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707A -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707A
KR20200112707A KR1020200033050A KR20200033050A KR20200112707A KR 20200112707 A KR20200112707 A KR 20200112707A KR 1020200033050 A KR1020200033050 A KR 1020200033050A KR 20200033050 A KR20200033050 A KR 20200033050A KR 20200112707 A KR20200112707 A KR 2020011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ens unit
upper spr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332B1 (ko
Inventor
순웨이
쪼우쥐허
Original Assignee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04N5/2253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조작의 스페이스가 넓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베이스, 하부 스프링, 렌즈 유닛, 상부 스프링, 코일 및 자석을 포함하며, 베이스는 단자를 구비하고, 하부 스프링은 베이스와 렌즈 유닛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며, 렌즈 유닛은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부 스프링은 렌즈 유닛에 설치되며, 코일은 렌즈 유닛에 설치되고, 자석은 코일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단자는 일단이 베이스의 저부로부터 노출되고 타단이 상부 스프링을 향해 상부 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부 스프링은 코일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DRIVING DEVICE, CAMERA MODU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결상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응용이 점점 넓어져, 현재 카메라, 휴대전화, PC 등의 많은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든지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생활상의 편리성이나 즐거움을 가져 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고정초점 카메라 모듈과 가변초점 카메라 모듈이 있는 바, 가변초점 카메라 모듈에서는 구동장치에 의해 렌즈를 구동하여 이동시키고 초점조절을 한다.
보통, 구동장치는 베이스, 하부 스프링, 캐리어, 상부 스프링, 자석, 코일 및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부 스프링은 베이스에 설치되며, 캐리어는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의 사이에 위치하고, 코일은 하부 스프링을 경유하여 구동장치의 하부에 있는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전도를 실현한다. 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코일은 자석의 자력작용에 의해 캐리어를 구동해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하고, 따라서 캐리어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를 움직여 상하로 이동시키며, 초점맞춤을 실현한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조립시에 일반적으로 하부 스프링, 캐리어 및 코일을 가동부로서 조립하여 가동부를 베이스로 조립하고, 최종에 제조후의 전체를 내부에 자석과 상부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에 연결한다.
중국특허공개번호 CN101315456A
그러나 상기 구동장치에서 하부 스프링과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하부 스프링과 캐리어, 코일을 조립하고 나서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연결시의 조작 스페이스가 작아지고 조작이 불편했다.
여기에서, 상술한 설명은 일반적인 배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종래 기술을 구성한다고는 할 수 없다.
이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조립조작의 스페이스가 넓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베이스와, 하부 스프링과, 렌즈 유닛과, 상부 스프링과, 코일 및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렌즈 유닛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은 상기 렌즈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렌즈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코일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단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저부로부터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스프링을 향해 상기 상부 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부 스프링은 상기 코일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와 상기 렌즈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2개이며, 각각 상기 렌즈 유닛의 서로 마주 보는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2개이며, 상기 베이스 위를 덮도록 설치된 하우징의 대향하는 두 내표면에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코일에 각각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은 1개의 제1 상부 스프링부와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 스프링부와 상기 제2 상부 스프링부는 모두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 유닛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제2 상부 스프링부는 2개의 상기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코일은 일단이 2개의 상기 제2 상부 스프링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 상부 스프링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기저부(基底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제1 돌출기둥 및 제2 돌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스프링에는 제1 계합(係合)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기둥은 상기 제1 계합구멍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캐리어에는 제3 돌출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스프링은 제2 내측부, 제2 연결 변형부 및 제2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변형부는 상기 제2 내측부와 상기 제2 외측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외측부에는 제2 계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부에는 제3 계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기둥은 상기 제2 계합구멍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3 돌출기둥은 상기 제3 계합구멍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위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스프링, 상기 렌즈 유닛, 상기 상부 스프링,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석은 모두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2개의 단자를 포함한 베이스와, 렌즈 유닛과, 상기 렌즈 유닛을 위쪽에서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과, 상기 렌즈 유닛에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그 모서리에 세워 설치한 적어도 2개의 각기둥이 있고, 상기 2개의 단자는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저부에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각기둥의 상면에서 노출되며, 상기 상부 스프링은 내측부와,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변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상부 스프링부로 분할되며, 각 상기 상부 스프링부의 상기 외측부는 상기 상면에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상기 내측부는 상기 렌즈 유닛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코일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술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포함한다. 