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984A -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984A
KR20200108984A KR1020190027879A KR20190027879A KR20200108984A KR 20200108984 A KR20200108984 A KR 20200108984A KR 1020190027879 A KR1020190027879 A KR 1020190027879A KR 20190027879 A KR20190027879 A KR 20190027879A KR 20200108984 A KR20200108984 A KR 2020010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point
points
candidat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913B1 (ko
Inventor
윤동원
안성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9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1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reducing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or the mean power of the constellation; Arrangements for increasing the shape gain of a signal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6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은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으로서, 신호점 집합에 포함된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a);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b); 및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점 집합에서 상기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c);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는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ircle-shape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signal constel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류 확률을 낮추고 PAPR(Peak-to-Average Power Radio)를 높일 수 있는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방송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고속 전송을 위한 고차 변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직교 진폭 변조(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는 추가적인 대역폭 없이 고차 변조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SQAM(Square QAM)는 송수신 구조가 간단하다는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실제 시스템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SQAM은 오류 확률 및 PAPR(Peak-to-Average Power Radio) 성능 관점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QAM 기반의 신호 성상도에서 오류 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Foschini는 오류 확률의 관점에서 최적인 성상도를 제시하였는데, 최적의 성상도는 변조 차수가 증가할수록 원형 형태를 갖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변조 차수에 따른 일반화된 성상도의 도출이 어렵고, 대칭적인 신호점의 배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변조 차수가 증가하면 원점 및 축 상에서 신호점이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θ-QAM을 기반으로 한 stepped θ-QAM이 제시되었으며, 기존의 SQAM, θ-QAM 보다 오류 확률 및 PAPR 성능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stepped θ-QAM은 전체적인 신호 성상도 형태가 계단 모양이므로 오류 성능 및 PAPR 성능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오류 확률을 낮추고 PAPR(Peak-to-Average Power Radio)를 높일 수 있는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신호점 집합에 포함된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a);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b); 및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점 집합에서 상기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c);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신호점은 상기 M개의 신호점 중에서 최대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점이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최소의 크기를 가지는 후보 신호점이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제1 신호점의 크기가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는 상기 제1 신호점의 크기가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점의 크기 및 상기 후보 신호점의 크기 각각은 상기 좌표 평면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신호점의 거리 및 상기 후보 신호점의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기반의 신호 성상도에 따라서 상기 M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M개의 신호점은 상기 좌표 평면 상에서 격자(lattice)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일부의 신호점은 상기 M개의 신호점 중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된 2 이상의 신호점일 수 있다.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각각은 상기 2 이상의 신호점 각각과 이웃하는 격자점 중 상기 M개의 신호점이 배치되지 않는 격자점에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신호점 집합에 포함된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a);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b); 및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점 집합에서 상기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c);를 수행하되,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신호점 집합에 포함된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과정 (a)과,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과정 (b)과,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점 집합에서 상기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c)을 수행하되, 상기 과정 (b) 및 상기 과정 (c)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류 확률을 낮추고 PAPR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의 수학적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성상도를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100)는 신호 수신 장치 및 신호 전송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메모리부(110) 및 프로세서부(12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1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110)는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기록 매체에 관계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부(120)는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계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100)는 종래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기반의 신호 성상도에 따른 신호점을 재배지하여 원형의 신호 성상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의 수학적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210)에서는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한다. 여기서, 좌표 평면의 X축 값은 In-phase 채널이고, 좌표 평면의 Y축 값은 Quadrature 채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개의 신호점은 QAM 기반의 신호 성상도, 특히 θ-QAM의 신호 성상도에 따라서 좌표 평면 상의 초기값, 즉 초기 배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M개의 신호점은 신호점 집합 S(
Figure pat00001
)에 포함되며, 좌표 평면 상에서 격자(lattice) 구조로 배치된다. 한편, 격자는 대칭성의 규칙에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의 최소 단위를 격자점이라고 부르며, 어느 격자점을 중심으로 하더라도 항상 똑같은 구조로 보이게 된다.
도 4에서는 변조 차수(M)가 64인 θ-QAM의 신호 성상도의 신호점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64개의 신호점은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며,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위에서 아래쪽의 순으로 신호점의 번호가 할당된다. 그리고, 2d는 인접한 신호점 간의 유클리드 거리이다.
