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436A -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436A
KR20200107436A KR1020190026566A KR20190026566A KR20200107436A KR 20200107436 A KR20200107436 A KR 20200107436A KR 1020190026566 A KR1020190026566 A KR 1020190026566A KR 20190026566 A KR20190026566 A KR 20190026566A KR 20200107436 A KR20200107436 A KR 20200107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ost
file
process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로시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로시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로시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9002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436A/ko
Publication of KR2020010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2Digital storefront, e.g. e-ordering, web2print, submitting a job from a remote submission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7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sing pre-stored settings, e.g. job templates, presets, print sty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들을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는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가 포함된 다수의 인쇄 파일과 인쇄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주문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작업을 진행할 장비를 선택하고, 인쇄 및 각각의 후가공 작업 별로 상기 주문 데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조판 파일을 각각의 후가공 장비에 적합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각각의 후가공 장비별 소요 시간을 예측하여 공정 스케줄이 반영된 공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typesetting equipment and automated printing system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들을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는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쇄 산업은 고객들로부터 다양한 요구 조건에 부합하도록 다품종 소량 제작의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술의 발전으로 여러 산업 분야에서도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드론을 이용한 배송을 시도하는 등 근래 배송 시스템 또한 발달하여 고객들이 보다 빠르게 인쇄된 결과물을 받고자 한다.
종래의 인쇄 방법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고객의 인쇄 내용 및 요구 사항을 받아서 전문 디자이너가 고객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인쇄제작 파일을 생성하고 진행하였으나, 최근 다양한 디자인 프로그램의 보급과 그에 따라 고객이 직접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쇄할 파일을 생성하고, 그 파일을 통하여 인쇄를 요청하는 경우가 훨씬 더 증가하였다.
그러나, 인쇄 작업의 특징으로 인해 고객이 생성한 파일만으로 바로 인쇄가 이루어질 수 없어 그 파일에 대하여 다시 전문 디자이너나 인쇄 전문가와 고객 간에 인쇄가 가능한 디자인 및 인쇄 파일 생성에 대하여 의사 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후가공 옵션에 따라 요구되는 필요 사항에 대하여 비교적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인쇄 작업을 지시할 때도 관리자가 인쇄 기기마다 필요로 하는 파일로 변환을 해서 인쇄기에 처리 지시를 하여야 하므로 인쇄물 제작 시간이 상당히 지체되어 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재작업이 발생할 경우 추가적으로 가중된 비용 발생을 불가피하다.
그리고, 종래의 진행되어 오는 견적 시스템은 기본적인 인쇄 비용에 있어서도 페이지 수 뿐만 아니라 종이 종류, 후가공별 크기나 길이와 상관없이 종이의 전체 크기로 견적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청구되어 인쇄 비용을 가중시켰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쇄물을 주문받고, 제조하는 경우에도, 견적 비용을 산출하는 과정과, 조판 작업을 위한 인쇄 파일의 처리 과정이 동일한 과정에서 이루어져서 인쇄 파일의 처리 후 견적 비용이 산출되기 때문에, 견적 비용의 산출이 실시간으로 처리되지 못하고 수 초 내지 수십 초의 딜레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272632호는 사용자 단말기, 인쇄관리 서버 및 생산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문자의 주문 옵션에 따라 인쇄물의 견적을 산출하고, 인쇄 공정에 대한 작업 주문서를 생성하는 인쇄 자동화 관리 방법에 있어서,(A) 인쇄 관리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주문 옵션을 입력하는 단계와;(B) 상기 주문 옵션을 수신한 인쇄 관리 서버가 인쇄에 사용될 사용 용지를 산출하는 단계와;(C) 상기 인쇄 관리 서버가 인쇄방식을 산출하는 단계와;(D) 상기 인쇄 관리 서버가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옵션에 따른 인쇄 견적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E) 상기 인쇄 관리 서버가 작업 주문서를 생성하여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인쇄물을 주문하는 자가 디자인한 원본 인쇄 파일이 주문한 내용에 적합하게 작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화 작업 중에 유효하지 않은 파일로 판명되는 경우, 그 오류를 수정할 수 없고, 수동으로 처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KR 10-1272632 B1
본 발명은 다수의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들을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조판을 배치할 수 있는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가 포함된 다수의 인쇄 파일과 인쇄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주문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작업을 진행할 장비를 선택하고, 인쇄 및 각각의 후가공 작업 별로 상기 주문 데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조판 파일을 각각의 후가공 장비에 적합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각각의 후가공 장비별 소요 시간을 예측하여 공정 스케줄이 반영된 공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조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주문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작업을 진행할 장비를 선택하는 장비 선택 모듈과, 인쇄 및 각각의 후가공 작업 별로 상기 주문 데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과,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하는 조판 파일 생성 모듈과, 상기 생성된 조판 파일을 각각의 후가공 장비에 적합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파일 변환 모듈과, 각각의 후가공 장비별 소요 시간을 예측하여 공정 스케줄이 반영된 공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 데이터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장비 선택 모듈은, 상기 주문 데이터를 기초로, 중복되는 후가공 레이어의 존재 여부 및 현재 가동되는 후가공 장비들의 유휴 상태 또는 가용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후가공 작업을 진행할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장비 선택 모듈이 선택한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장비를 고려한 인쇄 가용 영역에 상기 주문 데이터가 겹치는 영역이 없도록 상기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인쇄 가용 영역은, 정형적인 형태의 인쇄물을 배치하는 정형 인쇄 가용 영역과, 비정형적인 형태의 인쇄물을 배치하는 비정형 인쇄 가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은, 주문 수량 및 인쇄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인쇄 가용 영역에 동일한 주문 데이터를 반복 배치하여 조판 파일의 수를 줄이는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조판 파일 생성 모듈은, 다수의 후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가 있는 경우, 상기 복합 후가공 장비가 수행할 수 있는 후가공에 해당하는 조판 파일을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접속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인쇄 옵션 및 인쇄작업을 요청하는 인쇄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 파일의 오류 여부 및 인쇄 프로세스에의 적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인쇄 옵션을 상기 인쇄 파일에 적용하여 인쇄 견적을 산출하고, 미리보기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에 필요한 작업을 처리하는 인쇄 자동화 단말기; 및, 상기 인쇄 자동화 단말기로부터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가 포함된 다수의 인쇄 파일과 인쇄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 데이터를 기초로 조판 파일을 생성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자동 조판 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은 고객의 요구 사항을 간단하게 지정하여 인쇄가 가능하므로 인쇄 작업이 쉽고, 고객의 인쇄 파일 제공과 동시에 파일의 오류여부가 체크되어 오류 발견하는 경우, 수정 보완이 용이하다.
