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82A -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 Google Patents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82A
KR20200112382A KR1020190032748A KR20190032748A KR20200112382A KR 20200112382 A KR20200112382 A KR 20200112382A KR 1020190032748 A KR1020190032748 A KR 1020190032748A KR 20190032748 A KR20190032748 A KR 20190032748A KR 20200112382 A KR20200112382 A KR 20200112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ading
clamp
angl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수
Original Assignee
최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수 filed Critical 최준수
Priority to KR102019003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382A/ko
Publication of KR2020011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1/2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non-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핸드지게리프트대차로 기존의 핸드스태커 리프트에 스태커를 없애고 각도 기울기를 적용하여 지면으로 부터 물건을 밀어 쓸어 담고 적재 클램프를 하고 제품을 뒤로 젖혀서 로딩하고 대각으로 리프트 하는 핸드각도리프트대차이다
전동지게차의 핸드형이다

Description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hand angle lift truck}
본 발명은 핸드 트럭과 리프트가 결합된 종류에 리프트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것에 관한것으로 물건을 담는 적재부를 프레임 조절 고정하여 전경각 기울기를 이용 할수 있게 됨으로써 지면 0mm 에서부터 물건을 쓸어 담을수 있도록 했으며
후경각 기울기를 조절 고정하는것으로 바퀴를 일정부분 상승 조절 고정하여 무게 기울기에 대한 중심점을 넓히고 대각으로 상승 하강 리프트 하는 형태로 스태커 없이도 안전하게 스탠딩이 되어 리프트를 조작을 할 수 있는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에 관한것이다
평평한 바닥 지면에서 물건을 쓸어 담는 핸드용 리프트가 없어서 불편함을 느끼고 전동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포크 형태를 보고 발명하게 되었다 이동형 핸드 리프트 스탠드형 중에는 스태커가 있는 제품만 있고 기울기를 고정하며 이용하는 전경각 후경각 조절 가능한 제품이 없어서이다
본 발명품은 적재부를 쓰레받이를 사용하는것과 같도록 바닥에서 부터 물건을 쉽게 들어올리도록 하기위해 스태커를 없애고 적재부를 단계 조절 고정함으로써 기울기를 이용 할 수 있게 되었다
핸드각도리프트의 주요 부분들로 랙기어 프레임 레일부, 랙기어 적재클램프부, 적재 클램프 조절부를 바탕으로 적재부에는 물건을 고정하기위해 사용할수 있도록 발명한 랙기어 적재클램프는 물건을 적재후 안정하게 고정유지하며 물건을 쉽게 로딩할수있게 사용 편리성이 있도록 하고자했다
여기서 응용 부착 할수있는 종래의 핸드카트, 수동윈치,자동 윈치 모터형,랙기어+기어 자동 모터형,고정도르래, 움직도르래, 와이어, 와이어클립 ,바퀴와 연결하는무게중심조절이 가능한 연결지지대, 안전망 (어퍼레일부와 로워 레일부가 생기는 곳에 가로바의 프레임 교차성 예방), 좌우 전동 바퀴, 브레이크 디스크 로터, 배터리를 조합하여 결합할수있다
