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684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684B1
KR102352684B1 KR1020170153118A KR20170153118A KR102352684B1 KR 102352684 B1 KR102352684 B1 KR 102352684B1 KR 1020170153118 A KR1020170153118 A KR 1020170153118A KR 20170153118 A KR20170153118 A KR 20170153118A KR 102352684 B1 KR102352684 B1 KR 10235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wp
terminal
base station
data
ud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074A (ko
Inventor
진승리
김성훈
김동건
장재혁
알렉산더 사엔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684B1/ko
Priority to US16/193,540 priority patent/US10897399B2/en
Priority to CN201880074570.1A priority patent/CN111373789B/zh
Priority to EP18880012.2A priority patent/EP3677065B1/en
Priority to PCT/KR2018/014093 priority patent/WO2019098750A1/en
Publication of KR2019005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74A/ko
Priority to US17/151,550 priority patent/US1151608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47Transmission e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7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access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04W36/125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backb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6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transport layer [OSI layer 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DRB(Data Radio Bearer)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Packet data Network) 세션의 개수를 보고하는 단계, AS(Access stratum)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DRB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 세션의 개수를 보고하는 단계 및 기지국의 DRB 설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7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3e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DRB(Data Radio Bearer)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Packet data Network) 세션의 개수를 보고하는 단계, AS(Access stratum)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DRB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 세션의 개수를 보고하는 단계 및 기지국의 DRB 설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과 LTE, eLTE, NR에서의 네트워크 구조와 무선 데이터 베어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DRB/PDU 세션의 개수를 보고 및 파악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지원하는 DRB/PDU 세션 개수를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지원하는 DRB/PDU 세션 개수를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네트워크가 단말과 기지국으로부터 지원하는 DRB/PDU 세션 개수를 보고받고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위한 타이머 기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RRC INACTIVE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의 천이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셀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할 때 기지국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지 여부를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plink Data Compression)을 수행하는 절차와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의 압축 해제 실패가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에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경우,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와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없는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와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단이 구별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UDC 헤더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에서 적용될 수 있는 PDCP control PDU 포맷을 설명한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동작과 기지국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으로 수행하는 랜덤 엑세스 동작 및 상향링크 파형 설정과 관련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 혹은 이를 기반으로 변형한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a-25) 및 S-GW(Serving-Gateway, 1a-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eNB(1a-05~1a-20) 및 S-GW(1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a-05~1a-20)는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며,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a-05~1a-20)가 담당한다. 즉, eNB(1a-05~1a-20)는 단말들과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a-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1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MME(1a-25) 및 S-GW(1a-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eNB(1a-05~1a-20)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eNB(1a-05~1a-20)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도 2는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 1b-40), RLC(Radio Link Control 1b-10, 1b-35), MAC(Medium Access Control 1b-15, 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1b-05, 1b-40)는 IP header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header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1b-10, 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1b-15, 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 계층(1b-20, 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도 3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NR 혹은 5G)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NB, 혹은 NR gNB 혹은 NR 기지국 1c-10)과 NR CN(New Radio Core Network, 혹은 NG 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1c-05)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 1c-15)은 NR gNB(1c-10) 및 NR CN(1c-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3에서 NR gNB(1c-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gNB는 NR UE(1c-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gNB(1c-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NR CN (1c-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R CN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1c-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1c-30)과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 4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PDCP(1d-05, 1d-40), NR RLC(1d-10, 1d-35), NR MAC(1d-15, 1d-30)으로 이루어진다.
NR PDCP (1d-05, 1d-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여기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1d-10, 1d-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여기에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1d-15, 1d-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1d-20, 1d-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도 5는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과 LTE, eLTE, NR에서의 네트워크 구조와 무선 데이터 베어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을 Rel-8부터 Rel-14까지의 LTE를 지원하는 기지국(eNB, 1e-05)과 LTE 단말(LTE UE, 1e-20), Rel-15 이후의 LTE를 지원하는 기지국(upgrade eNB, 1e-10)과 eLTE 단말(eLTE UE, 1e-25), NR을 지원하는 기지국(gNB, 1e-15)과 NR 단말(NR UE, 1e-30)로 분류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upgrade eNB과 eLTE 단말은 LTE에서보다 향상된 숫자의 DRB(data radio bearer)를 지원하는 경우로 정의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NG 코어 네트워크(1e-40)는 LTE 무선접속 네트워크(EPC: Evolved Packet Core, 1e-35)와 NR 무선접속 네트워크(NR RAN: New RAT Radio Access Network, 1e-10)에 연결이 가능하고, NR CN에 연결 가능한 단말(1e-25, 1e-30)은 NR 코어 네트워크(1e-35)와 LTE 코어 네트워크(1e-30)에 동시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즉, NR 단말은 EPC와 NR CN에 모두 NAS(Non Access Stratum) 접속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NR CN과 EPC에 연결이 모두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gNB가 사용되거나, 혹은 기존의 LTE 기지국인 eNB의 경우 NR CN 접속을 위해 업그레이드 되어야 한다. 업그레이드된 LTE 기지국은 또한, 향상된 DRB 개수를 지원할 수도 있다.
3G/UMTS 부터 4G/LTE 기술을 지원하는 기지국과 단말은 공통적으로 8개의 DRB를 최대로 지원해 왔다. 즉, 여러가지 서비스들이 무선 RAN과 단말에게 전달되게 하기 위해 같은 DRB를 통해 전달되어 왔고, Rel-14 LTE까지는 8개 이상의 DRB를 구분하는 것에 대해 큰 요구가 없었다. 서비스의 연속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8개의 DRB로 충분한 서비스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으로 충분했다. 하지만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각각의 서비스들을 다른 서비스와 묶어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려고 하는 요구가 생기면서, 추가적인 DRB에 대한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LTE와 NR에서 모두 고려되어야 하며, 만약 LTE에서 DRB 개수가 늘어난다면, LTE의 DRB 구조를 고려해서 향상된 DRB(11~15개, 예를들어 11개, 13개 혹은 15개의 DRB)의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 NR의 경우에는 아직 정확한 구조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늘어난 수의 DRB(16~32개)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6개 혹은 32개의 DRB가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 별로 서로 다른 DRB 개수를 지원하게 된다면,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특정 단말에게 DRB 및 PDU 세션을 할당하기 위해 단말과 해당 무선 RAN이 얼마나 많은 DRB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과 LTE 단말이 기존처럼 8개의 DRB를 지원하고 최대 8개의 PDU 세션에 연결할 수 있고, 업그레이드된 LTE 기지국과 LTE 단말이 15개 DRB를 지원하고 최대 15 개의 PDU 세션에 연결할 수 있다면, LTE EPC는 이를 반영해서 무선 자원 및 PDU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R 5G CN의 경우에도 NR 기지국과 NR 단말이 지원하는 DRB와 PDU 세션 연결 개수와 eLTE 기지국과 단말이 지원하는 DRB와 PDU 세션 연결 개수가 다르다는 정보를 안다면, 이를 반영해서 무선 자원 및 PDU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에서 특정 단말에 대해 얼마나 많은 수의 PDU 세션을 설정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지원 가능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RAN(무선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최대 지원하는 DRB 및 PDU 세션의 개수를 시그널링 받아 무선 자원 및 PDU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DRB/PDU 세션의 개수를 보고 및 파악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f-05 단계에서 현재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기지국과 RRC connection setup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은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서 기지국과 역방향 전송 동기를 수립하고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와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수납된다. 기지국은 단말이 RRC 연결을 설정하도록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 RRCConnectionSetup 메시지에는 RRC 연결 구성 정보 등이 수납된다. RRC 연결은 SRB(Signaling Radio Bearer)라고도 하며,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제어 메시지인 RRC 메시지 송수신에 사용된다.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RRC 연결 과정의 절차로 단말은 소정의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 설정을 코어 네트워크에게 요청하는 SERVICE REQUEST라는 제어 메시지를 NAS 메시지로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1i-10). 일 실시예에서는 SERVICE REQUEST 제어 메시지에 단말이 지원가능한 DRB/PDN 세션 개수가 포함될 수 있다. 1f-1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DRB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 세션의 개수를 RRC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보고한다. UE capability 보고는 AS 시그널링, 즉 RRC 메시지(UE capability 보고)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연결된 PCell에게 UE capability 보고를 수행한다. 여기서 PCell은 LTE, eLTE, NR일 수 있고, 이는 eNB, 업그레이드된 eNB, gNB에게 UE capability를 전달함을 의미한다. 1f-10단계와 1f-15 단계는 순차적 혹은 동시에 모두 수행될 수 있지만 둘 중에 하나만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둘 중에 하나만 수행되더라도 기지국의 구현으로 인해 코어 네트워크가 전체 시스템(기지국 및 단말)의 지원 DRB/PDN 세션 개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1f-2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에 수납된 UE capability로 수신한 단말의 DRB/PDN 세션의 개수와 관련된 능력을 현재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NR CN or EPC)로 SERVICE REQUEST 메시지(1f-20)을 통해 전달한다. 이때 해당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UE capability(DRB/PDN 세션 개수)와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DRB/PDN 세션의 개수를 독립적으로 혹은 통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UE capability를 전체를 그대로 전달할 수도 있고, 기지국이 지원하는 capability에 따라 UE capability를 수정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이 지원하는 DRB/PDN 세션의 개수가 단말이 지원하는 DRB/PDN 개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작은 값에 맞추어 단말과 기지국의 통합 capability를 보고할 수도 있다. 1f-25 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기지국을 통해 통합적으로 수신한 capability를 기반으로 서비스/슬라이스 별로 데이터 및 PDN 세션 연결을 배분하여 INITIAL CONTEXT SETUP 메시지를 통해 전달한다. 즉, 매핑 룰을 업데이트 하여 전달한 후 설정에 따라 데이터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INI CONTEXT SETUP 메시지에는 DRB (Data Radio Bearer) 설정 시 적용할 QoS (Quality of Service) 정보, 그리고 DRB에 적용할 보안 관련 정보 (예를 들어 Security Key, Security Algorithm)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기지국은 단말과 보안을 설정하기 위해서 SecurityModeCommand 메시지(1f-30)와 SecurityModeComplete 메시지(1f-35)를 교환한다. 보안 설정이 완료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1f-40).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처리될 DRB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며, 단말은 DRB의 설정 정보를 적용해서 DRB를 설정하고 기지국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1f-45). 단말과 DRB 설정을 완료한 기지국은 CN에게 INITIAL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고(1f-50), 이를 수신한 CN는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서 BEARER SETUP 메시지와 BEARER SETUP RESPONSE 메시지를 교환한다(1f-55, 1f-56). LTE 경우에는 CN에서 베어러 설정을 수행하고(1f-55), NR의 경우 CN으로부터 수신한 매핑 룰에 따라 기지국에서 베어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1f-56). 이러한 메시지는 CN과 기지국 사이에 설정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과 CN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1f-60). 이처럼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과정은 크게 RRC 연결 설정, 보안 설정, DRB설정의 3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기지국은 소정의 이유로 단말에게 설정을 새로 해주거나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CN은 LTE와 NR에서의 코어 네트워크를 총칭하며 LTE의 경우에는 S-GW(Serving gateway)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며, NR에서는 UPF(User Plane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한다.
1f-65 단계에서 단말은 주변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서빙 셀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1f-70 단계에서 서빙 셀은 타겟 셀에게 X2 혹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요청한다. 1f-70 단계에서 서빙 셀은 이전 데이터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설정되었던 DRB/PDN 개수 정보를 타겟 셀에게 전달한다. 서빙 셀과 타겟 셀은 DRB/PDN 세션 지원 능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전 데이터 통신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설정되었던 DRB/PDN 개수 정보는,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 이후에도 이전 셀에서 설정된 DRB/PDN 세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데 필요하다. 타겟 셀은 서빙 셀로부터 수신한 DRB/PDN 세션 설정을 참고해서 지원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해서 CN과 서빙 셀에게 핸드오버 여부 메시지와 함계 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1f-75, 1f-80). 1f-85 단계에서 서빙 셀은 HO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에게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를 위해 필요한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해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1f-90 단계에서 단말은 타겟 셀과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고, 1f-95 단계에서 단말과 타겟 셀은 RRC 설정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설정을 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설정에는 DRB 설정의 변경 및 추가와 관련된 설정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1f-85 단계의 HO 명령에 해당 설정 정보가 포함될 경우 1f-95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1f-100 단계에서 단말과 타겟 셀은 연결 이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지원하는 DRB/PDU 세션 개수를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g-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을 수행하고, 1g-10 단계에서 NAS 메시지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DRB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 세션의 개수를 보고한다. 여기서, DRB 개수와 PDN 세션 개수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른 값일 수도 있다. LTE 단말의 경우 8개의 DRB와 PDN 세션을 보고할 수 있으며, eLTE 단말의 경우에는 기존 LTE보다 향상된 UE capability를 가질 수 있다(예를들어 eLTE 단말의 경우 11~15 개의 DRB 및 PDN 세션 보고). 마찬가지로 NR 단말의 경우에도 기존 LTE보다 향상된 UE capability를 가질 수 있다(예를들어 NR 단말의 경우 16 혹은 21 개의 DRB 및 PDN 세션 보고).
1g-15 단계에서 단말은 AS(Access stratum)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DRB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 세션의 개수를 보고한다. 해당 보고는 AS 시그널링, 즉 RRC 메시지(UE capability 보고)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연결된 PCell에게 UE capability 보고를 수행한다. 여기서 PCell은 LTE, eLTE, NR일 수 있고, 이는 eNB, 업그레이드된 eNB, gNB에게 UE capability를 전달함을 의미한다.
1g-10단계와 1g-15 단계는 순차적 혹은 동시에 모두 수행될 수 있지만 둘 중에 하나만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둘 중에 하나만 수행되더라도 기지국의 구현으로 인해 코어 네트워크가 전체 시스템(기지국 및 단말)의 지원 DRB/PDN 세션 개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1g-2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의 DRB 설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지원하는 DRB/PDU 세션 개수를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h-0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을 수행하고, 1h-1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AS 메시지를 통해 단말이 지원하는 DRB 및 연결 가능한 최대 PDN 세션의 개수를 수신한다. 해당 보고는 AS 시그널링, 즉 RRC 메시지(UE capability 보고)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셀은 LTE, eLTE, NR일 수 있고, 이는 eNB, 업그레이드된 eNB, gNB에게 전달함을 의미한다.
1h-15 단계에서 해당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UE capability(DRB/PDN 세션 개수)와 해당 기지국이 지원하는 DRB/PDN 세션의 개수를 독립적으로 혹은 통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한다. 이때 단말로부터 수신한 UE capability를 전체를 그대로 전달할 수도 있고, 기지국이 지원하는 capability에 따라 UE capability를 수정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이 지원하는 DRB/PDN 세션의 개수가 단말이 지원하는 DRB/PDN 개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작은 값에 맞추어 단말과 기지국의 통합 capability를 보고할 수도 있다.
1h-10단계와 1h-15 단계는 순차적 혹은 동시에 모두 수행될 수 있지만 1h-10 단계의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이는 단말에서 NAS 메시지를 통해 UE capability를 전달하는 경우에 한정된다.
1h-20 단계에서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매핑 룰을 수신하고 (예를들어, LTE의 경우 트래픽별 DRB 매핑 룰, NR일 경우 IP flow와 QoS flow 매핑, QoS flow와 DRB 매핑 룰을 수신), 수신한 설정에 따라 무선 데이터 베어러 관리 및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코어네트워크가 단말과 기지국으로부터 지원하는 DRB/PDU 세션 개수를 보고받고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i-05 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NAS 메시지를 통해 단말 능력(DRB/PDN 세션 개수)를 보고 받는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신 동작 1과 수신 동작 2로 구분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수신 동작 1은 단말로부터 NAS 메시지를 통해 단말 능력(DRB/PDN 세션 개수)를 보고 받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고 수신 동작 2는 단말로부터 NAS 메시지를 통해 단말 능력(DRB/PDN 세션 개수)를 보고 받지 않고 기지국이 대신 보고하는 방법이다.
