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967A -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967A
KR20200109967A KR1020190029877A KR20190029877A KR20200109967A KR 20200109967 A KR20200109967 A KR 20200109967A KR 1020190029877 A KR1020190029877 A KR 1020190029877A KR 20190029877 A KR20190029877 A KR 20190029877A KR 20200109967 A KR20200109967 A KR 2020010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bundled
price
providing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욱
Original Assignee
(주)레몬클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몬클라우드 filed Critical (주)레몬클라우드
Priority to KR1020190029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967A/ko
Publication of KR2020010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며,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장치는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묶음수량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비가 반영된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고,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UNDLE COST AT ONLINE SHOPPING MALL}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상품을 혼합하여 묶음배송시 발생되는 각 상품별 묶음 배송에 따른 배송비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상품 구매시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없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가 늘어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구매한 상품의 배송에 대한 배송비를 상품별로 결제하고 있다.
이때, 소비자가 동일한 상품을 복수 개 구매할 경우, 온라인 쇼핑몰은 일정 수 이상의 동일한 상품을 묶음으로 배송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일한 상품별로 배송비를 결제하는 것 대신 복수의 상품을 하나로 묶어 배송되는 묶음배송을 선택함으로써 배송비를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서로 다른 상품을 묶음배송으로 신청할 경우, 각 상품의 크기가 상이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크기에 따라 묶음 배송이 가능한 수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복수의 상품이 하나의 묶음배송될 때마다 묶음배송비를 산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76278호에서는 콘택트 렌즈 웹기반 묶음 주문/최종소비자 직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상품을 묶음 배송할 때 각 상품별 묶음배송비를 빠르게 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기준묶음수량과 상품별 묶음수량의 차이에 대한 추가배송비가 반영된 상품 판매비를 계산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상품별로 묶음 배송비가 반영된 묶음배송판매가와 일반 배송비가 부가되는 단일선택판매가를 분리하여 제공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묶음배송판매가를 이용하기 위해 상품별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묶음배송 수량이 상이한 상품의 묶음배송에 따른 판매금액을 제공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묶음수량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비가 반영된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고,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가격제공장치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품의 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비가 반영된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가격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상품가격제공방법은,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품의 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비가 반영된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가격제공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상품가격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상품가격제공방법은,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품의 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비가 반영된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준묶음수량과 상품별 묶음수량의 차이에 대한 추가배송비가 반영된 상품의 판매가를 계산하여 단위 상품별로 묶음 배송 선택시 부가되는 묶음 배송비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상품별로 묶음 배송비가 반영된 묶음배송판매가와 일반 배송비가 부가되는 단일선택판매가를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품별 묶음배송이 가능한 수와 무관하게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묶음수량이 상이한 상품을 묶음배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송비를 절약할 수 있는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묶음배송 수량이 상이한 상품의 묶음배송에 따른 추가비용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상품가격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묶음수량’이란 하나의 배송으로 처리될 수 있는 상품의 수량이다. 그리고 ‘기준묶음수량’은 온라인 쇼핑몰 내에서 묶음수량이 같은 타 상품과 함께 묶음배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량이다.
