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479A -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479A
KR20200107479A KR1020190026666A KR20190026666A KR20200107479A KR 20200107479 A KR20200107479 A KR 20200107479A KR 1020190026666 A KR1020190026666 A KR 1020190026666A KR 20190026666 A KR20190026666 A KR 20190026666A KR 20200107479 A KR20200107479 A KR 20200107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air conditioning
circulation line
heat exchanger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훈
김현규
안경주
이진재
한중만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479A/ko
Priority to PCT/KR2020/002722 priority patent/WO2020184869A1/ko
Priority to CN202080018691.1A priority patent/CN113557353B/zh
Priority to US17/436,834 priority patent/US11936029B2/en
Publication of KR20200107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5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characterised by systems with two or more l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6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각 공조영역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하는 각 공조유닛의 냉매 공급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각 공조유닛에게 충분한 냉매를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공조유닛의 냉,난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복수의 공조영역을 각각 개별적으로 냉,난방하는 개별식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공조영역들을 일정개수 서로 나눠서 냉,난방하는 복수의 냉매순환라인을 구비하고; 복수의 냉매순환라인은, 각 공조영역들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조유닛들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해당 공조유닛에 냉매를 공급하여, 해당 공조유닛에 대응되는 공조영역을 개별 냉,난방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HEAT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 공조영역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하는 각 공조유닛의 냉매 공급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각 공조유닛에게 충분한 냉매를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공조유닛의 냉,난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은, 전기모터와 내연기관(엔진)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차량으로서, 차량의 주행부하가 클 경우에는 "엔진 구동모드"로 제어되면서 엔진을 사용하고, 차량의 주행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모터 구동모드"로 제어되면서 전기모터를 사용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이하, "차량"이라 통칭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공조영역을 냉,난방하는 공조장치(10)를 갖추고 있다.
공조장치(10)는, 최근 들어 복수의 공조영역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하는 개별식 냉,난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차실내의 전석부분과 후석좌측부분과 후석우측부분 및 차량의 전장품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개별식 공조장치(10)는, 히트펌프식으로서, 냉매순환라인(12)을 구비하며, 상기 냉매순환라인(12)은, 압축기(14)와 고압측 열교환기(15)와 난방모드용 팽창밸브(16)와 실외열교환기(17) 및, 서로 간에 병렬로 설치되는 전석 공조유닛(20)과 후석 좌측공조유닛(22)과 후석 우측공조유닛(24)와 전장품 공조유닛(26)을 구비한다.
특히, 전석 공조유닛(20)과 후석 좌측공조유닛(22)과 후석 우측공조유닛(24)과 전장품 공조유닛(26)은, 차실내의 전석부분과 후석좌측부분과 후석우측부분 및 차량의 전장품, 예를 들어, 전장부품모듈(C)과 배터리모듈(B)을 각각 냉,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모드용 팽창밸브(20a, 22a, 24a, 26a)와 저압측 열교환기(20b, 22b, 24b, 26b)를 각각 갖추고 있다.
이러한 냉매순환라인(12)은, "에어컨 모드" 시에, 난방모드용 팽창밸브(16)를 개방시킴으로써, 내부의 냉매가 난방모드용 팽창밸브(16)를 거치지 않으면서 순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냉매 순환을 통해 전석 공조유닛(20)과 후석 좌측공조유닛(22)과 후석 우측공조유닛(24)과 전장품 공조유닛(26)의 각 저압측 열교환기(20b, 22b, 24b, 26b)에 저온의 "냉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냉기"를 차실내의 전석부분과 후석좌측부분과 후석우측부분 및 전장부품모듈(C)과 배터리모듈(B)로 각각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전석부분과 후석좌측부분과 후석우측부분 및 전장부품모듈(C)과 배터리모듈(B)을 냉방한다.