1i-05 단계에서 수신 동작 1로 동작할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1i-10 단계에서 단말이 지원하는 단말 능력(DRB/PDN 세션 개수)을 NAS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고 1i-15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지원하는 기지국 능력(DRB/PDN 세션 개수)을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S1 or N2/N3)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기지국과 단말은 LTE, eLTE 혹은 NR을 지원하는 단말과 기지국일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및 NAS 메시지는 단말과 기지국의 버전을 따른다. 1i-20 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과 기지국을 통해 독립적으로 수신한 capability를 기반으로 서비스/슬라이스 별로 데이터 및 PDN 세션 연결을 배분하여 전달한다. 즉, 매핑 룰을 업데이트 하여 전달한 후 설정에 따라 데이터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1i-05 단계에서 수신 동작 2로 동작할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1i-25 단계에서 단말이 지원하는 단말 능력(DRB/PDN 세션 개수)과 기지국이 지원하는 기지국 능력(DRB/PDN 세션 개수)을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S1 or N2/N3)를 통해 수신한다. 이러한 과정은 기지국을 통해 통합된 capability를 수신하는 것으로 단말과 기지국 능력이 모두 포함되어 전달되거나, 기지국이 capability를 가공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다. 1i-30 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기지국을 통해 통합적으로 수신한 capability를 기반으로 서비스/슬라이스 별로 데이터 및 PDN 세션 연결을 배분하여 전달한다. 즉, 매핑 룰을 업데이트 하여 전달한 후 설정에 따라 데이터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가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특정 단말에게 지원할 수 있는 PDU 세션의 수를 확실히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단말에게 필요한 서비스들을 데이터 무선 베어러와 PDU 세션으로 잘 분포시켜 전달할 수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새롭게 도입되는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은 크게 두 가지의 설정이 가능하다. 초기에 설정되는 기본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과 동적으로 설정이 가능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이 존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를 위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의 사용에 있어서, 초기에 설정되는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과 이후에 설정되는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의 사용에 대해 적용되는 타이머 동작을 설명한다. 즉,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의 적용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BWP, BandWidth Part) 적용 기술이란, 한 단말이 한 셀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system bandwidth) 중, 일부 주파수 대역폭만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NR에서는 LTE와 비교해서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400MHz 대역폭)을 지원하기 때문에, 해당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만족하는 단말은 구현상에 부담이 클 수 있고, 일부 단말의 경우에는 작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폭만을 지원해도 문제가 없을 수 있다. BWP은 단말 제조 비용 절감 혹은 단말 절전 목적으로 이용된다. BWP은 이를 지원하는 단말에 한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NR에서는 크게 3 가지의 BWP 운용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제1 시나리오는 한 셀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 (2e-05)보다 좁은 주파수 대역폭 (2e-10)만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 BWP을 적용하는 것이다.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해, 특정 단말은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기지국에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만을 지원한다고 보고해야 하며, 기지국은 이에 따라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혹은 그 이하의 BWP을 설정한다.
제2 시나리오는 단말 절전을 목적으로 BWP을 적용하는 것이다. 일 예로, 한 단말이 한 셀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 전체 (2e-15) 혹은, 그 일부 주파수 대역폭 (2e-20)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절전을 목적으로 통신 기지국이 그보다 더 좁은 주파수 대역폭 (2e-25)을 설정할 수 있다.
제3 시나리오는 각기 다른 Numerology에 대응하는 개별적인 BWP을 적용하는 것이다. Numerology란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에 맞춰 최적의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물리 계층 설정을 다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복수 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OFDMA 구조에서 서브캐리어간 이격 거리를 소정의 요구사항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 단말은 동시에 복수 개의 Numerology을 적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때, 각 Numerology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 설정은 상이하기 때문에 , 각 Numerology를 개별적인 BWP (2e-35, 2e-40)로 분리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R에서는 각 단말마다 지원 가능한 대역폭이 상이하기 때문에, 초기 엑세스에서는 모든 단말이 적용 가능한 기본 BWP으로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며, 소정의 시점부터 특정 단말을 위한 BWP가 적용된다. 이때 적용된 BWP는 소정의 시그널링을 통해 변경 가능하며, 핸드오버 시 타겟 셀에서 적용될 BWP은 소정의 시그널링 통해 단말에게 지시된다. 또한, 단말을 위한 특정 BWP의 사용을 특정하기 위한 BWP 타이머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BWP 타이머는 RRC 시그널링으로 전달될 수 있다. BWP 타이머는 활성화된 BWP의 사용이 없는 경우에는 설정된 BWP의 사용을 중단하고 초기 적용된 기본 BWP로 돌아가는 동작을 의미한다. BWP 타이머를 통한 BWP 스위칭 동작은 적절한 BWP로의 fallback 동작과 단말 전력의 감소를 목적으로 기지국이 설정 가능하다.
도 1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위한 타이머 기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특정 주파수 위치에서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Minimum System Information(MSI) 정보를 수신한다(2f-05). MSI는 미리 정해진 무선 자원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며, 해당 셀에 camp-on 하거나 초기 엑세스를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MSI는 초기 엑세스를 위해 적용되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 BWP는 초기 BWP 혹은 initial BWP로 정의할 수 있다. BWP의 설정 정보에는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 정보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별도로 지시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은 적어도 지시되는 주파수 대역폭 내에 존재해야 한다. 주파수 대역폭 정보는 PRB 개수 혹은 Hz 단위로 지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BWP의 하향링크 설정 정보는 MSI의 그것을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MSI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별도로 포함할 필요가 없거나, 상향링크 주파수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만 포함한다.
단말은 제1 BWP을 적용하여(2f-10), 후속 절차를 수행한다. 후속 절차란 랜덤 액세스 과정 및 소정의 제어 메시지 수신이다. 랜덤 액세스 과정(2f-15)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전송, 단말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RAR, Random access response) 전송, 기지국으로 msg3 메시지 전송, 단말로 msg4 메시지 전송으로 이루어진다. 단말은 프리앰블을 MSI에서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프리앰블 전송 후,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R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말이 RAR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RAR에서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3 메시지를 전송한다. 소정의 시간 내, 단말은 msg4을 수신하며, 최종적으로 시도한 랜덤 액세스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모든 무선 자원은 적어도 제1 BWP 내에 존재해야 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 중 혹은 성공적으로 완료한 직후, 여전히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의 능력 정보를 보고한다(2f-20). 능력 정보는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2f-25). RRC 메시지에는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BWP들에 대한 리스트와 해당 서빙 셀에 유효한 BWP 타이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BWP 설정에는 BWP 인덱스 및 구체적인 BWP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은 RRC 메시지로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BWP들에 대해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BWP 정보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별로 지시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폭은 단말의 능력 정보에 포함된 최대 주파수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는다. 더불어, BWP 리스트에 포함된 BWP들 중에서 기지국은 제2 BWP와 제3 BWP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BWP는 기본 BWP 혹은 default BWP로 정의되며, 단말이 해당 서빙 셀에서 다른 BWP로 동작하다가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다시 돌아가서 동작하게 되는 fallback BWP이다. 또한, 제3 BWP는 기지국이 다수의 BWP들 중에서 RRC 설정을 통해 초기에 활성화되는 BWP를 의미한다. 제2 BWP와 제3 BWP는 같은 BWP가 설정될 수 있고, 다른 BWP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단말이 복수 개의 Numerology을 지원하고, 기지국이 Numerology별로 BWP을 설정하기 원한다면, RRC 메시지는 복수 개의 BWP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BWP는 동일 대역폭을 유지하면서 중심 주파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frequency hopping이라고 칭하며, 패턴 정보 및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설정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BWP들를 활성화시키는 지시자는 RRC 메시지 내에 함께 포함되거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 해당 BWP의 활성화를 트리거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2f-3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제2 BWP(초기 활성화 BWP, first activated BWP)를 이용해 통신을 수행한다. 2f-35 단계에서 단말은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DCI에 활성화가 필요한 BWP의 인덱스 정보 전달)하게 되고, 이후 해당 셀에 유효한 하향링크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f-40), 설정된 BWP로 스위칭한다(2f-45). 하향링크 BWP 타이머는 단말이 지시받은 활성화 DL BWP를 얼마나 사용할지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SCH 자원을 지시하는 DCI를 PDCCH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2f-50), DL BWP 타이머는 재시작 한다(2f-55). 만약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제2 BWP (기본 BWP)로 다시 fallback 한다(2f-60, 2f-65). 이는 설정된 DL BWP를 통해 어느정도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 설정된 DL BWP를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혹은, 명시적으로 DCI에 해당 BWP 인덱스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를 지시하고, 설정된 BWP를 다른 BWP로 재설정하거나, 기본 BWP로 재설정할 수 있다. UL(Uplink, 상향링크) BWP의 경우에는 DL(Downlink, 하향링크) BWP와 pair되어 있는 경우(TDD, time division duplex)에는 DL BWP 타이머 기반의 동작, 즉, 타이머 만료 후 기본 BWP로 돌아가서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UL BWP와 DL BWP가 unpaired 되어 있는 경우(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는 UL BWP의 경우에는 PDCCH를 통해 명시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거나, 독립된 BWP 타이머를 주거나, DL BWP 만료에 따라 같이 기본 UL BWP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2g-05 단계에서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한 이후, 도 11에서 설명한 BWP 타이머 기반의 활성화/비활성화 동작을 기반으로 한다고 가정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주변 셀들에 대한 측정을 지시할 수 있고, 단말은 해당하는 주변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2g-10). 서빙 기지국은 측정 정보를 토대로, 단말이 인접 셀로 핸드오버(Handover, HO)를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핸드오버는 연결 모드 상태인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셀을 다른 기지국으로 변경하는 기술이다. 서빙 셀이 핸드오버를 결정하였다면 서빙 셀은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새로운 기지국, 즉 타겟 기지국(Traget eNB)에게 HO(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보내어 핸드오버를 요청한다(2g-15). 타겟 셀이 핸드오버 요청을 수락한다면 서빙 셀에게 HO request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2g-20). HO request Ack 메시지를 수신한 서빙 셀은 단말에게 HO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한다(2g-25). HO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은 서빙 셀로부터 하향링크 채널 PDCCH/PDSCH/PHICH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상향링크 채널 PUSCH/PUCCH을 송신한다. HO command 메시지는 서빙 셀이 단말에게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달한다(2g-25). 핸드오버 메시지에는 타겟 셀의 초기 활성화 상향링크/하향링크 BWP 설정 정보(중심 주파수, 주파수 대역, 시간(서브프레임 혹은 슬롯) 정보)가 전달될 수 있고, 셀 아이디, 타겟 셀에서의 단말 식별자(C-RNTI), 타겟 셀의 무선 자원 설정 정보 등도 포함된다. 만약 RRC 메시지에 타겟 셀에서의 하향링크 초기 BWP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단말은 타겟 셀의 MSI를 수신해서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HO command를 수신하고, 타겟 셀과 하향링크 동기가 맞게 되면, 서빙 셀에서 작동하고 있던 모든 하향링크 BWP 타이머를 중단하고, 타겟 셀로부터 수신한 초기 활성화 BWP로 스위칭한다. 즉, 서빙 셀에서 MAC entity가 reset 될 때 모든 BWP 타이머들을 중단시킨다.
이후 서빙 셀은 상향/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시퀀스 번호 상태(Sequence number(SN) status)를 타겟 셀로 전달하고 하향 링크 데이터가 있다면 타겟 셀로 전달해준다(2g-30, 2g-35). 단말은 타겟 셀로부터 지시받은 초기 BWP 설정에 따라 설정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BWP(2g-40)를 통해 타겟 셀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한다(2g-45). 랜덤 액세스 절차는 타겟 셀에게 단말이 핸드오버를 통해, 이동한다는 것을 알림과 동시에,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함이다. 랜덤 액세스를 위해, 단말은 서빙 셀로부터 제공받은 프리앰블 ID 혹은 랜덤하게 선택된 프리앰블 ID에 대응되는 프리앰블을 타겟 셀에게 전송한다. 프리앰블 전송 후, 특정 수의 서브프레임이 지난 후, 단말은 타겟 셀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Random Access Response, RAR)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모니터링하는 시간 구간을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Random Access Response Window, RAR window)라고 칭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 구간 내에 RAR이 수신되면, 단말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에 HO complete 메시지를 실어서 타겟 셀에게 전송한다(2g-50). 이후 단말은 타겟 셀로부터 하향링크 채널 PDCCH/PDSCH/PHICH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상향링크 채널 PUSCH/PUCCH을 송신한다. 타겟 셀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단말은 핸드오버를 위한 타이머를 종료하고, 타겟 셀은 서빙 셀로 설정되어 있던 베어러들의 경로를 수정하기 위해 경로 수정을 요청하고 서빙 셀로 단말의 UE 컨텍스트를 삭제할 것을 통보한다.
2g-55 단계에서 단말은 핸드오버가 완료된 이후 타겟 셀로부터 2f-25 단계에서와 같이, RRC 메시지를 통해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BWP들에 대한 리스트와 해당 서빙 셀에 유효한 BWP 타이머 정보를 제공받는다.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BWP 설정에는 BWP 인덱스 및 구체적인 BWP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은 RRC 메시지로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BWP들에 대해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BWP 정보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별로 지시할 수 있다. 더불어, BWP 리스트에 포함된 BWP들 중에서 기지국은 제2 BWP와 제3 BWP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BWP는 기본 BWP 혹은 default BWP로 정의되며, 단말이 해당 서빙 셀에서 다른 BWP로 동작하다가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다시 돌아가서 동작하게 되는 fallback BWP이다. 또한, 제3 BWP는 기지국이 다수의 BWP들 중에서 RRC 설정을 통해 초기에 활성화되는 BWP를 의미한다. 제2 BWP와 제3 BWP는 같은 BWP가 설정될 수 있고, 다른 BWP로 설정될 수도 있다. 설정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BWP들를 활성화시키는 지시자는 RRC 메시지 내에 함께 포함되거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 해당 BWP의 활성화를 트리거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기지국이 지시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제2 BWP(초기 활성화 BWP, first activated BWP)를 이용해 통신을 수행한다. 2g-60 단계에서 단말은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DCI에 활성화가 필요한 BWP의 인덱스 정보 전달)하게 되고, 이후 해당 셀에 유효한 하향링크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g-65), 단말은 설정된 BWP로 스위칭한다(2g-70). 하향링크 BWP 타이머는 단말이 지시받은 활성화 DL BWP를 얼마나 사용할지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SCH 자원을 지시하는 DCI를 PDCCH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2g-75), DL BWP 타이머는 재시작 한다(2g-80).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제2 BWP(기본 BWP)로 다시 fallback 한다(2g-85, 2g-90). 이는 설정된 DL BWP를 통해 어느정도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 설정된 DL BWP를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혹은, 명시적으로 DCI에 해당 BWP 인덱스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를 지시하고, 설정된 BWP를 다른 BWP로 재설정하거나, 기본 BWP로 재설정할 수 있다. UL BWP의 경우에는 DL BWP와 pair되어 있는 경우(TDD, time division duplex)에는 DL BWP 타이머 기반의 동작, 즉, 타이머 만료 후 기본 BWP로 돌아가서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UL BWP와 DL BWP가 unpaired 되어 있는 경우(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는 UL BWP의 경우에는 PDCCH를 통해 명시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거나, 독립된 BWP 타이머를 주거나, DL BWP 만료에 따라 같이 기본 UL BWP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상술한 핸드오버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SCell(Secondary cell)에 대한 활성화 동작이 수행된다면, 즉 기지국으로부터 2g-55 단계에서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SCell 추가를 위한 설정(SCell 인덱스 및 셀 식별자, BWP 설정(제2 BWP(기본 BWP), 제3 BWP(초기 활성화 BWP)), 무선 채널 설정, BWP 타이머)을 수신한다면, 2g-95 단계에서 설정된 SCell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는 MAC CE를 통해 지시될 수 있고 SCell 활성화 지시를 수신한 단말은 제3 BWP로 동작을 하다가, 특정 BWP 활성화 지시를 PDCCH(DCI에 특정 BWP의 인덱스 지시)로 수신하게 되면, 설정된 SCell의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g-100), 지시된 SCell의 BWP로 스위칭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지시된 BWP를 통해 이후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PDCCH(DCI)를 수신하게 되면(2g-110), 단말과 기지국은 해당 SCell을 위한 BWP 타이머를 재시작한다(2g-115). 만약 SCell의 하향링크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2g-120), 단말은 제 2 BWP로 스위칭하여 동작한다(2g-125).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연결 재설정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특정 주파수 위치에서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Minimum System Information(MSI) 정보를 수신한다(2h-05). MSI는 미리 정해진 무선 자원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며, 해당 셀에 camp-on 하거나 초기 엑세스를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MSI는 초기 엑세스를 위해 적용되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 BWP는 초기 BWP 혹은 initial BWP로 정의할 수 있다. BWP의 설정 정보에는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 정보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별도로 지시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은 적어도 지시되는 주파수 대역폭 내에 존재해야 한다. 주파수 대역폭 정보는 PRB 개수 혹은 Hz 단위로 지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BWP의 하향링크 설정 정보는 MSI의 그것을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MSI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별도로 포함할 필요가 없거나, 상향링크 주파수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만 포함한다.
