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309A -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 - Google Patents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309A
KR20200108309A KR1020207022836A KR20207022836A KR20200108309A KR 20200108309 A KR20200108309 A KR 20200108309A KR 1020207022836 A KR1020207022836 A KR 1020207022836A KR 20207022836 A KR20207022836 A KR 20207022836A KR 20200108309 A KR20200108309 A KR 20200108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ower saving
saving mode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화 료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2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in packet switch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18년 1월 10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PCT/CN2018/072143이고 발명의 명칭이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인 PCT 특허 출원, 및 2018년 5월 21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PCT/CN2018/087718이고 발명의 명칭이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인 PCT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이들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기존의 방식에서, 단말 기기의 절전을 위해, 단말 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시 단말 기기는 유휴 상태이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는 전원이 꺼진 상태와 유사하므로, 데이터 전송과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를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시켜야 할 경우, 예를 들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영역을 업데이트해야 할 경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와 주동적으로 연결을 구축한다.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연결될 수 없고, 만약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각성될 시, 예를 들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영역을 업데이트할 시,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상태를 도입하였는 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단말 기기의 콘텍스트는 여전히 네트워크 기기 측에 저장되어 있지만,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의 콘텍스트를 회복시킴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을 절감시킨다. 하지만, 어떻게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것인가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은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제1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능력 정보에 따라 결정한 것이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지시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송신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가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조건;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3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며, 나아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접속망 기기의 구성을 통해 결정하거나, 또는 타이머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기기는 기설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제2 양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1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1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제2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후 송신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 및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요청 정보를 통해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의 관련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응답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제3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시 작동되며,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2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2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제3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요청 정보를 통해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의 관련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응답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제4 양태에 따르면,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타이머 정보에 따라,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4 양태를 결부하면, 제4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4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이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된 것이다.
제4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4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제4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4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며, 나아가,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할 시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잠시 캐싱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함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시간 내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함 -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5 양태를 결부하면, 제5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제5 양태 및 상기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5 양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며,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여,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이머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할 시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잠시 캐싱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핵심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응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고,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6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접속망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양태 또는 제7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핵심망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5 양태 또는 제8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칩을 제공한다. 상기 칩은,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가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가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가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 실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16 양태에 따르면, 단말 기기, 접속망 기기 및 핵심망 기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되,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6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제2 양태 내지 제3 양태 또는 제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며,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제4 양태 내지 제5 양태 또는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이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C)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이중 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미래 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또는 엔알(new radio, NR) 등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 등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차량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GSM 시스템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상기 접속망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접속망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접속망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1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10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0)은,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120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수신된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다.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단말 기기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도록 무선 주파수 모듈을 오프한다.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 기기는 무선 주파수 모듈을 오프하므로, 관련 동작을 실행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셀 선택, 셀 재선택, 셀 측정, 페이징 및 시스템 메시지 수신 등 동작을 실행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접속망 기기의 구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기기는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타이머의 타이밍 방식을 통해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기기는 또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절전 모드의 능력 또는 이의 서비스 요구를 지원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수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접속망 기기는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또한 접속망 기기에 능력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능력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상기 능력 정보에 따라,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핵심망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능력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고, 상기 능력 정보는 접속망 기기가 상기 능력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상기 능력 정보에 따라,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핵심망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어, 접속망 기기가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핵심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현재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보조 정보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통지하되, 상기 보조 정보는 현재 단말 기기가 허용하도록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구성하며; 현재 단말 기기를 허용하지 않도록 상기 보조 정보가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만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의 QoS 요구, 예를 들어 지연 요구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핵심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가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보조 정보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통지하되, 사이 보조 정보가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가 허용하도록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구성하며;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를 허용하지 않도록 상기 보조 정보가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만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의 QoS 요구, 예를 들어 지연 요구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가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중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의 QoS 요구, 예를 들어 지연 요구 등을 결정하고, 이가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보조 정보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통지하되, 상기 보조 정보가 단말 기기의 서비스의 QoS 요구가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구성하며; 상기 보조 정보가 단말 기기의 서비스의 QoS 요구가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만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을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 기기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IoT단말 기기는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핵심망 기기는 보조 