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749B1 -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749B1
KR102153749B1 KR1020180032835A KR20180032835A KR102153749B1 KR 102153749 B1 KR102153749 B1 KR 102153749B1 KR 1020180032835 A KR1020180032835 A KR 1020180032835A KR 20180032835 A KR20180032835 A KR 20180032835A KR 102153749 B1 KR102153749 B1 KR 10215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unction
display
cylindrical
cylindric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860A (ko
Inventor
권재현
Original Assignee
(주) 올림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올림플래닛 filed Critical (주) 올림플래닛
Priority to KR102018003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7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06T3/00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2Panospheric to cylindrical image transfor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콘텐츠에 대한 저작도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전환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본 발명은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공간 및 용도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작 및 제어할 수 있는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일 예로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로서,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얻을 수 있는 소비자 지향적인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상 밴딩(Bending)될 수 있고, 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다양한 각도(예컨대, 360도)로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처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각도로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각도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상기 각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나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소형의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대형의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공간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에 대한 저작 니즈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저작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콘텐츠 저작 도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콘텐츠의 크기 및 용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텐츠의 사용자에게 하여금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를 쉽고 직관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환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전환 기능에 관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는,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소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오브젝트 출력, 이미지 왜곡 보정 및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끊김없이 표현하는 기능 및 화면 분할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확대, 축소, 피사심계도(DO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그림자를 이용한 곡률 표현, 다중 레이어에 따른 레이어별 설정, 콘텐츠의 내부 깊이 표현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에 있어서,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관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서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를 쉽고 직관적으로 저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평면형 디스플레이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들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하기로 하며, 특히 실린더형(cylindrical)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용도에 따른 저작도구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먼저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평면형(planed) 디스플레이간의 차이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평면형 디스플레이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 및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은 관찰자의 시각적인 지각의 연속성 측면에서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도1을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일 오브젝트가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위치 1로부터 위치 2로 즉, 전체의 1/4만큼 이동하는 경우와, (2)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위치 1'로부터 위치 2'로 전체의 1/4(90도)만큼 이동하는 경우, 만약 관찰자가 위치 A에 있다고 전제하면 오른쪽으로 오브젝트가 움직인 것으로 지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브젝트가 움직이는 범위가 작은 경우(예를 들어, 전체의 1/4 범위 이하 또는 90도 이하의 범위 등)에는, 관찰자 입장에서 볼 때,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 간 별다른 차이를 인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진 경우 즉, 상기 오브젝트가 움직이는 범위가 큰 경우(예를 들어, 전체의 1/4 범위 이상 또는 90도 이상의 범위 등)에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볼 때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 각각을 서로 다른 움직임으로 지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특정 오브젝트가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3으로부터 위치 4로 전체의 1/4이상만큼 이동하는 경우 및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위치 3'로부터 위치 4'로 전체의 1/2(180도)만큼 이동하는 경우로서, 만약 관찰자가 위치 B에 있다고 전제하면, 사용자(또는 관찰자)로서는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은 시각적으로 끊김없이(seamless) 지각할 수 있으나,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반대편으로 움직인 것으로 인식되어, 일정 시점 이후에는 관찰자의 시각에서 벗어나는 차이가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더 커진 경우에는 다시 관찰자의 시각 범위 내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가 위치 4'로부터 위치 3'로 움직이는 경우, B의 위치에 있는 사용자(또는 관찰자)는 방금 전 시각에서 벗어났던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다시 지각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360도 관찰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른 현상으로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일 부분만 지각할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관찰자는 위치 A, B, C 및 D 중 어느 쪽에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다. 