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416A -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 Google Patents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416A
KR20200110416A KR1020207024123A KR20207024123A KR20200110416A KR 20200110416 A KR20200110416 A KR 20200110416A KR 1020207024123 A KR1020207024123 A KR 1020207024123A KR 20207024123 A KR20207024123 A KR 20207024123A KR 20200110416 A KR20200110416 A KR 20200110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leaning
contamination
agent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슈티안 크로프
자샤 쉐퍼
크리슈티안 움브라이트
알렉산더 슐츠
미하엘 슈트로츠
토마스 요트.요트. 뮐러
베른하르트 마이어
멜라니 데니쎈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20011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one oxygen atom in position 2 or 4, e.g. pyr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6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7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해 세제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세제 및 세정 작용제에서의, 4H-피라노닐 단위와 헤테로알킬 기가 조합된 치환된 비스-4H-피라노닐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본 발명은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세척 및 세정 작용제에서의 특정한 비스-4H-피라노닐메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표백제를 함유하는 분말형 세척 및 세정 작용제의 제형에서는 어떠한 문제도 제기되지 않는 반면에, 표백제를 함유하는 안정한 액체 세척 및 세정 작용제의 제형에서는 계속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상응하게, 액체 세척 및 세정 작용제에서의 표백제의 통상적인 부재에 기인하여, 특히 함유된 표백제로 인해 통상 제거되는 오염이 종종 불충분하게만 제거된다. 텍스타일에서 염료를 보호하고 그의 탈색을 방지하기 위해 표백제가 생략된 표백제-무함유 컬러 세제에 있어서도 유사한 문제가 존재한다. 표백제의 부재는, 과산소-기반 표백제에 의해 통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표백가능한 오염이 제거되는 대신에, 세척 공정의 결과로서 종종 오염이 심지어 증폭되고/거나 오염의 제거력이 악화되며, 이는 최소한, 예를 들어, 오염 중 함유된 특정한 염료의 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개시된 화학적 반응에 기인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에 더욱 문제의 소지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는 특히 중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오염에서 발생한다. 중합성 물질은 주로 폴리페놀계 염료, 바람직하게는 플라보노이드, 특히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부류로부터의 것들이다. 오염은 특히, 상응하는 염료를 함유하는 식료품 또는 음료에 기인할 수 있다. 특히 오염은, 특히 폴리페놀계 염료, 특별히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부류로부터의 것들을 특별히 함유하는 과일 또는 채소로부터의 얼룩 또는 심지어 레드 와인 얼룩일 수 있다.
국제 특허 출원 WO 2011/023716 A1에는, 예를 들어, 중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오염의 개선된 제거를 위한 세척 및 세정 작용제에서의 프로필 갈레이트와 같은 갈산 에스테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텍스타일로부터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N 원자에서 임으로 유기 기,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페닐, 나프틸 또는 카르복시에틸 기로 치환된 4-피리디논의 용도가 국제 특허 출원 WO 2007/042140 A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문헌 [R.C. Fox and P.D. Taylor, Bioorganic & Medicinal Chem. Lett. 8 (1998), 443-446]에는 코지산의 이량체, 및 철에 대한 그의 착물 형성 특성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특허 출원 WO 2015/091124 A1로부터 비스-피라노닐메탄에 의해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한 세척 및 세정 작용제의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4H-피라노닐 단위가 헤테로알킬 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특정한 비스-4H-피라노닐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의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저,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한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A는 -Q-(CH2)n-Q, -(CH2)m-Q-(CH2)p- 또는
Figure pct00002
를 나타내고, Q는 O, N(R5) 또는 N+H(R5) X-를 나타내고,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C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나타내고, X-는 전하-균형 음이온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내고, m 및 p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7의 수를 나타낸다.
표백가능한 오염은 전형적으로 중합성 물질, 특히 중합성 염료를 함유하며, 중합성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계 염료, 특히 플라보노이드, 보다 특히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또는 상기 화합물의 올리고머이다. 컬러 녹색, 황색, 적색 또는 청색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 이외에도, 중간 컬러, 특히 바이올렛색, 라일락색, 갈색, 자주색 또는 분홍색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 및 또한 녹색, 황색, 적색, 바이올렛색, 라일락색, 갈색, 자주색, 분홍색 또는 청색 색조를 갖지만 전적으로 이와 같은 컬러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닌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언급된 컬러는 특히 각각 옅거나 진할 수도 있다. 표백가능한 오염은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녹색, 황색, 적색, 바이올렛색, 라일락색, 갈색, 자주색, 분홍색 및/또는 청색 염료를 함유하는 오염, 특히 풀, 과일 또는 채소로부터의 얼룩, 특히 또한 식료품, 예컨대 양념, 소스, 처트니, 커리, 퓨레 및 잼, 또는 음료, 예컨대 커피, 차, 와인 및 주스에 기인한 오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거되는 오염은 특히 체리, 모렐로, 포도, 사과, 석류, 초크베리, 자두, 산자나무, 아사이, 키위프루트, 망고, 풀, 또는 베리류, 특히 레드커런트, 블랙커런트, 엘더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 링곤베리, 크랜베리, 스트로베리 또는 빌베리, 또는 커피, 차, 적양배추, 블러드 오렌지, 가지, 토마토, 당근, 비트루트, 시금치, 피망, 홍감자 또는 청감자, 또는 적양파에 기인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말톨로부터 메틸 기의 할로겐화 및 비스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또는 메틸 기의 산화에 의한 알데히드의 형성, 후속 환원에 의한 알콜의 형성, 임의로 알콜의 활성화 (예를 들어, 메탄술폰산 유도체로서), 및 디할라이드와의 후속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m > 0 및/또는 p > 0인 화합물은, 예를 들어, 말톨, 또는 m+1 또는 p+1인 2-위치 알킬 기 내에 C 원자를 보유하는 말톨의 상동체로부터 출발하여 이들 방법을 조합함으로써 수득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1 및 R3 및/또는 R2 및 R4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R1, R2, R3 및 R4가 수소이고/거나 R5가 메틸 기인 것들을 포함한다. n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특히 1 내지 3의 수이다. 음이온 X-는,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락테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또는 숙시네이트, 퍼클로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히드로겐 술페이트, 술페이트,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니트레이트,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 또는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며, 전하 균형은 다가 음이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응하게 더 양이온성인 물질에 의해 또는 임의로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이온과 같은 부가적인 양이온의 존재에 의해 보장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바람직하게는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에서 화합물을 0.001 wt.% 내지 20 wt.%의 양으로, 특히 0.01 wt.% 내지 10 wt.%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구현되며, 여기서 및 하기에서 각 경우에 "wt.%" 단위의 양은 총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0.001 wt.% 내지 20 wt.%, 특히 0.01 wt.% 내지 10 wt.%의 양으로 함유하는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에 관한 것이며, 상기 또는 하기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대상에도 적용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작용제는, 오염된 세탁물 또는 오염된 경질 표면을 텍스타일 또는 경질 표면으로부터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작용제를 함유하는 수성 액에 노출시키는, 통상의 자동 또는 수동 세척 또는 세정 방법에서 사용된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는 종래 기술에서 확립된 임의의 투입 형태 및/또는 임의의 편리한 투입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고체, 분말형, 액체, 겔 또는 페이스트 투입 형태, 임의로 또한 복수의 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며; 또한 예를 들어, 벌크 용기로 패키징될 뿐만 아니라 나누어 패키징된, 압출물, 과립, 정제 또는 파우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바람직하게는, 산화성 표백제를 함유하지 않는 세척 및 세정 작용제로 구현된다. 이는 작용제가, 하이포클로라이트,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발생 물질, 및 퍼옥소산을 포함하는 보다 좁은 의미의 산화성 표백제를 함유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작용제는 바람직하게는 표백제 활성화제 및/또는 표백제 촉매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세척 작용제는 액체 세탁용 세제이다.
