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114A -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 Google Patents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114A
KR20200112114A KR1020190032079A KR20190032079A KR20200112114A KR 20200112114 A KR20200112114 A KR 20200112114A KR 1020190032079 A KR1020190032079 A KR 1020190032079A KR 20190032079 A KR20190032079 A KR 20190032079A KR 20200112114 A KR20200112114 A KR 20200112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housing
purification device
adsorption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9159B1 (en
Inventor
염병수
Original Assignee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03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159B1/en
Publication of KR2020011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24F2003/1617
    • F24F2003/1639
    • F24F2003/16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100) for cleaning after adsorbing fine dust generated from a fine dust generating source or fine dust in a place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using a charged adsorption ball.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100) includes: one or more adsorption balls (110); a housing accommodating the one or more adsorption balls; an inl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n outlet provided in the housing.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allows at least some of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be adsorbed to the adsorption balls so that the air from which the at least some of foreign matters has been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Description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using charged adsorption ball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본 발명은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urifying fine dust using a charged adsorption ball.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원이나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유입경로 내지는 원인이 구체적으로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나날이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만 가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As the negative effects of fine dust on health have been revealed one after another, the awareness of this is increasing.However, the source of fine dust generated in Korea, the inflow path or cause of fine dust entering Korea are not clearly identified. Although the concentration is high, it is the current situation.

이러한 실정 하에, 다양한 미세먼지 발생원, 발생형태 및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지역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정화장치에 대한 사회적 요청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기존의 오염공기 정화장치 등은 이러한 유동적인 미세먼지 발생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believed that the social demand for a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sources of fine dust, types of generation, and areas with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also increasing. Existing polluted air purification devices, etc., are difficult to flexibly cope with such a fluid fine dust generation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improve this problem is required.

특허등록번호 10-1928199호, 등록일자 2018.12.05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928199, registration date 2018.12.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urifying fine dust using a charged adsorption bal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하나 이상의 흡착볼,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흡기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착볼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ne dust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charged adsorption bal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a housing accommodating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an intake por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Including an exhaust port provided,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by allow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be adsorbed to the adsorption ball, the air from which the at least part of the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passes through the exhaust po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through.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이 양전하를 띰으로써 음전하를 띠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having a negative charge is adsorbed by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taking a positive charge.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praying portion for spraying the liquid to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또한, 상기 흡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을 흡착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된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por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exhaust por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mov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adsorbs the at least some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the fine dust purific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at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at least one washed adsorption ball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차를 마련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plate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plates that provide a step for stepwise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wherein the at least one plate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It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미세먼지가 발생하거나 유입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유동적으로 설치됨으로써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fine dust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reducing fine dust by being fluidly installed in various environments in which fine dust may be generated or intro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레이트가 입체적으로 배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척부, 이송부, 벨트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후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와 분사부가 마련된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장치가 미세먼지 유발 설비 인근 인접도로와 인접보행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장치가 설치되어 도로에 면한 일측면이 도로상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urify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plat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hing unit, a transfer unit, a belt, and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surface provided with an injection unit and an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on an adjacent road and an adjacent pedestrian path near a facility that causes fine du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and one side facing the road is disposed on the ro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technicia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I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100)는 도 5와 같이 미세먼지 발생원인 시설의 인근에 설치되며, 도 1과 같이 대전된 하나 이상의 미세먼지 흡착볼(110), 정화장치본체(100)의 일 측면으로 유입되는 공기(210)가 들어오는 흡기구, 마주보는 일 측면 내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일 측면이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220)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포함한다.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s installed near a facility that causes fine dust as shown in FIG. 5, and at least one charged fine dust adsorption ball 110, as shown in FIG. 1, and a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air 210 introduced to one side of the unit is introduced, and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air 220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is discharged from one side facing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side surfaces thereof.

도 1 내지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urify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구체적으로,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Specifically,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urify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레이트가 입체적으로 배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plat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척부, 이송부, 벨트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후측면 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hing unit, a transfer unit, a belt, and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와 분사부가 마련된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surface provided with an injection unit and an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대전된 하나 이상의 흡착볼(110)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정화장치본체(100)는 본체의 일 측면에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210)가 흡기되는 흡기구가 구비되고 마주보는 일 측면 내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일 측면에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220)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Thus, the purifier body 100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one or more charged adsorption balls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air 210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is inha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such that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air 220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is discharged is provided on one side facing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side surfaces thereof.

