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013A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013A
KR20200111013A KR1020190030706A KR20190030706A KR20200111013A KR 20200111013 A KR20200111013 A KR 20200111013A KR 1020190030706 A KR1020190030706 A KR 1020190030706A KR 20190030706 A KR20190030706 A KR 20190030706A KR 20200111013 A KR20200111013 A KR 2020011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ircuit breaker
blocking unit
suppor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훈
오기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3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013A/ko
Publication of KR2020011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상간 지지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을 갖고, 각각의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과의 간격을 유지하고 결합을 지지하는 상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간 지지부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상간 지지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크게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 고정접촉자 및 이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여 회로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기구 및 전원측에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의 트립(trip)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 이상전류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종래기술에 따른 다극 배선용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와 메커니즘 어셈블리이고, 도 2는 도 1의 어셈블리를 각 단극 베이스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아크 챔버의 사시도이다.
다극 배선용 차단기에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1)이 구비된다. 즉, 3상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3개의 단극 차단 유닛(1)이 구비된다. 각 단극 차단 유닛(1)은 절연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7) 내부에 상기 접점부(4,5)와 소호부(6)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1)은 하나의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나, 각 단극 차단 유닛(1)별로 활용 및 유지, 보수를 하는 것이 용이한 점을 고려하여 각 단극 차단 유닛(1) 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각 단극 차단 유닛을 구분하기 위하여 1a, 1b, 1c로 표기하였다.
또한, 어느 하나의 단극 차단 유닛(일반적으로 가운데 놓이는 S극)에 설치되는 개폐기구부(2)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다른 단극 차단 유닛(1)에 전달하기 위하여 한 쌍의 회전핀(8)이 마련된다. 회전핀(8)은 가동접촉자(4)가 설치되는 샤프트 어셈블리(3)에 관통되는 회전핀홀(3a)에 삽입 설치되고, 각 상에 연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각 상을 연결하는 회전핀(8)은 개폐기구부(2)의 동작 하중을 버티기 위해 철(steel)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단극 차단 유닛의 내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7) 내부에는 개폐기구(2)에 의해서 회전하는 샤프트 어셈블리(3), 전원 및 부하 측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4),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3)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고정접촉자(4)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5), 고정접촉자(4)와 가동접촉자(5) 주변에 설치되어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아크 소호부(아크 챔버)(6)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아크 소호부(6)는 한 쌍의 측판(6a), 상기 한 쌍의 측판(6a)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그리드(6b), 상기 한 쌍의 측판(6a)의 외측에 설치되는 금속(마그넷)(6c)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베이스와 베이스(7)와 메커니즘 어셈블리(2)가 결합되어 On, Off, Trip 동작을 수행한다. 도 3과 같이 차단기의 Off 및 Trip 동작시, 샤프트 어셈블리(3)가 회전하면 가동접촉자(5)가 고정접촉자(4)로부터 떨어지면서 아크(Arc)가 발생한다.
아크는 아크 소호부(6)에 배치된 다층의 그리드(6b)에 의해 신장되면서 전압이 상승하고 각 그리드에 의해 분할되면서 종국에는 소호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아크 소호부(6)에서의 아크의 움직임을 살펴보기로 한다. 아크(A)를 하나의 원통형 전도체로 가정할 때,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자속(B)이 생성된다. 자속(B)은 주위의 그리드(6b)를 통과해 그리드(6b) 방향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아크(A)의 신장 속도를 증가시키는 자기구동력(M)을 생성한다. 이때, 아크 소호부(6)에 금속(6c)이 있는 경우, 자속(B)의 비대칭성이 커져 자기구동력(M)이 증대된다.