추가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세척 작용제는 분말형 또는 액체 컬러 세제, 즉, 착색된 텍스타일을 위한 세탁용 세제이다.
본 발명에 필수적인 활성 성분에 추가적으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는 또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 특히 세탁용 세제의 다른 통상의 구성요소, 특히 빌더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및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효소, 붕해 보조제, 향료 및 퍼퓸 캐리어를 함유할 수 있다.
빌더는 특히, 이들의 사용에 대한 생태적 침해가 없는 한, 제올라이트, 실리케이트, 카르보네이트, 유기 코빌더 및 또한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미세결정질의 합성 및 결합수-함유 제올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A 및/또는 제올라이트 P이다. 제올라이트 P로서 또한 제올라이트 MAP® (크로스필드(Crosfield) 사 상품)가 가능하다. 그러나, 제올라이트 X, 및 제올라이트 A, X 및/또는 P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n Na2O · (1-n) K2O · AI2O3 · (2 - 2.5) SiO2 · (3.5 - 5.5) H2O
로 기재될 수 있는 제올라이트 X 및 제올라이트 A의 공-결정화물 (대략 80 wt.% 제올라이트 X)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올라이트는 과립상 화합물 중의 빌더로서 사용될 수 있고, 과립상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압축되는 혼합물의 "분말화"의 유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2가지 방식은 전형적으로 제올라이트를 예비 혼합물 내로 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올라이트는 10 μm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 (부피 분포; 측정 방법: 쿨터 계수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 wt.% 내지 22 wt.%, 특히 20 wt.% 내지 22 wt.%의 결합수를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NaMSixO2x+1·y H2O의 결정질 층상 실리케이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나트륨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x는 1.9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4의 수이며, 2, 3 또는 4가 x에 대한 특히 바람직한 값이고, y는 0 내지 33,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의 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NaMSixO2x+1·y H2O의 결정질 층상 실리케이트는 예를 들어 클라리안트 게엠베하(Clariant GmbH, 독일) 사에 의해 상표명 Na-SKS로 판매된다. 이들 실리케이트의 예는 Na-SKS-1 (Na2Si22O45·xH2O, 케냐이트), Na-SKS-2 (Na2Si14O29·xH2O, 마가다이트), Na-SKS-3 (Na2Si8O17·xH2O) 또는 Na-SKS-4 (Na2Si4O9·xH2O, 마카타이트)이다.
x가 2를 나타내는 화학식 NaMSixO2x+1·y H2O의 결정질 필로실리케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β- 및 δ-나트륨 디실리케이트 Na2Si2O5·y H2O 둘 다, 및 또한 특별히 Na-SKS-5 (α-Na2Si2O5), Na-SKS-7 (ß-Na2Si2O5, 나트로실라이트), Na-SKS-9 (NaHSi2O5·H2O), Na-SKS-10 (NaHSi2O5·3 H2O, 카네마이트), Na-SKS-11 (t-Na2Si2O5) 및 Na-SKS-13 (NaHSi2O5), 그러나 특히 Na-SKS-6 (δ-Na2Si2O5)가 바람직하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는 바람직하게는 0.1 wt.%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15 wt.%, 특히 0.4 wt.% 내지 10 wt.%의 화학식 NaMSixO2x+1·y H2O의 결정질 층상 실리케이트 비율 (중량 기준)을 함유한다.
1:2 내지 1:3.3,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2.8, 특히 1:2 내지 1:2.6의 Na2O:SiO2 모듈러스를 갖는 무정형 나트륨 실리케이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지연 용해 및 2차 세척 특성을 보인다. 이 경우에, 통상의 무정형 나트륨 실리케이트에 비한 지연 용해는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표면 처리, 배합, 압착/압축 또는 과다-건조에 의해 야기된 것일 수 있다. "무정형"이란, X선 회절 실험에서 실리케이트가, 결정질 물질에 대해 전형적인 것들과 같은 선명한 X선 반사를 전혀 공급하지 않으나, 여러 ° 단위의 회절각의 폭을 갖는 산란된 X선의 1개 이상의 최대값을 기껏해야 야기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한 무정형 나트륨 실리케이트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그와 조합하여, 실리케이트 입자들이 전자 회절 실험에서 흐릿한 또는 심지어 선명한 회절 최대값을 공급하는 X선 무정형 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생성물이 10 내지 수백 nm로 측정되는 미세결정질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서 최대 50 nm까지의, 특히 최대 20 nm까지의 값들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류의 X선 무정형 실리케이트는 마찬가지로, 통상의 물유리와 비교해서 지연 용해를 보인다. 압축된/압착된 무정형 실리케이트, 배합된 무정형 실리케이트, 및 과다건조된 X선 무정형 실리케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케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실리케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결정질 또는 무정형 알칼리 디실리케이트(들)는, 존재하는 경우, 3 wt.%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8 wt.% 내지 50 wt.%, 특히 20 wt.% 내지 40 wt.%의 양으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 중에 함유된다.
생태적 이유로 사용을 피하지 않아도 되는 한, 빌더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포스페이트 중에는,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펜타나트륨 트리포스페이트 및 펜타칼륨 트리포스페이트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및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가 세척 및 세정 작용제 산업에서 가장 중요하다.
이 경우에,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는 다양한 인산의 알칼리 금속 (특히, 나트륨 및 칼륨) 염에 대한 보편적인 용어이며, 여기서 고분자량 대표물에 추가적으로 메타인산 (HPO3)n과 오르토인산 H3PO4 간에 구별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포스페이트는 다음과 같은 여러 이점이 조합되어 있다: 이들은 알칼리 캐리어로서 작용하고, 기계 부품 상의 석회 침착 또는 직물 내 석회 외피형성을 방지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세정 성능에 기여함. 특히 산업적으로 중요한 포스페이트는 펜타나트륨 트리포스페이트 Na5P3O10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및 상응하는 칼륨 염 펜타칼륨 트리포스페이트 K5P3O10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가 또한 사용된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에서 포스페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작용제는 따라서 상기 포스페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펜타나트륨 트리포스페이트 또는 펜타칼륨 트리포스페이트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또는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를 5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15 wt.% 내지 75 wt.%, 특히 20 wt.% 내지 70 wt.%의 양으로 함유한다.