상기 흡기구가 되는 일 측면은 그 설치장소, 설치상태,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입체적 배열 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정화장치본체(100)의 저면, 상면 또는 어느 일 측면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구 또한 설치장소, 설치상태,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입체적 배열 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흡기구와 마주보거나 마주보지 않는 일 측면이 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모습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One side that serves as the intake port may be a bottom surface, an upper surface, or any one side of the purifier body 10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installation stat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the plates 120 to 128, or a combination of the elements. The exhaust port may also be a side that faces or does not face the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installation stat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the plates 120 to 128, or a combination of the elements, and is not limited to the appearan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

본 발명의 정화장치본체(100)의 하우징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성을 갖는 동시에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전된 표면을 갖고 있는 흡착볼(110)은 내부에 압전방식으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방사되는 빛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보여질 수 있다. The housing of the purifier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le having breathability through which air can pass. In addition, the adsorption ball 110 having a charged surface may include one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operated in a piezoelectric manner therein, and light emitted in this process may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흡착볼(110)은 표면이 양전하로 대전되어 매우 양호하게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착볼(110)은 물 또는 미세먼지 흡착력을 높일 수 있는 액체가 표면에 분사된 상태에서 보다 높은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The adsorption ball 110 has a surface charged with a positive charge so as to very well adsorb fine dust to purify contaminated air. In addition, the adsorption ball 110 may have a higher adsorption power in a state in which water or a liquid capable of increasing the adsorption power of fine dust is sprayed on the surface.

일 실시 예에서, 흡착볼(110)의 표면은 플레이트(120 내지 128)를 통해 이동하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튕기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ball 11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moves through the plates 120 to 128 while being bounced and moved by an elastic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에는 미세먼지 농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배출부(150)는 더 많거나 적은 수의 흡착볼(110)을 배출할 수 있다.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or. The discharge unit 150 may discharge more or less number of adsorption balls 110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예를 들어, 배출부(150)에는 흡착볼(110)들을 수용 및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공간에는 세척된 흡착볼(110)들이 보관되며, 배출부(150)의 제어에 따라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개수 및 배출속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a space for accommodating and storing the adsorption balls 110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150. The washed adsorption balls 110 are stored in the space, and the number and discharge speed of the adsorption balls 110 discharg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ischarge unit 150 may be adjusted.

일 실시 예에서, 흡기구 및 배기부 각각에 흡기되는 공기 및 배기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sensor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intake and exhaust air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art.

정화장치는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를 산출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늘릴 수 있다.The purification device may calculate a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at each of the intake and exhaust portions, and increase the number of discharged adsorption balls 110 when the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일 실시 예에서,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정화장치는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점차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at each of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ar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purification device may gradually reduce the number of discharged adsorption balls 110.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줄임에 따라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감소할 수 있다. 정화장치는 해당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한도 내에서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As the number of the discharged adsorption balls 110 is reduced, a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at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art may be reduced. The purification device may reduce the number of adsorption balls 110 discharged within a limit in which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흡기부 또는 배기부에는 흡기 또는 배기를 도와줄 수 있는 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부 또는 배기부에 구비된 팬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흡기량 또는 배기량을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A fan that can help intake or exhaust may be provided at the intake or exhaust part. The fan provided in the intake unit or the exhaust unit may further increase or decrease the intake amount or the amount of exhaus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일 실시 예에서,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정화장치는 흡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높이고, 배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낮출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at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uni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purifier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provided in the intake part and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provided in the exhaust part. Can be lowered.

