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719A -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719A
KR20200111719A KR1020207023201A KR20207023201A KR20200111719A KR 20200111719 A KR20200111719 A KR 20200111719A KR 1020207023201 A KR1020207023201 A KR 1020207023201A KR 20207023201 A KR20207023201 A KR 20207023201A KR 20200111719 A KR20200111719 A KR 20200111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bwp
timer
dynamic scheduling
scheduling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총 시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04L1/1678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w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s for timing, e.g.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응용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대역폭 파트(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고,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대역폭 파트를 전환할 때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2의 100 회의 회의에 있어서,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에 대역폭 파트 비활성화 타이머(Bandwidth Part timer, BWP timer)가 도입되었고, 해당 BWP timer는 각각의 비 디폴트 하향 BWP에 대해 구성될 수 있고, 그 역할은 UE를 현재 활성화된 비 디폴트 BWP로부터 디폴트 BWP 또는 초기 BWP로 전환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절약한다. 구체적으로, BWP timer의 동작에 대해, 현재의 MAC 프로토콜(TS38.321)에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시작 또는 재시작 조건: 하향 할당을 스케줄링하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수신하거나, 또는 BWP를 전환하는 PDCCH를 수신한다.
정지 조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과정을 시작한다.
타임아웃된 동작: 현재 활성화된 BWP를 디폴트 하향 BWP 또는 초기 BWP로 전환한다.
또한, RAN2#100회 회의에서는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에 의해 일부 기본 파라미터(예를 들어, 주기)를 먼저 설정한 다음, SPS-RNTI PDCCH를 통해 SPS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고, 활성화된 후에만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는 SPS 리소스에서 하향 전송을 수신할 수 있는 것도 규정하였다. 그러나, 현재 활성화된 하향 BWP이 전환된 경우, MAC의 관점에서 그 대응하는 SPS 리소스를 클리어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보다시피, SPS 리소스가 활성화된 후 BWP timer가 타임아웃되면, UE는 디폴트 하향 BWP 또는 초기 BWP로 전환되고, 이 경우 이전에 활성화된 하향 BWP에서의 SPS 전송이 중단된다.
본 발명은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대역폭 파트의 전환시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 1 양태로서,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응용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대역폭 파트(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을 위해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대역폭 파트를 전환할 때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NDI)가 0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NDI)가 0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이다.
제 2 양태로서,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이다.
제 3 양태로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대역폭 파트(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수신 유닛은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제 4 양태로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대역폭 파트(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송수신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제 5 양태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생성 유닛 및 전송 유닛을 포함하고,
생성 유닛은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고,
송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고,
송수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상기 제 2 양태의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제 8 양태로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코드를 실행하고, 상기 코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 1 양태의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각각의 과정을 구현한다.
제 9 양태로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와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코드를 실행하고, 상기 코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 2 양태의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각각의 과정을 구현한다.
제 10 양태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용 시나리오의 예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용 시나리오의 예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통신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멀티 서비스 전송이 지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100)만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Generation,5G) 엔알(New Radio, NR)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결합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 측의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타입 통신(MTC)의 사용자 장비,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5G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임의의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액세스 단말기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기, 모바일 장치, 사용자 단말기기, 단말기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비라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처리(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유닛,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또한, 해당 BWP은 모두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해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serving cell에는 최대 4 개의 하향 BWP와 최대 4 개의 상향 BWP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10)의 현재 서빙 셀에 BWP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는 각각의 비 디폴트 하향 BWP에 대해 구성될 수 있고, 그 역할은 UE를 현재 활성화된 비 디폴트 BWP로부터 디폴트 BWP 또는 초기 BWP로 전환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절약한다.
구체적으로, BWP timer의 동작에 대해, 현재의 MAC 프로토콜(TS38.321)에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시작 또는 재시작 조건: 하향 할당을 스케줄링하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수신하거나, 또는 BWP를 전환하는 PDCCH를 수신한다.
정지 조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과정을 시작한다.