도 6은 도 3에서 "C"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1의 상면도이다. 도 6에서 화살표는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OFF 또는 Trip시, [제 3도]와 같이 고정접촉자(4) 및 부하와 아크 소호부(6)의 측판(6a)에 위치한 금속(6c)과의 절연 거리가 확보되지 않아 내전압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배선용 차단기 동작시 베이스(7) 상간(각 단극 차단 유닛 사이)의 간극(E)에 의해 베이스(7)의 흔들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통전 및 차단 성능의 감소 및 장기적 사용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베이스 상간 지지부를 구비하여, 베이스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을 갖고, 각각의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과의 간격을 유지하고 결합을 지지하는 상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간 지지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의 모서리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마그넷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중앙부에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의 중앙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끼워지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개폐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개폐기구의 측판의 두께 및 상기 측판의 외측에 구비되는 보정링크의 두께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평판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아크 소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아크 소호부의 측판이 배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단극 차단 유닛과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재와, 양측단의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두께의 1/2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에는 상기 수용홈이 양면에 각각 형성되고, 제2 지지부재에는 상기 수용홈이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상간 지지부는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의하면 상간 지지부가 구비되어 단극 차단 유닛간 결합이 지지되어 베이스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각 차단 유닛에 있어서 금속(마그넷)이 베이스의 외부에 위치하여, Off 및 Trip 동작시 자기구동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베이스 내부의 절연거리가 증가하고 내전압이 개선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와 메커니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어셈블리를 각 단극 차단 유닛별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베이스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아크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아크 소호부에서의 아크의 작용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와 메커니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어셈블리를 각 단극 차단 유닛별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베이스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아크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12A, 12B 및 도 13A, 13B는 상간 지지부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8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어느 하나의 단극 차단 유닛의 평면 절개도로서 아크의 작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와 메커니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어셈블리를 각 단극 차단 유닛별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베이스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도, 도 11은 도 10에서 아크 챔버의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간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R,S,T)을 갖고, 상기 각 단극 차단 유닛(R,S,T)의 베이스(21)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R,S,T)과의 간격을 유지하고 결합을 지지하는 상간 지지부(5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간 지지부(50,60)는 지지부재(51,61) 및 상기 지지부재(51,61)에 삽입되는 마그넷(55,65)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51,61)는 상기 베이스(21) 내부의 아크 소호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차단시 상기 마그넷(55,65)에 의한 자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극 배선용 차단기는 가동접촉자(11)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회전핀홀(15)이 관통 형성되는 샤프트 어셈블리(10),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1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베이스(21), 상기 베이스(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키는 개폐기구(30), 상기 복수 개의 회전핀홀(15)에 관통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핀(12),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회전핀(12)이 동시에 움직이고, 상간 절연파괴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정 링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핀홀(15) 및 회전핀(12)은 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핀(12)은 회전핀홀(15)에 삽입되어 개폐기구(30)의 동력을 받아 각 상의 단극 차단 유닛(R,S,T)에 전달하여 각 접점부(11,16)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다극 배선용 차단기는 각 상(예를 들어, 3상의 경우 R상, S상, T상)의 회로를 개폐하기 위해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R,S,T)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R,S,T)은 나란히 병렬적으로 놓인다. 예를 들어, R상 단극 차단 유닛(R), S상 단극 차단 유닛(S), T상 단극 차단 유닛(T)이 순서대로 놓일 수 있다.
단극 차단 유닛(R,S,T)은 가동접촉자(11) 및 회전핀(12)이 설치되는 샤프트 어셈블리(10)와, 접점부(11,16)와 소호부(17,18) 및 단자부(22,23)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절연물로 형성되는 베이스(21)를 포함한다. 단극 차단 유닛(R,S,T)은 베이스 어셈블리라고도 칭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단극 차단 유닛(일반적으로 3상의 가운데 배치되는 S극 차단 유닛)에는 샤프트 어셈블리(10)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기구(3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은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며 종래기술의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각 단극 차단 유닛(R,S,T)은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나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단극 차단 유닛(베이스 어셈블리)에 대한 설명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한 나머지 단극 차단 유닛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번호의 번잡스러움을 피하기 위하여 공통적인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각 단극 차단 유닛(R,S,T)의 베이스 어셈블리는 21이다. 특정한 단극 차단 유닛(R,S,T)의 구성을 지칭할 경우에는 각 단극 차단 유닛(R,S,T)의 부호를 어미에 첨부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R상(R극) 베이스 어셈블리는 21R이다. 따라서, 도면상에는 단지 21로만 표시되어 있다고 하여도 이 상세한 설명 내에서 R상 베이스 어셈블리는 21R로 지칭될 수 있다.
베이스(21)는 가동접촉자(11)와 고정접촉자(16)를 수용하여 차단을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베이스(21)는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베이스(21)는 좌,우로 분리되는 한 쌍의 몰드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단자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일단에는 전원측(또는 부하측) 단자부(22)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부하측(또는 전원측) 단자부(미도시)로 연결되는 연결부(23)가 마련된다.
S극 차단 유닛의 베이스 어셈블리(21S)에는 개폐기구(30)가 결합된다. 개폐기구(30)는 베이스(21)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31), 사용자가 수동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핸들(32),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은 핸들(32)에 고정 결합되고, 측면은 상기 측판(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레버(33), 이상전류 발생시 트립기구의 트립작동에 의해 회동하는 네일, 래치(36)를 지지하고 네일에 의해 회동하는 래치홀더(35), 상부링크(37)를 지지하는 래치(36), 링크축(39)에 거치되고 토글 동작하는 메인 스프링(38), 래치(36)와 링크축(39) 사이에 결합되어 움직이는 상부링크(37)와 하부링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링크의 타단이 어느 하나의 회전핀(12)에 연결되어 샤프트 어셈블리(10)를 회동시키게 된다.