보조용품으로는 라쳇바, 볼 롤러, 뒤 밀림 버팀도구는 사용성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자동차 시트의 레일을 이용한 견본제작품으로 전경각,후경각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2는 측면도로써 전경각 사용법 및 보조도구를 이용하는 설명 도면
도 3는 측면도로써 후경각 사용법 및 보조도구를 이용하는 설명 도면
도 4는 후경각에 대한 무게중심 범위 안에서 기울기, 연결지지대, 바퀴의 크키를 순차적으로 나열함으로써 후경각 구조와 조절각이 필요한 설명 도면
도 5는 적재부 바구니를 응용해서 이용할수 있는 설명 도면
도 6은 본발명에 의한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의 전면도로써 가운데 부터 랙기어 레일이 하나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양옆으로 적재품을 고정하기 위한 적재 클램프가 자리 하고 있으며 그옆으로 적재부 보조 레일이 양쪽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랙기어+윈치형 레일 후면도의 본발명과 종래의 기술을 응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8은 랙 기어+웜 기어+베벨 기어+전동 모터의 레일 후면도 기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랙기어 레일구조로 록킹스프링과 록킹 록킹해제 조절레버클램프 도면
도 10은 적재 클램프부로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적재 클램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윈치 레버의 손잡이를 브레이크가 가능하도록 스프링을 이용해 작동시에만 손잡이를 당겨서 돌리고 손잡이를 놓게되면 고정이 되도록 설명 도면
도 13은 보조도구류로 물건 적재시 함께 사용하기위한 물품으로 설명 도면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전경각 움직임과[도 2] 동일한 스태커가 없이 하단 적재판 프레임을 영점 고정을 할 수 있는 전경각(앞 기울기) 셋팅[도1](20) 고정방법과 핸드카트와 리프트 상하 기능으로 옛 농업 지게의 받침 막대 처럼 지게가 쓰러지지 않게 바퀴연결지지대의 후경각(뒤기울기)셋팅 [도4][도7][도8](93) 맞춰 유동적으로 움직일수있는 구간이 있어서 무게중심이 양쪽으로 분산되어 대각방향에서 리프트를 하며 안정감 있게 무게 중심을 유지하며 스탠딩이 된다[도4]
본 발명은 [도9]레일의 한종류로써 양면 레일 랙기어로(14)(15) 수직 기둥에 슬라이딩 클램프로(20) 사용하고자 했다 수직방향의 중력으로 떨어지려는 형체가 락(rock)되면 그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해 락해제를 함으로써 슬라이딩을 할수있는 구조로 슬라이드 랙(rack) 기어를 서로 같은방향으로 맞대어 한쪽방향씩 같은 면으로 포개어 고정 클램프가 되게하고 반대방향에도 서로 양면이 고정 되게했다 이상태에서 테투리 형태의 프레임을두고(16) 그사이에 탄성부를(17) 둠으로써 서로 압착을 유지하므로 고정 클램프가 되었다 이상태에서 진행하고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가(18)(19)있고 레버로 조작하는 토글클램프를(20) 이용하여 레버 락잠금 락해제한다 락해제 이후 의도하는 방향으로 힘을주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본발명은 레일의 한종류로써 모터가 있는 자동 형태에 유리한 레일구조이다[도 8]랙기어와 웜기어,베벨 기어, 모터류를 활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레일이다 모터가 리프트 중단 위치에 고정된다(6) 랙기어가 움직이는 형태이며 랙기어에 적재부가 연결 부착 되는 형태이다 랙기어 연결부를 웜기어로 직선의 방향을 브레이킹과 같이 원심력이 가해지면 작동을 하며 웜기어의 안쪽 중심으로 스크류가 있고 스크류가 이어진 부분에 베벨기어가 있어 이어진 베벨기어는 안쪽 중심에 모터의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하여 랙기어의 상하 움직임을 원움직임으로 기어의 힘의 방향이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