단말은 제1 BWP을 적용하여(2h-10), 후속 절차를 수행한다. 후속 절차란 랜덤 액세스 과정 및 소정의 제어 메시지 수신이다. 랜덤 액세스 과정(2h-15)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전송, 단말로 랜덤 액세스 응답메시지(RAR, Random access response) 전송, 기지국으로 msg3 메시지 전송, 단말로 msg4 메시지 전송으로 이루어진다. 단말은 프리앰블을 MSI에서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프리앰블 전송 후,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R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말이 RAR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RAR에서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3 메시지를 전송한다. 소정의 시간 내, 단말은 msg4을 수신하며, 최종적으로 시도한 랜덤 액세스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모든 무선 자원은 적어도 제1 BWP 내에 존재해야 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 중 혹은 성공적으로 완료한 직후, 여전히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의 능력 정보를 보고한다(2h-20). 능력 정보에는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2h-25). RRC 메시지에는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BWP들에 대한 리스트와 해당 서빙 셀에 유효한 BWP 타이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BWP 설정에는 BWP 인덱스 및 구체적인 BWP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은 RRC 메시지로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BWP들에 대해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BWP 정보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별로 지시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폭은 단말의 능력 정보에 포함된 최대 주파수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는다. 더불어, BWP 리스트에 포함된 BWP들 중에서 기지국은 제2 BWP와 제3 BWP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BWP는 기본 BWP 혹은 default BWP로 정의되며, 단말이 해당 서빙 셀에서 다른 BWP로 동작하다가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다시 돌아가서 동작하게 되는 fallback BWP이다. 또한, 제3 BWP는 기지국이 다수의 BWP들 중에서 RRC 설정을 통해 초기에 활성화되는 BWP를 의미한다. 제2 BWP와 제3 BWP는 같은 BWP가 설정될 수 있고, 다른 BWP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단말이 복수 개의 Numerology을 지원하고, 기지국이 Numerology별로 BWP을 설정하기 원한다면, RRC 메시지는 복수 개의 BWP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BWP는 동일 대역폭을 유지하면서 중심 주파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frequency hopping이라고 칭하며, 패턴 정보 및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설정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BWP들를 활성화시키는 지시자는 RRC 메시지 내에 함께 포함되거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 해당 BWP의 활성화를 트리거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2h-3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제 2 BWP(초기 활성화 BWP, first activated BWP)를 이용해 통신을 수행한다. 2h-35 단계에서 단말은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DCI에 활성화가 필요한 BWP의 인덱스 정보 전달)하게 되고, 이후 해당 셀에 유효한 하향링크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h-40), 설정된 BWP로 스위칭한다(2h-45). 하향링크 BWP 타이머는 단말이 지시받은 활성화 DL BWP를 얼마나 사용할지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SCH 자원을 지시하는 DCI를 PDCCH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 DL BWP 타이머는 재시작 한다. 만약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제 2 BWP (기본 BWP)로 다시 fallback 한다. 이는 설정된 DL BWP를 통해 어느정도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 설정된 DL BWP를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혹은, 명시적으로 DCI에 해당 BWP 인덱스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를 지시하고, 설정된 BWP를 다른 BWP로 재설정하거나, 기본 BWP로 재설정할 수 있다. UL(Uplink, 상향링크) BWP의 경우에는 DL(Downlink, 하향링크) BWP와 pair되어 있는 경우(TDD, time division duplex)에는 DL BWP 타이머 기반의 동작, 즉, 타이머 만료 후 기본 BWP로 돌아가서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UL BWP와 DL BWP가 unpaired 되어 있는 경우(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는 UL BWP의 경우에는 PDCCH를 통해 명시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거나, 독립된 BWP 타이머를 주거나, DL BWP 만료에 따라 같이 기본 UL BWP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2h-25 단계에서 기지국이 RRC reconfiguration을 통해 SCell 추가를 위한 설정(SCell 인덱스 및 셀 식별자, BWP 설정(제2 BWP(기본 BWP), 제3 BWP(초기 활성화 BWP)), 무선 채널 설정, BWP 타이머)을 한다면, 2h-50 단계에서 설정된 SCell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지시자(MAC CE) 및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지시자(PDCCH)를 수신하게 되면, 설정된 SCell의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h-55), 지시된 SCell의 BWP로 스위칭하여 통신을 수행한다(2h-60). 지시된 BWP를 통해 이후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PDCCH(DCI)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과 기지국은 해당 SCell을 위한 BWP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만약 SCell의 하향링크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단말은 제2 BWP로 스위칭하여 동작한다. 기본적으로 PCell(Primary Cell)과 SCell에서는 독립적으로 BWP가 설정되어 동작을 하게 되며, BWP 타이머들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동안에 RRC reestablishment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2h-65). RRC reestablishment 절차란 단말이 RLF(radio link failure), 핸드오버 실패, integrity check 실패, reconfiguration 실패 등의 이유로 현재 서빙 셀에서의 연결을 재수립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RRC reestablishment 절차가 트리거링 되면, 단말은 현재 동작 중인 모든 셀에서의 BWP 타이머를 중단하고(2h-70, 2h-75), 적합한 셀을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2h-80). 이후 RRC reestablishment 절차가 적합한 셀에서 완벽하게 수행되고난 이후(2h-85~2h-95), 단말은 2h-35 ~ 2h-60 단계에서와 같이 서빙 셀 별 BWP 활성화 및 스위칭 동작을 한다. 즉, 활성화가 지시된 셀의 BWP에 대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지시된 BWP로 스위칭한다(2h-105).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RRC INACTIVE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의 천이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특정 주파수 위치에서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Minimum System Information(MSI) 정보를 수신한다(2i-05). MSI는 미리 정해진 무선 자원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며, 해당 셀에 camp-on 하거나 초기 엑세스를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MSI는 초기 엑세스를 위해 적용되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 BWP는 초기 BWP 혹은 initial BWP로 정의할 수 있다. BWP의 설정 정보에는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 정보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별도로 지시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은 적어도 지시되는 주파수 대역폭 내에 존재해야 한다. 주파수 대역폭 정보는 PRB 개수 혹은 Hz 단위로 지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BWP의 하향링크 설정 정보는 MSI의 그것을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MSI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별도로 포함할 필요가 없거나, 상향링크 주파수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만 포함한다.
단말은 제1 BWP을 적용하여(2i-10), 후속 절차를 수행한다. 후속 절차란 랜덤 액세스 과정 및 소정의 제어 메시지 수신이다. 랜덤 액세스 과정(2i-15)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전송, 단말로 랜덤 액세스 응답메시지(RAR, Random access response) 전송, 기지국으로 msg3 메시지 전송, 단말로 msg4 메시지 전송으로 이루어진다. 단말은 프리앰블을 MSI에서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프리앰블 전송 후,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R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말이 RAR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RAR에서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3 메시지를 전송한다. 소정의 시간 내, 단말은 msg4을 수신하며, 최종적으로 시도한 랜덤 액세스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모든 무선 자원은 적어도 제1 BWP 내에 존재해야 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 중 혹은 성공적으로 완료한 직후, 여전히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의 능력 정보를 보고한다(2i-20). 능력 정보에는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2i-25). RRC 메시지에는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BWP들에 대한 리스트와 해당 서빙 셀에 유효한 BWP 타이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BWP 설정에는 BWP 인덱스 및 구체적인 BWP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은 RRC 메시지로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BWP들에 대해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BWP 정보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별로 지시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폭은 단말의 능력 정보에 포함된 최대 주파수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는다. 더불어, BWP 리스트에 포함된 BWP들 중에서 기지국은 제2 BWP와 제3 BWP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BWP는 기본 BWP 혹은 default BWP로 정의되며, 단말이 해당 서빙 셀에서 다른 BWP로 동작하다가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다시 돌아가서 동작하게 되는 fallback BWP이다. 또한, 제3 BWP는 기지국이 다수의 BWP들 중에서 RRC 설정을 통해 초기에 활성화되는 BWP를 의미한다. 제2 BWP와 제3 BWP는 같은 BWP가 설정될 수 있고, 다른 BWP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복수 개의 Numerology을 지원하고, 기지국이 Numerology별로 BWP을 설정하기 원한다면, RRC 메시지는 복수 개의 BWP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BWP는 동일 대역폭을 유지하면서 중심 주파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frequency hopping이라고 칭하며, 패턴 정보 및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설정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BWP들를 활성화시키는 지시자는 제어 메시지 내에 함께 포함되거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 해당 BWP의 활성화를 트리거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2i-3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제2 BWP(초기 활성화 BWP, first activated BWP)를 이용해 통신을 수행한다. 2i-35 단계에서 단말은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DCI에 활성화가 필요한 BWP의 인덱스 정보 전달)하게 되고, 이후 해당 셀에 유효한 하향링크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i-40), 설정된 BWP로 스위칭한다(2i-45). 하향링크 BWP 타이머는 단말이 지시받은 활성화 DL BWP를 얼마나 사용할지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SCH 자원을 지시하는 DCI를 PDCCH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 DL BWP 타이머는 재시작 한다. 만약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제2 BWP (기본 BWP)로 다시 fallback 한다. 이는 설정된 DL BWP를 통해 어느정도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 설정된 DL BWP를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혹은, 명시적으로 DCI에 해당 BWP 인덱스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를 지시하고, 설정된 BWP를 다른 BWP로 재설정하거나, 기본 BWP로 재설정할 수 있다. UL(Uplink, 상향링크) BWP의 경우에는 DL(Downlink, 하향링크) BWP와 pair되어 있는 경우(TDD, time division duplex)에는 DL BWP 타이머 기반의 동작, 즉, 타이머 만료 후 기본 BWP로 돌아가서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UL BWP와 DL BWP가 unpaired 되어 있는 경우(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는 UL BWP의 경우에는 PDCCH를 통해 명시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거나, 독립된 BWP 타이머를 주거나, DL BWP 만료에 따라 같이 기본 UL BWP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2i-25 단계에서 기지국이 RRC reconfiguration을 통해 SCell 추가를 위한 설정(SCell 인덱스 및 셀 식별자, BWP 설정(제 2 BWP(기본 BWP), 제 3 BWP(초기 활성화 BWP)), 무선 채널 설정, BWP 타이머)을 한다면, 2i-50 단계에서 설정된 SCell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지시자(MAC CE)를 및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지시자(PDCCH)를 수신하게 되면, 설정된 SCell의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i-55), 지시된 SCell의 BWP로 스위칭하여 통신을 수행한다(2i-60). 지시된 BWP를 통해 이후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PDCCH(DCI)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과 기지국은 해당 SCell을 위한 BWP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만약 SCell의 하향링크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단말은 제2 BWP로 스위칭하여 동작한다. 기본적으로 PCell(Primary Cell)과 SCell에서는 독립적으로 BWP가 설정되어 동작을 하게 되며, BWP 타이머들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동안에 INACTIVE 상태로의 천이가 지시될 수 있다(2i-65). INACTIVE 상태로의 천이는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로 지시되거나 inactive로의 천이를 지시하는 다른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에는 RAN paging area 및 resume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INACTIVE 상태로의 천이는 송수신 데이터의 부재 혹은 네트워크에서 단말을 비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특정 이유로 단말의 연결 상태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연결 상태에서의 context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이후의 resume 절차(RRC 연결상태로의 천이) 때 사용될 수 있다.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절차가 트리거링 되면, 단말은 현재 동작 중인 모든 셀에서의 BWP 타이머를 중단하고(2i-70, 2i-75), 이후 RRC 연결상태로의 천이 혹은 RRC resume 절차가 수행될 때까지 INACTIVE 상태로 대기한다. 이후 RRC 연결상태로의 천이 혹은 RRC resume 절차가 특정 이유(상하향링크 데이터 발생)를 통해 트리거링된다면(2i-80), 단말은 2i-35 ~ 2i-60 단계에서와 같이 서빙 셀 별 BWP 활성화 및 스위칭 동작을 한다. 즉, 활성화가 지시된 셀의 BWP에 대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i-85) 지시된 BWP로 스위칭한다(2i-90).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셀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황에서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 타이머가 적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특정 주파수 위치에서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Minimum System Information(MSI) 정보를 수신한다(2j-05). MSI는 미리 정해진 무선 자원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며, 해당 셀에 camp-on 하거나 초기 엑세스를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MSI는 초기 엑세스를 위해 적용되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 BWP는 초기 BWP 혹은 initial BWP로 정의할 수 있다. BWP의 설정 정보에는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 정보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별도로 지시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은 적어도 지시되는 주파수 대역폭 내에 존재해야 한다. 주파수 대역폭 정보는 PRB 개수 혹은 Hz 단위로 지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BWP의 하향링크 설정 정보는 MSI의 그것을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MSI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별도로 포함할 필요가 없거나, 상향링크 주파수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만 포함한다.