예를 들어, 기준묶음수량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중 묶음수량이 가장 많은 상품의 묶음수량이거나 묶음 배송을 위한 포장의 종류, 부피, 재질에 기초하여 기준묶음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러한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전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상품가격제공장치(1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품가격제공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품가격제공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시의 판매가인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기준묶음수량 대비 상품의 묶음수량의 비율을 기초로 상품의 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를 기준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로 환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기준묶음수량 대비 상품의 묶음수량의 차이로 인해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비의 차이값인 추가배송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단위 수량당 추가배송비 = 배송비 × (1 - 묶음수량/기준묶음수량) ÷ 묶음수량
예를 들어, 기준묶음수량이 40이고, 기준묶음수량의 배송비가 2500원인 경우, 제어부(120)는 묶음수량이 20인 A 상품에 대한 단위수량당 추가배송비를 계산하면 2500 × (1 - 20/40) ÷ 20 = 62.5 원이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상품이 단위수량당 추가배송비를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부가하여 상품의 묶음상품판매가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A상품에 대해 기준묶음배송수량을 기준으로 계산된 단위수량당 묶음배송비인 62.5원을 A 상품의 단일판매가인 700원에 부가하여 A상품의 묶음판매가 762.5원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상기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추가배송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상품의 단위 수량당 추가배송비에 상품의 특성에 따라 추가적인 보정치를 반영하여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종류가 유리여서 묶음 배송시 추가적인 포장재가 필요하여 추가적인 비용이 부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상품의 종류를 분석하여, 상품의 크기에 따라 상품에 맞는 포장재를 온라인쇼핑몰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검색된 포장재의 가격에 기초하여 묶음상품판매가에 포장재에 대한 가격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묶음상품판매가를 보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기초로 사용자가 묶음상품판매가로 구매한 상품의 수량을 분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기준묶음배송수량의 수보다 적은 수의 수량을 구매하는 패턴을 갖는 경우 묶음상품판매가에 추가적인 금액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묶음상품판매가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묶음 상품 판매가 = 단일판매가 + 배송비 × (1 - 묶음수량/기준묶음수량) ÷ 묶음수량 + 보정치
그리고 제어부(120)는 계산된 묶음상품판매가를 단일판매가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에 단일판매가와 묶음상품판매가를 제공할 수 있고, 단일판매가 및 묶음상품판매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묶음상품판매가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묶음상품판매가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수량에 따라 결제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묶음상품판매가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수에 기초하여 각 상품의 묶음상품판매가를 반영하여 결제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품별로 묶음배송의 수량이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묶음배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없이, 상품의 전체 선택 수량만 카운트하면 되므로 묶음배송을 이용하기 위한 상품의 선택이 단순하고 직관적이게 된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140)에는 상품가격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별로 묶음 배송이 가능한 묶음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상품가격제공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상품가격제공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상품별로 묶음 배송이 가능한 수량인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시의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할 수 있다(S2001).
이를 위해,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기 설정된 기준묶음수량 대비 상기 상품의 묶음수량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를 상기 기준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로 환산할 수 있다.
이에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상품의 묶음수량과 기준묶음수량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묶음 배송비의 차이값인 추가배송비를 계산할 수 있다.
도 3 은 상품의 단일판매가와 묶음상품판매가를 비교한 테이블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기준묶음배송비(301)인 2500원에 대한 기준묶음수량(302)인 40개를 기준으로 묶음수량(304)이 20인 상품 B와의 묶음수량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추가배송비를 상품의 단위 수량당 2500원 × (1 - 20/40) ÷ 20 = 62.5 원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기준묶음수량(302)과 상품 A의 묶음수량(303)이 40개로 동일한 경우 추가배송비를 2500원 × (1 - 40/40) ÷ 40 = 0원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상품에 대한 추가배송비를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반영하여 묶음상품판매가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묶음상품판매가에 상품의 단위 수량당 추가배송비의 반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묶음상품 배송시 추가적인 포장비용이 들어가는 경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보정치를 추가로 반영하여 추가배송비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S2002).
