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085A -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085A
KR20200110085A KR1020190030186A KR20190030186A KR20200110085A KR 20200110085 A KR20200110085 A KR 20200110085A KR 1020190030186 A KR1020190030186 A KR 1020190030186A KR 20190030186 A KR20190030186 A KR 20190030186A KR 20200110085 A KR20200110085 A KR 2020011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ume
compulsory
hexahedral
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073B1 (ko
Inventor
윤치웅
Original Assignee
윤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치웅 filed Critical 윤치웅
Priority to KR1020190030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07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제로 구성된 프레임에 기성 대형흄관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층이 2개 이상 적층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다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Hump pipe composite steel type's artificial reef having multi- floor}
본 발명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제로 구성된 프레임에 기성 대형흄관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층이 2개 이상 적층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다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구조의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초는 어류가 많이 모여드는 해저의 융기부를 말하는 것으로, 그 형태, 넓이, 수심, 저질에 따라, 암초, 퇴, 주등으로 불리며, 어초 부근에서는 지형을 따라 상승류와 하강류가 발생하여 해수의 순환이 활발해져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하게 되어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공어초는 연안 수역의 수산자원증대를 위한 인공적인 구조물로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및 서식장소로 제공되고, 어린 치어들을 보호 육성할 수 있는 은신처로 제공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인공어초는 어류의 산란이나 생활을 돕기 위해 주로 수심 10 - 50m의 해역에 설치하는 것으로 조류가 어초에 부딪치면서 용승류 및 와류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해저면에 쌓여있던 부유물을 상승시켜 각종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연안어장의 생산력을 높이게 한다.
따라서 최근 협곡과 융기부가 없이 해양생태계가 파괴된 연근해에서는 인공적으로 수중식물이 착생되어 보호 육생할 수 있게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도록 인공어초군을 통하여 협곡 등을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이 인공어초는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패류의 은신처 및 산란장을 조성하여 어자원을 육성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인공어초는 특정 어류의 위집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되어 여러 종류의 어류 위집에 적합하지 않고, 용승류 발생이 용이하지 않으며, 경제성 및 내구성이 아주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종 치어나 치패가 천적의 눈을 피하여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 치어와 치패가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08147호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종래의 인공어초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 및 보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제로 구성된 프레임에 기성 대형흄관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층이 2개 이상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특히 하부구조가 저층성 어류의 산란 및 서식장에 적합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다수의 육면체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부층이 상기 하부층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이 그 하부면을 이루도록 1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 하부강제구조;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면을 이루는 육면체형 프레임 중 1개의 프레임이 하부면이 되는 육면체형 프레임이 형성된 후 상기 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이 그 하부면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1개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진 상부기둥이 이격되어 4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둥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을 일부로 하는 격자형 상부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4개의 상부기둥을 고정하는 상부강제구조; 및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육면체형 프레임에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흄관;을 포함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 하부강제구조의 외벽을 구성하는 육면체형 프레임 중 상기 흄관이 삽입고정된 하부층과 다른 하부층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용승류발생용 관로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재는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외벽을 구성하는 육면체형 프레임의 외부모서리에 위치한 입구가 크고 그 후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격된 두 개의 장대형 프레임 사이 공간의 일부를 덮는 평판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두 개의 장대형 프레임은 그 일단부가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 모서리를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상부강제구조를 이루는 상부기둥 중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을 하부면으로 하는 