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475A -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475A
KR20200112475A KR1020190033020A KR20190033020A KR20200112475A KR 20200112475 A KR20200112475 A KR 20200112475A KR 1020190033020 A KR1020190033020 A KR 1020190033020A KR 20190033020 A KR20190033020 A KR 20190033020A KR 20200112475 A KR20200112475 A KR 20200112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pulley
connecting member
bracket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152B1 (ko
Inventor
홍진하
김영일
이제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3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1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본 발명은 가선 작업용 활차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의 연선작업 및 긴선작업 시 사용되는 활차들에 결합되어 인접한 활차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공장과 정과 주택과 같은 전력 수요처에 공급되기 위해서는 송전탑과 송전선로의 설치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송전선로 주변 개발 및 토지 이용률 증가에 따른 지가 상승으로 인해 송전탑 건설에 필요한 용지 확보가 어려운 실정으로, 송전탑과 송전선로의 신설 업무와 이설 업무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송전탑과 송전선로를 이설하지 않더라도, 345kV 송주법 사업비와 같은 비용증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전탑을 철거한 후에 동일 위치에 송전탑을 재설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송전선이 원활하게 전력 이송을 하기 위해서는 송전선의 주기적인 교체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전력선의 가선공사를 수행할 때 전력선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연선공사 및 긴선공사를 할 수 있게 제작된 전력선 가이드 장비인 가선 작업용 활차가 있다. 가선 작업용 활차는 전선을 안내하도록 회전하는 휠을 구비하는 장비로 송전선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력선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의 긴선공사와 연선공사와 같은 가선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각각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2 중간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은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과 대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상기 제1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브라켓, 상기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브라켓,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하부브라켓; 및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 및 상기 플랫부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플랫부와 평행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상기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상부연결부 및 상기 상부연결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이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가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및 상기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탑의 가선공사를 수행할 때, 송전탑에 설치되는 활차모듈들 사이에 설치된 활차간격 이격장치에 의해 활차모듈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활차간격 유지장치에 의해 송전탑의 암에 설치된 활차모듈들 간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활차모듈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활차모듈들의 하중이 송전탑의 암의 일 부분에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송전탑의 암의 파손 또는 변형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선 작업용 활차들의 간격 유지장치가 송전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부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 상부프레임과 제2 상부프레임이 제1 상부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하부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 하부프레임과 제2 하부프레임이 제1 하부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에 의해 상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에 의해 하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선 작업용 활차들의 간격 유지장치(100)가 송전탑(5)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활차모듈(1A)과 제2 활차모듈(1B)이 송전탑(5)의 암(6)에 설치되며,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100, 이하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력선(EW)을 송전탑(5)에 늘어뜨리는 연선 작업 및 연선된 전력선(EW)을 적정 이도로 송전탑(5)에 설치하는 긴선 작업과 같은 가선 작업이 수행될 때,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각각은 테두리에 전력선(EW)을 수용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활차를 포함하여 전력선(EW)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활차간격 유지장치(100)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가선 작업 시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에 의해 전력선(EW)의 하중에 의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이 암(6)의 특정 부위에 모여 암(6)이 파손되거나 암(6)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은 수평방향(D1)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100, 이하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을 유지한다.
제1 활차모듈(1A)은 제1 활차(2A)와 제1 지지프레임(3A)을 포함한다. 제1 활차(2A)의 외주부에는 전력선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지지프레임(3A)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1 활차(2A)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3A)은 송전탑(도 1의 5)의 암(도 1의 6)에 절연애자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활차모듈(1B)은 제2 활차(2B)와 제2 지지프레임(3B)을 포함한다. 제2 활차(2B)의 외주부에는 전력선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지지프레임(3B)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활차(2B)에 결합된다. 제2 지지프레임(3B)은 송전탑(도 1의 5)의 암(도 1의 6)에 애자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활차간격 유지장치(100)는 제1 활차모듈(1A)과 제2 활차모듈(1B)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에 의해 송전탑의 암에 설치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제1 활차모듈(1A)과 제2 활차모듈(1B)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하중이 송전탑의 암(도 1의 6)의 일 부분에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송전탑의 암의 파손 또는 변형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활차간격 유지장치(100)는 상부연결부재(10), 하부연결부재(20), 제1 상부브라켓(35), 제2 상부브라켓(45), 제1 하부브라켓(65), 제2 하부브라켓(75), 제1 중간연결부재(50) 및 제2 중간연결부재(55)을 포함한다.