고객이 실시간으로 인쇄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검토 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기존 견적에 비해 후 가공되는 부분의 크기를 정확히 알아내어 합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견적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 전체 인쇄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의 요청에서부터 인쇄 작업 후 배송에 이르기까지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상당히 인쇄 결과물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전문 디자이너의 검수단계와 고가의 디자인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처리를 자동화하고, 인쇄 작업에 있어 고객의 요청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반영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쇄 대상을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조판할 수 있어 생산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자동 조판 장치를 통해 주문에 따라 중복처리 할 수 있는 인쇄 기기를 선택하여 가동률을 높이고, 물류관리 시스템에서 인쇄물의 생산 후 고객의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배송의 오류를 줄여 전체 인쇄 공정 속도의 향상에 따른 생산 비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종이의 면적에 인쇄되는 고객의 인쇄 대상을 최적화하여 종이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후가공 처리 과정이 완료되어야 견적 비용을 산출할 수 있어서, 고객이 인쇄 파일을 업로드한 후, 수 초 내지 수십 초 후에야 견적 비용을 알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후가공 처리 과정과는 별도로 견적비용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고객이 인쇄 파일 업로드 후 즉시 견적 비용을 알 수 있게 되어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단말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접속한 웹 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단말기의 유효성 검사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인쇄 자동화 단말기에서 보이는 태스크 매니저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보이는 오류 체크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단말기의 전처리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명함 중에 포함되는 가변 오브젝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의 조판 데이터 생성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인쇄 가용 영역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 내지 18은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이 인쇄 가용 영역에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0은 인쇄 파일의 유효성 검사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1은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2는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레이어 분리 저장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3은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견적 산출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4는 견적 산출 단계 중에서 후가공 인쇄 견적 산출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5는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6은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레이어 전처리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7은 자동 조판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8은 주문 데이터 자동 정보 생성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9는 조판 파일 생성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을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단말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접속한 웹 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단말기의 유효성 검사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인쇄 자동화 단말기에서 보이는 태스크 매니저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보이는 오류 체크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단말기의 전처리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명함 중에 포함되는 가변 오브젝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의 조판 데이터 생성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인쇄가용 영역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 내지 18은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이 인쇄 가용 영역에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와, 자동 조판 장치(300)와, 물류 관리 장치(40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고객의 키 조작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인쇄물을 원하는 고객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인쇄 옵션을 입력하고, 주문할 인쇄 작업을 인쇄 파일 형식으로 업로드한다.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접속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인쇄 옵션 및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인쇄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파일의 오류 여부를 검사한 후, 오류가 있으면 이를 수정하고, 수정된 인쇄 파일을 자동 조판 장치(300)로 전송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는 제어부(210)와, 통신부(220)와, 입력부(230)와, 출력부(240)와, 저장부(250)와, 자료 제공부(260)와, 유효성 검사부(270)와, 전처리부(28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에 정의된 기능(예컨대, 자료 제공, 인쇄 파일 유효성 검사, 전처리 과정 등)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제어부(21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인쇄 자동화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210)는 통신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 자료 제공부(260), 유효성 검사부(270), 전처리부(28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인쇄 옵션 및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인쇄 파일을 수신하고, 전처리부(280)에 의해 수행된 인쇄 파일을 자동 조판 장치(300)로 전송한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인쇄 옵션 및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인쇄 파일을 수신하고, 전처리부(280)에 의해 수행된 인쇄 파일을 자동 조판 장치(300)로 전송한다.
입력부(2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고객이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인쇄 주문과 관련하여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인쇄 옵션 입력 필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쇄 옵션 입력 필드는, 용지의 종류, 용지의 두께, 규격, 수량 및 인쇄도수 등의 일반 인쇄 옵션을 입력하는 필드와, 커팅, 미싱, 오시, 점자, 화이트, 반칼, 접지, 금박, 은박, 타공, 엠보싱, 스코딕스 등의 후가공 옵션을 입력하는 후가공 옵션 입력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옵션 관련 항목을 입력한 후, 인쇄를 원하는 인쇄 파일을 업로드하는 파일 업로드 필드를 포함한다.
참고로, 후가공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팅은 캐릭터 모양과 같이 일반 칼로 자르지 못하는 것을 인쇄 모양과 같이 칼을 제작해서 자르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미싱은, 모양대로 뜯어지게 만들 수 있는 점선과 같이 구멍이 뚫린 선을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오시는 접을 수 있는 선을 눌러 누름선을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티커에 칼집을 내고 뒷면 종이(이형지)는 안 잘리는 형태를 반칼 가공이라고 한다. 또한, 판촉물과 같이 표면에 로고 또는 기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마킹이라고 한다. 또한, 접지는 오시 가공 후 자동으로 접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금박은 글씨나 그림의 금형 틀을 가지고 종이에 찍어 내는 형식인데, 잉크를 쓰는 것이 아니라 금색 판박이 같은 느낌으로 종이에 찍어 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은박은 금박과 동일하며 색상이 은색인 경우이다. 또한, 점자는 시각 장애인이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을 수 있게 한 특수한 부호 글자 처리를 의미한다. 또한, 타공은 구멍을 뚫는 것을 의미하고, 형압은 글씨나 모양을 찍었을 때 종이 위로 볼록하게 올라 오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일명, 엠보싱) 또한, 스코딕스는 디지털 엠보싱 인쇄기를 사용해 투명 잉크를 인쇄물 위에 인쇄하여 부분 엠보싱, 메탈릭, 펄(반짝이) 등을 구현하는 디지털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인쇄 옵션 입력 필드가 포함된 예시적인 웹 사이트 형태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F1 ~ F7은 용지의 종류, 용지의 두께, 규격, 수량 및 인쇄도수 등의 일반 인쇄 옵션을 입력하는 필드이다,
또한, F8은 파일 업로드 필드이고, F9는 후가공 옵션을 입력하는 후가공 옵션 입력 필드이다. 한편, 도면 부호 260은 자료 제공부(260)의 예시적인 형태이고, 도면 부호 A는 견적 비용 미리보기 화면의 예시적인 형태이다.
도 3의 예시도는 명함 주문의 일 예이며, 후가공 작업으로 코팅(구체적으로는 무광 코팅)이 인쇄 옵션으로 입력되어 있고, 견적 비용 미리보기 화면에서는 인쇄비와 코팅 후가공 비용이 출력되어 있다.
출력부(24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이 실시간으로 반영된 견적 비용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또한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에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이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한다. 견적 비용 산출과 미리보기 화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저장부(250)는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유효성 검사부(270)에서의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 각종 폴더 및 각종 파일과, 전처리부(280)의 파일 저장 모듈(281), 각종 폴더 및 각종 파일을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자료 제공부(26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인쇄 제작 공정에 최적화된 템플릿(T)을 제공한다. 한편, 고객이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 인쇄물을 디자인하는 경우, 인쇄 제작 공정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제작 가이드(I)를 제공한다.
템플릿(T)은 텍스트와 이미지 등이 기재되는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별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가공 레이어를 포함한다. 인쇄 레이어 단독, 또는, 인쇄 레이어 및 하나 이상의 후가공 레이어가 중첩되어 하나의 인쇄물을 형성할 수 있다.
고객은 제공받은 템플릿을 활용하여 이미지의 모양이나 크기를 최대한 왜곡시키지 않게 인쇄 파일을 제작하거나 제작 가이드의 기준에 준하여 인쇄파일을 제작한다.
유효성 검사부(270)은 고객이 선택한 인쇄 옵션과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매칭되는 지 여부와,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규격에 맞게 제대로 작성되었는 지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유효성 검사부(2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과, 유효성 검사 모듈(272)과, 파일 수정 모듈(273)과, 검사후 파일 저장 모듈(274)과, XML 파싱 모듈(275)과, DB 업데이트 모듈(276)을 포함한다.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은 유효성 검사 임시 폴더를 포함하며, 통신부(220)에서 수신된 인쇄 파일은 복사되어 유효성 검사 임시 폴더에 저장된다.
유효성 검사 모듈(272)은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에 저장된 인쇄 파일을 불러 와서 인쇄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유효성 검사 모듈(272)은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고객의 인쇄 옵션과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의 매칭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코팅’을 후가공 작업으로 입력한 경우,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에 코팅 레이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검사한다. 코팅 레이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출력부(240)를 통해 고객에게 알려 준다.
또한, 유효성 검사 모듈(272)은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규격에 맞게 제대로 작성되었는 지 여부를 검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다음의 사항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 다음의 사항은 예시적인 것일 뿐, 검사 항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인쇄용 CMYK 모드의 파일인지,
2) 여백 사이즈는 맞는지
3) 인쇄물의 재단 사이즈가 인쇄에 적합한지
4) 앞면, 뒷면 배열이 정확한 지,
5) 후가공 레이어 갯수가 주문 내용과 맞는지,
6) 폰트는 인쇄 가능한 크기인지
등 여러 가지 유형의 인쇄물을 위해 미리 프로그래밍된 요소에 맞게 인쇄 파일이 작성되었는 지를 검사한다. 이
때, 여러 가지 유형의 인쇄물에 대한 표준 규격은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다가, 유효성 검사 시에 유효성 검사 모듈(272)에 의해 호출되어,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에 저장된 인쇄 파일의 유효성 검사 시 검사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효성 검사 모듈(272)의 검사 과정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태스크 매니저를 통해 출력되어 인쇄 자동화 단말기의 관리자는 직접 인쇄 파일의 유효성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확인할 수 있다.