하부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 모서리를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경사판부재;를 더 포함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강제구조를 이루는 1개 이상의 하부층 및 상기 상부강제구조를 이루는 4개 이상의 상부기둥 및 격자형상부프레임에 포함된 다수의 육면체형 프레임을 이루는 격자구조의 일부를 덮는 음영판이 다수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강제구조의 상부기둥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넓이보다 2배 내지 3배 넓고,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높이는 상기 상부강제구조의 높이보다 1/2이하로 낮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흄관은 원통형상으로 측면에는 통공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흄관은 상기 육면체형 프레임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에 의하면 강제로 구성된 프레임에 기성 대형흄관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층이 2개 이상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특히 하부구조가 저층성 어류의 산란 및 서식장에 적합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다목적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정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측면도이며,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하부강제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하부강제구조에 흄관 및 관로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상부강제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강제구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강제구조에 다수의 경사판부재 및 음영판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를 구성하는 흄관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관로부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에 부착되는 경사판부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정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측면도이며,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하부강제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하부강제구조에 흄관 및 관로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상부강제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강제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강제구조에 다수의 경사판부재 및 음영판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를 구성하는 흄관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의 관로부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에 부착되는 경사판부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1))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1)는 하부강제구조(100), 상부강제구조(200) 및 흄관(300)을 포함하는데, 특히 하부강제구조(100) 및 상부강제구조(200)가 서로 다른 층구조를 갖고 이들이 일체형으로 적층되어 전체적으로 하부에 형성된 다각형상 받침대 상부에 받침대 넓이보다 좁고 높은 다각기둥이 형성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하부강제구조(100)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부모양이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폭이 넓고 폭에 비해 높이가 낮은 다각기둥 형상이 일반적일 수 있는데, 특히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육면체형 프레임(111)이 동일평면상에 서로 모서리를 공유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제1하부층(110)이 형성되고, 제1하부층(110)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이 그 하부면을 이루도록 즉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을 서로 공유하면서 제1하부층(110) 상부에 적층형성되는 제2하부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2개의 하부층이 적층된 형태만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하부층을 1개로 구성하거나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강제구조(100)가 판상형 사각기둥형상으로 제1하부층(110)과 제2하부층(12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각 층을 이루는 육면체형 프레임(111)이 거의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갖거나 모양은 육면체로 동일하지만 높이는 같고 폭이 달라서 크기가 약간 다른 경우에도, 대체로 12개의 모서리를 가진 육면체형 프레임(111)은 서로 모서리를 9개 이상 공유하도록 형성된 입체형 단위격자프레임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층(110)은 25개의 육면체프레임유닛으로 구성되고 제2하부층(120)도 동일하게 25개의 육면체프레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육면체프레임유닛의 크기 및 모양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은 물론이다. 도 2a에서 음영부분은 제1하부층(110)과 제2하부층(120)을 구성하는 육면체프레임유닛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하부강제구조(1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문어 및 저층성 어류의 산란, 서식장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흄관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흄관(300)은 저층성 어류의 위집에 효과적인 구성요소로서 하부강제구조(100)의 외벽을 구성하는 육면체형 프레임(111, 121)에 삽입 고정되는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층(110)의 전후면 외벽을 형성하는 10개의 육면체프레임유닛과 제2하부층(120)의 좌우면 외벽을 형성하는 10개의 육면체프레임유닛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하부층(110)의 전후면에는 제1하부층 흄관(310)이 삽입고정되고, 제2하부층(120)의 전후면에는 제2하부층 흄관(320)이 삽입 고정되는 구성을 통해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1)의 각 측면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흄관(300)은 하수관로 등으로 사용되는 기성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통공이 전혀 