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292A -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292A
KR20200107292A KR1020190026193A KR20190026193A KR20200107292A KR 20200107292 A KR20200107292 A KR 20200107292A KR 1020190026193 A KR1020190026193 A KR 1020190026193A KR 20190026193 A KR20190026193 A KR 20190026193A KR 20200107292 A KR20200107292 A KR 20200107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unit
signal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351B1 (ko
Inventor
정기원
황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릭스
Priority to KR102019002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3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화재감지기에서 각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감지부와, 복수의 감지부의 이상작동여부를 관리하는 감지기관리부를 포함한다. 감지기관리부는 감지신호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신호판단부와 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 시스템은 화재로 인한 연기를 복수의 감지기를 통해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여부를 알려주게 된다.
화재감지기는 유입되는 연기의 양을 감지함으로서, 화재를 인식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에서 연기가 유입되는 홀에 먼지 또는 벌레가 끼거나 유입되는 경우 화재감지기는 고장 또는 오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화재감지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직접 고장여부를 체크하여야 한다.
화재감지기는 넓은 빌딩이나 사업장의 경우 화재감지기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일정 공간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수많은 화재감지기를 일일히 체크하며, 고장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시스템을 개선한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신뢰성을 향상시킨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화재감지기에서 각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감지부; 상기 복수의 감지부의 이상작동여부를 관리하는 감지기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부 중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제 n 감지부와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감지신호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신호판단부; 상기 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상신호판단부는,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에서 파동의 진폭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 중 파동의 진폭이 작은 감지신호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상신호판단부는,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에서 평균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 중 평균값이 큰 감지신호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부의 위치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신호판단부와 상기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n 감지부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 및 상기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의 위치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복수의 감지부의 IP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하는 광 중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연기에 의해 산란된 광이 수신되도록 구성되는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리시스템을 개선하여, 화재감지기들에 대한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재감지기들의 고장여부를 쉽게 알 수 있어서,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재감지기들의 고장여부를 시스템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화재감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화재감지기에 관한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감지장치에 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순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화재감지기에 관한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감지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1)은 건물이나 넓은 사업장과 같이 복수의 화재감지기(10)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서, 고장이나 오작동과 같은 이상동작하는 화재감지기(10)를 시스템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화재감지기(10)는 화재발생시 생성되는 연기의 양을 감지함으로서,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화재감지기(10)는 천장 또는 벽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12)과, 하우징(12) 내부에서 연기감지공간(24)을 형성하는 감지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연기가 유입될 수 있는 하우징 개구(14)를 형성하며, 천장 또는 벽으로부터 일정크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장치(20, 도 2 참고)는 장치본체(22)와, 장치본체(22)를 덮는 장치커버(30, 도 3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2)는 연기가 유입되는 연기감지공간(24)을 형성하고, 연기감지공간(24)으로 향하는 외부로부터의 광은 차단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장치본체(22)는 연기감지공간(24)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기가이드(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기가이드(26)는 연기감지공간(24)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연기가이드(26)는 대략 원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연기가이드(26)는 대략 ‘ㅏ’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연기가이드(26)의 오목한 홈으로 인접한 연기가이드(26)가 접촉하지 않도록 삽입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는 복수의 연기가이드(26)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26a)으로 유입되되, 외부로부터의 광은 복수의 연기가이드(26)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장치본체(22)는 발광소자(27)와 수광소자(28)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27)와 수광소자(28)는 연기감지공간(24)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소자(27)로부터 발하는 광의 각도는 수광소자(28)로 수신되는 광의 각도와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기감지공간(24)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경우 발광소자(27)로부터 발하는 광은 유입된 연기에 굴절 또는 산란되며, 굴절 또는 산란된 광이 수광소자(28)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광소자(28)로 수광되는 광이 일정양 이상인 경우 화재로 인한 연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부(40)는 각각 복수의 화재감지기(10)에서의 수광신호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치본체(22)는 발광소자(27)로부터 발하는 광이 직접 수광소자(28)로 수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광소자(27)와 수광소자(28)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격벽(29)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커버(30)는 장치본체(22)에 분리가능하도록 장치본체(22)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커버(30)는 커버몸체(32)와, 커버몸체(32)로부터 연장되되, 복수의 