정보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을 통지하되,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IoT 단말 기기인 것으로 결정하면,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만 진입하도록 구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는 몇 가지 등급을 통해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이한 시간 간격에 따라 고빈도, 중빈도 및 저빈도로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를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접속망 기기에 상기 서비스 모드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를 송신하되, 접속망 기기가 보조 정보 중의 상기 서비스 모드에 따라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가 비교적 많고 비교적 빈번한 것으로 결정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만 진입하도록 구성하고; 접속망 기기가 상기 서비스 모드에 따라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서비스가 아주 적을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는 이동과 정지로 나뉠 수 있고, 여기서, 이동은 또한 속도 등에 따라 신속하게 이동하는 상태와 천천히 이동하는 상태 등 상이한 상태로 구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접속망 기기에 상기 이동 상태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를 송신하되, 접속망 기기가 보조 정보 중의 상기 이동 상태에 따라 단말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만 진입하도록 구성하고; 접속망 기기가 상기 이동 상태에 따라 단말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이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것으로 결정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수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는 다시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에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기설정된 것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약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에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에 송신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능력 정보에 따라,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구성하고,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핵심망 기기는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작 시각을 결정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의 사용자 평면 엔티티가 상기 시각 이전에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고,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아직 통신 모드를 수행중이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한 후, 핵심망 기기는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먼저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캐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 시작 시각을 결정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를 통해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고,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제1 시작 시각 이전에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며,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아직 통신 모드를 수행중이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한 후, 접속망 기기는 먼저 서비스 데이터를 캐싱하고 잠시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단말 기기는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단말 기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면, 즉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지원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면, 즉 단말 기기가 이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것으로 결정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면, 즉 단말 기기가 이의 서비스가 이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의 QoS 요구가 요구를 만족시키되, 상기 QoS 요구가 지연 요구일 수 있으면, 단말 기기는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자체의 서비스 모드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는 몇 가지 등급을 통해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이한 시간 간격에 따라 고빈도, 중빈도 및 저빈도로 나뉠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가 고빈도일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고;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가 중빈도 또는 저빈도일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는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개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가 비교적 많고 비교적 빈번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 기기가 현재 처리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서비스가 아주 적을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자체의 이동 정보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는 이동과 정지로 나뉠 수 있고, 여기서, 이동은 또한 속도 등에 따라 신속하게 이동하는 상태와 천천히 이동하는 상태 등 상이한 상태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일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이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함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에도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송신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는 여부를 지시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단말 기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접속망 기기에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대응되게,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단말 기기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응답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접속망 기기는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망 기기가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핵심망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보조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응답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의 거절 이유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응답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대응되게, 단말 기기는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함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응답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제2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에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설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구성하고,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핵심망 기기는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작 시각을 결정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의 사용자 평면 엔티티가 상기 시각 이전에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아직 통신 모드를 수행중이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한 후, 핵심망 기기는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먼저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캐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2 시작 시각을 결정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를 통해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고,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제2 시작 시각 이전에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며,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아직 통신 모드를 수행중이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한 후, 접속망 기기는 먼저 서비스 데이터를 캐싱하고 잠시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방법(100)은,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3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를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시켜 통신 모드를 수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채널을 오프하고,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하면, 무선 주파수 채널을 작동시켜, 상기 단말 기기가 예컨대 셀 선택, 셀 재선택, 셀 측정, 페이징 등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 회복될 시 실행할 수 없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된 후, 여전히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진입됨을 이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단말 기기와 접속망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기기와 핵심망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될 수도 있으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접속망 기기에 통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타이머의 협상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구성하는 과정, 예를 들어, 구성 정보를 통해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휴대하는 과정; 또는 단말 기기에서 연결 구축 또는 재구성하는 과정; 또는 단말 기기의 부착 과정; 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 구축 또는 수정 과정; 또는 베어러 구축 또는 재구성 과정; 또는 QoS 스트림 구축 또는 재구성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단말 기기와 접속망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될 경우,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한 후, 단말 기기는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핵심망 기기가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송신한 것일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잠시 접속망 기기에 캐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속망 기기와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할 경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상기 접속망 기기는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각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시간 이후에,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한 후,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잠시 핵심망 기기에 캐싱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이 단말 기기와 핵심망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되고,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통지할 수 있을 경우,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각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시간 이후에,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한 후,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잠시 핵심망 기기에 캐싱될 수 있다. 