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029A -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 Google Patents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029A
KR20200111029A KR1020190030748A KR20190030748A KR20200111029A KR 20200111029 A KR20200111029 A KR 20200111029A KR 1020190030748 A KR1020190030748 A KR 1020190030748A KR 20190030748 A KR20190030748 A KR 20190030748A KR 20200111029 A KR20200111029 A KR 2020011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ell array
discharge hole
main body
li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3194B1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스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스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스미스
Priority to KR102019003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194B1/en
Publication of KR2020011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0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fo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icrowell array container for cell culture comprising a functional cap; and the functional cap.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a culture medium can be accommodated; and a cap which covers the main body to seal an inner space portion. The cap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collecting cell colonies cultured in microwells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finally cultured cells, and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ell colonies collected through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the cap.

Description

기능성 뚜껑을 구비한 세포배양용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및 그 기능성 뚜껑{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with a functional lid

본 발명은 세포배양을 위해 마이크로 웰(Microwell) 어레이가 형성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배양액이 마이크로 웰에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배양된 세포 덩어리를 마이크로 웰로부터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뚜껑을 구비한 마이크로 웰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in which a microwell array is formed for cell cultivation, and a functional lid that allows a culture medium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microwell, and allows the cultured cell mass to be easily recovered from the microwell. It relates to a micro-well container provided with.

마이크로 웰 어레이(Microwell Array)는 다량의 균일한 3차원 세포 배양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세포 생물학, 항암제 개발 및 재생치료와 같은 연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마이크로 웰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세포 배양은, 배지에 세포를 배양하는 방식과 달리, 생체 내의 입체 세포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세포들을 응집된 덩어리 형태로 배양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Microwell Arrays have been developed for culturing large amounts of uniform 3D cells and are widely used in research fields such as cell biology, anticancer drug development and regenerative therapy.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using a micro-well array, unlike a method of culturing cells in a medium, has an advantage of simulating a three-dimensional cell environment in a living body, and is therefore widely used to culture cells in an aggregated form.

마이크로 웰 어레이는 반구 형상 또는 U자의 단면 형상의 오목한 웰(Well)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10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웰(111)이 형성된 바닥판(110)과, 세포 배양액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판(110)을 둘러싸는 측벽(130)으로 구성된 접시 형태이다. 세포들이 마이크로 웰(111) 내부에서 공 모양으로 뭉치면서 배양하도록 마이크로 웰(111)의 표면은 세포가 침착하지 못하도록 표면처리가 되어 있다. The micro-well array is a hemispherical or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concave well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Referring to FIG. 1,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100 is a bottom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micro-wells 111 are formed. It is in the form of a plate composed of (110) and side walls (130) surrounding the bottom plate (110) to contain the cell culture solution. The surface of the micro-well 111 is surface-treated to prevent the cells from being deposited so that the cells are cultivated in a ball shape inside the micro-well 111.

마이크로 웰을 이용해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1) 연구자는 세포가 포함된 배양액을 용기에 담아 일정한 조건에서 일정한 시간을 배양시킨다. (2) 배양 과정에서 세포들은 마이크로 웰에서 서로 응집되면서 덩어리가 된다. (3) 배양이 끝나면, 연구자는 응집된 세포 덩어리를 용기로부터 채취한다. To cultivate cells using micro-wells, (1) the researcher puts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cells in a container and incubates th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der certain conditions. (2) During the culture process, the cells clump together in the micro-well. (3) At the end of the culture, the researcher collects the aggregated cell mass from the container.

종래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를 사용하는 데는 몇 가지 불편함이 있다. 배양액을 용기에 붓더라도 마이크로 웰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미처 배출되지 못하면서 기포 형태로 갇히게 되는데, 배양액이 이런 기포들 때문에 마이크로 웰에 자리를 잡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스포이드(Dropper)나 파이펫(Pipet) 등으로 배양액을 빨아올렸다가 배출하는 소위 '파이펫팅(Pipetting)'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배양액을 유동시킴으로써 마이크로 웰에 갇힌 기포를 제거하는 작업을 할 수밖에 없다. There are some inconveniences in using a conventional microwell array vessel. Even if the culture solution is poured into the container, the air filled in the micro-well cannot be discharged and is trapped in the form of bubbles, and the culture solution cannot settle in the micro-well due to these bubbles.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s repeat the so-called'Pipetting' process in which the culture solution is sucked up and discharged with a dropper or pipette, etc. You have no choice but to do the removal.

