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815B1 -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815B1
KR102597815B1 KR1020210086934A KR20210086934A KR102597815B1 KR 102597815 B1 KR102597815 B1 KR 102597815B1 KR 1020210086934 A KR1020210086934 A KR 1020210086934A KR 20210086934 A KR20210086934 A KR 20210086934A KR 102597815 B1 KR102597815 B1 KR 10259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e preven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714A (ko
Inventor
지만구
한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21008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복수의 방범 장치가 기 설정된 방범 영역으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방범 장치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방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범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저장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분석된 결과로부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방범 이벤트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관리 서버로부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 및 복수의 방범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Method for monitoring crime prevention area based on 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범 시스템은 센서, 카메라 등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또는 중계 전송 장비와 같은 중계 장치를 필수적으로 설치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중계 장치가 필요한 방범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구축에 사용되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혼자 사는 사람들이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지 않은 사람들은 이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방범 기능을 다양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6930호(2013.06.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직접 연동하여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복수의 방범 장치가 기 설정된 방범 영역으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방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범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저장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분석된 결과로부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방범 이벤트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등록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방범 장치에 대한 장치 등록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방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사용자의 로그인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방범 영역에 방범 모드 상태에서 승인되지 않은 객체가 접근 또는 출입하는 경우 상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범 영역 중 상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방범 장치가 설치된 환경정보, 위치정보 및 상기 승인되지 않은 객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 단말 순으로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방범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 중 중복되는 방범 정보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방범 정보를 시간순으로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방범 정보를 기준 방범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방범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복수의 방범 장치가 기 설정된 방범 영역으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방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방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저장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분석된 결과로부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방범 이벤트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출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방범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직접 연동시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가장비 없이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시스템 구축이 쉬워져 사용자 스스로 필요한 영역에 시스템을 추가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의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범 시스템(400)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직접 연동하여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여기서 방범 영역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보안 유지가 필요한 영역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가 될 수 있다. 방범 시스템(4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영역에 설치되는 방범 장치로써, 제1 방범 장치(100a), 제2 방범 장치(100b) 내지 제N 방범 장치(100c)(N은 3이상 자연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영역의 환경에 따라 방범 장치의 설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영역 내에 접근 또는 출입하는 객체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범 정보를 수집한다.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장치별로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장치별로 수집된 방범 정보에 식별정보를 포함시킨 후, 해당 방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때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방범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방범 이벤트를 대응하기 위한 방안인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이때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방범 장치만 대응방안을 출력하거나, 전체 방범 장치가 대응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와 직접 연동되어 서로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써,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 사이에 별도의 게이트웨이, 공유기, 중계장치 등의 중계기가 설치되지 않고, 직접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 랩톱, 태블릿 PC, 핸드헬드 PC 등의 개인용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이 적어도 하나이고, 복수의 방범 장치(100)와 연동하는 경우(도 1),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여 방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범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방법 이벤트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도출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동시에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 대응방안을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상황을 비상연락망(경찰서, 보안업체 담당자, 복지센터, 관공서 등)으로 연락할 수 있다.사용자 단말(200)이 하나이고, 복수의 방범 장치(100) 및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는 경우(도 2),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범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수신된 대응방안을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출력을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제1 사용자 단말(200a), 제2 사용자 단말(200b) 내지 제M 사용자 단말(200c)(M은 3이상 자연수)를 포함하는 복수개이고, 복수의 방범 장치(100) 및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는 경우(도 3),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방범 정보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되거나, 복수의 방범 장치(100)가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게만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방범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수신된 대응방안을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출력한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정보를 수신한 역순으로 대응방안을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방범 영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는 서버로써, 서버 컴퓨터, 클러스터 컴퓨터 등 서버용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을 기 등록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여 방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한다. 관리 서버(300)는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방범 이벤트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도출된 대응방안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방범 장치(100)는 기 설정된 방범 영역에 설치되고, 통신모듈(110), 센서모듈(120), 카메라(130), 입력모듈(140), 제어모듈(150), 출력모듈(160) 및 저장모듈(17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한다. 통신모듈(110)은 방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대응방안을 수신한다.