상부연결부재(10)는 제1 활차모듈(1A)의 상부와 제2 활차모듈(1B)의 상부에 연결된다. 도 2에 도 3a와 도 3b를 더 참조하여 상부연결부재(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연결부재(1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부연결부재(10)를 구성하는 제1 상부프레임(11)과 제2 상부프레임(12)이 제1 상부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부연결부재(10)는 제1 상부프레임(11), 제2 상부프레임(12), 제3 상부프레임(13), 제1 상부연결부(30) 및 제2 상부연결부(4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재(10)의 자체 강성을 확보하고 상부연결부재(10)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술한 상부연결부재(10)의 구성요소들은 듀랄루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프레임(11), 제2 상부프레임(12) 및 제3 상부프레임(13)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1 상부프레임(11)은 제1 상부브라켓(3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3 상부프레임(13)은 제2 상부브라켓(45)을 매개로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1 상부프레임(11)의 일 단부에는 제1 홀(H11)이 형성되며, 제3 상부프레임(13)의 일 단부에는 제2 홀(H1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홀(H11)과 이에 대응되는 제1 지지프레임(3A)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된 너트에 의해 제1 상부프레임(11)이 제1 지지프레임(3A)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홀(H12)과 이에 대응되는 제2 지지프레임(3B)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된 너트에 의해 제3 상부프레임(13)이 제2 지지프레임(3B)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프레임(11)에 제1 홀(H11)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상부프레임(13)에 제2 홀(H12)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 홀(H11)과 다수의 제2 홀(H12)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 1B)의 간격에 따라 다수의 제1홀(H11) 중 볼트에 체결되는 홀의 위치와 다수의 제2홀(H12) 중 볼트에 체결되는 홀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부연결부재(10)에 의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지지되는 수평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상부프레임(12)은 제1 및 제3 상부프레임들(11,1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상부프레임(12)은 제1 상부연결부(30)를 매개로 제1 상부프레임(11)에 연결되고, 제2 상부프레임(12)은 제2 상부연결부(40)를 매개로 제3 상부프레임(13)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연결부(30)는 프레임들의 단부들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져 제1 상부연결부(30)의 내측에 수용부(31)가 정의된다. 또한, 제1 상부연결부(30)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제5홀들(H15)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상부연결부(30)의 수용부(31)의 내부에 제1 상부프레임(11)의 단부와 제2 상부프레임(12)의 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상부연결부(30)의 다수의 제5 홀들(H15)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제1 상부프레임(11)의 타 단부에 형성된 제3 홀(H13)에 볼트가 체결되고, 다수의 제5 홀들(H15) 중 다른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상부프레임(12)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4 홀(H14)에 볼트가 체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들(11,12)은 제1 상부연결부(30)를 매개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연결부(30)의 하부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구비되며, 돌출부(32)는 제1 중간연결부재(50)에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제2 상부연결부(40)를 매개로 제2 및 제3 상부프레임들(12,13)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2 상부프레임들(12,13)이 제2 상부연결부(40)에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들(11,12)이 제1 상부연결부(30)에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하부연결부재(20)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연결된다. 도 2에 도 4a와 도 4b를 더 참조하여 하부연결부재(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연결부재(2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하부연결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하부프레임(21)과 제2 하부프레임(22)이 제1 하부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하부연결부재(20)는 상부연결부재(10)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하부연결부재(20)는 제1 하부프레임(21), 제2 하부프레임(22), 제3 하부프레임(23), 제1 하부연결부(60) 및 제2 하부연결부(7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프레임(21), 제2 하부프레임(22) 및 제3 하부프레임(23)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1 하부프레임(21)은 제1 하부브라켓(6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3 하부프레임(23)은 제2 하부브라켓(75)을 매개로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결합된다.