없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기성제품인 대형 하수관로를 그대로 하부강제구조(100)의 제1하부층(110) 및 제2하부층(120)의 외벽을 이루는 육면체형 단위프레임에 삽입고정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흄관고정부(330)를 별도로 형성하고 흄관고정부(330)를 육면체형 단위프레임에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흄관(300)을 그대로 하부강제구조(100)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강제구조(100)를 구성하는 육면체형 단위프레임의 크기를 흄관의 직경에 맞추어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흄관(300)은 대문어 및 저층성 어류의 산란, 서식장 역할을 수행하므로 일정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하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층(110)의 전후면을 이루는 연속된 5개의 육면체형 단위프레임 중 2번째 및 4번째에 설치되고, 제2하부층(110)의 좌우면을 이루는 연속된 5개의 육면체형 단위프레임 중 2번째 및 4번째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1)는 매우 큰 초대형인공어초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심부로 갈수록 해저면에 있는 수산생물의 먹이 역할을 하는 플랑크톤 등이 부족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플랑크톤 등을 어초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용승류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관로부재(400)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1)의 내부로 용승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하부강제구조(100)에 설치될 수 있는데,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1)의 각 측면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 즉 인공어초(1)의 전후면에서는 흄관(300)이 제1하부층(110)에 설치되므로 제2하부층(120)에 설치되고, 인공어초(1)의 좌우면에서는 흄관(300)이 제2하부층(120)에 설치되므로 제1하부층(110)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관로부재(40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나 효과 대비 재료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부재(400)는 인공어초(1)의 전후좌우면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관로부재(400)는 관로부(410) 및 고정부(420)로 이루어지는데 관로부(410)는 입구부(411)가 크고 그 후면부로 갈수록 좁아져서 출구부(412)가 작은 다양한 형상의 깔대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부재(400)의 관로부(410)가 그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형상 깔대기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로부(410)가 사각형상 깔대기 구조로 형성된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강제구조(100)의 외벽을 구성하는 육면체형 프레임의 외면측 4개의 모서리와 인접하여 넓은 입구부(411)가 설치되고 출구부(412)는 후면측 4개의 모서리가 형성하는 공간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로부(410)가 형성되면 입구부(411)에서 느린 유속이라도 관로부(410)에 진입하게 되면 유속이 빨라져 출구부(412)로 나갈 때는 빠른 유속을 갖게 되므로 용승류의 발생이 용이해진다. 또한, 용승류의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인공어초(1) 내부 상부로 플랑크톤 등이 상승할 수 있도록 관로부(410)가 하부면은 경사가 심하고 상부면은 경사가 완만한 구조로 형성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20)에 의해 고정되어 관로부재(400)가 하부강제구조(100)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관로부재(400)는 고정부(420) 없이 관로부(41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부면은 경사가 심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지만 상부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입구부(411)의 모든 모서리와 출구부(412)의 상부모서리가 용접되는 방식으로 관로부재(400)가 하부강제구조(100)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강제구조(200)는 하부강제구조(100) 상부면에 형성되어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1)의 용적율을 높이고 여러 종류의 어류의 위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기둥(210)과 격자형 상부프레임(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기둥(210)은 하부강제구조(100)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 중 1개의 프레임이 하부면이 되는 육면체형 프레임이 형성된 후 그 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이 다시 하부면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1개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기둥은 적어도 4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4개 이상의 상부기둥은 각 상부기둥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을 일부로 하는 격자형 상부프레임(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강제구조(200)가 장방형 사각기둥형상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상부기둥(211), 제2상부기둥(212), 제3상부기둥(213) 및 제4상부기둥(214)으로 구성된 상부기둥(210)과 격자형 상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부기둥(210) 즉 제1 내지 제4상부기둥(211 내지 214)을 이루는 육면체형 프레임(211a 내지 214a)이 거의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갖거나 모양은 육면체로 동일하지만 높이는 같고 폭이 달라서 크기가 약간 다른 경우에도, 대체로 12개의 모서리를 가진 육면체형 프레임(111)은 서로 모서리를 4개 이상 공유하도록 형성된 입체형 단위격자프레임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상부기둥(211 내지 214)은 각각 4개의 육면체프레임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4개의 육면체프레임유닛 중 최하단의 육면체프레임유닛 즉 하부육면체프레임유닛의 하부면은 하부강제구조(100)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과 공유되므로 생략되었다. 필요한 경우 육면체프레임유닛의 크기 및 모양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은 물론이다. 도 4b서 음영부분은 상부기둥(210)을 구성하는 육면체프레임유닛 중 어느 하나 특히 하부에 위치한 육면체프레임유닛을 임의로 표시한 것이다.
