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532A -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532A
KR20200107532A KR1020190026785A KR20190026785A KR20200107532A KR 20200107532 A KR20200107532 A KR 20200107532A KR 1020190026785 A KR1020190026785 A KR 1020190026785A KR 20190026785 A KR20190026785 A KR 20190026785A KR 20200107532 A KR20200107532 A KR 2020010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tent data
information
ev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914B1 (ko
Inventor
박상욱
김체호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9002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9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협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컬래버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컬래버레이션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컬래버레이션 서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컬래버레이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판서 데이터 및 교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주기적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하나에 입력된 복수의 점 좌표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다른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점 좌표들의 불연속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 좌표들을 복수의 판서 데이터들로 순차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COLLABORATION METHOD BASED ON CONTENT DATA}
본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 생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점들의 좌표 값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방법, 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의 구조 및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칠판에 분필로 판서를 하며 말로만 진행되었던 수업은, 각종 전자장비들이 동원되어 스마트한 수업으로 탈바꿈되고 있다. 전자장비가 동원된 수업은 수업에 필요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자료를 쉽게 연출할 수 있고, 수업중에 바로 웹서핑을 통해,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어 수강자들의 이해를 수월하게 한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로 수업을 녹화해서 수강자가 언제든지 수업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고, 수업에 참여하지 못해도, 녹화된 수업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으며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발달로 특히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수강할 수 있게 되었다.
여러 가지 학습자료 중 특히, 전자칠판은 강의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증대시키는 전자 펜으로 쓸 수 있는 칠판으로 태블릿이 대형화된 형태와 유사하다.
한편, 전자칠판은 판서(또는, 판서된 문자, 도형 등)을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거나, 판서된 내용에 포함된 점좌표들 만을 저장하고 있다. 판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는 경우, 판서 데이터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클 뿐만 아니라 판서의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해 판서가 선명하게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며, 판서 데이터가 점좌표들만을 포함하는 경우, 문자, 도형의 편집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30,476호(2015.16.19.공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378,318호(2014.03.28.공고)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0,764,312호(2007.10.05.공고) 네트워크 회의 시스템, 참석 인증 방법 및 프레젠테이션 방법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편집 및 관리가 용이한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편집 및 관리가 용이한 콘텐츠 데이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협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컬래버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컬래버레이션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컬래버레이션 서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컬래버레이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판서 데이터 및 교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주기적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하나에 입력된 복수의 점 좌표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다른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점 좌표들의 불연속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 좌표들을 복수의 판서 데이터들로 순차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헤더(header), 콘텐츠 데이터, 테일(tail) 및 블록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블록 사이즈 정보는 상기 헤더의 사이즈, 상기 콘텐츠의 사이즈, 상기 테일의 사이즈의 총 합을 포함하며, 고정 길이(fixed lengt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해 판서 권한 및 툴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서 권한이 부여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점 좌표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툴 사용 권한이 부여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점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판서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을 허용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판서 데이터들에 대한 수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래버레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컬래버레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컬래버레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5b의 콘텐츠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속성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수행하는 권한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래버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컬래버레이션 방법에서 사용되는 패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래버레이션 시스템(또는, 