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001A -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001A
KR20200108001A KR1020207022200A KR20207022200A KR20200108001A KR 20200108001 A KR20200108001 A KR 20200108001A KR 1020207022200 A KR1020207022200 A KR 1020207022200A KR 20207022200 A KR20207022200 A KR 20207022200A KR 20200108001 A KR20200108001 A KR 2020010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terminal device
measurement repor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5Reselecting an access point involving beam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04W36/00725Random access channel [RACH]-less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서, 단말 기기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어어,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 리스(Random Access Channel Less,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handover)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source cell)로부터 타겟 셀(target cell)로 핸드오버되는 과정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target eNB)는 단말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업링크 리소스를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에 구성한다. 5세대 이동통신 기술 엔알(5-Generation New Radio, 5G NR)에서, 타겟 셀은 빔(beam) 통신을 지원할 수 있지만, 다수의 beam이 존재할 경우, 타겟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리소스와 beam이 관련되기 때문에, 단말 기기는 LTE 중의 RACH-less 프로세스에 따라 타겟 접속망 기기에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beam, 및 beam에서의 업링크 리소스를 결정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서, 단말 기기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어,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는 셀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되,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셀 핸드오버 방법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는 타겟 셀에 대한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 중의 빔 측정 정보에 따라,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어,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고,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ub frame, 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ystem Frame Number, 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는 기초 상에서,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시간 도메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소스 접속망 기기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소스 접속망 기기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빔 측정 정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커버리지 범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타겟 접속망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할 경우, 빔 측정 정보,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 및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타겟 셀의 빔의 커버리지 범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으로써,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을 보다 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는 셀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되,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측정 보고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임 -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셀 핸드오버 방법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는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 타겟 접속망 기기는 제2 측정 보고 중의 빔 측정 정보 또는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에 따라,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어,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고,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됨 - ; 및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SF 시퀀스 넘버, 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는 셀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되,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셀 핸드오버 방법에서, 단말 기기는 핸드오버 명령에 포함된,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어,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고,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3 양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SF 시퀀스 넘버, 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모듈 또는 유닛을 실행할 수 있는 접속망 기기를 제공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모듈 또는 유닛을 실행할 수 있는 접속망 기기를 제공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모듈 또는 유닛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접속망 기기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다른 망 요소와 통신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의해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접속망 기기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다른 망 요소와 통신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의해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접속망 기기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을 실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다른 망 요소와 통신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의해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가 상기 각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을 지시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기 각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핸드오버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핸드오버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핸드오버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셀 핸드오버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접속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5G NR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접속망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망 기기(110)는 단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접속망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기기(예를 들어, UE)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110)는 NR 시스템 중의 기지국(gNB)일 수 있거나,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거나, 또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접속망 기기(110)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120)는 이동할 수 있거나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사용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접속망 기기와 2개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고,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수의 접속망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접속망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접속과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문에서의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본문에서 흔히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문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이 밖에, 본문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셀 핸드오버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200)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망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2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200)에서의 소스 접속망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망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200)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200)은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210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는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소스 접속망 기기는 소스 셀을 서비스하고, 타겟 접속망 기기는 타겟 셀을 서비스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빔 측정 정보는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Beam D1의 측정값은 a이고, Beam D2의 측정값은 b이며, Beam D3의 측정값은 c이고, Beam D4의 측정값은 d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빔 측정 정보는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1. Beam D2;
2. Beam D1;
3. Beam D3;
4. Beam D4,
타겟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정보에 따라, Beam D2의 측정값 > Beam D1의 측정값 > Beam D3의 측정값 > Beam D4의 측정값인 것을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타겟 접속망 기기는 상기 정보에 따라, Beam D2의 측정값 < Beam D1의 측정값 < Beam D3의 측정값 < Beam D4의 측정값인 것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Xn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Xn 인터페이스는 소스 접속망 기기와 타겟 접속망 기기를 연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소스 접속망 기기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핵심망 기기는 AMF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접속망 기기와 핵심망의 인터페이스는 S1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NG 인터페이스는 접속망 기기(예를 들어, 소스 접속망 기기, 또는, 타겟 접속망 기기)와 핵심망 기기를 연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220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200)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SF 시퀀스 넘버, 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타겟 접속망 기기는,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하는 기반 하에,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의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200)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커버리지 범위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는 상기 빔 측정 정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커버리지 범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한다.