알칼리 캐리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 캐리어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세스퀴카르보네이트, 언급된 알칼리 실리케이트, 알칼리 메타실리케이트, 및 상기한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칼리 카르보네이트, 특히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 또는 나트륨 세스퀴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폴리포스페이트와 나트륨 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빌더 시스템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는, 다른 빌더 물질과 비교하여 그와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의 나머지 성분과의 화학적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단지 소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 wt.%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 wt.%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4 wt.% 미만, 특히 2 wt.% 미만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wt.% 미만의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를 함유하는 작용제, 특히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를 함유하지 않는 작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카르보네이트(들) 및/또는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카르보네이트(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카르보네이트를 2 wt.%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5 wt.% 내지 40 wt.%, 특히 7.5 wt.% 내지 30 wt.%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복실레이트/폴리카르복실산, 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아스파르트산, 폴리아세탈, 덱스트린 및 포스포네이트가 특히 유기 빌더로서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유리 산 및/또는 그의 나트륨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카르복실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카르복실산은 1개 초과의 산 관능기를 보유하는 카르복실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생태적 이유로 그의 사용이 부적당하지 않는 한, 시트르산, 아디프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푸마르산, 사카르산, 아미노카르복실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TA),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빌더 효과에 추가적으로, 유리 산은 전형적으로 또한, 산성화 구성요소인 특성을 가져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의 보다 낮은 및 보다 온화한 pH를 설정하는데 또한 사용된다. 여기서 시트르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가 또한 빌더로서 적합하다. 이들은,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 예를 들어, 500 g/mol 내지 70,000 g/mol의 상대 분자 질량을 갖는 것들의 알칼리 금속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2,000 g/mol 내지 20,000 g/mol의 분자 질량을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가 특히 적합하다. 그의 우수한 용해도로 인해, 2,000 g/mol 내지 1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g/mol 내지 5,000 g/mol의 몰 질량을 갖는 단쇄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상기 군 중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로,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특히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것들,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말레산의 것들이 적합하다. 또한, 50 wt.% 내지 90 wt.%의 아크릴산 및 50 wt.% 내지 10 wt.%의 말레산을 함유하는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리 산을 기준으로 하는 그의 상대 분자 질량은 일반적으로 2,000 g/mol 내지 7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g/mol 내지 50,000 g/mol, 특히 30,000 g/mol 내지 40,000 g/mol이다. 수용해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중합체는 또한 알릴 술폰산, 예컨대 알릴옥시벤젠 술폰산 및 메타알릴 술폰산을 단량체로서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는 고체로서 또는 수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공)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 wt.% 내지 20 wt.%, 특히 3 wt.% 내지 10 wt.%이다.
2종 초과의 상이한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단량체로서 비닐 알콜 또는 비닐 알콜 유도체와 아크릴산 및 말레산의 염을 함유하는 중합체, 또는 단량체로서 당 유도체와 아크릴산 및 2-알킬알릴 술폰산의 염을 함유하는 중합체가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아크롤레인 및 아크릴산/아크릴산 염 또는 아크롤레인 및 비닐 아세테이트를 갖는 것들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빌더로서 중합체성 아미노디카르복실산, 그의 염 또는 그의 전구체가 마찬가지로 언급되어야 한다. 폴리아스파르트산 및/또는 그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빌더 특성을 갖는 추가 부류의 물질은 포스포네이트 물질이다. 이들은 특히 히드록시알칸 포스폰산 또는 아미노알칸 포스폰산의 염이다. 히드록시알칸 인산 중,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HEDP)이 특히 중요하다. 그것은 특히 나트륨 염으로서 사용되며, 디나트륨 염은 중성으로 반응하고 테트라나트륨 염은 알칼리성으로 반응한다. 가능한 아미노알칸 포스폰산은 특히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EDTMP),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 (DTPMP), 및 이들의 고급 상동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특히, 예를 들어 EDTMP의 헥사나트륨 염으로서 또는 DTPMP의 헵타나트륨 염 및 옥타나트륨 염으로서의, 중성으로 반응하는 나트륨 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언급된 포스포네이트들의 혼합물이 또한 유기 빌더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아미노알칸 포스포네이트는 부가적으로 현저한 중금속-결합력을 갖는다.
추가의 적합한 빌더는, 디알데히드를 5 내지 7개의 C 원자 및 적어도 3개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폴리올 카르복실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는 폴리아세탈이다. 바람직한 폴리아세탈은 디알데히드, 예컨대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테레프탈알데히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그리고 폴리올 카르복실산, 예컨대 글루콘산 및/또는 글루코헵톤산으로부터 수득된다.
추가의 적합한 유기 빌더는 덱스트린, 예를 들어, 탄수화물의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이며, 이는 전분의 부분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가수분해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산- 또는 효소-촉매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덱스트린은 바람직하게는 400 g/mol 내지 500,000 g/mol 범위의 평균 몰 질량을 갖는 가수분해 생성물이다. 이 경우에, 0.5 내지 40, 특히 2 내지 30 범위의 덱스트로스 당량 (DE)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가 바람직하며, DE는 DE 100을 갖는 덱스트로스와 비교한 폴리사카라이드의 환원 효과에 대한 통상적인 척도이다. 3 내지 20의 DE를 갖는 말토덱스트린 및 20 내지 37의 DE를 갖는 건조된 글리코스 시럽 둘 다, 및 2000 g/mol 내지 30,000 g/mol 범위의 보다 높은 몰 질량을 갖는 백색 덱스트린 및 황색 덱스트린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형의 덱스트린의 산화된 유도체는 그와, 사카라이드 고리의 적어도 1개의 알콜 관능기를 산화시켜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형성할 수 있는 산화제와의 반응 생성물이다.
옥시디숙시네이트, 및 디숙시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디숙시네이트의 다른 유도체가 추가의 적합한 코빌더이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N,N'-디숙시네이트 (EDDS)가 그의 나트륨 또는 마그네슘 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해서 글리세롤 디숙시네이트 및 글리세롤 트리숙시네이트가 또한 바람직하다. 목적하는 경우에, 특히 제올라이트-함유 및/또는 실리케이트-함유 제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은 3 wt.% 내지 15 wt.%이다.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유기 코빌더는, 예를 들어, 아세틸화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이며, 이는 임의로 또한 락톤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시 기, 뿐만 아니라 2개 이하의 산 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알칼리 토류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 빌더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척 및 세정 작용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모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알콜의 군으로부터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콜 1 mol당 평균적으로 1 내지 12 mol의 에틸렌 옥시드 (EO) 및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알콕실화된, 유리하게는 에톡실화된, 특히 1급 알콜이며, 여기서 알콜 관능기는 옥소 알콜 관능기로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같이, 선형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2 위치에서 메틸-분지화될 수 있거나, 또는 선형 및 메틸-분지형 관능기를 함께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알콜 1 mol당 평균 2 내지 8 EO를 갖고, 예를 들어 코코넛 알콜, 팜 알콜, 탈로우 지방 알콜 또는 올레일 알콜의 12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천연 기원의 알콜의 선형 관능기를 갖는 알콜 에톡실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톡실화 알콜은, 3 EO 또는 4 EO를 갖는 C12-14 알콜, 7 EO를 갖는 C9-11 알콜, 3 EO, 5 EO, 7 EO 또는 8 EO를 갖는 C13-15 알콜, 3 EO, 5 EO 또는 7 EO를 갖는 C12-18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3 EO를 갖는 C12-14 알콜과 5 EO를 갖는 C12-18 알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명시된 에톡실화도는 특정 생성물에 대해 정수 또는 분수에 상응할 수 있는 통계적 평균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알콜 에톡실레이트는 좁은 상동체 분포 (좁은 범위 에톡실레이트, NRE)를 갖는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12 초과의 EO를 갖는 지방 알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의 예는 14 EO, 25 EO, 30 EO 또는 40 EO를 갖는 탈로우 지방 알콜이다. 더욱이, 화학식 RO(G)x의 알킬 글리코시드가 추가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화학식 R은 8 내지 22개,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1급 직쇄 또는 메틸-분지형 지방족 관능기, 특히 2-위치에서 메틸-분지화된 지방족 관능기에 상응하고, G는 5 또는 6개의 C 원자를 갖는 글리코스 단위,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를 나타내는 심볼이다. 모노글리코시드 및 올리고글리코시드의 분포를 가리키는 올리고머화도 x는 1 내지 10의 임의의 수이고; x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이다.
단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또는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또 다른 부류의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쇄 내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실화된,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된 또는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된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이다.