콘텐츠 데이터 생성 시스템, 콘텐츠 데이터 생성 장치)은 복수의 점들(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스크린 상에 순차적으로 포인팅된 점들, 또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감지/입력된 점들)에 기초하여 이벤트 객체(예를 들어, 문자 객체)를 설정하고,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을 계층화하여 이벤트 객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컬래버레이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호스트 단말(또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판서/툴 권한을 가진 단말에서 감지된 점들(또는, 점들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파하는 방식으로 컬래버레이션 또는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의 구조 및 컬래버레이션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래버레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의 컬래버레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b는 도 1의 컬래버레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또는, 콘텐츠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서버(110)(또는, 콘텐츠 데이터 생성 장치, 호스트 단말), 표시 장치(120), 센싱 장치(130) 및 사용자 단말들(140-1 내지 140-7)(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은 전자펜(10) 및 스크린(20)을 포함할 수 있다.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은 전자펜(10)(예를 들어, 비가시 적외선을 발산하는 펜)에서 발산되어 스크린(20)(또는, 표시 영역, 제1 영역) 상에 포인팅 된 적외선 포인트들을 센싱 장치(130)(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스크린(20)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준 좌표계에 기초하여 적외선 포인트들에 대한 복수의 좌표 정보들을 생성하며, 좌표 정보들 중에서 상호 연속적으로 제공된 연속 좌표 정보들을 이벤트 객체로 설정하고,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또는, 점들의 좌표 정보들)을 계층화하여 이벤트 객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 좌표 정보들은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또는, 센싱 장치(130))의 센싱 주기(예를 들어, 10ms)에 대응하여 시간적으로 상호 연속적으로 생성/감지/입력된 좌표 정보들일 수 있다.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는 이벤트 객체의 이벤트 종류(또는, 유형), 이벤트 발생시 관련 데이터의 정보(예를 들어,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진행 시간) 등을 포함하고, 이벤트 객체의 세부 정보는 이벤트 객체의 시작점 좌표, 종료점 좌표, 크기(예를 들어, 높이, 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의 계층화는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을 상호 독립적으로 저장하되, 상기 정보들을 상호 연관시키는 것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콘텐츠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은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을 트리 구조로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의 구조 및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110)는 프레젠테이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장치(120)에 제공하고, 센싱 장치(130)로부터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점들의 정보(예를 들어, 판서된 문자, 도형 등을 구성하는 점들의 좌표 정보, 좌표 값들)를 획득하며, 점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젠테이션 영상 데이터는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영상 데이터로,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 진행에 기본적으로 사용/제공되는 데이터, 교안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생성/갱신되는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판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패드, 스마튼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20)는 프레젠테이션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젠테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스크린(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20)는 빔 프로젝터로 구현되거나, 스크린(2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장치, OLED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 장치(130)는 전자펜(10)으로부터 발산되어 스크린(20)에 포인팅되는 적외선 점들(예를 들어, 비가시 적외선이 포인팅된 점)을 감지하여 적외선 영상을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장치(130)는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적외선 점들의 정보(예를 들어, 좌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점들의 정보는 스크린(20)을 기준으로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값 및 감지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10)가 빔 프로젝터로 구현되는 경우 센싱 장치(130)는 적외선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표시 장치(110)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센싱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들(140-1 내지 140-7) 중 적어도 하나(이하, 제1 사용자 단말(140-1)이라 함)는 스마트 패드로 구현될 수 있고, 처리 모듈(210), 디스플레이 모듈(220) 및 터치 스크린(230)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버(110) 및 표시 장치(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터치 스크린(823)은,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과 같이, 정전식 터치 입력 기술, 감압식 터치 입력 기술 등을 이용하여 전자펜(10)을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점들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또는, 서버(110), 사용자 단말들(140-1 내지 140-7))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점들 중에서 상호 연속적인 연속 좌표 점들을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설정하고,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을 계층화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가 계층화되어 저장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관리, 편집 등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f는 도 5b의 콘텐츠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속성들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수행하는 권한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생성 장치(300)(또는, 서버(110))는 통신부(310), 좌표 정보 획득부(320), 연산부(340), 저장부(350), 사용자 관리부(360) 및 제어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생성 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들(140-1 내지 140-7)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표시 장치(120), 센싱 장치(13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적외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다른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좌표 정보 획득부(320)는 센싱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외선 점들의 정보(예를 들어, 좌표값)를 산출할 수 있다. 