한편, 배양이 완료된 세포 덩어리를 마이크로 웰로부터 회수하는 과정에서도 불편함이 있다. 마이크로 웰 내에서 3차원적으로 배양된 세포 덩어리는 마이크로 웰로부터 쉽사리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포 덩어리가 마이크로 웰로부터 이탈하도록 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스포이드 등으로 반복적으로 배양액을 빨아올렸다가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배양액을 흔들어야 한다. 수차례의 파이펫팅으로 세포 덩어리가 마이크로 웰로부터 탈출하여 배양액 내를 부유하게 되면, 비로소 세포 덩어리를 회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inconvenience even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cultured cell mass from the microwell. Cell masses cultured three-dimensionally in micro-wells are not readily discharged from micro-wells. Therefore, in order for the cell mass to escape from the micro-well, researchers must shake the culture solution by repeatedly sucking up and discharging the culture solution with a dropper or the like. When the cell mass escapes from the micro-well by several times of pipetting and floats in the culture medium, the cell mass can be recovered.

본 발명의 목적은 배양액이 마이크로 웰에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양된 세포 덩어리를 마이크로 웰로부터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뚜껑과 그 뚜껑을 구비한 마이크로 웰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well container having a functional lid and the lid for allowing the culture medium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micro-well as well as easily recovering the cultured cell mass from the micro-we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는, 본체와 뚜껑을 포함한다. 본체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배양액을 수용하고 상기 공간부의 바닥에 마이크로 웰 어레이가 형성된다. 뚜껑은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고 상기 공간부에 일시적인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압은 상기 본체에 상기 배양액을 부었을 때 상기 마이크로 웰에 갇히는 기포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ody and a lid. The body forms a space to accommodate the culture solution, and a microwell array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The lid seals the space and has a discharge hole for providing a temporary negative pressure to the space. The negative pressure is used to remove air bubbles trapped in the micro-well when the culture solution is poured into the body.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뚜껑은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는 상기 뚜껑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깔때기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멍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뒤집어 세포 덩어리를 회수하는 회수 과정에서 상기 세포 덩어리를 상기 배출구멍으로 안내한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li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The guide part is provided under the li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main body, and the edge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hole in a funnel shape from the edge, thereby turning the main body over to recover the cell mass. In the cell mass is guided to the discharge hole.

이때, 상기 배출구멍의 직경은 상기 세포 덩어리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배양액과 사이에 형성된 표면장력으로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배양액의 배출을 적어도 지연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ell mass, and at least a size capable of delaying the discharge of the culture solution during the recovery process by the surface tension formed between the culture solution and the culture solution.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배출구멍과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세포 덩어리가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직공간부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공간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운데에 상기 배출구멍이 위치한 오목 홈의 형상, 예컨대 상기 배출구멍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U자형 오목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vertical space part may be implemented in the guide part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to provide a space for collecting the cell mass during the recovery process. The vertical space portion is formed to be concave and the shape of the concave groov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is located in the middle, for example, a cross section cut into a plane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hole may be implemented as a U-shaped concave groove.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외압으로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배양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음압으로 상기 마이크로 웰에 갇힌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1차로 붓는 배양액의 양을 지시하는 지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by an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floor,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the external pressur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Do. In addition, an indicator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to indicate the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to be first poured into the main body in order to remove air bubbles trapped in the micro-well by the negative pressur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는 상면이 개방된 복수 개의 홈에 각각 상기 본체를 수용하는 멀티 웰 플레이트(Multi Well Plate)를 더 포함할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은 상기 멀티 웰 플레이트의 개방된 홈을 덮어 상기 공간부를 밀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ulti-well plate for accommodating the main body in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an open top surface. In this case, the lid may cover the open groove of the multi-well plate to seal the spac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웰 용기는 뚜껑을 닫고 내부에 음압을 제공함으로써 마이크로 웰에 갇힌 기포를 제거하고 배양액이 마이크로 웰에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micro-wel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losing the lid and providing a negative pressure therein, air bubbles trapped in the micro-well can be removed and the culture solution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micro-we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웰 용기는 배양 후에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뒤집고 손으로 가볍게 용기를 수축시키는 동작만으로 세포 덩어리를 마이크로 웰 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wel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charged from the micro-well only by flipping the micro-well container after cultivation and gently contracting the container by hand.

따라서 연구자들이 배양액을 마이크로 웰 용기에 부은 다음 기포를 제거할 목적 또는 배양 후에 세포 덩어리를 회수할 목적으로, 파이펫 등을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Therefore, there is no inconvenience that researchers need to repeatedly use a pipette or the like for the purpose of removing air bubbles after pouring the culture solution into a micro-well container or for recovering a cell mass after culture.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회수과정에서의 도 2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회수과정에서의 도 4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마이크로 어레이 용기의 사용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icrowell array container,
2 is a view showing a microwell arra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of FIG. 2 in a recovery process;
4 is a view showing a microwell array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of FIG. 4 in a recovery process;
6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using a microarray container, an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는 본체(210)와 뚜껑(230)을 포함하며, 세포 배양에 사용될 배양액을 수용한다. 2,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 and a lid 230, and accommodates a culture medium to be used for cell culture.