센서모듈(120)은 방범 장치(100)가 설치된 방범 영역의 위치 및 환경상태(온도, 습도, 조도 등), 객체의 접근 또는 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상태 등을 측정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센서모듈(120)은 위치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방범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카메라(130)는 야간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촬영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움직이는 객체를 스스로 추적하며 촬영할 수 있다.
입력모듈(140)은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으며, 버튼, 스위치,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방범 장치(100)의 시스템 모드의 설정을 하거나, 사용자가 비상상황 또는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입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모듈(140)을 통해 방범 영역에 대해 일반 모드 또는 방범 모드로 모드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범 모드일 때 방범 영역에 미인증된 객체가 접근 또는 출입하면 입력모듈(140)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방범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모듈(150)은 센서모듈(120) 및 카메라(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50)은 시스템 모드가 방범 모드일 때, 센서모듈(120)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 및 카메라(130)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방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생성된 방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50)은 방범 정보에 방범 장치(100)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시킨 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제어모듈(150)은 각 사용자 단말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 단말순으로 방범 정보를 전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는 방범 장치(100)의 위치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사용자 단말순으로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제어모듈(150)은 방범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단말에만 방범 정보를 전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150)은 사용자 입력에 의한 선택 또는 사용자 단말의 상태(성능, 현재 부하상태 등)를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모듈(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출력모듈(160)은 방범 이벤트에 관련된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대응방안의 출력형태는 방범 이벤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경보음 출력, 경보메시지 출력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모듈(160)은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된 입력모듈(140)은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저장모듈(170)은 방범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모듈(170)은 방범 장치(1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모듈(17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써,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말 통신부(210), 단말 제어부(220), 단말 출력부(230) 및 단말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 및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 서버(300)로 방범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 대응방안을 전송한다.
단말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220)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방범 애플리케이션(245)를 이용한다. 단말 제어부(220)는 방범 애플리케이션(245)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방범 애플리케이션(245)에 사용자 로그인을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단말 제어부(220)는 로그인이 완료된 상태에서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에 대한 정보 등록을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20)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방범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시킨다. 단말 제어부(22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도출된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수신된 대응방안을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단말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단말 출력부(230)는 방범 이벤트에 관련된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대응방안의 출력형태는 방범 이벤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경보음 출력, 경보메시지 출력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출력부(230)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출력부(230)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부 없이 단말 출력부(230)를 통해 방범 애플리케이션(245)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 사용자 로그인을 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즉 단말 저장부(240)는 방범 애플리케이션(245)이 저장된다. 여기서 방범 애플리케이션(245)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와의 근거리 통신뿐만 아니라 관리 서버(30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방범 애플리케이션(245)은 각종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단말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방범 시스템(400)을 관리하는 서버로써, 서버 통신부(310), 서버 제어부(320) 및 서버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 대응방안을 전송한다. 여기서 서버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200)의 방범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는 관리 서버(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방범 정보를 서버 저장부(330)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이 하나가 아니라 복수개인 경우, 서버 제어부(32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 중 중복되는 방범 정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방범 정보를 시간순으로 정렬한 후, 서버 저장부(330)에 저장시킨다. 서버 제어부(320)는 저장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여 방범 영역에 발생되는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방범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서버 제어부(320)는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기준 방범 정보와 서버 저장부(330)에 저장된 방범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서로 간에 차이점이 발생되는 경우, 방범 이벤트가 방범 영역에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다. 서버 제어부(320)는 방범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면 발생된 방범 이벤트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도출한다. 이때 서버 제어부(320)는 방범 영역 중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방범 장치의 환경정보, 위치정보 및 승인되지 않은 객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범 영역에 승인되지 않은 객체가 출입하는 경우, 서버 제어부(320)는 해당 방범 장치가 설치된 환경정보, 위치정보, 객체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에 최적화된 경보음 또는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시에 비상연락망(경찰서, 보안업체 담당자, 복지센터, 관공서 등)으로 연락하는 제어신호를 대응방안으로 도출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는 도출된 대응방안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시킨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서버 제어부(320)는 선택적으로 방범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에게만 대응방안을 전송시키거나, 전체 사용자 단말에 대응방안을 전송시킬 수 있다.