적외선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외선 점들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비가시 레이저를 이용한 가상 체험 시스템의 레이저 포인팅 점의 좌표 산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또한, 터치 입력 방식의 터치 입력점의 좌표 산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에서 좌표 정보 획득부(320)가 콘텐츠 생성 장치(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좌표 정보 획득부(32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표 정보 획득부(320)는 센싱 장치(130)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30)는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PAL)와 판서 영역(또는, 판서 입력이 허용되는 판서 입력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메뉴(PAL)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을 가지고 특정 위치(예를 들어, 화면의 상단, 우측 하단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메뉴(PAL)는 제1 내지 제 7 아이콘들(M1 내지 M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아이콘(M1)을 통해 가상 펜의 종류(예를 들어, 펜, 붓 등)을 선택하고, 제2 아이콘(M2)을 통해 입력할 도형의 종류를 선택하며, 제3 아이콘(M3)을 통해 가상 펜의 속성(예를 들어, 색상, 굵기 등)을 선택하고, 제4 아이콘(M4)을 통해 지우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5 아이콘(M5)을 통해 화면(또는, 노트)를 전환하고, 제6 아이콘(M6)을 통해 이벤트 객체(예를 들어, 특정 문자)를 선택하며, 제7 아이콘(M6)을 통해 이벤트 객체, 특정 영역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판서 영역을 통해 점들(또는, 점들로 구성된 문자, 도형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콘텐츠 생성 장치(300)는 점들(또는, 점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 연속된 점들(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단위로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연산부(340)는 좌표 정보 획득부(320)에서 산출된 점들 중에서 상호 연속적으로 제공된 연속 좌표점들(또는, 연속 좌표 정보들)을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설정하고,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을 계층화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연산부(340)는 연속 좌표 정보들의 생성 시점 정보들(또는, 감지된 시간 정보) 및 연속 좌표 정보들을 대응시켜 콘텐츠 데이터의 제3 레벨 영역에 저장하고, 이벤트 객체의 세부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의 제2 레벨 영역에 저장하며,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의 제1 레벨 영역에 저장하며, 이벤트 객체의 식별자(또는, 이벤트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레벨 영역들에 저장된 정보들을 상호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340)는 콘텐츠 데이터를 XML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콘텐츠 데이터는, 제1 테이블(TABLE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마스터(event master; EM)(또는, 기본 정보), 이벤트 디테일(event detail; ED)(또는, 세부 정보), 이레이즈 포인트(erase point; EP)(또는, 삭제 정보), 모디파이 이벤트(modify event; ME)(또는, 변경 정보), 프리 포인트(free point; FP)(또는, 포인트 정보) 및 노트(Notes)(또는, 노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마스터(EM)은 이벤트 식별자(EventId) 및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벤트 디테일(ED)은 이벤트 식별자(EventId)와 연결되어, 이벤트 객체의 세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레이즈 포인트(EP)는 이벤트 디테일(ED)의 삭제 유무(deleted)를 조건으로 이벤트 식별자(EventId)와 연결되어, 지우개(예를 들어, 이벤트 객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우는데 사용되는 자유 지우개로, 도 4a에 도시된 제4 아이콘(M4))를 통한 삭제시, 좌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모디파이 이벤트(ME)는 이벤트 디테일(ED)의 수정 유무(modify)를 조건으로 이벤트 식별자(EventId)와 연결되어, 이벤트 객체에 대한 변경 정보(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 점에 대한 수정, 확대/축소 등)(또는, 변경 이벤트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프리 포인트(FP)는 이벤트 식별자(EventId)와 연결되어, 펜 판서(또는, 점들)에 대한 좌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노트(Notes)는 교안(또는,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파일명 및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벤트 마스터(EM)는, 제2 테이블(TABLE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종류를 나타내는 이벤트 종류 정보(KD), 이미지 인덱스(또는, 이미지 식별자)를 나타내는 이미지 인덱스 정보(SD), 이벤트 객체와 연동되는 미디어의 재생 시점 정보(MP), 이벤트 인덱스(또는, 이벤트 식별자)를 나타내는 이벤트 인덱스 정보(EI), 노트의 확대/축소시 사용되는 확대 비율을 나타내는 확대 비율 정보(SC), 노트의 수직 스크롤 위치를 나타내는 수직 스크롤 위치 정보(VS), 노트의 수평 스크롤 위치를 나태는 수평 스크롤 위치 정보(HS) 및 멀티 입력에 대한 멀티 입력 인덱스 정보(T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들(KD 내지 TI)은 정수 또는 실수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벤트 디테일(ED)은, 제3 테이블(TABLE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인덱스 정보(EI), 이벤트 객체의 시작점 좌표 정보(SX, SY), 이벤트 객체의 종료점 좌표 정보(EX, EY), 이벤트 객체의 영역 정보(OX, OY, OW, OH), 이벤트 객체의 이동/변경시 이동/변경된 이벤트 객체의 영역 정보(BX, BY, BW, BH), 이벤트 객체의 색상 정보(PC), 이벤트 객체의 굵기 정보(PW)(또는, 펜 굵기 정보), 이벤트 객체의 삭제 유무를 나타내는 이벤트 삭제 정보(BD), 이벤트 객체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투명도 정보(TP), 이벤트 객체에 대한 수정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수정 발생 정보(M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디테일(ED)은 점들의 입력 방식으로서 타블렛 입력의 유무를 나타내는 타블렛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디테일(ED)에 포함된 상기 정보들(EI 내지 BT)는 정수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벤트 마스터(EM)와 이벤트 디테일(ED)는 이벤트 인덱스 정보(EI)를 통해 연관될 수 있다.