즉 단자를 구비한 베이스를 제공하는 공정과, 하부 스프링을 제공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을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며, 상기 하부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공정과, 렌즈 유닛 및 코일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을 상기 렌즈 유닛에 설치하며,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하부 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렌즈 유닛에 연결하는 공정과, 상부 스프링을 제공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을 상기 렌즈 유닛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상부 스프링을 상기 단자와 상기 코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정과, 자석 및 하우징을 제공하며, 상기 자석을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을 상기 렌즈 유닛의 윗쪽을 덮도록 설치하여, 상기 상부 스프링이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코일이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자를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부 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부 스프링을 경유하여 전기적 연결을 실현한다. 또한, 단자와 상부 스프링의 연결 작업을 렌즈 유닛의 상부에서 할 수 있고, 조작 스페이스가 넓으며,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유닛의 상부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하부 스프링, 렌즈 유닛 및 하우징을 베이스의 윗쪽에 순서대로 설치할 수 있고, 모든 부재를 뒤집을 필요 없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더 편리해지고, 조립공정을 보다 간단화 할 수 있다. 한편, 렌즈 유닛의 윗쪽에서 작업을 하므로 상부 스프링과 단자를 일체로 용접할 때 보호막을 늘려 용접시의 렌즈 유닛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분해사시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하우징을 분리한 후의 조립도이고,
도3은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베이스(10), 하부 스프링(12), 렌즈 유닛(14), 상부 스프링(16), 코일(18), 자석(20), 및 하우징(22)을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단자(102)를 포함하고 있다. 하부 스프링(12)은 베이스(10)와 렌즈 유닛(14)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렌즈 유닛(14)은 베이스(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스프링(16)은 렌즈 유닛(14)과 하우징(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102)는 일단이 베이스(10)의 저부로부터 노출되고 타단이 상부 스프링(16)을 향해 상부 스프링(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부 스프링(16)은 코일(18)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18)은 렌즈 유닛(14)에 설치되고, 자석(20)은 하우징(22)에 설치되며, 동시에 코일(18)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본 구동장치에 있어서, 단자(102)를 코일(18)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부 스프링(16)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부 스프링(16)을 경유한 전기적 연결을 실현한다. 또한, 단자(102)와 상부 스프링(16)의 연결 작업은 렌즈 유닛(14)의 상부에서 할 수 있어, 조작 스페이스가 넓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유닛(14)의 상부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하부 스프링(12), 렌즈 유닛(14)및 하우징(22)을 베이스(10)의 윗쪽에 순서대로 설치할 수 있고, 모든 부재를 뒤집을 필요 없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더욱 편리해지고 조립공정을 보다 간단화할 수 있다. 한편, 렌즈 유닛(14)의 상부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상부 스프링(16)과 단자(102)를 일체로 용접할 때, 보호막을 늘리고, 용접시의 렌즈 유닛(14)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10)는 기저부(104)를 더 포함하며, 단자(102)는 베이스(10) 내에 끼워 설치된다. 베이스(10)는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져도 좋다. 단자(102)는 예를 들면 금속 등 도전재료로 만들어지며, 베이스(10)의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단자(10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102A)와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수평부(102B)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102)는 서로 간격을 두어 2개 설치된다. 베이스(10)의 기저부(104)에는 제1 돌출기둥(106)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0)의 네 구석부에는 각기둥(107)이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고, 각기둥(107)의 상면(107A)에는 제2 돌출기둥(108)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102)의 수직부(102A)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저부에서 노출되고, 수직부(102A)는 각기둥(107)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며, 상면(107A)에서 수평부(102B)가 노출된다. 단자(102)는 렌즈 유닛(14)의 외부 가장자리의 바깥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스프링(12)은 일체구조이며, 그 일단이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스프링(12)은 렌즈 유닛(1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고, 렌즈 유닛(14)이 베이스(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스프링(12)은 제1 내측부, 제1 연결 변형부 및 제1 외측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변형부는 변형할 수 있으며, 제1 내측부와 제1 외측부 사이를 연결한다. 