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082A -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082A
KR20200110082A KR1020190030176A KR20190030176A KR20200110082A KR 20200110082 A KR20200110082 A KR 20200110082A KR 1020190030176 A KR1020190030176 A KR 1020190030176A KR 20190030176 A KR20190030176 A KR 20190030176A KR 20200110082 A KR20200110082 A KR 2020011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usbar
electrode leads
electrode lea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호준
문정오
김경모
진희준
박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3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082A/ko
Priority to US17/437,697 priority patent/US20220158308A1/en
Priority to EP20774165.3A priority patent/EP3920267A4/en
Priority to CN202080021026.8A priority patent/CN113678314A/zh
Priority to PCT/KR2020/003534 priority patent/WO2020189975A1/ko
Priority to JP2021550050A priority patent/JP7372339B2/ja
Publication of KR2020011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82A/ko
Priority to JP2023180588A priority patent/JP2023174909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01M2/2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리드와의 접합을 위한 버스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서 돌출 형성된 전극 리드들, 상기 전극 리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가 장착되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 리드들은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전지 모듈은 버스바를 버스바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단계, 전극 리드를 버스바의 집게부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지그를 통해 버스바와 전극 리드를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그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및 전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제품군에서 에너지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제품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에너지 자원으로서, 에너지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이차 전지의 에너지 저장원 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이차 전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병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지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지 모듈은 상호 적층되는 복수개의 전지셀들 및 복수개의 전지셀들의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지 모듈에서의 전극 리드가 버스바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전지셀을 적층하여 전지셀 적층체(40)를 형성한 후, 전지셀 적층체(40)와, 버스바(20)가 장착된 버스바 프레임(미도시)을 조립하고, 전지셀 적층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전극 리드들(10)을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장착된 버스바(20)와 레이저 용접 등을 하여 전극 리드(10)와 버스바(20)를 접합하였다.
그러나,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지셀 적층체(40)를 버스바(20)와 조립시 전지셀 적층체(40)와 연결된 전극 리드들(10)을 벤딩하여 버스바와 접합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벤딩 공정에서 기 벤딩된 전극 리드의 벤딩이 탄성에 의해 원상 회복되는 스프링 백(spring-back)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전극 리드(10)가 벤딩되어 나란히 버스바(20)에 접합될 시, 복수 개의 전극 리드(10)가 겹쳐진 채로 벤딩되어 버스바에 접합되게 된다. 이때 전극 리드들(10) 간에 발생하는 스프링 백 현상의 상호 작용, 벤딩으로 인한 전극 리드들(10) 간의 위치 차이로 인한 전극 리드 간의 간극이 발생하고, 전극 리드(10)와 버스바(20)와의 거리에 따른 용접 접합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전극 리드(10)와 버스바(20) 간의 접합 강도가 저하되어 전기적 연결성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리드의 파손 등의 이유로 전극 리드(10)의 벤딩을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할 수 있는바 이에 따른 자동화 공정률 저하 및 용접성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극 리드 및 버스바 간의 전기적 연결의 공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바와 전극 리드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서 돌출 형성된 전극 리드들, 상기 전극 리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가 장착되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 리드들은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버스바의 고정부에 대응하는 하부 개방부와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의 단부에 대응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방부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이 함몰된 구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2개의 클립부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클립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들은, 상기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단부보다 상기 고정부와 더 가까운 부분에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들은 평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포함된 전지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지셀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들은 상기 셀 테라스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는 상기 전극 리드의 평판면과 수직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버스바를 버스바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단계, 전극 리드를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지그를 통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극 리드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극 리드를 밀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지그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과 상기 버스바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극 리드를 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평판의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삽입 장착하여, 전극 리드를 벤딩하지 않고도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접합할 수 있어,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접합 강도 및 그에 따른 전기적 연결과 관련하여 신뢰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벤딩 작업을 위해 필요했던 수작업 공정이 더이상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생산에 따른 자동화 공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지그를 통해 버스바와 전극 리드를 밀착시켜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얇은 클립 형태의 버스바 구조를 통하여 버스바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지 모듈에서의 전극 리드가 버스바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극 리드가 버스바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 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스바 프레임에 버스바 및 전극 리드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버스바 프레임에 지그가 삽입되어 버스바와 전극 리드를 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극 리드가 버스바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전지셀(100)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전지셀 적층체에 포함된 전지셀들(10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극 리드들(120), 전극 리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200), 버스바(200)가 장착된 버스바 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추가로 전지셀 적층체 및 버스바 프레임(300)을 감싸는 프레임 부재(500)를 포함한다.