이레이즈 포인트(EP)는 제4 테이블(TABLE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인덱스 정보(EI), 이벤트 객체의 생성 시간을 나타내는 이벤트 생성 시간 정보(MP) 및 삭제 이벤트 종류 정보(E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레이즈 포인트(EP)에 포함된 상기 정보들(EI 내지 EK)는 정수 또는 실수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프리 포인트(FP)는, 제5 테이블(TABLE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인덱스 정보(EI), 이벤트 생성 시간 정보(MP), 마우스(즉, 입력 장치의 일 유형으로서, 마우스)에 의해 마우스 이벤트 식별값(MS), 타블렛 펜(즉, 입력 장치의 일 유형으로서, 타블렛 펜)의 압력값(PS) 및 이벤트 객체의 시작점 정보(SX, S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포인트(FP)에 포함된 상기 정보들(EI 내지 SY)는 정수 도는 실수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모디파이 이벤트(ME)는, 제6 테이블(TABLE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인덱스 정보(EI), 미디어의 재생 시점 정보(MP), 이벤트 종류 정보(KD), 수정 이벤트 종류 정보(MK), 이동/변경된 이벤트 객체의 시작점 정보(MX, MY), 이동/변경된 이벤트 객체의 종료점 정보(CX, CY), 이동/변경된 이벤트 객체의 영역 정보(BX, BY, BW, BH), 이미지 인덱스 정보(SD) 및 이벤트 객체의 회전 각도 정보(AG)를 포함할 수 있다. 모디파이 이벤트(ME)에 포함된 상기 정보들(EI 내지 AG)는 정수 또는 실수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연산부(340)(또는, 콘텐츠 생성 장치(300))는 판서 데이터(즉, 점들로 구성된 문자, 도형 등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도 5a 내지 도 6f에 도시된 구조체 형태로 저장하되, 판서 데이터에 대한 좌표 정보들뿐만 아니라, 이동/확대/축소/회전/삭제 등에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발생한 시점 등을 최적화하여 저장함으로써, 판서 데이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콘텐츠 데이터는 약 10초 동안 판서된 숫자 1 내지 10에 대한 판서 데이터(예를 들어, XML 파일 형태의 판서 데이터)를 나타내며, 일반적인 벡터 방식의 데이터 구조에 비해 저장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종래의 경우, 251KB -> 본 발명의 경우 25KB).