본발명은 랙기어 레일에 직각토글클램프를 전면 어퍼 부분 상단에 부착함으로써 적재함클램프가 된다 적재함클램프는 전구간 이동된다 적재함클램프는 조절부가 추가로있으며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본발명은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 도구로 작업자가 2인일 경우 같이 활용하는 도구이다 기존 스태커리프트의 특성이자 장점이고 단점이라 할수있는 스태커는 지면과 직각으로만 고정 되어 서서 있기에 제품 자체에 중량을 높혀 넘어지지 않게 무겁게 제작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도 안정성이 있지만 바닥에서 일정높이인 스태커 높이만큼 항상 일정의 단이 존재하는 부분이 있어서 물건바닥에 팰릿 받침대가 있어야 물건을 빼거나 넣을수 있었다 받침대가 있어도 스태커가 걸리는 넓이를 고려해야 했었다 그런 부분은 사람이 바닥에 있는 물건을 일일히 들기 어려워 접근성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리프트를 상승하강할때 프레임 브레이크인 전경각 레버 푸시형 토글 클램프를(20) 해제해야한다 이동전에는 무게중심을 낮게해야 전복하지 않으므로 리프트를 하강한 상태에서 이동해야 한다
[도2] 스태커를 없애므로써 기울기를 줄수있었고 전경각 후경각 가능한 지게의 구조를 적용해서 이를 조절 고정이 가능하도록 적용시키며 바닥 물건을 밀어 쓸어담을수있게 되었고 같이 사용할수있는 랙기어 적재 클램프를 이용하여 바닥에 전혀 빈틈이 없는 물건이 있을땐 물건 상단을 클램프를 한후 앞으로 기울기를 주거나 적재부를 일정 부분 올려서 물건을 상하 클램프후 기울기를 이용해 물건의 아래 공간여백을 만들수있다
[도3] 보조 도구인 라쳇자동바를 이용해 물건 앞 아래 부분과 리프트의 중단부분을 연결고정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보조 도구인 지면 공간에 간단한 받침대를 놓거나 볼 롤러류를 놓아둔후 다시 적재판을 밀어 넣어면 적재방법은 쉽게 해결된다
레일부는 랙기어 레일부와 보조 레일부가 있으며 전구간 이동된다 [도9] 랙기어 레일부는 리프트의 중앙에 1개가(11) 위치하고 있다 구조로 양면으로 2개의 보조 레일부가 있다 볼롤러가 움직일수 있는 레일부는 양쪽으로 배치했으며 랙기어 가운데는 사각파이프를 결합하여 수직 강성을 강화하였다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하는 볼 롤러가 양쪽에 다수 있다
본 발명품은 기울기를 이용해 대각에서 리프트를 하므로 가벼운 소재가 접합하므로 강성을 포함한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해 공장용 및 일상생활 제품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품은 수레용으로 휴대성이 있으며 리프트 기능이 있어 허리 근골격 질환을 예방및 개선할수있는 도구로 작업성 편의와 물건 정리하는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공장,유통,건축,농업등 리프트 이동이 필요한 모든 일상생활의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적재부에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레버를 토글클램프류(20)(스크류,푸시형 등)를 사용해 락 잠금 ,락 해제 함으로써 전경각(앞기울기) 고정이 가능해지므로 쓰레받이 사용처럼 적재판 바깥 끝자락은 최대한 얇게하여 적재판이 있어도 최저높이인 0mm를 구현할수있고 적재판 안쪽은 두께 강도를 높일 수 있어서 적재판의 강성을 더욱 강하게 할수있게 되었다
[도3] 지게차의 형태와 같이 모든바닥지면에 있는 물건을 바퀴연결지지대의 가로바에 발로 앞쪽으로 밀어서 물건을 쓸어 담을 수 있으며 때때로 물건이 적재판 중심에 안맞을땐 발을 이용하거나 막대류를 사용해 가운데 중심안쪽으로 놓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하는 동안 허리를 사용해서 물건을 손으로 직접 들을 필요가 없어지는 형태이다