또한,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정화장치는 흡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낮추고, 배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in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ar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purifier may lower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provided in the intake part and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provided in the exhaust part. .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20 내지 128)는 정화장치본체(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거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성을 갖출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는 메쉬 혹은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상태와 필요에 따라 통기성을 갖지 않는 다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lates 120 to 128 may have ventilation propertie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contaminated ai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urifier body 100 or control the flow. The plates 120 to 128 may be made of a mesh or a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of materials that do not have ventilatio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ate and necessity.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개수는 설치장소, 설치상태, 설치상황, 플레이트의 입체적인 배열 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설치위치, 크기, 모양 등은 도시된 모습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plates 120 to 128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capable of being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lates 120 to 128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may be one or two or more depending on an installation location, an installation state, an installation situation,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plates, or a combination of the elements.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size, shape, etc. of the plates 120 to 128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appearance.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는 미세먼지 발생원, 발생형태, 설치장소의 입지적 조건 등 기타 요소에 따라 상이한 입체적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입체적 배열에 따라 다양하게 생길 수 있는 단차와 경로를 상기 흡착볼(110)이 통과하도록 하여 유동적인 미세먼지 발생상황에 유효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The plates 120 to 128 may have different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according to other factors such as a source of fine dust, a form of generation, and a locational condition of an installation site. The adsorption ball 110 allows the adsorption ball 110 to pass through various steps and paths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cope with the situation of generating fluid fine dust.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절첩되어 보관되거나 펼쳐져서 이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20 내지 128)가 절첩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기계적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r all of the plates 120 to 128 may be folded and stored or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by being unfolded, and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to allow the plates 120 to 128 to be folded or unfolded is limited It doesn't work.

예를 들어, 플레이트(120 내지 128) 각각은 하나 이상의 힌지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가 힌지를 통해 절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레이트(120 내지 128) 각각은 롤 형태로 수용되거나 펼쳐질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120 내지 128)에는 이를 절첩 혹은 수용거나 펼치기 위한 동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plates 120 to 128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plates connected by one or more hinges, and the plurality of sub-plates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hinges. 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plates 120 to 128 may be accommodated or unfolded in a roll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ates 120 to 128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unit for folding, receiving, or unfolding them.

일 실시 예에서, 정화장치의 제어부는 각각의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절첩 및 수용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펼쳐진 플레이트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of the purification device may control the number of unfolded plates by controlling the folding and receiving states of each of the plates 120 to 128.

예를 들어, 정화장치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펼쳐진 플레이트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다섯 개의 플레이트(120 내지 128)를 모두 펼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흡착볼(110)의 이동경로를 길게 하여 미세먼지 제거율을 높일 수 있고,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경우 일부 플레이트만을 펼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흡착볼(110)의 이동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정화장치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펼쳐진 플레이트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urification device can adjust the number of plates sprea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i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high, the movement path of the adsorption ball 110 is maintained by keeping all five plates 120 to 128 ope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moval rate of fine dust by lengthening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low, the moving path of the adsorption ball 110 can be shortened by keeping only some plates in an open state. That is, the purification device can adjust the number of spread plates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또한, 플레이트(120 내지 128) 각각은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장치는 각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통해 튕기면서 이동하는 흡착볼(110)들의 동작을 다양하게 연출함으로써 심미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ates 120 to 128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eans capable of adjusting its height. The purification device can exert an aesthetic effect by controlling the height of each plate to produce various motions of the adsorption balls 110 that move while bounced through it.

또한, 정화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고,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성분 중 유해물질들의 종류를 판단하며, 유해물질들 중 대기보다 무거워 가라앉는 성질의 유해물질이 많은 경우 플레이트들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유해물질들 중 대기보다 가벼워 뜨는 성질의 유해물질이 많은 경우 플레이트들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ifier uses one or more sensors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vents, determines the types of harmful substance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vents, and sinks because it is heavier than the atmosphere among the harmful substances. If there are many harmful substances of, the plates can be moved downward, and if there are many harmful substances that are lighter than the atmosphere among the harmful substances, the plates can be moved upward.