일 실시예에서, 연산부(340)는 특정 시간 내에 생성된 2개의 이상의 이벤트 객체들이 상호 중첩되는 경우, 2개 이상의 이벤트 객체들을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통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숫자 "4"의 경우, "ㄴ" 형태의 제1 이벤트 객체(OBJ1)와 "1" 형태의 제2 이벤트 객체(OBJ2)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부(340)는 제1 이벤트 객체(OBJ1) 및 제2 이벤트 객체(OBJ2) 각각의 이벤트 영역 정보(OX, OY, OW, OH) 등에 기초하여 제1 이벤트 객체(OBJ1) 및 제2 이벤트 객체(OBJ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호 중첩되는 경우, 제1 이벤트 객체(OBJ1) 및 제2 이벤트 객체(OBJ2) 각각의 이벤트 마스터(EM)의 재생 시점 정보(MP) 등에 기초하여 제1 이벤트 객체(OBJ1) 및 제2 이벤트 객체(OBJ2)가 특정 시간 간격 내에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특정 시간 간격 내에 생성된 경우 제1 이벤트 객체(OBJ1) 및 제2 이벤트 객체(OBJ2)를 통합하여 제3 이벤트 객체(OBJ3)를 생성하거나, 제1 이벤트 객체(OBJ1)를 수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ㄷ"에 포함된 이벤트 이벤트 객체들도 그 영역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호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문자 "ㄷ"은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문자 "ㅁ"도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산부(340)는 이벤트 영역 정보(OX, OY, OW, OH)에 기초하여 이벤트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문자 "d"를 선택하기 위해 원형으로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문자 "d"의 일부가 포함되지 않거나, 문자 "e"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연산부(340)는 이벤트 영역 정보(OX, OY, OW, OH) 중 이벤트 영역 좌표값(OX, OY)(예를 들어, 이벤트 영역의 중심점)이 선택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고, 이벤트 영역 좌표값(OX, OY)가 포함된 이벤트 객체만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d"만이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350)는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예를 들어, 교안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판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및 컬래버레이션(또는, 프레젠테이션)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34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은 콘텐츠 생성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50)는 메모리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생성 프로그램 등은 별도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 CD 등)에 저장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배포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60)는 컬래버레이션(또는, 프레젠테이션)에 참여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에게 컬래버레이션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컬래버레이션 권한은 판서 권한 및 툴 사용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는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관리부(360)는 사용자 단말들 중 제1 사용자 단말(140-1)(또는, 제1 사용자 단말(140-1)을 사용하는 제1 사용자)에게 판서 권한 및 툴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40-1)에 판서 권한이 부여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40-1)에서 입력된 점 좌표들(또는, 판서 데이터)는 서버(110)에 전송되며, 서버(11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들(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40-2))에 전송/배포되고, 서버(110)(또는, 제1 사용자 단말(140-1))는 점 좌표들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40-1)에 툴 사용 권한이 부여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40-1)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메뉴(PAL)를 이용하여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또는, 콘텐츠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인테페이스 제공부(330)는 사용자 단말들(140-1 내지 140-7)의 컬래버레이션 권한 설정 및 현황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공부(330)는 화면의 일측(예를 들어, 우측)에 권한 설정창(AR1)을 제공하고, 권한 설정창(A1)에는 서버(Server), 제1 사용자(User) 등의 권한 부여 상태가 표시되고, 사용자(또는, 서버 사용자, 관리자)는 클릭(click)과 같은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거나 해제(또는, 회수)할 수 있다. 권한 설정창(AR1)은 제1 아이콘(IC1)을 통해 보이기/숨기기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부(330)는 해당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판서 권한 및 툴 사용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를 메뉴(PAL)의 제2 및 제3 아이콘들(IC2, IC3)을 통해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70)는 통신부(310), 좌표 정보 획득부(320), 연산부(340), 저장부(350) 및 사용자 관리부(36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이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생성 장치(300)(또는,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는 판서 데이터(즉, 점들로 구성된 문자, 도형 등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구조체 형태로 저장하되, 판서 데이터에 대한 좌표 정보들뿐만 아니라, 이동/확대/축소/회전/삭제 등에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발생한 시점 등을 최적화하여 저장함으로써, 판서 데이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생성 장치(300)(또는,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는 사용자 별로 판서 권한 및 툴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의 수정, 삭제 등을 방지하고, 원할한 프레젠테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은 도 1의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 또는 도 3의 콘텐츠 생성 장치(300)(또는, 서버(110), 사용자 단말들(140-1 내지 140-7))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방법은 전자펜(10)에서 스크린(20) 상에 레이저가 발산되면(S810), 적외선 카메라(130)를 통해 스크린(20) 상에 포인팅된 레이저 포인트를 센싱할 수 있다(S820). 예를 들어, 도 8의 방법은 전자펜(10)에서 발산되어 스크린(20)(또는, 제1 영역) 상에 포인팅 된 적외선 포인트들을 적외선 카메라(130)를 통해 주기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도 8의 방법은 레이저 포인트의 점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도 8의 방법은 스크린(20)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준 좌표계에 기초하여 적외선 포인트들에 대한 좌표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도 8의 방법은 적외선 포인트가 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또는, 판서 데이터, 예를 들어, 제2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840), 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 연속 좌표 정보들에 기초하여 이벤트 객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제1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며(S850), 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 좌표 정보들에 기초하여 이벤트 객체 또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S860).