여기서, 전장품 공조유닛(26)은, 저압측 열교환기(26b)에서 발생된 냉기를 냉각수순환라인(30)에 수냉식으로 전달하여 전장부품모듈(C)과 배터리모듈(B)을 간접적으로 냉각시킨다.
참고로, 냉각수순환라인(30)은, 배터리모듈(B)을 냉각시키기 위한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부(32)와, 전장부품모듈(C)을 냉각시키기 위한 전장부품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부(34) 및, 이들 두 개의 냉각수순환라인부(32, 34)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라인(36)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냉각수순환라인(30)은, 상기 전장품 공조유닛(26)의 저압측 열교환기(26b)와 전장부품모듈(C)과 배터리모듈(B)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따라서, 전장품 공조유닛(26)의 저압측 열교환기(26b)로부터 전달받은 냉기를 전장부품모듈(C)과 배터리모듈(B) 사이에서 순환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장부품모듈(C)과 배터리모듈(B)을 냉각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개별식 공조장치(10)는, 하나의 냉매순환라인(12)에 각 공조유닛(20, 22, 24, 26)이 모두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냉매순환라인(12)에 설치된 하나의 압축기(14)로 각 공조유닛(20, 22, 24, 26)들 모두에게 냉매를 공급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각각의 공조유닛(20, 22, 24, 26)에 충분한 냉매가 공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각 공조유닛(20, 22, 24, 26)의 냉방성능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압축기(14)로 각 공조유닛(20, 22, 24, 26)에 냉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14)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압축기(14)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수명이 저하되며, 그 결과, 압축기(14)가 조기에 고장 및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공조유닛에 대한 냉매의 공급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각 공조유닛에 충분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공조유닛에 충분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공조유닛의 냉,난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각 공조영역에 대한 냉,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공조유닛에 대한 냉매의 공급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냉,난방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압축기에 가해지는 작동부하를 저하시킬 수 있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난방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압축기에 가해지는 작동부하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압축기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고장 및 손상의 우려를 덜어주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복수의 공조영역을 각각 개별적으로 냉,난방하는 개별식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조영역들을 일정개수 서로 나눠서 냉,난방하는 복수의 냉매순환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라인은, 상기 각 공조영역들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조유닛들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해당 공조유닛에 냉매를 공급하여, 해당 공조유닛에 대응되는 공조영역을 개별 냉,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라인은, 차실내의 전석부분을 냉,난방함과 아울러 차량의 전장품을 냉각시키는 제 1냉매순환라인과; 차실내의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을 냉방하는 제 2냉매순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냉매순환라인은, 압축기와 고압측 열교환기와 난방모드용 팽창밸브와 실외열교환기와 복수의 냉방모드용 팽창밸브 및, 상기 냉방모드용 팽창밸브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저압측 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에어컨 모드 시에,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들에서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들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전석부분과 전장품을 각각 개별적으로 냉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냉매순환라인은, 압축기와 고압측 열교환기와 복수의 냉방모드용 팽창밸브 및, 상기 냉방모드용 팽창밸브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저압측 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에어컨 모드 시에,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들에서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들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을 각각 개별적으로 냉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냉매순환라인에 의해 냉각되는 전장품은 배터리모듈이고, 상기 제 1냉매순환라인은, 상기 특정 저압측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배터리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모듈을 수냉식으로 냉각시키는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은,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와 배터리모듈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로부터 전달받은 냉기를 상기 배터리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냉매순환라인은,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를 수냉식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은,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측의 열기가 상기 라디에이터에 전달되면서 방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공조영역들을 일정개수 나눠서 냉,난방하는 복수의 냉매순환라인을 구비하는 구조이므로, 각 공조영역들을 개별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유닛들의 냉매 공급을 상기 냉매순환라인들이 서로 나눠서 분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유닛들의 냉매 공급을 각 냉매순환라인들이 서로 나눠서 분담하는 구조이므로, 각 공조유닛에 충분한 양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공조유닛에 충분한 양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각 공조유닛의 냉,난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각 공조영역에 대한 냉,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유닛들의 냉매 공급을 각 냉매순환라인들이 분담하고, 이를 통해, 각 공조유닛에 충분한 양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난방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각 냉매순환라인들의 압축기에 가해지는 작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난방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각 냉매순환라인들의 압축기에 가해지는 작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기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고장 및 손상의 우려를 덜어주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열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라디에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열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공조영역들을 냉,난방하는 공조장치(100)를 구비하되, 상기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공조영역들을 일정개수 서로 나눠서 냉,난방하는 복수의 냉매순환라인(200, 300)을 포함한다.
