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069A -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069A
KR20200111069A KR1020190030825A KR20190030825A KR20200111069A KR 20200111069 A KR20200111069 A KR 20200111069A KR 1020190030825 A KR1020190030825 A KR 1020190030825A KR 20190030825 A KR20190030825 A KR 20190030825A KR 20200111069 A KR20200111069 A KR 2020011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module
housing
present
improved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3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069A/ko
Publication of KR2020011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렌즈 모듈은 주로 휴대폰용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모듈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 상기 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 렌즈를 그 외곽에서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모듈의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 열과의 접촉면적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므로 렌즈 모듈의 열적 특성을 보다 효율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Lense module with improved therm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렌즈 모듈은 주로 휴대폰용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모듈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 상기 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 렌즈를 그 외곽에서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기존에는 렌즈 설계에 관한 이론적 정립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기존 렌즈 모듈의 설계 방식으로 제조하면 상부에 열이 많이 축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부가 열충격에 의하여 파괴되는 빈도가 자주 발생되었다. 이러한 열은 카메라용 렌즈 모듈이 장착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반도체 소자에 의하여 발생되며, 카메라용 렌즈 모듈에 열이 전달된다.
한편, 기존 렌즈 모듈은 벌크에서 날개와 평판을 깎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재료의 소모가 많고 가공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렌즈 모듈이 휴대폰용 카메라에 사용될 경우 높이를 최소한으로 제한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열충격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열충격 성능은 기존과 대비하여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크기는 최소화되는 렌즈모듈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생산 공정에서도 더욱 단순화된 공정을 통하여 렌즈모듈 수율을 높여야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26247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렌즈모듈의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 열과의 접촉면적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므로 렌즈 모듈의 열적 특성을 보다 효율화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되는 렌즈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렌즈모듈의 성능을 대체하면서 열충격에 대한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되는 렌즈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면에서도 다이캐스팅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렌즈 모듈에 비하여 더욱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설계를 구현한 열적 특성이 개선되는 렌즈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 상기 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 렌즈를 그 외곽에서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상부는 금속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금속체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다이캐스팅 방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구조는 렌즈가 노출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구조는 렌즈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모듈의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 열과의 접촉면적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므로 렌즈 모듈의 열적 특성을 보다 효율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렌즈모듈의 성능을 대체하면서 열충격에 대한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면에서도 다이캐스팅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렌즈 모듈에 비하여 더욱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설계를 구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의 방사능력이 높아지므로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평판을 얇게 구성할 수 있어 경량화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렌즈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저온 조건에서의 변형 및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고온 조건에서의 변형 및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방법에 의하여 렌즈 모듈을 제작하므로 생산 효율이 극대화하며 절삭 가공에 의해 소모되는 금속량이 줄어들므로 제작 비용도 최소화된다. 또한, 열의 방사능력이 높아지므로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평판을 얇게 구성할 수 있어 경량화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얇아진 평판에 의해 소재의 소모량이 줄어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충격 성능은 떨어지지 않는다.
도 1은 기존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기존의 렌즈 모듈의 외관(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저온 조건에서의 변형 및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고온 조건에서의 변형 및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외관(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렌즈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렌즈모듈 하우징은 아무런 가공이 되더 있지 않은 편평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도 3, 도 4와 같은 열적 거동을 나타낸다.
즉, 도 3과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모듈에 열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열충격 스트레스가 렌즈 모듈의 하우징의 상부에 집중됨을 알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열의 방사면적을 넓힘으로써 열의 방사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우징의 상부는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열의 방사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상면에 하우징의 외관에 대응되게 형성된 금속체를 더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모듈을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은 그 상면에 마련된 렌즈 노출용 관통공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도 6에서와 같이 관통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렌즈 및 지지부 200 : 하우징
210 : 관통공 220, 230 : 요철

Claims (6)

  1.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 상기 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 렌즈를 그 외곽에서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상부는 금속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3.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금속체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4. 상기 하우징은 다이캐스팅 방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구조는 렌즈가 노출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구조는 렌즈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KR1020190030825A 2019-03-18 2019-03-18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KR20200111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25A KR20200111069A (ko) 2019-03-18 2019-03-18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25A KR20200111069A (ko) 2019-03-18 2019-03-18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69A true KR20200111069A (ko) 2020-09-28

Family

ID=7280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25A KR20200111069A (ko) 2019-03-18 2019-03-18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0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470B1 (ko) 2011-01-31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470B1 (ko) 2011-01-31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3048B2 (ja) 発光ダイオード
US20050236639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14179606A (ja) 半導体製造用チャックのエッジリング冷却モジュール
KR20120123846A (ko) 조명 장치
CN107076368B (zh) 灯泡型光源装置及透光性罩
JP5072132B2 (ja) 照明器具
US20220283461A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154169A1 (en) Led lamp with a heat sink
CN106997083A (zh) 镜头及包含该镜头的摄像模组
CN105093467A (zh) 具有凸台的镜头
KR20200111069A (ko) 열적 특성이 개선된 렌즈 모듈
CN110838565A (zh) 金属掩模版、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5726602B2 (ja) 直管形ランプ
JP2016143881A (ja) 発光ダイオードのパッケージ構造及びパッケージ方法
JP2011151102A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11892240B2 (en) Combination structure of vapor chamber and heat pipe
CN101571240A (zh) 一种大功率集成led灯
JP6722414B2 (ja) ガラスレンズ及び当該ガラスレンズを用いたレンズモジュール
JP6841176B2 (ja) 携帯機器用保護ケース
JP2006216114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5079244A (ja) 発光ダイオード
CN207907202U (zh) 灯具用高效散热器
KR100563373B1 (ko) 반사기를 이용한 칩 발광다이오드
TWM519351U (zh) 音圈馬達
EP2942286B1 (en) Omni-directional airport taxiway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