일 실시예에서, 도 8의 방법은 좌표 정보들 중에서 상호 연속적으로 제공된 연속 좌표 정보들을 하나의 이벤트 객체(예를 들어, 제1 이벤트 객체)로 설정하고,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을 계층화하여 이벤트 객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방법(또는, 도 8의 방법)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점의 정보(예를 들어, 점 좌표)를 실시간으로 기록하되(S910), 해당 점이 종료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0). 예를 들어, 특정 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내에 다음 점(next point)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도 8의 방법은 특정 점을 종료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점이 종료점인 경우, 도 8의 방법은 특정 점(예를 들어, 시작점)부터 종료점까지 기록된 점들(또는, 연속 좌표 점들)을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설정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프리 포인트(FP)에 저장할 수 있다(S930). 예를 들어, 도 8의 방법은 연속 좌표 정보들의 생성 시점 정보들(또는, 재생 시점 정보(MP) 및 좌표 정보들(예를 들어, 시작점 좌표 정보(SX, SY)로, 점의 경우 시작점 좌표 정보만을 가짐)을 대응시켜 콘텐츠 데이터의 제3 레벨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의 방법은 이벤트 객체의 세부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S940). 예를 들어, 도 8의 방법은 연속 좌표 정보들에 기초하여 이벤트 객체의 이벤트 디테일(ED)에 포함된 정보들을 생성하고, 콘텐츠 데이터의 제2 레벨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도 8의 방법은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로서 이벤트 마스터(EM)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S950). 예를 들어, 도 8의 방법은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의 제1 레벨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 생성 방법은, 순차적으로 감지한 점들 중에서 상호 연속적인 연속 좌표 점들을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생성하되, 이벤트 객체의 기본 정보, 세부 정보 및 좌표 정보들을 계층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래버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방법은 도 1의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호스트 단말(1010) 및 클라이언트 단말(1020)는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버(110) 및 제1 사용자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들(140-1 내지 140-7)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도 10의 방법은, 외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2차원 평면 상의 좌표 정보들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도 10의 방법은 호스트 단말(1010)에 서버(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등을 주체적으로 생성/처리/저장하는 프레젠테이션 서버)를 생성하고(S1010), 클라이언트 단말(1020)의 서버에 대한 접속을 시도 또는 허용할 수 있다(S1020). 여기서, 클라이언트 접속은 별도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을 주최하는 제1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버 생성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를 생성하고, 프레젠테이션에 참석하는 제2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는 아이피(IP) 및 패스워드(PW)을 통해 클라이언트 접속을 시도할 수 있으며, 아이피(IP)는 서버의 주소에 해당하고, 패스워드(PW)는 허용되지 않는 사용자의 접속을 제한하기 위해 서버에 설정된 패스워드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0)을 통해 입력된 아이피(IP)에 대응하는 서버에 패스워드(PW)가 전송되고(S1025), 도 10의 방법은 패스워드(PW)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하여(S1030), 사용자의 서버에 대한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20)의 서버에 대한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도 10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S1040). 여기서, 클라이언트 레벨은 프레젠테이션에서 해당 사용자의 권한 레벨을 나타내며, 권한 레벨에 따라 도 3,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판서 권한, 툴 사용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레벨은 판서 권한, 툴 사용 권한 등 컬래보레이션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컬래보레이션(또는, 프레젠이션)과 관련하여 일부 기능들에 대한 제한 등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0 레벨(Lv0)는 협업 기능, 즉, 컬래보레이션(또는, 프레젠테이션)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경우에 해당 할 수 있다. 제1 레벨(Lv1)은 판서 권한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제1 레벨(Lv1)의 사용자는 프레젠테이션을 참관만 할 수 있다. 제2 레벨(Lv2)는 판서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제1 레벨(Lv1)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판서는 직간접적으로 서버 및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배포될 수 있다. 제3 레벨(Lv3)은 서버의 생성, 실행 등의 모든 권한을 가진 경우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제3 레벨(Lv3)은 서버를 호스트 단말(1010)에만 부여되며, 판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레벨(Lv2)은 제3 레벨(Lv3)인 호스트 단말(1010)을 통해 부여되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 중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만 부여되며, 나머지 클라이언트 단말들은 제1 레벨(Lv1)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1010) 및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만이 판서 권한을 가지며, 양방향 판서, 호스트 단말(1010) 및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만 각각에서 생성된 판서는 실시간으로 동시에 배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호스트 단말(1010)에서 설정된 그리기 속성(펜, 붓펜, 도형)과는 다른 그리기 속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굵기, 색상 등의 속성 등도 독립적으로 가질 수 있다.