유효성 검사 모듈(272)의 검사 결과, 인쇄 파일에 오류가 발견되면 파일 수정 모듈(273)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오류 체크 페이지를 생성한다. 도 6에 예시된 오류 체크 페이지는 고객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인쇄에 부적합한 RGB 모드의 파일이어서 오류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CMYK모드의 파일로의 변경 여부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업로드한 인쇄 파일에 인쇄에 부적합한 05PT의 선을 포함하고 있다는 오류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고객이 입력한 인쇄물 규격과 업로드된 인쇄 파일의 규격이 맞지 않음을 알려주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고객이 제시된 해결 방안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고객이 직접 수정한 인쇄 파일을 재업로드하도록 파일 재접수 필드(F1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미리보기 화면은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에서 상기의 오류 체크 및 해결 방안에 따라 오류가 해소된 미리보기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오류 체크 페이지 및 미리보기 화면은 후술하는 견적 산출 모듈(283)에서 견적이 산출되고,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모듈(284)에서 미리보기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 후, 고객이
주문 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유효성 검사를 한 후, 인쇄 파일 원본은 원본 백업 폴더에 저장하고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 리포팅 파일은 리포팅 폴더에 저장한다. 이 후, 리포팅 파일은 XML 파싱 모듈(275)에 의해 데이터 변환 처리되고, 그 내용은 웹 사이트를 통해 고객에게 알려진다. 이때, 리포팅 파일은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유효성 검사를 통과했는지 또는 실패했는지에 대한 정보, 실패한 경우 실패의 원인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효성 검사 결과, 파일이 유효하면 성공 폴더에 저장하고, 유효하지 않은 파일이면 오류 폴더에 저장한 후, DB 업데이트 모듈(276)은 업로드된 인쇄 파일의 상태 정보나 오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전처리부(280)는 유효성 검사부(270)에서 유효성 검사를 통과한 인쇄 파일에 대해 조판 전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전처리 과정은, 인쇄 옵션을 인쇄 파일에 적용하여 인쇄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산출 과정과, 인쇄 옵션을 인쇄 파일에 적용한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과정과,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에 필요한 작업을 처리하는 후가공 처리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전처리부(2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저장 모듈(281)과,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과, 자동 견적 산출 모듈(283)과,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모듈(284)과, 레이어 전처리 모듈(285)를 포함한다.
파일 저장 모듈(281)은 성공 폴더에 저장된 인쇄 파일을 복사하여 저장한다.
자동 견적 산출과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과 레이어 처리를 위해,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인쇄 파일에 포함된 레이어를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로 분리하여 저장한다.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인쇄 파일 내에 레이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체크한다. 레이어 체크 결과, 레이어가 존재하는 파일이면 해당 인쇄 파일을 복사하여 레이어 폴더로 전송하고, 레이어는 없고 후가공 정보가 포함된 벡터 이미지(이하, 벡터 파일이라 함)나 색상 영역이 지정되어 있는 비트맵 파일일 경우, 해당 인쇄 파일을 복사하여 스팟 칼라 폴더로 전송한다.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스팟 칼라 폴더로 전송된 벡터 파일이나 비트맵 파일 내에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생성한다. 이 때 생성된 레이어들은, 예를 들어, 인쇄 레이어는 SpotColor 2 CMYK 일 수 있고, 후가공 레이어는 후가공 종류 별로 확장자가 붙은 파일 형태로 생성되며, 후가공 레이어명은 SpotColor 2 Cut, SpotColor 2 Crease, SpotColor 2 Brail, SpotColor 2 Fold, SpotColor 2 KissCut, SpotColor 2 Dash Rule, SpotColor 2 Punch, SpotColor 2 Emboss, SpotColor 2 White, SpotColor 2 Marking 일 수 있다.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레이어가 생성된 벡터 파일 또는 비트맵 파일을 복사하여 레이어 폴더로 전송한다.
만약, 레이어가 없고 벡터 이미지나 색상 영역도 없는 인쇄 파일인 경우, 인쇄 레이어만 생성하여 레이어 폴더로 전송한다.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레이어 폴더 내의 레이어들 중에서 인쇄되지 않는 레이어를 제거한다. 즉,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에 있는 레이어는 남기고,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에는 없지만 레이어 폴더 내에 있는 레이어는 제거한다.
만약,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에는 있지만 인쇄 파일 내에 해당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라면, 유효하지 않은 인쇄 파일이므로, 오류 폴더로 전송한다. 물론, 인쇄 파일은 성공 폴더로부터 불러 온 것이어서 유효성 검사부(270)를 검사를 마친 유효한 파일이지만, 유효성 검사부(270)의 검사 오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레이어 전처리 모듈(283)은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과 인쇄 파일 내에 존재하는 레이어의 대응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자료 제공부(260)에서 제공되는 템플릿 또는 제작 가이드에서 후가공을 위한 레이어에는 고객의 편의를 위해 한글 레이어명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후가공 처리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후가공 일괄 처리를 위해 한글 레이어명을 대응되는 영문 레이어명으로 변환한다.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레이어 폴더 내의 레이어들 중 인쇄 레이어가 여러 개인 경우, 인쇄 레이어는 합친다.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은 인쇄 레이어를 인쇄 레이어 파일, 후가공 레이어를 후가공 레이어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이때, 그 내용이 변경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JPG, GIF, TIFF 또는 PDF형태 등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F형태의 이미지 파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 데이터베이스로 경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자동 견적 산출 모듈(283)은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을 기초로 기본 인쇄 견적과 후가공 인쇄 견적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그 결과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기본 인쇄 견적은 인쇄 레이어를 기초로 산출되는 비용으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기본 인쇄 견적 데이터, 즉, 용지의 종류, 종이의 두께(g수), 인쇄도수, 재단 사이즈, 수량, 건수, 등의 데이터를 인쇄 레이어용 가격 테이블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된다.
후가공 인쇄 견적은 후가공 레이어를 기초로 산출되는 비용으로, 2종류로 산출된다. 즉, 일반 후가공 가격 테이블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일반 후가공 인쇄 견적과 후가공 레이어에 포함된 후가공 작업의 종류, 후가공 작업의 길이, 면적, 가변 오브젝트를 계산하여 산출되는 정밀 후가공 인쇄 견적이 있다.
일반 후가공 인쇄 견적은, 후가공 레이어가 자료 제공부(260)에서 제공되는 템플릿, 또는 제작 가이드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 이는 규격화된 템플릿 또는 제작 가이드에 맞춘 것이므로, 후가공 작업 별로 미리 작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반 후가공 레이어용 가격 테이블에 적용하여 산출된다.
정밀 후가공 인쇄 견적은, 고객이 직접 설계한 후가공 레이어를 기초로 산출되는 비용으로, 규격화된 템플릿 또는 제작 가이드에 따르지 않은 것이므로, 일반적인 가격 테이블이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후가공 레이어에 포함된 후가공 작업의 종류, 후가공 작업의 길이, 면적, 가변 오브젝트를 계산하여야 한다.
길이 계산은 다음과 같다. 우선, 후가공 레이어에 포함된 면을 선으로 바꾸고, 중복선을 제거한 후, 오일러의 한붓그리기 방식에 따라 장비의 가공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최적의 배치로 패스를 정렬한다. 다음, 가장자리 커팅 라인인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의 길이를 계산하고, 라인의 복잡도를 계산한다. 길이와 복잡도를 계산하여 전체적인 길이 계산을 한다.
베지어 곡선은 컴퓨터 그래픽에서 임의의 형태의 곡선을 표현하기 위해 수학적으로 만든 곡선으로, 최초의 제어점인 시작점과 최후의 제어점인 끝점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제어점의 이동에 의해 다양한 자유 곡선을 얻는 방법이다. 이 때 곡선은 제어점 위를 통과하는 것은 아니다. 시작점에서 시작한 곡선은 인접한 제어점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그 옆에 있는 제어점의 영향을 받아 첫 제어점 위를 지나가지 않고, 그 다음의 제어점 방향에 영향을 받아 곡선이 작성된다. 복잡도는 시작점, 제어점, 끝점, 내부 제어점 등의 분포와, 베지어 곡선의 꺽임 정도를 통해서 판단한다.