제1 외측부는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1 내측부는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스프링(12)에는 제1 계합구멍(122)이 형성되고, 베이스(10)의 제1 돌출기둥(106)은 제1 계합구멍(122)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 유닛(14)은 캐리어(142) 및 캐리어(142)에 고정된 렌즈(144)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142)와 렌즈(144)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물론, 캐리어(142)와 렌즈(144)를 개별적으로 구성하고, 조립시에 일체에 조립해도 좋다. 캐리어(142)와 렌즈(144)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경우, 조립시의 조립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142)의 상부에 제3 돌출기둥(14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스프링(16)은 일단이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렌즈 유닛(14)이 베이스(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스프링(16)은 1개의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제2 상부 스프링부(164)는 모두 일단이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렌즈 유닛(14)이 베이스(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의 후술하는 제2 외측부는 2개의 각기둥(107)의 상면(107A)에 각각 노출되고 2개의 단자(1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스프링(16)은 제2 내측부, 제2 연결 변형부 및 제2 외측부를 포함한다. 제2 연결 변형부는 변형가능하며, 동시에 제2 내측부와 제2 외측부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제2 외측부는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2 내측부는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스프링(16)에 있어서, 제2 외측부에는 제2 계합구멍(166)이 형성되고, 제2 내측부에는 제3 계합구멍(168)이 형성되며, 베이스(10)의 각기둥(107)의 상면(107A)에 형성된 제2 돌출기둥(108)은 제2 계합구멍(166)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며, 캐리어(142)의 제3 돌출기둥(146)은 제3 계합구멍(168)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18)은 캐리어(142)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있어서 코일(18)은 2개 이다. 2개의 코일(18)은 각 일단이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의 제2 내측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타단이 제1상부 스프링부(162)의 제2 내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2개의 코일(18)이 직렬연결된다. 전류가 한 단자(102)로부터 유입하여 한 제2 상부 스프링부(164), 한 코일(18), 제1 상부 스프링부(162), 다른 코일(18), 다른 제2 상부 스프링부(164)를 순서대로 흘러 최종으로 다른 단자(102)로부터 유출한다. 물론, 코일(18)은 1개일 수도 있고, 이 때 대응하여 상부 스프링(16)을 2개 부분으로 나누면 되고, 상부 스프링(16)의 2개 부분을 각각 코일(18)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회로의 연결을 조정하는 것으로 코일(18)을 3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2개의 코일(18)은 각각 렌즈 유닛(14)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렌즈 유닛(14)의 다른 양측에 코일(18)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장치의 다른 양측의 외형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어 구동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18)의 수에 대응하여 자석(20)의 수도 2개이며, 2개의 자석(20)은 하우징(22)의 대향하는 두 내표면에 설치되고, 2개의 코일(18)에 각각 대향하고 있다. 동일하게, 하우징(22)의 다른 대향하는 두 내표면에 자석(20)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장치의 다른 양측의 외형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어 구동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22)은 베이스(10) 위를 덮도록 설치 되며, 하부 스프링(12), 렌즈 유닛(14), 상부 스프링(16), 코일(18) 및 자석(20)을 모두 하우징(22) 내에 수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2)은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단자(102)는 렌즈 유닛(14)과 하우징(22)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스프링(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10)의 아래쪽에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렌즈(144)를 통과한 빛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이 해당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은 일 실시예로서 아래 공정을 포함한다.
(S11): 단자(102)를 구비한 베이스(1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0)는 기저부(104)를 더 구비하고, 단자(102)는 베이스(10) 내에 끼워 설치된다. 베이스(10)는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져도 좋다. 단자(102)는 예를 들면 금속 등 도전재료에 의해 만들어지며, 베이스(10)의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단자(10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102A)와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수평부(102B)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102)는 서로 간격을 두어 2개 설치된다. 베이스(10)의 기저부(104)에는 제1 돌출기둥(106)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0)의 네 구석부에는 각기둥(107)이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고, 각기둥(107)의 상면(107A)에는 제2 돌출기둥(108)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102)의 수직부(102A)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저부에서 노출되고, 수직부(102A)는 각기둥(107)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며, 상면(107A)에서 수평부(102B)가 노출된다.
(S13): 하부 스프링(12)을 제공하며, 하부 스프링(12)을 베이스(10)에 설치하고, 하부 스프링(12)의 일단을 베이스(1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스프링(12)은 일체구조이며, 그 일단이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하부 스프링(12)은 렌즈 유닛(1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며, 렌즈 유닛(14)이 베이스(1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스프링(12)은 제1 내측부, 제1 연결 변형부 및 제1 외측부를 구비한다. 제1 연결 변형부는 변형할 수 있으며 제1 내측부와 제1 외측부 사이를 연결한다. 제1 외측부는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제1 내측부는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스프링(12)에는 제1 계합구멍(122)이 형성되고, 베이스(10)의 제1 돌출기둥(106)은 제1 계합구멍(122)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된다.