즉, 관찰자가 위치 A에 있는 경우와 위치 B에 있는 경우 서로 중첩되는 콘텐츠가 있을 수 있으며, 위치 A에서 위치 D에 가까운 영역의 콘텐츠는 관찰자의 위치 B에서는 인지할 수 없고, 위치 B에서 위치 C에 가까운 영역의 콘텐츠는 관찰자의 위치 A에서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깊이감(depth)의 표현에 있어서도 평면형 디스플레이 및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평면형 디스플레이에서는 깊이에 대한 표현으로 안쪽으로 무한히 표현(연출)할 수 있는 반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에서 내부 표현 시에는 지름만큼 제한적으로 깊이를 표현해야 실제적인 공간감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디스플레이상에서는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 CG) 출력물의 전체가 관찰자의 시각(시야) 범위 내에 들어오는 반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상에서는 360도 시각 범위 전체를 한 눈에 볼 수 없는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평면형 디스플레이상의 약 44%정도만 관찰자가 볼 수 있다고 한다.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크기에 따라서 소형 및 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소형 및 대형의 분류 기준은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임의로 정의한 것으로써,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는 하기 표 1과 같이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형과 대형을 구분하는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아래의 기준보다 더 크거나 작은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분류 소형 대형
크기 18인치 - 110mm 77인치
위치 가변(이동, 회전 가능형) 고정(설치형)
사용자 개인미디어 / 1인기준 공용 미디어, 다중 사용자
콘텐츠 특징 -메인 정보의 표시 영역 제어-시선 위치에 따른 출력 방향 동기화
-360도 회전, 방향 감지로
실린더 형태 부각
-개인적, 감성적 콘텐츠
-출력 결과물 이미지의 연속성
-이미지 출력 면 분할 제어
-360도 다중 사용이 가능한
시각 표현 및 왜곡 보정
-압도감, 몰입감 있는 콘텐츠
공간지각 특징 -이동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처리-사용자 및 실린더간 위치에 따른
공간 지각
-DOF, 왜곡 등 후처리를 통한 입체감
-실린더 형태 인식을 통한 공간 지각
-원통 속의 깊이 표현
-다중 레이어 적용을 통한 표현
저작 도구 특징 -큰 곡률에 적합한 이미지 생성 및왜곡 보정
-이동에 따른 출력 결과 제어
-개인화 맞춤형 콘텐츠 기능
- 끊김없는(Seamless) 360도 출력
-사용자 인원에 따른 출력 면 제어
-곡률(지름)에 따른 출력 결과 제어
상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약 110mm내지 18인치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형 스마트폰 또는 실린더형 전자 앨범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약 77인치 정도 이상의 기기일 수 있으며, 건물 등의 기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크기의 유리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또는 휴대할 수 있고, 회전 등의 조작이 가능한 반면,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건물 기둥 등에 설치가 되거나, 대형 조형물로서 일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개인 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1인 또는 2인이 사용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2인이 사용하는 경우에 도출 가능한 특징은 후술하기로 한다.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그 크기적 특징에 따라, 개인 뿐만 아니라 다수를 위한 공용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2인 이상의 다중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메인 정보의 표시 영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시선 위치에 따라 출력 방향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360도 회전 및 방향 감지가 가능함에 따라 실린더 형태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개인적 또는 감성적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출력 결과물이 시각적인 연속성을 가지며, 출력 면을 분할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다중 사용이 가능한 시각 표현뿐만 아니라 왜곡을 보정할 수도 있으며, 압도감 또는 몰입감이 있는 콘텐츠를 활용할 수도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는 서로 다른 공간 지각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처리가 가능하며, 사용자 및 실린더 간 위치에 따라 공간 지각을 제공할 수 있다. DOF(Depth Of Field), 왜곡 보정 등 후처리(post-processing) 등을 통하여 입체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실린더 형태 인식을 통한 공간 지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원통 속의 깊이(depth)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레이어(multi-layer) 적용을 통한 공간을 표현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는 서로 다른 저작 도구 기능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큰 곡률을 가지므로, 이에 적합한 이미지 생성 및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에 따른 출력 결과를 제어할 수 있고, 개인 맞춤형 콘텐츠 기능 등의 구현이 가능하다.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끊김없는(seamless) 360도 출력이 가능하며, 사용자 인원에 따라서 출력 면을 분할 제어할 수 있다. 곡률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지름에 따른 출력 결과 제어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큰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소형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에 동일 크기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소형에서는 실린더 옆 및 뒤로 밀려나는 이미지 왜곡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큰 곡률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왜곡 현상을 평면처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휘어진 특징을 활용하여 실린더형의 조형을 살린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도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큰 오브젝트의 경우, 디스플레이 전체에 걸쳐 단일 오브젝트가 적절히 표현될 수 있도록 출력물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심한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출력물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표현 의도가 변질되지 않고 정보 전달의 정확성도 제고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오브젝트의 가로 면적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가로 면적이 큰 경우에 비해 가로 면적이 작은 경우에 콘텐츠 왜곡 현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 및 저작 도구 기능 상에 오브젝트의 가로 면적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 및 디스플레이 기기 간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변경 내지 조작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세밀한 시각적 표현이 요구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출력 결과물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에 쥐고 움직이는 경우에는 거리 또는 방향에 따라서 콘텐츠가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출력물 또한 다르게 인지될 수 있다. 메인 오브젝트와 같은 주요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 정면에 위치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놓인 위치 및 방향에서 보여지는 각도에 따라 콘텐츠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메인 오브젝트를 위에서(상) 또는 아래에서(하) 바라보는 경우에 따라 결과물을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실린더형이 가지는 끊김없는 조형적 특징을 표현할 수 있다. 최종 시각 결과물 콘텐츠에 대하여 회전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경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자체가 회전하는 연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개인 미디어 콘텐츠를 2인 사용으로 확장할 수 있다.