복수의 냉매순환라인(200, 300)은, 차실내의 전석부분과, 차량의 전장품, 예를 들면, 배터리모듈(B)을 냉,난방하기 위한 제 1냉매순환라인(200)과, 차실내의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을 냉,난방하기 위한 제 2냉매순환라인(300)을 포함한다.
제 1냉매순환라인(200)은, 히트펌프식으로서, 압축기(202)와 고압측 열교환기(204)와 난방모드용 팽창밸브(206)와 실외열교환기(208) 및, 서로 간에 병렬로 설치되는 전석 공조유닛(210)과 전장품 공조유닛(220)을 구비한다.
특히, 전석 공조유닛(210)과 전장품 공조유닛(220)은, 차실내의 전석부분과 배터리모듈(B)을 각각 냉,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모드용 팽창밸브(210a, 220a)와 저압측 열교환기(210b, 220b)를 각각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 1냉매순환라인(200)은, "에어컨 모드" 시에, 난방모드용 팽창밸브(206)를 개방시킴으로써, 내부의 냉매가 난방모드용 팽창밸브(206)를 거치지 않으면서 순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냉매 순환을 통해 전석 공조유닛(210)과 전장품 공조유닛(220)의 각 저압측 열교환기(210b, 220b)에 저온의 "냉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냉기"를 차실내의 전석부분과 배터리모듈(B)로 각각 공급하여, 상기 전석부분과 배터리모듈(B)을 냉방한다.
특히, 전장품 공조유닛(220)의 경우에는, 저압측 열교환기(220b)에서 발생된 냉기를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에 전달하여 배터리모듈(B)을 간접적으로 냉각시킨다.
여기서,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은, 전장품 공조유닛(220)의 저압측 열교환기(220b)와 배터리모듈(B)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전장품 공조유닛(220)의 저압측 열교환기(220b)로부터 전달받은 냉기를 배터리모듈(B)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B)을 냉각시킨다.
한편,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은, 배터리모듈(B)에서 배출된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232)를 더 갖추고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232)는, 제 1냉매순환라인(200)의 압축기(202)가 오프(OFF)되었을 시에, 상기 제 1냉매순환라인(200)의 전장품 공조유닛(220)을 대신하여 상기 배터리모듈(B)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은, 전장부품모듈(C)을 냉각시키기 위한 전장부품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40)과 상기 라디에이터(232)를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라디에이터(2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품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40)의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전장부품모듈 냉각 영역부(232a)와,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의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배터리모듈 냉각 영역부(232b)를 구분되게 갖추고 있으며, 이들, 각 영역부(232a, 232b)들을 통해, 전장부품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40)의 냉각수와,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의 냉각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냉각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냉매순환라인(300)은, 압축기(302)와 고압측 열교환기(304) 및, 서로 간에 병렬로 설치되는 후석 좌측공조유닛(310)과 후석 우측공조유닛(320)을 구비한다.
특히, 후석 좌측공조유닛(310)과 후석 우측공조유닛(320)은, 차실내의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을 각각 냉,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모드용 팽창밸브(310a, 320a)와 저압측 열교환기(310b, 320b)를 각각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 2냉매순환라인(300)은, "에어컨 모드" 시에, 압축기(302)의 토출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후석 좌측공조유닛(310)과 후석 우측공조유닛(320)의 각 저압측 열교환기(310b, 320b)에 저온의 "냉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냉기"를 차실내의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으로 각각 공급하여, 상기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을 냉방한다.