(S15): 렌즈 유닛(14) 및 코일(18)을 제공하며, 코일(18)을 렌즈 유닛(14)에 설치하고, 렌즈 유닛(14)을 베이스(10)에 설치하며, 또한, 하부 스프링(12)의 타단을 렌즈 유닛(14)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코일(18)을 렌즈 유닛(14)에 장착하고, 다음에 렌즈 유닛(14)을 베이스(10)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먼저 렌즈 유닛(14)을 베이스(10)에 설치하고 나서 코일(18)을 렌즈 유닛(14)에 장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 유닛(14)은 캐리어(142) 및 캐리어(142)에 고정된 렌즈(1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어(142)와 렌즈(144)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물론, 캐리어(142)와 렌즈(144)를 개별적으로 구성하고, 조립시에 일체로 조립할 수도 있다. 캐리어(142)와 렌즈(144)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조립시의 조립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142)의 상부에 제3 돌출기둥(146)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18)은 캐리어(14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18)은 2개 이다. 2개의 코일(18)은 각각 렌즈 유닛(14)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렌즈 유닛(14)의 다른 양측에 코일(18)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구동장치의 다른 양측의 외형 크기를 축소할 수 있어 구동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코일(18)은 1개, 3개 또는 3개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S17): 상부 스프링(16)을 제공하며, 상부 스프링(16)을 렌즈 유닛(14)에 설치하고, 또한 상부 스프링(16)을 단자(102)와 코일(18)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스프링(16)은 일단이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렌즈 유닛(14)이 베이스(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스프링(16)은 1개의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를 구비한다.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제2 상부 스프링부(164)는 모두 일단이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렌즈 유닛(14)이 베이스(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는 각각 2개의 각기둥(107)의 상면(107A)에 각각 노출되어 있는 2개의 단자(1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스프링(16)은 1개의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를 구비하며,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제2 상부 스프링부(164)는 모두 일단이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렌즈 유닛(14)이 베이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스프링(16)은 제2 내측부, 제2 연결 변형부 및 제2 외측부를 포함한다. 제2 연결 변형부는 변형가능하며, 제2 내측부와 제2 외측부 사이를 연결한다. 제2 외측부는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2 내측부는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부 스프링(16)의 제2 외측부에 제2 계합구멍(166)이 형성되고, 제2 내측부에 제3 계합구멍(168)이 형성되며, 베이스(10)의 각기둥(107)의 상면(107A)에 형성된 제2 돌출기둥(108)은 제2 계합구멍(166)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고, 캐리어(142)의 제3 돌출기둥(146)은 제3 계합구멍(168)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된다.
공정S17에 있어서, 상부 스프링(16)을 각각 단자(102) 및 코일(18)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의 제2 외측부를 각각 2개의 단자(10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구체적으로는 일체로 용접할 수 있고, 2개의 코일(18)의 일단을 각각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의 제2 내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2개의 코일(18)의 타단을 각각 제1 상부 스프링부(162)의 제2 내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코일(18)이 직렬연결된다. 전류가 한 단자(102)로부터 유입하여 한 제2 상부 스프링부(164), 한 코일(18), 제1 상부 스프링부(162), 다른 코일(18), 다른 제2 상부 스프링부(164)를 순서대로 흘러 최종으로 다른 단자(102)로부터 유출한다. 여기에서, 코일(18)이 1개일 경우, 대응하여 상부 스프링(16)을 2개 부분으로 나누면 되고, 상부 스프링(16)의 2개 부분을 각각 코일(18)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회로의 연결을 조정하는 것으로 코일(18)을 3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S19): 자석(20) 및 하우징(22)을 제공하며, 자석(20)을 하우징(22) 내에 설치하고, 하우징(22)을 렌즈 유닛(14) 위로부터 덮도록 설치하여 상부 스프링(16)을 렌즈 유닛(14)과 하우징(22) 사이에 위치하게 하며, 동시에 자석(20)과 코일(18)을 대응배치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2)은 베이스(10) 위에 덮도록 설치되며, 하부 스프링(12), 렌즈 유닛(14), 상부 스프링(16), 코일(18) 및 자석(20)을 모두 하우징(22) 내에 수용한다. 하우징(22)은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단자(102)는 렌즈 유닛(14)과 하우징(22)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스프링(16)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장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단자(102)를 코일(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부 스프링(16)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부 스프링(16)을 경유하여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며, 단자(102)와 상부 스프링(16)의 연결 작업을 렌즈 유닛(14)의 상부에서 할 수 있어 조작 스페이스가 넓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유닛(14)의 상부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하부 스프링(12), 렌즈 유닛(14) 및 하우징(22)을 베이스(10)의 윗쪽에 순서대로 설치할 수 있고, 모든 부재를 뒤집을 필요 없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더 편리해지고, 조립공정을 보다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유닛(14)의 상부에서 작업을 하므로 상부 스프링(16)과 단자(102)를 일체로 용접할 때 보호막을 늘려 용접시의 렌즈 유닛(14)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각 레이어 및 영역의 사이즈 및 상대 사이즈를 실제보다 크게 그렸지만, 이것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에 있어서, 레이어, 영역 또는 기판 등의 부재가 다른 부재에 "형성된다", "설치된다" 또는 "위치된다"라고 하는 설명은, 해당하는 부재가 다른 부재에 직접 설치될 것인가, 중간부재에 의한 것을 포함한다. 