[도4][도7](93)바퀴 연결위치는 옛 지게의 받침 지지대와 같은 원리로 뒷쪽으로 기울기를 주기위함으로 뒷면 대각으로 상승 하강시에도 대각 중심을 유지하는 높이만큼 후경각 영점 셋팅한다
[도4]상기 제품을 뒤로 젖혀서 기존의 핸드카트의 12인치 작은 바퀴보다 제품 크기에 비례하여 13인치 이상의 바퀴를 적절히 사용해 무게 안정성을 갖출 수 있으며 상기 제품이 무거울때는 수직 클램프로 부족할경우 라쳇바를 이용해 물건과 리프트를 가로 형태로 묶은후 고정하여 뒤로 안정하게 기울기 당김이 가능하다
[도4]상기 제품이 프레임 후면부와 바퀴지지대 대각의 무게 중심의 영점 세팅후엔 정지 상태로 중량 물건을 싣고도 리프트가 상승된 상태이어도 제품으로만 둬도 넘어지지 않을 정도이다 그래도 안정하게 사용하기위해 사용중에는 사용자가 제품의 손잡이를 잡고 무게 중심을 유지해야한다 제품에 손을 놓고자 스탠딩을 안정하게 유지하고자 한다면 클램프한후 바닥에 위치 하거나 제품을 로딩하기전이어야한다
[도7]핸드손잡이와 브레이크류를 장착과 함께 사용하고자하는 바퀴류를 달수있다 이는 경사가 있는곳을 이용하기에도 필요하다
리프트가 상하로 이뤄지기 때문에 어퍼프레임의 가로바와 로워 프레임의 가로바가 있으면 프레임 교차가 일어나므로 안정성이 결여된다 그러므로 가로바금지존이 존재하므로 교차프레임이 생기지 않도록 했고 프레임브레이크를(20) 생각해 프레임 모든곳에 세로바 형태로 목표로 설계 하였으며 윈치를 가운데 부착할경우 가로바가 생기므로 측면으로 이동 부착했으며 측면이어도 가로바 교차가 있는곳은 안전망으로 막아서 견고성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윈치는 보통 오른손을 많이 사용하므로 오른손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다
[도6][도7] 도르래 구조는 직각형 구조를 사용해서 최고높이를 확보했다
도르래(움직도로래1 고정도르래3) 형태로 움직도르래 형태가 사용됨에따라 무게량 부하를 절반 줄이고 회전량이 늘지만 윈치의 회전부하를 낮추었다
도르래는 안쪽 회전부에 베어링 추가한것으로 회전력을 높일수있다
[도2][도3]적재판에는 수직 하강으로 물건을 고정할수있는 슬라이딩 고정과 수직 토글클램프를 별도로 달고 적재 물건을 고정 하거나 이를 이용해 클램프로 고정후 앞쪽 기울기를 줌으로써 물건의 하단 공간을 확보하고 보조도구를 넣을수있다
정지한 상태에서 높이가 있는 물건을 들때는 거치후 상황에 따라 제품을 안정하게 조작 고정후 사용할수있는 아래 종류의 브레이크를 모두 설정할수있다
(1)윈치 기어 브레이크 (하나로만 브레이크 가능)(56)
(2)윈치 손잡이 브레이크로 손잡이에 탄성부를 넣어 고정 홀에 넣어두고 당겨서 돌릴때만 윈치손잡이가 돌아가도록 한다 (하나만으로 가능)(54)
(3)프레임 브레이크 (보조연계성) 전경각조절(20)
(4)바퀴연결지지대(보조연계성) 후경각조절(93)
상기 제품의 범용성으로 랙기어 레일로 표현 했으나 레일의 형태를 갖고 있으면 적용할수 있다 싱글,더블 및 스크류 ,시트 레일 등으로 가능하다
상기 제품은 범용성으로 리프트 기능을 랙기어 기반으로 모터와 윈치로 표현했으나 체인형 작키형 기능별 레일의 구조를 두고 크기별 제작할수있다
상기 제품은 범용성으로 핸드카트 적재부는 철판형으로 표현했으나 종류별 (포크형 장바구니형 상자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프레임에 사용되는 스크류,푸시형 토글 클램프로 표현했으나 사용자 기호에 맞는 다른 클램프류를 사용가능하다 상황에 맞게 클램프류를 추가하여 제작할수있다
상기 제품의 바퀴는 수레용 13인치 에어바퀴를 사용했으나 사용성에 따라 다양한 바퀴류를 달거나 리프트 형태와 맞는 기존의 모터형 바퀴를 적용하고 응용으로 듀얼 모터 바퀴를 적용했을땐 사용성 편리성이 좋아진다
상기 제품은 바퀴의 브레이크가 필요시 자전거 V 브레이크나 전동퀵보드에서 사용하는 디스크로터를 응용하여 부착할수있다
상기 제품은 손잡이를 사용자 기호에 따라 맞는 형태로 제작 부착할수있다
이로써 산업 전반에 걸쳐 도움이 될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스태커의 단의 차이를 극복하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허리 부상을 예방하거나 일의 업무 피로도가 줄어드는 제품이다
1 테두리부
2 테두리 프레임 상단부 형상