단말은 제1 BWP을 적용하여(2j-10), 후속 절차를 수행한다. 후속 절차란 랜덤 액세스 과정 및 소정의 제어 메시지 수신이다. 랜덤 액세스 과정(2j-15)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전송, 단말로 랜덤 액세스 응답메시지(RAR, Random access response) 전송, 기지국으로 msg3 메시지 전송, 단말로 msg4 메시지 전송으로 이루어진다. 단말은 프리앰블을 MSI에서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프리앰블 전송 후,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R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말이 RAR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RAR에서 지시하는 무선 자원에서 msg3 메시지를 전송한다. 소정의 시간 내, 단말은 msg4을 수신하며, 최종적으로 시도한 랜덤 액세스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모든 무선 자원은 적어도 제1 BWP 내에 존재해야 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 중 혹은 성공적으로 완료한 직후, 여전히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의 능력 정보를 보고한다(2j-20). 능력 정보에는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BWP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2j-25). RRC 메시지에는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BWP들에 대한 리스트와 해당 서빙 셀에 유효한 BWP 타이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BWP 설정에는 BWP 인덱스 및 구체적인 BWP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은 RRC 메시지로 해당 서빙 셀에서 지원하는 BWP들에 대해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BWP 정보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별로 지시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폭은 단말의 능력 정보에 포함된 최대 주파수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는다. 더불어, BWP 리스트에 포함된 BWP들 중에서 기지국은 제2 BWP와 제3 BWP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BWP는 기본 BWP 혹은 default BWP로 정의되며, 단말이 해당 서빙 셀에서 다른 BWP로 동작하다가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다시 돌아가서 동작하게 되는 fallback BWP이다. 또한, 제3 BWP는 기지국이 다수의 BWP들 중에서 RRC 설정을 통해 초기에 활성화되는 BWP를 의미한다. 제2 BWP와 제3 BWP는 같은 BWP가 설정될 수 있고, 다른 BWP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복수 개의 Numerology을 지원하고, 기지국이 Numerology별로 BWP을 설정하기 원한다면, RRC 제어 메시지는 복수 개의 BWP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BWP는 동일 대역폭을 유지하면서 중심 주파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frequency hopping이라고 칭하며, 패턴 정보 및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설정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BWP들를 활성화시키는 지시자는 제어 메시지 내에 함께 포함되거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 해당 BWP의 활성화를 트리거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2j-3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제2 BWP(초기 활성화 BWP, first activated BWP)를 이용해 통신을 수행한다. 2j-35 단계에서 단말은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DCI에 활성화가 필요한 BWP의 인덱스 정보 전달)하게 되고, 이후 해당 셀에 유효한 하향링크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j-40), 설정된 BWP로 스위칭한다(2j-45). 하향링크 BWP 타이머는 단말이 지시받은 활성화 DL BWP를 얼마나 사용할지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SCH 자원을 지시하는 DCI를 PDCCH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 DL BWP 타이머는 재시작 한다. 만약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2j-65)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제2 BWP (기본 BWP)로 다시 fallback 한다(2j-70). 이는 설정된 DL BWP를 통해 어느정도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 설정된 DL BWP를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혹은, 명시적으로 DCI에 해당 BWP 인덱스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를 지시하고, 설정된 BWP를 다른 BWP로 재설정하거나, 기본 BWP로 재설정할 수 있다. UL(Uplink, 상향링크) BWP의 경우에는 DL(Downlink, 하향링크) BWP와 pair되어 있는 경우(TDD, time division duplex)에는 DL BWP 타이머 기반의 동작, 즉, 타이머 만료 후 기본 BWP로 돌아가서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UL BWP와 DL BWP가 unpaired 되어 있는 경우(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는 UL BWP의 경우에는 PDCCH를 통해 명시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거나, 독립된 BWP 타이머를 주거나, DL BWP 만료에 따라 같이 기본 UL BWP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2j-25 단계에서 기지국이 RRC reconfiguration을 통해 SCell 추가를 위한 설정(SCell 인덱스 및 셀 식별자, BWP 설정(제 2 BWP(기본 BWP), 제 3 BWP(초기 활성화 BWP)), 무선 채널 설정, BWP 타이머)을 한다면, 2j-50 단계에서 설정된 SCell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지시자(MAC CE)를 및 특정 BWP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지시자(PDCCH)를 수신하게 되면, 설정된 SCell의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j-55), 지시된 SCell의 BWP로 스위칭하여 통신을 수행한다(2j-60). 지시된 BWP를 통해 이후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PDCCH(DCI)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과 기지국은 해당 SCell을 위한 BWP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만약 SCell의 하향링크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단말은 제2 BWP로 스위칭하여 동작한다. 기본적으로 PCell(Primary Cell)과 SCell에서는 독립적으로 BWP가 설정되어 동작을 하게 되며, BWP 타이머들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동안에 명시적으로 SCell에 대한 비활성화(deactivation)를 지시할 수 있다(2j-75). SCell deactivation은 MAC CE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단말은 SCell deactivation을 수신하게 되면 동작하고 있던 SCell BWP 타이머를 중단한다.
이후 2j-80 단계에서 특정 SCell에 대한 activation과 특정 BWP에 대한 활성화가 지시된다면, 단말은 2j-35 ~ 2j-60 단계에서와 같이 서빙 셀 별 BWP 활성화 및 스위칭 동작을 한다. 즉, 활성화가 지시된 셀의 BWP에 대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2j-85) 지시된 BWP로 스위칭한다(2j-90).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특정 주파수 위치에서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Minimum System Information(MSI) 정보를 수신한다(2k-05). MSI는 미리 정해진 무선 자원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며, 해당 셀에 camp-on 하거나 초기 엑세스를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MSI는 초기 엑세스를 위해 적용되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 BWP는 초기 BWP 혹은 initial BWP로 정의할 수 있다. BWP의 설정 정보에는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 정보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별도로 지시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은 적어도 지시되는 주파수 대역폭 내에 존재해야 한다. 주파수 대역폭 정보는 PRB 개수 혹은 Hz 단위로 지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BWP의 하향링크 설정 정보는 MSI의 그것을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MSI는 제1 BWP의 설정 정보를 별도로 포함할 필요가 없거나, 상향링크 주파수 정보,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 정보만 포함한다.
단말은 제1 BWP을 적용하여(2k-10), 이후의 랜덤 액세스 및 RRC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한다. 2k-1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2 BWP(기본 BWP) 정보와 제3 BWP(초기 활성화 BWP) 및 나머지 BWP 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고, RRC로 지시된 초기 활성화 BW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RRC 메시지에는 서빙 셀별 BWP 타이머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2k-20 단계에서 설정된 BWP 리스트 중에서 특정 BWP를 활성화 시키는 지시자가 PDCCH를 통해 수신된다면, 단말은 2k-25 단계에서 해당 서빙 셀에서 BW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지시된 BWP로 스위칭해서 이후의 통신을 수행한다. 2k-30 단계에서 단말이 동작 중인 BWP에서 타이머가 만료하기 이전에 데이터 수신을 위한 자원을 스케쥴링하는 PDCCH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은 2k-35 단계에서 BWP 타이머를 재시작하고 동작 중인 BWP에서 계속 동작한다. 하지만 해당 셀에서의 BWP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면, 즉, 데이터 송수신이 한동안 수행되지 않는다면, 단말은 2k-40 단계에서 제3 BWP로 스위칭한다.
2k-20 단계에서 RRC 메시지로 설정된 BWP 리스트 중에서 특정 BWP를 활성화 시키는 지시자가 PDCCH를 통해 수신되지 않는다면, 단말은 2k-45 단계에서 설정된 초기 활성화 BWP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BWP 및 제3 BWP는 네트워크의 설정에 따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2k-20 단계에서 설정된 BWP 리스트 중에서 특정 BWP를 활성화 시키는 지시자가 PDCCH를 통해 수신되지 않는다, 단말은 2k-45 단계에서 초기 활성화 BW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술한 전체 동작이 수행되는 어떤 단계에서도 2k-15 단계는 임의의 순간에 발생할 수 있으며, 2k-15 단계에 해당하는 특정 절차들이 트리거링되면 단말은 해당 서빙 셀에서 동작하고 있는 모든 BWP 타이머를 중단하고, 이후의 절차를 따른다. 여기서 특정 절차는 RRC reestablishment 절차, INACTIVE 상태 천이, SCell deactivation 명령 수신 등이다. 이후의 절차는 2k-15 단계를 제외한 BWP 타이머 기반의 BWP 활성화/비활성화 동작으로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RRC 연결 상태에 따라 해당 상황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타이머의 동작을 명확히 함으로써, 단말이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동작을 명확히 할 수 있다.
1: Motivation/Problem Description/Background
BWP timer is introduced (fallback, UE battery saving...)
- A UE starts the timer when it switches its active DL BWP to a DL BWP other than the default DL BWP
- A UE restarts the timer to the initial value when it successfully decodes a DCI to schedule PDSCH(s) in its active DL BWP
- A UE switches its active DL BWP to the default DL BWP when the timer expires
2: Main points
BWP timer is per serving cell (or per carrier)
BWP timer handling upon handover (note; stop = stop and reset)
- UE stops all BWP timers together and switches PCell DL BWP to the initial access BWP of target PCell when DL synchronization for the target cell starts (or stops all BWP timers of a MAC entity, when the MAC entity reset)
- After handover completion, UE starts BWP timer of PCell when DL BWP switching to other than the default DL BWP happen in PCell
- After handover completion and SCell activation, UE starts BWP timer of SCell when DL BWP switching to other than the default DL BWP happen in the SCell
BWP timer handling upon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 UE stops all BWP timers together when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is triggered.
- After suitable cell selection, UE switches to the initial access DL BWP to perform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 After successful completion of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UE starts BWP timer when DL BWP switching to other than the default DL BWP happen
BWP timer handling upon RRC state transition between INACTIVE and CONNECTED
- UE stops all BWP timers together when INACTIVE STATE transition is instructed.
- After successful state transition to CONNECTED, UE starts BWP timer when DL BWP switching to other than the default DL BWP happen
BWP timer handling upon SCell deactivation/activation
- UE stops BWP timer for a SCell when the SCell is deactivated.
- After SCell activation, UE starts BWP timer for the SCell when DL BWP of the SCell switching to other than the default DL BWP happen
When BWP timer expires, UE release configured DL assignments if DL assignment is configured outside of DL default BWP
When BWP timer expires, UE release configured UL grant if the serving cell is TDD cell and if UL grant is configured outside of UL BWP corresponding to DL default BWP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사용과 넓은 대역폭의 사용으로 더 많은 전송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서는 물리적으로 더 많은 안테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빔 포밍 이득과 높은 신호 세기를 얻을 수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시간 자원에 더 많은 데이터를 실어서 하향 링크로 데이터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상향 링크의 경우, 물리적으로 단말은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향 링크 주파수는 높은 주파수 대역과 넓은 대역폭의 사용이 어려우므로 상향 링크 전송 자원이 하향 링크 전송 자원에 비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는 기지국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시에 커버리지가 작아진다는 문제 또한 가지고 있다.
아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 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데이터를 압축하고 기지국에서 이를 압축 해제하는 절차를 제안하고, 압축 해제 실패 시 해결 방법, 즉, 송신단에서 데이터를 압축하고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이를 압축해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절차에 대한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하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데이터를 압축해서 전송하고 단말이 압축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압축 해제하는 절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할 때 기지국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지 여부를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서 단말이 RRC 유휴 모드(RRC idle mode)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RRC Inactive mode 혹은 lightly-connected mode)에서 RRC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로 전환하여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며,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plink Data Compression, UDC)을 수행할 지 여부를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RRC 연결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소정의 이유로 혹은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으면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를 단말에게 보내어 단말을 RRC 유휴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3e-01). 추후에 현재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이하 idle mode UE)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기지국과 RRC connection establishment과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서 기지국과 역방향 전송 동기를 수립하고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3e-05).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와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수납된다.
기지국은 단말이 RRC 연결을 설정하도록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3e-10). RRCConnectionSetup 메시지에는 각 로지컬 채널 별(logicalchannelconfig)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각 PDCP 장치 별(PDCP-config)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을 사용할지 말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는 각 로지컬 채널 혹은 베어러 혹은 각 PDCP 장치(혹은 SDAP 장치)에서 어떤 IP flow 혹은 어떤 QoS flow에 대해서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을 사용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SDA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IP flow 혹은 QoS flow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SDAP 장치가 PDC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할 지 사용하지 않을지를 각 QoS flow에 대해서 지시해줄 수도 있다 혹은 PDCP 장치가 각 QoS flow를 스스로 확인하고(기지국이 설정해준 설정 정보를 토대로 확인), 상향 링크 압축 방법을 적용할 지 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할 것을 지시한다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에서 사용할 미리 정의된 라이브러리(library) 혹은 사전정보(Dictionary)에 대한 식별자 혹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에서 사용할 버퍼 사이즈 크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는 상향 링크 압축 해제를 수행하도록 셋업(setup)하거나 해제(release)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때는 항상 RLC AM 베어러(ARQ 기능, 재전송 기능이 있어 손실이 없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헤더 압축 프로토콜(ROHC)와는 함께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RRCConnectionSetup 메시지에는 RRC 연결 구성 정보 등이 수납된다. RRC 연결은 SRB (Signaling Radio Bearer)라고도 하며,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제어 메시지인 RRC 메시지 송수신에 사용된다.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3e-15). 만약 기지국이 현재 연결을 설정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단말 능력을 모른다면 혹은 단말 능력을 파악하고 싶다면 단말의 능력을 물어보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자신의 능력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에서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plink Data Compression, UDC)을 사용할 수 있는 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보낼 수 있다.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에는 단말이 소정의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 설정을 MME에게 요청하는 SERVICE REQUEST라는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기지국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에 수납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MME로 전송하고 (3e-20), MME는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다면 MME는 기지국에게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3e-25).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에는 DRB (Data Radio Bearer) 설정 시 적용할 QoS (Quality of Service) 정보, 그리고 DRB에 적용할 보안 관련 정보 (예를 들어 Security Key, Security Algorithm)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기지국은 단말과 보안을 설정하기 위해서 SecurityModeCommand 메시지(3e-30)와 SecurityModeComplete 메시지(3e-35)를 교환한다.
보안 설정이 완료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3e-40).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는 각 로지컬 채널 별(logicalchannelconfig)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각 PDCP 장치 별(PDCP-config)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을 사용할지 말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각 로지컬 채널 혹은 베어러 혹은 각 PDCP 장치(혹은 SDAP 장치)에서 어떤 IP flow 혹은 어떤 QoS flow에 대해서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을 사용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SDA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IP flow 혹은 QoS flow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SDAP 장치가 PDC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할지 사용하지 않을지를 각 QoS flow에 대해서 지시해줄 수도 있다 혹은 PDCP 장치가 각 QoS flow를 스스로 확인하고(기지국이 설정해준 설정 정보를 토대로 확인), 상향 링크 압축 방법을 적용할 지 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할 것을 지시한다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에서 사용할 미리 정의된 라이브러리(library) 혹은 사전정보(Dictionary)에 대한 식별자 혹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에서 사용할 버퍼 사이즈 크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상향 링크 압축 해제를 수행하도록 셋업(setup)하거나 해제(release)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때는 항상 RLC AM 베어러(ARQ 기능, 재전송 기능이 있어 손실이 없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헤더 압축 프로토콜(ROHC)와는 함께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처리될 DRB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며, 단말은 이러한 설정 정보를 적용해서 DRB를 설정하고 기지국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3e-45).
단말과 DRB 설정을 완료한 기지국은 MME에게 INITIAL CONTEXT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고 (3e-50), 이를 수신한 MME는 S-GW와 S1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서 S1 BEARER SETUP 메시지와 S1 BEARER SETUP RESPONSE 메시지를 교환한다(3e-055, 3e-60). S1 베어러는 S-GW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용 연결이며 DRB와 1대 1로 대응된다.
이러한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과 S-GW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3e-65, 3e-70). 상슬한 데이터 전송 과정은 크게 RRC 연결 설정, 보안 설정, DRB설정의 3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기지국은 소정의 이유로 단말에게 설정을 새로 해주거나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3e-75).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는 각 로지컬 채널 별(logicalchannelconfig)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각 PDCP 장치 별(PDCP-config)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을 사용할지 말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각 로지컬 채널 혹은 베어러 혹은 각 PDCP 장치(혹은 SDAP 장치)에서 어떤 IP flow 혹은 어떤 QoS flow에 대해서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을 사용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SDA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IP flow 혹은 QoS flow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SDAP 장치가 PDC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할 지 사용하지 않을 지를 각 QoS flow에 대해서 지시해줄 수도 있다 혹은 PDCP 장치가 각 QoS flow를 스스로 확인하고(기지국이 설정해준 설정 정보를 토대로 확인), 상향 링크 압축 방법을 적용할 지 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할 것을 지시한다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에서 사용할 미리 정의된 라이브러리(library) 혹은 사전정보(Dictionary)에 대한 식별자 혹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에서 사용할 버퍼 사이즈 크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상향 링크 압축 해제를 수행하도록 셋업(setup)하거나 해제(release)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때는 항상 RLC AM 베어러(ARQ 기능, 재전송 기능이 있어 손실이 없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헤더 압축 프로토콜(ROHC)와는 함께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서 각 로지컬 채널 혹은 베어러 혹은 각 PDCP 장치(혹은 SDAP 장치)에서 어떤 IP flow 혹은 어떤 QoS flow에 대해서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을 사용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RRC 메시지(AS 메시지)로 혹은 코어 네트워크가 NAS 메시지로 SDA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IP flow 혹은 QoS flow에 대한 정보 혹은 지시자를 설정하여 SDAP 장치가 PDCP 장치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할 지 사용하지 않을 지를 각 QoS flow에 대해서 지시자를 이용하여 지시해줄 수도 있으며, 혹은 PDCP 장치가 각 QoS flow를 스스로 확인하고(기지국 혹은 코어 네트워크가 설정해준 설정 정보 혹은 지시자를 토대로 확인), 상향 링크 압축 방법을 적용할 지 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혹은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TFT(Traffic Flow Template) 필터링 정보에서 UDC 적용 여부 지시자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설정해주어 단말 PDCP 계층 장치가 패킷 별 UDC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plink Data Compression)을 수행하는 절차와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3f-05)는 비디오 전송, 사진 전송, 웹 검색, VoLTE와 같은 서비스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은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TCP/IP 혹은 UDP를 통해 처리되고, 각 헤더(3f-10, 3f-15)를 구성하고 PDCP 계층에 전달될 수 있다. PDCP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데이터(PDCP SDU)를 수신하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도 18에서 3e-10 혹은 3e-40 혹은 3e-75 와 같은 RRC 메시지에 의해서 PDCP 계층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였다면 3f-20과 같이 PDCP SDU에 대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plink Data Compression) 방법을 수행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를 압축하고, 그에 상응하는 UDC 헤더(압축된 상향 링크 데이터를 위한 헤더, 3f-25)를 구성하고, 암호화(ciphering)을 수행하고, 설정되었다면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을 수행하고 PDCP 헤더(3f-30)를 구성하여 PDCP PDU를 구성할 수 있다. PDCP 계층 장치는 UDC 압축/압축해제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RRC 메시지에서 설정된 대로 각 데이터에 대해서 UDC 절차를 수행할지 수행하지 않을 지 판단하고, UDC 압축/압축해제 장치를 사용한다. 송신단에서는 송신 PDCP 계층 장치에서 UDC 압축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고, 수신단에서는 수신 PDCP 계층 장치에서 UDC 압축 해제 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한다.