연기가이드(26)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이물차단벽(3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32)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몸체(32)는 연기감지공간(24)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물차단벽(34)은 원통의 둘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차단벽(34)에는 복수의 홀(36)이 형성되어,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36)은 벌레나 먼지등의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연기,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1)은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40)와, 복수의 감지부(40)의 이상작동여부를 관리하는 감지기관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1)에 마련되는 복수의 화재감지기(10) 각각에 배치되어, 연기발생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감지부(40)는 각각 IP가 부여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수광소자(28)에 수광되는 수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수광된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이하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감지기관리부(50)는 복수의 감지부(40)들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들을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할 수 있다. 감지기관리부(50)는 감지신호들 중 이상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이상감지부(4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감지기관리부(50)는 신호수집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집부(52)는 복수의 감지부(40)로부터의 감지신호들을 수집하도록 마련된다. 신호수집부(52)에 의해 수집되는 감지신호들은 시간이력과 함께 수집될 수 있다. 신호수집부(52)에 의해 획득된 감지신호들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0)에는 복수의 감지부(40)들의 위치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으며, 감지신호들이 각 감지부(40)마다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는 복수의 감지부(40)의 위치정보는 복수의 감지부(40)에 부여된 IP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관리부(50)는 고장여부판단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장여부판단부(54)는 획득한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의 감지부(40)들의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다. 고장여부판단부(54)의 대상이 되는 감지신호는 신호수집부(52)에 의해 획득되는 실시간 감지신호일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감지신호일 수도 있다.
고장여부판단부(54)는 이상신호판단부(56)와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복수의 감지신호들 중 이상감지신호를 판단하도록 마련된다. 물건이나 사람의 이동, 환기, 환복등 일상생활에 의한 먼지 또는 이물질의 유동으로 인해 감지부(40)의 감지신호는 도 5의 Sn과 같이 일정파동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재감지기(10)로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이 막히는 경우, 연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화재감지기(10)의 하우징개구(14), 가이드공간(26a), 이물차단벽(34)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36)이 막히는 경우, 화재감지기(10)로 유동하는 연기는 연기감지공간(24)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5의 Sn과 같이 정상인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서 생성되는 파동은 도 5의 Sa와 같이 인접한 이상이 있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서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복수의 감지부(40) 중 제 n 감지부(4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와,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감지부(4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감지부(40)들간의 인접여부는 데이터베이스(6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인접의 기준값을 미리설정함으로서 제 n 감지부(40)의 감지신호와 인접한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인접의 기준값은 감지영역이 구획된 공간별로 달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감지영역의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비교 대상이 되는 감지신호들을 시간이력을 기반으로 동일한 시간대로 정렬한 뒤에 비교할 수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감지신호들에서 파동의 진폭을 각각 구하고, 진폭들의 크기 차이(g)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를 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감지신호들의 진폭의 차이(g)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n 감지부(40)의 감지신호와, 인접한 감지부(40)의 감지신호 중 진폭이 작은 감지신호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에는 감지신호 Sa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값은 기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값을 크게 설정하는 경우 민감도를 낮출 수 있으며, 기준값을 작게 설정하는 경우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민감도의 조절은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일 수 있다.
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이상신호판단부(56)에 의해 탐색된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4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5의 경우에는 감지신호 Sa를 생성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기 정보생성부는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감지부(4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생성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7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1)은 복수의 감시부가 마련되므로, 이상신호판단부(56)에 의한 판단은 복수의 감시부의 개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감지기관리부(5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감지기 정보생성부로부터 이상신호의 정보와, 이상신호를 생성한 감지부(40)의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70)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통신부는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Communication), 셀룰러(cellular) 및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규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규약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70)은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는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복수(k개)의 화재감지기(10)의 감지부(40)는 수광신호의 광량으로부터 감지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감지신호들은 신호수집부(52)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S110).
이상신호판단부(56)는 신호수집부(52)에 의해 수집되는 감지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제 1 감지부(40)부터 순차적으로 감지신호들을 탐색할 수 있다(S120).
이상신호판단부(56)는 신호수집부(52)에 의해 수집되는 감지신호들 중 이상신호를 탐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상신호판단부(56)는 제 n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와,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S130). 이후,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들의 진폭의 차이(g)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40).
