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297A -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297A
KR20200112297A KR1020190032564A KR20190032564A KR20200112297A KR 20200112297 A KR20200112297 A KR 20200112297A KR 1020190032564 A KR1020190032564 A KR 1020190032564A KR 20190032564 A KR20190032564 A KR 20190032564A KR 20200112297 A KR20200112297 A KR 20200112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ogastric tube
pharynx
larynx
oral cavit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932B1 (ko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9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M2039/085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xternal enteral feeding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53Stoma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에게 비위관을 삽입할 때 간편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위관이 위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어 내강(cavity)을 구강-인두앞벽-후두와 비강-인두뒷벽-식도입구로 구분하는 가이드부; 및 (B)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어 비위관 삽입시에 비위관 첨단이 구강 또는 후두가 아닌 식도입구로 유도되도록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Supporting Device for Inserting Nasogastric Tube}
본 발명은 환자에게 비위관을 삽입할 때 간편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위관이 위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비위관(nasogastric tube, Levin tube)은 위 내용물의 배액, 위장관 감압, 위 내 세척 및 경장관 영양 공급 등의 목적으로 코-비강-인두-식도(도 1a 참조)를 통과하여 위장에 삽입되는 관이다. 특히, 중환자실에서는 수술 후 위 내용물 배액 및 감압, 의식저하 환자에서 위 내용물이 폐로 흡인되는 것의 예방, 경장관 영양 공급 등의 이유로 코를 통해서 튜브를 환자의 위로 삽입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입을 통해 튜브를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불편한 감각이 더 심하고,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튜브를 씹거나 구부러트리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비위관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자가 의식이 있고 시술자가 지시하는 대로 삼키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면 비위관은 식도를 통해 꼬임 없이 위장까지 순조롭게 삽입될 수 있으나, 환자의 의식이 없거나 저하되어 있어 삼키는 운동을 할 수 없으면 인두 하부로 진입하지 못하고 구강 내에서 꼬여서 삽입 자체가 어렵거나 후두를 통해 폐로 삽입되어 기흉, 긴장성 기흉, 혈흉 등 심각한 후유증을 불러오기도 한다.
이에 따라 의식저하 환자에게 비위관을 삽입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갑상연골을 전방으로 누르거나, 목의 양 옆면에 압력을 가하거나, 머리를 측면으로 회전시키거나 앞으로 굽혀서 비위관이 식도로 진행하도록 돕는 방법이 있으며, 손가락으로 비위관을 인두 뒷벽에 밀착시켜서 식도로 진입하게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그리 효율적이지 않으면서 번거롭고 환자에게 제2의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비위관을 차게 하여 일시적으로 단단하게 만들어서 삽입하는 방법,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 비위관 내부에 다소 강성이 있는 가이드와이어를 내장한 상태로 삽입한 후 가이드와이어를 제거하는 방법 등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효과가 미미하고 부대 장비(내시경)가 필요하거나 정확히 위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9-125345는 경비내시경용 삽입 보조구에 관한 것인데, 코를 통해 내시경관을 삽입할 때 보조하는 기구로서, 단순히 비강까지 삽입을 유도할 뿐 인두와 식도로 유도하는 것과는 무관하다.
한편, PCT/DK2013/050201(A LARYNGEAL MASK)는 기도를 개방하여 환자의 호흡보조를 위한 것('i-gel'이란 명칭으로 상품화됨)으로, 환자의 구강-인두-후두를 통해 폐에 삽입되어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airway'에 관한 것이다(도 1a, 1b 참조).
부드럽고 탄성있는 재질의 i-gel은 환자에 적용 시에 인두에 삽입되어 식도입구를 차단하면서 폐와 연결되는 후두 입구에 대응하여 맞닿는 확장부와, 이 확장부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나팔관 형태의 기구이다. 확장부와 지지부를 관통하는 공기유통관이 형성되어 공기유통(호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비위관'과 같은 목적으로 입을 통하여 위장으로 삽입되는 튜브가 식도입구에 잘 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채널(gastric channel)이 공기유통관과 독립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튜브는 입-구강-인두-식도를 통해 위장에 삽입되는 것이며, i-gel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만 삽입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못한다. 또한 이 경우 i-gel과 비위관이 고리처럼 위상학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에 비위관을 두고 i-gel만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일본 특허공개 2009-125345 PCT/DK2013/050201
본 발명은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도 용이하게 비위관을 정확하고 빠르게 삽입할 수 있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어 내강(cavity)을 구강-인두앞벽-후두와 비강-인두뒷벽-식도입구로 구분하는 가이드부; 및 (B)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어 비위관 삽입시에 비위관 첨단이 구강 또는 후두가 아닌 식도입구로 유도되도록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를 환자의 입을 통해 삽입하면 가이드부에 의해 입~후두(기관)까지의 공간과 코~식도입구까지의 공간이 분리되므로 비위관을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식도로 도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식이 없는 환자라도 환자에게 손상이 없고, 시술자도 정확한 삽입을 위해 trial-and-error를 반복하는 불편함이 없고, 정확한 삽입 여부를 재확인할 필요가 없이 신속하고 정확한 비위관 삽입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인체의 비강, 구강, 인후, 후두 및 식도의 해부학적 위치와 형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1b, 1c는 종래기술인 i-gel의 사진 및 이를 환자에 적용하는 예의 개념도.