한편, 기타의 부재에 "직접 형성된다" 또는 "직접 설치된다"라고 설명한 경우에는 중간부재를 이용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규정, 한정이 없는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이라고 하는 설명은,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하면 되고, 예를 들면, 고정적 연결일 수도 있고, 분리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일체적 연결일 수도 있고,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고, 직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중간매체에 의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고, 두 부재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발명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용어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위", "아래", "앞", "뒤", "왼쪽", "오른쪽", "상부", "저부", "내", "외", "수직", "수평" 등 용어가 나타내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근거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로서 본 발명의 기술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설명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표현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속성을 가진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어, 이렇게 기술된 요소가 특정한 순서나, 시간, 스페이스, 레벨, 또는 기타 제한에 따를 필요가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설명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복수", "몇 개"라고 하는 표현은 2개 또는 2개이상을 지칭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 중 각 기술특징은 임의로 조합가능하며,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해, 본문에서는 상기 실시예 중 각 기술특징이 가능한 모든 조합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들 기술특징의 조합에 특히 모순이 없는 한, 모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로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비한다", "포함한다" 또는 그들이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예를 들면, 열거한 부재 외, 다른 설명하지 않은 부재도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이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공개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쉽게 변경 또는 대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1)

  1. 베이스(10)와, 하부 스프링(12)과, 렌즈 유닛(14)과, 상부 스프링(16)과, 코일(18) 및 자석(20)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는 단자(102)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12)은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렌즈 유닛(14)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렌즈 유닛(14)은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16)은 상기 렌즈 유닛(14)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18)은 상기 렌즈 유닛(14)에 설치되고,
    상기 자석(20)은 상기 코일(18)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단자(102)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부로부터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스프링(16)을 향해 상기 상부 스프링(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부 스프링(16)은 상기 코일(18)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14)은 캐리어(142)와, 상기 캐리어(142)에 고정되는 렌즈(144)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142)와 상기 렌즈(14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8)은 2개이며, 각각 상기 렌즈 유닛(14)의 서로 마주 보는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20)은 2개이며, 상기 베이스(10) 위를 덮도록 설치된 하우징(22)의 대향하는 두 내표면에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코일(18)에 각각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16)은 1개의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2개의 제2 상부 스프링부(16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 스프링부(162)와 상기 제2 상부 스프링부(164)는 모두 일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 유닛(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제2 상부 스프링부(164)는 2개의 상기 단자(1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코일(18)은 일단이 2개의 상기 제2 상부 스프링부(16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 상부 스프링부(16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기저부(10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102)는 상기 베이스(10) 내에 끼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0)에는 제1 돌출기둥(106) 및 제2 돌출기둥(108)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 스프링(12)에는 제1 계합구멍(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기둥(106)은 상기 제1 계합구멍(122)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캐리어 (142)에는 제3 돌출기둥(146)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16)은 제2 내측부, 제2 연결 변형부 및 제2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변형부는 상기 제2 내측부와 상기 제2 외측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외측부에는 제2 계합구멍(16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부에는 제3 계합구멍(168)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기둥(108)은 상기 제2 계합구멍(166)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3 돌출기둥(146)은 상기 제3 계합구멍(168) 내에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하우징(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베이스(10) 위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스프링(12), 상기 렌즈 유닛(14), 상기 상부 스프링(16), 상기 코일(18) 및 상기 자석(20)은 모두 상기 하우징(22) 내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102)는 상기 렌즈 유닛(14)과 상기 하우징(2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스프링(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8. 2개의 단자(102)를 포함한 베이스(10)와, 렌즈 유닛(14)과, 상기 렌즈 유닛(14)을 위쪽에서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16)과, 상기 렌즈 유닛(14)에 설치되는 코일(18)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는 그 모서리에 세워 설치한 적어도 2개의 각기둥(107)이 있고, 상기 2개의 단자(102)는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부에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각기둥(107)의 상면(107A)에서 노출되며,
    상기 상부 스프링(16)은 내측부와,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변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상부 스프링부(164)로 분할되며,