이상신호판단부(56)는 진폭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 중 진폭이 작은 감지신호를 탐색한다.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58)는 탐색된 진폭이 작은 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40)를 이상동작 감지부로서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150).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58)에 의해 생성된 정보들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출력되거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70)로 송신될 수 있다.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58)는 이상동작 감지부로서 위치정보를 생성한 뒤에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진폭의 차이(g)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감지부(40)들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이후 n이 k인지를 판단하여(S160), n이 k가 아닌 경우에는 이상신호판단부(56)는 순차적으로 다음 감지부(40)의 감지신호와 인접한 감지부(40)와 감지신호를 비교하게 되면서 과정이 반복된다(S170, n <- n+1). 이상신호판단부(56)에 의해 모든 감지부(40)의 감지신호들이 비교되면, 즉 n=k 인 경우에는 과정이 종료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화재감지기(10) 중 이상작동하는 화재감지기(10)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1)을 통해 화재감지기(10)들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화재감지기(10)들의 고장여부를 일일이 파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화재감지기(10)들에 대한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복수의 감지신호들 중 이상감지신호를 탐색하도록 마련된다. 화재감지기(10)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배치 또는 누적되는 경우에는, 먼지나 이물질에 광이 반사되어 수광소자(28)로 수광되는 광량이 크게 된다. 이 경우, 도 7의 Sa와 같이 이상이 있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의 평균값은 도 7의 Sn과 같이 정상인 감지부(40)의 감지신호의 평균값보다 크게 된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복수의 감지부(40) 중 제 n 감지부(4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와,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감지부(4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감지부(40)들간의 인접여부는 데이터베이스(6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인접의 기준값을 미리 설정함으로서 제 n 감지부(40)의 감지신호와 인접한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인접의 기준값은 감지영역이 구획된 공간별로 달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감지영역의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감지신호들을 시간이력을 기반으로 동일한 시간대로 정렬한 뒤에 비교할 수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제 n 감지부(4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의 평균값과, 인접한 감지부(4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의 평균값의 차이(g)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를 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감지신호들의 평균값의 차이(g)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n 감지부(40)의 감지신호와, 인접한 감지부(40)의 감지신호 중 평균값이 큰 감지신호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에는 감지신호 Sa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값은 기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값을 크게 설정하는 경우 민감도를 낮출 수 있으며, 기준값을 작게 설정하는 경우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민감도의 조절은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일 수 있다.
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이상신호판단부(56)에 의해 탐색된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4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7의 경우에는 감지신호 Sa를 생성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기 정보생성부는 데이터베이스(60, DB)로부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감지부(4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생성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7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복수(k개)의 화재감지기(10)의 감지부(40)는 수광신호의 광량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감지신호들은 신호수집부(52)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S210).
이상신호판단부(56)는 신호수집부(52)에 의해 수집되는 감지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제 1 감지부(40)부터 순차적으로 감지신호들을 판단할 수 있다(S220).
이상신호판단부(56)는 신호수집부(52)에 의해 수집되는 감지신호들 중 이상신호를 탐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상신호판단부(56)는 제 n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와,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S230). 이후,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들의 평균값의 차이(g)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40). 감지신호들의 평균값은 감지신호들 신호세기의 평균값일 수 있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감지신호들의 평균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n 감지부(40)와 인접한 감지부(40) 중 평균값이 큰 감지신호를 탐색한다.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58)에 의해 탐색된 평균값이 큰 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40)를 이상동작 감지부로서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250).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58)에 의해 생성된 정보들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출력되거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70)로 송신될 수 있다.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58)는 이상동작 감지부로서 위치정보를 생성한 뒤에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이상신호판단부(56)는 감지신호들의 평균값의 차이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감지부(40)들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이후 n이 k인지를 판단하여(S260), n이 k가 아닌 경우에는 이상신호판단부(56)는 순차적으로 다음 감지부(40)의 감지신호와 인접한 감지부(40)와 감지신호를 비교하게 되면서 과정이 반복된다(S270, n <- n+1). 이상신호판단부(56)에 의해 모든 감지부(40)의 감지신호들이 비교되면, 즉 n=k 인 경우에는 과정이 종료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화재감지기(10) 중 이상작동하는 화재감지기(10)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1)을 통해 화재감지기(10)들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화재감지기(10)들의 고장여부를 일일이 파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화재감지기(10)들에 대한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10 : 화재감지기
12 : 하우징 20 : 감지장치
40 : 감지부 50 : 감지기관리부
52 : 신호수집부 54 : 고장여부판단부
