스트수(117)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격벽(112)이 형성되며, 부력체(110)의 일측 하부에는 저장공간에 밸러스트수(117)를 주입하기위한 주입밸브(115)가 연결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체크밸브(11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부력체(110)의 내측 상부에는 제1 격벽(112)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격벽(11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110) 내부공간이 제2 격벽(113)에 의해 구획되므로, 부력체(110)의 일부분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여도 부력체(110) 내부 공간 전체에 해수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력체(110)의 외측 상부면에는 가두리프레임(100)의 보강프레임(101)이 맞물려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밸브(119)는 외부공기 유입용 체크밸브(119) 및 내부압력 배출용 체크밸브(119)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력체(110) 내부의 결로 현상 및 이에 따른 내압저하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고온현상으로 인한 부력체(110)의 내압상승까지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체크밸브(119)는 외부공기 유입용 체크밸브(119)만으로 구성될수 있다.
주입밸브(115)는 부력체(110)의 하부 저장공간에 밸러스트수(117)를 주입할 수 있으며, 저장공간 내측면의 부착생물 제거를 위한 약품을 주입할 수 있다.
부력체(110)에 외부공기 순환용 체크밸브(119)를 설치하여 해수와의 온도 차이에 따른 부력체(110) 내부의 결로 현상 및 이에 따른 부력체(110)의 내압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력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고 부력체(110)의 변형이나 파손 역시 쉽게 유발되지 않도록 하여 가두리 양식장(1)의 안전성과 사용수명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내압배출용 체크밸브(119)를 추가로 설치한 경우에는 내압증대에 따른 부력체(110)의 변형이나 파손까지 방지할 수 있으며, 밸러스트수(117)의 적용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인 방식으로 가두리 양식장(1)의 설치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의 가이드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의 가이드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다.
도 4를 참고하면, 가이드부(150)는 가이드부재(151) 및 걸림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1)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가이드부재(151)는 외측면에 PVC(polyvinyl chloride) 코팅층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금속재의 가이드부재(151)는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해수중에 배치되어도 해류 또는 파도 등 충격에 잘 견디며, 코팅층에 의해 내부식성이 향상되어 바닷물에 대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1)는 복수개가 서로 교차 연결되어, 격자 구조를 갖는 폐쇄된 프레임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50)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51)에 의해 격자구조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부재(151)가 연결되어 외곽테두리를 형성하여 폐쇄된 프레임 형태를 가지며, 가두리프레임(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두리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부재(151)는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50)는 가두리프레임(100) 내측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155)는 가이드부(150)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물이 걸릴 수 있도록 단부가 만곡진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재(155)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51)가 교차하는 지점인 교차점(153)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50)는 복수개의 걸림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155)는 일단이 가이드부(150)의 교차점(153)에 용접 고정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교차점(153)에 체결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가이드부(150)에 연결되는 것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50)는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부재(155)를 포함하여, 가이드부(150)가 가두리그물(130)의 하방에 위치하였을 때, 가두리그물(130)의 그물코가 걸림부재(155)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프레임(100)의 내곽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 가두리그물(130) 내측에는 가이드부(150)가 배치될 수 있고, 가두리프레임(100) 상부에는 가이드부(15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승하강부(170)는 와이어로프(171), 드럼(173), 구동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171)는 가이드부(150)와 승하강부(170)를 연결하며 승하강부(170)의 동력을 이용해 가이드부(15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승하강부(170)는 가두리프레임(100)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승하강부(170)는 가두리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로프(171)는 가이드부(150)의 테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드럼(173)은 와이어로프(171)가 감겨지며, 구동부(17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드럼(173)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로프(171)는 드럼(173)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며 해수에 침하하는 와이어로프(171)의 길이가 짧아지고, 드럼(173)이 타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로프(171)는 드럼(173)으로부터 풀어져 해수에 침하하는 와이어로프(171)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구동부(175)는 드럼(173)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175)의 회전축(미도시)에 드럼(173)이 연결되어, 회전축을 따라 드럼(173)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75)는 드럼(173)의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조정하도록 감속기(176)가 장착되거나, 감속기 일체형의 기어드모터(Geared motor)일 수 있다. 구동부(175)는 드럼(173)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해수에 침하하는 와이어로프(17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두리프레임(100) 상부에는 장착대(179)가 연결되어 장착대(179)의 상면에 승하강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170)는 구동부(175) 및 드럼(173)의 조립 및 지지를 위한 브라켓(1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부(170)는 구동부(175)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 및 해수면에 계류하는 플랫폼(미도시)에는 동력원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동력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력케이블을 구동부(175)와 접속시켜 구동부(175)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장착대(179)의 내부에는 배터리와 수신기 및 제어장치를 내장시켜 구동부(175)의 작동을 선박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50)의 승강 및 하강작업이 승하강부(170)에 의하여 정확하게 수행되기 위해, 각각의 구동부(175)가 동시에 온(On)/오프(Off) 되도록 가두리프레임(100)에는 전기배선(미도시)이 설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부(150)는 가두리그물(1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승하강부(170)의 작동에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테두리에 승하강부(170)의 와이어로프(171)가 연결될 수 있고, 와이어로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가두리그물(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승하강부(170)는 가두리프레임(100) 상에 서로 점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가이드부(150)의 쏠림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해수중에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동부(175)에 의해 드럼(173)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 드럼(173)에 권취되어있던 와이어로프(171)의 풀림이 발생하며, 이때 가이드부(150)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171)는 가이드부(150)가 가두리그물(13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50)는 가두리그물(130)의 하단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50)의 걸림부재(155)가 가두리그물(130) 하면의 그물코에 걸릴 수 있다.