즉,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단일판매가와 묶음상품판매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상품 별로 획득된 수량에 기초하여 묶음배송할 상품에 대한 결제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묶음 수량이 상이한 상품 A와 상품 B를 단일판매가로 선택(묶음배송을 선택하지 않음)하여 상품 A 를 30 개 및 상품 B 를 10개를 구매하는 경우,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30개 상품 A 의 단일판매가 15,000원 및 10개 상품 B의 단일판매가 7,000원을 포함한 금액 22,000원(305)를 계산할 수 있고, 이 경우 상품 A와 상품 B 를 혼합하여 묶음배송이 되지 않기에 각각의 묶음수량에 따라 상품 A 박스 1개 상품 B 박스 1개에 대한 배송비 2500원이 각각 발생하므로 결제금액 27,000원(307)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묶음 수량이 상이한 상품 A와 상품 B를 묶음상품판매가로 선택(묶음배송을 선택함)하여 상품 A 를 30 개 및 상품 B 를 10개를 구매하는 경우,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30개 상품 A의 묶음상품판매가 15,000원 및 10개 상품 B의 묶음상품판매가 7,625원을 포함한 금액 22,625원(306)을 계산할 수 있고, 이 경우 상품 A와 상품 B 를 혼합한 묶음배송이 되므로 기준박스 1개에 대한 배송비 2500원만 발생한 결제금액 25,125원(308)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 는 사용자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상품 A (401)에 대해 단일판매가 500원(402)과 S2001단계에서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 500원(403)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품 B(404)에 대해 단일판매가 700원(405)과 S2001단계에서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 762.5원(406)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품 A(401) 및 상품 B(404) 각각에 대해 묶음상품판매가를 선택하면,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상품 A(401)와 상품B(404)를 혼합한 묶음배송에 따라 배송비 2,500원(407)을 추가하여 결제금액으로 25,125원(408)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품가격제공장치(10)는 묶음상품판매금액을 이용하여 상품 A 및 B 를 묶음배송함에 따라 절약된 금액 1,875원(409)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2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가격제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품가격제공장치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Claims (10)

  1.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묶음수량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시의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고,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품가격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준묶음수량 대비 상기 상품의 묶음수량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를 상기 기준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로 환산하는, 상품가격제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산된 묶음 배송비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추가될 추가배송비를 계산하는, 상품가격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추가배송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상품가격제공장치.
  5. 상품가격제공장치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묶음배송이 가능한 상품의 묶음수량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묶음 배송시의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묶음상품판매가에 기초하여 묶음 배송할 상품의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상품판매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묶음수량 대비 상기 상품의 묶음수량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를 상기 기준묶음수량에 대한 묶음 배송비로 환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가격제공방법은,
    환산된 묶음 배송비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추가될 추가배송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가격제공방법은,
    상기 상품의 단일판매가에 상기 상품의 단위 수량당 추가배송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가격제공방법.
  9. 제 5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상품가격제공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5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29877A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09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77A KR20200109967A (ko)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77A KR20200109967A (ko)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67A true KR20200109967A (ko) 2020-09-23

Family

ID=7270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77A KR20200109967A (ko)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9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201B1 (ko) * 2021-03-30 2022-03-29 주식회사 서담 온라인 쇼핑몰의 수익 분배를 위한 배당 테이블 생성 및 관리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201B1 (ko) * 2021-03-30 2022-03-29 주식회사 서담 온라인 쇼핑몰의 수익 분배를 위한 배당 테이블 생성 및 관리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787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事前ローディング
KR10215095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통합 로그인 방법 및 장치
KR102424968B1 (ko) 광고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25412B1 (ko) 배달기사의 상태에 기초한 배달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08460B1 (ko) 상품 벡터를 이용한 상품 분류 방법 및 장치
US9678952B2 (en) Cross-lingual E-commerce
JP2021089734A (ja) 商品を予約購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92699B1 (ko) 적응적으로 운송요청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09967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묶음 상품가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262930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Common Purchases
KR20230170879A (ko) 노출지수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64904B1 (ko) 반품 재거래 장치 및 방법
KR20190121044A (ko) 상품의 최저가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4741A (ko) 전자상거래 기능이 결합된 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417376B1 (ko)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
KR102459453B1 (ko) 온라인 쇼핑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88475B1 (ko) 결제 기준 데이터와 구매 상품 정보를 매칭시켜 표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356896B1 (ko) 3차원 상품 옵션 선택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KR102416002B1 (ko) 오픈 마켓 운영 관리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403693B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item
KR20240065666A (ko) 역경매를 활용한 식자재 구매 플랫폼 및 그 시스템
US20190005543A1 (en) Embedded portals for networked matching and procurement
CN112381659A (zh) 一种实时销售多类型主险组合产品方法及相关设备
KR102656325B1 (ko) 아이템 제공 장치 및 아이템 제공 방법
KR20230141350A (ko) 중고 물품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