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437A -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437A
KR20200108437A KR1020207021470A KR20207021470A KR20200108437A KR 20200108437 A KR20200108437 A KR 20200108437A KR 1020207021470 A KR1020207021470 A KR 1020207021470A KR 20207021470 A KR20207021470 A KR 20207021470A KR 20200108437 A KR20200108437 A KR 20200108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tension
suspension
closed loop
optim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242B1 (ko
Inventor
마티 래새넨
리쿠 람피넨
한누 레티넨
에스코 아울란코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0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ith separate traction and suspension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호이스트 기계(3)와 엘리베이터 카(5)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스펜션 설비는 엘리베이터 카(5)를 이동시키는 폐쇄 루프(1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폐쇄 루프(16)는 적어도 가요성 트랙션 부재(4)와 서스펜션 부재(10) 또는 트랙션과 서스펜션 복합 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폐쇄 루프(16)의 장력은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능동적으로 측정되고 조정된다. 예를 들면, 폐쇄 루프(16)의 장력은 엘리베이터의 구동 상태에 대해서 보다 엘리베이터 카(5)에 타고 내리는 상태에 대해서 더 팽팽하게 조정된다. 폐쇄 루프(16)의 장력은 조정 장치(9)에 의해 조정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한정된 방법 및 청구항 8의 전제부에 한정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 규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는 로프 또는 이에 상당하는 부재와 같은, 서스펜션 부재에 대한 안전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안전율은 서스펜션 부재와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사이에 충분한 마찰이 작용하도록 서스펜션 부재가 충분히 강해야 하고 충분한 장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찰이 너무 작으면 서스펜션 부재가 트랙션 시브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고층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타고 내리는 동안 종종 발생할 수 있다.
고층 엘리베이터에서는, 서스펜션 부재가 상당히 길다. 특히, 이런 이유로 안전하게 운행되고 안전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에 타고 내리는 동안 서스펜션 부재는 매우 충분한 장력을 가져야 한다. 이런 이유로, 타고 내리는 단계 동안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엘리베이터는 보통 많은 수의 서스펜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에 타거나 내릴 때만큼 서스펜션 부재의 장력이 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에 타고 내리는 동안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이 다른 방식으로 증가될 수 있으면 엘리베이터는 보다 적은 수의 서스펜션 부재를 가지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엘리베이터 크기(elevator mass)가 작아지고, 공간과 재료가 절약되고 또한 비용이 감소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없애고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기 위한 비용 효율이 높고 공간 절약형 방법 및 장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안전 규정에 의해 엘리베이터에 부과되어 있는 안전율을 준수하면서 보다 적은 수의 서스펜션 부재, 보상 부재 등을 가진 엘리베이터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8의 특징부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들은 다른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 내용이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와 다르게 한정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자구(expressions)나 암시된 하위-작업(sub-task)을 감안하거나 달성된 장점이나 장점의 유형의 관점에서 고려되는 경우, 상기 발명 내용이 몇 가지 별개의 발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아래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특징들 중의 일부는 별개의 발명 개념의 관점에서 볼 때 불필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실시례와 관련하여 기술된 다른 상세한 내용이 다른 실시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종속 청구항들 중의 적어도 몇 개는, 적어도 몇몇 상황에서, 독자적으로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정은 엘리베이터의 적어도 트랙션 부재(traction member)와 서스펜션 부재(suspension member) 또는 트랙션과 서스펜션 복합 부재(combined traction and suspension member)에 의해서 형성된 폐쇄 루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조정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 기계 또는 방향전환 풀리에 연결되어 있는 조정 장치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 루프의 장력/길이는 엘리베이터가 현재 처해 있는 상태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장력은 엘리베이터의 구동 상태에 대해서 보다 엘리베이터 카에 타고 내리는 상태에 대해서 더 팽팽하게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장치가 유압 액추에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의 한 가지 장점은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가 보다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고, 이것은 보통 상기 서스펜션 설비가 엘리베이터에 부과된 안전율을 준수하면서도, 보다 적은 수의 서스펜션 부재, 보상 부재 및/또는 다른 부재, 예를 들면, 트랙션 벨트(traction belt)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적은 수의 로프 또는 이와 유사한 것 그리고 다른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사용 재료와 비용이 상당히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해결방안은 엘리베이터의 비용을 낮추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공간을 줄인다. 