56 : 이상신호판단부 58 :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
60 : 데이터베이스 70 : 사용자단말

Claims (7)

  1. 복수의 화재감지기에서 각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감지부;
    상기 복수의 감지부의 이상작동여부를 관리하는 감지기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부 중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제 n 감지부와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감지신호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신호판단부;
    상기 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신호판단부는,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에서 파동의 진폭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 중 파동의 진폭이 작은 감지신호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하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신호판단부는,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에서 평균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n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에서의 감지신호 중 평균값이 큰 감지신호를 이상감지신호로 판단하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송신하도록 마련되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부의 위치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신호판단부와 상기 이상감지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n 감지부와 상기 인접한 감지부 및 상기 이상감지신호를 생성한 감지부의 위치정보들을 획득하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복수의 감지부의 IP정보가 저장되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하는 광 중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연기에 의해 산란된 광이 수신되도록 구성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KR1020190026193A 2019-03-07 2019-03-07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KR10221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93A KR102214351B1 (ko) 2019-03-07 2019-03-07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93A KR102214351B1 (ko) 2019-03-07 2019-03-07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92A true KR20200107292A (ko) 2020-09-16
KR102214351B1 KR102214351B1 (ko) 2021-02-09

Family

ID=7267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193A KR102214351B1 (ko) 2019-03-07 2019-03-07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58A1 (ko) 2020-08-25 2022-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면적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복제 방법 및 이에 따라 복제된 대면적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KR102397698B1 (ko) * 2021-11-29 2022-05-1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자가 점검 연기감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938A (ko) * 2003-12-19 2005-06-23 주식회사 유비쿼터스산업 무선 통신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KR20120108625A (ko) * 2011-03-25 2012-10-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환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32430B1 (ko) * 2016-05-23 2017-05-04 열두방재(주)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98393B1 (ko) * 2017-09-18 2018-09-12 신기문 광전식 연기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938A (ko) * 2003-12-19 2005-06-23 주식회사 유비쿼터스산업 무선 통신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KR20120108625A (ko) * 2011-03-25 2012-10-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환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32430B1 (ko) * 2016-05-23 2017-05-04 열두방재(주)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98393B1 (ko) * 2017-09-18 2018-09-12 신기문 광전식 연기감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58A1 (ko) 2020-08-25 2022-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면적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복제 방법 및 이에 따라 복제된 대면적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KR102397698B1 (ko) * 2021-11-29 2022-05-1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자가 점검 연기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351B1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351B1 (ko)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US9058734B2 (en) Alert sensing and monitoring via a user device
US20070101382A1 (en) Node management system and node managing program using sensing system
CN104253887A (zh) 具有基于设备方位的定向接近传感器的便携式电子设备
US20170330439A1 (en) Alarm method and device, control device and sensing device
CN102393974A (zh) 存在检测系统和方法
US10741031B2 (en) Threat detection platform with a plurality of sensor nodes
US201900352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curity checkpoint using radio signals
US11132880B2 (en)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people
KR101360250B1 (ko) 주변 대상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50106041A1 (en) Notification based on an event identified from vibration data
CN110031852A (zh) 一种用于探测偷拍设备的方法、装置以及存储装置
CN110536213A (zh) 用于监视的系统和方法
US20150009140A1 (en) Navigation device including thermal sensor
KR20200134609A (ko) IoT 센서 기반 시설의 진동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85011B2 (en) Determining locations for location signatures
US99677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 location of an object
WO2021125507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41960B2 (en) Radio frequency presence alert system
EP1482464B1 (fr) Capteur de présence bi-fonctionnel, système et procédé de gestion mettant en oeuvre de tels capteurs
US20180108235A1 (en) Personal Safety Monitoring
US11860331B2 (en)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CN106354324B (zh) 红外触摸屏的扫描方法及装置
KR102597815B1 (ko)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Li et al. A fault-tolerant event boundary detection algorithm in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