앞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부연결부재(도 3a의 100)와 마찬가지로, 제1 하부프레임(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홀과 제3 하부프레임(23)의 일 단부에 형성된 홀에 체결되는 볼트들에 의해 제1 및 제3 하부프레임들(21,23)이 제1 지지프레임(3A)과 제2 지지프레임(3B)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2 하부프레임(22)은 제1 및 제3 하부프레임들(21,2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 하부프레임(22)은 제1 하부연결부(60)를 매개로 제1 하부프레임(21)에 연결되고, 제2 하부프레임(22)은 제2 하부연결부(70)를 매개로 제3 하부프레임(23)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연결부(60)는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져 제1 하부연결부(60)의 내측에 수용부(61)가 정의된다. 따라서, 제1 하부연결부(60)의 수용부(61)의 내부에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의 단부들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에 형성된 홀들의 각각과 제1 하부연결부(60)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체결되는 너트들에 의해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은 제1 하부연결부(60)를 매개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하부연결부(60)를 매개로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이 상호 간에 연결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제2 하부연결부(70)를 매개로 제2 및 제3 하부프레임들(22,23)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부브라켓(35)은 상부연결부재(10)의 일 단부를 제1 지지프레임(3A)의 상부에 연결시키며, 제2 상부브라켓(45)은 상부연결부재(10)의 타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연결시킨다. 또한, 제1 하부브라켓(65)은 하부연결부재(20)의 일 단부를 제1 지지프레임(3A)의 하부에 연결시키며, 제2 하부브라켓(75)은 하부연결부재(20)의 타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연결시킨다.
이하, 도 2에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제2 상부브라켓(45)과 제2 하부브라켓(75)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 상부브라켓(35)과 제1 하부브라켓(65)의 구조는 제2 상부브라켓(45)과 제2 하부브라켓(75)의 구조에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45)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75)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상부브라켓(45)은 제1 체결판(46)과 제2 체결판(47)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판(46)은 플랫부(46A)와 벤딩부(46B)를 포함하고, 플랫부(46A)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랫한 형상을 갖고, 플랫부(46A)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또한, 벤딩부(46B)는 플랫부(46A)로부터 ‘ㄷ’자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벤딩부(46B)가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 체결판(46)의 내측에 안착홈(46H)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체결판(47)은 수평한 방향으로 플랫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판(47)은 제1 체결판(46)에 중첩될 수 있도록 제1 체결판(46)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제2 체결판(47)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2 상부브라켓(45)의 구조에 따르면,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가 안착홈(4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46)에 결합시킨다. 그 이후에, 상부연결부재(10)의 일 단부와 제2 지지프레임(3B)를 제1 및 제2 체결판들(46,47)의 사이에 배치시킨 이후에, 제2 상부브라켓(45)의 제1 및 제2 체결판들(46,47)과 상부연결부재(10)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볼트들을 체결한다. 상기 다수의 볼트들에 너트들을 체결하여 제2 상부브라켓(45)을 매개로 상부연결부재(10)가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하부브라켓(75)은 제1 체결판(76) 및 제2 체결판(77)을 포함한다.