상기한 장점은 고층 엘리베이터에서 두드러진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이 언제나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고, 이것은 로프, 트랙션 시브, 풀리 및 베어링 등과 같은, 서스펜션 설비에 속하는 부품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엘리베이터의 배치가 보다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호이스트 기계의 위치가 보다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호이스트 기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샤프트의 정상 부분에서 전선을 사용할 필요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서스펜션 로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흔들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스펜션 로프의 흔들림은 특히 고층 엘리베이터에서 그리고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조건에서 중대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능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탑승자를 보다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단순화되어 있고 개략적인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인 실시례의 도움을 받아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의 한 실시례가 적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단순화되고 개략적인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의 실시례가 적용되어 있는 다른 종류의 엘리베이터를 단순화되고 개략적인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도 1의 실시례가 적용되어 있는 또 다른 종류의 엘리베이터를 단순화되고 개략적인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의 다른 실시례가 적용되어 있는 도 3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단순화되고 개략적인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고,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의 또 다른 실시례가 적용되어 있는 도 3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단순화되고 개략적인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의 한 실시례가 적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1)는 트랙션 시브(2)를 구비한 호이스트 기계(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호이스트 기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례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비(suspension ratio)가 1:1이다. 엘리베이터(1)는 또한 엘리베이터 카(5), 평형추(6), 엘리베이터(1)의 제어 시스템(20) 및 엘리베이터 카(5)의 서스펜션 부재로도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트랙션 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트랙션 부재(4)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로프, 벨트 또는 몇 가지 다른 적절한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트랙션 부재(4)의 제1 단부는 엘리베이터 카(5)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이 엘리베이터 카(5)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트랙션 부재(4)가 위로 이어져서 트랙션 시브(2)를 돌아가고 거기에서 평형추(6)로 이어진다. 트랙션 부재(4)의 제2 단부는 평형추(6)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트랙션 부재(4)는 트랙션 시브(3)의 회전 운동을 엘리베이터 카(5)와 평형추(6)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1)는 보상 부재(7)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상 부재(7)는 자신의 제1 단부가 엘리베이터 카(5)의 바닥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방향전환 풀리(8)를 돌아서, 거기에서 다시 평형추(6)까지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상 부재(7)의 제2 단부는 평형추(6)의 바닥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트랙션 부재(4), 보상 부재(7), 엘리베이터 카(5) 그리고 평형추(6)가 함께 폐쇄 루프(16)를 형성한다. 폐쇄 루프(16)는 또한 엘리베이터 카(5)의 슬링(sling)과 같은, 엘리베이터의 몇 가지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형추(6)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있는 경우, 평형추나 균형추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단 하나의 평형추(6)가 아래에 기재되어 있더라도, 하나 이상의 평형추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균형추도 포함한다. 