본체(210)는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219)를 형성하여 배양액을 수용한다.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본체(210)는 바닥(211)과 바닥(21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측벽(213)으로 구현된 원통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둥 형상이더라도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기둥이나 오각 또는 육각 기둥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한편, 본체(210)는 바닥과 측벽을 구분하기 어려운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측벽(213)이 바닥(211)에 수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main body 210 forms a space portion 219 with an open upper surface to accommodate the culture solution. The main body 210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2 is a cylinder implemented with a bottom 211 and a sidewall 213 surrounding the edge of the bottom 2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Even if it has a column shape, it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a square column, a pentagonal, or a hexagonal column. Meanwhile, the main body 210 may have a shape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bottom and the sidewall, and the sidewall 213 may not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211.

바닥(211)에는 마이크로 웰 어레이(215)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웰 어레이(215)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웰(217)이 나란하게 배치된 것으로서, 각각의 마이크로 웰(217) 내에서 세포가 응집되면서 세포 덩어리로 배양된다. 마이크로 웰(217)의 개별적인 형상은 종래에 알려진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마이크로 웰(217)은 3차원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세포 배양도 3차원적으로 진행되며, 배지에서 평면적으로 진행되는 세포 배양과 다르다. A micro well array 215 is formed on the bottom 211. In the micro-well array 215, a plurality of micro-wells 217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cells are aggregated in each micro-well 217 to be cultured as a cell mass. The individual shape of the micro-well 217 may be any known conventionally. Since the micro-well 217 forms a three-dimensional space, cell culture is also carried out three-dimensionally, and is different from cell culture carried out flat in a medium.

본체(210)가 수용할 수 있는 배양액의 양은 공간부(219)의 크기로 결정되며,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공간부(219) 내로 뚜껑(230)의 안내부(235)가 삽입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의 최대 용량은 안내부(235)가 삽입된 후의 공간부(219)의 크기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배양액을 본체(210)에 담을 때 파이펫 등으로 계량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공간부(219)의 내면에 정량 또는 최대량을 지시하는 눈금이 표시될 수도 있다. The amount of the culture medium that the main body 210 can accommodate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space portion 219,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However, as described below, since the guide portion 235 of the lid 23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219, the maximum capacity of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is the space after the guide portion 235 is inserted.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part 219. When the culture solution is put in the main body 210, it is not essential because it is measured with a pipette, etc.,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scale indicating the quantity or maximum amount may be display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art 219.

한편,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라 세포 배양을 위해 배양액을 본체(210)에 담을 때는 1차와 2차에 걸쳐 두 번으로 나누어 담게 되는데, 이때 1차로 붓는 배양액의 양을 지시하는 지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본체(210)의 바닥(211)에는 마이크로웰 어레이(215)를 주위로 턱(221)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턱(221)의 높이가 1차 배양액의 양을 지시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below, when the culture solution is placed in the main body 210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vided into two times,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 and at this time, an instruc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to be poured first It is preferable that an additional is provided. In the bottom 211 of the main body 210 of FIG. 2, a jaw 221 is provided around the microwell array 215, and the height of the jaw 221 indicates the amount of the primary culture solution.

본체(210)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지만,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과 같은 실리콘(Silicone) 수지는 안정된 화학구조를 가지고 부식성이 없고 산화되지 않는 성질이 있고 다소간의 탄성이 있어서 본체(210)의 소재로 바람직하다. The body 210 may be implemented with a variety of material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210 is implemented with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a silicone resin such as polydimethylsiloxane (PDMS) has a stable chemical structure, is not corrosive, does not oxidize, and has some elasticity, so it is preferable as a material for the body 210.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본 발명은 세포 덩어리의 회수 과정에서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를 뒤집은 다음 공간부(219)내에 수용된 배양액을 뚜껑(230)의 배출구멍(233)을 통해 배출하는데, 이때 손가락 등으로 본체(210)의 일측을 누르는 식으로 외력을 가해 본체(210)의 형태적 변형을 일으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형태적 변형을 통해, 세포 덩어리가 마이크로 웰(217)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고 배양액이 배출구멍(233)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below,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cell mass,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is turned over and the cultur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space 219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3 of the lid 230,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apply an external force in such a way that one side of the body 210 is pressed with a finger or the like to cause a shape deformation of the body 210. Through this morphological modification, the cell mas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icro-well 217 and the culture solution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3.

본체(210)와 마찬가지로 뚜껑(230)도 실리콘 수지와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체(210)가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되었다면 뚜껑(230)이 반드시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Like the main body 210, the lid 2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resin, but if the main body 2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lid 230 must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t doesn't have to be.