상술한 설명한 도 18의 절차는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할 때 뿐만 아니라 하향 링크 데이터를 압축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UDC 헤더(3f-15)와 PDCP 헤더(3f-3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UDC 헤더와 PDCP 헤더는 모두 PDCP 계층 장치에서 구성되고 생성되어 접합되는 헤더로써, 두 가지 헤더를 모두 PDCP 헤더라고 부를 수 있다. 아래에서는 UDC 헤더는 PDCP 헤더의 일부분으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DEFLATE 기반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며, DEFLATE 기반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은 손실이 없는 압축 알고리즘이다. DEFLATE 기반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LZ77 알고리즘과 호프만(Huffman) 코딩을 결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를 압축한다.
LZ77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중복된 배열을 찾는 동작을 수행하고, 중복된 배열을 찾을 때 슬라이딩 윈도우를 통해 슬라이딩 윈도우 내에서 중복된 배열을 찾아서 중복된 배열이 있는 경우, 슬라이딩 윈도우 내에서 중복된 배열이 있는 위치와 중복된 정도를 길이로 나타내어 표현하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한다. 슬라이딩 윈도우는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UDC)에서 버퍼라고도 불리며, 8킬로바이트 혹은 32킬로바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윈도우 혹은 버퍼는 8192 개 혹은 32768 개의 문자들에 대해서 기록하고 중복된 배열을 찾아서 위치와 길이로 표현하여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LZ77 알고리즘은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이기 때문에 즉, 이전에 코딩한 데이터들을 버퍼에 업데이트하고, 다시 바로 다음 데이터들에 코딩을 수행하기 때문에 연속되는 데이터들 간에 상관관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먼저 코딩한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디코딩되어야만 그 다음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디코딩이 가능하다.
LZ77 알고리즘으로 위치와 길이로 표현되어 압축된 코드들(위치, 길이 등의 표현)은 호프만(Huffman) 코딩을 통하여 한번 더 압축이 수행된다. 호프만 코딩은 다시 중복된 코드들을 찾으면서 중복된 정도가 많은 코드에는 짧은 표기를 사용하고, 중복된 정도가 적은 코드에는 긴 표기를 사용하여 다시 한번 압축을 수행한다. 호프만 코딩은 접두사 코딩(prefix code)이고, 모든 코드가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Uniquely decodable)을 가지고 있는 최적의 코딩 방식이다.
송신단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원래 데이터(3g-05)에 LZ77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하고(3g-10), 버퍼를 업데이트(3g-15)하고, 버퍼의 컨텐츠(혹은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checksum) 비트들을 생성하여 UDC 헤더에 구성할 수 있다. 체크섬 비트들은 수신단에서 버퍼 상태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LZ77 알고리즘으로 인코딩된 코드들을 호프만 코딩으로 한번 더 압축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3g-25). 수신단에서는 수신한 압축된 데이터를 송신단의 반대로 압축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즉, 호프만 디코딩을 수행하고(3g-30), 버퍼를 업데이트하고(3g-35), 업데이트된 버퍼의 유효성 여부를 UDC 헤더의 체크섬 비트들로 확인한다. 체크섬 비트들이 오류가 없다고 판단되면 LZ77 알고리즘으로 디코딩을 수행하여(3g-40)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고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3g-45).
상술한 바와 같이 LZ77 알고리즘은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이기 때문에 즉, 이전에 코딩한 데이터들을 버퍼에 업데이트하고, 다시 바로 다음 데이터들에 코딩을 수행하기 때문에 연속되는 데이터들 간에 상관관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먼저 코딩한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디코딩되어야만 그 다음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디코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신 PDCP 계층 장치는 PDCP 헤더의 PDCP 일련번호를 확인하고 UDC 헤더를 확인(데이터 압축을 수행했는지 수행하지 않았는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확인)하여 데이터 압축 절차가 적용된 데이터들에 대해서 PDCP 일련번호의 오름차순 순으로 데이터 압축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plink data compression, UDC) 설정을 수행하는 절차와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을 수행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도 3e에서 3e-10 혹은 3e-40 혹은 3e-75 와 같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RLC AM 모드를 설정한 베어러 혹은 로지컬 채널에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것을 설정하거나 혹은 해제할 수 있다. 또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의 PDCP 계층 장치의 UDC 장치(혹은 프로토콜)를 리셋(reset)할 수 있다. 여기에서 UDC 장치(혹은 프로토콜)를 리셋한다는 것은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압축을 위한 UDC 버퍼를 리셋한다는 의미이며, 단말의 UDC 버퍼와 기지국의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해제를 위한 UDC 버퍼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UDC 장치의 버퍼를 리셋하는 동작은 기존의 PDCP control PDU를 변형해서 정의하거나 새로운 PDCP control PDU를 정의하여 RRC 메시지를 대신하여 PDCP control PDU로 송신단(기지국)이 수신단(단말)의 UDC 버퍼를 리셋하고 송수신단 간 사용자 데이터 압축 및 압축 해제를 위한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베어러 별 혹은 로지컬 채널 별 혹은 PDCP 계층 장치 별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수행 여부를 수행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베어러 혹은 로지컬 채널 혹은 PDCP 계층 장치 내에서 각 IP flow(혹은 QoS flow) 별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할 지 수행하지 않을 지를 설정해줄 수 있다. 여기에서 QoS flow별 설정은 PDCP 계층 장치에서 지시자 혹은 정보를 설정하여 어떤 QoS flow는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하고 어떤 QoS flow는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하지 않을 지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QoS flow 별 설정을 PDCP 계층 장치가 아니라 SDAP 계층 장치에게 설정해주어 각 QoS flow를 각 베어러로 맵핑해줄 때 QoS flow에 대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할지 하지 않을지를 SDAP 계층 장치에게 PDCP 계층 장치에게 지시해줄 수 있다.
또한 RRC 메시지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PDCP 폐기 타이머(PDCP discard timer) 값을 설정해줄 수 있다. PDCP 폐기 타이머 값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지 않는 데이터를 위한 PDCP 폐기 타이머 값과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적용하는 데이터를 위한 PDCP 폐기 타이머 값을 별도로 설정해줄 수도 있다.
단말은 RRC 메시지로 소정의 베어러 혹은 로지컬 채널 혹은 PDCP 계층 장치에 대해서(혹은 소정의 베어러 혹은 로지컬 채널 혹은 PDCP 계층 장치의 어떤 QoS flow들에 대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것을 설정 받았다면 해당 설정에 맞게 PDCP 계층 장치의 UDC 장치에서 버퍼를 리셋하고,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절차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위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PDCP SDU) 만약 PDCP 계층 장치에 대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었다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한다. 만약 PDCP 계층 장치의 특정 QoS flow들에 대해서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었다면 상위 SDAP 계층의 지시 혹은 QoS flow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한다. 그리고 만약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을 수행하고 데이터 압축에 맞게 버퍼를 업데이트하였다면 UDC 버퍼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를 수행하면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PDCP SDU를 더 작은 크기를 갖는 UDC 압축 데이터(UDC block)으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한 UDC 압축 데이터에 대한 UDC 헤더를 구성한다). UDC 헤더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였는지 수행하지 않았는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UDC 헤더에서 1비트 지시자로 0이면 UDC 적용, 1이면 UDC 미적용). 이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는 상위 계층에서 이미 압축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PDCP 계층 장치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절차를 수행하더라도 압축률이 매우 낮고 압축 절차로 인한 송신단 프로세싱 부담만 가중되기 때문일 수 있으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PDCP SDU 데이터 구조가 반복적인 데이터 구조를 가지지 않아서 여기에서 설명한 UDC 압축 방법(DEFLATE 알고리즘)으로 데이터 압축이 수행될 수 없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PDCP SDU)에 대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를 수행하고, UDC 버퍼를 업데이트하였다면 수신단 PDCP 계층 장치에서 업데이트된 UDC 버퍼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체크섬(checksum) 비트들을 계산하여 UDC 버퍼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체크섬 비트들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예를 들면 4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해제를 적용한 혹은 적용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무결성 보호가 설정되었다면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을 수행하고 암호화(ciphering)를 수행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방법의 압축 해제 실패가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을 수행하는 알고리즘(DEFLATE 알고리즘(LZ77알고리즘 수행 후 호프만 코딩 수행))은 송신단에서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때 이전에 압축을 수행하였던 데이터를 버퍼에 업데이트하고, 그 버퍼를 기반으로 그 다음에 압축을 수행할 데이터와 비교를 하고, 반복적인 구조를 찾아서 위치 및 길이로 압축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수신단에서 압축해제를 수행할 때에도 송신단에서 압축을 수행한 순서대로 압축해제를 수행해야만 압축해제가 성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단에서 PDCP 일련번호 1, 3, 4, 5 의 데이터에 대해서 UDC 압축을 수행하고, PDCP 일련번호 2에 대해서는 UDC 압축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한다면(3h-05) 수신단에서도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PDCP 계층 장치에서 PDCP 일련번호 1, 3, 4, 5의 순서로 압축해제를 수행해야 성공적으로 압축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송신단에서는 UDC 압축을 수행한 경우, 이를 UDC 헤더에서 지시하기 때문에 수신단에서도 UDC 압축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UDC 헤더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일련의 UDC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만약 PDCP 일련번호 3번(3h-15)이 유실된다면 그 이후의 UDC 압축 해제는 모두 실패하게 된다. 즉, PDCP 일련번호 4, 5번에 대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UDC 압축 해제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3h-10). 따라서 상향 링크 압축 해제 절차에서는 유실된 데이터(패킷)이 발생되면 안되며, 수신단에서 송신단에서 데이터를 UDC 압축한 순서대로 압축 해제를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손실이 없고 재전송 기능이 있는 RLC AM 모드에 대해서 구동해야 한다.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을 수행하는 알고리즘(DEFLATE 알고리즘(LZ77알고리즘 수행 후 호프만 코딩 수행))은 송신단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때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고 나서 현재의 버퍼 컨텐츠(contents)로 체크섬을 생성하여 UDC 버퍼에 구성한다. 그리고 압축이 수행된 데이터의 원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버퍼를 업데이트하고, 그 버퍼를 기반으로 그 다음에 압축을 수행할 데이터와 비교를 하고, 반복적인 구조를 찾아서 위치 및 길이로 압축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여기에서 UDC 헤더에 있는 체크섬 비트들은 수신단 PDCP 계층 장치의 UDC 장치(혹은 기능)가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하기 전에 현재 버퍼 상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신단에서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하기 전에 UDC 헤더의 체크섬 비트들로 현재 수신단 UDC 버퍼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체크섬 에러가 없으면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하고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면 데이터 압축 해제를 수행하지 않고 송신단에 체크섬 실패를 보고하여 복구해야 한다.
수신단에서 압축해제를 수행할 때에도 송신단에서 압축을 수행한 순서대로 압축해제를 수행해야만 압축해제가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단에서 PDCP 일련번호 1, 3, 4, 5 의 데이터에 대해서 UDC 압축을 수행하고, PDCP 일련번호 2에 대해서는 UDC 압축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수신단에서도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PDCP 계층 장치에서 PDCP 일련번호 1, 3, 4, 5의 순서로 압축해제를 수행해야 성공적으로 압축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송신단에서는 UDC 압축을 수행한 경우, 이를 UDC 헤더에서 지시하기 때문에 수신단에서도 UDC 압축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UDC 헤더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일련의 UDC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만약 PDCP 일련번호 3번에서 체크섬 실패(Checksum failure)가 발생한다면 그 이후의 UDC 압축 해제는 모두 실패할 수 있다. 즉, PDCP 일련번호 4, 5번에 대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UDC 압축 해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술한 체크섬 실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들을 설명한다.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의 제1 실시예에는 RLC 장치의 부분 재수립 방법에 관한 것이며,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수신단(기지국)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 해제를 수행하려고 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 UDC 버퍼의 체크섬 실패(checksum failure)를 확인하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지시한다. RRC 메시지는 새로운 RRC 메시지를 정의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에 존재하는 RRC 메시지에 새로운 지시자를 정의하고 포함하여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RRC 메시지는 어떤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혹은 RRC 메시지에서 체크섬 실패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정의하여 체크섬 실패를 지시할 수 있다.
- 수신단 동작 : 수신단(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전송하고 PDCP 계층 장치에 대해 부분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고 RLC 계층 장치에 대해서 부분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고, MAC 계층 장치에 대해서 버퍼를 비우는 절차를 수행 할 수 있다. RLC 계층 장치는 수신 RLC 계층 장치(the receiving AM RLC entity)에 대해서만 재수립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송신 RLC 계층 장치(the transmitting AM RLC entity)에 대해서는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RLC 계층 장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을 지원하기 때문에 송신하는 데이터들과 수신하는 데이터들에 대해서 독립적인 버퍼와 독립적인 RLC 일련번호와 독립적인 RLC 윈도우 변수들 혹은 윈도우, 타이머를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 재수립 절차는 송신 RLC 계층 장치 혹은 수신 RLC 계층 장치를 모두 재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 RLC 계층 장치만 재수립하거나 수신 RLC 계층 장치만을 재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부분 재수립 절차에서 수신 RLC 계층 장치는 수신한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올려 보내고, 수신 RLC 버퍼를 초기화하고 수신 RLC 윈도우와 타이머, 윈도우 변수들을 초기화하고, 초기화된 새로운 RLC 일련번호가 수신될 것을 예상한다(윈도우 변수들, 타이머들 모두 초기화). 그리고 송신 RLC 계층 장치는 재수립되지 않고, 이전과 동일하게 송신 RLC 윈도우, 타이머, 윈도우 변수들을 초기화하지 않고, 데이터 송신을 기존과 동일하게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Re-establishment)은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PDCP 계층 장치의 부분 재수립 절차는 수신단이 기지국이라면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수신하는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을 말하며, 수신단이 단말이라면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수신하는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을 말한다.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 절차에서 PDCP 계층 장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하고 나서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처리하고, UDC 버퍼를 초기화하고 새로 수신될 데이터들을 기다린다.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처리할 때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PDCP 일련번호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들을 모두 폐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처리할 때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PDCP 일련번호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들 중에서 PDCP 헤더(혹은 UDC 헤더)를 확인하여 UDC가 적용된 데이터들만 폐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처리할 때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PDCP 일련번호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들 중에서 PDCP 헤더(혹은 UDC 헤더)를 확인하여 UDC가 적용된 데이터들만 폐기하고 UDC가 적용되지 않은 패킷들의 PDCP 일련번호를 확인하여 만약 UDC가 적용되지 않은 패킷들의 PDCP 일련번호보다 작은 PDCP 일련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들이 모두 유실이 없이 수신되었다면 UDC가 적용되지 않은 패킷들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PDCP 계층 장치의 부분 재수립 절차에서 복호화 혹은 무결섬 검증을 위한 보안키를 새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PDCP 계층 장치의 부분 재수립 절차에서 복호화 혹은 무결섬 검증을 위한 보안키를 새로 설정하여 적용하지 않고 이전에 사용하던 보안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MAC 계층 장치는 HARQ 버퍼를 초기화할 수 있다(버퍼를 비울 수 있다). MAC 계층 장치에서도 부분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 HARQ 절차를 초기화하고 수신 버퍼만을 초기화하고 비우고 송신 버퍼는 비우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RRC 메시지로 체크섬 실패 처리 동작을 지시할 때 단말의 PDCP 계층 장치의 보안키들을 필요에 따라 갱신할 수도 있다.