전지셀(10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지셀(10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전지셀(100)은 각각 전극 조립체, 전지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패키징하기 위한 것으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지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 및 셀 테라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리드(120)는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셀(100)의 구성은 한 예이고, 전지셀 적층체를 구성하기 위한 전지셀(100)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극 리드들(120)은 평판으로 형성되어 전지셀(100)의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리드들(120)은 한쪽 방향으로 적층되어 돌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극 리드들(120) 간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전극 리드들(120)은 전지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구리 혹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리드(120)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극 리드(120)의 두께나 폭은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버스바(200)는, 전극 리드들(12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200)는 전극 리드들(12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극 리드들(120)과 마찬가지로 구리 혹은 알루미늄과 같은 전기 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버스바 프레임, 이에 장착되는 버스바 및 버스바와 연결되는 전극 리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 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스바 프레임에 버스바 및 전극 리드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300) 구조는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10)는 그 상단에 개구부(310) 입구를 기준으로 단차진 모양을 갖는 걸림부(311)를 포함하고, 그 하단에 개구부(310) 중앙부에서 아래로 더 함몰된 하부 개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00)는, 전극 리드(12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집게부(210), 집게부(210)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부(220)로 형성될 수 있다.
집게부(210)는, 고정부(220)로부터 상측 사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2개의 클립부(211, 212)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리드(120)의 삽입시 전극 리드(120)는 2개의 클립부(211, 212)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집게부(210)의 하측에서 집게부(210)를 연결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220)는 2개의 클립부(211, 212)의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20)는 집게부(210)의 하측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극 리드(120)가 집게부(2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집게부(210)의 변형 또는 이동을 탄성적으로 저지하여 집게부(21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버스바(200)는,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에 구비된 버스바 프레임(300) 내에 형성된 개구부(3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집게부(210)의 상단부는 버스바 프레임(300)의 걸림부(311)에 위치하고, 고정부(220)는 버스바 프레임(300)의 하부 개방부(312)에 위치한다.
걸림부(311)는 개구부(310)의 상측 양 꼭지점 부분에 각각 함몰 형성되고, 집게부(210)의 양측 클립부(211, 212) 상단이 양 걸림부(311)에 각각 걸림 장착되어, 버스바(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하부 개방부(312)는 버스바 프레임(300)이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구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220)가 삽입 장착되어 버스바(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버스바 프레임(300)은 버스바(200)의 집게부(210)를 상측 좌우에서 각각 지지하고, 버스바의 고정부(220)를 하측 중앙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200)의 집게부(210) 및 고정부(220)는 전극 리드(120)의 평판면과 접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폭을 가지는 구부러진 판형의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래 버스바 구조의 불필요한 부피를 감소시켜 보다 경량화된 버스바 장치를 전지 모듈에 장착할 수 있다.
전극 리드들(120)은 버스바(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 전극 리드들(120)과 버스바(200)와의 접촉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리드들(120)은 평판 형상으로 가로 방향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전지셀(100)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이렇게 돌출된 전극 리드들(120)은, 버스바(200)의 집게부(210) 내로 삽입된 후, 좌우의 클립부(211, 212)에 의해 접촉 및 고정되어 버스바(2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버스바 프레임(300)의 상측은 개방 구조로서, 전극 리드들(120)이 버스바 프레임(300) 내부로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버스바 프레임(300) 내부에 장착된 버스바(200)의 집게부(210) 또한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므로, 전극 리드들(120)은 버스바 프레임(300) 및 버스바(200)의 상측 개방 구조를 이용하여 버스바(200)의 집게부(210)로 용이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다.