뚜껑(230)은 공간부(219)의 상면을 덮어 공간부(219)를 밀폐한다. 뚜껑(230)의 형상은 본체(21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뚜껑(230)은 공간부(219)를 밀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뚜껑(230)이 다른 구조물이 없이 단일 소재로 구현되는 경우에, 공간부(219)를 밀폐하기 위해서는 뚜껑(230)의 일부가 공간부(219)를 형성하는 본체 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The lid 23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part 219 to seal the space part 219. The shape of the lid 2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210. Therefore, the lid 230 may be any structure capable of sealing the space portion 219. However, when the lid 230 is implemented with a single material without other structures, in order to seal the space 219, a part of the lid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ody forming the space 219 It should be in the form of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원기둥 형상의 본체(210)인 경우에, 뚜껑(230)은 상판(231)과, 상판(231)에서 연장되어 측벽(213)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하는 삽입부(234)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2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2, the lid 230 includes an upper plate 231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plate 231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13 It can be implemented as (234).

뚜껑(230)에는 공간부(219)에 일시적인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멍(233)이 형성된다. 도 2의 경우에 뚜껑(230)의 상판(231)의 중앙에 관통 홀의 형태로 배출구멍(233)이 형성된다. 음압은 본체(210)에 1차 배양액을 붓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웰(217)에 갇히는 기포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A discharge hole 233 for providing a temporary negative pressure to the space 219 is formed in the lid 230. In the case of FIG. 2, a discharge hole 233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231 of the lid 230. The negative pressure is used to remove air bubbles trapped in the micro-well 217 in the process of pouring the primary culture solution into the main body 210.

실시 예 1: 뚜껑의 안내부Example 1: Guide of the lid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본체(210)에 수용된 배양액에서 세포 배양이 완료되면, 배양된 세포 덩어리의 '회수 과정'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회수 과정에서 연구자는 뚜껑(230)을 닫은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를 뒤집은 다음, 배양된 세포 덩어리를 배출구멍(233)을 통해 회수한다. A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when the cell culture is completed in the culture medium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210, the'recovery process' of the cultured cell mass proceeds. In the recovery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archer turns over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with the lid 230 closed, and then recovers the cultured cell m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3.

뚜껑(230)은 '회수 과정'에서 세포 덩어리를 배출구멍(233)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235)는 뚜껑(230)의 하부에 마련되며 본체(210)의 공간부(219)에 삽입되어, 공간부(219)를 뚜껑(230)의 배출구멍(233)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안내부(235)는 가장자리가 공간부(219)의 내면에 접하고 가장자리로부터 깔때기 형상으로 배출구멍(233)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lid 23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235 for guiding the cell mass to the discharge hole 233 in the'recovery process'. The guide 235 is provided under the lid 230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219 of the main body 210 to guide the space 219 to the discharge hole 233 of the lid 230. Accordingly, the guide portion 235 is formed so as to have an edg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219 an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hole 233 in a funnel shape from the edge.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에서, 안내부(235)는 삽입부(234)와 일체로 구현된다. 안내부(235)의 가장자리(237)는 원기둥 형상으로 공간부(219)의 내면에 밀착하고, 가장자리(237)로부터 상판(231)의 가운데에 위치한 배출구멍(233)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간부(219)를 원뿔 형상으로 밀폐한다. 따라서 회수과정에서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를 뒤집으면, 마이크로 웰(217) 내에서 응집 배양된 세포 덩어리가 중력에 의해 마이크로 웰(217)로부터 탈출하고 안내부(235)를 따라 배출구멍(233) 쪽으로 이동하면서 세포 덩어리가 회수된다. In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3, the guide part 235 is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insertion part 234. The edge 237 of the guide portion 23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219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edge 237 toward the discharge hole 233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231 (219) is sealed in a conical shape. Therefore, when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is turned over during the recovery process, the aggregated-cultured cell mass in the microwell 217 escapes from the microwell 217 by gravity and the discharge hole 233 along the guide part 235 ), the cell mass is recovered.