또는, 핵심망 기기와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할 경우,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도록,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고,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한 후,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핵심망 기기가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송신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잠시 접속망 기기에 캐싱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방법(100)은,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한 후, 단말 기기는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동기화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할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기 시작하는 현재 시각 또는 이전의 시각에, 단말 기기는 절전 모드로부터 각성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 영역에서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를 동기화시켜,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에 대해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없도록 하고, 단말 기기가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할 경우, 절전 모드가 아닌 통신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핵심망 기기는 제어 평면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는 다양한 제어 타입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보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보조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핵심망 기기는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평면 엔티티는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인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평면 엔티티는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접속망 기기를 통해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예컨대, 제1 타이머, 제2 타이머 및 제3 타이머는 시간 기록에 사용되는 임의의 소자인데,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는 시간 기록계로 지칭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며, 나아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접속망 기기의 구성을 통해 결정하거나, 또는 타이머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기기는 기설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도 1을 결부하여, 단말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아래, 도 2 내지 도 3을 결부하여, 접속망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200)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10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20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2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2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1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1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2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2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2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200)에서의 접속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방법(200)에서의 핵심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핵심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300)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00)은,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310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후 송신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20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 및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330 -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시 작동되며,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3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3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2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2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3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3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3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300)에서의 접속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방법(300)에서의 핵심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핵심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요청 정보를 통해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의 관련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응답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위에서 도 1 내지 도 3을 결부하여, 접속망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아래, 도 4 내지 도 5를 결부하여, 핵심망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4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400)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400)은,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410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타이머 정보에 따라,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420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400)에서의 제2 타이머는 방법(100)에서의 제2 타이머 및/또는 제1 타이머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400)에서의 제3 타이머는 방법(100)에서의 제3 타이머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이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상기 방법(4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400)에서의 접속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방법(400)에서의 핵심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핵심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며, 나아가,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할 시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잠시 캐싱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5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500)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500)은,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510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520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함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530 -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시간 내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함 -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500)에서의 제2 타이머는 방법(100)에서의 제2 타이머 및/또는 제1 타이머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500)에서의 제3 타이머는 방법(100)에서의 제3 타이머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상기 방법(5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500)에서의 접속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방법(500)에서의 핵심망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핵심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며,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여,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이머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할 시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잠시 캐싱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위에서, 단말 기기가 수행하는 절전 모드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이 오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고;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는 다른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을 응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절전 모드로 간주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 도 14 내지 도 16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14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140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400)은,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10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1420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각 실시예(예를 들어, 방법(100) 내지 방법(500))에서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시 무선 주파수 모듈을 오프하는 것에 비해, 단말 기기가 2가지 상이한 절전 모드의 수행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 기기가 어느 절전 모드를 선택하든, 다시 말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모두 상기 각 실시예에 응용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절전 모드는 단말 기기가 무선 주파수 모듈을 오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는 바,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아래, 몇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말 기기가 단계S1410에서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할 수 있으면, 단말 기기는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DRX의 확장 주기에 따라 동시에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말 기기는 다른 조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이미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를 결정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가 이미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를 결정하였으면, 상기 단말 기기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동시에, 단말 기기는 상기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을 상기 DRX의 확장 주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수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가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조건; 및 상기 단말 기기가 핵심망과 협상하여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결정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접속망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상기 DRX의 확장 주기에 따라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도록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DRX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 기기가 상기 DRX의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RX의 파라미터 정보는 단말 기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 및/또는 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면, 단말 기기는 양자 중 최소값을 DRX의 확장 주기로 결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할 수도 있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단말 기기일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 도 14를 결부하여, 단말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 도 15를 결부하여, 접속망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15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1500)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500)은,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510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1520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1400)과 유사하게, 상기 방법(1500)에서 역시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마찬가지로, 절전 모드가 단말 기기가 무선 주파수 채널을 오프하는 것인 상기 각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는 바,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아래, 몇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이동 정보 및 DRX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망 기기는 보조 정보에 포함된 DRX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의 DRX의 확장 주기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DRX의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DRX의 확장 주기는 핵심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즉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DRX의 확장 주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으면,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에 포함된 상기 양자의 파라미터 중 최소값을 상기 DRX의 확장 주기로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며, 다시 말하면, 접속망 기기는 상기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할 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방법(1500)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며, 다시 말하면, 접속망 기기는 2개의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및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각각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15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방법(14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1500)에서의 접속망 기기는 방법(1400)에서의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방법(1500)에서의 핵심망 기기는 방법(1400)에서의 핵심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구성 정보 및/또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위에서 도 14 내지 도 15를 결부하여,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 도 16을 결부하여, 핵심망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1600)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1600)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600)은, 핵심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S1610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한다.