면적 계산은 다음과 같다. 이미지와 벡터(직선, 베지어 곡선)의 색상값이 있을 때, 이를 회색톤(Grayscale)으로 변경으로 한다. 회색톤으로 변경된 이미지와 벡터를 0, 1의 분포를 조정하여 값을 조절한다. 이때, 전체 면적에서 1의 분포를 기준으로 면적을 계산한다.
가변 오브젝트는 인쇄 파일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정형적으로 인쇄되는 부분이 아닌, 변형되어 기재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명함에서 변형되어 인쇄되는 영역인 로고나 이미지가 인쇄되는 영역(V1), 성명이 인쇄되는 영역(V2), 주소가 인쇄되는 영역(V3), 이메일 주소가 인쇄되는 영역(V4), 전화 번호가 인쇄되는 영역(V5) 등을 의미한다. 물론, 예시된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광학 문자 판독 장치(OCR, optical character reader)를 이용하여 가변 오브젝트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인쇄 파일에 대해 OCR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글씨 폰트와 크기가 동일하면 동일한 가변 오브젝트 영역으로 판단하고, 다르면 별개의 가변 오브젝트 영역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V2 ~ V5가 동일한 글씨 폰트와 크기의 문자인 경우, 하나의 가변 오브젝트 영역으로 판단되어 해당 인쇄 파일에는 로고가 인쇄되는 영역과 문자가 인쇄되는 영역으로 2개의 가변 오브젝트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V2 ~ V5 각각 다른 글씨 폰트와 크기의 문자인 경우, 4개의 가변 오브젝트 영역으로 판단되어 해당 인쇄 파일에는 로고가 인쇄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5개의 가변 오브젝트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자동 견적 산출 모듈(283)은 상기와 같이 가변 오브젝트 영역의 개수를 산출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계산된 길이, 면적, 가변 오브젝트의 개수를 이용하여 정밀 후가공 인쇄 견적을 산출한다.
산출된 기본 인쇄 견적과 후가공 인쇄 견적을 합산하여 총 인쇄 견적 비용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웹 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그 실시간으로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자동 견적 산출 모듈(283)에서 산출되는 기본 인쇄 견적 및 일반 후가공 인쇄 견적은 정형화, 규격화된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가격 테이블을 이용한 실시간 견적 산출이 가능하나, 정밀 후가공 인쇄 견적은 고객이 직접 디자인한 인쇄물이므로, 기존에는 상담사가 직접 파일을 열어보고 견적을 수동으로 내어 고객에게 직접 전화로 설명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정의한 후가공 레이어가 포함된 파일을 업로드되면 업로드와 동시에 인쇄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인쇄 파일 전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견적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이 그 자리에서 파일의 오류 수정이나 견적을 넣고 결재까지 기다리지 않고 원스텝으로 진행하게 해준다. 이로서 고객과 인쇄 담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지연되는 시간을 현격히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인 견적을 제공하고, 고객과의 피드백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주기 때문에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모듈(284)은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에 의해 분리 저장된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를 호출한 후, 각각의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를 소정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그 다음, 원본 인쇄파일의 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변환된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재조정하고, 크기가 재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미리보기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이미지 경로를 저장한다.
레이어 전처리 모듈(285)는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에 의해 분리 저장된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에 자동 조판을 위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먼저, 인쇄 레이어에 대해 CMYK 레이어 전처리를 수행한다. CMYK 레이어 처리는 인쇄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해 잉크별로 레이어를 분리하고 4가지 색을 합쳐서 색을 표현한다. 여기서 CMYK는 cyan, magenta, yellow, black을 의미하는 것으로, CMYK 레이어는 C(시안), M(마젠타), Y(노랑), K(검정)의 4색을 조합해서 정의한 색으로 원래의 컬러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CMYK의 요소를 4개의 편판으로 분해해 컬러 인쇄판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후가공 레이어에 대해 후가공 별로 후가공 레이어 전처리를 수행한다. 후가공 중에서 재단과 관련된 후가공인, 컷팅 가공(Cut Layer 처리), 오시 가공(Crease Layer 처리), 미싱 가공(DashRule Layer 처리), 반칼 가공(KissCut Layer 처리), 마킹 가공(Marking Layer 처리), 접지 가공(Fold Layer 처리), 타공 가공(Punch Layer 처리) 등은 전술한 레이어 분리 저장 과정에서 후가공에 필요한 처리가 수행되므로 별도의 처리 없이 진행된다.
한편, 후가공 중에서 금박 가공(GoldFoil Layer 처리), 은박 가공(SilverFoil Layer 처리), 형압 가공(Emboss Layer 처리), 흰색 별색 가공(White Layer 처리) 등은 면적과 관련된 후가공으로 CMYK 100% 처리를 통해 후가공이 수행되어야 할 영역을 설정하여 준다. 흰색 별색 가공과 관련하여, 흰색은 기본적으로 투명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인쇄가 되지 않는데, CMYK로 조합해도 흰색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별색 처리한다.
그 다음, 상기의 과정으로 전처리된 각각의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의 결과 파일들 및 해당 파일에의 접근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한편,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모듈(284)에서 미리보기 파일이 생성되면, 출력부(240)를 통해 미리보기 화면이 제공된다. 이때, 미리보기 화면은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가 중첩되어 제공된다. 고객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미리보기 화면을 볼 수 있으며,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해당 레이어로만 구성된 미리보기 화면을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파일이 인쇄 레이어, 커팅 레이어, 타공 레이어로 구성된 경우, 고객은 미리보기 화면에서 인쇄 레이어와 커팅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인쇄 레이어와 타공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후가공 레이어 중 일부만 선택하여 미리보기 화면에서 확인함으로써 전처리부(280)의 전처리 과정이 고객이 원하는 형상으로 처리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고객이 업로드하는 인쇄 파일이나, 유효성 검사부에서 수정된 인쇄 파일,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 파일 저장 모듈(281), 각종 폴더에 저장되는 파일은 그 내용이 변경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JPG, GIF, TIFF 또는 PDF형태 등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고객의 검수가 종료되고, 함께 제공되는 견적 비용을 확인한 후, 결제창을 통해 고객의 결제가 완료되면, 인쇄 작업 개시 전에 최종적으로 데이터 검증부(290)가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에 저장된 인쇄 파일을 이미지로 변환한 이미지 파일과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모듈(284)에 의해 생성된 미리보기 파일의 일치 여부를,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확인하여 검증한다.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에는, 특징점을 찾아 특징점을 비교하여 이미지 매칭을 수행하는 SURF 알고리즘(Speeded Up Robust Features), 대응점을 이용하는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알고리즘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특정점들의 군집 정도를 판단하여 비교율을 확인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고리즘은, 검색이미지의 KeyPoint 갯수와 검출된 비교 이미지의 KeyPoint의 갯수를 비교하고, 검색이미지 안의 KeyPoint들의 상관 관계와 검출된 비교이미지의 KeyPoint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검출한 후, 검색이미지와 비교이미지의 특징점과 그 주변 두 점의 내각을 값을 모두 계산하고, 계산된 각 점마다의 내각의 위치의 유사성을 보고 군집화 정도를 비교하여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이다.
검증결과 오류가 있는 경우, 이미지 파일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시 인쇄 파일을 확인한 후 재변환을 수행하고, 미리보기 파일이 문제가 있는 경우 전처리 단계와 데이터 검증 단계를 재수행하여 오류를 제거한다.
데이터 검증부(290)의 검증을 통해 인쇄 파일이 최종적으로 확정되면,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는 통신부(220)를 통해 인쇄 파일을 자동 조판 장치(300)로 전송한다.
자동 조판 장치(300)는 수신된 인쇄 파일에 따라 조판 작업을 진행한다. 자동 조판 장치(300)는 수신된 인쇄 파일 내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파일과 후가공 레이어 파일을 구분하고, 동일 종류의 후가공 별로 후가공 레이어파일을 분류할 수 있다.
