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60A - 일회용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60A
KR20200109860A KR1020190029618A KR20190029618A KR20200109860A KR 20200109860 A KR20200109860 A KR 20200109860A KR 1020190029618 A KR1020190029618 A KR 1020190029618A KR 20190029618 A KR20190029618 A KR 20190029618A KR 20200109860 A KR20200109860 A KR 2020010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dge
cooking space
cooking container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472B1 (ko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주)느루
김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느루, 김재일 filed Critical (주)느루
Priority to KR102019002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472B1/ko
Priority to PCT/KR2020/001550 priority patent/WO2020189889A1/ko
Publication of KR2020010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2Polyalkenes, e.g. polystyr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8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 부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바닥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어 바닥 부재에 연결되고, 바닥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부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조리 공간의 상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되는 덮개 부재; 및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덮개 부재가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각각 결합홀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덮개 부재가 조리 공간을 덮은 상태에서, 식사도구는 결합홀을 통과한 상태로 덮개 부재의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조리 용기{disposable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일회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사도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도시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 생활은 바쁘고, 1인 가정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손쉽게 조리할 수 있고 신속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 레토르트 식품 등과 같은 간편식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간편식은 다양한 형태의 조리 용기에 담겨 판매되고 있다. 또한, 도시 생활 가운데서 자연을 즐기고자 하는 요구가 있어, 여가 시간을 이용하여 교외에서 야외 활동을 즐기는 아웃 도어 인구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야외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데에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 용기가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간편식 또는 야외 활동을 위한 조리 용기는 스티로폼,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 용기는 별도로 세척하지 않고 버릴 수 있도록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회용 조리 용기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면서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능한 종이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로 이루어진 일회용 조리 용기(이하에서는 '종이 일회용 조리 용기'라고 한다)는 비접이식 용기와 접이식 용기로 나누어질 수 있다. 비접이식 용기는 접을 수 없는 구조로서, 예를 들어, 컵라면 용기 등이다. 또한, 접이식 용기는 접을 수 있는 구조로서, 휴대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때 접혀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벽체가 펼쳐져 세워지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음식물은 내부 공간에 담겨 가스 레인지, 전자 레인지, 인덕션 레인지 등과 같은 조리 기구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한편, 일회용 조리 용기의 내부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음식물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조리되어 본래의 맛과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조리 용기의 뚜껑은 일회용 조리 용기에 결합되거나 일회용 조리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지만, 분리될 수 있는 뚜껑은 견고하게 내부 공간을 폐쇄할 수 있으나, 음식물과 물을 내부 공간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분실될 우려가 있다. 한편, 결합된 뚜껑은 얇은 두께를 갖기에 내부 공간을 견고하게 폐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회용 조리 용기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 공간을 견고하게 폐쇄하고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식사도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 부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바닥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어 바닥 부재에 연결되고, 바닥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부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조리 공간의 상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되는 덮개 부재; 및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덮개 부재가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각각 결합홀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덮개 부재가 조리 공간을 덮은 상태에서, 식사도구는 결합홀을 통과한 상태로 덮개 부재의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는 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벽체 부재는, 각각 바닥 부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바닥 부재에 연결되고, 개별적으로 회동가능한 복수 개의 벽체 베이스; 및 각각 벽체 베이스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 베이스들의 측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벽체를 포함하되, 벽체 베이스들이 바닥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때, 벽체 베이스들은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연결 벽체들은 각각 접혀 포개지고 벽체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벽체 베이스는 사다리꼴 시트 형상 또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조리 용기는, 종이 재료로 이루어지되, 각각 결합 부재에 대응하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벽체 연장 부재를 포함하되, 벽체 부재가 바닥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한 때, 벽체 연장 부재는 조리 공간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덮개 부재는 조리 공간을 덮으면서 벽체 연장 부재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벽체 연장 