이때, 배출구멍(233)의 최소 직경은 세포 덩어리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한편, 세포 덩어리가 다른 외력이 없이 중력만으로 마이크로 웰(217)로부터 탈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며, 그동안은 배양액이 배출되지 않고 공간부(219) 내에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회수 과정에서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를 뒤집자마자 배양액이 배출구멍(233)으로 배출되면, 세포 덩어리가 마이크로 웰(217)로부터 탈출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는 배출구멍(233)과 배양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표면장력을 이용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에 수용되는 배양액의 정량은 도 3의 (a)에서처럼 뚜껑(230)을 닫았을 때 배양액의 높이가 배출구멍(233) 중에 위치하도록 정해진다. 배출구멍(233)과 배양액 사이에 형성된 표면장력(t1)의 크기가 배출구멍(233)으로 작용하는 배양액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면 배양액의 배출을 저지하거나 적어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구멍(233)의 크기는 작을수록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구멍(233)의 최대 직경은 배출구멍(233)에 작용하는 배양액의 무게와 표면장력 사이의 관계에서 배양액의 배출을 저지하거나 적어도 지연할 수 있는 정도로 정해져야 하며, 배출구멍(233)의 최대 직경은 실험으로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배출구멍(233)의 직경은 대략 2mm 정도가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inimum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233 must be a size that allows the cell mass to pass.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cell mass to escape from the micro-well 217 only by gravity without any other external force, a certain time is required, during which the culture medium is not discharged and must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part 219. In other words, if the culture solu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3 as soon as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is turned over in the recovery process, the cell mass cannot escape from the microwell 217. In order to solve this point,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urface tension that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233 and the culture solution. Accordingly, the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is determin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culture solution is located in the discharge hole 233 when the lid 230 is closed as shown in FIG. 3A. If the size of the surface tension t1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233 and the culture solution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culture solution serving as the discharge hole 233, the discharge of the culture solution may be prevented or at least delayed. At this time, the smaller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233 is, the more advantageous. In conclusio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233 should be determined to an extent that can prevent or at least delay the discharge of the culture mediu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ight of the culture medium acting on the discharge hole 233 and the surface tension, and the discharge hole 233 The maximum diameter of) can be obtained experimentally.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233 is preferably about 2 mm.

한편, 배양액의 높이가 배출구멍(233) 중에 위치하는 것은 뚜껑(230)을 닫는 과정에서 배양액이 넘칠 수 있는 정도의 양이므로 사용상 상당히 불편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배양액의 높이를 안내부(235)의 경사면에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만, 도 3의 (b)에서처럼 배양액의 표면이 안내부(235)의 경사면에 위치하면 배양액의 배출을 저지하기에 충분한 표면장력을 얻기가 쉽지 않다. 알려진 것처럼, 표면장력은 배양액(cf)과 본체(210)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에 영향을 받는데, 안내부(235)의 경사면이 배양액에 대해 수직이 아니기 때문에 표면장력의 방향(t2)이 배양액의 배출을 저지하는데 유리하지 않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culture solution is located in the discharge hole 233, the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to overflow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lid 230, it is quite inconvenient in us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height of the culture solution to be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35. However, if the surface of the culture solution is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35 as shown in (b) of FIG. 3, it is not easy to obtain sufficient surface tension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culture solution. As is known, the surface tension is affected by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ulture medium (cf)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10. Sin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art 235 is not perpendicular to the culture medium,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tension (t2) is It is not advantageous in stopping emissions.

실시 예 2: 뚜껑의 안내부 2 (도 4 및 도 5)Example 2: Guide portion 2 of the lid (Figs. 4 and 5)

도 2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400)가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뚜껑(410)에는 배출구멍(233)과 접하는 부분에 수직공간부(411)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직공간부(411)는 가운데에 배출구멍(233)이 위치한 오목 홈의 형상으로 구현되며, 수직한 내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에서처럼, 수직공간부(411)는 배출구멍(23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U자형 오목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공간부(411)의 내벽과 배양액 사이에 작용하는 표면장력(t3)은 상측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배양액(cf)이 배출되지 않도록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400)에 수용되는 배양액의 정량은 뚜껑(410)을 닫았을 때 배양액의 높이가 수직공간부(411) 중에 위치하도록 정해진다. A microwell array contain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a problem with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of FIG. 2 is disclosed in FIG. 4. 4 and 5, a vertical space portion 411 may b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lid 410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233. The vertical space part 411 i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concave groov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233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preferably has a vertical inner wal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vertical space part 411 may be implemented as a U-shaped concave groove having a cross section cut into a plane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hole 233. Referring to FIG. 5, the surface tension t3 acting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space part 411 and the culture medium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by acting in the up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amount of the culture medium accommodated in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400 is determin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culture medium is located in the vertical space portion 411 when the lid 410 is closed.

도 2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200)와 비교할 때, 수직공간부(411)는 배양액을 채운 상태에서 빈 공간을 더 많이 제공하기 때문에, 도 6의 (d)에서 뚜껑(410)을 다시 닫을 때 배양액이 넘치는 위험을 줄인다. 한편, 수직공간부(411)는 세포 덩어리가 모이는 공간의 역할도 할 수 있다. Compared with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200 of FIG. 2, since the vertical space part 411 provides more empty space in a state filled with the culture medium, when closing the lid 410 again in FIG. 6(d) Reduce the risk of overflowing the culture medium. Meanwhile, the vertical space part 411 may also serve as a space in which cell masses are gathered.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를 이용한 세포 배양 (도 6)Cell culture using a microwell array container (Fig. 6)

이하에서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400)를 중심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세포 배양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ell cultur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centering on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400.