베이스(21)에는 한 쌍의 회전핀(12)이 가동할 수 있는 원호 형상의 작동홀(24)이 형성된다. 측판(31)에도 베이스(21)의 작동홀(24)에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어셈블리(10)에는 가동접촉자(11)가 방사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가동접촉자(11)는 샤프트 어셈블리(10)에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어셈블리(10)에는 종축 방향으로 중앙부에 축부(13)가 돌출 형성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0)에는 회전핀(12)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회전핀홀(15)이 축의 방사 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 으로 관통 형성된다.
개폐기구(30)의 측판(31)의 외측에는 한 쌍의 회전핀(12)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하여 보정하기 위한 보정링크(4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링크(미도시)는 한 쌍의 회전핀(12)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므로 다른 하나의 회전핀의 움직임은 동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보정링크(40)가 마련된다. 또한, 하부링크에 의해 회전핀(12)의 중앙부에 동력이 전달되므로 회전핀(12)의 단부로 갈수록 휘어짐이 발생하여, R상 또는 T상에 있어서는 S상과 차단 시간이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보정링크(40)는 이러한 휘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보정링크(40)에는 회전핀(12)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41)이 한 쌍 형성된다.
보정링크(4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간 절연 배리어의 기능도 한다. 보정링크(40)는 절연 재료로 된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간 절연 파괴를 방지한다.
보정링크(40)는 S극 차단 유닛(21S)의 좌,우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기구(30)의 측판(31)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21) 내부에는 아크 소호부가 마련된다. 아크 소호부는 접점부(11,16)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고자 마련된다. 아크 소호부는 아크 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아크 챔버는 마주 보는 한 쌍의 측판(17)과 상기 측판(17)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18)로 구성된다. 그리드(18)의 끼움돌기(18a,18b)가 측판(17)의 끼움홀(17a,17b)에 결합됨으로써, 그리드(18)는 측판(17)에 결합된다. 이때, 그리드(18)와 측판(17) 사이의 강력한 결합을 위하여 코킹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간 지지부(50,60)가 마련된다. 상간 지지부(50,60)는 지지부재(51,61)와 상기 지지부재(51,61)에 구비되는 마그넷(55,6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간 지지부(50,60)는 2개의 베이스(21)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상간 지지부(50)과 1개의 베이스(21)에 구비되는 제2 상간 지지부(60)로 구분된다.
도 12A, 12B에 제1 상간 지지부(5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A, 13B에 제2 상간 지지부(6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상간 지지부(50)는 제1 지지부재(51)와 제1 마그넷(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51)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모서리 부분에는 제1 결합돌기(52)가 각각 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52)는 대칭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51)에는 양면에 각각 제1 수용홈(53)이 형성된다.
제1 수용홈(53)의 중앙부에는 제1 마그넷(55)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1 장착돌기(54)가 형성된다.
제1 지지부재(51)의 두께(D)는 측판(31)의 두께 및 보정링크(40)의 두께를 합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2개의 단극 차단 유닛(R,S,T)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단극 차단 유닛(예를 들어 R극 차단 유닛)과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예를 들어 S극 차단 유닛)은 제1 지지부재(51)에 밀착하여 지지를 받는다.
제1 마그넷(55)이 마련된다. 제1 마그넷(55)은 평판으로 형성된다. 제1 마그넷(55)은 철판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그넷(55)은 제1 수용홈(53)에 삽입된다.
제1 마그넷(55)의 중앙부에는 제1 장착홈(56)이 형성된다. 제1 마그넷(55)은 제1 수용홈(53)의 제1 장착돌기(54)가 제1 장착홈(56)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된다.
여기서, 제1 마그넷(55)의 두께는 제1 수용홈(53)의 깊이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마그넷(55)은 제1 지지부재(5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제2 상간 지지부(60)는 제1 상간 지지부(5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상간 지지부(60)는 제1 상간 지지부(50)가 길이방향의 종단면을 따라 절개된 2개의 부분의 각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상간 지지부(60)는 제2 지지부재(61)와 제2 마그넷(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61)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모서리 부분에는 제2 결합돌기(62)가 각각 형성된다. 제2 결합돌기(62)는 대칭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61)에는 일면에 제2 수용홈(63)이 형성된다.
제2 수용홈(63)의 중앙부에는 제2 마그넷(65)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2 장착돌기(64)가 형성된다.
제2 지지부재(61)의 두께(d)는 제1 지지부재(51)의 두께(D)의 1/2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61)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양 측단에 구비되는 단극 차단 유닛(R,T)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제2 마그넷(65)이 마련된다. 제2 마그넷(65)은 평판으로 형성된다. 제2 마그넷(65)은 철판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그넷(65)은 제2 수용홈(63)에 삽입된다.