3 적재부와 프레임부 연결 부착 부분
4 안전망
5 배터리 위치
6 전동 모터형 랙기어 위치와 구조
-----
11 랙기어 프레임 레일부
12 로워 레일
13 어퍼 볼 롤러
14 로워 랙기어
15 어퍼 랙기어
16 랙기어 가이드부
17 어퍼 랙기어 탄성부
18 어퍼 랙기어 연결부 (전면)
19 어퍼 랙기어 연결부 (후면)
20 전경각 레버 푸시형 토글 클램프
-----
21 적재 클램프부
22 적재 클램프부 어퍼 레일
23 적재 클램프부 로워 레일
24 적재 클램프부 볼롤러
25 적재 클램프부 스크류 토글 클램프
26 적재 클램프부 로워 레일 상단 연결부
27 적재 클램프부 연결부(전면)
28 적재 클램프부 연결부(후면)
-----
31 적재 클램프 조절부
32 적재 클램프 조절부 볼캐스트
33 적재 클램프 조절부 스프링
34 적재 클램프 조절부 관통하는 축 볼트
35 적재 클램프 조절부 와셔
36 적재 클램프 조절부 고정용 볼트
37 적재 클램프 조절부 푸시 레버
38 적재 클램프 조절부 어퍼
39 적재 클램프 조절부 로워
40 적재 클램프부 직각 토글 클램프
-----
41 적재부
42 적재부 보조 레일
43 적재부 보조 롤러
44 적재부 상단 후면 형상
45 적재부 바구니형
46 적재부 바구니형 경첩
47 적재부 바구니형 여닫이 문
48 적재부 바구니형 상판 덮개형
-----
51 윈치부
52 와이어
53 와이어 시작 위치
54 윈치 손잡이 록킹
55 윈치 손잡이 록킹 탄성부
56 윈치 회전 방향 전환 기어
57 전동 윈치
-----
61 도르래부
62 상부 고정 도르래
63 윈치 와이어 가이드 도르래
64 움직 도르래
-----
71 손잡이부
72 브레이크 캘리퍼
73 브레이크 손잡이
74 브레이크 와이어
75 구동 손잡이
76 구동 전선
-----
81 기어 레일부
82 기어 레일 회전 손잡이
83 기어 레일 랙기어
84 기어 레일 웜기어
85 기어 레일 베벨기어
86 기어 레일 모터
-----
91 바퀴부
92 바퀴 연결지지대
93 바퀴 연결 클램프 스크류
94 프로파일 연결지지대
95 전동 바퀴 모터
-----
101 보조도구 볼 캐스터 뭉치
102 보조도구 라쳇 자동바
103 보조도구 보관장소
104 보조도구 밀림 버팀용
105 보조도구 밀림 버팀용 미끄럼방지패드
-----
111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용
112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용 라쳇 자동바 거치대 걸이
113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용 캐스터
114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용 미끄럼방지패드
115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용 지렛 중심 유동부
116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용 밀림버팀용 적재부
117 보조도구 스탠드형 밀림 버팀용 보조도구 손잡이

Claims (11)

  1. [도 1] 전경각을 실현하는 것에 있어서 스태커가 없는 리프트 구조를 가지고 전경각 기울기 조절을 고정할수 있는 형태의 레일의 구조를 가지며 레일의 프레임을 단계별로 조절 고정한것
  2. [도 2] [도 3] 청구항1에 있어서 전경각이 고정되는 핸드 각도 리프트에 사용하는 볼 롤로를 보관 하는 장소가 있거나 적재부 아래 볼 롤러를 두거나 부착하는 형태
  3. [도 1] [도 4] [도 5] 후경각을 실현하는 것에 있어서 스태커가 없는 리프트 구조를 가지고 후경각 기울기 무게 중심점을 바퀴 연결지지대의 정삼각형 구조의 2포인트를 리프트 형체에 닿는 부분에 토글 클램프류를 사용하여 조절 고정하는것으로 일정의 레일 구간 안에서 고정 조절 하여 이뤄지며 연결지지대의 정삼각형 구조의 남은 1포인트에 바퀴를 설치하는것으로 바퀴의 크기 지름에 기준하여 평균적 70%~80% 길이를 바퀴의 정중앙 포인트에 연결 사용하면서 무게 중심점을 넓히고 대각 리프트를 할수 있는 형태
  4. [도 6] 핸드 각도 리프트의 형체의 어퍼프레임부 형상을 설명하는것에 있어서 어퍼 레일부는 전경각을 만들수있는 구조와 연계하여 레일을 가운데 하나를 두고 양쪽으로 보조 레일부를 두어 적재부와 연결되어지고 연결 부분이 상하 슬라이드로 움직이는 형태로 레일부는 로워 프레임 외경 형상을 제외한 범위에 따라서 전구간 이동되는 형태