- 송신단 동작 : 송신단(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RLC 계층 장치에 대해서 부분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고, MAC 계층 장치에 대해서 버퍼를 비우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LC 계층 장치는 송신 RLC 계층 장치(the transmitting AM RLC entity)에 대해서만 재수립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 RLC 계층 장치(the transmitting AM RLC entity)에 대해서는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RLC 계층 장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을 지원하기 때문에 송신하는 데이터들과 수신하는 데이터들에 대해서 독립적인 버퍼와 독립적인 RLC 일련번호와 독립적인 RLC 윈도우 변수들 혹은 윈도우, 타이머를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 재수립 절차는 송신 RLC 계층 장치 혹은 수신 RLC 계층 장치를 모두 재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 RLC 계층 장치만 재수립하거나 수신 RLC 계층 장치만을 재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부분 재수립 절차에서 송신 RLC 계층 장치만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며, RLC 버퍼를 초기화하고(전송되지 않은 AMD PDU 혹은 SDU들을 폐기) RLC 일련번호를 초기화하고 윈도우 변수들, 타이머들을 모두 초기화한다. 그리고 수신 RLC 계층 장치는 재수립되지 않고, 이전과 동일하게 송신 RLC 윈도우, 타이머, 윈도우 변수들을 초기화하지 않고, 데이터 송신을 기존과 동일하게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Re-establishment)은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PDCP 계층 장치의 부분 재수립 절차는 송신단이 기지국이라면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송신하는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을 말하며, 송신단이 단말이라면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송신하는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을 말한다. PDCP 계층 장치의 재수립 절차에서 PDCP 계층 장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UDC 버퍼를 초기화하고 송신할 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다. 송신할 데이터들을 처리할 때 PDCP 계층 장치는 RRC 메시지에서 지시한 PDCP 일련번호부터 다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 절차를 수행하여 UDC 버퍼를 업데이트하고, 그에 상응하는 체크섬 비트들을 계산하여 UDC 헤더에 구성하여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달할 수 있다 혹은 UDC 절차가 필요 없는 데이터의 경우 UDC 절차를 생략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PDCP 계층 장치에서 RRC 메시지에서 지시한 PDCP 일련번호부터 UDC 절차를 다시 수행하여 재전송을 수행할 때 이전에 전송했을 때 UDC 절차를 적용하였던 데이터(PDCP SDU)들에 대해서만 재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전에 전송했을 때 UDC 절차를 적용하지 않았던 데이터들(예를 들면 RLC 계층 장치에서 ACK를 확인한 UDC 비적용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PDCP 계층은 PDCP 계층 장치를 재수립할 때 하위 계층으로부터 성공적인 전달이 확인되지 않은 첫 번째 PDCP 일련번호부터 다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 절차를 수행하여 UDC 버퍼를 업데이트하고, 그에 상응하는 체크섬 비트들을 계산하여 UDC 헤더에 구성하여 하위 계층으로부터 전달할 수 있다 혹은 UDC 절차가 필요 없는 데이터의 경우 UDC 절차를 생략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 장치의 부분 재수립 절차에서 복호화 혹은 무결섬 검증을 위한 보안키를 새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PDCP 계층 장치의 부분 재수립 절차에서 복호화 혹은 무결섬 검증을 위한 보안키를 새로 설정하여 적용하지 않고 이전에 사용하던 보안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MAC 계층 장치는 HARQ 버퍼를 초기화할 수 있다. MAC 계층 장치에서도 부분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송신 HARQ 절차를 초기화하고 송신 버퍼만을 초기화하고 비우고 수신 버퍼는 비우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DCP 계층 장치는 부분 재수립을 수행하지 않고, RLC 계층 장치는 부분 재수립을 수행하지 않고, MAC 계층 장치는 부분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고, 구현의 편의를 위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CP 계층 장치와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CP 계층 장치를 모두 재수립 할 수 있고, 송신 RLC 계층 장치와 수신 RLC 계층 장치를 모두 재수립 할 수도 있고, MAC 계층 장치도 송수신 HARQ 절차와 송수신 버퍼를 모두 초기화할 수도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에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경우,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와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없는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처럼 RLC 계층 장치를 재수립하지 않으면 수신단에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경우,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와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송수신단 PDCP 계층 혹은 RLC 계층 혹은 MAC 계층을 재수립하기 때문에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와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가 수신단 PDCP 계층으로 섞여서 들어오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오래된 UDC 컨텍스트는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기 이전에 수행하였던 압축 정보(예를 들면 송수신단 버퍼 정보)를 말하며, 새로운 UDC 컨텍스트는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후 새롭게 수행한 압축 정보(예를 들면 송수신단 버퍼 정보)를 말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말의 송신 PDCP 계층(3i-05)은 상향 링크 전송 데이터에 대해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일련번호 0, 1, 2, 3에 대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을 수행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수신단(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들은 MAC 계층의 HARQ 재전송 절차와 RLC 계층의 재전송 절차 때문에 처음에 전송한 순서(3i-15)와 다르게 순서가 섞여서 수신단에 도착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패킷은 굉장히 늦게 도착할 수도 있다.
송신단 PDCP 계층 장치(3i-05)에서 PDCP 일련번호 0, 1, 2 에 대한 데이터를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고 전송하며, 수신단 PDCP 계층 장치(3i-10)에서 PDCP 일련번호 0, 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PDCP 일련번호 1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단은 PDCP 일련번호 1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RRC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를 전송하여 지시할 수 있다(3i-35). 그리고 PDCP 일련번호 2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HARQ 재전송과 RLC 계층 재전송 때문에 매우 늦게 도착할 수 있다(3i-25). 이때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를 단말에게 전송하고, 수신단(기지국)은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보다 크거나 같은 PDCP 일련번호를 가지고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이 적용된 데이터들(UDC 적용여부는 UDC 헤더의 지시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을 폐기할 수 있다.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를 수신한 단말은 지시된 PDCP 일련번호보다 크거나 같은 PDCP 일련번호를 가지며 이전에 UDC 적용이 수행된 데이터들 혹은 새롭게 UDC 적용이 적용되어야 하는 데이터들에 대해서 UDC 버퍼를 리셋하고 다시 상향 링크 사용자 압축(UDC) 절차를 수행하고 UDC 버퍼를 업데이트하고 그에 상응하는 체크섬 비트들을 계산하여 UDC 버퍼에 구성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새로운 전송은 재전송 이후에 이어서 순차적인 PDCP 일련번호를 할당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지시된 PDCP 일련번호 1보다 같거나 큰 PDCP 일련번호를 가지며 이전에 UDC가 적용된 데이터들을 새롭게 압축(새로운 UDC 컨텍스트로)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재전송을 수행한다). 그리고 송신단에서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되고, 아직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가 있다면 폐기할 수 있다.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들은 PDCP 일련번호 1과 2를 가지고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PDCP 일련번호 2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늦게 도착할 수 있다. 수신단에서 이 두 개의 PDCP 일련번호 2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구별하지 않는다면 데이터 압축 해제 실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는 폐기하고,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는 순서대로 정렬하여 압축 해제를 수행해야 한다(3i-50).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와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단이 구별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UDC 헤더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UDC가 적용된 경우(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이 수행된 경우) PDCP PDU는 PDCP 헤더와 UDC 헤더(3j-05)와 압축된 UDC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UDC 헤더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F 필드(3j-10), T 필드(3j-15), R 필드(3j-20), 그리고 체크섬 비트들(3j-25)로 구성될 수 있다.
UDC 헤더에서 F 필드(3j-10)는 UDC 데이터 블록이 UDC가 적용되었는지 적용되지 않았는지를 지시하는 필드이다(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이 수행되었는지 수행되지 않았는지를 지시). 즉, 송신 PDCP 계층 장치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데이터(PDCP SDU)를 수신하여 UDC를 적용한 경우, F 필드를 예를 들면 1로 설정하고 UDC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F 필드를 0으로 설정하여 이를 지시할 수 있다.
UDC 헤더에서 T 필드(3j-15)는 토글 비트(toggle bit)를 지시하며 UDC 버퍼를 리셋할 때마다(혹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재설정 혹은 재시작 혹은 초기화할 때마다) 바꿀 수 있다. 즉, 토글될 수 있다(0 에서 1로 혹은 1에서 0으로). 토글 비트의 초기값은 0 또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값이 0이라면 송신단에서 UDC가 적용되는 모든 데이터들의 UDC 헤더에 토글 비트(T 필드, 3j-15)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송신단이 RRC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로 수신단의 UDC 버퍼 리셋을 지시하면(혹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재설정 혹은 재시작 혹은 초기화를 지시하면) 새롭게 UDC 를 적용하는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경우, 수신단에서 송신단에게 체크섬 실패를 지시하면 송신단은 토글 비트를 토글하여 UDC 헤더를 설정하고 UDC가 적용된 데이터를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에서 체크섬 에러가 발생한 경우, 수신단은 UDC 헤더의 T 비트를 확인하여 체크섬 에러가 발생하기 전의 T비트와 같은 값을 갖는 데이터들은 폐기하고, T비트와 토글된 값을 갖는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구분하여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F 필드로 UDC 적용이 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면 T 비트와 상관없이 데이터를 폐기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1에서 설명한 오래된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와 새로운 UDC 컨텍스트로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단이 구별할 수 없는 문제는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정의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글 비트를 1비트로 사용하지 않고, 예약되어 있는 비트들을 이용하여 더 많은 비트들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비트를 토글 비트들로 정의하여 00 -> 01 -> 10 -> 11 -> 00 -> 01 과 같은 순서로 즉 10진수로 0, 1, 2, 3의 순으로 토글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더 많은 비트들을 토글을 위해 정의하면 빈번하게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 수신단에서 UDC 적용 데이터들을 더 잘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22의 R 비트들(3j-20), 예약된 비트들은 UDC 버퍼에 대해 리셋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 혹은 현재 데이터를 UDC 버퍼에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할지 여부를 지시 혹은 미리 정의된 사전 정보(Dictionary)를 사용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정의되고 사용될 수 있다.
도 22의 체크섬 비트들(3j-25)은 상술한 것과 같이 송신단에서 UDC를 적용할 때 사용하였던 송신 UDC 버퍼 컨텐츠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수신단에서 UDC를 적용한 데이터를 압축 해제할 때 수신 UDC 버퍼 컨텐츠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체크섬 비트들을 계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체크섬 비트들은 4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더 긴 길이의 값을 정의하여 유효성 확인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
도 22를 참조한 토글 비트를 적용한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의 제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수신단(기지국)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 해제를 수행하려고 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 UDC 버퍼의 체크섬 실패(checksum failure)를 확인하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지시한다.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는 새로운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를 정의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에 존재하는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에 새로운 지시자를 정의하고 포함하여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RRC 메시지는 어떤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 수신단 동작 : 수신단(기지국)은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를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PDCP 일련번호보다 크거나 같은 PDCP PDU(혹은 PDCP SDU)를 모두 폐기한다. 폐기한 데이터들의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확인하고, 이후에 수신되는 데이터들의 UDC 헤더를 확인하여 토글 비트가 토글 비트와 같은 값을 가지면 폐기하고, 토글 비트와 다른 값(토글된 값)을 가지면 송신단에서 새로 구성한 데이터로 간주하고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 송신단 동작 : 송신단(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UDC 송신 버퍼를 리셋(초기화)하고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에서 지시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일련번호를 가지며 아직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들이 있다면 폐기하고, 지시된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PDCP SDU)부터 더 큰 PDCP 일련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들에 대해서 다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을 수행하고 UDC 버퍼를 업데이트하고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토글(0에서 1 혹은 1에서 0으로 변경)하고, 체크섬 비트들을 UDC 헤더에 포함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혹은 지시된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PDCP SDU)부터 더 큰 PDCP 일련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들에 대해서 UDC 적용이 불필요한 데이터의 경우, UDC 적용을 수행하지 않고,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같은 값으로 설정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지시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PDCP 일련번호들 중에서 이미 PDCP 일련번호를 할당하였고 압축을 수행했던 데이터들(전송했었던)은 다시 새롭게 압축을 수행하고 새로운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새롭게 순차적으로 PDCP 일련번호를 할당하고 압축 절차에 이어서 토글한 토글 비트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UDC 헤더를 구성하여 압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의 제3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수신단(기지국)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 해제를 수행하려고 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 UDC 버퍼의 체크섬 실패(checksum failure)를 확인하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지시한다.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는 새로운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를 정의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에 존재하는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에 새로운 지시자를 정의하고 포함하여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는 어떤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 수신단 동작 : 수신단(기지국)은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를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PDCP 일련번호보다 크거나 같은 PDCP PDU(혹은 PDCP SDU)들 중에서 UDC 헤더(UDC 적용 여부 1비트 지시자)를 확인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처리가 수행된 데이터(PDCP PDU 혹은 SDU)들만 폐기한다. 즉,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데이터들은 체크섬 실패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폐기하지 않는다. 폐기한 데이터들의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확인하고, 이후에 수신되는 데이터들의 UDC 헤더를 확인하여 토글 비트가 폐기한 데이터들의 UDC 헤더의 토글 비트와 같은 값을 가지면 폐기하고, 폐기한 데이터들의 UDC 헤더의 토글 비트와 다른 값(토글된 값)을 가지면 송신단에서 새로 구성한 데이터로 간주하고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 송신단 동작 : 송신단(단말)은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를 수신하면 UDC 송신 버퍼를 리셋(초기화)하고 RRC 메시지에서 지시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일련번호를 가지며 아직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들 중에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적용한 데이터들이 있다면 폐기하고, 지시된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PDCP SDU)부터 더 큰 PDCP 일련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들에 대해서 이전에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 처리가 적용되었던 데이터(PDCP PDU 혹은 SDU)들만 다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을 수행하고 UDC 버퍼를 업데이트하고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토글하고, 체크섬 비트들을 UDC 헤더에 포함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시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PDCP 일련번호를 가지면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적용하지 않은 데이터들은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지시된 PDCP 일련번호보다 큰 PDCP 일련번호들 중에서 이미 PDCP 일련번호를 할당하였고 압축을 수행했던 데이터들(전송했었던)은 다시 새롭게 압축을 수행하고 새로운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새롭게 순차적으로 PDCP 일련번호를 할당하고 수행된 압축 절차에 이어서 압축 절차를 수행하고 UDC 헤더에 이전 UDC 헤더의 토글 비트 값과 같은 토글 비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의 제4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수신단(기지국)은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 해제를 수행하려고 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 UDC 버퍼의 체크섬 실패(checksum failure)를 확인하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지시한다.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는 새로운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를 정의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에 존재하는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에 새로운 지시자를 정의하고 포함하여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RRC 메시지(혹은 PDCP control PDU)는 어떤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하였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 수신단 동작 : 수신단(기지국)은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를 RRC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폐기한다. 폐기한 데이터들의 UDC 헤더의 토글 비트를 확인하고, 이후에 수신되는 데이터들의 UDC 헤더를 확인하여 토글 비트가 토글 비트와 같은 값을 가지면 폐기하고, 폐기한 데이터들의 UDC 헤더의 토글 비트와 다른 값(토글된 값)을 가지면 송신단에서 새로 구성한 데이터로 간주하고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 송신단 동작 : 송신단(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UDC 송신 버퍼를 리셋(초기화)하고 RRC 메시지에서 지시한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기존에 전송했던 데이터를 다시 구성하여(혹은 버퍼에 저장되어 있다면 그대로 재전송)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신단은 지시된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을 적용할 때 사용하였던 송신 UDC 버퍼 컨텐츠를 수신단에 전송해줄 수도 있다(새로운 PDCP Control PDU를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체크섬 에러가 발생한 수신 UDC 버퍼를 갱신해주기 위해서 그리고 송신단이 송신 UDC 버퍼 컨텐츠와 수신 UDC 버퍼 컨텐츠의 동기화를 위해서 PDCP 일련번호에 상응하는 송신 UDC 버퍼 컨텐츠 자체를 전송하여 수신 UDC 버퍼를 업데이트하고 동기화 해줄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에서 적용될 수 있는 PDCP control PDU 포맷을 설명한다.