한편, 구동부(175)에 의해 드럼이 타방향으로 회전 시, 드럼(173)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로프(171)가 드럼(173)에 감길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171)의 장력에 의하여 가이드부(150)가 당겨져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155)에 의해 가두리그물(130)의 하부 그물망이 함께 당겨지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두리그물(130)에서 각각의 걸림부재(155)가 걸려있는 지점이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걸림부재(155)가 걸린 지점과 인접한 그물망 또한 함께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 그물망에서 걸림부재(155)가 걸려있는 연결지점은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지점과 인접한 그물망은 포물선을 이루면서,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가두리그물(130) 내부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50)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므로, 가두리그물(130)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에도 가두리그물(130)의 각각의 면이 서로 엉키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155)가 가두리그물(130)의 하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50)가 상방으로 이동시, 가두리그물(130) 내부의 공간이 구획되어, 가두리 양식장(1)의 예인 과정에서 해수의 저항 및 어류 집단의 움직임에 따라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어, 가두리그물(130) 및 어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닻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닻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닻(190)은 중량체(191), 연결고리(195), 체결고리(197)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체(191)는 해저면에 안착되어 고정성을 갖기 위하여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형성되며, 축 방향 길이가 짧은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즉 중량체(191)는 전체적으로 높이보다는 직경이 큰 원기둥 형태로서 넓적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체(191)는 콘크리트를 양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191)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19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체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돌기(192)는 중량체(191)의 외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192)가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해저면에 안착된 중량체(191)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닻(19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량체(191)가 해저면에 안착되었을 때 복수개의 돌기(192)에 의해 해저 암반의 틈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어, 닻(190)의 마찰력 및 고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191)는 상면 중심부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9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93)는 중량체(191)와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연결고리(195)는 중량체(191)의 상단에 설치되며, 계류로프(107)가 연결되어 닻(190)과 가두리프레임(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연결고리(195)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와이어로서, 만곡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연결고리(195)의 양단부는 중량체(191)에 내측에 매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만곡진 부분은 중량체(191) 외부로 노출되어 고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195)에는 링 형상의 체결고리(197)가 연결되어, 체결고리(197)에 의해 계류로프(107)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고리(195)의 양단부 각각에는 고정부재(19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96)는 연결고리(195)의 축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고리(195)가 계류로프(107)의 장력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더라도, 중량체(191)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량체(191)의 제1 변형예로서, 중량체(191)는 하측면에 삽입홈(194)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94)은 중량체(191)의 내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194)은 중량체(191)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9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삽입홈(194)의 높이는 돌출부(193)의 높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닻을 적층 시, 하방에 위치된 닻(190)의 돌출부(193)는 상방에 위치한 닻(190)의 삽입홈(194)에 삽입될 수 있어 복수개의 닻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으므로, 닻(190)의 적재 및 이송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닻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닻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닻(19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의 중량체(19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체(191)는 하단의 직경이 상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통 형상 일 수 있다.
중량체(191a)의 외측면 하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19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92a)는 중량체(191a)의 외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중량체(191a)의 제2 변형예로서, 중량체(191a)는 하측면에 삽입홈(194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94a)은 중량체(191a)의 내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194a)은 중량체(191a)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94a) 하단 직경이 중량체 상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닻을 적층 시, 하방에 위치된 닻(190)의 상단부는 상방에 위치한 닻(190)의 삽입홈(194a)에 삽입될 수 있어 복수개의 닻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으므로, 닻(190)의 적재 및 이송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예인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가두리 양식장(1)은 예인로프(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1)은 하나의 유닛으로서, 복수개의 유닛이 조립 및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도 12에 도시된 가두리 양식장(1)을 구성할 수 있다.