서버 저장부(330)는 관리 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서버 저장부(330)는 각각의 방범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정보가 저장된다. 서버 저장부(330)는 방범 이벤트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방범 정보가 저장된다. 서버 저장부(3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의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범 시스템(400)은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기 전에 방범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여 인증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방범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 및 관리 서버(300)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S1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로그인을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포함된 사용자 입력을 받고,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방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한다.
S1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 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의 식별번호, 성능정보 등이 포함된 단말 등록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S107 단계에서,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한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 등록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에 대한 등록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할 수 있다.
S109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에 방범 장치에 대한 장치 등록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장치 등록정보는 장치의 식별번호, 성능정보 등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S111 단계에서,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장치 등록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 단말 순으로 장치 등록정보를 전송하거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중 방범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단말에만 장치 등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11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장치 등록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방범 장치(100)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11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 복수의 방범 장치(100)의 등록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장치 등록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S117 단계에서,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방범 장치(100)를 등록한다. 관리 서버(300)는 장치 등록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방범 장치(100)를 등록한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방범 단말(100a, 100b, 100c)에 대한 등록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방범 단말(100)을 등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방범 시스템(40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복수의 방범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직접 연동시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관리 서버(300)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범 시스템(400)은 고가장비 없이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방범 정보는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보로써, 다양한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 및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가 결합된 정보일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 단말 순으로 방범 정보를 전송하거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중 방범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단말에만 방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S207 단계에서,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 중 중복되는 방범 정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방범 정보를 시간순으로 정렬한 후, 저장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관리 서버(300)는 방범 정보를 분석한다. 관리 서버(300)는 저장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여 방범 영역에 발생되는 비상상태를 나타내는 방범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관리 서버(300)는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기준 방범 정보와 기 저장된 방범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서로 간에 차이점이 발생되는 경우, 방범 이벤트가 방범 영역에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다.
S211 단계에서, 관리 서버(300)는 방범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면 발생된 방범 이벤트에 대한 대응방안을 도출한다. 관리 서버(300)는 방범 영역 중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방범 장치의 환경정보, 위치정보 및 승인되지 않은 객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S213 단계에서, 관리 서버(300)는 대응방안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관리 서버(300)는 선택적으로 방범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에게만 대응방안을 전송하거나, 전체 사용자 단말에 대응방안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현재 상황을 비상연락망(경찰서, 보안업체 담당자, 복지센터, 관공서 등)으로 연락할 수 있다.
S21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음성, 진동, 화면 출력 등의 출력 방식으로 대응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S21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대응방안을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적으로 방범 정보를 전송한 방범 장치에게만 대응방안을 전송하거나, 전체 방범 장치에 대응방안을 전송할 수 있다.
S219 단계에서,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음성, 진동, 화면 출력 등의 출력 방식으로 대응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방범 시스템(40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복수의 방범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직접 연동시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범 시스템(400)은 고가장비 없이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S301 단계에서,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방범 정보는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보로써, 다양한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 및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가 결합된 정보일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방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 단말 순으로 방범 정보를 전송하거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중 방범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단말에만 방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방범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정보를 각 방범 장치별로 저장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정보를 분석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저장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여 방범 영역에 발생되는 비상상태를 나타내는 방범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기준 방범 정보와 기 저장된 방범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서로 간에 차이점이 발생되는 경우, 방범 이벤트가 방범 영역에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다.
S309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면 발생된 방범 이벤트에 대한 대응방안을 도출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방범 영역 중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방범 장치의 환경정보, 위치정보 및 승인되지 않은 객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S31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음성, 진동, 화면 출력 등의 출력 방식으로 대응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상황을 비상연락망(경찰서, 보안업체 담당자, 복지센터, 관공서 등)으로 연락할 수 있다.
S31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대응방안을 복수의 방범 장치(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적으로 방범 정보를 전송한 방범 장치에게만 대응방안을 전송하거나, 전체 방범 장치에 대응방안을 전송할 수 있다.