부재에는 결합 부재에 대응되는 고정 삽입 개구가 형성되며, 결합 부재는 고정 삽입 개구에 삽입되어 벽체 연장 부재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 및 벽체 부재는 친환경 수성 코팅, 폴리에틸렌 코팅, 폴리프로필렌 코팅, 폴리락트산 코팅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가 조리 공간을 덮은 상태에서, 덮개 부재의 일부는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는 절취선의 형태로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에는 도구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도구 부재는 도구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덮개 부재에 절취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구 부재는, 종이 재질의 원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구 몸체; 및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도구 몸체의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도구 몸체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보조 몸체를 포함하되, 도구 부재에는 보조 몸체를 동일한 크기의 2개로 구획하도록 도구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보조 몸체의 종단까지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 1 접힘선이 형성되고, 도구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도구 몸체의 가장자리와 보조 몸체의 가장자리의 교차지점까지 직선으로 이루어진 제 2 접힘선이 형성되며, 도구 몸체의 가징자리에 대응하도록 도구 몸체의 중심에 근접할수록 상호 간에 근접하여 제 1 접힘선에서 연결되도록 삽입선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구 부재가 도구 삽입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도구 부재는 제 1 접힘선을 따라 접혀 도구 몸체의 제 1 면의 일부 및 보조 몸체의 제 1 면을 상호 간에 겹쳐지도록 하고, 제 2 접힘선을 따라 접혀 도구 몸체의 제 2 면의 일부를 겹쳐지도록 하여 도구 공간을 형성하고, 도구 몸체의 가장자리가 삽입선에 삽입되어 도구 공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구 부재의 제 1 면은 덮개 부재에서 조리 공간과 마주하고, 알루미늄 시트의 부착이 이루어지거나 친환경 수성 코팅, 폴리에틸렌 코팅, 폴리프로필렌 코팅, 폴리락트산 코팅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덮개가 일회용 조리 용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 공간을 견고하게 덮고 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2) 식사도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에서 도구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도구 부재가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에서 도구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의 도구 부재가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조리 용기(100)는 바닥 부재(101), 벽체 부재(102), 덮개 부재(103) 및 결합 부재(104)를 포함하고,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데에 이용된다.
바닥 부재(101)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시트(shee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닥 부재(101)는 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부재(101)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벽체 부재(102)의 접힘 및 펼쳐짐을 고려할 때 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체 부재(102)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벽체 부재(102)는 바닥 부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어 바닥 부재(101)에 연결된다. 또한, 벽체 부재(102)는 바닥 부재(10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조리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공간(110)은 바닥 부재(101)와 벽체 부재(102)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개방된 상면을 갖는 오목한 공간으로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벽체 부재(102)와 바닥 부재(101)의 소정의 각도는 직각, 예각 및 둔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바닥 부재(101)는 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닥 부재(101)가 원형인 경우, 벽체 부재(102)는 바닥 부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회용 조리 용기(100)가 펼쳐진 경우에, 벽체 부재(102)는 바닥 부재(101)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101)가 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벽체 부재(102)는 벽체 베이스(121) 및 연결 벽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 베이스(12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바닥 부재(10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연결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벽체 베이스(121)는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바닥 부재(101)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다.
벽체 베이스(121)는 바닥 부재(10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때, 벽체 베이스(121)의 측부 가장자리는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 베이스(121)들은 바닥 부재(101)와 조합하여 조리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벽체 베이스(121)의 각각은 사다리꼴 시트 형상, 특히 등변 사다리꼴 시트 형상 또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벽체 베이스(121)는 등변 사다리꼴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바닥 부재(101)와 연결되는 하단이 상단보다 짧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벽체 베이스(121)는 바닥 부재(101)와 둔각을 형성한 상태로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접촉될 수 있다. 조리 공간(110)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물이 조리 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벽체 베이스(121)는 등변 사다리꼴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바닥 부재(101)와 연결되는 하단이 상단보다 길 수 있다. 여기서, 벽체 베이스(121)는 바닥 부재(101)와 예각을 형성한 상태로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접촉될 수 있다. 