도 2a, 2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의 예의 개념적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비위관 첨단이 식도로 진입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 도면부호가 병기되어 있는 경우, 이는 설명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도면부호로 구성요소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정의한다.
- 구강-비강-인두-후두-식도(입구)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을 내강(inner cavity)이라 칭하기로 한다.
- 내강의 얼굴쪽을 '앞, 전'으로, 뒷머리쪽을 '뒤, 후'라 표현한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가이드부(10)와 지지부(20)를 포함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2a, 2b에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의 두 가지 예의 개념적 사시도를 첨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는 인체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가능하다면 돌출된 곳이나 함몰된 곳이 최소화되는 것이 좋은데, 이러한 의미에서 도 2b에서 적색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이 채워지는 구조인 것도 좋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10)는, 구강을 통해 후두개 너머 인두에 삽입되어 내강(cavity)을 대략 수직으로 구획하여 앞뒤 공간 즉, 구강-인두앞벽-후두와 비강-인두뒷벽-식도입구로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 '내강의 구획'은 도입되는 비위관의 첨단이 인두뒷벽쪽에 붙어서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0)의 다양한 구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예에서 보조기구는 입천장(구개) 형태에 대응되도록 부드럽게 만곡된 대략 주걱형상이고 가이드부(10)는 대략 판과 같은 구조이지만, 도 2b의 예에서는 가이드부(10)가 인두뒷벽에 접촉하면서 비위관이 도입되는 유도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0)의 볼록면이 관을 절개한 것과 같이 홈구조로 되어 있다. 도 2b 예에 의한 보조기구에서 청색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삽입시 절곡되면서 인두뒷벽에 맞닿는 모서리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20)는,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가이드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가이드부(10)에 연결된 구성요소이다. 지지부(20)는 상기 가이드부(10)가 똑바로(=회전되지 않고)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면 충분하기 때문에 그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a, 2b에는 각각 대략 판형과 대략 원통형의 지지부(20)가 제시되고 있다. 만일 지지부(20)가 원통형이라면 '똑바로 삽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를 인두에 삽입하면, 가이드부(10)에 의해 비강-인두뒷벽-식도입구 공간이 내강의 다른 공간과 분리되면서 비위관 유도로(guide channel)가 형성된다. 이때 유도로는 내강의 다른 공간과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될 필요는 없고 비위관 첨단이 다른 공간으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로만 분리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시술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를 환자의 입을 통해 밀어 넣은 다음 코를 통해 비위관을 삽입하면 비위관 첨단이 가이드부(10)와 인두뒷벽에 의해 형성된 유도로를 따라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식도입구로 유도되어 궁극적으로 위장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가 똑바로 삽입되었다면 비위관이 위장으로 삽입되는 것이 보장되므로 '비위관 정상 삽입 여부 확인' 절차가 필요 없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와 비위관은 위상학적으로 얽혀 있지 않다. 따라서 비위관 삽입 완료 후 비위관을 두고 보조기구를 제거하면 비위관 삽입 시술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는 인체의 구강과 인두에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강과 인두의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된 구조이거나 만곡될 수 있는 구조이고, 부드럽고 탄성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종래 i-gel의 재질을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구강-인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것이 준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는 비위관의 첨단이 구강으로 들어가는 것과 후두(기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즉, 보조기구는 비위관 첨단이 구강과 후두로 들어가는 것을 막으면 충분하기 때문상기 가이드부(10)는, 인두에 삽입되었을 때 후두를 전부 또는 일부 커버하는 크기와 형상이면 충분하다. 즉, 가이드부(10)가 '후두(입구)를 커버한다'는 것은 가이드부(10)가 ① 후두입구와 접촉하면서 커버하는 것과 이격된 상태로 커버하는 것 및 ② 후두입구 전체를 커버하는 것과 상부 일부를 커버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에서 상기 가이드부(10)의 인후뒷벽을 향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비위관의 진입을 유도하는 유도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도홈(11)의 위쪽 즉, 비강에서 인두로 진입하는 쪽으로 폭이 확장되어 비위관 첨단이 유도홈(11) 쪽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는 후두를 직간접적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호흡을 위한 공기유통이 제한될 수 있다. 공기유통 제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기구는 예를 들면 다음과 두 사례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10)를 후두 입구에 대응하여 맞닿는 구조(=완전 커버하는 구조)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10)와 지지부(20)를 관통하여 인공호흡을 위한 공기유통관(21)을 형성하는 것이다(도 2b 참조). 즉, 종래 i-gel과 유사하게 공기유통관(21)을 형성하는 것인데, 이 경우 종래 i-gel에서 튜브 통과 채널(gastric channel) 대신(물론 이 채널이 있어도 무관)에 지지부(20) 후단~확장부의 인두뒷벽과 접면하는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비위관 진입을 유도하는 유도홈(11)이 형성된 것과 유사하게 될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지지부(2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을 형성하고, 가이드부(10)에는 비위관이 관통하지 않는 크기나 형태의 관통공을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다(도시 생략).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가 환자의 구강-인두에 삽입되면, 지지부(20) 하면의 오목홈과 환자의 혀 사이에 공기유통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환자가 입을 통해 호흡하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10)에 공기유통이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코로 호흡하더라도 공기가 관통공을 통해 후두로 자유롭게 유통된다.