<배양액의 파종: 도 6의 (a)><Sowing of culture solution: Fig. 6 (a)>

연구자는 스포이드나 파이펫 등을 이용하여 뚜껑(410)을 덮지 않은 본체(210)에 1차 배양액을 붓는다. 이때, 본체(210)의 바닥(211)의 턱(221)까지 배양액이 차도록 부으면, 1차 배양액이 된다. The researcher pours the primary culture solution into the body 210 not covered with the lid 410 using a dropper or pipette. At this time, when the culture solution is poured to fill the jaw 221 of the bottom 211 of the main body 210, it becomes the primary culture solution.

<음압을 이용한 기포의 제거: 도 6의 (b)><Removal of air bubbles using negative pressure: (b) of FIG. 6>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처럼, 1차 배양액을 붓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웰(217)에 있던 공기가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기포(v) 형태로 갇힌다. 본 발명에서는 2차 배양액을 채우기 전에 뚜껑(410)을 닫아서 먼저 기포(v)를 제거한다. 연구자는 뚜껑(410)을 닫아 공간부(219)를 밀폐한 다음. 배출구멍(233)을 통해 공간부(219)에 음압을 제공한다.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으로 음압을 제공하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파이펫 등(10)의 끝 부분을 배출구멍(233)에 맞추고 공간부(219) 내의 공기를 빼내는 간단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공간부(219) 내에 음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웰(217) 내에 갇힌 기포(v)는 음압에 의해 팽창하면서 마이크로 웰(217)로부터 탈출하게 되고 결국 공기 중으로부터 배출된다.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in the process of pouring the primary culture solution, air in the microwell 217 is not discharged and is trapped in the form of bubbles (v).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filling the secondary culture solution, the lid 410 is closed to remove air bubbles (v) first. The researcher closes the lid 410 to seal the space 219. A negative pressure is provided to the space 219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3. The negative pressure may be provided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by repeating a simple operation of aligning the end of the pipette or the like 10 with the discharge hole 233 and removing air from the space part 219, the space part ( 219) may als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Bubbles (v) trapped in the micro-well 217 expand by negative pressure and escape from the micro-well 217 and are eventually discharged from the air.

<세포 덩어리의 배양: 도 6의 (c)><Cultivation of cell mass: Figure 6 (c)>

마이크로 웰(217)에 갇힌 기포(v)가 제거되면, 뚜껑(410)을 제거하고 본체(210)에 2차 배양액을 부어 정량의 배양액(cf)을 본체(210)에 담은 다음에, 세포 배양을 시작한다. When the air bubbles (v) trapped in the micro-well 217 are removed, the lid 410 is removed and the secondary culture solution is poured into the main body 210 to put a quantitative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cf) in the main body 210, and then the cell culture Start.

<세포 덩어리의 회수: 도 6의 (d) 및 (e)><Recovery of cell mass: Figure 6 (d) and (e)>

세포 배양이 완료되면, 연구자는 세포 덩어리를 회수하는 회수 과정을 진행한다. 먼저 뚜껑(410)을 다시 닫아 공간부(219)를 밀폐한 다음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400)를 뒤집어 일정시간 대기한다. 뚜껑(410)을 닫았을 때, 수직공간부(411)의 일부까지 배양액으로 채워진다. When the cell culture is complete, the researcher proceeds with a recovery process to recover the cell mass. First, the lid 410 is closed again to seal the space portion 219, and then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400 is turned over and wai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lid 410 is closed, a portion of the vertical space portion 411 is filled with the culture solution.

앞서 설명한 것처럼, 배양액(cf)과 수직공간부(411) 사이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때문에,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400)를 뒤집어도 배양액(cf)이 바로 배출구멍(233)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대신에, 마이크로 웰(217) 내에서 배양된 세포 덩어리는 중력에 의해 아랫쪽으로 떨어지고 안내부(235)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공간부(411)로 모인다. As described above, because of the surface tension acting between the culture solution cf and the vertical space portion 411, the culture solution cf is not immediate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3 even when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400 is turned over. Instead, the cell mass cultured in the micro-well 217 falls downward by gravity and is guided by the guide part 235 to collect into the vertical space part 411.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400)를 뒤집어 두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 본체(210)의 바닥(211)을 눌러 본체(210)의 형태를 변형시키면 표면장력의 영향이 제거되면서 배양액(cf)이 배출구멍(233)을 통해 쏟아져 나온다.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ith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400 turned upside down, if the shape of the body 210 is changed by pressing the bottom 211 of the body 210,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tension is removed and the culture solution cf is discharged. It pours out through the hole 233.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400)를 이용한 세포 배양이 수행된다. Cell culture using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above manner.