한편, 이러한 제 2냉매순환라인(300)은, 고압측 열교환기(304)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식 냉각장치(330)를 더 구비한다.
수냉식 냉각장치(330)는,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을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은, 워터펌프(334)와 라디에이터(232)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은, 제 2냉매순환라인(300)의 고압측 열교환기(304)와 라디에이터(232)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따라서, 고압측 열교환기(304)의 열기가 라디에이터(232)를 통해 방출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고압측 열교환기(304)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은, 배터리모듈(B)을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 및, 전장부품모듈(C)을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전장부품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40)과 상기 라디에이터(232)를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라디에이터(2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의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열교환기 냉각 영역부(232c)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 냉각 영역부(232c)를 통해,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의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열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공조영역들을 일정개수 나눠서 냉,난방하는 복수의 냉매순환라인(200, 300)을 구비하는 구조이므로, 각 공조영역들을 개별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유닛(210, 220, 310, 320)들의 냉매 공급을 상기 냉매순환라인(200, 300)들이 서로 나눠서 분담할 수 있다.
또한, 공조유닛(210, 220, 310, 320)들의 냉매 공급을 각 냉매순환라인(200, 300)들이 서로 나눠서 분담하는 구조이므로, 각 공조유닛(210, 220, 310, 320)에 충분한 양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각 공조유닛(210, 220, 310, 320)에 충분한 양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각 공조유닛(210, 220, 310, 320)의 냉,난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각 공조영역에 대한 냉,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유닛(210, 220, 310, 320)들의 냉매 공급을 각 냉매순환라인(200, 300)들이 분담하고, 이를 통해, 각 공조유닛(210, 220, 310, 320)에 충분한 양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난방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각 냉매순환라인(200, 300)들의 압축기(202, 302)에 가해지는 작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냉,난방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각 냉매순환라인(200, 300)들의 압축기(202, 302)에 가해지는 작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기(202, 302)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202, 302)의 고장 및 손상의 우려를 덜어주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공조장치 200: 제 1냉매순환라인(Line)
202: 압축기 204: 고압측 열교환기
206: 난방모드용 팽창밸브(Valve) 208: 실외열교환기
210: 전석 공조유닛(Unit) 210a: 냉방모드용 팽창밸브(Valve)
210b: 저압측 열교환기 220: 전장품 공조유닛(Unit)
220a: 냉방모드용 팽창밸브(Valve) 220b: 저압측 열교환기
230: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Line)
232: 라디에이터(Radiator) 232a: 전장부품모듈 냉각 영역부
232b: 배터리모듈 냉각 영역부 232c: 열교환기 냉각 영역부
240: 전장부품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Line)
300: 제 2냉매순환라인(Line) 302: 압축기
304: 고압측 열교환기 310: 후석 좌측공조유닛(Unit)
310a: 냉방모드용 팽창밸브(Valve) 310b: 저압측 열교환기
320: 후석 우측공조유닛(Unit) 320a: 냉방모드용 팽창밸브(Valve)
320b: 저압측 열교환기 330: 수냉식 냉각장치
332: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 334: 워터펌프(Water Pump)
B: 배터리모듈(Battery Module) C: 전장부품모듈(Module)

Claims (8)

  1. 차량의 복수의 공조영역을 각각 개별적으로 냉,난방하는 개별식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조영역들을 일정개수 서로 나눠서 냉,난방하는 복수의 냉매순환라인(200, 300)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라인(200, 300)은,
    상기 각 공조영역들을 개별적으로 냉,난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조유닛(210, 220, 310, 320)들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해당 공조유닛에 냉매를 공급하여, 해당 공조유닛에 대응되는 공조영역을 개별 냉,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라인(200, 300)은,
    차실내의 전석부분을 냉,난방함과 아울러 차량의 전장품을 냉각시키는 제 1냉매순환라인(200)과;
    차실내의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을 냉방하는 제 2냉매순환라인(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냉매순환라인(200)은,
    압축기(202)와 고압측 열교환기(204)와 난방모드용 팽창밸브(206)와 실외열교환기(17)와 복수의 냉방모드용 팽창밸브(210a, 220a) 및, 상기 냉방모드용 팽창밸브(210a, 220a)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저압측 열교환기(210b, 220b)를 구비하며;