기존의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의 시각 범위(가시 영역)가 평면형 디스플레이의 44% 정도에 제한됨에도 불구하고, 1인의 시각에 맞추어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정면을 기준으로 할 때, 180도 위치의 반대편 면에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2인 모두를 충족시키는 개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한된 출력 범위 내에서 이미지를 각각 1/2로 분할하여 시각화 함으로써, 2분할 된 2면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2인이 동시에 사용 경험을 충족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전용 360도 시청각 콘텐츠를 저작하는 도구(tool)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360도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 단일 디바이스 형태로서 안정성 및 호환성을 지원하여야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외부 또는 내부 디스플레이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360도 콘텐츠의 저작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콘텐츠 저작 도구는 콘텐츠에 관한 주체별 니즈를 수용하는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contents creator), 퍼블리셔(publisher), 프로슈머(prosumer) 및 컨슈머(consumer) 등 다양한 대상에게 범용적이면서 실용성을 가지는 저작도구로서 자리잡을 수 있다.
콘텐츠 저작 도구는 인터페이스의 편의성, 기능의 전문성 및 결과의 완성도 등 복합적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로서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의 화면 구성 등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저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실린더 디스플레이 기반 콘텐츠 저작 도구는 모바일 및 데스크탑 등의 기기에 맞게 UI/UX를 디자인하고 적합한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저작 도구에 대한 이해, UI/UX의 정의 및 트렌드에 관한 조사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서, UI/UX를 분석하여 저작도구 전반적인 컨셉 및 시나리오를 개발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콘텐츠 저작 도구(Contents Authoring Tool)는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저작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로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다양한 기능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저작 도구는 다양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첫째, 사용이 쉬어야 한다. 처음 접하는 비전문가도 쉽게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저작자에게 절차적인 언어를 요구해서는 안된다. 저작자는 프로그래머 (programmer)가 아니기 때문에 결과물을 만드는데 절차 언어를 요구해서는 안된다. 셋째, 특수효과 기능이 다양해야 한다.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장면전환 디졸브(dessolve), 파티클(particle) 등의 다양한 특수 효과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그래픽, 문자, 애니메이션 등 비디오의 종합 저작 도구이어야 한다. 다섯째, 360도 영상으로서,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의 저작 도구와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 여섯째, 저작하는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다양한 유형을 가질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기반으로 하는 문서 방식, 카드 방식의 도구를 이용하는 페이지 방식 및 플로우차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플로우차트 방식은 다시 아이콘 방식 및 타임라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카드 방식의 저작도구는 저작 과정에 내부 언어(embedded-language), 즉 스크립트(script) 언어를 이용하여 상호 작용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플로우차트 방식과 구분될 수 있다.
문서 방식의 경우, 하이퍼텍스트 계열의 저작도구로서 대부분 그래픽 편집 기능은 포함하지 않으며, 주로 텍스트 미디어만을 다룰 수 있다. 색인(indexing) 기능 및 검색(searching)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서 책과 같은 콘텐츠의 저작에 적합할 수 있다.
페이지 방식은 모든 정보를 카드 단위로 표현하며, 여러 개의 카드의 묶음은 스택(stack)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카드는 텍스트 및 그래픽을 포함하며 사운드 및 비디오의 경우는 버튼으로 표시되어 버튼을 누를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아이콘 방식에서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아이콘을 이용하여 순서도(flowchart)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아이콘 방식은 프로그램의 전개 과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하나의 아이콘은 그림, 사운드, 비디오 등 미디어 데이터를 표현하며, 사용자와의 대화 기능 역시 아이콘으로 표현할 수 있다.