상기 방법(1400) 및 방법(1500)과 유사하게, 상기 방법(1600)에서 역시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마찬가지로, 절전 모드가 단말 기기가 무선 주파수 채널을 오프하는 것인 상기 각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는 바,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아래, 몇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핵심망 기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16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1600)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및/또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DRX의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RX의 파라미터 정보는 DRX의 확장 주기를 지시하며, 상기 DRX의 확장 주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절전 모드를 수행시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할 경우의 주기이고, 여기서, 상기 DRX의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 및/또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송신할 수 있고, 즉 DRX의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을 상기 DRX의 확장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 기기 및/또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DRX의 확장 주기가 포함된 DRX의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한다.
또는,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 및/또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고,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 기기 및/또는 접속망 기기가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DRX를 확장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응용하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DRX 파라미터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을 DRX의 확장 주기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및/또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DRX의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요청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를 협상하는 것; 상기 핵심망 기기와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지원 또는 사용하는지 여부를 협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핵심망 기기는 상기 결정된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상기 확장 주기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16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방법(14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1600)에서의 접속망 기기는 방법(1400)에서의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방법(1600)에서의 핵심망 기기는 방법(1400)에서의 핵심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에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DRX를 확장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응용하여, 단말 기기가 상기 확장 주기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에도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시,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잠시 지연시킴으로써,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 밖에, 본문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서, 3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밖에, 본문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위에서 도 1 내지 도 5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 도 6 내지 도 13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600) 는 수신 유닛(610) 및 처리 유닛(620)을 포함하고, 선택 가능하게, 송신 유닛(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610)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620)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630)은, 상기 접속망 기기에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능력 정보에 따라 결정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610)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송신 유닛(630)은, 상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610)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송신 유닛(630)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수신 유닛(6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송신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610)이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가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조건;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3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처리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1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고, 단말 기기(6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5에서의 각 방법의 단말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며, 나아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접속망 기기의 구성을 통해 결정하거나, 또는 타이머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기기는 기설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700)는 결정 유닛(710) 및 송신 유닛(720)을 포함하고, 선택 가능하게, 수신 유닛(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710)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송신 유닛(720)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430)은, 상기 결정 유닛(710)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단말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결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730)은, 상기 결정 유닛(710)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보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결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712)은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730)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710)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 시작 시각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유닛(720)은 또한, 상기 제1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결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720)은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730)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710)은 또한,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유닛(720)은 또한,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고, 접속망 기기(7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5에서의 각 방법의 접속망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800)는 송신 유닛(810) 및 수신 유닛(820)을 포함하고, 선택 가능하게, 결정 유닛(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810)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수신 유닛(820)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후 송신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고; 상기 송신 유닛(810)은 또한, 상기 요청 정보 및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시 작동되며,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810)은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820)은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830)은, 상기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2 시작 시각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유닛(810)은 또한, 상기 제2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820)은 구체적으로,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조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결정 유닛(830)은,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810)은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820)은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830)은,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유닛(810)은 또한,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8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3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고, 접속망 기기(8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5에서의 각 방법의 접속망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를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요청 정보를 통해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접속망 기기는 단말 기기의 관련 보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응답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지시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인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900)는 결정 유닛(910) 및 송신 유닛(920)을 포함하고, 선택 가능하게, 수신 유닛(9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910)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며; 상기 송신 유닛(920)은, 상기 타이머 정보에 따라,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결정 유닛(910)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타이머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유닛(930)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이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920)은 또한,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4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고, 핵심망 기기(9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5에서의 각 방법의 핵심망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며, 나아가,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할 시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잠시 캐싱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1000)는 결정 유닛(1010) 및 송신 유닛(1020)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1010)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며; 상기 송신 유닛(1020)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하며; 상기 송신 유닛(1020)은 또한,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시간 내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1020)은 또한,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10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5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고, 핵심망 기기(10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5에서의 각 방법의 핵심망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핵심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며,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여,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이머의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시간에 따라, 단말 기기가 통신 모드를 수행할 시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잠시 캐싱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단말 기기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