    에어컨 모드 시에,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210b, 220b)들에서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210b, 220b)들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전석부분과 전장품을 각각 개별적으로 냉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냉매순환라인(300)은,
    압축기(302)와 고압측 열교환기(304)와 복수의 냉방모드용 팽창밸브(310a, 320a) 및, 상기 냉방모드용 팽창밸브(310a, 320a)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저압측 열교환기(310b, 320b)를 구비하며;
    에어컨 모드 시에,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310b, 320b)들에서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310b, 320b)들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후석 좌측부분과 후석 우측부분을 각각 개별적으로 냉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냉매순환라인(200)에 의해 냉각되는 전장품은 배터리모듈(B)이고;
    상기 제 1냉매순환라인(200)은,
    상기 특정 저압측 열교환기(220b)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배터리모듈(B)에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모듈(B)을 수냉식으로 냉각시키는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은,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220b)와 배터리모듈(B)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220b)로부터 전달받은 냉기를 상기 배터리모듈(B)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냉매순환라인(300)은,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304)를 수냉식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은,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304)와 라디에이터(232)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304)측의 열기가 상기 라디에이터(232)에 전달되면서 방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은,
    상기 배터리모듈(B)로 순환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232)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과 상기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은, 상기 라디에이터(232)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232)는,
    상기 배터리모듈측 냉각수순환라인(230)의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배터리모듈 냉각 영역부(232b)와;
    상기 열교환기측 냉각수순환라인(332)의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열교환기 냉각 영역부(232c)가 각각 구분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KR1020190026666A 2019-03-08 2019-03-08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KR20200107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66A KR20200107479A (ko) 2019-03-08 2019-03-08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PCT/KR2020/002722 WO2020184869A1 (ko) 2019-03-08 2020-02-26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CN202080018691.1A CN113557353B (zh) 2019-03-08 2020-02-26 用于车辆的热管理系统
US17/436,834 US11936029B2 (en) 2019-03-08 2020-02-26 Vehicular heat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66A KR20200107479A (ko) 2019-03-08 2019-03-08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479A true KR20200107479A (ko) 2020-09-16

Family

ID=7266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666A KR20200107479A (ko) 2019-03-08 2019-03-08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89155B (zh) 车辆的集成热管理模块
US20190176571A1 (en) Hvac system of vehicle
KR101875649B1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101855759B1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CN113557353B (zh) 用于车辆的热管理系统
RU2721432C2 (ru) Электрифицирова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батареи в нем (варианты)
US11383577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KR102399618B1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US11110772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US10532630B2 (en) HVAC system of vehicle
US10562367B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N110962532A (zh) 车辆的热管理系统
KR20200127068A (ko) 차량용 열관리시스템
KR20160046262A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JP2001018635A (ja) 自動車用の独立型空調装置
CN112956057A (zh) 燃料电池设备和用于冷却燃料电池系统的方法
CN111788082B (zh) 用于电驱动车辆的热调节系统和包括这种系统的车辆
KR20110019333A (ko) 템퍼링 장치
KR20180091978A (ko) 차량용 열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176776A1 (en) Vehicular heat management system
KR20200107479A (ko)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JP2018525955A (ja) 電気車両の熱管理システム
US20220302519A1 (en) Battery cooling system
US2023000176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09895590B (zh) 车辆的hvac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