타임라인 방식은 시간 축(time-axis)에 따라 각 미디어의 실행 순서를 나열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미디어 파일들 간의 동기 관계를 프레임(frame) 단위로 기술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입력이 많지 않고, 화려한 화면 효과나 오디오가 필요한 제품 홍보 저작물에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의 메뉴 구성은 저작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비전문가도 저작이 가능하도록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의 UI/UX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UX(User eXperience)란, 사람의 행위와 태도 및 하나의 특정한 제품, 시스템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험을 말하는 것으로서, 실제, 경험, 감정, 의미 및 인간-컴퓨터의 인터랙션 소유권과 가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UI(User Interface)는 일반적으로 디자인의 형식이기도 하지만 사용자 및 사물간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으로 상호작용, 즉 소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복잡한 사이트에서 사용자 및 콘텐츠, 해석자 및 가이드 간의 중계자 역할로서, 보다 사용하기 편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사용자의 인지적 측면에서 디자인하고 사용편리성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기기 및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시각적인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라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정보라고 가정하였을 때, 이 보이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고 느끼고 사용할 수 있게 각 기기 정보에 맞는 그래픽으로 변환, 화면에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서, 트렌디(trendy)하게 제공될 수 있다.
최근 고성능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콘텐츠 수요가 급증하면서 콘텐츠 저작 비용 및 저작 시간 절감을 위해 콘텐츠 저작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콘텐츠 저작도구는 콘텐츠 저작자에게 편의성, 경제적 효율성의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크로스 플랫폼에서 호환 가능한 콘텐츠 저작을 요구하는 추세이며, 저작에서 유통까지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의 모델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 콘텐츠 저작 도구는 디바이스의 다양화에 따른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로 인하여 지속적인 규모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관련 연구에 따르면, 글로벌 마켓의 경우, 2014년 1조 8,899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5,70%의 성장세를 토대로 2017년 2조 2,409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내 시장의 경우, 2014년 47조 2,359억원에서 2017년 53조 5,175억원으로, 연평균 약 4.2%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예시로 하여, 데스크탑 및 모바일에서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의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desktop) 상에 지원될 수 있다. 화면 구성은 크게 도구 메뉴(A), 기록 메뉴(B), 색상 메뉴(C), 저작 라이브러리 메뉴(D) 및 레이어 메뉴(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과는 달리 모바일 상에 지원될 수 있다. 화면 구성은 크게 네비게이터(A), 콘텐츠 영역(B) 및 탭 바(C)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메인메뉴와 이미지 선택시 네비게이터 아래 콘텐츠 선택 구간에서 콘텐츠가 선택되면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고, 콘텐츠가 선택된 뒤에는 저작이 가능한 저작 구간이 표시되고, 여기에 탭 바가 형성되고, 저작 도구를 선택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상단에 가로로 메뉴를 열거하여 선택시에 하단으로 세부 메뉴가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모바일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데스크탑용에 비해 생략된 기능을 한번에 열거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배치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파일열기 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후 열기 및 닫기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모바일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이미지를 선택시 바로 다음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효과의 적용이 세부 단위(예, 0.1 단위)까지 조절이 가능하도록 화면이 구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기설정된 템플릿에서 선택된 이후에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데스크탑과 같은 PC(1110) 또는 모바일(1120)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PC(1110) 또는 모바일(1120)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에 의해서 저작된 콘텐츠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100)에 전송되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은 OSC(Open Sound Contr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서 하드웨어로의 원격 컨트롤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사용자는 PC 환경 또는 모바일에서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작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기 컨트롤로 모바일 또는 PC에서 저작하는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미리 볼 수 있고, 단일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유저가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동시에 저작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은 PC 환경 또는 모바일에서 저작된 콘텐츠를 곧바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동되도록 설정하여, 추가적인 파일 전송 과정없이도 바로 시각화가 