2개의 클립부(211, 212) 사이 간격은, 클립부(211, 212)의 상측 양끝단 사이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측 고정부(220)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200)의 상측에서 삽입되는 전극 리드들(120)은 집게부(210)의 두 클립부(211, 212)가 형성하는 삽입 공간을 따라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하측으로 갈수록 두 클립부(211, 21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리드들(120)은, 상기 두 클립부의 상단부쪽 보다, 상기 고정부(220)와 더 가까운 쪽에 형성된 두 클립부(211, 212)사이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리드들(120)의 평판면은 두 클립부(211, 212)의 마주보는 면과 대응되므로, 결과적으로 버스바(200)의 집게부(210)는 전극 리드들(120)의 평판면과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스바 프레임(300)의 상측 양단에 자리잡은 걸림부(311)의 사이 간격이 좁을수록 두 클립부(211, 212) 사이 간격은 좁아지게 되어, 전극 리드들(120)과 두 클립부(211, 212) 사이의 접촉 위치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리드들(120)과 버스바(200)의 집게부(210) 간의 접촉이 밀착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가능토록 하기 위해, 두 구성요소간 접촉은 용접에 의한 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전극 리드들(120)이 평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집게부와 고정부로 이루어진 클립 형태의 버스바 사이로 삽입 장착될 시, 전극 리드들(120)을 벤딩할 필요가 없어 공정의 자동화율을 제고할 수 있고, 벤딩에 대한 스프링백 현상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 전극 리드들과 버스바 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버스바 프레임에 지그가 삽입되어 버스바와 전극 리드를 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버스바(200)를 버스바 프레임(300)의 개구부(310) 상에 장착한다. 버스바(200)의 집게부(210)는 버스바 프레임(300)의 상측 개구부 양쪽에 형성된 걸림부(311)에 장착되고, 버스바(200)의 고정부(220)는 버스바 프레임(300)의 하부 개구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버스바(200)의 장착은 지그(4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바(200)가 버스바 프레임(300)에 장착된 후, 전극 리드들(120)은 버스바(200)의 집게부(210) 사이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전극 리드들(120)은 양쪽에서 버스바(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 리드(120)가 버스바(200)의 집게부(210) 사이에 삽입된 후, 지그를 통해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20)를 밀착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는 버스바 프레임(300)과 버스바(200)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20)를 밀착할 수 있다.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20)를 밀착시킴으로서 서로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그(400)를 통해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20)를 밀착시킨 후, 상기 지그(400)를 전지 모듈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지셀
110: 셀 테라스
120: 전극 리드
200: 버스바
210: 집게부
211: 제1 클립부
212: 제2 클립부
220: 고정부
300: 버스바 프레임
310: 개구부
311: 걸림부
312: 하부 개방부
400: 지그

Claims (11)

  1.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서 돌출 형성된 전극 리드들;
    상기 전극 리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가 장착되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들은,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하는 걸림부 및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하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측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집게부의 상단은 상기 걸림부의 단차에 걸림 장착되는 전지 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하부 개방부는 상기 개구부의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개방부에 삽입 장착되는 전지 모듈.
  4. 제1항에서,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2개의 클립부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클립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전지 모듈.
  5. 제4항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클립부의 상단부는 상기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에 각각 걸림 장착되는 전지 모듈.
  6. 제4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들은, 상기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단부보다 상기 고정부와 더 가까운 부분에서 접촉하는 전지 모듈.
  7. 제1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들은 평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지 모듈.
  8. 제7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포함된 전지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지셀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들은 상기 셀 테라스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전지 모듈.
  9. 제8항에서,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는 상기 전극 리드의 평판면과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는 전지 모듈.