또한, 단 하나의 트랙션 부재(4)가 아래에 기재되어 있더라도, 톱니형 벨트, V-벨트, 평 벨트, 체인 또는 로프와 같은, 하나 이상의 평행한 트랙션 부재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단 하나의 보상 부재(7)가 아래에 기재되어 있더라도, 강 로프와 같은, 하나 이상의 평행한 보상 부재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단 하나의 서스펜션 부재가 아래에 기재되어 있더라도, 강 로프와 같은, 하나 이상의 평행한 서스펜션 부재도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 부분에 조정 장치(9)가 배치되어 있고, 이 조정 장치(9)는 방향전환 풀리(8)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 시스템(1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정 장치(9)는 폐쇄 루프(16)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폐쇄 루프(16)의 길이가 조정되면, 폐쇄 루프(16)의 장력, 다시 말해서, 트랙션 부재(4), 서스펜션 부재 및 보상 부재(7)의 장력도 변화된다. 엘리베이터(1)는 또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5)의 위치 및/또는 속도 및/또는 가속도, 폐쇄 루프(16)의 다른 부재의 흔들림 그리고 폐쇄 루프(16)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센서(18)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1)는 또한 폐쇄 루프(16)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9)를 포함하고 있다. 조정 장치(9)는 폐쇄 루프(16)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측정 정보를 이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폐쇄 루프(16)의 길이는 상황에 따라 조정된다. 엘리베이터 카(5)가 정지되어 사람이나 짐을 싣거나 내릴 때에는, 장력이 증가하여 엘리베이터 카(5)의 원치 않는 이동을 방지하도록 폐쇄 루프(16)의 길이가 보다 길게 조정된다. 엘리베이터 카(5)가 샤프트에서 구동되고 있을 때에는, 시스템의 장력이 그렇게 강할 필요가 없어서 조정 장치(9)가 폐쇄 루프의 길이를 보다 짧게 조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시스템의 장력은 폐쇄 루프(16)의 다른 부재들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흔들리기 시작하는 경우에 조정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1)는 항상 몇 가지 특정 상태에 있다. 여러 가지 상태는 적어도 가속도 상태, 감속도 상태, 일정한 속도로 구동하는 상태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5)가 일부 층에 정지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5)에 타거나 내릴 수 있는 상태이다. 폐쇄 루프(16)의 장력은 센서(18, 19)의 측정 정보와 엘리베이터(1)가 현재 처해 있는 상태에 기초하여 가능한 한 최적 상태가 되도록 능동적으로 조정된다. 상기 조정은 조정 장치(9)와 조정 장치(9)의 제어 시스템(17)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다. 또한 엘리베이터(1)의 제어 시스템(20)이 상기 조정을 도와주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례에서는 조정 장치(9)가 방향전환 풀리(8)를 위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는 유압 액추에이터이다. 조정 장치(9)는 또한 폐쇄 루프(16)를 적절한 프리텐션(pre-tension) 상태로 조정하기 위해서 그리고 엘리베이터 로프가, 예를 들어,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여 길어지면 상기 폐쇄 루프의 장력을 적절한 장력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조정 장치(9)는 폐쇄 루프(16)의 길이만 조정하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거나 호이스트 기계(3)의 구동 장치의 도움을 받아 상기 조정을 하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례가 적용되어 있는 다른 엘리베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엘리베이터(1)에서는 트랙션 시브(2)를 구비한 호이스트 기계(3)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1)의 서스펜션 설비는, 이 서스펜션 설비가 평형추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도 1의 실시례와 유사하다. 상기 서스펜션 설비가 트랙션 부재(4)와 엘리베이터 카(5)를 포함하는 폐쇄 루프(16)를 형성한다. 트랙션 부재(4)는 엘리베이터 카(5)의 서스펜션 부재로도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례에서는, 제어 시스템(17)을 구비한 조정 장치(9)가 호이스트 기계(3)에 연결되어 있다. 조정 장치(9)는 호이스트 기계(3)를 위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폐쇄 루프(16)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1)는 또한 도 1의 실시례의 센서(18)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8)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이 적용되어 있는 다른 엘리베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1)는 엘리베이터 카(5), 평형추(6) 그리고 트랙션 시브(2)를 구비한 호이스트 기계(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호이스트 기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1)는 또한, 이 실시례에서는 별개의 부재인, 트랙션 부재(4)와 서스펜션 부재(10)를 포함하고 있다. 트랙션 부재(4)는, 예를 들면, 톱니형 벨트, V-벨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고 트랙션 부재(4)의 제1 단부는 엘리베이터 카(5)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다. 트랙션 부재(4)는 엘리베이터 카(5)의 바닥부에서 아래로 이어져 트랙션 시브(2)를 돌아가고 위로 이어져서 방향전환 풀리(12)를 돌아가고 다시 아래로 이어져서 다른 방향전환 풀리(11)를 돈 다음에 평형추(6)까지 이어진다. 트랙션 부재(4)의 제2 단부는 평형추(6)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션 부재(10)는, 예를 들면, 강 로프이고 서스펜션 부재(10)의 제1 단부는 엘리베이터 카(5)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카(5)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위로 이어져서 방향전환 풀리(13, 14)를 돌아서 다시 평형추(6)로 이어진다. 서스펜션 부재(10)의 제2 단부는 평형추(6)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트랙션 부재(4), 서스펜션 부재(10), 엘리베이터 카(5) 그리고 평형추가 함께 폐쇄 루프(16)를 형성한다.