정화장치본체(100)의 하부에는 미세먼지를 흡착한 상태로 하부에 도착한 흡착볼(1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단에는 세척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세먼지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교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에는 세척과정에서 분별되는 미세먼지 슬러지를 분별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A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ball 110 that has arrived at the lower part while adsorbing fine dus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urifier body 100. The wash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replacement unit capable of treating fine dust sludg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In addition, the wash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ing mean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fine dust sludge separat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척부에서 깨끗하게 세척된 흡착볼(110)이 상기 정화장치본체(100) 상부의 흡착볼(110)이 배출되는 배출부(150)로 옮겨질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140)는 이송장치 또는 수단의 구조에 따라 이송용 벨트(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송용 벨트(142)에는 흡착볼(110)을 수용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흡착볼(110)은 흡착력을 이용하여 이송용 벨트(142)에 부착되어 이동할 수도 있다.On one side of the purifier main body 100, the adsorption ball 110 cleanly washed in the washing unit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unit 150 from which the adsorption ball 110 on the upper part of the purifying unit 100 is discharged. A transfer unit 140 to be used is installed. The transfer unit 140 may include a transfer belt 142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a transfer device or means. In one embodiment, the transport belt 142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receiving the adsorption ball 110 and moving it upward. In another embodiment, the adsorption ball 110 may be attached to and moved to the transfer belt 142 using the adsorption force.

또한 상기 이송부(140)는 이송과정에서 상기 흡착볼(110)이 세척 후 다시 양전하를 띨 수 있도록 하는 대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device that allows the adsorption ball 110 to take a positive charge again after washing during the transfer process.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흡착볼(110)의 미세먼지 흡착 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물 또는 기타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160)가 설치된다. 상기 분사부(160)에는 분사될 물 또는 액체가 담길 수 있는 용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사부(160)에는 분사될 물 또는 액체를 공급시켜주는 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An injection unit 160 capable of injecting water or other liqui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urifier body 100 to enhance the absorption of fine dust of the suction ball 110.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water or liquid to be sprayed may be provided in the spraying unit 160. Alternatively, a pipe for supplying water or liquid to be sprayed may be provided in the spraying unit 160.

상기 배출부(150)에는 상기 세척부(130)에서 세척되고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서 이송된 흡착볼(110)이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에 의해 생긴 경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배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부(150)에는 상기 흡착볼(110)의 표면을 대전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대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suction ball 110, which is washed in the washing part 130 and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part 140, to move the path created by the plates 120 to 128 in the discharge part 150 Is installed. The discharge unit 150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device capable of making the surface of the suction ball 110 in a charged state.

상기 배출부(150) 또는 상기 이송부(140)에 구비된 대전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전하량으로 상기 흡착볼(110)을 대전시킬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150 or the transfer unit 140 may charge the adsorption ball 110 with a higher or lower electric char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시설의 배기구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지하철 지하시설의 공조기, 환풍기, 또는 기타 환기시설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오염공기를 배출 후 즉시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미세먼지 유발시설의 위치나 구조에 따라 그에 맞는 효율적인 위치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purifying device body 100 may be installed near an exhaust port of a facility that discharges polluted air. For example, it is installed in an air conditioner, a ventilator, or an exhaust port of other ventilation facilities of a subway underground facility to immediately purify polluted air after discharging it.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may be installed in an efficient location and state according to the location or structure of the facility for causing fine dust.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장치가 설치되어 도로에 면한 일측면이 도로상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and one side facing the road is disposed on the ro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 예에서, 정화장치본체(100)의 각 측면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흡착볼(110)이 튕기며 이동하는 모습을 통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side of the purifier body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suction ball 110 bounces and moves to provide an aesthetic feeling.

다만, 실시 예에 따라 정화장치본체(100)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 혹은 전부가 불투명하게 변화하거나, 블라인드장치 등을 통해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단될 수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t least some or all of the side surfaces of the purifier body 100 may be changed to be opaque, or may be blocked so that the inside is not visible through a blind device or the like.

예를 들어, 정화장치본체(100)의 각 측면은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유리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도의 조절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태양광의 세기 혹은 전류의 흐름 등에 의하여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side of the purifier body 100 may be made of a glass material capable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is not limited, but the transparency may be adjusted by the intensity of sunlight or the flow of current. have.