타임아웃의 동작: 현재 활성화된 BWP를 디폴트 하향 BWP 또는 초기 BWP로 전환한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10)의 현재 서빙 셀에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하향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리소스, 상향 구성의 그랜트(configured grant) 리소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향 configured grant는 유형 1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type1 configured grant) 및 유형 2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type2 configured grant)를 포함하고, 차이점은 type1 configured grant는 RRC만으로 구성되고, type2 configured grant는 RRC에 의해 하나의 주기가 구성되고, 다른 시간 영역 리소스는 하향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해 나타나는 동시에, DCI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지원한다.
여기서,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리소스에 대해, 그 RRC 구성은 BWP에 기반한 것일 수 있고, 즉, 하나의 단말기는 하나의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n 개의 하향 BWP가 있을 경우, 이론적으로, 하향 BWP마다 하나의 대응하는 SPS RRC 구성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에 의해 일부 기본 파라미터(예를 들어, 주기)를 먼저 구성하고, 다음,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scheduling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S-RNTI) PDCCH를 통해 해당 SPS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고, 활성화된 후에만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UE)는 SPS 리소스에서의 하향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활성화된 하향 BWP가 전환되는 경우, MAC의 관점에서 그 대응하는 SPS 리소스를 클리어할 필요가 있다.
상기에서 보다시피, SPS 리소스가 활성화된 후 BWP timer가 타임아웃되는 경우, UE는 디폴트의 하향 BWP 또는 초기 BWP로 전환되고, 이 경우 이전에 활성화된 하향 BWP에서의 SPS 전송이 중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대역폭 파트를 전환할 때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210: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220: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230: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를 통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응용될 수 있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활성화된 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을 위해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대역폭 파트의 전환시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의 예시적인 설명을 실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PDCCH를 수신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해당 PDCCH 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즉,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PDCCH를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해당 RRC 재구성 메시지는 해당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즉,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의 형식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구현 방식을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고, 해당 제 1 조건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한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New Data Indicator, NDI)가 0이며, 또한,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고, 해당 제 2 조건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취득한 이후에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지시 정보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한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New Data Indicator, NDI)가 0이고, 또한,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한다.
또한,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페어링 스펙트럼(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al, FDD) 스펙트럼)의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이다.
또한, 예를 들어, 비 페어링 스펙트럼(예를 들어,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ing, TDD) 스펙트럼)의 경우,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하향 또는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이다.
또한 예를 들어, 페어링 스펙트럼(예를 들어, FDD 스펙트럼)에 대해,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이다.
또한, 예를 들어, 비 페어링 스펙트럼(예를 들어, TDD 스펙트럼)의 경우,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하향 또는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조건 및 제 2 조건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제 1 조건과 해당 제 2 조건은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활성화된 BWP를 만족시키는 것이 비 디폴트 BWP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제 1 조건과 해당 제 2 조건은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활성화된 BWP를 만족시키는 것이 비 초기 BWP인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300)의 블록도이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대역폭 파트(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300)는 수신 유닛(310) 및 처리 유닛(320)를 포함하고,
수신 유닛(310)은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320)은 상기 수신 유닛(310)이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310)은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해당 PDCCH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310)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해당 RRC 재구성 메시지는 해당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고, 해당 제 1 조건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해당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 NDI가 0이고,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제 2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제 2 조건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해당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 NDI가 0이고,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310)은 송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처리 유닛(420)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410), 송수신기(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430)는 지시 정보를 기억하는데 사용된 수 있으며, 프로세서(410)가 실행하는 코드, 명령어 등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의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전술한 도 2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생성 유닛(510) 및 송신 유닛(520)을 포함하고,
생성 유닛(510)은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고,
송신 유닛(520)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을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PDCCH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RRC 재구성 메시지는 해당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성 유닛(510)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송신 유닛(520)은 송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610), 송수신기(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30)는 지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의해 수행되는 코드, 명령어 등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의 각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의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전술한 도 2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지만,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직접 실시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실시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기술 분야에서 성숙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와 함께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실시에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 또한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한 범용 프로세서는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라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Direct Rambu RAM, DR RAM)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은 것을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하나", "상기" 및 "해당"은 문맥이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문맥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 때"라는 용어는 "만약", "만일" 또는 "....