자동 조판 장치(300)은 분류된 후가공 레이어 파일을, 스티커영역을 생성하는 커팅기, 엠보싱을 생성하는 기기, 분철을 위해 종이에 구멍을 뚫은 타공기 등 다양한 인쇄 관련 기기에 부합하는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레이어 파일은 인쇄기에 부합하는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자동 조판 장치(300)은 현재 유휴 상태의 다양한 인쇄 관련 기기의 작업 현황을 파악하여 인쇄 공정에 따른 인쇄 기기별 소요 시간을 예측한 후, 각 인쇄 기기에 변환된 파일을 전송하여 인쇄 및 후가공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자동 조판 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0)와, 통신부(320)와, 조판 데이터 생성부(330)와,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자동 조판 장치(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자동 조판 장치(300)에 정의된 기능(예컨대, 후가공 장비 선택,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자동 조판 파일 생성, 공정 데이터 생성 등)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조판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 조판 장치(3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제어부(31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10)는 자동 조판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310)는 통신부(320), 조판 데이터 생성부(330), 저장부(34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와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로부터 유효성 검사 및 전처리 작업이 완료된 인쇄 파일을 수신한다. 이 인쇄 파일은 인쇄 레이어 파일과 후가공 레이어 파일을 포함한다.
저장부(340)는 자동 조판 장치(3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조판 데이터 생성부(330)에서 생성되는 파일, 변환되는 파일,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조판 데이터 생성부(330)는 통신부(320)에서 수신된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기초로, 인쇄 장비 선택 및 후가공 작업을 진행할 최적의 장비를 선택하고,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장비가 작업 가능한 사이즈를 고려하여 판형을 선택한다. 각 장비가 요구하는 정보(예를 들어 정렬마크(registrationMark) 등)를 표시한 후, 최적화된 배치 정보를 생성한 다음 조판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판 파일을 각각의 후가공 장비에 적합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후가공 장비별 소요 시간 등을 예측하여 전체적인 공정 스케줄이 반영된 공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공정 데이터에 의해 인쇄물이 생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조판 데이터 생성부(3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선택 모듈(331)과, 주문 데이터 자동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과, 조판 파일 생성 모듈(333)과, 파일 변환 모듈(334)과, 공정 데이터 생성 모듈(335)을 포함한다.
장비 선택 모듈(331)은 통신부(320)에서 수신된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참조하여, 인쇄기 및 최적의 후가공 장비를 선택한다. 후가공 장비에는 커팅기, 미싱기, 오시기, 반칼 가공기, 마킹기, 타공기, 점자기 등 단일의 후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단일 후가공 장비와, 오시와 미싱, 재단과 오시와 미싱, 형압과 금박과 은박 등 2가지 이상의 후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가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복합 후가공 장비가 있을 수 있다.
장비 선택 모듈(331)은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 레이어 파일이 2가지 이상인 경우, 해당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320)에서 수신된 인쇄 파일이 1개의 인쇄 파일인 경우, 해당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 레이어 파일을 참조하여 해당 후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후가공 장비를 선택하면 되지만, 수신된 인쇄 파일이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 레이어 파일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여러 후가공 장비의 유휴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적의 후가공 장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인쇄 파일 A에 커팅, 타공이 포함되고, 인쇄 파일 B에 커팅, 오시가 포함되고, 인쇄 파일 C에 커팅, 미싱이 포함되어 있다면, 커팅은 공통된 후가공 작업이므로, 장비 선택 모듈(331)은 인쇄 파일 A, B, C에 포함된 커팅 작업을 위한 커팅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파일 A에 커팅이 포함되고, 인쇄 파일 B에 커팅, 오시가 포함되고, 인쇄 파일 C에 커팅, 오시가 포함되어 있다면, 커팅과 오시는 인쇄 파일 B와 C에 공통된 후가공 작업이므로, 장비 선택 모듈(331)은 인쇄파일 B, C에 포함된 커팅과 오시 작업을 위해 커팅과 오시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커팅과 오시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가 현재 가동 중인 경우에는 해당 장비가 유휴 상태가 아니므로, 장비 선택 모듈(331)은 인쇄 파일 A, B, C에 공통으로 포함된 커팅 작업을 위한 커팅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커팅과 오시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가 현재 가동 중이고, 커팅 장비도 현재 가동 중이라면, 장비 선택 모듈(331)은 두 장비의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재 작업이 빨리 종료하는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비 선택 모듈(331)은, 수신된 하나 이상의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및 후가공 레이어 파일들을 기초로, 중복되는 후가공 레이어의 존재 여부 및 현재 가동되는 후가공 장비들의 유휴 상태 또는 가용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한정된 시간 안에 다수개의 인쇄 파일이 최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적절한 후가공 장비를 선택한다.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은 장비 선택 모듈(331)이 선택한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장비의 인쇄 가용 영역 정보를 저장부(340)로부터 가져오고, 다수의 주문 데이터들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인쇄와 관련된 데이터를 인쇄 가용 영역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주문 데이터는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과 전처리 과정을 거친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와 관련한 데이터로 조판 승인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인쇄 가용 영역은 인쇄 장비의 가용 영역과 해당 후가공 장비의 인쇄 가용 영역을 모두 만족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장비 선택 모듈(331)은 후가공 장비가 추가될 때마다 해당 장비가 요구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마크(Registration Mark) 정보와 인쇄 가용 영역을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인쇄 가용 영역은 정형적인 형태의 인쇄물을 배치하는 정형 인쇄 가용 영역과 비정형적인 형태의 인쇄물을 배치하는 비정형 인쇄 가용 영역을 포함한다.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는 주문 데이터의 제품 종류, 인쇄 재질, 인쇄 크기와 인쇄 수량, 재단 형태, 컬러값(잉크 위치), 인쇄 및 후가공 종류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한다.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는 인쇄 크기 정보를 기준치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기준치는 1m X 1m 일 수 있으며, 인쇄 크기 정보가 기준치보다 크면 처리(조판된 파일의 리핑 및 파일 전송, 인쇄기 전송, 인쇄 시간) 시간이 많이 소요 되어 생산 효율이 저하 되는 문제가 발생 한다. 조판된 파일이 많을수록 처리 시간은 비례하므로 조판된 파일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배치 정보를 생성 한다.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는 인쇄 및 후가공 레이어에 포함된 인쇄물의 형태가 정형적인 형태인지 비정형적인 형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인쇄물이 정형적인 사각형 형태인지를 판단한다.
인쇄물이 정형적인 사각형 형태이면,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개의 셀(C1 ~ C16)이 형성된 정형 인쇄 가용 영역(L1)를 호출하고 각각의 셀(C1 ~ C16)에 인쇄물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만약, 인쇄물이 원형이나 타원형, 별 형상, 달 형상 등의 비정형적인 형태이면,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셀이 형성되지 않은 비정형 인쇄 가용 영역(L2)를 호출하고 네스팅(nest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쇄물을 최적의 배치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네스팅 알고리즘은, 일정한 면적의 판재에 비정형제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손실 부분을 최소화하며 최대 수율을 찾는 알고리즘으로, 이는 공지의 알고리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인쇄 가용 영역에 정형적인 인쇄물과 비정형적인 인쇄물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치 정보를 저장한 후, 인쇄 가용 영역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는 주문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여유 공간이 존재하면 해당 공간의 크기를 판단한 다음, 다른 인쇄 파일에 포함된 주문 데이터를 해당 여유 공간에 추가하고, 주문 데이터가 추가된 배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는 주문 수량 및 인쇄 크기를 고려하여 인쇄 가용 영역에 동일한 주문 데이터를 반복하여 배치하여 조판 파일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인쇄 크기의 인쇄 파일 A, B, C가 있으며, 각각의 주문 수량이 인쇄 파일 A는 100장, 인쇄 파일 B는 200장, 인쇄 파일 C는 300장이고, 하나의 인쇄 가용 영역에 배치 가능한 주문 데이터의 개수가 최대 6개라고 하자.