제2 마그넷(65)의 중앙부에는 제2 장착홈(66)이 형성된다. 제2 마그넷(65)은 제2 수용홈(63)의 제2 장착돌기(64)가 제2 장착홈(66)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된다.
여기서, 제2 마그넷(65)의 두께는 제2 수용홈(63)의 깊이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마그넷(65)은 제2 지지부재(6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베이스(21)에는 상기 상간 지지부(50,6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5)이 복수 개 형성된다. 결합홈(25)은 제1 결합돌기(52) 또는 제2 결합돌기(62)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25)은 아크 챔버의 측판(17)이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리드(18), 마그넷(55,65), 접점부(11,16)를 연결하는 자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14에는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 어셈블리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각 단극 차단 유닛(R,S,T)은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R,S,T)과의 사이에 제1 상간 지지부(50)가 구비되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지지된다. 따라서, On, Off, Trip 작동에 의한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5는 어느 하나의 단극 차단 유닛(여기서는 S극 차단 유닛)의 평면 절개도로서 아크의 작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마그넷(55)은 차단기의 Off 또는 Trip 동작시 발생하는 아크의 자속(점선 화살표)이 그리드(18) 방향으로의 비대칭적 형성에 도움을 주어 자기구동력(실선 화살표)을 향상시킨다.
마그넷(금속)(55)이 베이스(21)의 외부에 구비됨으로써 부하와 고정접촉자(16) 및 마그넷(55) 사시에 절연 거리가 증가하고 내전압 불량 현상이 개선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간 지지부가 단극 차단 유닛의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은 인서트 사출 성형 등에 베이스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간 지지부는 지지부재 없이 마그넷이 단극 차단 유닛의 측면에 부착 또는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의하면 상간 지지부가 구비되어 단극 차단 유닛간 결합이 지지되어 베이스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각 차단 유닛에 있어서 금속(마그넷)이 베이스의 외부에 위치하여, Off 및 Trip 동작시 자기구동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베이스 내부의 절연거리가 증가하고 내전압이 개선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샤프트 어셈블리 11 가동접촉자
12 회전핀 15 회전핀홀
16 고정접촉자 17 측판
18 그리드 21 베이스
22,23 단자부 24 작동홀
25 결합홈 30 개폐기구
40 보정링크 41 관통홀
50,60 상간 지지부 51,61 제1,제2 지지부재
52,62 제1,제2 결합돌기 53,63 제1,제2 수용홈
54,64 제1,제2 장착돌기 55,65 제1,제2 마그넷
56,66 제1,제2 장착홈

Claims (11)

  1. 복수 개의 단극 차단 유닛을 갖고,
    각각의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과의 간격을 유지하고 결합을 지지하는 상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간 지지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모서리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마그넷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중앙부에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의 중앙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끼워지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개폐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개폐기구의 측판의 두께 및 상기 측판의 외측에 구비되는 보정링크의 두께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평판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아크 소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아크 소호부의 측판이 배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단극 차단 유닛과 인접한 단극 차단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재와, 양측단의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두께의 1/2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에는 상기 수용홈이 양면에 각각 형성되고, 제2 지지부재에는 상기 수용홈이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간 지지부는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1020190030706A 2019-03-18 2019-03-18 배선용 차단기 KR20200111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06A KR20200111013A (ko) 2019-03-18 2019-03-18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06A KR20200111013A (ko) 2019-03-18 2019-03-18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13A true KR20200111013A (ko) 2020-09-28

Family

ID=7280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706A KR20200111013A (ko) 2019-03-18 2019-03-18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0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8775B2 (en) Contacto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US4649247A (en) Contact assembly for low-voltage circuit breakers with a two-arm contact lever
JP4012226B2 (ja) 配線用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KR100662752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US8264306B2 (en)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urrent limiting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823516B1 (ko) 직류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JP2018133329A (ja) 直流配線用遮断器
KR101052645B1 (ko) 아크 차폐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KR102026642B1 (ko) 배선용 차단기
US6933814B2 (en) Phase-to-phase isolation of cassette type circuit breakers
US10854414B2 (en) High voltage electrical disconnect device with magnetic arc deflection assembly
KR101036485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KR20050101248A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100606424B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20210007390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20200111013A (ko) 배선용 차단기
US20090256659A1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close and latch performance
KR20200114835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10175230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KR200485774Y1 (ko) 회전핀 절연 배리어가 구비된 다극 배선용 차단기
EP2728598A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arc barrier
JP4147347B2 (ja) 配線用遮断器
CA1331998C (en) Circuit breaker with low voltage contact structure
KR20150003694U (ko) 차단기
KR20200023975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