  5. [도 9] 레일의 한종류인 랙기어 클램프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락, 락해제 가능한 레일 형태로 길이 방향에 따라 다수의 랙기어 모양의 하나의 안쪽면과 상기 같은 모양으로 또 하나의 바깥면이 맞대어 외벽을 두어 고정되는 탄성부의 의하여 바깥면을 밀어 한쪽방향으로 록킹이되고 상기 반대 형상으로 또하나의 랙기어를 두어 반대쪽에서도 록킹이 되는 양면이 클램프가 되는 레일로 양쪽에 있는 바깥쪽의 면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구조형 연결부를 두고 연결부가 지나는 외벽 플레임을 일부 관통하여 안쪽면 바깥쪽면의 연결부를 모아서 레버가 될수있도록 하고 레버에 클램프류를 달아서 레버 조작으로 락잠금 락해제 하는 록킹장치이다 상기 렉기어 클램프를 락해제를 함으로써 양쪽 측면에 C형상 로워 레일에 이동부를 두고 슬라이딩을 할수있는 장치
  6. [도 8] 레일의 한종류인 랙기어+웜기어+베벨기어를 이용하는것에 있어서 랙기어 연결부를 웜기어로 직선의 방향을 이어주는 브레이킹과 같이 원심력이 생기는 방향에 따라 작동을 하는 웜기어의 구조로써 안쪽 중심으로 스크류가 있고 스크류가 이어진 부분에 베벨 기어가 자리하고 있고 같이 이어진 구조의 베벨기어는 안쪽 중심에 모터의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하여 랙기어의 상하 움직임을 원움직임으로 기어의 힘의 방향이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
  7. [도 6] [도 10] 핸드 각도 리프트의 적재클램프부를 설명하는것에 있어서 물건을 고정하기 위한 랙 슬라이딩 클램프의 레일부로 세로바만을 적용하는 형태로 적재함 클램프는 로워 프레임 외경 형상을 제외한 범위에 따라서 전구간 이동되는 형태로 상승 하강 구조에 더해 직각 토글 클램프의 앞쪽 길이를 늘인 형태로 전진 후진 슬라이딩 고정이 가능한 형태
  8. [도 11] 적재클램프 조절부에 있어서 랙기어 레일 구조와 토글 클램프류를 부착하고 또하나의 레일 구조를 가진 형태로 상승 하강 클램프가 되고 클램프의 앞 길이를 늘여 슬라이딩을 조절 고정 할수 있는 구조로 로워 랙기어 레일, 어퍼 랙 기어 레일,볼 롤로,스프링,관통하는 볼트,와셔,가이드 틀 형태에 푸시형 레버 구조를 가지는 장치
  9. [도 6] [도 7]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에 사용되는 도르래 위치와 와이어 경로에 있어서 윈치가 측면으로 위치함에 따라 도르래 직선형 구조로 어퍼프레임부 하단 움직도르래1 로워 프레임부 상단에 고정도르래1 상단 측면에 고정 도르래1 윈치 가이드 도르래1의 형태인 와이어가 지나는 구조
  10. [도 12]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에 사용되는 윈치의 손잡이 형태에 있어서 종래의 윈치의 구조에 더해 손잡이부에 탄성부를 더하면서 만나는 구조물에 브레이크가 될수있도록 하는 장치와 형태
  11. [도 13] 스탠드 밀림 버팀용 도구를 설명하는것에 있어서 물건을 로딩하여 적재하는 방법에 밀림 버팀용으로 도움을 주는 보조 도구로써 지렛 중심 유동부를 이용하고 상단바를 아래로 당김으로써 적재부가 지렛 형태로 움직이며 이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발판이 존재하고 발판 아래는 미끌림 방지용패드가 있으며 종래의 라쳇바 형태를 이용할수있는 물건 로딩에 도움이 되는 보조 거치대 걸이가 있으며 손잡이와 바퀴가 있는 형태
KR1020190032748A 2019-03-22 2019-03-22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KR20200112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48A KR20200112382A (ko) 2019-03-22 2019-03-22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48A KR20200112382A (ko) 2019-03-22 2019-03-22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82A true KR20200112382A (ko) 2020-10-05