실시 예3: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의 다른 예 (도 7)Example 3: Another example of a microwell array container (Fig. 7)

종래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웰 용기를 담기 위해 멀티 웰 플레이트(Multi Well Plate)가 사용되었다. 멀티 웰 플레이트(71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웰 용기를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복수 개의 홈(711)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웰 어레이 용기도 멀티 웰 플레이트(710)와 결합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a multi-well plate has been used to hold a plurality of micro-well containers. The multi-well plate 710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711 whose upper surfaces are open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micro-well containers.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mbined with the multi-well plate 710.

도 7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700)는 멀티 웰 플레이트(7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체(210)는 멀티 웰 플레이트(710)의 개방된 복수 개의 홈(711)에 각각 삽입되고, 뚜껑(730)은 본체(210)에 직접 결합하는 대신에 멀티 웰 플레이트(710)의 개방된 홈(711)을 덮는 형태로 본체(210)의 내부를 밀폐한다. 도 7에서의 멀티 웰 플레이트(710)와 본체(210)는 새로운 형태의 본체가 됨으로써 도 2 및 도 4의 본체(210)에 대응되며, 도 6의 (b)에서처럼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도 2 및 도 4의 본체(2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700 may further include a multi-well plate 710. The body 210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open grooves 711 of the multi-well plate 710, respectively, and the lid 730 is an open groove of the multi-well plate 710 instead of being directly coupled to the body 210 In the form of covering 711,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0 is sealed. The multi-well plate 710 and the body 210 in FIG. 7 become a new body and thus correspond to the body 210 of FIGS. 2 and 4, and in the process of removing air bubbles as in FIG. 2 and 4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body 210 of FI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400, 700: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210: 본체 211: 바닥
213: 측벽 215: 마이크로웰 어레이
217: 마이크로웰 219: 공간부
221: 턱 230, 410, 730: 뚜껑
231: 상판 233: 배출구멍
234: 삽입부 235: 안내부
237: 가장자리(안내부) 411: 수직공간부
cf: 배양액 710: 멀티 웰 플레이트
711: 멀티 웰 플레이트의 홈
200, 400, 700: microwell array vessel
210: main body 211: bottom
213: sidewall 215: microwell array
217: microwell 219: space
221: jaw 230, 410, 730: lid
231: upper plate 233: discharge hole
234: insertion unit 235: guide unit
237: edge (guide part) 411: vertical space part
cf: culture solution 710: multi-well plate
711: groove of the multi-well plate

Claims (13)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에 있어서,
공간부를 형성하여 배양액을 수용하고 상기 공간부의 바닥에 마이크로 웰 어레이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되, 상기 공간부에 일시적인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멍이 형성된 뚜껑(상기 음압은 상기 본체에 상기 배양액을 부었을 때 상기 마이크로 웰에 갇히는 기포를 제거하는데 사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In the microwell array vessel,
A main body that forms a space to receive a culture solution and has a microwell arra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And
And a lid having a discharge hole for providing a temporary negative pressure to the space part (the negative pressure is used to remove air bubbles trapped in the micro-well when the culture solution is poured into the main body) Microwell array vessel mad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깔때기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멍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뒤집어 세포 덩어리를 회수하는 회수 과정에서 상기 세포 덩어리를 상기 배출구멍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멍의 직경은 상기 세포 덩어리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배양액과 사이에 형성된 표면장력으로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배양액의 배출을 적어도 지연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 is,
It is provided under the li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main body, and the edg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hole in a funnel shape from the edg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turned over to recover the cell mass. Further comprising a guide for guiding the cell mass to the discharge hol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ell mass,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a size capable of at least delaying the discharge of the culture medium in the recovery process by the surface tension formed between the culture mediu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배출구멍과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세포 덩어리가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직공간부가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guide,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space portion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to provide a space for collecting the cell mass during the recovery proc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공간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운데에 상기 배출구멍이 위치한 오목 홈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vertical space portion,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a concave groove formed in a concave and in which the discharge hole is located in the cen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은,
상기 배출구멍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cave groove,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cut into a plane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hole is U-shaped.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외압으로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배양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body is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implemented with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by an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floor,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under the external pressur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음압으로 상기 마이크로 웰에 갇힌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1차로 붓는 배양액의 양을 지시하는 지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main body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or portion for indicating the amount of the culture medium to be poured primarily into the main body to remove the air bubbles trapped in the microwell by the negative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복수 개의 홈에 각각 상기 본체를 수용하는 멀티 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멀티 웰 플레이트의 개방된 홈을 덮어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ulti-well plate each accommodating the main body in a plurality of grooves with an open top surface,
The lid is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by covering the open groove of the multi-well plate to seal the space.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의 내부 공간부를 덮어 밀폐하는 뚜껑(상기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여 배양액을 수용하고 상기 공간부의 바닥에 마이크로 웰 어레이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공간부에 일시적인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구멍이 형성된 (상기 음압은 상기 본체에 상기 배양액을 부었을 때 상기 마이크로 웰에 갇히는 기포를 제거하는데 사용)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용 뚜껑.
As a lid covering and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the microwell array container forms the space to receive the culture solution, and a microwell array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A lid for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hole for providing a temporary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space part (the negative pressure is used to remove air bubbles trapped in the microwell when the culture solution is poured into the main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깔때기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멍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뒤집어 세포 덩어리를 회수하는 회수 과정에서 상기 세포 덩어리를 상기 배출구멍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멍의 직경은 상기 세포 덩어리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배양액과 사이에 형성된 표면장력으로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배양액의 배출을 적어도 지연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9,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main body, the edg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hole in a funnel shape from the edge, so that the cell mass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hole in the recovery process of overturning the main body to recover the cell mass Further comprising a guide to guide to,
For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ell mass, and is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at least delaying the discharge of the culture solution during the recovery process by a surface tension formed between the culture solution Li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배출구멍과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회수 과정에서 상기 세포 덩어리가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직공간부가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guide,
A lid for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space part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to provide a space for collecting the cell mass during the recovery proc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공간부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운데에 상기 배출구멍이 위치한 오목 홈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11,
The vertical space portion,
A lid for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cave shape and a concave groov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is located in the cen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은,
상기 배출구멍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cave groove,
A lid for a microwell arra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cut into a plane including a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hole is U-shaped.