조리 공간(110)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벽체 베이스(121)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벽체 베이스(121)는 바닥 부재(101)와 직각을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조리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벽체(123)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 베이스(121)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 베이스(121)들의 측부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벽체 베이스(121)들이 바닥 부재(10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때, 연결 벽체(123)는 접혀 포개지고, 벽체 베이스(121)들 사이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즉, 벽체 베이스(121)가 조리 공간(110)을 형성한 때, 연결 벽체(123)는 벽체 베이스(121)와 조합하여 조리 공간(110)의 측면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벽체(123)는 접혀 포개진 상태에서 벽체 베이스(12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연결 벽체(123)는 견고하게 벽체 베이스(121)들 사이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벽체(123)는 조리 공간(110)의 외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접착제, 접착 테이프, 초음파 융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벽체 베이스(121)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벽체(123)는 조리 공간(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벽체 베이스(121)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벽체 베이스(12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부분이 구부러져 조리 공간(110) 외부의 벽체 베이스(121)에 접촉됨으로써 벽체 베이스(12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101) 및 벽체 부재(102)에는 친환경 수성 코팅(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코팅 등),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코팅,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코팅 또는 폴리락트산(PLA; poly lactic acid) 코팅 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부재(101) 및 벽체 부재(102)에는 친환경 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 공간(110)은 바닥 부재(101) 및 벽체 부재(102)에 의해 향상된 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바닥 부재(101) 및 벽체 부재(102)는 조리 공간(110)에 수용된 음식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부재(101) 및 벽체 부재(10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 부재(103)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덮개 부재(103)는 조리 공간(1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고,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덮개 부재(103)는 조리 공간(110)의 상면을 덮으면서 부분적으로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 부재(103)가 접촉되는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는 덮개 부재(103)가 연결된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의 반대편에 위치된 벽체 부재(102)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바닥 부재(101)가 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 부재(102)가 조리 공간(110)을 형성하도록 바닥 부재(10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된 경우, 덮개 부재(103)의 일종단은 벽체 베이스(121)의 일부 상단에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덮개 부재(103)의 타종단부는 벽체 베이스(121)의 일부 상단에 대응하도록 접촉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덮개 부재(103)는 조리 공간(110)을 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덮개 부재(103)는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 일부에 절취선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덮개 부재(103)는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때 조리 공간(110)을 덮고,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벽체 부재(10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부재(103)는 조리된 음식물의 섭취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 부재(10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다. 결합 부재(104)는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덮개 부재(103) 및 조리 공간(110)은 결합 부재(104)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104)에는 결합홀(104a)이 형성되고, 결합홀(104a)들은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결합홀(104a)은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04)는 원호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홀(104a)은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식사 도구(1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덮개 부재(103)가 조리 공간(110)의 상면을 덮은 상태에서, 결합 부재(104)는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 즉, 벽체 부재(102)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부재(104)는 일회용 조리 용기(100)에서 손잡이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 등과 같은 식사도구(10)는 결합 부재(104)들의 결합홀(104a)들을 동시에 통과한 상태에서 덮개 부재(103)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식사도구(10)는 벽체 부재(102)의 상단에 접촉되어 벽체 부재(102)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사도구(10)는 덮개 부재(103)에 의한 조리 공간(110)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어, 덮개 부재(103)는 보다 견고하게 조리 공간(110)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은 덮힌 조리 공간(110)에 수용된 상태로 조리되어 양호한 맛과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식사도구(10)는 결합 부재(104)들의 결합홀(104a)들을 동시에 통과한 상태에서 결합홀(104a)들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일회용 조리 용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식사도구(10)는 일회용 조리 용기(100)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회용 조리 용기(100)는 벽체 연장 부재(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체 연장 부재(10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벽체 연장 부재(105)는 각각 결합 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고 벽체 부재(102)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벽체 연장 부재(105)에는 고정 삽입 개구(105a)가 형성되고, 결합 부재(104)는 고정 삽입 개구(105a)에 삽입되어 벽체 연장 부재(105)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회용 조리 용기(100)의 제조 과정에서 결합 부재(104)는 고정 삽입 개구(105a)에 삽입된 상태에서 벽체 연장 부재(105)에 절취선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벽체 연장 부재(105)는 벽체 베이스(121)의 가장자리, 특히 벽체 베이스(12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벽체 베이스(121)들이 바닥 부재(101)와 조합하여 조리 공간(110)을 형성할 때, 벽체 연장 부재(105)들은 조리 공간(1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벽체 연장 부재(105)들은 각각 벽체 베이스(121)의 상단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벽체 베이스(121)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기도 하고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기도 한다.