도 3의 실시례에서는, 엘리베이터(1)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호이스트 기계(3)에 연결되어 있는 한 개의 조정 장치(9)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의 실시례에서는, 엘리베이터(1)가 두 개의 조정 장치(9)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조정 장치(9)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호이스트 기계(3)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조정 장치(9)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향전환 풀리(14)에 연결되어 있다.
도 5의 실시례에서는, 엘리베이터(1)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향전환 풀리(14)에 연결되어 있는 한 개의 조정 장치(9)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모든 실시례에서는, 조정 장치(9)가 제어 시스템(17)을 포함하고 있고 엘리베이터(1)가 센서(18)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실시례에서는, 조정 장치(9)와 센서(18)가 폐쇄 루프(16)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의 실시례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엘리베이터(1)의 트랙션 부재(4) 그리고 다른 부재들과 부분들에 의해서 형성된 폐쇄 루프(16)의 길이가 엘리베이터(1)의 조정 장치(9) 및/또는 구동 장치에 의해 프리텐션된다. 폐쇄 루프(16)의 장력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5)의 위치 및/또는 가속도 및/또는 감속도 및/또는 속도 및/또는 부하(load)가 하나의 센서 또는 복수의 센서(18)에 의해 측정된다. 폐쇄 루프(16)의 장력이 하나의 센서 또는 복수의 센서(19)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측정 정보의 도움을 받아, 폐쇄 루프(16)의 길이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9)와 조정 장치(9)의 제어 시스템(17) 및/또는 엘리베이터(1)의 제어 시스템(20)의 도움을 받아서 능동적으로 조정된다. 폐쇄 루프(16)의 길이의 조정은 엘리베이터(1)의 호이스트 기계(3) 및/또는 방향전환 풀리(8, 14)들 중의 하나를 위나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폐쇄 루프(16)의 장력의 조정은 엘리베이터(1)의 상태 및 센서(18, 19)의 측정 정보에 따라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폐쇄 루프(16)의 장력은 엘리베이터 카(5)에 타거나 내리고 있을 때 크게 조정되고 엘리베이터 카(5)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고 있을 때 작게 조정된다.