기존의 작업 방식에 의하면, 숙련된 작업자가 주문된 각 건의 인쇄 크기 정보를 작업 지시서에서 확인하고, 인쇄기의 인쇄 가용 영역을 확인하여 계산에 의해 배치 형태를 찾아낸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숙련된 작업자가 배치를 기획하여 A를 4개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 후 25매 인쇄, B를 4개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 후 50매 인쇄, C를 6개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 후 50매 인쇄 한다고 가정하면, 최소 총 3개의 조판 파일이 생성된다.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숙련된 작업자가 배치를 기획하여 A를 6개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 후 17매 인쇄, B를 6개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 후 34매 인쇄, C를 6개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 후 50매 인쇄한다고 가정하면, 최소 총 3개의 조판 파일이 생성된다. 이 경우, 인쇄 파일 A는 모두 102장이 인쇄되어 2장에 대한 종이와 잉크 등을 허비하게 되고, 인쇄 파일 B는 모두 204장이 인쇄되어 4장에 대한 종이와 잉크 등을 허비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자동 조판 장치는, 주문 수량 및 인쇄 크기를 고려하여 인쇄 가용 영역에 동일한 주문 데이터를 반복하여 배치하여 조판 파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는 인쇄 가용 영역에 인쇄파일 A의 주문 데이터, 인쇄 파일 B의 주문 데이터, 인쇄 파일 C의 주문 데이터 각각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주문 수량을 고려하여 A는 1개의 영역에, B는 2개의 영역에, C는 3개의 영역에 배치하는 배치 정보를 생성한다.
즉, 기존의 방식은 3개의 인쇄 가용 영역(3개의 조판 파일)이 필요하나, 본 발명의 자동 조판 장치에 의하면, 1개의 인쇄 가용 영역(1개의 조판 파일)으로 처리할 수 있어 생산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선된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출력을 하기 위하여 생성된 조판 파일을 Ripping 과정을 거처 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출력한 후에 커팅을 위한 세팅하고, 커팅하여 완성하는 출력 과정을 거치는 데, 인쇄 파일의 데이터가 큰 경우 Ripping 과정이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조판 파일을 인쇄하기 위해, Ripping 과정에서 10분, 출력기 전송과정에서 5분을 소요하고 출력을 하는데, 출력 시간은 출력기의 상황에 따르나 출력되는 면적이 같으면 시간은 동일하다 가정하고, 다시 커팅을 위해 세팅하는 시간이 3분 정도 소요하여 커팅한다고 가정하면, 1개의 조판 파일당 소요 시간은 18분이 소요되나 3판을 출력하려면 54분의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상기 예시에서, 기존의 경우, 3개의 조판 파일이 필요하여 54분이 소요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조판 파일만 필요하므로 18분이 소요되어 동일한 주문에 대해 제조 시간을 1/3 수준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에 의해 생성된 배치 정보는 저장부(340)에 저장된다. 상기 배치 정보는 XML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조판 파일 생성 모듈(333)은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332)에 의해 생성된 주문 데이터 배치정보, 인쇄 레이어 파일들 및 후가공 레이어 파일들을 수신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한다.
조판 파일 생성 모듈(333)은 각각의 인쇄 및 후가공 별로 새로운 조판 파일을 생성한 후, 배치 정보에 맞게 인쇄 및 후가공 레이어들을 배치한다.
또한, 조판 파일 생성 모듈(333)은 인쇄 과정에서 필요한 돔보, 바코드, 재단선, ColorBar 등의 생산 공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조판 파일 생성 모듈(333)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가 있는 경우, 해당 복합 후가공 장비가 수행할 수 있는 후가공에 해당하는 조판 파일을 병합(Flatten 처리)한 후, 별도의 병합된 조판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파일 변환 모듈(334)은 조판 파일 생성 모듈(333)에서 생성된 조판 파일을 각각의 후가공 장비에서 요구하는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조판 파일 생성 모듈(333)에 의해 생성된 조판 파일은 예를 들어 PDF 형식의 파일이고, PDF 파일은 후가공 장비에서 요구하는 파일 형식이 아니어서 적합하지 않으므로 후가공 장비에서 요구하는 파일형식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PDF 파일을 PDF2INI, PDF2SCRIPT, PDF2TIF, PDF2CUT, PDF2HPGL,GPGL, PDF2JDF 등의 형식으로 변환한 후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이후, 변환된 파일은 각각의 후가공 장비로 전송되고, 각각의 후가공 장비는 변환된 파일에 따라 인쇄 및 후가공 공정을 진행한다.
공정 데이터 생성 모듈(335)은 후가공 장비 별로 처리 시간을 예측하여 전체적인 공정 스케줄에 대한 공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공정 데이터 생성 모듈(335)은 최종 인쇄물을 생산하기 위해, 후가공 장비들의 가동 시간을 예측하고 각각의 후가공 장비들의 유휴 시간이 없도록 전체적인 생산 공정을 조율하는 데이터를 XML 파일 형식으로 생성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물류 관리 장치(400)는 인쇄 작업이 완료되어 인쇄물이 완성되면, 인쇄물을 찍은 사진이나 스캔한 이미지 파일을 전처리부(280)에서 생성한 미리보기파일과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인쇄물 제작의 완성도를 검증한다.
물류 관리 장치(400)는 대량으로 발생하는 인쇄물을 고객별로 정확하게 배송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보기 파일과 일치하는 고객의 정보 중 배송지 주소, 이름을 확인하여 배송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0은 인쇄 파일의 유효성 검사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1은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2는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레이어 분리 저장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3은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견적 산출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4는 견적 산출 단계 중에서 후가공 인쇄 견적 산출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5는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6은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 중에서 레이어 전처리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7은 자동 조판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8은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9는 조판 파일 생성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인쇄 옵션 및 인쇄 파일 수신한다.(S100)
고객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쇄 옵션 입력 필드에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원하는 인쇄 옵션을 선택한다. 이때, 인쇄 옵션은 일반적인 용지 종류, 크기 등의 일반 인쇄 옵션과 커팅, 미싱 등의 후가공 옵션 등을 포함한다. 고객이 일반 인쇄 옵션, 후가공 옵션 등을 선택한 후, 인쇄 파일을 업로드하여 전송키를 누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로 인쇄 옵션 및 인쇄 파일이 전송된다.
다음, 인쇄 자동화 단말기가 수신된 인쇄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한다.(S200) 즉,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의 유효성 검사부(270)는 고객이 선택한 인쇄 옵션과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매칭되는 지 여부와,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규격에 맞게 제대로 작성되었는 지 여부를 검사한다. 검사과정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처리부(280)는 유효성 검사부(270)에서 유효성 검사를 통과한 인쇄 파일에 대해 조판 전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S300) 전처리 과정은, 인쇄 옵션을 인쇄 파일에 적용하여 인쇄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산출 단계와, 인쇄 옵션을 인쇄 파일에 적용한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단계와,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에 필요한 작업을 처리하는 후가공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인쇄 파일에 대해 전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인쇄 자동화 단말기(200)는 통신부(220)를 통해 최종 인쇄 파일을 자동 조판 장치(300)로 전송하고, 자동 조판 장치(300)는 수신된 최종 인쇄 파일에 따라 조판 작업을 진행한다.(S400) 이에 대해서는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물류 관리 장치(400)는 인쇄 작업이 완료되어 인쇄물이 완성되면, 인쇄물을 찍은 사진이나 스캔한 이미지 파일을 전처리부(280)에서 생성한 미리보기파일과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인쇄물 제작의 완성도를 검증하고, 대량으로 발생하는 인쇄물을 고객별로 정확하게 배송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리보기 파일과 일치하는 고객의 정보 중 배송지 주소, 이름을 확인하여 배송을 수행한다.(S500)
도 20를 참조하여 인쇄 파일의 유효성 검사 단계(S200)를 설명한다.
유효성 검사 모듈(272)은 파일 임시 저장 모듈(271)에 저장된 인쇄 파일을 불러 온다.(S210)
다음, 고객이 선택한 인쇄 옵션과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매칭되는 지 여부를 검사한다.(S220) 예를 들어,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에 고객이 선택한 인쇄 옵션에 해당하는 레이어(또는 색상 영역)가 있는 지를 검사한다.