의 경우"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라고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문맥에 따라 "확정된 경우" 또는 "검출된 경우(조건 또는 사건이 제시된 경우)"라는 어구는 "확정된 경우"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 또는 "감지된 경우(조건 또는 사건이 제시된 경우)"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조건 또는 사건이 제시된 경우)"로 해석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확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36)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응용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scheduling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을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New Data Indicator,NDI)가 0이고,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NDI)가 0이고,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3.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8.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19.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대역폭 파트(BWP) 및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고,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WP)에 BWP 비활성화 타이머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정지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 NDI가 0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정지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5. 제 19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조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의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또는 조정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PD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의 새로운 데이터 인덱스 NDI가 0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BWP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8. 제 19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9. 제 19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0. 제 19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서빙 셀에 구성된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유닛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성 스케줄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는,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하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및 비 페어링 스펙트럼에서의 상향 비 동적 스케줄링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디폴트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6.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디폴트 BWP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BWP는 비 초기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07023201A 2018-01-19 2018-01-19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00111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3516 WO2019140663A1 (zh) 2018-01-19 2018-01-19 基于定时器切换带宽部分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719A true KR20200111719A (ko) 2020-09-29

Family

ID=6730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201A KR20200111719A (ko) 2018-01-19 2018-01-19 타이머에 기반한 대역폭 파트의 전환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89648B2 (ko)
EP (1) EP3742641B1 (ko)
JP (1) JP2021516478A (ko)
KR (1) KR20200111719A (ko)
CN (1) CN111566966A (ko)
AU (1) AU2018403273A1 (ko)
TW (1) TW201933910A (ko)
WO (1) WO2019140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684B1 (ko) 2017-11-16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2369090B (zh) * 2018-05-10 2024-03-1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US20210377988A1 (en) * 2018-11-05 2021-12-02 Apple Inc. Mechanisms for bandwidth part (bwp) switching in a new radio (nr) network
CN115299109B (zh) * 2020-04-09 2023-10-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配置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4205754B (zh) * 2020-09-17 2023-09-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Bwp切换方法和终端
CN115087102A (zh) * 2021-03-12 2022-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5314175A (zh) * 2021-05-08 2022-1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带宽部分处理方法、装置及终端
WO2023082110A1 (zh) * 2021-11-10 2023-05-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半静态调度的重新去激活、确定方法和装置
CN113923741A (zh) * 2021-11-12 2022-01-1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小区接入方法、装置、介质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5334B (zh) * 2011-07-22 2017-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半静态调度方式下数据的传输方法及用户设备
EP2595425A1 (en) * 2011-11-18 2013-05-22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US10491358B2 (en) * 2017-11-13 2019-11-26 Yeongmoon SO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and transmi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352684B1 (ko) * 2017-11-16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90200395A1 (en) * 2017-12-21 2019-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bandwidth part inactivity timer
CN110035538B (zh) * 2018-01-09 2022-12-0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处理带宽部分非活动计时器的方法和设备
CN110035481A (zh) * 2018-01-11 2019-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定时器的处理方法和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403273A1 (en) 2020-09-03
EP3742641A1 (en) 2020-11-25
US20200351064A1 (en) 2020-11-05
JP2021516478A (ja) 2021-07-01
WO2019140663A1 (zh) 2019-07-25
EP3742641B1 (en) 2022-01-19
TW201933910A (zh) 2019-08-16
US11489648B2 (en) 2022-11-01
CN111566966A (zh) 2020-08-21
EP3742641A4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9648B2 (en) Timer-based bandwidth part switch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08216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293203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8805391B2 (en) Method of improv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resources re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3522632A1 (e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2240644B1 (ko) 데이터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 및 통신 시스템
WO2019051806A1 (zh)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333549A2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19512898A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WO2020143730A1 (zh)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11177915B2 (en) Uplink reference signal sending method, uplink reference signal method, and apparatus
EP3700246A1 (en) Bandwidth part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2077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US10912102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managing tim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JP2020504947A (ja) 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09219138B (zh) 传输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20504489A (ja) 間欠受信方法及び装置
WO2019136598A1 (zh) 部分带宽定时方法以及装置、通信系统
JP2020519113A (ja) 間欠受信用の方法及び装置
JP2023536002A (ja) データ送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4369797A1 (en) Drx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41958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reception of a multicast broadcast service transmission and a small data transmission
KR20230165279A (ko)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위한 drx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A322289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and signaling transmission
OA18276A (en)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