한편 격자형 상부프레임(22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상부기둥(211 내지 214)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 중 2개 이상을 공유하는 격자형 프레임구조를 갖는데, 일 구현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구성된 6개의 격자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부기둥(210)과 용접으로 결합되면 9개의 격자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강제구조(200)가 형성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강제구조(100)의 상부면은 상부강제구조(200)의 상부기둥(210) 즉 제1 내지 제4 상부기둥(211 내지 214)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즉 사각형 넓이보다 2배 내지 3배 넓고, 하부강제구조(100)의 높이는 상부강제구조(200)의 높이보다 1/2이하로 낮게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전도성이 낮은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강제구조(200)의 하부외부에는 다수의 경사판부재(500)가 형성되는데, 경사판부재(500)는 물의 흐름을 상승시켜 어초 내부로 용승류가 발생할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요소이다.
경사판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두 개의 장대형 프레임(510) 사이 공간의 일부를 덮는 평판(520)이 형성된 구조로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장대형 프레임(510)은 그 일단부가 하부강제구조(10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육면체형 프레임(121a)의 상부면 모서리를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부강제구조(200)를 이루는 상부기둥(210) 중 하부강제구조(100)의 상부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을 하부면으로 하는 하부육면체형 프레임 즉 하부육면체프레임유닛의 상부면 모서리를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경사판부재(500)가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하부강제구조(100) 및 상부강제구조(200)는 모두 면이 없는 프레임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류가 숨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다수의 음영판(600)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음영판(600)은 하부강제구조(100)를 이루는 1개 이상의 하부층(110) 및 상부강제구조(200)를 이루는 4개 이상의 상부기둥(210) 및 격자형상부프레임(220)에 포함된 다수의 육면체형 프레임을 이루는 격자구조의 일부를 덮어서 그늘을 형성함으로써 위집된 어류의 서식을 도울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는 초대형어초로서 정착성이 강한 어종부터 회유성 어종까지 여러 종류의 어류의 위집이 가능하다. 즉 어초성이 강한 어류들은 흄관이 설치되어 있는 하부강제구조(100) 즉 저층부에서 서식이 가능하고,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회유성 어종들은 용승작용에 의하여 먹이플랑크톤이 어초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로 인해 상부강제구조(200) 즉 인공어초의 중, 상층부에 서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100 : 하부강제구조 110 : 제1하부층
111 : 제1하부층육면체프레임 111a: 외벽격자구조
120 : 제2하부층 121 : 제2하부층육면체프레임
121 : 제2하부층육면체프레임 121a: 외벽격자구조
200 : 상부강제구조 210 : 상부기둥
211 : 제1상부기둥 212 : 제2상부기둥
213 : 제3상부기둥 214 : 제4상부기둥
220 : 격자형 상부프레임
300 : 흄관 310 ; 제1하부층 흄관
320 : 제2하부층 흄관 330 : 흄관고정부
400 : 관로부재
410 : 관로부 411 : 입구부
412 : 출구부 420 : 고정부
500 : 경사판 부재 510 : 장대형 프레임
520 : 경사판 600 : 음영판

Claims (8)

  1.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다수의 육면체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부층이 상기 하부층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이 그 하부면을 이루도록 1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 하부강제구조;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면을 이루는 육면체형 프레임 중 1개의 프레임이 하부면이 되는 육면체형 프레임이 형성된 후 상기 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이 그 하부면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1개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진 상부기둥이 이격되어 4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둥의 상부면을 이루는 프레임을 일부로 하는 격자형 상부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4개의 상부기둥을 고정하는 상부강제구조; 및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육면체형 프레임에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흄관;을 포함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외벽을 구성하는 육면체형 프레임 중 상기 흄관이 삽입고정된 하부층과 다른 하부층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용승류발생용 관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재는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외벽을 구성하는 육면체형 프레임의 외부모서리에 위치한 입구가 크고 그 후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4. 제 1 항에 있어서,