아민 옥시드 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N-코코알킬-N,N-디메틸아민 옥시드 및 N-탈로우 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시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의 양 이하, 특히 그의 절반 이하이다.
추가의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의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이며:
Figure pct00003
여기서 R은 6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아실 관능기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관능기 또는 히드록시알킬 관능기를 나타내고, [Z]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3 내지 10개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폴리히드록시알킬 관능기를 나타낸다.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는, 통상적으로 암모니아, 알킬아민 또는 알칸올아민을 사용한 환원당의 환원성 아민화, 및 지방산,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후속 아실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공지된 물질이다.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의 군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Figure pct00004
여기서 R은 7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관능기를 나타내고, R1은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관능기 또는 아릴 관능기를 나타내고, R2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관능기 또는 아릴 관능기 또는 옥시 알킬 관능기를 나타내며, C1-4 알킬 또는 페닐 관능기가 바람직하고, [Z]는 알킬 쇄가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선형 폴리히드록시 알킬 관능기, 또는 이와 같은 관능기의 알콕실화된,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또는 프로폭실화된 유도체를 나타낸다. [Z]는 바람직하게는, 환원된 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프룩토스, 말토스, 락토스, 갈락토스, 만노스 또는 크실로스의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수득된다. N-알콕시-치환된 또는 N-아릴옥시-치환된 화합물은, 촉매로서의 알콕시드의 존재 하에, 이들을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써 목적하는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로 전환될 수 있다.
세정 작용제에서, 알콕실화 알콜의 군, 특히 바람직하게는 혼합 알콕실화 알콜의 군, 특히 EO/AO/E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PO/AO/P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특별히 PO/EO/P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PO/EO/P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우수한 발포 제어를 특징으로 한다.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술포네이트 및 술페이트 유형의 것들이다. 사용될 수 있는 술포네이트 유형의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C9-13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올레핀 술포네이트, 즉, 예를 들어, 말단 또는 내부 이중 결합을 갖는 C12-18 모노올레핀으로부터 기상 삼산화황을 사용한 술폰화 및 후속되는 술폰화 생성물의 알칼리 또는 산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되는, 알켄 및 히드록시알칸 술포네이트 및 디술포네이트의 혼합물이다. C12-18 알칸으로부터, 예를 들어, 술포염소화 또는 술폭시드화와 후속 가수분해 또는 중화에 의해 수득되는 알칸 술포네이트가 또한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α-술포지방산의 에스테르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예를 들어, 수소화 코코넛 지방산, 팜 커넬 지방산 또는 탈로우 지방산의 α-술폰화 메틸 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술페이트화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가 추가의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1 내지 3 mol의 지방산을 갖는 모노글리세롤의 에스테르화에 의한 제조 동안에 또는 0.3 내지 2 mol의 글리세롤을 갖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에스테르교환 동안에 수득되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에, 바람직한 술페이트화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6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미리스트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의 술페이트화 생성물이다.
예를 들어 코코넛 지방 알콜, 탈로우 지방 알콜,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또는 스테아릴 알콜 유래의 C12-C18 지방 알콜, 또는 C10-C20 옥소 알콜의 황산 하프-에스테르 및 이들 쇄 길이를 갖는 2급 알콜의 하프-에스테르의 알칼리 염, 특히 나트륨 염이 알크(엔)일 술페이트로서 바람직하다. 석유화학 기반으로 제조된 합성 직쇄 알킬 관능기를 함유하고 지방 화학 원료를 기재로 하는 적절한 화합물과 유사한 분해 거동을 갖는 언급된 쇄 길이의 알크(엔)일 술페이트가 또한 바람직하다. 세척 관점에서 C12-C16 알킬 술페이트, C12-C15 알킬 술페이트 및 C14-C15 알킬 술페이트가 바람직하다.
1 내지 6 mol의 에틸렌 옥시드로 에톡실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 C7-21 알콜, 예컨대 평균적으로 3.5 mol의 에틸렌 옥시드 (EO)를 갖는 2-메틸-분지형 C9-11 알콜 또는 1 내지 4 EO를 갖는 C12-18 지방 알콜의 황산 모노에스테르가 또한 적합하다. 이들의 높은 발포 거동으로 인해, 이들은 단지 비교적 소량으로, 예를 들어 1 wt.% 내지 5 wt.%의 양으로 세정 작용제 중에 사용된다.
추가의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알킬 술포숙신산의 염이며, 이는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술포숙신산 에스테르라고도 지칭되고, 술포숙신산과 알콜, 바람직하게는 지방 알콜, 특히 에톡실화 지방 알콜과의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디에스테르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술포숙시네이트는 C8-18 지방 알콜 관능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술포숙시네이트는, 그 자체로 고려 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해당되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로부터 유래된 지방 알콜 관능기를 함유한다. 또한, 지방 알콜 관능기가 제한된 상동체 분포를 보이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로부터 유래된 술포숙시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알크(엔)일 쇄 내에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크(엔)일 숙신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히 비누이다. 포화 지방산 비누,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소화 에루크산 및 베헨산의 염, 및 특히 천연 지방산, 예컨대 코코넛 지방산, 팜 커넬 지방산 또는 탈로우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비누 혼합물이 적합하다.
비누를 비롯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의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염의 형태로, 또는 유기 염기, 예컨대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의 가용성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로, 특히 나트륨 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언급된 계면활성제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의 양이온성 화합물이 양이온성 활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각각의 기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6 알킬 기, C1-6 알케닐 기 또는 C1-6 히드록실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기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8-28 알킬 기 또는 C8-28 알케닐 기로부터 선택되고; R3 = R1 또는 (CH2)n-T-R2이고; R4 = R1 또는 R2 또는 (CH2)n-T-R2이고; T = -CH2-, -O-CO- 또는 -CO-O-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텍스타일을 관리하고, 보다 부드러운 "감촉" (연화) 및 보다 낮은 정전기 전하 (증가된 착용감)와 같이 텍스타일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텍스타일-연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의 활성 성분은, 2개의 소수성 관능기를 갖는 4급 암모늄 화합물, 예컨대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이지만, 이들의 불충분한 생분해성 때문에 그의 소수성 관능기 내에 생분해를 위한 미리 결정된 파단점으로서의 에스테르 기를 함유하는 4급 암모늄 화합물로 점점 더 대체되고 있다.
개선된 생분해성을 갖는 이와 같은 종류의 "에스테르쿼트"는, 예를 들어, 메틸디에탄올아민 및/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을 지방산과 에스테르화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알칼리화제로 4급화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디메틸올 에틸렌 우레아가 또한 마감제로서 적합하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리파제, 헤미셀룰라제, 셀룰라제, 퍼히드롤라제 또는 옥시도리덕타제,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효소는 원칙적으로 천연 기원이며; 바람하게는 그에 준해서 사용되는, 천연 분자에서 출발하여 세척 및 세정 작용제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선된 변이체가 이용가능하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는 효소를 바람직하게는 활성 단백질을 기준으로 1 x 10-6 wt.% 내지 5 wt.%의 총량으로 함유한다. 단백질 농도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BCA 방법 또는 뷰렛(Biuret)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테아제 중에는, 서브틸리신-유형 프로테아제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예는 서브틸리신 BPN' 및 칼스버그(Carlsberg), 뿐만 아니라 이들의 추가로 개량된 형태, 프로테아제 PB92, 서브틸리신 147 및 309, 바실루스 렌투스(Bacillus lentus) 유래의 알칼리성 프로테아제, 서브틸리신 DY, 및 효소 써미타제, 프로테이나제 K 및 프로테아제 TW3 및 TW7 (서브틸라제에 속하나, 보다 좁은 의미로 서브틸리신은 아님)이다.