제1 체결판(76)은 플랫부(76A), 벤딩부(76B) 및 돌출부(76C)를 포함한다. 벤딩부(76B)는 ‘ㄷ’자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플랫부(76A)는 벤딩부(76B)의 양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76C)는 플랫부(76A)의 일 측으로부터 플랫부(76A)와 평행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벤딩부(76B)가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벤딩부(76B)에 안착홈(76H)이 정의될 수 있으며, 안착홈(76H)의 내부에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2 하부브라켓(75)의 구조에 따르면,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가 안착홈(7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76)에 결합시킨다. 그 이후에, 하부연결부재(20)의 일 단부와 제2 지지프레임(3B)를 제1 및 제2 체결판들(76,77)의 사이에 배치시킨 이후에, 제2 하부브라켓(75)의 제1 및 제2 체결판들(76,77)과 하부연결부재(20)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볼트들을 체결한다. 따라서, 제2 하부브라켓(75)을 매개로 하부연결부재(20)가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중간연결부재(50)와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각각은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중간연결부재들(50,55)에 의해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가 제1 및 제2 활차모듈(1A,1B)에 결합되는 강도가 보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는 서로 이격되고,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의 각각은 수평방향(D1)과 연직방향(D2)의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중간연결부재(50)와 제2 중간연결부재(55)는 서로 대칭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제1 및 제2 중간연결부재들(50,55)이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에 연결된 세부적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중간연결부재들(50,55)의 각각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에 도 7a와 도 7b를 더 참조하여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제1 중간연결부재(50)의 구조는 후술될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55)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 7a 및 도 7b를 더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중간연결부재(55)는 프레임(56) 및 프레임(56)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59)을 포함한다.
프레임(56)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51)의 일 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체결판(57)과 제2 체결판(58)으로 구성되는 브라켓(59)이 결합되고, 브라켓(59)을 매개로 프레임(51)의 일 단부는 제2 상부연결부(40)를 매개로 상부연결부재(1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51)의 일 단부에 결합된 브라켓(59)은 제2 상부연결부(40)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도 3b의 32)에 결합된다.
프레임(51)의 타 단부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하부브라켓(75)의 돌출부(도 6의 76C)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중간연결부재(55)는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에 연결됨에 따라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 간의 결합강도가 보완될 수 있으며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 간의 연직방향으로의 이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8a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에 의해 상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5 및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체결판(46) 및 제2 체결판(47)으로 구성된 제2 상부브라켓(45)을 준비하고, 상부연결부재(10)를 준비한다. 그 이후에,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가 안착홈(4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46)이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밀착된다.
그 이후에, 상부연결부재(10)의 일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에 밀착된 제1 체결판(46)에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제2 지지프레임(3B)을 사이에 두고 제2 체결판(47)이 제1 체결판(46)에 마주하도록 제2 체결판(47)을 배치한다. 그 이후에, 제1 체결판(46), 제2 체결판(47) 및 상부연결부재(10)의 각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너트를 죄여 상부연결부재(10)가 제2 상부브라켓(45)을 매개로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b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에 의해 하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6 및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체결판(76) 및 제2 체결판(77)으로 구성된 제2 하부브라켓(75)을 준비하고, 하부연결부재(20)를 준비한다. 그 이후에,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가 안착홈(7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76)이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밀착된다.