벽체 연장 부재(105)는 벽체 베이스(12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조리 공간(110)을 향하면서 조리 공간(110)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여기서, 덮개 부재(103)가 조리 공간(110)을 덮으면, 벽체 연장 부재(105)는 덮개 부재(103)에 접촉되고, 덮개 부재(103)와 벽체 부재(102) 사이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즉, 벽체 연장 부재(105)는 덮개 부재(103)와 조합으로 더 견고하게 조리 공간(110)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벽체 연장 부재(105)에는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들은 벽체 연장 부재(105)의 일종단부에서 벽체 연장 부재(105)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은 덮개 부재(103)가 연결되는 벽체 부재(102)의 벽체 베이스(121)의 반대편에 위치된 벽체 베이스(121)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벽체 연장 부재(105)가 조리 공간(110)의 상면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조리 공간(110)에 수용된 물은 배출홀들을 통해 조리 공간(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 연장 부재(105)는 음식물 자체가 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일회용 조리 용기(100)의 덮개 부재(103)는 도구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재(103)에는 도구 부재(130)에 대응되는 도구 삽입 개구(103a)가 형성되고, 도구 삽입 개구(103a)에는 도구 부재(130)가 삽입된다. 일회용 조리 용기(100)의 제조 과정에서 도구 부재(130)는 도구 삽입 개구(10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 부재(103)에 절취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구 부재(130)는 도구 몸체(131) 및 보조 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구 몸체(131)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조 몸체(132)는 도구 몸체(131)의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도구 몸체(131)와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보조 몸체(132)는 도구 몸체(131)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다. 또한, 보조 몸체(132)의 길이는 도구 몸체(131)의 반경보다 작다.
상기와 같은 도구 부재(130)는 도구 몸체(131) 및 보조 몸체(132)를 포함한 상태에서 제 1 접힘선(130a), 제 2 접힘선(130b) 및 삽입선(130c)을 갖는다.
제 1 접힘선(130a)은 도구 몸체(131)의 중심으로부터 보조 몸체(132)의 종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보조 몸체(132)는 제 1 접힘선(130a)에 의해 2개로 구획되고, 구획된 2개의 보조 몸체(132)는 제 1 접힘선(130a)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2 접힘선(130b)은 도구 몸체(131)의 중심으로부터 도구 몸체(131)의 가장자리와 보조 몸체(132)의 가장자리의 교차지점까지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삽입선(130c)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도구 몸체(13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도구 몸체(131)의 중심에 근접할수록 상호 간에 근접하여 제 1 접힘선(130a)에서 연결되도록 절개 형성된다. 삽입선(130c)들은 제 1 접힘선(130a)을 기준으로 상호 간에 대칭을 이룬다. 즉, 삽입선(130c)들은 V자 형상으로 도구 부재(130)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구 부재(130)가 도구 삽입 개구(103a)에 삽입된다. 여기서, 덮개 부재(103)에는 도구 부재(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 부재(130)가 덮개 부재(1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구 부재(130)가 제 1 접힘선(130a)을 따라 접히면, 도구 몸체(131)의 제 1 면의 일부 및 보조 몸체(132)의 제 1 면은 상호 간에 겹쳐지고, 제 2 접힘선(130b)은 도구 몸체(131)의 제 1 면에 근접한다. 여기서, 도구 몸체(131)의 제 2 면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도구 부재(130)는 제 2 접힘선(130b)을 따라 접힌다. 이로 인해, 도구 부재(130)는 원뿔 형상의 도구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구 몸체(131)의 가장자리가 삽입선(130c)에 삽입되면, 도구 공간(130')은 형성된 형상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구 부재(130)는 도구 삽입 개구(103a)을 통해 덮개 부재(103)에 위치되었다가 덮개 부재(103)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조립되어 국자, 앞접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또는 그릇으로 생성되고, 음식물을 섭취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구 부재(130)의 보조 몸체(132)는 조리 도구 또는 그릇에서 손잡이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구 부재(130)가 펼쳐진 상태로 도구 삽입 개구(10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구 부재(130)의 제 1 면은 조리 공간(110)을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도구 부재(130)의 제 2 면은 조리 공간(1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도구 부재(130)의 제 1 면에는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되거나, 친환경 수성 코팅,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코팅,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코팅, 폴리락트산(PLA; poly lactic acid) 코팅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구 부재(130)의 제 1 면이 도구 공간(130')의 내측면을 형성하기에, 음식물은 도구 공간(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구 부재(130)에 흡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일회용 조리 용기