사용될 수 있는 아밀라제의 예는 바실루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비.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amyloliquefaciens), 비. 스테아로써모필루스(B. stearothermophilus), 아스페르길루스 니거(Aspergillus niger), 및 에이. 오리자에(A. oryzae) 유래의 α-아밀라제, 뿐만 아니라 세척 및 세정 작용제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선된 상기한 아밀라제의 추가의 개량체이다. 특히 상기 목적을 위해 주목할 만한 그 밖의 것들은, 바실루스 종 A 7-7 (DSM 12368) 유래의 α-아밀라제, 및 비. 아가라드헤렌스(B. agaradherens) (DSM 9948) 유래의 시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 (CGTase)이다.
리파제 또는 큐티나제가 그의 트리글리세리드-절단 활성으로 인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원래 휴미콜라 라누기노사(Humicola lanuginosa)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써모미세스 라누기노수스(Thermomyces lanuginosus)) 또는 그로부터 추가로 개량된 리파제, 특히 아미노산 교환 D96L을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원래 푸사리움 솔라니 피시(Fusarium solani pisi) 및 휴미콜라 인솔렌스(Humicola insolens)로부터 단리된 큐티나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출발 효소가 원래 슈도모나스 멘도시나(Pseudomonas mendocina) 및 푸사리움 솔라니이(Fusarium solanii)로부터 단리되었던 리파제 및/또는 큐티나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헤미셀룰라제"로 함께 그룹화될 수 있는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만난아제, 크산탄 리아제, 펙틴 리아제 (=펙티나제), 펙틴에스터라제, 펙테이트 리아제, 크실로글루카나제 (=크실라제), 풀룰라나제, 및 β-글루카나제를 포함한다.
표백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목적하는 경우에, 옥시도리덕타제, 예컨대 옥시다제, 옥시게나제, 카탈라제, 퍼옥시다제, 예컨대 할로-, 클로로-, 브로모-, 리그닌-, 글루코스- 또는 망가니즈 퍼옥시다제, 디옥시게나제 또는 락카제 (페놀옥시다제, 폴리페놀옥시다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해당 옥시도리덕타제의 활성을 강력하게 하기 위해 (인핸서), 또는 산화 효소와 오염물 간에 전자의 유동을 보장하도록 산화환원 전위가 매우 상이한 경우 (매개인자), 효소와 상호작용하는 유기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화합물이 부가적으로 첨가된다.
효소는 종래 기술에서 확립된 임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과립화, 압출 또는 동결건조에 의해 수득된 고체 제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특히 액체 또는 겔 작용제의 경우, 유리하게는 최대한 농축된 저수분의 및/또는 안정화제가 보충된 효소의 용액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효소는 또한 고체 및 액체 투입 형태 둘 다에 있어서, 예를 들어 효소 용액을 바람직하게는 천연 중합체와 함께 압출 또는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캡슐화될 수 있거나, 또는 캡슐의 형태, 예를 들어, 경화된 겔에 효소가 함유된 것들, 또는 효소-함유 코어가 물-, 공기- 및/또는 화학물질-불투과성 보호 층으로 코팅된 코어-쉘 유형의 것들일 수 있다. 다른 활성 성분, 예컨대 안정화제, 유화제, 안료, 표백제 또는 염료가 오버레이 층에 부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캡슐은 본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진탕 또는 롤 과립화에 의해 또는 유동층 공정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과립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중합체성 필름-형성제의 적용으로 인해 분진이 적고, 코팅으로 인해 저장 시 안정하다. 더욱이, 단일 과립이 복수의 효소 활성을 보이도록 2종 이상의 효소를 함께 제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1종 이상의 효소 및/또는 효소 제제,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제제 및/또는 아밀라제 제제가 바람직하게는 0.1 wt.% 내지 5 wt.%,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4.5 wt.%, 특히 0.4 wt.% 내지 4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개별 부취제 화합물, 예컨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 유형의 합성 생성물이 퍼퓸 오일 또는 향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매력적인 향료 노트를 함께 생성하는 상이한 부취제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퍼퓸 오일은 또한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수득가능한 것과 같이 천연 부취제 혼합물, 예를 들어 파인, 시트러스, 자스민, 파출리, 로즈 또는 일랑일랑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감지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부취제는 휘발성이어야 하며, 여기서 화학적 화합물의 구조 및 관능기의 성질 이외에도, 몰 질량이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부취제는 최대 대략 200 g/mol의 몰 질량을 갖고, 300 g/mol 이상의 몰 질량은 제외되는 경향이 있다. 부취제들의 휘발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다수의 부취제로 구성된 퍼퓸 또는 향료의 냄새는 휘발 과정에 걸쳐 변하며, 여기서 냄새 인상은 "탑 노트", "미들 노트 또는 바디" 및 "엔드 노트 또는 드라이 아웃"으로 나뉜다. 냄새의 자각은 또한 대부분 냄새 강도에 좌우되기 때문에, 퍼퓸 또는 향료의 탑 노트는 고도 휘발성 화합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엔드 노트는 보통 저휘발성, 즉, 부착성 부취제로 이루어진다. 퍼퓸 구성 시, 보다 휘발성인 부취제는, 예를 들어, 특정 고착제에 결합될 수 있어, 부취제가 지나치게 빠르게 휘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하기에서 부취제를 "보다 휘발성" 또는 "부착성" 부취제로 나누는 것은, 냄새 인상과 관련하여, 그리고 더욱이 상응하는 부취제가 탑 또는 미들 노트로서 자각되는지의 여부에 대해 서술하는 것은 아니다. 향료는 직접 가공될 수 있으나, 향료를 느리게 방출함으로써 장기 지속 향료를 보장하는 캐리어에 향료를 적용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은 이러한 종류의 캐리어 재료로서 편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시클로덱스트린 퍼퓸 착물은 추가의 보조제로 부가적으로 코팅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염료를 선택할 때, 염료가 높은 저장 안정성, 및 광 민감도를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텍스타일 표면에 대해 및 이 경우 특히 합성 섬유에 대해 과도한 친화성을 갖지 않을 수 있는지를 주지해야 한다. 또한, 염료가 산화에 대해 상이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주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불용성 염료는 수용성 염료보다 산화에 대해 더 안정하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염료의 농도는 용해도에 따라 다양하며, 따라서 또한 산화 민감도에 따라 다양하다. 고도로 수용성인 염료의 경우, 전형적으로 수 10-2 wt.% 내지 10-3 wt.% 범위의 염료 농도가 선택된다. 그러나, 특히 그의 휘도로 인해 바람직하지만 덜 수용성인 안료 염료의 경우,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염료의 적합한 농도는 전형적으로 수 10-3 wt.% 내지 10-4 wt.%이다. 세척 공정에서 산화로 파괴될 수 있는 염료, 및 그와 적합한 청색 염료 (블루 토너라 지칭됨)와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액체 유기 물질 또는 물에 가용성인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염료, 예를 들어 음이온성 니트로소 염료가 적합하다.
상기에서 언급된 구성요소에 추가적으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는 이들 작용제의 실제적 및/또는 심미적 특성들을 추가로 개선시키는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작용제는 전해질, pH 조정제, 형광제, 굴수성제, 발포 억제제, 실리콘 오일, 재부착방지제, 광학 증백제, 회색화 억제제, 수축방지제, 주름방지제, 염료 전달 억제제, 항미생물 활성 성분, 살균제, 살진균제, 항산화제, 대전방지제, 다림질 보조제, 반발제 및 함침제, 팽윤방지제, 슬립방지제, 및 UV 흡수제의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물질을 함유한다.