가두리 양식장(1)을 예인하기위해 가두리 양식장(1)의 주변에 한 척이상의 선박(S)이 위치할 수 있고, 선박(S)으로부터 연장되는 예인로프(109)가 가두리 양식장(1)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두리 양식장(1)의 일방 및 양방에는 각각 선박(S)이 위치할 수 있다. 가두리 양식장(1)의 일방에 위치하는 선박(S)은 가두리 양식장(1)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가두리 양식장(1)의 일방에 위치하는 선박(S)으로부터 복수개의 예인로프(109)가 연장되어 가두리 양식장(1)의 일측에 연결되며, 각각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두리 양식장(1)의 양방에 위치한 각각의 선박(S)에서 연장되는 예인로프(109)는, 가두리 양식장(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선박(S) 및 복수개의 예인로프(109)에 의하여 가두리 양식장(1)에 작용하는 예인력을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가두리 양식장(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가두리 양식장(1)의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가두리 양식장 100: 가두리프레임
101: 보강부재 103: 오버레이층
105: 연결부재 107: 계류로프
109: 예인로프 110: 부력체
111: 연결홈 112: 제1 격벽
113: 제2 격벽 115: 주입밸브
117: 밸러스트수 119: 체크밸브
130: 가두리그물
150: 가이드부 151: 가이드부재
153: 교차점 155: 걸림부재
170: 승하강부 171: 와이어로프
173: 드럼 175: 구동부
176: 감속기 177: 브라켓
179: 장착대
190: 닻 191,191a: 중량체
192,192a: 돌기 193: 돌출부
194,194a: 삽입홈 195: 연결고리
196: 고정부재 197: 체결고리
P: 어류
S: 선박

Claims (6)

  1. 부력체 상단에 위치하고, 가두리그물이 연결되는 가두리프레임;
    상기 가두리프레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두리그물과 연결되는 걸림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두리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중량체를 갖는 닻을 더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가 격자구조로 교차 연결되어 격자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가두리 양식장.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가 교차 연결되는 교차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두리그물에 걸림 연결되는 가두리 양식장.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드럼에 감거나 풀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바닥에는 내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KR1020190033798A 2019-03-25 2019-03-25 가두리 양식장 KR10222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98A KR102225015B1 (ko) 2019-03-25 2019-03-25 가두리 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98A KR102225015B1 (ko) 2019-03-25 2019-03-25 가두리 양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15A true KR20200113515A (ko) 2020-10-07
KR102225015B1 KR102225015B1 (ko) 2021-03-08

Family

ID=7288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798A KR102225015B1 (ko) 2019-03-25 2019-03-25 가두리 양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228A (ko) * 2016-10-18 2019-07-09 씨 컨트롤 홀딩스 엘티디. 외해 수산양식 시스템
KR20220049906A (ko) * 2020-10-15 2022-04-22 김길영 해삼 양식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219A (ja) * 1995-10-09 1997-04-22 Taito Seiko Kk 昇降式養殖施設
WO2003091584A1 (en) * 2002-04-23 2003-11-06 Onesteel Manufacturing Pty Limited Net suspension hook and spiral-shaped net joiner
KR20100108316A (ko) * 2010-09-16 2010-10-06 김인진 침하식 내파성 가두리장치
KR101066118B1 (ko) * 2011-03-31 2011-09-20 최민정 앵커 및 이를 갖는 오탁방지막
KR101415103B1 (ko) * 2013-04-05 2014-07-07 정은진 위치조절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219A (ja) * 1995-10-09 1997-04-22 Taito Seiko Kk 昇降式養殖施設
WO2003091584A1 (en) * 2002-04-23 2003-11-06 Onesteel Manufacturing Pty Limited Net suspension hook and spiral-shaped net joiner
KR20100108316A (ko) * 2010-09-16 2010-10-06 김인진 침하식 내파성 가두리장치
KR101066118B1 (ko) * 2011-03-31 2011-09-20 최민정 앵커 및 이를 갖는 오탁방지막
KR101415103B1 (ko) * 2013-04-05 2014-07-07 정은진 위치조절이 가능한 가두리 양식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228A (ko) * 2016-10-18 2019-07-09 씨 컨트롤 홀딩스 엘티디. 외해 수산양식 시스템
KR20220049906A (ko) * 2020-10-15 2022-04-22 김길영 해삼 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015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547B2 (ja)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CN108739576B (zh) 一种用于深远海鱼类养殖的复合式网箱
KR100876227B1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CN110139798A (zh) 带延伸筒体的直筒式浮式平台和泳圈式浮筒组
US10716296B2 (en)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integrated with steel fish farming cage
KR102225015B1 (ko) 가두리 양식장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EP3585156B1 (en) Fish farm made of a rigid material
EP3811776A1 (en) Fish farm for raising fish in the open sea
KR100441203B1 (ko) 수중모터를 이용한 침하식 어류양식장치
KR101639477B1 (ko) 부침식(浮沈式) 가두리 양식장
CN109496939B (zh) 深水漂浮式海洋牧场装置
CN212545130U (zh) 一种注水转网卧浮式养殖网箱、养殖平台和起捕提升工具
WO2023167596A1 (en) Fish farming systems
CN216874529U (zh) 一种升降式养殖网箱
KR20050008554A (ko) 패류용 가두리 시설
NO344724B1 (en) An aquatic system
KR101947320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KR20130108494A (ko) 어류 포획을 위한 그물 승강장치
KR100281366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CN110786280A (zh) 张拉式坐底网箱
CN215836556U (zh) 一种预紧式深海网箱
CN218959810U (zh) 深海网箱
KR20200063853A (ko) 가두리 양식장
CN115281133B (zh) 一种深海升降式养殖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