Family

ID=7280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48A KR20200112382A (ko) 2019-03-22 2019-03-22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3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9171A (zh) * 2021-07-01 2021-11-16 广东大唐国际雷州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电除尘振打器辅助拆卸设备
CN114313843A (zh) * 2021-12-17 2022-04-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桓台县供电公司 一种自动化生产工件转移装置
CN113649171B (zh) * 2021-07-01 2024-06-04 广东大唐国际雷州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电除尘振打器辅助拆卸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9171A (zh) * 2021-07-01 2021-11-16 广东大唐国际雷州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电除尘振打器辅助拆卸设备
CN113649171B (zh) * 2021-07-01 2024-06-04 广东大唐国际雷州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电除尘振打器辅助拆卸设备
CN114313843A (zh) * 2021-12-17 2022-04-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桓台县供电公司 一种自动化生产工件转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523A (en) Material handling lift
US4258826A (en) Combination stepladder and load lifting apparatus
US8573608B2 (en) Modular clamp assembly with multiple tool attachments
US6309168B1 (en) Lift for a hand truck
US5826893A (en) Machinery mover
US4981412A (en) All terrain, variable fulcrum hand truck
CA2408065C (en) Cart moving system
US6938711B2 (en) Freestanding self-propelled device for moving objects
US5390389A (en) Wheeled load carrier
JP6539433B2 (ja) 手押し運搬台車
EP2192021A2 (en) Transporter
US20150344056A1 (en) Dolly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200112382A (ko) 핸드 각도 리프트 트럭
KR101096305B1 (ko) 본체의 무게중심 조정기능을 갖는 외바퀴형 손수레
EP1450096A2 (en) Multipurpose trestle
US10723607B2 (en) Electric personnel lift device
US3288481A (en) Swivel caster hand truck
US11285861B1 (en) Highly maneuverable steerable riding device for transporting loads
CA2804700C (en) Trolley for transporting loads
US20030209385A1 (en) Ladder-cart
JP3203367U (ja) 縦型重量物の台車
KR100831849B1 (ko) 포크수레
JP3189269U (ja) 柵付き台車
US20040253086A1 (en) Lifting apparatus
GB2553080A (en) Load handl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