고객이 선택한 인쇄 옵션과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매칭되지 않으면,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오류 체크 페이지를 생성하고, 오류의 수정 여부를 통지한다.(S221, S222) 고객이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객으로 하여금 파일을 직접 수정하고 재업로드해 줄 것을 요청한다.(S223)
고객이 선택한 인쇄 옵션과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매칭되거나, 또는 고객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오류 체크 페이지를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하면,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규격에 맞게 제대로 작성되었는 지 여부를 검사한다.(S230)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규격에 맞지 않으면,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오류 체크 페이지를 생성하고, 오류의 수정 여부를 통지한다.(S231, S232) 고객이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객으로 하여금 파일을 직접 수정하고 재업로드해 줄 것을 요청한다.(S223)
고객이 업로드한 인쇄 파일이 규격에 맞거나, 또는 고객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오류 체크 페이지를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하면, 해당 인쇄 파일을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고, 유효성 검사를 종료하고, 후술하는 전처리 과정을 개시한다. 이러한 오류 체크 페이지 및 미리보기 화면은 후술하는 견적이 산출되고, 미리보기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 후, 고객이 주문 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쇄 옵션과 인쇄 파일의 매칭 여부(S220)가 인쇄 파일의 규격 준수 여부(S230) 보다 선행하는 과정인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S220 단계와 S230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S230 단계가 S220 단계 보다 선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1 내지 26을 참조하여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S300)를 설명한다. 인쇄 파일의 전처리 단계(S300)는, 인쇄 옵션을 인쇄 파일에 적용하여 인쇄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산출 단계(S330)와, 인쇄 옵션을 인쇄 파일에 적용한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단계(S340)와,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 레이어를 전처리하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
먼저, 유효성 검사를 통과한 인쇄 파일(즉, 파일 저장 모듈(281)에 저장된 인쇄 파일)을 호출한다.(S310)
다음,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이 인쇄 파일에 포함된 레이어를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로 분리하여 저장한다.(S320, 도 22 참조)
다음, 분리 저장된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이용하여 견적을 산출하고(S330, 도 23 및 도 24 참조), 미리보기 이미지를 생성하며(S340, 도 25 참조), 레이어를 전처리한다.(S350, 도 26 참조)
다음, 산출된 견적 및 미리보기 이미지를 웹 사이트를 통해 출력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주문 내용과 주문 내용에 따른 견적 비용을 확인하도록 한다.(S360) 고객이 출력된 미리보기 이미지를 통해 인쇄 파일의 오류 여부, 오류가 수정된 인쇄 이미지 등을 확인하고 결재함으로써 전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레이어 분리 저장 단계(S320)에서 인쇄 파일 내에 레이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체크한다.(S321) 레이어 체크 결과, 레이어가 존재하는 파일이면 해당 인쇄 파일을 복사하여 레이어 폴더로 전송하고(S326), 레이어는 없고 후가공 정보가 포함된 벡터 이미지(이하, 벡터 파일이라 함)나 색상 영역이 지정되어 있는 비트맵 파일일 경우, 해당 인쇄 파일을 복사하여 스팟 칼라 폴더로 전송하고, 스팟 칼라 폴더로 전송된 벡터 파일이나 비트맵 파일 내에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생성하고, 레이어가 생성된 벡터 파일 또는 비트맵 파일을 복사하여 레이어 폴더로 전송한다.(S322, S324, S325, S326)
만약, 레이어가 없고 벡터 이미지나 색상 영역도 없는 인쇄 파일인 경우, 인쇄 레이어만 생성하여 레이어 폴더로 전송한다.(S322, S323, S326)
레이어 폴더 내의 레이어들 중에서 인쇄되지 않는 레이어를 제거하고, 한글 레이어명을 대응되는 영문 레이어명으로 변환한다.(S327, S328)
레이어 폴더 내의 레이어들 중 인쇄 레이어가 여러 개인 경우, 인쇄 레이어는 합치고, 인쇄 레이어를 인쇄용 파일, 후가공 레이어를 후가공용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로 경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329)
도 23을 참조하면, 견적 산출 단계에서는 고객이 입력한 인쇄 옵션을 기초로 기본 인쇄 견적과 후가공 인쇄 견적을 자동으로 산출한다.
먼저, 이전 단계에서 분리 저장된 레이어들을 호출한다.(S331)
레이어 중에서 인쇄 레이어로 기본 인쇄 견적을 산출한다.(S332) 즉, 인쇄 레이어용 가격 테이블에 적용하여 기본 인쇄 견적을 산출한다.
레이어 중에서 후가공 레이어로 후가공 인쇄 견적을 산출한다.(S333) 도 24에는 후가공 인쇄 견적을 산출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후가공 레이어가 정밀 후가공 레이어인지를 체크한다.(S333a)
정밀 후가공 레이어인 경우, 후가공 레이어에 포함된 후가공 작업의 종류, 후가공 작업의 길이, 면적, 가변 오브젝트를 계산하여, 정밀 후가공 견적을 산출한다.(S333b, S333c)
일반 후가공 레이어인 경우, 후가공 작업 별로 미리 작성된 일반 후가공 가격 테이블에 적용하여 일반 후가공 견적을 산출한다.(S333d, S333e)
산출된 기본 인쇄 견적과 후가공 인쇄 견적을 합산하여 총 인쇄 견적 비용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웹 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그 실시간으로 결과를 출력한다.(S333f)
도 25를 참조하여, 미리보기 이미지 생성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레이어 분리 저장 모듈(282)에 의해 분리 저장된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를 호출한 후, 각각의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를 소정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S341, S342)
그 다음, 원본 인쇄 파일의 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변환된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재조정하고, 크기가 재조정된 이미지 파일을 미리보기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이미지 경로를 저장한다.(S343, S344, S345)
도 26을 참조하여, 레이어 전처리 단계를 설명한다.
레이어 전처리 단계는 분리 저장된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에 자동 조판을 위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먼저, 먼저, 인쇄 레이어에 대해 CMYK 레이어 전처리를 수행한다.(S351)
다음, 후가공 레이어에 대해 후가공 별로 후가공 레이어 전처리를 수행한다.(S352) 후가공 중에서 재단과 관련된 후가공은 전술한 레이어 분리 저장 단계에서 후가공에 필요한 처리가 수행되므로 별도의 처리 없이 진행된다. 후가공 중에서 면적과 관련된 후가공은 CMYK 100% 처리를 통해 후가공이 수행되어야 할 영역을 설정하여 준다.
다음, 상기의 과정으로 전처리된 각각의 인쇄 레이어와 후가공 레이어의 결과 파일들 및 해당 파일에의 접근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53)
도 27 내지 29를 참조하여 자동 조판 단계(S400)를 설명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자동 조판 단계(S400)는, 장비 선택 단계(S410)와,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단계(S420)와, 조판 파일 생성 단계(S430)와, 조판 파일 변환 단계(S440)와, 공정 데이터 생성 단계(S450)를 포함한다.
장비 선택 단계(S410)는 통신부(320)에서 수신된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참조하여, 인쇄기 및 최적의 후가공 장비를 선택한다.