    각 상기 상부 스프링부(164)의 상기 외측부는 상기 상면(107A)에서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단자(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상기 내측부는 상기 렌즈 유닛(14)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코일(18)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 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단자(102)를 구비한 베이스(10)를 제공하며,
    하부 스프링(12)을 제공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12)을 상기 베이스(10)에 설치하며, 상기 하부 스프링(12)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10)에 고정하고,
    렌즈 유닛(14) 및 코일(18)을 제공하며, 상기 코일(18)을 상기 렌즈 유닛(14)에 설치하고, 상기 렌즈 유닛(14)을 상기 베이스(10)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하부 스프링(12)의 타단을 상기 렌즈 유닛(14)에 연결하고,
    상부 스프링(16)을 제공하며, 상기 상부 스프링(16)을 상기 렌즈 유닛(14)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상부 스프링(16)을 상기 단자(102)와 상기 코일(18)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자석(20) 및 하우징(22)을 제공하고, 상기 자석(20)을 상기 하우징(22) 내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22)을 상기 렌즈 유닛(14) 위를 덮도록 설치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16)이 상기 렌즈 유닛(14)과 상기 하우징(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자석(20)과 상기 코일(18)을 대응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00033050A 2019-03-19 2020-03-18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 KR102315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07782.9A CN111722454A (zh) 2019-03-19 2019-03-19 驱动装置、相机模组、电子设备及驱动装置组装方法
CN201910207782.9 2019-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707A true KR20200112707A (ko) 2020-10-05
KR102315332B1 KR102315332B1 (ko) 2021-10-20

Family

ID=7251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50A KR102315332B1 (ko) 2019-03-19 2020-03-18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04326B2 (ko)
JP (1) JP6919009B2 (ko)
KR (1) KR102315332B1 (ko)
CN (1) CN1117224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0214A (zh) * 2022-09-01 2022-1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组件、摄像头和电子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5456A (zh) 2007-05-31 2008-12-03 三美电机株式会社 相机组件
KR20150142196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5996672B2 (ja) * 2012-12-26 2016-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20170120392A (ko) * 2016-04-21 2017-10-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08848A (ko) * 2018-01-15 2018-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128676A (ko) * 2017-05-24 2018-12-04 (주)탑중앙연구소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6346B2 (ja) *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WO2011062123A1 (ja) * 2009-11-18 2011-05-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620672B2 (ja) * 2009-12-01 2014-1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2177755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JP2013228610A (ja) * 2012-04-26 2013-11-07 Panasonic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TWI468769B (zh) * 2013-12-11 2015-01-11 Tdk Taiwan Corp 3d立體電路導腳結合簧片之結構
CN108351487B (zh) * 2015-11-03 2021-08-17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5456A (zh) 2007-05-31 2008-12-03 三美电机株式会社 相机组件
JP5996672B2 (ja) * 2012-12-26 2016-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20150142196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70120392A (ko) * 2016-04-21 2017-10-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128676A (ko) * 2017-05-24 2018-12-04 (주)탑중앙연구소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
KR20180008848A (ko) * 2018-01-15 2018-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9009B2 (ja) 2021-08-11
CN111722454A (zh) 2020-09-29
US20200301095A1 (en) 2020-09-24
KR102315332B1 (ko) 2021-10-20
US11604326B2 (en) 2023-03-14
JP2020154306A (ja)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3026B1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1913269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移动设备
US8861946B2 (en) Device for driving camera lens module in portable terminal
CN113885163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移动电话
US9057812B2 (en)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pable of easily mounting upper elastic member to outer yoke
CN108027493B (zh)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CN110663000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20160068133A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US20140256379A1 (en) Lens holding device
JP2008197312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16122136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9341809B2 (en) Lens focusing device
JP2008197311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8627947B (zh) 透镜驱动装置
JP2008058964A (ja) カメラ用自動焦点調節構造
JP2012255972A (ja)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KR20140011850A (ko) 카메라 모듈
TWI499820B (zh) Lens focusing device
KR20200112707A (ko)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124525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130397A (zh) 镜头模组以及电子设备
KR102483453B1 (ko)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기기 및 구동장치의 조립방법
CN214427667U (zh) 音圈马达、摄像头及电子设备
KR2016001791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