한편, 툴 사용 권한은 호스트 단말(1010) 또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즉, 제2 레벨(Lv2)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1010)의 제2 레벨(Lv2)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툴 사용 권한을 넘겨 주거나 다시 가져올 수 있으며, 툴 사용 권한에 따라 호스트 단말(1010) 또는 제2 레벨(Lv2)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이벤트 객체를 수정(예를 들어, 삭제, 이동, 회전, 확대, 축소) 및 노트 전환(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의 배경이 되는 화면 등에 대한 전환)을 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1020)의 접속 승인과 함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예를 들어, 교안 데이터 및 판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클라이언트 단말(1020)에 제공할 수 있다(S1050).
도 10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1020)을 통해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예를 들어, 교안 데이터 및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1060).
이후, 도 10의 방법은, 호스트(1010) 또는 판서 권한을 가진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생성/제공된 데이터(예를 들어, 점 좌표 정보들)가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1020)에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하고(S1070), 클라이언트 단말(1020)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 할 수 있다(S1080).
한편, 도 10의 방법은 호스트 단말(1010)에 제공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점 좌표 정보들)의 불연속 구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복수의 이벤트 객체들로 구분하고, 이벤트 객체들 각각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또는, 판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불연속 구간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연속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컬래버레이션 시스템(100)의 센싱 주기(10ms)를 초과하여 좌표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시간(또는,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10의 방법은 점들 중 연속 점들을 하나의 이벤트 객체로 설정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8의 방법 및 도 9의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컬래버레이션 방법에서 사용되는 패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도 10의 방법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패킷(또는, 패킷 구조)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패킷은 헤더(header), 콘텐츠 데이터, 테일(tail) 및 블록 사이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사이즈 정보는 헤더의 사이즈, 콘텐츠의 사이즈, 테일의 사이즈의 총 합을 포함하며, 고정 길이(fixed length)를 가질 수 있다. 헤더는 프로토콜의 종류(또는, 유형)를 나타내는 문자로 구성되고, 테일은 프로토콜을 끝을 알려주는 문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헤더는, 문자 전송을 의미하는 DOC_ST, 문자 전송의 끝을 알리는 DOC_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에 포함된 프로토콜의 유형은 도 11b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필기 인식 장치, 컬래버레이션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컬래버레이션 시스템
110: 서버
120: 표시 장치
130: 센싱 장치
140-1 내지 140-7: 사용자 단말들
210: 처리 모듈
220: 디스플레이 모듈
230: 터치 스크린
300: 콘텐츠 생성 장치
310: 통신부
320: 좌표 정보 획득부
330: 인터페이스 제공부
340: 연산부
350: 저장부
360: 사용자 관리부
370: 제어부
1010: 호스트 단말
1020: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3)

  1.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협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컬래버레이션 방법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컬래버레이션 서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컬래버레이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판서 데이터 및 교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주기적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하나에 입력된 복수의 점 좌표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다른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점 좌표들의 불연속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 좌표들을 복수의 판서 데이터들로 순차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래버레이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헤더(header), 콘텐츠 데이터, 테일(tail) 및 블록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블록 사이즈 정보는 상기 헤더의 사이즈, 상기 콘텐츠의 사이즈, 상기 테일의 사이즈의 총 합을 포함하며, 고정 길이(fixed lengt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래버레이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해 판서 권한 및 툴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서 권한이 부여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점 좌표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툴 사용 권한이 부여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점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판서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을 허용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판서 데이터들에 대한 수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래버레이션 방법.