가능하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는 데스크탑과 같은 PC(1210) 또는 모바일(1220)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PC(1210) 또는 모바일(1220)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에 의해서 저작된 콘텐츠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에 전송되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은 서버(1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30)는 PC(1210) 또는 모바일(1220)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에 의해서 저작된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로 전송하여,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서버(123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중 접속 방식의 실시간 편집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단일 콘텐츠를 저작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셜 미디어 저작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123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소, 시간, 파일 전송 등에 제약받지 않는 저작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VR(Virtual Reality) 및 360도 콘텐츠 생태계 조성 및 장치 보급이 가속화됨에 따라 저작 인프라가 형성되고, 상용화가 진행됨에 따라, 360도 파노라마 기반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된 영상을 스티칭(stitching)하고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 또는 PC 등 다양한 컨트롤러로 디스플레이를 공유하는 저작 작업으로서 기존의 기술들과 차이점을 가지며, 저작된 결과물에 대한 추가적인 파일 전송 없이 디스플레이에서 바로 시각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작업 흐름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들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OSC 프로토콜에 의해서 로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입출력에 관한 제어 기능 및 동기화 확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키보드 입력, 터치스크린 입출력, 자이로(gyro) 센서, 색상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등의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로딩 시스템, 저장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다양한 엔진 프로그램을 통해서 새로운 저작물을 저작할 수 있다. 먼저, 물리 엔진(Physics Engine) 모듈을 통해서 변형(Transform) 기능, 충돌체(collider) 기능, 3D 공간 시스템, 애니메이션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음향 엔진(Sound Engine) 모듈을 통해서, 배경 음악 재생 기능, 볼륨 제어, 사운드 효과 기능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끊김없는(Seamless) 표현 기능, 곡면 표현, 원형 표현 등 다양한 입체적 디스플레이 기능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서 저작된 콘텐츠 데이터는 입출력 송수신, 데이터 송수신 등의 메인 제어 시스템을 거쳐 시각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시각화 시스템의 예로는, UI, 카메라, 렌더링(Rendering), 효과(Effect), 조명, 음영 등 다양한 시각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화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해상도 설정, 모니터 설정 등의 디스플레이 제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상기 설명한 기능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기 표 2와 같이,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 기능을 정리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기능 설명
소형 오브젝트 출력
크기··위치··방향 제어
출력 면적 제어 오브젝트의 출력 가로 면적 제어(전경, 배경 분리)
출력 위치 제어 출력 위치 좌··우 이동 제어
(실린더 디스플레이에서는 360도 회전으로 표현)
리셋 설정 된 값 복귀 기능
이미지(정보)
왜곡 보정
활성/비활성 이미지 왜곡 보정 활성··비활성 기능
실린더 지름 설정 실린더의 지름 수치 입력 기능
왜곡 보정 지름에 따른 왜곡 자동화 왜곡 보정 기능
소형 화면
제약사항 보완
부분 크기 제어 메인 이미지 확대··축소 기능
전체 크기 제어 전체 이미지 확대··축소··이동 기능
리셋 설정 된 값 복귀 기능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입자 생성)
설정(활성/비활성) 입자 생성 기능 활성/비활성
모양 설정 입자 시뮬레이션 형태 선택 기능
방사 양 입자 생성 방사 양 조절 기능
방사 시간 입자 지속 시간 설정 기능
방사 힘 입자 시작점 방사 힘 설정 기능
방사 크기 입자 시작점 방사 크기 설정 기능
방사 지연시간 입자 방사 지연 시간 설정 기능
방사 반복 입자 반복 생성 설정 기능
방사 회전 입자 방사 회전 X, Y, Z 축 제어 기능
방사 방향 입자 방사 방향 X, Y, Z 축 제어 기능
방사 가속도 입자 방사 X, Y, Z 축 가속도 제어 기능
방사 마찰 입자 속도 감속(마찰) 수치 설정 기능
방사 위치 입자 생성 X, Y 위치 이동 기능
방사 크기 변화 시간 변화에 따른 입자 크기 변화 제어 기능
방사 색상 변화 시간 변화에 따른 입자 생성 변화 설정
방사 이미지 설정 입자 이미지 선택/설정 기능
다음으로, 하기 표 3과 같이,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 기능을 정리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기능 설명
대형 Seamless 활성/비활성 Seamless 기능 활성/비활성 기능
예시 연출 Seamless 기능 적용 확인을 위한 예시 연출 실행/종료 기능
화면 분할
2인이상 사용
사용자 설정 입력 1/2/3/4인 설정 입력 기능
화면 분할 기능 설정 입력 값에 따라 시각면 자동 분할 기능
화면 동기화 설정 화면 이미지 출력 동기화 활성/비활성 기능
화면 동기화 기능 분할된 면 이미지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 기능(비활성시 360도 위치에 맞는 이미지 자동 시각화)
다음으로는, 하기 표 4와 같이, 소형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 기능을 정리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기능 설명
소형
대형
공통
파노라마 이미지 기능 설정 파노라마 이미지 시각화 활성/비활성 기능
이미지 선택 파노라마 이미지 선택 기능
이미지 위치 파노라마 이미지 X축(가로) 위치 이동 기능
이미지 크기 파노라마 이미지 X축(가로) 시각 범위 설정 기능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동 애니메이션 활성/비활성 기능
속도, 방향 이미지 애니메이션 방향 및 속도 제어 기능
360도 이미지 기능 설정 360 이미지 시각화 활성/비활성 기능
이미지 선택 360 이미지 선택 기능
이미지 위치 반구형(equirectangular) 360 이미지 시각화 기능