위에서 도 14 내지 도 16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 도 17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17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1700)는 처리 유닛(1710) 및 송수신 유닛(17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통신 기기(1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통신 기기(1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14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송수신 유닛(1720)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1710)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한다. 상기 통신 기기(17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4 내지 도 16에서의 각 방법의 단말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통신 기기(1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통신 기기(1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15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송수신 유닛(1720)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1710)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한다. 상기 통신 기기(17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4 내지 도 16에서의 각 방법의 접속망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통신 기기(1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통신 기기(1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1600)에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처리 유닛(1710)은, 단말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한다. 상기 통신 기기(17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4 내지 도 16에서의 각 방법의 핵심망 기기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1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통신 기기(1100)는 프로세서(11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100)을 구현하도록,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 가능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100)는 메모리(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메모리(11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120)는 프로세서(1110)에 독립적인 하나의 단독적인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11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100)는 송수신기(1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10)는 상기 송수신기(1130)가 다른 기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11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1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통신 기기(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통신 기기(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통신 기기(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핵심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12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칩(1200)은 프로세서(12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 가능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1200)은 메모리(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메모리(12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10)에 독립적인 하나의 단독적인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12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칩(1200)은 입력 인터페이스(1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2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칩(1200)은 출력 인터페이스(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12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에 응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에 응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접속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에 응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핵심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언급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언급된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대한 설명은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 설명으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인핸스먼트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접속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3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단말 기기(1310), 접속망 기기(1320) 및 핵심망 기기(1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1310)는 상기 방법(100) 내지 방법(500) 또는 방법(1400) 내지 방법(1600)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1310)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단말 기기(600) 또는 도 17에 도시된 통신 기기(1700)와 같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속망 기기(1320)는 상기 방법(100) 내지 방법(500) 또는 방법(1400) 내지 방법(1600)에서 접속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접속망 기기(1320)의 구성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접속망 기기(700) 및 접속망 기기(800) 또는 도 17에 도시된 통신 기기(1700)와 같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핵심망 기기(1330)는 상기 방법(100) 내지 방법(500) 또는 방법(1400) 내지 방법(1600)에서 핵심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핵심망 기기(1330)의 구성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핵심망 기기(900) 및 핵심망 기기(1000) 또는 도 17에 도시된 통신 기기(1700)와 같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Claims (115)

  1.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능력 정보에 따라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송신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가,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조건;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3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5.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작동되고,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1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1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5.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후 송신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 및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시 작동되며,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0.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2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2 시작 시각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1.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2. 제25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3. 제25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작동되며,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을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6.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작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제3 시작 시각 이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7.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타이머 정보에 따라,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이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2.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함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시간 내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보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5.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이미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를 결정하였으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을 상기 DRX의 확장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3.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접속망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5.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송신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59. 제51항, 제52항,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가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조건; 및