다음으로, 단계(220)에서는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은 격자 구조로 배치된 M개의 신호점 중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된 2 이상의 신호점일 수 있다. 여기서, N개의 후보 신호점 각각은 2 이상의 신호점 각각과 이웃하는 격자점 중 M개의 신호점이 배치되지 않는 격자점에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 4에 도시된 θ-QAM의 신호 성상도에 대한 후보 신호점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신호점은 28개이며, 후보 신호점은 34로 설정된다. 이 때, 후보 신호점들 역시 신호점들과 함께 격자 구조로 배치되고, 신호점들의 외부 영역에 후보 신호점들이 배치되되, 후보 신호점들 각각은 가장자리의 신호점들 각각과 이웃하는 격자점 중 신호점이 배치되지 않는 격자점에 배치된다. 그리고, 가장 위의 왼쪽부터 시작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후보 신호점의 번호가 할당된다.
계속하여, 단계(230)에서는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신호점 집합에서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한다. 즉, 업데이트 시, 삭제된 제1 신호점은 제1 후보 신호점으로 대체된다.
여기서, 신호점의 크기 및 후보 신호점의 크기 각각은 좌표 평면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신호점의 거리 및 후보 신호점의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서, 신호점 sk의 좌표값을 (sk,I, sk,Q), 후보 신호점 ch의 좌표값을 (ch,I, ch,Q)라고 하면, sk의 크기 및 ch의 크기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호점은 M개의 신호점 중에서 최대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점이고, 제1 후보 신호점은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최소의 크기를 가지는 후보 신호점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230)에서는 제1 신호점의 크기가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단계(230)에서는 M개의 신호점 중에서 최대의 크기를 가지는 제1 신호점의 크기가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최소의 크기를 가지는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보다 큰 경우, 신호점 집합에서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단계(220) 및 단계(230)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반복 수행이 종료되는 경우, 원형의 신호 성상도가 생성된다. 이 때, 제1 신호점의 크기가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단계(220) 및 단계(230)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신호점 smax가 제1 후보 신호점 cmin 보다 크면, 제1 후보 신호점 cmin이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되고, 제1 신호점 smax는 신호점 집합에서 제외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신호점 집합 S이 설정된다. 그리고, 새롭게 설정된 신호점 집합 S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N개의 후보 신호점이 설정되며, 다시 제1 신호점 smax과 제1 후보 신호점 cmin을 비교하여 신호점이 재배치되며,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제1 신호점 smax이 제1 후보 신호점 cmin 보다 작거나 같아질 때까지 반복된다.
도 6에서는 도 4 및 도 5의 일례에서, 단계(220) 및 단계(230)의 반복이 완료되어 생성된 새로운 θ-QAM의 신호 성상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변조 차수(M)가 256인 θ-QAM의 신호 성상도에 기반한 새로운 θ-QAM의 신호 성상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에서는 변조 차수(M)가 1024인 θ-QAM의 신호 성상도에 기반한 새로운 θ-QAM의 신호 성상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생성된 새로운 θ-QAM의 신호 성상도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오류 확률을 낮추고 PAPR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생성된 신호 성상도는 θ에 따라 다양한 격자 구조를 가지며, 변조 차수가 증가할수록 원형의 형태가 뚜렷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 1 및 도 2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종래의 신호 성상도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성상도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성상도의 우수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표 1 및 표 2에는 θ=60°일 때, 본 발명에 따라서 생성된 원형의 QAM의 신호 성상도와 종래의 SQAM, θ-QAM 및 stepped θ-QAM의 평균 심볼 에너지 및 PAPR를 비교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1 및 표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생성된 원형의 QAM의 신호 성상도가 종래의 QAM 성상도들 보다 평균 심볼 에너지와 PAPR 관점에서 모두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및 방송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형의 QAM 신호 성상도를 이용하면, 전력 효율 측면에서 효율적인 송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선형 증폭 특성에도 더욱 강인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AWGN 채널에서, θ=60°이고 변조 차수(M)가 64, 256 및 1024 일 때, 본 발명에 따른 원형의 QAM의 신호 성상도와, 종래의 SQAM, θ-QAM 및 stepped θ-QAM의 심볼 오류 확률(SER, Symbol Error Rate)를 비교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M=64인 경우, SER=10-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형의 QAM의 신호 성상도가 SQAM, θ-QAM 및 stepped θ-QAM에 따른 신호 성상도보다 각각 0.6 dB, 0.2 dB, 0.05 dB의 전력 이득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변조 차수가 증가할수록 전력 이득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신호점 집합에 포함된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a);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b); 및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점 집합에서 상기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c);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점은 상기 M개의 신호점 중에서 최대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점이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최소의 크기를 가지는 후보 신호점이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제1 신호점의 크기가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는 상기 제1 신호점의 크기가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아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점의 크기 및 상기 후보 신호점의 크기 각각은 상기 좌표 평면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신호점의 거리 및 상기 후보 신호점의 거리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기반의 신호 성상도에 따라서 상기 M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신호점은 상기 좌표 평면 상에서 격자(lattice)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일부의 신호점은 상기 M개의 신호점 중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된 2 이상의 신호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각각은 상기 2 이상의 신호점 각각과 이웃하는 격자점 중 상기 M개의 신호점이 배치되지 않는 격자점에 배치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방법.