이 경우, 정화장치본체(100)는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은 일몰 후 또는 저녁, 밤 등 주변이 어두운 소정의 시간대에는 불투명하게 변화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뿐 아니라 이에 접한 나머지 두 면 또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urification devic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so that the one side 104 facing the road becomes opaque after sunset or at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urroundings are dark, such as in the evening or at night, so as not to obstruct the view of vehicles running on th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not only the one side 104 facing the road but also the other two surfaces facing the road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다른 실시 예에서, 정화장치본체(100)의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인근 교통량, 인접 대중교통시설의 운행 현황, 미세먼지의 국지적 농도, 또는 기타 필요한 사항이 도시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display panel may be provided on one side 104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body 100 facing a road. The display panel may show a nearby traffic volume, an operation status of an adjacent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a local concentration of fine dust, or other necessary matters.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등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인접보행자(20)의 디바이스에 직접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purification apparatus body 100 may directl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device of the adjacent pedestrian 20 in connection with a program such as a specific application.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에는 각기 식별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인접보행자(20)의 개별 디바이스 GPS 지도 상에 각각의 정화장치본체(100)의 위치가 표시되어 인근지역정보 등을 게시할 수 있다. Each of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may be given an identification code, and based on this identification code, the location of each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is displayed on the GPS map of the individual device of the adjacent pedestrian 20, Information, etc. can be posted.

일 실시 예에서, 인접보행자(20)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정화장치본체(100)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에는 하나 이상의 정화장치본체(100)가 설치된 위치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표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map indicating the location of one or more purification apparatus bodies 100 may be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used by the adjacent pedestria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ap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a location where at least one purifying apparatus body 100 is installed.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에는 정화장치본체(100)의 주변 미세먼지 농도뿐 아니라 미세먼지 측정센서가 부착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의 미세먼지 농도를 갖는 영역은 클린 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not onl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purification apparatus body 100 but als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at one or more locations to which the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is attached, and a preset reference value An area having the following fine dust concentration may be displayed as a clean zone.

예를 들어,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공간은 공기정화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져 클린 존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 spac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purifier body 100 may be displayed as a clean zone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lowered through air purification.

이 경우, 외부활동을 하는 사용자들이 클린 존 주변으로 모이도록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로 이동하여 정화장치본체(100)에 마련된 비콘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소정의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who engage in external activities to gather around the clean zone, and the users mov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to communicate between the beacon terminal provided in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and the user terminal. When this becomes possibl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로 이동하여 정화장치본체(100)에 마련된 비콘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기 설정된 광고가 송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mmunication between a beacon terminal provided in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and a user terminal becomes possible by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a preset advertisem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ed. .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기 설정된 광고가 사용자 단말에 송신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preset advertisement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stay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urifier body 100 for more than a preset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정화장치본체(100)는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may function as an advertisement platform.

상기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에는 인접차량(10)의 평균시속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장치로 측정된 개별차량 내지는 다수의 통행차량에 대한 정보는 정보처리되어 실시간 교통정보로써 활용될 수 있다. A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average hourly speed of adjacent vehicles 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104 facing the road. Information on an individual vehicle or a plurality of passing vehicles measured by such a measuring device can be processed as information and used a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또한, 상기 측정장치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는 인근 또는 구간 과속차량의 단속, 교통사고 발생 고위험지역의 판단, 인근 횡단보도의 횡단시간 조정, 차로 확대, 감축에 대한 판단, 또는 기타 필요한 판단의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이러한 정보의 송수신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정보처리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device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cracking down on nearby or section speeding vehicles, determining high-risk areas for traffic accidents, adjusting crossing times for nearby crosswalks, determining lane expansion or reduction, or other necessary determinations.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ch information to interact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응급상황에 있어서 인접보행자(20)의 조작에 따라 인근 응급시설, 경찰서, 소방서 등의 방재기관, 치안기관, 의료기관 또는 기타 필요기관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urification device body 1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emergency facilities, police stations, and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s such as fire departments, security agencies, medical institutions, or other necessary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adjacent pedestrian 20 in an emergency situation. can do.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1 : 주변시설 공조기 배기부
2 : 인접도로
3 : 인접보행로
10 : 인접도로 통행 차량
20 : 인접보행로 보행자
100 : 정화장치본체
102 : 분사부가 마련된 일 측면
104 : 도로에 면한 일 측면
110 : 흡착볼
120, 122, 124, 126, 128 : 플레이트
130 : 세척부
140 : 이송부
142 : 벨트
150 : 배출부
160 : 분사부
210 :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220 :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1: Exhaust part of air conditioner in surrounding facilities
2: adjacent road
3: adjacent pedestrian path
10: Vehicles passing by adjacent roads
20: Pedestrian on the adjacent pedestrian
100: purification device body
102: one side where the injection part is provided
104: one side facing the road
110: suction ball
120, 122, 124, 126, 128: plate
130: washing unit
140: transfer unit
142: belt
150: discharge part
160: injection part
210: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20: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Claims (5)