도 23에서 D/C 필드는 PDCP 계층에서 일반적인 데이터인지 혹은 PDCP 계층 제어 정보(PDCP control PDU)인지를 구분하는 필드이며, PDU Type 필드는 PDCP 계층 제어 정보 중에 어떤 정보인지를 지시하는 필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에 적용하는 PDCP control PDU 포맷은 3k-05와 3k-10과 같이 PDCP 일련번호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수신단에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단에서 체크섬 실패가 발생한 PDCP 일련번호를 지시하기 위해서 기존에 존재하던 PDCP Status report 용 PDCP Control PDU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3k에서 제안한 PDCP control PDU 포맷은 UDC 피드백을 위한 PDCP 계층 장치의 제어 명령(interspersed UDC feedback packet)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안한 PDCP control PDU는 도 3k에서 제안한 포맷이 아니라 체크섬 실패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포맷으로 변형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들에서 송신단은 수신단이 지시한 PDCP 일련번호 바로 이전의 PDCP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부터 상술한 방법들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동작과 기지국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기지국(3l-02)은 UDC 데이터 압축 해제시 체크섬 실패를 확인하면(3l-20) 체크섬 실패에 해당하는 PDCP 일련번호를 RRC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에 구성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3l-25). 이때, 기지국은 단말에게 체크섬 실패를 지시하고, PDCP 일련번호에 따라서 이미 수신된 데이터들과 앞으로 수신될 데이터들을 폐기하거나 정상적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UDC 헤더의 F 비트와 T 비트를 이용하여 구분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3l-30).
만약 단말(3l-01)이 체크섬 실패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를 수신한다면(3l-05) RRC 메시지 혹은 PDCP control PDU에서 지시된 PDCP 일련번호를 확인하고(3l-10) 체크섬 실패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의 체크섬 실패 처리 동작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섬 실패 처리 방법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를 따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링크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체크섬 실패 시 이를 해결하는 단말 동작과 기지국 동작은 하향 링크 환경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체크섬 실패 시 이를 해결하는 기지국 동작과 단말 동작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환경에서 단말 동작은 하향 링크 환경의 기지국 동작에 적용할 수 있고, 상향 링크 환경에서 기지국 동작은 하향 링크 환경의 단말 동작에 적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하향 링크로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경우, 어떤 IP flow(혹은 QoS flow)에 대해서는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고 어떤 IP flow에 대해서는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지 않을 지에 대한 결정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NAS 메시지로 설정해준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IP flow(혹은 QoS flow)가 상위 계층(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에서 압축을 수행하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 혹은 어떤 IP flow(혹은 QoS flow)에 대해서 압축 여부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의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가 기지국에게 NAS 메시지로 설정해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단에서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PDCP 계층 장치와 수신 PDCP 계층 장치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압축(UDC) 기능을 적용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송신 PDCP 계층 장치는 상위 계층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면 UDC를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위 계층의 데이터를 UDC를 적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UDC 데이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UDC 데이터 블록에 UDC 헤더에 1비트 지시자로 UDC 적용이 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UDC 헤더를 구성하여 UDC 데이터 블록 앞에 1바이트 UDC 헤더를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UDC 헤더와 UDC 데이터 블록 전체에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ciph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된 UDC 헤더와 UDC 데이터 블록에 PDCP 헤더를 구성하여 앞에 접합시키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상위 계층 데이터에 대해서 UDC를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상위 계층의 데이터에 UDC를 적용하지 않고 UDC 헤더에 1 비트 지시자로 UDC 적용이 안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UDC 헤더를 구성하여 상위 계층 데이터 앞에 1 바이트 UDC 헤더를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UDC 헤더와 상위 계층 데이터 전체에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ciph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된 UDC 헤더와 UDC 데이터 블록에 PDCP 헤더를 구성하여 앞에 접합시키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UDC 헤더와 UDC 데이터 블록 전체에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ciph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DC 헤더와 UDC 데이터 블록 전체에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면 송신 PDCP 계층 장치 구현 측면에서 UDC 압축 및 UDC 헤더 구성을 일련의 처리 과정으로 묶을 수 있기 때문에 UDC 처리를 위한 기능을 별도로 구현할 수 있어 구현이 용이하다.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송신 PDCP 계층 장치는 상위 계층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면 UDC를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위 계층의 데이터를 UDC를 적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UDC 데이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UDC 데이터 블록에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ciph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된 UDC 데이터 블록에 대한 UDC 헤더에 1 비트 지시자로 UDC 적용이 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UDC 헤더를 구성하여 UDC 데이터 블록 앞에 1 바이트 UDC 헤더를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UDC 헤더와 UDC 데이터 블록에 PDCP 헤더를 구성하여 앞에 접합시키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상위 계층 데이터에 대해서 UDC를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상위 계층의 데이터에 UDC를 적용하지 않고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고 암호화된 상위 계층 데이터 앞에 1 바이트 UDC 헤더를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UDC 헤더와 암호화된 상위 계층 데이터에 PDCP 헤더를 구성하여 앞에 접합시키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는 UDC 헤더를 제외한 UDC 데이터 블록 혹은 상위 계층 데이터에만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ciph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DC 헤더를 제외한 UDC 데이터 블록 혹은 상위 계층 데이터에만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면 수신 PDCP 계층 장치에서 PDCP 헤더를 읽고 나서 복호화(deciphering)를 수행하지 않고도 UDC 헤더를 읽어 들일 수 있기 때문에 UDC 헤더의 체크섬 필드를 확인하여 수신 UDC 버퍼 값과 체크섬 필드를 계산하여 체크섬 에러가 난 경우, 에러가 난 UDC 데이터 블록에 대해서는 복호화(deciphering)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신 PDCP 계층 장치에서 프로세싱 복잡도를 줄이고 프로세싱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으로 수행하는 랜덤 엑세스 동작 및 상향링크 파형 설정과 관련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말 (4c-01)은 기지국에 초기 접속, 재접속, 핸드오버, 그 외에 랜덤 엑세스가 필요한 다양한 경우에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여 랜덤 엑세스를 수행한다. 도 25에서는 단말 (4c-01)은 휴면상태 (IDLE) 에 있는 상태를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지국 (4c-03)으로 접속하여 연결상태 (CONNECTED)로 천이하기 위한 상황을 가정한다.
먼저, 단말 (4c-01)은 기지국 (4c-03)으로의 접속을 위해 해당 기지국이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한다 (4c-09). 시스템 정보는 셀 내의 모든 단말들에게 방송되는 정보로 모든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 내에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할 때 필요한 채널 설정 정보 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로는, 후술할 랜덤 엑세스 수행 시 필요한 여러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엑세스에 활용가능한 프리앰블 식별자 범위, 물리 랜덤 엑세스 자원의 할당 정보 등). 뿐만 아니라 설정 정보에는 상향링크 전송시 기본으로 사용하는 전송 파형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NR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즉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링크)의 신호 전송 기술로 하기의 두 가지 기술을 지원한다.
-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일반적으로 더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하향링크에서 사용하는 기술과 동일하여 송수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음.
상술한 두 기술은 기지국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어떠한 기술/파형으로 전송하는지에 대해 알고 있어야 기지국이 메시지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셀에 처음 접속할 때, 어떠한 파형을 사용해서 상향링크를 전송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 미리 단말에게 알려주어야 하며, 전술한 시스템 정보 블록에는 해당 정보가 포함되어서 단말이 어떠한 상향링크 기술/파형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Common Waveform (이하 CWF라 칭함) 이라 한다. 이후 단말은, 후술할 프리앰블과 같은 특수한 물리 신호를 제외하고는, 모든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수신한 CWF를 사용하여 상향링크를 전송한다 (4c-10).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 단말은 기지국으로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을 랜덤 엑세스를 위한 물리채널에 전송한다 (4c-11). 이러한 물리채널을 LTE 시스템에서는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이라 칭하며, 해당 PRACH 자원으로 하나 이상의 단말이 동시에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은 기지국과 완전히 동기되기 전에 전송하여도 수신이 가능하도록 특별하게 설계된 특정의 시퀀스로 표준에 따라 복수 개의 프리앰블 식별자 (index)가 있을 수 있으며, 만약 복수 개의 프리앰블 식별자가 있는 경우, 단말이 전송하는 프리앰블은 단말이 랜덤하게 선택한 것일 수 있으며, 혹은 기지국이 지정한 특정 프리앰블일 수도 있다.
프리앰블을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랜덤 엑세스 응답 (Random Access Reponse, 이하 RAR이라 칭함)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4c-13). RAR 메시지에는 (4c-01) 단계에 사용된 프리앰블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해서,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 보정 정보, 이후 단계 (즉, (4c-15) 단계)에서 사용할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 및 임시 단말 식별자 정보 등이 포함된다. 프리앰블의 식별자 정보는, 예를 들어 (4c-11) 단계에서 복수 개의 단말이 서로 다른 프리앰블을 전송하여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는 경우, RAR 메시지가 어떠한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지를 알려주기 위해 전송된다.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는 (4c-15) 단계에서 단말이 사용할 자원의 상세 정보 이며, 자원의 물리적 위치 및 크기, 전송 시 사용하는 복호화 및 코딩 방법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전송 시 전력 조정 정보 등이 포함된다. 임시 단말 식별자 정보는 만약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이 초기 접속을 하는 경우, 단말이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기지국에서 할당해준 식별자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위해 사용하기 위해 전송되는 값이다.
RAR 메시지는 프리앰블을 보낸 후부터 소정의 시간 이후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전송되어야 하며, 이러한 소정의 기간을 RAR window라 한다. 또한 RAR 메시지가 전송될 때에 기지국은 PDCCH를 통해 해당 RAR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며, 해당 스케쥴링 정보는 RA-RNTI (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사용해 스크램블링되며, RA-RNTI는 (4c-11)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PRACH 자원과 매핑된다. 특정 PRACH 자원에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은, 해당 RA-RNTI를 바탕으로 PDCCH 수신을 시도하여 대응되는 RAR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RAR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AR 메시지에 할당된 자원에, 전술한 다양한 목적에 따라 다른 메시지를 전송한다 (4c-15). 도 25를 참조하면, 이러한 메시지는 세번째 전송되는 메시지로 Msg3라고도 한다 (즉 (4c-11) 단계의 프리앰블을 Msg1, (4c-13) 단계의 RAR을 Msg2라고도 한다). 단말이 전송하는 Msg3의 예시로는, 초기 접속인 경우 RRC 계층의 메시지인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며, 재접속인 경우, 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며, 핸드오버 시에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가 전송된다. 혹은 자원요청을 위한 버퍼상태보고 (Buffer Status Report, BSR) 메시지 등이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4c-09) 단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해당 CWF를 사용하여 Msg3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이후, 단말은 만약 초기 전송인 경우에 대해 (즉, Msg3에 단말이 기 할당받은 기지국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등), 경쟁 해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으며 (4c-17), 경쟁 해소 메시지는, 단말이 Msg3에서 전송한 내용이 그대로 포함되어, 만약 (4c-11) 단계에서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한 복수개의 단말이 있는 경우에도, 어떤 단말에 대한 응답인지에 대해 알릴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전술한 CWF가 아닌 다른 상향링크 파형을 사용하도록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4c-21).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에게 OFDMA를 설정을 하였으나, 단말의 신호가 약해지거나 하는 등으로 인해 넓은 커버리지가 필요한 경우 SC-FDMA를 설정하도록 변경하는 시나리오가 가능한다. 이와 같이 단말에게 설정해주는 특정 파형을 Dedicated Waveform (이하 DWF라 칭함)이라 한다.
전술한 CWF가 아닌 다른 상향링크 파형을 사용하도록 설정을 받은 단말은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DWF로 설정된 파형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4c-23).
이와 같이 설정받은 이후에도, 단말은 기지국으로 전술한 경쟁 기반의 랜덤 엑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4c-31)(4c-33)(4c-35)(4c-37). 경쟁 기반의 랜덤 엑세스라 함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별도의 랜덤 엑세스 자원 (인덱스 및 물리자원)을 할당해준 경우가 아니어서 어떠한 단말이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를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CBRA)라 한다.
경쟁 기반의 랜덤 엑세스가 적용되는 경우, 단말이 RAR (4c-33) 메시지를 통해 할당한 상향링크로 Msg3 (4c-35)를 전송할 때, 기지국은 해당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는 단말이 DWF를 설정한 단말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알지못한다. 이에 따라서, 단말은 Msg3 (4c-35)를 전송할 때 DWF를 설정받은 단말이라 할지라도 CWF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한편 경쟁 기반의 랜덤 엑세스 이외에, 단말이 이미 연결상태에 있는 단말인 경우에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별도의 랜덤 엑세스 자원 (인덱스 및 물리자원)을 할당해주어, 비경쟁방식으로 랜덤 엑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Contention-free Random Access (CFRA)라 한다. 이때는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에게 PDCCH를 통해 특정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을 지시할 수 있다 (4c-41). 이에 따라 단말이 해당 RA Preamble을 전송하면 (4c-43), 기지국은 프리앰블의 응답으로 RAR 메시지를 할당한다 (4c-45). 비록 비경쟁방식의 랜덤 엑세스여서 이후 Msg3/Msg4를 활용한 경쟁해소단계가 필요없으나, RAR 메시지 내에는 상향링크 전송자원을 할당해 주기 때문에, 해당 자원으로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4c-47).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CFRA에 대해 할당받은 Msg3에서는 만약 DWF를 설정받은 경우에는 DWF를 사용하여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WF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또다른 실시예로 단말은 랜덤 엑세스 중 Msg3로 전송하는 파형은, DWF 설정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CWF를 사용하는 시나리오도 가능하다. 즉, DWF를 설정받은 경우 해당 단말의 식별자 (C-RNTI)로 할당받은 자원으로 PUSCH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DWF를 사용하고, 랜덤 엑세스 수행 중 RAR로 수신받은 자원으로 PUSCH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CWF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이동 등의 이유로 핸드오버를 하는 시나리오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이 주변 기지국 (4c-05)의 측정 신호에 대해 보고하여 원래 기지국 (4c-03)이 단말을 해당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시켜야한다고 결정한 경우, 원래 기지국 (4c-03)은 주변 기지국 (4c-05)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해당 주변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한다 (4c-51). 이때 핸드오버 명령 내에는 기지국이 CWF로 사용하는 파형과, 만약 해당 단말에게 별도의 파형을 설정하는 경우 DWF로 사용하는 파형을 모두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위해 랜덤 엑세스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경쟁 기반의 랜덤 엑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채널자원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랜덤 엑세스 자원 (프리앰블 식별자 등)을 별도로 할당하여 해당정보를 원래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원래 기지국 (4c-03)은 단말에게 해당 정보를 모두 전달하여 해당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다 (4c-53).