  8.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신호점 집합에 포함된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a);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단계 (b); 및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점 집합에서 상기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c);를 수행하되,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9.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신호점 집합에 포함된 M(1 이상의 정수)개의 신호점의 초기 배치 위치를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과정 (a)과,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일부의 신호점의 배치 위치에 기반하여 N(1 이상의 정수)개의 후보 신호점을 좌표 평면 상에 설정하는 과정 (b)과, 상기 M개의 신호점 중 제1 신호점의 크기와 상기 N개의 후보 신호점 중 제1 후보 신호점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점 집합에서 상기 제1 신호점을 삭제하고 상기 제1 후보 신호점을 새로운 신호점으로 포함시켜 상기 신호점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c)을 수행하되,
    상기 과정 (b) 및 상기 과정 (c)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성상도 생성 장치.
KR1020190027879A 2019-03-12 2019-03-12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8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879A KR102184913B1 (ko) 2019-03-12 2019-03-12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879A KR102184913B1 (ko) 2019-03-12 2019-03-12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984A true KR20200108984A (ko) 2020-09-22
KR102184913B1 KR102184913B1 (ko) 2020-12-01

Family

ID=7270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879A KR102184913B1 (ko) 2019-03-12 2019-03-12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923A (ko) * 2021-02-09 2022-08-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크 적응을 위한 적응적 신호 성상도 설계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037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03659A (ko) * 2008-07-01 2010-01-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성상도 매핑 방법 및 장치
KR20150062021A (ko) * 2013-11-28 2015-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직교 진폭 변조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디매핑 방법 및 장치
KR20170128613A (ko) * 2011-01-12 2017-11-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코딩 방법 및 장치, 디코딩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037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03659A (ko) * 2008-07-01 2010-01-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성상도 매핑 방법 및 장치
KR20170128613A (ko) * 2011-01-12 2017-11-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코딩 방법 및 장치, 디코딩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150062021A (ko) * 2013-11-28 2015-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직교 진폭 변조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디매핑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923A (ko) * 2021-02-09 2022-08-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크 적응을 위한 적응적 신호 성상도 설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913B1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6679B1 (ko) 중첩 전송을 위한 전력 할당 방법 및 장치
Yang et al. Low complexity MPA detector based on sphere decoding for SCMA
Lu et al. Sliding window tone reservation technique for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of FBMC-OQAM signals
KR102295870B1 (ko) 위상 잡음에 최적화된 직교 진폭 변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3591922A1 (en) Phase adjustment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5075210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频率和正交幅度调制的编码和解码的方法和装置
KR102021314B1 (ko) 비정방 직교진폭변조 방식의 연판정 복조 장치 및 방법
Ma et al. Low complexity detection based on dynamic factor graph for SCMA systems
US9787518B2 (en) Digital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Wunder et al. Upper bounds o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crest-factor in OFDM transmission
KR102184913B1 (ko) 원형의 직교 진폭 변조 신호 성상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1695609B2 (en) Sid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partial transmit sequence technology, and apparatus
Song et al. Comparison of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s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ystem
US10715375B2 (en) Modulation method, decoding method, modulation device, and demodulation device
US9059881B2 (en) Hexagonal constellations and decoding same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KR102084083B1 (ko) 계단형 직교 진폭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EP3813278B1 (en) Multilevel polar-coded modul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s and devices
Schlegel et al. Generalized superposition modulation and iterative demodulation: A capacity investigation
WO2022012258A1 (zh) 调制编码、解调译码的方法、装置、设备及通信系统
Shorin et al. Constellations of discrete modulation laws that have the maximum information capacity per symbol under peak power limitation
Perez-Calderon et al. Simplified metrics calculation for soft bit detection in DVB-T2
Zhou et al. Energy-efficient fixed-gain AF relay assisted OFDM with index modulation
Cai et al. Design of two-dimensional non-uniform constellations with better performance
JP2018516006A (ja) ターボ復調、反復デマッピングおよび反復復号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vi et al. A novel shaping scheme for PAPR reduction in single-carrier mod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