다수의 광범위한 염들이 무기 염의 군으로부터의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이고, 바람직한 음이온은 할라이드 및 술페이트이다. 기술적 제조 관점에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 중에 NaCl 또는 MgCl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의 pH를 목적하는 범위로 되게 하기 위해, pH 조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용적 또는 생태적 이유로 또는 소비자 보호의 이유로 그 사용이 금지되는 않는 한, 모든 공지된 산 또는 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정제의 양은 통상적으로 총 제형의 1 wt.%를 초과하지 않는다.
비누, 오일, 지방, 파라핀 또는 실리콘 오일이 가능한 발포 억제제이며, 이는 임의로 캐리어 재료에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캐리어 재료는, 예를 들어, 무기 염, 예컨대 카르보네이트 또는 술페이트,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실리케이트, 및 상기한 재료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바람직한 작용제는 파라핀, 바람직하게는 비분지형 파라핀 (n-파라핀), 및/또는 실리콘, 바람직하게는 선형-중합체성 실리콘을 함유하며, 이는 화학식 (R2SiO)x에 따라 구성되고, 실리콘 오일이라고도 지칭된다. 이들 실리콘 오일은 1,000 g/mol 내지 150,000 g/mol의 분자량 및 10 mPa·s 내지 1,000,000 mPa·s의 점도를 갖는 통상적으로 투명한 무색의 중성 무취 소수성 액체이다.
방오제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의 중합체, 특히,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음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개질된 유도체로부터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 프탈산 중합체 및 테레프탈산 중합체의 술폰화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학 증백제는 특히, 처리된 텍스타일의 회색화 및 황변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 작용제에 첨가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섬유에 흡수되고, 비가시적 자외선 방사선을 가시적 장파장 광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라이트닝 및 유사 표백 효과를 야기하며, 일광으로부터 흡수된 자외선 광은 엷은 청색 형광으로서 방출되고, 회색화 또는 황변된 세탁물의 황색 톤과 함께 순백색을 생성한다.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4,4'-디아미노-2,2'-스틸벤 디술폰산 (플라본산), 4,4'-디스티릴바이페닐렌, 메틸움벨리페론, 쿠마린, 디히드로퀴놀론, 1,3-디아릴피라졸린, 나프탈산 이미드, 벤족사졸 시스템, 벤즈이속사졸 시스템, 벤즈이미다졸 시스템, 및 헤테로사이클로 치환된 피렌 유도체의 물질 부류로부터 유래된다.
회색화 억제제의 기능은, 섬유로부터 제거된 오물이 액 중에 계속 현탁되게 하여 따라서 오물이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기물인 수용성 콜로이드, 예를 들어 중합체성 카르복실산의 수용성 염, 사이징 재료, 젤라틴, 전분 또는 셀룰로스의 에테르술폰산 염, 또는 셀룰로스 또는 전분의 산성 황산 에스테르 염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합하다. 산 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아미드가 또한 상기 목적을 위해 적합하다. 가용성 전분 제제, 예를 들어 분해된 전분 및 알데히드 전분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또한 적합하다. 셀룰로스 에테르, 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Na 염), 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스, 및 혼합 에테르, 예컨대 메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메틸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이들의 혼합물이 회색화 억제제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경우에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를 기준으로 15 내지 30 wt.%의 메톡시 기 및 1 내지 15 wt.%의 히드록시프로필 기의 비율을 갖는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메틸셀룰로스와 같은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가 특히 적합하다.
텍스타일 직물, 특히, 레이온, 스펀 레이온, 코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제조된 것들은, 개별 섬유가 섬유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벤딩, 킹킹, 프레싱 및 크러싱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주름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어, 합성 주름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대체로 에틸렌 옥시드와 반응하는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지방산 알킬올 에스테르,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또는 지방 알콜을 기재로 하는 합성 생성물, 또는 레시틴 또는 개질된 인산 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생성물을 포함한다.
오물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오물이 세척 제거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물질로 텍스타일을 마감하기 위해 반발 및 함침 방법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반발제 및 함침제는 퍼플루오르화 지방산, 또한 이들의 알루미늄 및 지르코늄 염의 형태, 유기 실리케이트, 실리콘, 퍼플루오르화 알콜 구성요소를 갖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퍼플루오르화 아실 또는 술포닐 관능기에 커플링된 중합성 화합물이다. 대전방지제가 또한 함유될 수 있다. 반발제 및 함침제를 사용하는 오물-반발 마감은 종종, 이지-케어 마감으로서 분류된다.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습윤제를 첨가함으로써 해당 활성 성분의 용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에의 함침제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발제 및 함침제의 적용에 대한 추가의 분야는, 텍스타일 상품, 텐트, 방수포, 가죽 등에 대한 발수 마감이며, 여기서 방수와 반대로, 직물 기공이 폐쇄되지 않아 따라서 물질이 통기성인 채로 남아 있는다 (소수성화). 소수성화를 위해 사용되는 소수성화제가 텍스타일, 가죽, 종이, 목재 등을 매우 얇은 층의 소수성 기, 예컨대 더 긴 알킬 쇄 또는 실록산 기로 코팅한다. 적합한 소수성화제는,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알루미늄 또는 지르코늄 염의 첨가제를 갖는 금속 비누 등, 장쇄 알킬 관능기를 갖는 4급 암모늄 화합물, 우레아 유도체, 지방산-개질된 멜라민 수지, 크로뮴 착물 염, 실리콘, 유기주석 화합물, 및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및 퍼플루오린화 화합물이다. 소수성화된 재료는 기름기가 느껴지지 않는 대신에, 오일을 가한 물질과 유사하게, 그것이 습윤화되지 않고 상기 재료로부터 수액적이 흘러내린다. 따라서, 실리콘-함침된 텍스타일은, 예를 들어, 부드러운 감촉을 갖고 물 및 오물을 반발하며; 잉크, 와인, 과일 주스 등으로부터의 얼룩을 제거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미생물을 방지하기 위해 항미생물 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작용 메카니즘 및 항미생물 범위에 따라, 정균제 및 살균제, 정진균제 및 살진균제 등 간에 구별된다. 이들 군으로부터의 물질은, 예를 들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할로페놀 및 페닐수은 아세테이트이며, 이들 화합물을 전적으로 생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대기 산소 및 다른 산화성 공정의 영향에 기인한 세척 작용제 및/또는 처리된 텍스타일에 대한 목적하지 않는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작용제는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 부류는, 예를 들어, 치환된 페놀, 히드로퀴논, 피로카테콜 및 방향족 아민, 및 유기 술파이드, 폴리술파이드, 디티오카르바메이트,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증가된 착용감은 부가적인 대전방지제의 사용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표면 전도도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형성된 전하의 방전의 개선을 촉진한다. 외부 대전방지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1개의 친수성 분자 리간드를 갖고 표면 상에 다소 흡습성의 필름을 생성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주로 표면-활성인 대전방지제는 질소-함유 대전방지제 (아민, 아미드, 4급 암모늄 화합물), 인-함유 대전방지제 (인산 에스테르) 및 황-함유 대전방지제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로 나뉠 수 있다. 라우릴 (또는 스테아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또한 텍스타일용 대전방지제로서 또는 세척 작용제 중의 첨가제로서 적합하며, 부가적으로 연화 효과가 달성된다.