  10. 버스바를 버스바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단계;
    전극 리드를 상기 버스바의 집게부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지그를 통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극 리드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1. 제11항에서,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극 리드를 밀착시키는 상기 지그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과 상기 버스바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전극 리드를 밀착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90030176A 2019-03-15 2019-03-15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10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76A KR20200110082A (ko) 2019-03-15 2019-03-15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7/437,697 US20220158308A1 (en) 2019-03-15 2020-03-13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0774165.3A EP3920267A4 (en) 2019-03-15 2020-03-13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202080021026.8A CN113678314A (zh) 2019-03-15 2020-03-13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PCT/KR2020/003534 WO2020189975A1 (ko) 2019-03-15 2020-03-13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21550050A JP7372339B2 (ja) 2019-03-15 2020-03-13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180588A JP2023174909A (ja) 2019-03-15 2023-10-19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76A KR20200110082A (ko) 2019-03-15 2019-03-15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82A true KR20200110082A (ko) 2020-09-23

Family

ID=7252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76A KR20200110082A (ko) 2019-03-15 2019-03-15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58308A1 (ko)
EP (1) EP3920267A4 (ko)
JP (2) JP7372339B2 (ko)
KR (1) KR20200110082A (ko)
CN (1) CN113678314A (ko)
WO (1) WO2020189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849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213243051U (zh) * 2020-11-04 2021-05-18 东莞市硅翔绝缘材料有限公司 软包电芯连接和信号采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1324B2 (ja) * 2003-02-25 2007-09-05 日本碍子株式会社 通電用端子把持具、及び把持具駆動用ハンド
JP4757508B2 (ja) * 2005-03-01 2011-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集合体
JP5285997B2 (ja) * 2008-08-27 2013-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JP5225255B2 (ja) * 2009-12-01 2013-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装置
JP2013105700A (ja) * 2011-11-16 2013-05-30 Yazaki Corp 電源装置
KR20140093424A (ko) * 2013-01-18 2014-07-28 타이코에이엠피(유) 전지모듈
JP6134209B2 (ja) * 2013-06-14 2017-05-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509206B1 (ko) * 2013-07-23 2015-04-10 (주)이티에이치 그립퍼의 교체가 용이한 전지 충방전용 지그
US11128005B2 (en) * 2013-07-30 2021-09-21 Cps Technology Holdings Llc Lithium ion battery with lead acid form factor
JP6475139B2 (ja) * 2015-10-02 2019-02-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池間接続装置及び電池間接続装置組立体
KR20170095072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방법
KR101903228B1 (ko) * 2016-06-01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12449B1 (ko) * 2017-05-22 202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09767B1 (ko) * 2017-06-13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102155888B1 (ko) * 2017-09-11 2020-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용접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78314A (zh) 2021-11-19
EP3920267A4 (en) 2022-04-06
JP2023174909A (ja) 2023-12-08
WO2020189975A1 (ko) 2020-09-24
JP7372339B2 (ja) 2023-10-31
US20220158308A1 (en) 2022-05-19
JP2022522343A (ja) 2022-04-18
EP3920267A1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7245B (zh) 用于电化学设备的单元接触系统
US11302999B2 (en) Unit module including busbar frame structure which can facilitate wel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EP2887427B1 (en) Battery module with bus-bar holder
JP6110336B2 (ja) 蓄電モジュール
US8597378B2 (en) Reversible battery assembly and tooling for automated high volume production
US20120189899A1 (en)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11289776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JP2023174909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902967B (zh) 汇流条以及电池层叠体
CN111226326B (zh) 电池模块、电池组及包括该电池组的车辆
CN109103402B (zh) 电线连接汇流条以及导电模块
EP3723162B1 (en) Auto-pressing jig apparatus for pressing electrode lead to busbar
KR102088609B1 (ko) 조전지, 조전지에 사용되는 버스 바 홀더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US20230327271A1 (en) Battery interconnects including prebent electrical tabs and self-fixturing
US11855249B2 (en) Energy storage cell,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a method
US20210384589A1 (en) Method for producing busbar, busbar, and battery module
WO2018155090A1 (ja) 組電池及び組電池用バスバ
CN112470330B (zh)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CN114649616A (zh) 动力电池以及用于动力电池的折叠连接片
KR20210071552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10039215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