본 발명이 상기한 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에 기술된 청구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조정 장치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아니라 몇 가지 다른 장치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 장치는, 예를 들면, 폐쇄 루프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배치된 서보모터 또는 임의의 다른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조정 장치의 위치 및/또는 상기 조정 장치의 갯수는 상기한 실시례와 다를 수 있다는 것 또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조정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방향전환 풀리 등이 폐쇄 루프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 또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대신에, 상기 이동이 예를 들면 옆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정 장치가 반드시 자신의 제어 시스템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 또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대신에, 상기 조정 장치의 제어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가 상기 실시례에서 기술한 것과 다른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 또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과 서스펜션 비 그리고 호이스트 기계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호이스트 기계(3)와 엘리베이터 카(5)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로서, 상기 서스펜션 설비는 엘리베이터 카(5)를 이동시키는 폐쇄 루프(1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폐쇄 루프(16)는 적어도 트랙션 부재(4)와 서스펜션 부재(10) 또는 트랙션과 서스펜션 복합 부재(4)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이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능동적으로 측정되고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이 엘리베이터의 일정 속도 구동 상태에 대해서 보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5)에 타고 내리는 상태에 대해서 더 팽팽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이 엘리베이터의 일정 속도 구동 상태에 대해서 보다 엘리베이터의 가속 상태와 감속 상태에 대해서 더 팽팽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5)의 위치 및/또는 가속도 및/또는 속도 및/또는 부하가 하나 이상의 센서(18)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의 조정이 하나의 센서(18) 또는 복수의 센서(18)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이 방향전환 풀리(8, 14) 또는 호이스트 기계(3)에 연결되어 있는 조정 장치(9)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가 상기 조정 장치(9)에 의해 프리텐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8. 적어도 호이스트 기계(3)와 엘리베이터 카(5)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로서, 상기 서스펜션 설비는 엘리베이터 카(5)를 이동시키는 폐쇄 루프(1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폐쇄 루프(16)는 적어도 트랙션 부재(4)와 서스펜션 부재(10) 또는 트랙션과 서스펜션 복합 부재(4)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9)와 엘리베이터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 장치(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9)가 엘리베이터의 일정 속도 구동 상태에 대해서 보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5)에 타고 내리는 상태에 대해서 더 팽팽하게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9)가 엘리베이터의 일정 속도 구동 상태에 대해서 보다 엘리베이터의 가속 상태와 감속 상태에 대해서 더 팽팽하게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5)의 위치 및/또는 가속도 및/또는 속도 및/또는 부하를 측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16)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9)가 방향전환 풀리(8, 14) 또는 호이스트 기계(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9)가 제어 시스템(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9)가 유압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장치.
KR1020207021470A 2018-01-22 2018-01-22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7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18/050043 WO2019141895A1 (en) 2018-01-22 2018-01-22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he tension of the suspens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437A true KR20200108437A (ko) 2020-09-18
KR102507242B1 KR102507242B1 (ko) 2023-03-07

Family

ID=6730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470A KR102507242B1 (ko) 2018-01-22 2018-01-22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7242B1 (ko)
WO (1) WO20191418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3289B1 (en) * 2014-02-28 2016-09-21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60627L (fi) * 2006-06-28 2007-12-29 Kone Corp Järjestely vastapainottomassa hississä
CN102906001B (zh) * 2010-05-27 2015-08-26 通力股份公司 电梯和电梯绳索监控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3289B1 (en) * 2014-02-28 2016-09-21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1895A1 (en) 2019-07-25
KR102507242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290B2 (en) Arrangement in an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KR101051638B1 (ko) 엘리베이터
CA2815762C (en) Lift installation
JP5873884B2 (ja) エレベータ
US10479650B2 (en) Arrangement for reducing displacement of an elevator car caused by a change in loading
JP2008508160A5 (ko)
JP2006505470A5 (ko)
JP2536816B2 (ja) 昇降装置
US20060196730A1 (en) Elevator and arrangement
CN107531456B (zh) 用于对电梯牵引构件的张紧度进行调节的设备
JPWO2002072461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6966408B2 (en) Autobalance roping and drive arrangement
WO2005049470A3 (en) Elevator rope compensation device
FI118079B (fi) Hissi, menetelmä hissin liikkeen estämiseksi ja/tai pysäyttämiseksi ja hissikorin liikkeen estävän ja/tai pysäyttävän laitteen käyttö hississä
WO2018211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nsion in the suspens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CN104828680B (zh) 配重平衡电梯
KR102507242B1 (ko)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311655A1 (en) Elevator system
US998629A (en) Tension-beam for frictional driving apparatus.
EP1042211A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US20060243540A1 (en) Elevator
WO2017129852A1 (en) Arrangement for tensioning a traction member of an elevator and for monitoring the tension of the traction member
US635454A (en) Elevator.
KR20190003378A (ko) 로드 베어링 부재의 요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더
KR1005449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