이미지 크기 360 이미지 X, Y축(평행, 수직) 방향 전환 기능
애니메이션 360 이미지 애니메이션 회전 활성/비활성
속도, 방향 360 이미지 애니메이션 회전 방향 및 속도 제어
텍스트 기능 설정 텍스트 입력 기능
텍스트 크기 텍스트 크기 제어 기능
텍스트 색상 텍스트 색상 설정 기능
텍스트 위치 텍스트 생성 위치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하기 표 5와 같은 UI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기능 설명
UI기능 Button Click 버튼 클릭 기능 동작
Hover 마우스 커서를 버튼에 올려 놓을 경우 기능 동작
Release 마우스 커서가 버튼에서 벗어날 경우 기능 동작
Fade 사라지는 시간 또는 변화되는 양 조절
Color 버튼 색상 변경
Text 버튼 텍스 삽입 / 변경
Image 버튼 이미지 삽입 / 변경 / 조정
Scale 버튼 크기 조정
Pop-Up Show 360 이미지 시각화 활성/비활성 기능
Close 360 이미지 선택 기능
Auto Close 반구형(equirectangular) 360 이미지 시각화 기능
Transform 360 이미지 X, Y축(평행, 수직) 방향 전환 기능
Tool-Tip Activation 커서 위치 인식을 통한 툴팁 활성 / 비활성
Show 툴팁 시각화 (텍스트 / 이미지)
Text Text Input UI 상태에서 텍스트 입력 기능
Text Save UI 상태에서 입력된 텍스트 저장 기능
Drop & Down Activation 드롭 다운 메뉴 열기(실행)
Hover 마우스 커서를 메뉴에 올려 놓을 경우 실행
Scroll 스크롤을 이용한 메뉴 접근 기능
Select 드롭 다운 항목 선택 시 기능 실행
Show 선택된 항목 표시 기능
Switch On / Off 스위치 on / off 선택
Activation 스위치 on / off 선택 시 기능 활성화 기능
Animation 스위치 on / off 변화 시각화 애니메이션
Slider Visualization 슬라이더 / 조절 바 표시
Activation 슬라이더 바 조정(클릭시) 활성화 기능
Range 슬라이딩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
Adjustment 슬라이더 바 이동을 통한 수치 조정 기능
Show 슬라이딩 된 값 표시 기능
Range Slider Visualization 슬라이더 / 조절 바 2개 표시
Range 슬라이딩 범위를 min~max로 지정하는 기능
Adjustment 2개의 슬라이드 바를 조정하는 기능
Show 2개의 슬라이딩 값 표시 기능
Spinner Visualization 업 & 다운 버튼 시각화
Adjustment 업 & 다운 버튼에 의한 수치 조절 기능
Show 조절된 수치 표시 기능
Tab Menu Visualization 탭 형태의 multi - Window UI 시각화
Adjustment 각각의 탭 클릭 시 변화되는 UI 기능
IN / OUT Animation 활성화된 UI in & out 애니메이션
Viewer Visualization 실린더 디스플레이에 보여지는 이미지 확인 창
UI Box Animation UI Window In / Out 애니메이션
Palette RGB RGB 색상 선택을 위한 UI 시각화
HSV HSV 색상 선택을 위한 UI 시각화
Alpha 알파(농도) 선택 및 활성화 기능
Picker 색상 선택 피킹 기능
Show 선택된 색상 및 수치 값 표시 기능
Check-Box Activation Check 활성 / 비활성
Show Check 항목 표시 시각화
Tree View Activation 하위 구조 확장 / 축소
Select 하위구조 항목 선택/해제 기능
UI 시스템 반응형 UI Auto Scale 화면 크기에 따라 비율적으로 이미지 및 텍스트의 크기가 자동으로 확대 / 축소 되는 기능
Auto Position 화면 비율에 따라 이미지 및 텍스트의 위치가
비율에 따라 자동 변하는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하기 표6과 같은 저작 도구 부가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기능 설명
사운드 BGM Select 배경음악 선택 기능
Play 배경음악 재생 기능
Pause 배경음악 일시 정지 기능
Stop 배경음악 멈춤 기능
Volume 배경음악 출력 볼륨 조정 기능
Effect Activation 효과음 발생
Volume 효과음 출력 볼륨 조정 기능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해상도 설정 저작도구 화면 해상도 설정 기능
창 설정 저작도구 전체화면/원도우 화면 설정 기능
크기 설정 저작도구 화면 크기 조정 기능
해상도 설정 실린더 디스플레이 해상도 설정 기능
미리보기
(모바일
제외)
출력 결과
미리보기 출력
기능 설정 저작 도구 제어에 따른 결과 미리보기 기능 활성/비활성
모든 전환 평면 출력과 실린더 출력 미리보기 형태 전환 기능
화면 회전 실린더 결과 미리보기 화면 회전 기능
인터페이스 인풋 인터페이스 키보드 키보드 인풋 인터페이스 기능
마우스 마우스 인풋 인터페이스 기능
터치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기능
자이로 센서 모바일 자이로 센서 인터페이스 기능
가상화 키보드 모바일 가상화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
언어 인터페이스 언어 한글 / 영문 텍스트 지원
네트워크 네트워크
연동 기능
설정 네트워크 통신 IP 설정 기능
확인 연결 상태 확인 기능
저장 설정 네트워크 정보 저장 기능
이미지저장
모바일제외
스크린샷 저장 기능 저작 이미지 결과물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기능
경로 지정 이미지 저장 경로 지정 기능
프로그램
구동 기본
프로그램 Tool Reset 저작 프로그램 리셋
Cylinder Reset 실린더 프로그램 리셋
Tool Quit 저작 프로그램 종료
Cylinder Quit 실린더 프로그램 종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하기 표7과 같은 공간 지각형 콘텐츠 저작 도구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기능 설명
소형 위치관계에 따른
시각 제어
수평 축 회전 메인 오브젝트 수직 축 기준 360도 회전 제어 기능
수직 축 회전 메인 오브젝트 수평 축 기준 180도 이내 회전 제어 기능
출력면 자동 제어 메인 오브젝트 시각 방향에 따른 출력 위치 자동 제어
출력 결과
이미지제어
이미지 회전 출력 결과물 전체 이미지 회전 (seamless 기능연동)
속도, 방향 제어 전체 이미지 회전 속도 제어 (역회전 포함)
피사심계도 기능 설정 DOF(피사심계도) 활성/비활성 기능
거리 설정 카메라 포커스(초점) 거리 설정 기능
수치 조정 포커스 아웃 정도 수치 설정 제어 기능
구현 기능 초점거리 및 정도 설정에 의한 자동기능 구현 기능
대형 그림자를 활용한
곡률 표현
기능 설정 그림자 곡률 기능 활성/비활성 기능
수치 설정 실린더 지름 입력 설정 기능
구현 기능 실린더 지름에 따른 그림자 왜곡 현상 자동 구현 기능
다중 레이어 기능 설정 레이어 이미지 회전 활성/비활성 기능
이미지 선택 레이어별(전경,메인,배경) 이미지 선택 기능
속도 설정 레이어별(전경,메인,배경) 이미지 회전속도 제어기능
내부깊이 표현 기능 설정 실린더 내부 공간 이미지 시각화 기능
기능 설정 실린더 외부 공간 이미지 시각화 기능
기능 구현 실린더 회전에 따른 이미지 방향 전환 기능