    상기 단말 기기가 핵심망과 협상하여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결정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0. 제45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3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2. 제45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3.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또는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현재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처리 중인 서비스가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타입,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 이동 정보 및 DRX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 접속망 기기가,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보조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DRX의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을 상기 DRX의 확장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69. 제63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1. 제63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DRX의 확장 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3.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으로서,
    핵심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응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요청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를 협상하는 조건, 상기 핵심망 기기와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사용하도록 지원 또는 사용하는지 여부를 협상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확장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5. 제73항 또는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 및/또는 접속망 기기에 상기 DRX의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RX의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확장 주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응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 중의 최소값을 상기 확장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확장 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79.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핵심망 기기가 협상한 유휴 상태에서의 DRX를 확장하는 주기와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 재전송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80. 단말 기기로서,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능력 정보에 따라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3.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제1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제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5.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절전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6.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도록 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송신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의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타이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타이머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90. 제85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가 절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 기기인 조건;
    상기 단말 기기 중의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조건;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비스 모드가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시간 간격, 상기 서비스가 상기 단말 기기에서 수행되는 빈도,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상기 서비스의 지속 시간, 상기 서비스 중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양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조건;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상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91. 제80항 내지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3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핵심망 기기와 협상하여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93. 제80항 내지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페이징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통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94. 접속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고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95. 접속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된 후 송신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요청 정보 및 보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96. 핵심망 기기로서,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의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및
    상기 타이머 정보에 따라,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97. 핵심망 기기로서,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단말 기기와 협상하여 타이머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 및/또는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통신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제3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타이머가 시간 초과시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오프되며,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기 무선 주파수 채널은 작동됨 - ; 및
    제어 평면 엔티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이머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 상기 타이머 정보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사용자 평면 엔티티를 통해 상기 접속망 기기에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시간 내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98. 단말 기기로서,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99. 접속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 유닛 -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 -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100. 핵심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가 협상하여 확장 주기의 불연속 수신(DRX)을 응용할 경우의 확장 주기를 응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주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확장 주기의 DRX를 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101.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4항, 제4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2. 접속망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5항 내지 제36항, 제63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103. 핵심망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37항 내지 제44항, 제73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104.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4항, 제4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05.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가 제15항 내지 제36항, 제63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06.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가 제37항 내지 제44항, 제73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07. 칩으로서,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가 제1항 내지 제14항, 제4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08. 칩으로서,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가 제15항 내지 제36항, 제63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09. 칩으로서,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가 제37항 내지 제44항, 제73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10.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4항, 제4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가 제15항 내지 제36항, 제63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가 제37항 내지 제44항, 제73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3.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4항, 제4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14.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가 제15항 내지 제36항, 제63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1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가 제37항 내지 제44항, 제73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22836A 2018-01-10 2019-01-07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 KR20200108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2143 WO2019136645A1 (zh) 2018-01-10 2018-01-10 用于确定终端设备状态的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CNPCT/CN2018/072143 2018-01-10
CNPCT/CN2018/087718 2018-05-21
PCT/CN2018/087718 WO2019136899A1 (zh) 2018-01-10 2018-05-21 用于确定终端设备状态的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PCT/CN2019/070721 WO2019137341A1 (zh) 2018-01-10 2019-01-07 用于确定终端设备状态的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309A true KR20200108309A (ko) 2020-09-17

Family