101: 바닥 부재
102: 벽체 부재
103: 덮개 부재
104: 결합 부재
105: 벽체 연장 부재

Claims (8)

  1.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 부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바닥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어 바닥 부재에 연결되고, 바닥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부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조리 공간의 상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되는 덮개 부재; 및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되, 덮개 부재가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각각 결합홀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덮개 부재가 조리 공간을 덮은 상태에서, 식사도구는 결합홀을 통과한 상태로 덮개 부재의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 부재는 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벽체 부재는,
    각각 바닥 부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바닥 부재에 연결되고, 개별적으로 회동가능한 복수 개의 벽체 베이스; 및
    각각 벽체 베이스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 베이스들의 측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벽체를 포함하되,
    벽체 베이스들이 바닥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때, 벽체 베이스들은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연결 벽체들은 각각 접혀 포개지고 벽체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벽체 베이스는 사다리꼴 시트 형상 또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일회용 조리 용기는,
    종이 재료로 이루어지되, 각각 결합 부재에 대응하도록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벽체 연장 부재를 포함하되,
    벽체 부재가 바닥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한 때, 벽체 연장 부재는 조리 공간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덮개 부재는 조리 공간을 덮으면서 벽체 연장 부재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벽체 연장 부재에는 결합 부재에 대응되는 고정 삽입 개구가 형성되며,
    결합 부재는 고정 삽입 개구에 삽입되어 벽체 연장 부재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바닥 부재 및 벽체 부재는 친환경 수성 코팅, 폴리에틸렌 코팅, 폴리프로필렌 코팅, 폴리락트산 코팅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가 조리 공간을 덮은 상태에서, 덮개 부재의 일부는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는 절취선의 형태로 벽체 부재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조리 용기.

KR1020190029618A 2019-03-15 2019-03-15 일회용 조리 용기 KR10221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18A KR102212472B1 (ko) 2019-03-15 2019-03-15 일회용 조리 용기
PCT/KR2020/001550 WO2020189889A1 (ko) 2019-03-15 2020-01-31 일회용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18A KR102212472B1 (ko) 2019-03-15 2019-03-15 일회용 조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60A true KR20200109860A (ko) 2020-09-23
KR102212472B1 KR102212472B1 (ko) 2021-02-04

Family

ID=7270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18A KR102212472B1 (ko) 2019-03-15 2019-03-15 일회용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39Y1 (ko) * 2002-06-17 2002-09-19 김형대 종이국자
KR200438755Y1 (ko) * 2006-12-22 2008-03-06 정진환 김밥 포장용 종이박스
KR20140028474A (ko) * 2012-08-29 2014-03-10 두선산업 주식회사 종이 냄비
KR20150048573A (ko) * 2013-10-28 2015-05-07 홍문기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39Y1 (ko) * 2002-06-17 2002-09-19 김형대 종이국자
KR200438755Y1 (ko) * 2006-12-22 2008-03-06 정진환 김밥 포장용 종이박스
KR20140028474A (ko) * 2012-08-29 2014-03-10 두선산업 주식회사 종이 냄비
KR20150048573A (ko) * 2013-10-28 2015-05-07 홍문기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472B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8474A (ko) 종이 냄비
KR102212472B1 (ko) 일회용 조리 용기
KR200490800Y1 (ko) 조리용 접철 종이용기
GB2436791A (en) Box blank and connected cloth for use as picnic hamper and mat
US20090152336A1 (en) Container
KR102212471B1 (ko) 일회용 조리 용기
WO2013156841A1 (fr) Dispositif de cuisson
KR200417031Y1 (ko) 도시락
JPH0426378Y2 (ko)
KR101524843B1 (ko) 일회용 식품찜기용 찜틀
KR20140025219A (ko) 캠핑용 조리도구 휴대 상자
JP2005253549A (ja) 椀添附式弁当ケース
KR101287978B1 (ko) 일회용 조리용기
JP2001055269A (ja) 食品収納容器
KR20210004014A (ko) 일회용 용기
KR20140005697U (ko) 피자 박스
CN211033356U (zh) 一种外卖盒
KR200312528Y1 (ko) 이중 포장용기
WO2020189889A1 (ko) 일회용 조리 용기
JP3212176U (ja) 簡易カップ兼紙皿
KR101671968B1 (ko) 접이식 종이컵
KR20120056349A (ko) 케이크 상자
KR101622715B1 (ko) 일회용 식품찜기용 찜틀
KR200378661Y1 (ko) 휴대용 음식 용기
KR200227821Y1 (ko) 국통을 가지는 군용 반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