KR1020190030748A 2019-03-18 2019-03-18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KR102223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48A KR102223194B1 (en) 2019-03-18 2019-03-18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48A KR102223194B1 (en) 2019-03-18 2019-03-18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29A true KR20200111029A (en) 2020-09-28
KR102223194B1 KR102223194B1 (en) 2021-03-04

Family

ID=7280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748A KR102223194B1 (en) 2019-03-18 2019-03-18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19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61A (en) * 1990-03-27 1992-02-28 원본미기재 Pan tee
JP5140620B2 (en) * 2009-02-27 2013-02-06 藤森工業株式会社 Liquid sample storage device and liquid sample measurement method
JP2014226623A (en) *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Microchip reactor
KR20160058507A (en) * 2014-11-17 2016-05-25 (주)아이디플라텍 A container capable of drawing fixed amount of liquid
WO2019017466A1 (en) * 2017-07-20 2019-01-24 テルモ株式会社 Fragile object holding device provided with communicat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061A (en) * 1990-03-27 1992-02-28 원본미기재 Pan tee
JP5140620B2 (en) * 2009-02-27 2013-02-06 藤森工業株式会社 Liquid sample storage device and liquid sample measurement method
JP2014226623A (en) *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Microchip reactor
KR20160058507A (en) * 2014-11-17 2016-05-25 (주)아이디플라텍 A container capable of drawing fixed amount of liquid
WO2019017466A1 (en) * 2017-07-20 2019-01-24 テルモ株式会社 Fragile object holding device provided with communica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194B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33631T3 (en) A multi-level cell culture system
CN108026499B (en) Device for propagating micro-tissue
EP3148700B1 (en) Single column microplate system and carrier for analysis of biological samples
US11767499B2 (en) Cell culture vessel
ES2401640T3 (en) Hanging Drop Plate
JP4665589B2 (en) Cell culture vessel
US8828337B2 (en) Microreactor
DK147742B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FLUID SAMPLING FOR OPTICAL MEASUREMENT
CN111094534A (en) Processing features for microcavity cell culture vessels
CN111094535A (en) Cell culture container
NO323760B1 (en) Vessels and rod for collecting magnetic particles from a liquid
JP2016507241A (en) Structure for culturing cells
JP2004261171A (en) Multi-well device
US20100294734A1 (en) Samples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JP2020523563A5 (en)
KR102223194B1 (en)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amprising Functional Cap and the Cap therefor
KR102236868B1 (en) Microwell Container for Cell Culture Comprising a Cap, and Cell Culturing Method Using the Said Container
EP0141104A1 (en) Culture Flask
US6800491B2 (en) Robotic reservoir without liquid hangup
US20150240196A1 (en) Multi-compartment device for cell cloning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JP6421473B2 (en) Cell culture vessel
JP4077950B2 (en) Container with lid
CN111094536A (en) Cell culture vessel for 3D culture and method for culturing 3D cells
KR20210000552A (en) Microwell Container for Co-Culturing of Cells, Cell Co-Culturing Method Using the Said Container, and Container-Set
KR102501448B1 (en) Plate for cells freezing and tha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