ID=6721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836A KR20200108309A (ko) 2018-01-10 2019-01-07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622331B2 (ko)
EP (1) EP3731568A4 (ko)
JP (1) JP2021510268A (ko)
KR (1) KR20200108309A (ko)
CN (1) CN111512670B (ko)
AU (1) AU2019206924A1 (ko)
RU (1) RU2020125735A (ko)
SG (1) SG11202006624WA (ko)
WO (3) WO20191366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201A1 (ko) * 2020-09-18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단말들 사이의 drx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19286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Twt 모드 또는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7459B2 (en) * 2019-02-11 2023-05-0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control and signaling for power circuitry configuration
CN112205069B (zh) * 2019-05-08 2023-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的方法、装置和系统
EP4271050A4 (en) * 2020-12-25 2024-03-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529653A (zh) * 2021-06-25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以及相关装置
WO2023272697A1 (zh) * 2021-07-01 2023-01-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Rrm测量配置确定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050134A1 (en) * 2021-09-29 2023-04-06 Nec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medium for communication
WO2024031480A1 (zh) * 2022-08-10 2024-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2136B (zh) * 2008-12-23 2013-03-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双模移动终端的管理方法
US8780729B2 (en) * 2010-05-03 2014-07-15 Nokia Corporation Monitoring pattern separation between component carriers based on user equipment RF layout
CN102378250B (zh) * 2010-08-23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优先业务的处理方法和系统
CN102487541A (zh) * 2010-12-06 2012-06-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ue省电的方法和系统
WO2012145905A1 (zh) * 2011-04-28 2012-11-01 富士通株式会社 工作状态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2843208B (zh) * 2011-06-20 2017-03-2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对上行不连续发射状态的控制方法、系统及装置
CN102395180A (zh) * 2011-06-30 2012-03-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drx控制方法及设备、处理方法及设备
CN102595606B (zh) * 2012-01-31 2015-08-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配置和执行非连续接收的方法、系统和设备
US8797911B2 (en) * 2012-02-21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3379593B (zh) * 2012-04-26 2019-08-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节电方法及终端节电装置及网络侧节电装置
US8874103B2 (en) * 2012-05-11 2014-10-28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proximity of user equipment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485728B1 (en) * 2012-05-15 2016-11-01 Marvell International Ltd. Power saving with WNM-sleep mode
WO2013189508A1 (en) * 2012-06-20 2013-12-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resource control technique
CN103582087B (zh) * 2012-07-20 2017-05-31 华为终端有限公司 非连续接收参数配置方法、数据发送方法及设备
CN103582113B (zh) * 2012-08-10 2017-06-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非连续接收维护方法和设备
EP2983420A4 (en) * 2013-04-05 2016-08-24 Kyocera Corp BASE STATION
CN103259939B (zh) * 2013-04-12 2015-02-18 北京创毅讯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休眠方法及终端
CN105144768B (zh) * 2013-04-26 2019-05-21 英特尔Ip公司 频谱共享情境中的共享频谱重新分配
US9374780B2 (en) 2013-07-15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for RAN-WLAN integration
US9564958B2 (en) * 2013-08-08 2017-02-07 Intel IP Corporation Power saving mode optimizations and related procedures
US9650794B2 (en) 2013-08-08 2017-05-16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teering data radio bearer traffic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ink
ES2716903T3 (es) * 2013-08-08 2019-06-17 Intel Ip Corp Método, aparato y sistema para ajuste de inclinación hacia abajo eléctrica en un sistema de múltiple entrada múltiple salida
US9499995B2 (en) 2013-08-08 2016-11-22 Intel IP Corporation Coverage extension level for coverage limited device
CN105493536B (zh) 2013-08-08 2020-06-26 苹果公司 针对lte网络的移动性状态估计框架的系统和方法
US9473276B2 (en) 2013-08-08 2016-10-18 Intel IP Corporation Cooperative multiple beam transmission
EP3031295B1 (en) 2013-08-08 2019-02-20 Intel IP Corporation Network management
CN105379316A (zh) 2013-08-08 2016-03-02 英特尔Ip公司 用于覆盖有限设备的覆盖扩展水平
US9681354B2 (en) 2013-08-08 2017-06-13 Intel IP Corporation Signaling radio bearer optimizations and other techniques for supporting small data transmissions
US9608710B2 (en) 2013-08-08 2017-03-28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4602327A (zh) 2013-10-30 2015-05-06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供电的方法和无线终端
CN103889039B (zh) * 2014-04-18 2017-05-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基于非连续接收功能的省电方法及设备
JP6174249B2 (ja) * 2014-05-15 2017-08-0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6050075A1 (zh) 2014-09-30 2016-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发起方法、系统及终端设备的状态处理方法和相关设备
US10405278B2 (en) * 2014-10-31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scheduling
KR20160143429A (ko) * 2015-06-05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15748B2 (en) * 2015-12-09 2018-07-0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051355B2 (en) * 2016-03-01 2021-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rrelation of user equipment identity to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request
WO2017206030A1 (zh) * 2016-05-30 2017-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US10334657B2 (en) * 2016-09-23 2019-06-25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onnection state of UE
WO2018084589A1 (ko) * 2016-11-03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베어러의 일시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604221B (zh) * 2016-11-18 2020-04-2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管理的方法、终端以及网络侧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201A1 (ko) * 2020-09-18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단말들 사이의 drx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19286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Twt 모드 또는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0268A (ja) 2021-04-15
RU2020125735A (ru) 2022-02-10
CN111512670A (zh) 2020-08-07
EP3731568A4 (en) 2021-01-27
CN111512670B (zh) 2023-08-25
SG11202006624WA (en) 2020-08-28
WO2019136645A1 (zh) 2019-07-18
AU2019206924A1 (en) 2020-08-27
US20200344691A1 (en) 2020-10-29
US11622331B2 (en) 2023-04-04
EP3731568A1 (en) 2020-10-28
WO2019136899A1 (zh) 2019-07-18
WO2019137341A1 (zh)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8309A (ko) 단말 기기 상태 결정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
US10412780B2 (en) Adapt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s using scheduling requests
EP36890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ual registration with multiple networks in one or mor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TWI574571B (zh) 可適性連接模式非連續接收管理
US10973076B2 (en) Fast switching between control channels dur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US20150230179A1 (en) Signaling qos requirements and ue power preference in lte-a networks
CA3063617C (en) Transi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20118726A1 (zh) 一种参数配置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
US11602007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319712A1 (en) Notification Support in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EP3720195B1 (en) Cell search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2021520700A (ja) 信号伝送方法および機器
WO2020164025A1 (zh) 状态转移的方法和设备
CN113950146B (zh) 一种寻呼方法和通信装置
CN112715038B (zh) 一种参数配置方法及装置、网络设备
EP3826405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102339953B1 (ko) 불연속 전송의 방법과 장치
WO2020118718A1 (zh) 一种配置参数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
US20240056975A1 (en) Power Saving Techniques for Network-Controlled Repeaters
WO2021169076A1 (zh) 信息上报方法、信息接收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WO2024098300A1 (zh) 一种传输配置信息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4503486A (zh) 一种测量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062223A (zh) 通信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