KR1020190026785A 2019-03-08 2019-03-08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 KR10216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785A KR102162914B1 (ko) 2019-03-08 2019-03-08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785A KR102162914B1 (ko) 2019-03-08 2019-03-08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532A true KR20200107532A (ko) 2020-09-16
KR102162914B1 KR102162914B1 (ko) 2020-10-20

Family

ID=7267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785A KR102162914B1 (ko) 2019-03-08 2019-03-08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9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428A (ja) * 2002-08-06 2004-03-04 Ricoh Co Ltd 会議支援用共用端末、会議支援プログラム、記憶媒体、会議支援方法及び会議室支援システム
KR100764312B1 (ko) 2000-05-19 2007-10-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네트워크 회의 시스템, 참석 인증 방법 및 프리젠테이션 방법
JP2009054134A (ja) * 2007-07-31 2009-03-12 Ricoh Co Ltd コンピュータ、上書情報処理装置、上書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電子会議方法
JP2010154089A (ja) * 2008-12-24 2010-07-08 Fuji Xerox Co Ltd 会議システム
KR101378318B1 (ko) 2012-06-22 2014-03-28 주식회사 라온옵틱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1530476B1 (ko) 2014-02-17 2015-06-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312B1 (ko) 2000-05-19 2007-10-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네트워크 회의 시스템, 참석 인증 방법 및 프리젠테이션 방법
JP2004072428A (ja) * 2002-08-06 2004-03-04 Ricoh Co Ltd 会議支援用共用端末、会議支援プログラム、記憶媒体、会議支援方法及び会議室支援システム
JP2009054134A (ja) * 2007-07-31 2009-03-12 Ricoh Co Ltd コンピュータ、上書情報処理装置、上書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電子会議方法
JP2010154089A (ja) * 2008-12-24 2010-07-08 Fuji Xerox Co Ltd 会議システム
KR101378318B1 (ko) 2012-06-22 2014-03-28 주식회사 라온옵틱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1530476B1 (ko) 2014-02-17 2015-06-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914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 et al. A survey of large high-resolution display technologie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US10620898B2 (en) Method to exchange visual elements and populate individual associated displays with interactive content
EP2701152B1 (en) Media object browsing in a collaborative window, mobile client editing, augmented reality rendering.
CN104813265A (zh) 交互式白板共享
US100677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a shared digital virtual “absolute” canvas
JP603597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AU2014312481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JP599128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903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462638B2 (ja) 電子情報ボード、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1954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group creation in a collaboration framework
US20190332762A1 (en) Method for recording stroke data made on a touch sensitive interactive device
WO2017151012A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машиночитаемой информации
US201800747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oring an ac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KR102162914B1 (ko) 콘텐츠 데이터 기반의 컬래버레이션 방법
CN114730326A (zh) 选择性电子内容投射
WO2017117658A1 (en) Method and system to port multi device workspace data
KR102003318B1 (ko) 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방법 및 콘텐츠 데이터 구조
KR102189292B1 (ko) 차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220215342A1 (en) Virtual collaboration environment
WO2023065766A1 (zh) 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JP699619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8095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40106984A1 (en) Navigation and view sharing system for remote collaboration
KR102153749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