미세먼지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흡착볼;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흡기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착볼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In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One or more adsorption balls;
A housing accommodating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An intake por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n exhaust port provided in the housing; Including,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By allow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be adsorbed to the adsorption ball, the air from which the at least some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은 양전하를 띰으로써, 음전하를 띠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is characterized in that by taking a positive charge, the at least some foreign matter carrying a negative charge is adsorbed,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liquid onto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Further comprising,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을 흡착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된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이송하는 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ake por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exhaust por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The one or more adsorption balls,
Mov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dsorbing the at least some foreign substances,
The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at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washed one or more adsorption balls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차를 마련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plate providing a step for stepwise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adsorption ball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ncluding more,
The at least on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KR1020190032079A 2019-03-21 2019-03-21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KR102229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79A KR102229159B1 (en) 2019-03-21 2019-03-21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79A KR102229159B1 (en) 2019-03-21 2019-03-21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114A true KR20200112114A (en) 2020-10-05
KR102229159B1 KR102229159B1 (en) 2021-03-17

Family

ID=7280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079A KR102229159B1 (en) 2019-03-21 2019-03-21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1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7400A (en) * 2023-08-01 2023-08-29 常州市武进广宇花辊机械有限公司 Non-woven fabric high-speed slitting device and slitt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9845A (en) * 2015-05-13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ust collecting filter and dust collecting device
KR20180045713A (en) * 2016-10-26 2018-05-04 예일알앤디 주식회사 Fine dust reducing device for grilling type
KR101928199B1 (en) 2017-06-26 2019-02-26 오영호 Water using device and method of washing type air cleaning dust remov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9845A (en) * 2015-05-13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ust collecting filter and dust collecting device
KR20180045713A (en) * 2016-10-26 2018-05-04 예일알앤디 주식회사 Fine dust reducing device for grilling type
KR101928199B1 (en) 2017-06-26 2019-02-26 오영호 Water using device and method of washing type air cleaning dust remov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7400A (en) * 2023-08-01 2023-08-29 常州市武进广宇花辊机械有限公司 Non-woven fabric high-speed slitting device and slitting method
CN116657400B (en) * 2023-08-01 2023-09-26 常州市武进广宇花辊机械有限公司 Non-woven fabric high-speed slitting device and sl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159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7427B (en) Air-treatment mask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with air-treatment face shield
US201902039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ambient air purification
CN105311908A (en) Movable air cleaning device
KR102229159B1 (en)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CN10140042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iltering air in an urban environment
CN104315681B (en) Car air purifier air speed control device and car air purifier air speed control method
KR20190135717A (en) Fine dust reducing device using mos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244640B1 (en) Smart Shelter with functions to block the inflow of fine dust
KR101843544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Air Pollution
KR20180138262A (en) Air cleaner apparatus
WO2020101130A1 (en) Space separation-type bus stop having fine dust reduction system
CN110145711A (en) A kind of street lamp
KR100787390B1 (en) System for purifing the noxious gas of vehicle's room and the method thereof
KR20200112110A (en)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KR20200112111A (en) Fine dust removal device whose transparency can be controlled by the intensity of sunlight
KR20200112112A (en)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transfer belt
KR20200112113A (en)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plate that can control the flow of contaminated air
CN204051265U (en) Vehicle-mounted city raised dust monitoring and emergency treatment device
KR20110024429A (en) A air clean system for subway
KR102135595B1 (en) Public booth system booth using subway ventilation
KR20190022284A (en) Apparatus For filtering Air Pollution
KR102098112B1 (en) Passenger waiting shelter for bus bay that supplies air with fine dust removed
KR102334741B1 (en) Bus stop shelte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nd air purification efficiency
KR100983624B1 (e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train platform
CN204400377U (en) A kind of elevator fire-fighting oxygen supply life saving syste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