그 이후에, 하부연결부재(20)의 일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에 밀착된 제1 체결판(76)에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제2 지지프레임(3B)을 사이에 두고 제2 체결판(77)이 제1 체결판(76)에 마주하도록 제2 체결판(77)을 배치한다. 그 이후에, 제1 체결판(76), 제2 체결판(77) 및 하부연결부재(20)의 각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너트를 죄여 하부연결부재(20)가 제2 하부브라켓(75)을 매개로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상부연결부재(10)의 타 단부는 제1 상부브라켓(3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하부연결부재(20)의 타 단부는 제1 하부브라켓(6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활차모듈(1A)의 상부와 제2 활차모듈(1B)의 상부는 상부연결부재(10)에 의해 연결되고, 제1 활차모듈(1A)의 하부와 제2 활차모듈(1B)의 하부는 하부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이격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그 이후에,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중간연결부재(55)를 이용하여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의 사선방향으로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를 연결하고, 제1 중간연결부재(50)를 이용하여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사선방향에 대해 대칭인 사선방향으로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를 연결하여,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상부연결부재 20: 하부연결부재
50: 제1 중간연결부재 55: 제2 중간연결부재
1A: 제1 활차모듈 1B: 제2 활차모듈
3A: 제1 지지프레임 3B: 제2 지지프레임
35: 제1 상부브라켓 45: 제2 상부브라켓
65: 제1 하부브라켓 75: 제2 하부브라켓
30: 제1 상부연결부 40: 제2 상부연결부
60: 제1 하부연결부 70: 제2 하부연결부

Claims (11)

  1.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각각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2 중간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은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과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브라켓;
    상기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브라켓;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하부브라켓; 및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 및
    상기 플랫부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플랫부와 평행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상기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상부연결부; 및
    상기 상부연결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가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및
    상기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KR1020190033020A 2019-03-22 2019-03-22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KR10223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0A KR102231152B1 (ko) 2019-03-22 2019-03-22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0A KR102231152B1 (ko) 2019-03-22 2019-03-22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75A true KR20200112475A (ko) 2020-10-05
KR102231152B1 KR102231152B1 (ko) 2021-03-24

Family

ID=7280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20A KR102231152B1 (ko) 2019-03-22 2019-03-22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017A (ja) * 1991-11-21 1993-06-11 Toshiba F Ee Syst Eng Kk 高架線走行装置
JPH08223725A (ja) * 1995-02-07 1996-08-30 Yasuda Seisakusho Co Ltd プロテクタ省略式延線用の金車
JPH0984232A (ja) * 1995-09-13 1997-03-28 Yasuda Seisakusho Co Ltd プロテクタ省略式延線用の金車
KR20110064512A (ko) 2009-12-08 2011-06-15 이병준 가공송전선로용 활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017A (ja) * 1991-11-21 1993-06-11 Toshiba F Ee Syst Eng Kk 高架線走行装置
JPH08223725A (ja) * 1995-02-07 1996-08-30 Yasuda Seisakusho Co Ltd プロテクタ省略式延線用の金車
JPH0984232A (ja) * 1995-09-13 1997-03-28 Yasuda Seisakusho Co Ltd プロテクタ省略式延線用の金車
KR20110064512A (ko) 2009-12-08 2011-06-15 이병준 가공송전선로용 활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152B1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085B1 (ko)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브라켓 연결금구
WO2012142036A1 (en) Electrical equipment mounting frame
CN114785245A (zh) 光伏柔性支架和光伏系统
KR102348457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2231152B1 (ko)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CN101440834B (zh) 一种用于电力线路在线装置安装的u型螺栓组件
KR101631629B1 (ko) 태양광패널조립체 설치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패널조립체 시공방법
CN205038395U (zh) 光缆夹具以及疏散平台
CN105113720A (zh) 一种适用于彩钢瓦屋面的夹具及电缆桥架的固定架
KR20180134666A (ko) 다도체 긴선작업 최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도체 전선 공중이설 방법
KR102397071B1 (ko)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장치
CN209897207U (zh) 网络配线架
JP2015037115A (ja) ケーブル懸架型空中太陽光発電装置
KR101631645B1 (ko) 태양광패널조립체 및 그 고정방법
JP6003421B2 (ja) 地線懸垂装置
KR20190046469A (ko) 내진가대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JP2012060711A (ja) 吊架式ジャンパ装置
JP7219443B2 (ja) ケーブル支持具
KR100828565B1 (ko) 점퍼선 고정이 가능한 가공 배전의 경완금 고정구조
KR20140033942A (ko) 3도체 1련 현수애자 장치용 요크
JP6499331B1 (ja) 電柱元穴建替用架線仮移設工具
JP3973931B2 (ja) ジャンパ装置
KR20230111024A (ko) 수직형 케이블헤드 지지금구 장치
KR20040079646A (ko) 피뢰 설비 고정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