처리된 텍스타일의 물-흡수 능력 및 재-습윤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그리고 처리된 텍스타일의 다림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텍스타일 세제 중에 실리콘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그의 발포-억제 특성의 결과로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의 린싱 거동을 개선시킨다. 바람직한 실리콘 유도체는, 예를 들어, 알킬 기가 1 내지 5개의 C 원자를 갖고 완전 또는 부분 플루오린화된 폴리디알킬 실록산 또는 알킬아릴 실록산이다. 바람직한 실리콘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이며, 이는 임의로 유도체화될 수 있고, 이어서 아미노관능성 또는 4급화되거나, 또는 Si-OH-, Si-H- 및/또는 Si-Cl- 결합을 갖는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리콘은 폴리알킬렌 옥시드-개질된 폴리실록산, 즉,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및 폴리알킬렌 옥시드-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이다.
마지막으로, 처리된 텍스타일에 흡수되고 섬유의 내광성을 개선시키는 UV 흡수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하는 특성들을 갖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2 및/또는 4 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벤조페논의 유도체 및 비-방사성 불활성화로부터의 활성 화합물이다. 치환된 벤조트리아졸, 3-위치에서 페닐-치환된 아크릴레이트 (신남산 유도체), 임의로 2-위치에 시아노 기를 갖는 것, 살리실레이트, 유기 Ni 착물 및 천연 물질, 예컨대 움벨리페론 및 내인성 우로칸산이 또한 적합하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그의 섬유-관리 효과로 인해 추가의 적합한 활성 물질이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단백질의 산-, 염기- 또는 효소-촉매된 분해에 의해 수득되는 생성물 혼합물이다. 식물 및 동물 기원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둘 다가 사용될 수 있다. 동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예를 들어, 엘라스틴, 콜라겐, 케라틴, 실크, 및 유즙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며, 이는 또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식물 기원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예를 들어, 대두, 아몬드, 쌀, 완두, 감자 및 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그 자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달리 수득된 아미노산 혼합물, 또는 개별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또는 피로글루탐산을 그 대신에 임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도체를, 예를 들어 그의 지방산 축합 생성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합성
1. 3-((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2-메틸-4H-피란-4-온 (3c)의 합성 및 분석
Figure pct00006
퍼징된 슐렝크 플라스크 내에 2.52 g (20.0 mmol)의 말톨 (1) 및 6.42 g (23.4 mmol)의 tert-부틸디페닐실릴 클로라이드 TBDPSCI (2c)를 제공하고, 50 ml의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이를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실온 (20℃)에서 10 min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시간 후에, 2.73 g (40.0 mmol)의 이미다졸을 한번에 첨가한 다음, 20℃에서 5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시간이 경과한 후, 가스의 발생을 관찰할 수 없을 때까지 반응 혼합물에 포화 나트륨 비카르보네이트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탈이온수의 첨가에 의해 용해시킨 후, 수성 상을 각 경우에 250 ml의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1:1, v/v)로 4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를 사용하여 건조시켰다. 최종적으로, 수득된 조 생성물을,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3:1, v/v)로 이루어진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7.03 g (19.3 mmol, 96%)의 생성물 3c를 무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융점: 127℃
Rf 값 (n-헥산: EtOAc, 5:1): 0.22
1H-NMR (300 MHz, 클로로포름-d): δ = 1.08 (s, 9 H), 2.37 (s, 3 H), 6.09 (d, J = 5.6 Hz, 1 H), 7.30-7.42 (m, 6 H), 7.48 (d, J = 5.6 Hz, 1 H), 7.69-7.73 (m, 4 H).
2.a) 보호된 말톨 전구체 3c의 아민화를 위한 일반 절차
Figure pct00007
퍼징된 슐렝크 튜브 내에 피론 3c를 제공하고, 5 ml의 테트라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후속적으로, 187 mg (1.05 mmol)의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6℃로 가열하였다. 15 min 후, 21.9 mg (13 mol.%)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향류 질소 중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오일 배스에서 UV 램프를 사용한 조사에 의해 2 h 동안 가열하였다. 후속적으로,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 중에 녹였다. 용액을 포화 나트륨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 수용액을 사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합쳐진 수성 상들을 각 경우에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포화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수성 상을 각 경우에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용매를 완전히 증류 제거하였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4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다. 퍼징된 50 ml의 2구 플라스크 내에 5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공하고, 아민 25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냉장고에서 4℃로 냉각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와류시키고, 다시 냉장고에서 적어도 30 min 동안 냉각시켰다. 상기 시간 후에,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조 생성물을 3회에 나누어 빠르게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냉장고에서 24 h 동안 저장하였다.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셀라이트(Celite)® 상에 흡착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Figure pct00008
2.b) 2,2'-((에탄-1,2-디일-비스(메틸아잔디일))비스(메틸렌))비스(3-((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4H-피란-4-온) (26c)의 제조
일반 절차 (2.a)와 유사하게,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구배 (10% 이후 0% v/v) 및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1:1, v/v)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한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후, 237 mg (0.29 mmol, 62%)의 생성물 26c를 약간 오랜지색의 분석적으로 순수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194℃
Rf 값 (CH2Cl2:MeOH, 10:1): 0.47
1H-NMR (300 MHz, 클로로포름-d): δ = 1.05 (s, 18 H), 2.40 (s, 6 H), 2.73 (s (넓음), 4 H), 3.80 (s (넓음), 4 H), 6.09 (d, J = 5.6 Hz, 2 H), 7.27-7.41 (m, 12 H), 7.55 (d, J = 5.6 Hz, 2 H), 7.61-7.75 (m, 8H).
2.c) 2,2'-((프로판-1,3-디일비스(메틸아잔디일))비스(메틸렌))비스(3-((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4H-피란-4-온) (26d)의 제조
일반 절차 (2.a)와 유사하게,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구배 (10% 이후 0% v/v) 및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1:1, v/v)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한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후, 204 mg (0.25 mmol, 54%)의 생성물 26d를 약간 오랜지색의 분석적으로 순수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145℃
Rf 값 (CH2Cl2:MeOH, 10:1): 0.36
1H-NMR (300 MHz, 클로로포름-d): δ = 1.05 (s, 18 H), 1.71-1.86 (m, 2 H), 2.37 (s, 6 H), 2.55 (t, J = 7.2 Hz, 4 H), 3.72 (s, 4 H), 6.07 (d, J = 5.6 Hz, 2 H), 7.28-7.41 (m, 12 H), 7.53 (d, J = 5.6 Hz, 2 H), 7.67-7.70 (m, 8 H).
2.d) 2,2'-(피페라진-1,4-디일비스(메틸렌))비스(3-((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4H-피란-4-온) (26e)의 제조
일반 절차 (2.a)와 유사하게,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구배 (10% 이후 0% v/v) 및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1:1, v/v)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한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후, 169 mg (0.21 mmol, 46%)의 생성물 26e를 약간 베이지색의 분석적으로 순수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240℃
1H-NMR (300 MHz, 클로로포름-d): δ = 1.05 (s, 18 H), 2.69 (s (넓음), 8 H), 3.76 (s, 4 H), 6.10 (d, J = 5.6 Hz, 2 H), 7.27-7.42 (m, 12 H), 7.60 (d, J = 5.6 Hz, 2 H), 7.64-7.73 (m, 8 H).