이후, 단말은 명령받은 기지국으로의 동기를 맞춘다음, 해당 기지국으로 랜덤 엑세스를 수행한다. 이때, 해당 기지국 (4c-05)가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 등을 제공한 경우 단말은 전술한 CFRA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동작에 따라 타겟 기지국에서 RAR 수신을 성공하면, RAR로부터 할당된 자원으로 Msg3를 전송할 때 (Handover Complete 메시지) DWF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4c-59).
하지만, 만약 특정 랜덤 엑세스 자원을 설정받지 못하거나, 혹은 설정받은 경우에도 설정받은 소정의 시간 동안 특정 랜덤 엑세스 자원으로 랜덤 엑세스 시도 시 실패한 경우, 단말은 경쟁 기반의 랜덤 엑세스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단말은 Msg3 전송 시에 해당 기지국 (4c-05)으로받은 CWF를 사용하여 Msg3 (Handover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 블록을 통해서 (혹은 핸드오버 명령을 통해서) CWF 정보를 획득하고, 추가적으로 단말에게 별도로 설정하는 메시지를 통해서 (혹은 핸드오버 명령을 통해서) DWF 정보를 획득한다 (4d-03).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자원을 수신한 경우 (4d-05), 만약 별도로 DWF를 설정받지 않은 경우 (4d-07), 단말은 CWF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4d-13).
하지만 만약 DWF를 별도로 설정받은 경우 (4d-07), 단말은 해당 상향링크 자원을 RAR로 수신하였는지, 아니면 PDCCH를 통해 설정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4d-09). 만약 RAR로 수신한 경우, 해당 랜덤 엑세스가 경쟁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인지 아니면 비경쟁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인지에 대해 판단한다 (4d-11). 이에 따라, 만약 경쟁 기반으로 수행하는 경우, 단말이 DWF를 설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CWF를 사용하여 상향링크를 전송한다 (4d-13).
하지만 해당 상향링크가 RAR로 수신받은 것이 아니거나, 혹은 RAR로 수신받은 경우라도 비경쟁기반의 랜덤 엑세스를 통해 수신받은 것인 경우, DWF를 사용하여 상향링크를 전송한다 (4d-15).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j-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j-20), 저장부(1j-30), 제어부(1j-40)를 포함한다.
RF처리부(1j-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1j-10)는 기저대역처리부(1j-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j-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j-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j-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j-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RF처리부(3m-1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수신 빔 스위핑을 수행하거나, 수신 빔이 송신 빔과 공조되도록 수신 빔의 방향과 빔 너비를 조정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RF처리부(1j-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j-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RF처리부(1j-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RF처리부(1j-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RF처리부(1j-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RF처리부(1j-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RF처리부(1j-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2.NRHz, 5G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j-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j-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j-30)는 제어부(1j-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1j-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j-40)는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RF처리부(1j-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j-40)는 저장부(1j-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j-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j-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j-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처리부 (1j-42)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j-40)는 단말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j-4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CWF, DFW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시 어떠한 파형을 사용하여 전송할지를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1k-10), 기저대역처리부(1k-20), 백홀통신부(1k-30), 저장부(1k-40), 제어부(1k-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처리부(1k-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1k-10)는 기저대역처리부(1k-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k-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k-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k-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1k-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1k-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1k-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k-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k-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k-40)는 제어부(1k-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1k-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k-50)는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1k-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k-50)는 저장부(1k-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k-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FDD LTE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TDD LTE 시스템, 5G 혹은 NR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BWP(bandwidth part)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빙 셀의 BWP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셀의 BWP 스위칭을 위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빙 셀의 상기 BWP 스위칭을 위한 상기 PDCCH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BWP 스위칭을 수행하고 상기 BWP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타겟 셀의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BWP 타이머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셀의 BWP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과 하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자원 할당을 위한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BWP 타이머를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WP 타이머가 만료하는 경우, 디폴트 BWP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BWP 및 상향링크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BWP는 상기 상향링크 BWP와 페어(pair)되어 있고, 상기 상향링크 BWP의 스위칭은 상기 BWP 타이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BWP(bandwidth part)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빙 셀의 BWP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빙 셀의 BWP 스위칭을 위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서빙 셀의 상기 BWP 스위칭을 위한 상기 PDCCH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BWP 스위칭을 수행하고 상기 BWP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겟 셀의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BWP 타이머를 중단하며,
    상기 타겟 셀의 BWP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과 하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말.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자원 할당을 위한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BWP 타이머를 재시작하는, 단말.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BWP 타이머가 만료하는 경우, 디폴트 BWP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말.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BWP 및 상향링크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BWP는 상기 상향링크 BWP와 페어(pair)되어 있고, 상기 상향링크 BWP의 스위칭은 상기 BWP 타이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단말.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BWP(bandwidth part)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빙 셀의 BWP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타겟 셀의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셀에게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WP 타이머는 상기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중단되는 것인,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BWP 및 상향링크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BWP는 상기 상향링크 BWP와 페어(pair)되어 있고, 상기 상향링크 BWP의 스위칭은 상기 BWP 타이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BWP(bandwidth part)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빙 셀의 BWP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고;
    타겟 셀의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및
    상기 타겟 셀에게 데이터를 포워딩하며,
    상기 BWP 타이머는 상기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중단되는 것인, 기지국.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BWP 및 상향링크 BW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BWP는 상기 상향링크 BWP와 페어(pair)되어 있고, 상기 상향링크 BWP의 스위칭은 상기 BWP 타이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기지국.
KR1020170153118A 2017-11-16 2017-11-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35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18A KR102352684B1 (ko) 2017-11-16 2017-11-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6/193,540 US10897399B2 (en) 2017-11-16 2018-11-16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880074570.1A CN111373789B (zh) 2017-11-16 2018-11-16 无线通信系统中的通信方法和装置
EP18880012.2A EP3677065B1 (en) 2017-11-16 2018-11-16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8/014093 WO2019098750A1 (en) 2017-11-16 2018-11-16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151,550 US11516085B2 (en) 2017-11-16 2021-01-18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18A KR102352684B1 (ko) 2017-11-16 2017-11-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74A KR20190056074A (ko) 2019-05-24
KR102352684B1 true KR102352684B1 (ko) 2022-01-18

Family

ID=6643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18A KR102352684B1 (ko) 2017-11-16 2017-11-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897399B2 (ko)
EP (1) EP3677065B1 (ko)
KR (1) KR102352684B1 (ko)
CN (1) CN111373789B (ko)
WO (1) WO2019098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4684B1 (en) 1998-09-09 2002-10-15 Scimed Life Systems, Inc. Catheter having regions of differing braid densi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for
US11019544B2 (en) 2017-02-02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1670A1 (en) * 2017-05-05 2018-11-08 Qualcomm Incorporated Ue selection of common and dedicated rach resources
US10757615B2 (en) * 2017-09-13 2020-08-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adio link failure information for PDCP duplication
US11246059B2 (en) * 2017-11-10 2022-0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buffer reset
CN113905451B (zh) * 2017-11-15 2022-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和设备
KR102352684B1 (ko) * 2017-11-16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356228B2 (en) * 2017-11-24 2022-06-0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101164A1 (en) * 2017-11-24 2019-05-31 Fg Innovation Ip Company Limited Methods and related devices for handl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bandwidth part switching operation
CN109842905B (zh) * 2017-11-28 2021-08-0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字典配置方法、网络侧设备及用户终端
WO2019127035A1 (zh) * 2017-12-26 2019-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激活与去激活辅小区的方法和终端设备
US11792843B2 (en) * 2018-01-09 2023-10-17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covery in a multiple bandwidth part environment
US11252628B2 (en) * 2018-01-09 2022-02-15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new radio capabilities
US11246122B2 (en) * 2018-01-11 2022-02-08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bandwidth parts
EP3742641B1 (en) * 2018-01-19 2022-01-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imer-based bandwidth part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3528538B1 (en) 2018-02-15 2021-08-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ndwidth part operation during handover procedure
CN116761279A (zh) * 2018-04-05 2023-09-15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操作终端的协议层的方法和装置
US11503518B2 (en) * 2018-04-13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point determination
CN110475283B (zh) * 2018-05-11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处理csi处理单元、资源的方法、装置及系统
CN110475292B (zh) * 2018-05-11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0880949B2 (en) 2018-05-15 2020-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ple active bandwidth parts
CN110635878B (zh) * 2018-06-22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命令处理方法及终端设备
EP3840496A4 (en) * 2018-08-16 2021-09-0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BAND WIDTH PART
US11283674B2 (en) * 2018-11-01 2022-03-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in carrier aggregation
WO2020147017A1 (en) * 2019-01-15 2020-07-23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link assista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data
CN111510419B (zh) * 2019-01-31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压缩的方法及基站
WO2020164018A1 (zh) * 2019-02-13 2020-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小区切换的方法及设备
US11743784B2 (en) * 2019-03-27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onfigurations and occasions for handover procedures
US11166269B2 (en) 2019-03-28 2021-11-02 Ofinno, Llc Interaction between power saving adaptation and bandwidth part adaptation
US20220174766A1 (en) * 2019-04-01 2022-06-02 Apple Inc. Delay and interruption configurations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KR20200129335A (ko) 2019-05-08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는 사용자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장치
EP3979718A4 (en) * 2019-05-24 2022-06-0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NITORING METHOD AND EQUIPMENT, SIGNALING ISSUE METHOD AND EQUIPMENT,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A
KR20220034825A (ko) * 2019-07-11 2022-03-18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bwp 전환 지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445491B2 (en) * 2019-07-25 2022-09-13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apability/complexity NR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US11317331B2 (en) * 2019-08-13 2022-04-2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witching for enhanced mobility
KR20210020397A (ko) * 2019-08-14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399477B (zh) * 2019-08-15 2022-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WO2021031163A1 (en) * 2019-08-21 2021-02-25 Nokia Shanghai Bell Co., Ltd. Setting a different bwp earlier in a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to a wireless network by a ue when transitioning from an idle or inactive state
CN110505709B (zh) * 2019-09-10 2021-11-05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移动网络快速去激活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21066466A1 (en) * 2019-10-02 2021-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61063A1 (en) * 2019-10-03 2022-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target network configuration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64141B2 (en) 2019-10-03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Make-before-break (MBB) handover operations
WO2021087950A1 (en) 2019-11-08 2021-05-14 Zte Corporation Power saving techniques
US11323360B2 (en) * 2019-12-19 2022-05-03 Juniper Networks, Inc. Sequence number checksum for link state protocols
JP2023512629A (ja) * 2020-01-20 2023-03-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のための選択的接続設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3301606B (zh) * 2020-02-21 2023-03-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432195B1 (en) * 2020-03-27 2022-08-30 T-Mobile Innovations Llc Load balancing based on pairing efficiency and channel bandwidth
KR20210129559A (ko) * 2020-04-20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부분 대역폭을 고려한 phr 트리거링 방법과 phr 구성 방법 및 장치
GB2594740B (en) * 2020-05-06 2022-11-23 Arm Cloud Tech Inc Connecting and resetting devices
GB2596905B (en) * 2020-05-22 2023-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PDU session in interworking across EPS and 5GS for NB-IoT
EP3937571A1 (en) * 2020-07-10 2022-01-12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itial access in limited bandwidth
CN114070324A (zh) * 2020-08-05 2022-02-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压缩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20032484A (ko) * 2020-09-07 2022-03-15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리셋에 관한 이동성 절차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061698A1 (en) * 2020-09-25 2022-03-31 Qualcomm Incorporated Recover from downlink data transfer failure
GB202015676D0 (en) 2020-10-02 202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to support increased number of pdu sessions
CN116420331A (zh) * 2020-10-23 2023-07-11 苹果公司 对用于辅小区(scell)的带宽部分(bwp)切换的增强
US20220131677A1 (en) * 2020-10-23 2022-04-2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ssion on different bandwidth parts
US11463558B2 (en) * 2021-02-23 2022-10-04 Gigamon Inc. Tool port aware stateful protocol visibility for packet distribution
WO2023140591A1 (ko) * 2022-01-19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 스위칭에 기반한 상향링크 송신 또는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3141958A1 (en) * 2022-01-28 2023-08-03 Apple Inc. Uplink data compression data rate limitation for nr
WO2024064116A1 (en) * 2022-09-23 2024-03-28 Apple Inc. Power saving optimization for high-mobility scenario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8476B2 (en) * 2010-05-02 2012-07-10 Viasat, Inc. Flexible capacity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with dynamic distribution and coverage areas
US9131363B2 (en) * 2010-11-16 2015-09-08 Lg Electronics Inc. Carrier aggregation management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9673945B2 (en) * 2011-02-18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Implicitly linking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A-CSI) reports to CSI-reference signal (CSI-RS) resources
US9559820B2 (en) * 2011-02-18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reporting based o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groups
WO2012153961A2 (ko) * 2011-05-06 201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2595425A1 (en) * 2011-11-18 2013-05-22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US10075279B2 (en) * 2013-11-25 2018-09-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activating secondary cells by a base station and device therefor
US9642040B2 (en) * 2014-09-19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le access points
US9893749B2 (en) * 2015-01-26 2018-02-13 Apple Inc. Receiver architecture with analog complex filter for OFDMA reception
GB2541733B (en) * 2015-08-28 2019-02-13 Imagination Tech Ltd Bandwidth Management
CN105163326B (zh) * 2015-09-30 2018-09-28 南京华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网络话务特征的小区聚类方法和系统
US10624150B2 (en) * 2017-01-30 2020-04-14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sume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406483B2 (ja) 2017-09-08 2023-12-2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Nrのための動的帯域幅を用いた複数のtrpおよびパネル送信
US10567143B2 (en) * 2017-09-27 2020-02-18 Yeongmoon SO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and transmi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7042160A (zh) 2017-10-24 2023-11-10 Lg电子株式会社 基站和由基站执行的方法
US11576085B2 (en) * 2017-10-25 2023-02-07 Qualcomm Incorporated Secondary cel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enhancements in new radio
US10887903B2 (en) * 2017-10-26 2021-01-05 Ofinno, Llc Wireless device processes with bandwidth part switching
EP3611866A1 (en) 2017-10-26 2020-02-19 Ofinno, LLC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eport
US10887073B2 (en) * 2017-10-26 2021-01-05 Ofinno, Ll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bandwidth part
KR102352684B1 (ko) * 2017-11-16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EP3742641B1 (en) * 2018-01-19 2022-01-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imer-based bandwidth part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A3050207A1 (en) * 2018-07-19 2020-01-1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power saving stat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1 Meeting #90bis, R1-1717077, 2017.10.02.
3GPP TSG-RAN WG1 Meeting #90bis, R1-1718327, 2017.10.03.
3GPP TSG-RAN WG1 Meeting #NR_AH, R1-1716019, 2017.09.12.
3GPP TSG-RAN WG2 Meeting #99bis, R2-1711595, 2017.09.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7065A1 (en) 2020-07-08
WO2019098750A1 (en) 2019-05-23
US10897399B2 (en) 2021-01-19
EP3677065B1 (en) 2022-04-20
EP3677065A4 (en) 2020-11-04
US20210144062A1 (en) 2021-05-13
CN111373789A (zh) 2020-07-03
US20190149421A1 (en) 2019-05-16
US11516085B2 (en) 2022-11-29
KR20190056074A (ko) 2019-05-24
CN111373789B (zh)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68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751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t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1643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377138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빠르게 주파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EP36695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ack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526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without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77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eedback-based ethernet header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436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376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710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보고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53007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daps 핸드오버에서 pdcp 엔티티를 구동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76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4503671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过程的方法和装置
CN114503673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的方法和装置
KR20220135851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는 백홀 무선 노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220100306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aps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651476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执行切换的方法和设备
KR20210088389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aps 핸드오버의 실패 시 베어러 별로 폴백을 설정하는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00114994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중단이 없는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21005496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daps 핸드오버 방법과 관련된 pdcp 계층 장치의 절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8302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부분 대역폭을 고려한 부분 대역폭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20210014060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패킷 중복 처리 방법, 핸드오버 시 헤더 압축 해제 실패를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13288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100398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988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