10. 가이드부
11. 유도홈
20. 지지부
21. 공기유통관

Claims (6)

  1.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로서,
    (A) 구강을 통해 인두에 삽입되어 내강(cavity)을 구강-인두앞벽-후두와 비강-인두뒷벽-식도입구로 구분하는 가이드부; 및
    (B)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어
    비위관 삽입시에 비위관 첨단이 구강 또는 후두가 아닌 식도입구로 유도되도록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드럽고 탄성있는 재질이며, 구강과 인두의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된 구조이거나 만곡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인두에 삽입되었을 때 후두를 전부 또는 일부 커버하는 크기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인후뒷벽을 향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비위관의 진입을 유도하는 유도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후두 입구에 대응하여 맞닿는 구조이며, 상기 가이드부와 지지부를 관통하여 인공호흡을 위한 공기유통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에는 상기 비위관이 관통하지 않는 크기나 형태의 관통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KR1020190032564A 2019-03-21 2019-03-21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KR10221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64A KR102217932B1 (ko) 2019-03-21 2019-03-21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64A KR102217932B1 (ko) 2019-03-21 2019-03-21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97A true KR20200112297A (ko) 2020-10-05
KR102217932B1 KR102217932B1 (ko) 2021-02-18

Family

ID=7280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64A KR102217932B1 (ko) 2019-03-21 2019-03-21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9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567B2 (ja) * 1989-11-08 1998-01-28 パーカー,ジェフレイ,ディー. 経口的な喉頭および食道の盲操作案内および照準装置
JP2008001724A (ja) * 2002-10-25 2008-01-10 Norgine Europe Bv 結腸洗浄組成物
JP2009125345A (ja) 2007-11-26 2009-06-11 Fujifilm Corp 経鼻内視鏡用挿入補助具
KR20120016681A (ko) * 2010-08-17 2012-02-27 정운갑 레빈튜브삽입가이드
JP2015167847A (ja) * 2014-03-04 2015-09-28 秀和 門脇 経鼻胃管挿入時の補助器具および留置法
KR20180032451A (ko) * 2016-09-22 2018-03-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가이드 기능을 하는 기도 유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567B2 (ja) * 1989-11-08 1998-01-28 パーカー,ジェフレイ,ディー. 経口的な喉頭および食道の盲操作案内および照準装置
JP2008001724A (ja) * 2002-10-25 2008-01-10 Norgine Europe Bv 結腸洗浄組成物
JP2009125345A (ja) 2007-11-26 2009-06-11 Fujifilm Corp 経鼻内視鏡用挿入補助具
KR20120016681A (ko) * 2010-08-17 2012-02-27 정운갑 레빈튜브삽입가이드
JP2015167847A (ja) * 2014-03-04 2015-09-28 秀和 門脇 経鼻胃管挿入時の補助器具および留置法
KR20180032451A (ko) * 2016-09-22 2018-03-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가이드 기능을 하는 기도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932B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183B2 (ja) 内視鏡検査装置
JP6389433B2 (ja) 気管支内チューブ
US10314995B2 (en) Endotracheal intubation and supraglottic airway device
US20180169365A1 (en) Intubating Neonatal Laryngeal Mask Airway
US20200345214A1 (en) Endoscopy device
US11801357B2 (en) Oral mandibular airway device and method
KR102217932B1 (ko) 비위관 삽입 보조기구
KR102295322B1 (ko) 레빈 튜브의 삽입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빈 튜브 복합체
CN2905091Y (zh) 胃管置入用导管
CN215275199U (zh) 一种胃肠检查通气喉罩
CN214596728U (zh) 多功能口咽通气道
CN209405433U (zh) 张口困难经口插管软镜保护咬口器
EP4114488B1 (en) An airway management device
WO2021251316A1 (ja) マウスピース
JP2008272343A (ja) 内視鏡用マウスピース
KR20240036844A (ko) 수면 내시경중에 기도확보 개선을 위한 마우스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