장비 선택 단계(S410)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 레이어 파일들을 기초로, 중복되는 후 가공 레이어의 존재 여부 및 현재 가동되는 후가공 장비들의 유휴 상태 또는 가용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한정된 시간 안에 다수개의 인쇄 파일이 최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적절한 후가공 장비를 선택한다.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단계(S420)는 장비 선택 단계(S410)에서 선택된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장비의 인쇄 가용 영역 정보를 저장부(340)로부터 가져오고, 다수의 주문 데이터들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인쇄 가용 영역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이에 대해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인쇄 가용 영역은 인쇄 장비의 가용 영역과 해당 후가공 장비의 인쇄 가용 영역을 모두 만족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먼저, 다수의 주문 데이터들의 인쇄 크기와 인쇄 수량, 재단 횟수, 컬러값(잉크 위치) 등을 고려하여 동일 종류의 인쇄 크기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인쇄 크기 정보들의 크기를 확인한다.(S421, S422)
그 다음, 확인된 인쇄 크기 정보가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보다 크면,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해 최대한 조판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배치 형태를 찾아낸다.(S423, S424)
그 다음, 인쇄 및 후가공 인쇄물의 형태가 정형적인 형태인지 비정형적인 형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인쇄물이 정형적인 사각형 형태인지를 판단한다.(S425)
인쇄물이 정형적인 사각형 형태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개의 셀(C1 ~ C16)이 형성된 정형 인쇄 가용 영역(L1)를 호출하고 각각의 셀(C1 ~ C16)에 인쇄물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426b)
인쇄물이 비정형적인 형태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셀이 형성되지 않은 비정형 인쇄 가용 영역(L2)를 호출하고 네스팅(nest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쇄물을 최적의 배치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426a, S426b)
배치 정보를 저장한 후, 주문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여유 공간이 존재하면 해당 공간의 크기를 판단한 다음, 다른 인쇄 파일에 포함된 주문 데이터를 해당 여유 공간에 추가하고, 주문데이터가 추가된 배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427, S428, S429)
한편, 주문 수량을 고려하여 인쇄 가용 영역에 동일한 인쇄 파일에 있는 인쇄 및 레이어를 반복하여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판 파일 생성 단계(S430)는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단계(S420)에서 생성된 배치 정보에 따라 고객이 주문한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및 후가공 레이어를 배치하여조판 파일을 생성한다. 이에 대해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단계(S420)에서 생성된 배치 정보 및 인쇄 파일에 포함된 인쇄 레이어 파일들, 후가공 레이어 파일들을 수신한다.(S431)
그 다음, 각각의 후가공 별로 새로운 비어 있는 조판 파일을 생성한 후, 배치 정보에 따라 인쇄 및 후가공 레이어 파일들을 배치한다.(S432)
그 다음, 인쇄 과정에서 필요한 돔보, 바코드, 재단선, ColorBar 등의 생산 공정 정보를 생성한다.(S433)
그 다음,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있다면 해당 복합 후가공 장비가 수행할 수 있는 후가공에 해당하는 조판 파일을 병합하거나 Flatten 처리한 후, 별도의 병합된 조판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434, S435, S436)
조판 파일 변환 단계(S440)는 생성된 조판 파일을 각각의 후가공 장비에서 요구하는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PDF 형식의 조판 파일을 PDF2INI, PDF2SCRIPT, PDF2TIF, PDF2CUT, PDF2HPGL,GPGL, PDF2JDF 등의 형식으로 변환한 후 저장한다.
공정 데이터 생성 단계(S450)는 후가공 장비 별로 처리 시간을 예측하여 전체적인 공정 스케줄에 대한 공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최종 인쇄물을 생산하기 위해, 후가공 장비들의 가동 시간을 예측하고 각각의 후가공 장비들의 유휴 시간이 없도록 전체적인 생산 공정을 조율하는 데이터를 XML 파일 형식으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고객의 요구 사항을 간단하게 지정하여 인쇄가 가능하므로 인쇄 작업이 쉽고, 고객의 인쇄 파일 제공과 동시에 파일의 오류여부가 체크되어 오류가 발견되는 경우, 수정 보완이 용이하다.
또한, 고객이 실시간으로 인쇄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검토 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기존 견적에 비해 후 가공되는 부분의 크기를 정확히 알아내어 합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견적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 전체 인쇄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요청에서부터 인쇄 작업 후 배송에 이르기까지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상당히 인쇄 결과물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전문 디자이너의 검수단계와 고가의 디자인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처리를 자동화하고, 인쇄 작업에 있어 고객의 요청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반영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쇄 대상을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조판할 수 있어 생산 기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자동 조판 시스템을 통해 주문에 따라 중복처리 할 수 있는 인쇄 기기를 선택하여 가동률을 높이고, 물류관리 시스템에서 인쇄물의 생산 후 고객의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배송의 오류를 줄여 전체 인쇄 공정 속도의 향상에 따른 생산 비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종이의 면적에 인쇄되는 고객의 인쇄 대상을 최적화하여 종이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 : 인쇄 자동화 단말기
210 : 제어부 220 : 통신부
230 : 입력부 240 : 출력부
250 : 저장부 260 : 자료 제공부
270 : 유효성 검사부 280 : 전처리부
290 : 데이터 검증부 300 : 자동 조판 장치
400 : 물류 관리 장치 310 : 제어부
320 : 통신부 330 : 조판 데이터 생성부
340 : 저장부

Claims (6)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가 포함된 다수의 인쇄 파일과 인쇄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다수의 인쇄 파일에 포함된 다수의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기초로, 중복되는 후가공 레이어의 존재 여부 및 현재 가동되는 후가공 장비들의 유휴 상태 또는 가용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다수의 인쇄 파일을 처리할 수 있는 후가공 장비를 선택하는 장비 선택 모듈과,
    인쇄 및 각각의 후가공 작업 별로 상기 주문 데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데이터 자동배치 정보 생성 모듈과,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를 배치하여 조판 파일을 생성하는 조판 파일 생성모듈과,
    상기 생성된 조판 파일을 각각의 후가공 장비에서 요구하는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파일 변환 모듈과,
    각각의 후가공 장비별 소요 시간을 예측하여 각각의 후가공 장비들의 유휴 시간이 없도록 하는 공정 스케줄이 반영된 공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 데이터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조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자동 조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장비 선택 모듈이 선택한 인쇄 장비 및 후가공 장비를 고려한 인쇄 가용 영역에 상기 주문 데이터가 겹치는 영역이 없도록 상기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 가용 영역은,
    정형적인 형태의 인쇄물을 배치하는 정형 인쇄 가용 영역과, 비정형적인 형태의 인쇄물을 배치하는 비정형 인쇄 가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문 데이터 자동 배치 정보 생성 모듈은,
    주문 수량 및 인쇄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인쇄 가용 영역에 동일한 주문 데이터를 반복 배치하여 조판 파일의 수를 줄이는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판 파일 생성 모듈은,
    다수의 후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후가공 장비가 있는 경우, 상기 복합 후가공 장비가 수행할 수 있는 후가공에 해당하는 조판 파일을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판 장치.
  6.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접속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인쇄 옵션 및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인쇄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 파일의 오류 여부 및 인쇄 프로세스에의 적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인쇄 옵션을 상기 인쇄 파일에 적용하여 인쇄 견적을 산출하고, 미리보기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인쇄 파일에 포함된 후가공 레이어에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자동화 단말기; 및,
    상기 인쇄 자동화 단말기로부터 인쇄 레이어 및 후가공 레이어가 포함된 다수의 인쇄 파일과 인쇄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 데이터를 기초로 조판 파일을 생성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자동 조판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KR1020190026566A 2019-03-08 2019-03-08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KR20200107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566A KR20200107436A (ko) 2019-03-08 2019-03-08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566A KR20200107436A (ko) 2019-03-08 2019-03-08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436A true KR20200107436A (ko) 2020-09-16

Family

ID=7266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566A KR20200107436A (ko) 2019-03-08 2019-03-08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4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535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마플코퍼레이션 인쇄 조판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632B1 (ko) 2012-11-30 2013-06-10 김재택 인쇄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632B1 (ko) 2012-11-30 2013-06-10 김재택 인쇄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535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마플코퍼레이션 인쇄 조판 생성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9829A (en) Automated printing control system
KR101791047B1 (ko) 커팅 자동화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커팅 자동화 시스템
US6791707B2 (en) Automated, hosted prepress applications
EP1975772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int jobs
US7999955B2 (en) Printing system, prin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that differentiate between on-line and off-line finishing devices in said printing system
US6771384B1 (en) Imposition of graphic image files
US7349116B2 (en) Design-to-ship enabled shipping device in a commercial printing environment and managing workflow for use with same
US7589851B2 (en) System for job control of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job control of document processing process
CN106406779A (zh) 电子发票打印方法、系统及设备
JP202018423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043846A1 (en) Design-to-pack enabled packaging device in a commercial printing environment and managing workflow for use with same
US6903839B1 (en) Apparatus for washing of graphic image files
US20050030557A1 (en) Design-to-press enabled printing device and design-to-finish enabled finishing device in a commercial printing environment and managing workflow for use with same
US116149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indicating a quality requirement for a product
JP6362094B2 (ja) 印刷検品装置、印刷検品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71264A (ja) 印刷管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印刷システム
KR101665661B1 (ko)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KR20200107436A (ko)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CN102963121A (zh) 数据生成装置、数据生成方法和存储介质
US9430174B2 (en) Print production system, print production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int production program, and printing management server
EP2660708A2 (en) Data generating apparatus, data genera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665660B1 (ko) 인쇄 자동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US7697153B2 (en) Print management device, print management method, print management storage medium, and print system
EP29516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print job
US6216142B1 (en) Desk top publishing method of laying parts on leaf pattern and method of displaying leaf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