    이격된 두 개의 장대형 프레임 사이 공간의 일부를 덮는 평판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두 개의 장대형 프레임은 그 일단부가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 모서리를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상부강제구조를 이루는 상부기둥 중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을 하부면으로 하는 하부육면체형 프레임의 상부면 모서리를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경사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강제구조를 이루는 1개 이상의 하부층 및 상기 상부강제구조를 이루는 4개 이상의 상부기둥 및 격자형상부프레임에 포함된 다수의 육면체형 프레임을 이루는 격자구조의 일부를 덮는 음영판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강제구조의 상부기둥을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 넓이보다 2배 내지 3배 넓고, 상기 하부강제구조의 높이는 상기 상부강제구조의 높이보다 1/2이하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흄관은 원통형상으로 측면에는 통공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흄관은 상기 육면체형 프레임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KR1020190030186A 2019-03-15 2019-03-15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KR10222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86A KR102221073B1 (ko) 2019-03-15 2019-03-15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86A KR102221073B1 (ko) 2019-03-15 2019-03-15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85A true KR20200110085A (ko) 2020-09-23
KR102221073B1 KR102221073B1 (ko) 2021-02-25

Family

ID=7270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86A KR102221073B1 (ko) 2019-03-15 2019-03-15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0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16Y1 (ko) * 2005-07-26 2005-12-08 영진종합건설 주식회사 송이 세라믹을 활용한 타워형 강재 어초
KR200430045Y1 (ko) * 2006-08-04 2006-11-02 (주) 선재종합건설 이중 어초프레임을 가지는 돔형 인공어초
KR20070011829A (ko) * 2005-07-21 2007-01-25 최학열 호안블록 겸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748B1 (ko) * 2008-02-01 2008-05-23 해주이엔씨 (주)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KR101108147B1 (ko) 2011-05-11 2012-01-31 주식회사 해인 인공 어초
KR101841956B1 (ko) * 2018-01-16 2018-03-26 (주)씨모닝 터널형 강제어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829A (ko) * 2005-07-21 2007-01-25 최학열 호안블록 겸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200403116Y1 (ko) * 2005-07-26 2005-12-08 영진종합건설 주식회사 송이 세라믹을 활용한 타워형 강재 어초
KR200430045Y1 (ko) * 2006-08-04 2006-11-02 (주) 선재종합건설 이중 어초프레임을 가지는 돔형 인공어초
KR100831748B1 (ko) * 2008-02-01 2008-05-23 해주이엔씨 (주)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KR101108147B1 (ko) 2011-05-11 2012-01-31 주식회사 해인 인공 어초
KR101841956B1 (ko) * 2018-01-16 2018-03-26 (주)씨모닝 터널형 강제어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073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JP2010207207A (ja) 海の森作り用多機能トンネル型人工漁礁
KR101423581B1 (ko) 다층식 피라미드 인공어초
WO2009064085A1 (en) The artificial fish reef
KR100948590B1 (ko)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KR100975397B1 (ko) 계단형 인공어초
KR102221073B1 (ko)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KR100606590B1 (ko) 피라미드형 인공어초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KR101941538B1 (ko) 다중 육면체 구조를 갖는 인공어초
KR100838714B1 (ko)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1011766B1 (ko) 다면체 인공어초
KR102102877B1 (ko) 연체동물용 인공어초
KR20100007305A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KR20090000183U (ko) 터널형 강제어초
KR200455074Y1 (ko) 다단 인공 어초
KR102350819B1 (ko) 화로형 인공어초
KR101841956B1 (ko) 터널형 강제어초
KR101217796B1 (ko) 아파트형 강제어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형 강제어초
KR101211536B1 (ko) 이단 삼각 인공 어초 및 그 배치 구조
KR100977706B1 (ko) 팔각형 2단 어초
KR20040026980A (ko) 피라미드식 강제어초
KR200335773Y1 (ko) 어패류용 세라믹 인공어초
KR101366667B1 (ko) 장구형상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