기능 구현 실린더 지름 설정 값에 따라 오브젝트 Z축(깊이) 이동 제약 구현 기능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포터블 장치, 디지털 장치,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물리적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장치의 내부에 수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센서부(12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선택적(optional) 구성으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밴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여기서, 밴딩(bending)은 일반 밴딩, 폴딩, 롤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일반 밴딩(normal ben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일반 밴딩은 구부러진 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폴딩 및 롤링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롤링은 밴딩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롤링을 총괄하여 롤링이라 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예컨대,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 (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기초 소재는, 예를 들면,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플라스틱 기판이 아닌 다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예컨대, 고정 가능한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롤링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다양한 각도(예컨대, 원통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360도)로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다양한 각도의 축(예컨대, 수평 축 또는 수직 축)으로 다양한 개수(예컨대, 2개, 3개 등)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밴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에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롤링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예컨대, 원통형 디스플레이의 형태인 경우)에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표면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으로서, 예를 들면, 싱글 터치 입력, 더블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다양한 형태의 제스처 입력(예컨대, 터치 제스처 입력, 모션 제스처 입력 등) 또는 다른 유사한 형태의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2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모션 입력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중단을 손에 쥔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타 기기와 유무선 통신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에 저장되거나 가공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다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기는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의 사용자 기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면 본 발명의 사용자 기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넓게 해석해야 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상술한 각 구성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간의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복수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저작 기능에 대하여 수신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하여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는,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소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오브젝트 출력, 이미지 왜곡 보정 및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끊김없이 표현하는 기능 및 화면 분할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확대, 축소, 피사심계도(DO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그림자를 이용한 곡률 표현, 다중 레이어에 따른 레이어별 설정, 콘텐츠의 내부 깊이 표현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관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경우, 그 캡쳐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한계에 의해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저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만, 3D 스캐너나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캡쳐 기기 등 특정 타입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기기를 통해서 콘텐츠를 생성할 경우, 그에 맞는 타입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생성된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기능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10단계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할 수 있다.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콘텐츠 상의 오브젝트가 있는지 유무를 판별하고, 오브젝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브젝트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출력 면적 또는 전경과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텍스트 오브젝트가 있는지를 판별하여, 텍스트가 어떤 위치에 어떠한 크기로 출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콘텐츠의 UI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가상 버튼 여부, 팝업 효과, 툴팁 시각화 등 다양한 UI기능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반응형 UI의 경우, 화면 크기 또는 화면 비율에 따라 이미지 및 텍스트가 확대/축소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콘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1520에서 콘텐츠 저작 기능으로 콘텐츠 전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으로, 화면 분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인 경우, 화면을 2분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다른 조건으로, 끊김없는(seamless) 콘텐츠로 출력할 수 있는 콘텐츠인지 결정하여, 이를 만족하는 경우, 끊김없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콘텐츠 전환 조건은 앞서 설명한 콘텐츠 저작 기능에서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 단계 1530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작 도구는 다양한 저작 기능을 활용하여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고, 이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출력 기기에서 왜곡없이 출력할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동작 및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본 발명인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다양한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100: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0: 센서부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제어부