3. 2,2'-((에탄-1,2-디일비스(메틸아잔디일))비스(메틸렌))비스(3-히드록시-4H-피란-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28b)의 제조
Figure pct00009
5 g의 진한 염산을 95 g의 메탄올 내로 서서히 첨가하였다. 퍼징된 슐렝크 튜브 내에 407 mg (0.50 mmol)의 말토 유도체 26c를 제공하고, 용기를 다시 탈기시키고, 질소로 폭기시켰다. 후속적으로, 2.5 ml의 HCl 용액을 교반하면서 향류 질소 내에 첨가하였다. 15 min 후, 황색의 투명한 반응 용액이 혼탁해지고, 무색 고체가 침전되었다. 90분 후, 반응 혼합물을 처리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메탄올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고진공에서 건조시킨 후, 152 mg (0.37 mmol, 74%)의 28b를 무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더욱이,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디클로로메탄 중에 3회 재현탁시킨 후 모액으로부터 추가의 42 mg (0.10 mmol, 20%)의 생성물 28b를 수득할 수 있었다. 이는 총 수율 194 mg (0.47 mmol, 94%)에 상응한다.
1H-NMR (300 MHz, 산화중수소-d2): δ = 3,.03 (s, 6 H), 3.79 (s (넓음), 4 H), 4.59 (s (넓음), 4 H), 6.62 (d, J = 5.6 Hz, 2 H), 8.13 (d, J = 5.6 Hz, 2 H).
13C-NMR (75 MHz, D2O): δ = 41.7 (2 CH3), 50.1 (2 CH2), 52.9 (2 CH2), 114.8 (2 CH), 141.3 (2 Cquart), 147.6 (2 Cquart), 157.9 (2 CH), 176.1 (2 Cquart).
유사하게, 26d 및 26e를 탈보호하여 화합물 28c 및 28d를 형성하였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3: 세정 성능
하기 표 1에 명시된 다양한 오염에 대해 40℃에서 세척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오염은 폴리페놀계 천연 염료 (플라보노이드)에 기반한다. 시험 오염은, 명시된 추출물의 묽은 수용액의 일정한 양을 코튼 직물 상에 투입하고 이어서 건조시킴으로써 수작업으로 제조하였다. 세척 시험을 위해, 표백제-무함유 액체 세제 (FWM)를 사용하였고, 이에 의해 pH 8.5를 갖는 세척액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세척액은 FWM 69 g 및 임의로 표 1 내에도 명시된 활성 성분 중 1종 1.4 g 대 16 °dH의 물 17 l로 이루어져 있다. 평가는 L*a*b* 값 및 그로부터 계산된 Y 값 (휘도에 대한 척도로서)에 따른 컬러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완료되었다. 하기 표는 3회 결정 시의 평균 값으로서 활성 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FWM과 활성 성분이 첨가된 FWM 제형 간의 차이 (차이 Y (세척 후) - Y (세척 전))로서의 오염 제거의 개선을 제시한다.
표 1: 휘도차에서의 차이
Figure pct00011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활성 성분의 첨가 시 dY 값들은 첨가되지 않은 FWM을 사용하여 수득된 값들보다 항상 더 컸으며, 이는 더 높은 백색도 및 그에 따른 개선된 오염 제거에 상응한다.

Claims (10)

  1.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해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Figure pct00012

    여기서 A는 -Q-(CH2)n-Q, -(CH2)m-Q-(CH2)p- 또는
    Figure pct00013
    를 나타내고, Q는 O, N(R5) 또는 N+H(R5) X-를 나타내고,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C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나타내고, X-는 전하-균형 음이온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내고, m 및 p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7의 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오염이 폴리페놀계 염료, 특히 플라보노이드, 보다 특히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부류로부터의 염료 또는 상기 화합물의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된 중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선된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이, 상응하는 녹색, 황색, 적색, 바이올렛색, 라일락색, 갈색, 자주색, 분홍색 및/또는 청색 염료를 함유하는, 녹색, 황색, 적색, 청색, 바이올렛색, 라일락색, 갈색, 자주색 또는 분홍색 컬러의 오염의 개선된 제거, 특히 풀, 과일 또는 채소로부터의 얼룩, 특히 식료품, 예컨대 스파이스, 소스, 처트니, 커리, 퓨레 및 잼, 또는 음료, 예컨대 커피, 차, 와인 및 주스에 기인한 오염의 개선된 제거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염이 체리, 모렐로, 포도, 사과, 석류, 초크베리, 자두, 산자나무, 아사이 베리, 키위, 망고, 풀 또는 베리류에 기인한 오염, 특히 레드커런트, 블랙커런트, 엘더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 링곤베리, 크랜베리, 스트로베리 또는 빌베리, 또는 커피, 차, 적양배추, 블러드 오렌지, 가지, 토마토, 당근, 비트루트, 시금치, 피망, 홍감자 또는 청감자, 또는 적양파에 기인한 오염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척 또는 세정 작용제:
    Figure pct00014

    여기서 A는 -Q-(CH2)n-Q, -(CH2)m-Q-(CH2)p- 또는
    Figure pct00015
    를 나타내고, Q는 O, N(R5) 또는 N+H(R5) X-를 나타내고,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C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나타내고, X-는 전하-균형 음이온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내고, m 및 p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7의 수를 나타낸다.
  6. 제5항에 있어서, 0.001 wt.% 내지 20 wt.%, 특히 0.01 wt.% 내지 10 wt.%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보다 좁은 의미의 산화성 표백제, 즉, 하이포클로라이트,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발생 물질, 및 퍼옥소산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외에도, 빌더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탁용 세제의 추가의 구성요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에서, R1 및 R3 및/또는 R2 및 R4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또는 작용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에서, R1, R2, R3 및 R4가 수소이고/거나, R5가 메틸 기이고/거나, n이 1 내지 6, 특히 1 내지 3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또는 작용제.
KR1020207024123A 2018-01-23 2019-01-10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KR20200110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0960.0A DE102018200960A1 (de) 2018-01-23 2018-01-23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DE102018200960.0 2018-01-23
PCT/EP2019/050523 WO2019145158A1 (de) 2018-01-23 2019-01-10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416A true KR20200110416A (ko) 2020-09-23

Family

ID=6503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123A KR20200110416A (ko) 2018-01-23 2019-01-10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34452B2 (ko)
EP (1) EP3743496B1 (ko)
KR (1) KR20200110416A (ko)
DE (1) DE102018200960A1 (ko)
WO (1) WO2019145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4811A1 (en) 2021-04-12 2022-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hand dishwashing clean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7772A (en) * 1957-10-02 1959-10-06 Searle & Co Derivatives of 1, 1-bis[4-oxo-5-hydroxy-6-(4h-pyranyl)] dimethylamine
GB0520380D0 (en) 2005-10-07 2005-11-16 Unilever Plc Stain removal
DE102009028891A1 (de) 2009-08-26 2011-03-03 Henkel Ag & Co. Kgaa Verbesserte Waschleistung durch Radikalfänger
DE102013226003A1 (de) 2013-12-16 2015-06-18 Henkel Ag & Co. Kgaa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3496A1 (de) 2020-12-02
US20200354653A1 (en) 2020-11-12
EP3743496B1 (de) 2022-01-05
DE102018200960A1 (de) 2019-07-25
WO2019145158A1 (de) 2019-08-01
US11434452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45400B2 (en) Washing and cleaning agent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10876076B2 (en) Detergents and cleaning agent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20140303064A1 (en) Wash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ormance
US11434452B2 (en) Detergents and cleaning agent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9714402B2 (en) Washing and cleaning agent
US9428716B2 (en) Wash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ormance
US9587045B2 (en) Washing and cleaning a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DE102013217034A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KR102380965B1 (ko)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EP3599272B1 (en) Deter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EP3036315B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EP3041920B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EP3599273A1 (en) Deter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EP3599271A1 (en) Deter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WO2023099154A1 (de) Anthracen-9,10-dion-derivate als photoaktivatoren in waschmitteln
DE102018218846A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