타겟 접속망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할 경우, 빔 측정 정보,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 및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타겟 셀의 빔의 커버리지 범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을 보다 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셀 핸드오버 방법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는 타겟 셀에 대한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 중의 빔 측정 정보에 따라,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어,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셀 핸드오버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은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망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에서의 단말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에서의 타겟 접속망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망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은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310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320에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는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는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전달하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측정 보고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는 상기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됨 - ; 및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은 방법(200)에서의 상응한 단계에 대응되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300)에서의 단계는 셀 핸드오버 방법(200)에서의 상응한 단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셀 핸드오버 방법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는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 타겟 접속망 기기는 제2 측정 보고 중의 빔 측정 정보 또는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에 따라,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어,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고,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셀 핸드오버 방법(4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40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망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400)에서의 소스 접속망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망 기기일 수 있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400)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며,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고,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400)은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41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생성하며,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42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단계43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44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SF 시퀀스 넘버, 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400)은 방법(200)에서의 상응한 단계에 대응되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400)에서의 단계는 셀 핸드오버 방법(200)에서의 상응한 단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셀 핸드오버 방법에서, 단말 기기는 핸드오버 명령에 포함된,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빔, 및 빔에서의 비인가 업링크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어, 셀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5G NR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40)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고, 소스 셀은 소스 접속망 기기(20)를 서비스하며, 타겟 셀은 타겟 접속망 기기(30)를 서비스하고,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인 과정은 방법(50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계501에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20)는 상기 단말 기기(40)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40)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단계502에서, 상기 단말 기기(40)는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생성하며,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40)는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보고는 Beam D1 및 Beam D2의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단계503에서, 상기 단말 기기(40)는 소스 접속망 기기(20)에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단계504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20)는 타겟 접속망 기기(30)에 상기 측정 보고를 전달한다.
단계505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20)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을 정렬하여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고, 소스 접속망 기기(20)는 타겟 접속망 기기(30)에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소스 접속망 기기(20)는 상기 단계504 또는 단계505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접속망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Xn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Xn 인터페이스는 소스 접속망 기기(20)와 타겟 접속망 기기(30)를 연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20) 측으로부터 전달한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핵심망 기기는 AMF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접속망 기기와 핵심망의 인터페이스는 S1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NG 인터페이스는 접속망 기기(예를 들어, 소스 접속망 기기, 또는, 타겟 접속망 기기)와 핵심망 기기를 연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506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40)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507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상기 단말 기기(40)가 상기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시간 도메인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SF 시퀀스 넘버, 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508에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는 소스 접속망 기기(20)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509에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20)는 상기 단말 기기(40)에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30)로부터 수신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전달한다.
단계510에서, 상기 단말 기기(40)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6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망 기기(600)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접속망 기기(600)는 통신 유닛(610) 및 처리 유닛(6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통신 유닛(610)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620)은,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한다.
상기 접속망 기기(600)는 방법(200)에서의 타겟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200)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7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망 기기(700)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접속망 기기(700)는 통신 유닛(71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통신 유닛(710)은,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710)은 또한,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는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전달하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측정 보고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이다.
상기 접속망 기기(700)는 방법(300)에서의 소스 접속망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방법(300)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8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800)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RACH-less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단말 기기(800)는 처리 유닛(810) 및 통신 유닛(8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 유닛(810)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생성하며,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820)은,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하며; 상기 통신 유닛(820)은 또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처리 유닛(810)은 또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900)의 하나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9의 시스템 온 칩(900)은 내부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입력 인터페이스(901), 출력 인터페이스(902), 상기 프로세서(903) 및 메모리(904)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903)는 상기 메모리(904) 중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903)는 방법(200)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903)는 방법(300)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903)는 방법(400)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10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1000)는 프로세서(1010) 및 메모리(10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020)에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1010)는 상기 메모리(10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1000)는 송수신기(103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10)는 송수신기(1030)가 외부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방법(200)에서의 타겟 접속망 기기의 상응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메모리(10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방법(300)에서의 소스 접속망 기기의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메모리(10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방법(400)에서의 단말 기기의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메모리(10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에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실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와 결합시켜 공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팅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팅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 설명으로서,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인핸스먼트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접속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랜덤 액세스 메모리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많은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전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토론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랜덤 액세스 메모리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출원에서 공개된 기술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42)

  1. 셀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스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며;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소스 접속망 기기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소스 접속망 기기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빔 측정 정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커버리지 범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2. 셀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스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측정 보고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됨 - ; 및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19. 셀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스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셀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핸드오버 방법.