150: 통신부

Claims (10)

  1.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환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전환 기능에 관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은,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소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오브젝트 출력, 이미지 왜곡 보정 및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끊김없이 표현하는 기능 및 화면 분할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확대, 축소, 피사심계도(DO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그림자를 이용한 곡률 표현, 다중 레이어에 따른 레이어별 설정, 콘텐츠의 내부 깊이 표현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기능이 수행되어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9. 서버가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저작도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저작 기능에 의해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된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저작 기능에 관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KR1020180032835A 2018-03-21 2018-03-21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KR10215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5A KR102153749B1 (ko) 2018-03-21 2018-03-21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5A KR102153749B1 (ko) 2018-03-21 2018-03-21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60A KR20190110860A (ko) 2019-10-01
KR102153749B1 true KR102153749B1 (ko) 2020-09-08

Family

ID=6820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35A KR102153749B1 (ko) 2018-03-21 2018-03-21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7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04B1 (ko) 2016-02-26 2017-08-21 (주) 올림플래닛 실린더 디스플레이 상의 출력 콘텐츠 조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388B1 (ko) * 2014-09-11 2020-10-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KR101643823B1 (ko) * 2014-11-13 2016-07-28 박성진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04B1 (ko) 2016-02-26 2017-08-21 (주) 올림플래닛 실린더 디스플레이 상의 출력 콘텐츠 조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60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647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40755B2 (en)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20190251884A1 (en) Shared content display with concurrent views
US9268423B2 (en) Definition and use of node-based shapes, areas and windows on touch screen devices
US108541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displays in virtual, mixed, and augmented reality
JP4772380B2 (ja) ジャストインタイムのユーザ支援を提供する手法
CN105556495B (zh) 用于屏幕镜像的方法及其源设备
US9507482B2 (en) Electronic slide presentation controller
KR102052424B1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9542010B2 (en) System for interacting with objects in a virtual environment
US11604580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KR1021842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휴대장치 및 그 화면 표시방법
US20130132878A1 (en) Touch enabled device drop zone
US20160034051A1 (en) Audio-visual content navigation with movement of computing device
US95137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 object management in a large-display area computing device
US9870139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with remote device thereof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CN105718189A (zh) 电子装置以及使用该电子装置显示网页的方法
AU2019222974A1 (en) Interfaces and techniques to retarget 2d screencast videos into 3d tutorials in virtual reality
CN109074209B (zh) 用户界面的细节窗格
Whitlock et al. MRCAT: In situ prototyping of interactive AR environments
KR102153749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WO2022218146A1 (en) Devices,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n extended screen distributed user interface in augmented reality
EP312839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KR20190115401A (ko) 링크 뷰 방법, 링크 뷰 장치 및 링크 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