  22. 접속망 기기로서,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스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상기 단말 기기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통신 유닛 -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구성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소스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0.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소스 접속망 기기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핵심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 상기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커버리지 범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3. 접속망 기기로서,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스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는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측정 보고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타겟 셀의 빔의 측정값 정렬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8.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망 기기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핵심망 기기에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메시지는 상기 제2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39. 제3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40. 단말 기기로서,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스 프로세스의 셀 핸드오버에 응용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며, 상기 타겟 셀은 멀티빔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셀을 측정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측정 보고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 - 상기 측정 보고는 빔 측정 정보를 포함함 - ; 및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빔의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상기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말 기기의 시간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중 각각의 빔에서의 업링크 비인가 리소스는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는 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빔의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서브 프레임(SF) 시퀀스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범위 및 시간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KR1020207022200A 2018-01-09 2018-01-09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200108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1982 WO2019136611A1 (zh) 2018-01-09 2018-01-09 小区切换的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001A true KR20200108001A (ko) 2020-09-16

Family

ID=6721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200A KR20200108001A (ko) 2018-01-09 2018-01-09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44651A1 (ko)
EP (1) EP3739936B1 (ko)
JP (1) JP2021514567A (ko)
KR (1) KR20200108001A (ko)
CN (1) CN111557108A (ko)
AU (1) AU2018402046A1 (ko)
WO (1) WO2019136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8038B (zh) * 2017-04-18 2023-03-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及装置、第一无线接入网设备
EP3925093A1 (en) * 2019-02-13 2021-12-22 Sony Group Corporation Network entity, user equipment, and method
EP3881633B1 (en) * 2019-02-13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sga retransmissions during 2 step random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000235A1 (zh) * 2021-07-21 2023-0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处理方法及装置
CN116419353A (zh) * 2021-12-30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5857U (en) * 2001-11-29 2004-06-21 Us 091219345
CN103096372B (zh) * 2011-11-02 2016-04-0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在切换过程中计算波束成形因子的方法与设备
US10264478B2 (en) * 2011-12-16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reliability in millimeter wave wideband communications
KR20130125903A (ko) * 2012-05-10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955061A (zh) * 2014-03-28 2015-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选择方法及基站
EP3443775B1 (en) * 2016-04-12 2021-04-21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continued data transmission during handover operations
US10772045B2 (en) * 2016-05-01 2020-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RACH-less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4567A (ja) 2021-06-10
CN111557108A (zh) 2020-08-18
US20200344651A1 (en) 2020-10-29
AU2018402046A1 (en) 2020-08-13
EP3739936A1 (en) 2020-11-18
EP3739936A4 (en) 2020-12-30
EP3739936B1 (en) 2022-03-02
WO2019136611A1 (zh)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8001A (ko) 셀 핸드오버 방법, 접속망 기기 및 단말 기기
CN110831020B (zh) 检测dci的方法、配置pdcch的方法和通信装置
JP2020502836A (ja) ビーム測定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2021001486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ource node and target node
KR102444898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US11356930B2 (en) System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apparatus
CN112929894B (zh) 用于波束测量的方法和网络设备
CN111148187A (zh) 通信方法和装置
CN111867057A (zh) 通信方法、装置和系统
US20210282176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109799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terminal context
JP7142117B2 (ja) ビーム測定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機器
KR20230047891A (ko)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방법 및 장치
CN117793855A (zh) 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4599120A (zh) 终端rrc连接恢复的方法和装置
WO2019061370A1 (zh) 信号传输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