S315 단계에서,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복수의 방범 장치(100)는 음성, 진동, 화면 출력 등의 출력 방식으로 대응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범 장치
110: 통신모듈
120: 센서모듈
130: 카메라
140: 입력모듈
150: 제어모듈
160: 출력모듈
170: 저장모듈
200: 사용자 단말
210: 단말 통신부
220: 단말 제어부
230: 단말 출력부
240: 단말 저장부
245: 방범 애플리케이션
300: 관리 서버
310: 서버 통신부
320: 서버 제어부
330: 서버 저장부
400: 방범 시스템

Claims (9)

  1. 복수의 방범 장치가 기 설정된 방범 영역으로부터 방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방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범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저장된 방범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분석된 결과로부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방범 이벤트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방범 영역에 방범 모드 상태에서 승인되지 않은 객체가 접근 또는 출입하는 경우 상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방범 정보 중 중복되는 방범 정보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방범 정보를 시간순으로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방범 정보를 기준 방범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방범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등록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방범 장치에 대한 장치 등록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방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사용자의 로그인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범 영역 중 상기 방범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방범 장치가 설치된 환경정보, 위치정보 및 승인되지 않은 객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 단말 순으로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방범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범 장치가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210086934A 2021-07-02 2021-07-02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KR10259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934A KR102597815B1 (ko) 2021-07-02 2021-07-02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934A KR102597815B1 (ko) 2021-07-02 2021-07-02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714A KR20230006714A (ko) 2023-01-11
KR102597815B1 true KR102597815B1 (ko) 2023-11-03

Family

ID=8489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934A KR102597815B1 (ko) 2021-07-02 2021-07-02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8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1570A (ja) * 2012-08-23 2014-03-06 Chuo System Giken Kk 監視カメラ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6075609B2 (ja) * 2012-10-04 2017-02-0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携帯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863301B1 (ko) 2017-09-18 2018-05-30 (주)예스텍 Cctv 영상의 객체 감지를 통한 방송출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06B1 (ko) * 2006-11-13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00093816A (ko) * 2009-02-17 2010-08-26 권선민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침입자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6930B1 (ko) 2011-12-29 2013-06-19 전영환 방범시스템
KR101515977B1 (ko) * 2012-10-24 2015-05-06 주식회사 케이티 Ip 카메라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환경의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영상 감시 방법
KR102377182B1 (ko) * 2015-09-01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34040A (ko) * 2018-09-20 2020-03-31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65936A (ko) * 2018-11-30 2020-06-09 (주)한국아이티에스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210042591A (ko) * 2019-10-10 2021-04-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1570A (ja) * 2012-08-23 2014-03-06 Chuo System Giken Kk 監視カメラ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6075609B2 (ja) * 2012-10-04 2017-02-0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携帯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863301B1 (ko) 2017-09-18 2018-05-30 (주)예스텍 Cctv 영상의 객체 감지를 통한 방송출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714A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7591A1 (en) Emergency Alert System
US10854058B2 (en) Emergency alert system
US10991236B2 (en) Detecting of patterns of activity based on identified presence detection
US11240274B2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JP5560397B2 (ja) 自律型防犯警戒システム及び自律型防犯警戒方法
US20050206513A1 (en) Voice remote command and control of a mapping security system
US11854357B2 (en) Object tracking using disparate monitoring systems
JP2006331401A (ja) 人物追跡方法、警備員利用方法、および人物追跡装置
KR101466004B1 (ko) 지능형 방범, 방재 및 사후처리 통합 트리플렉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hang et al. Video surveillance for hazardous conditions using sensor networks
WO2022109104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erty monitoring
KR101951361B1 (ko) 인공지능 방범 관리 방법
KR101550340B1 (ko) 이중화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영상 출입관리 시스템
KR102597815B1 (ko)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방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0199005Y1 (ko) 지능형 보안체제 시스템
KR101564046B1 (ko) 보드 간 통신에 의한 지능형 출입 통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044156A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threats for an organizaton
Dobre Internet of Thing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Private Security Perspective
KR20090007264A (ko) 지능형 보안체제 시스템
Kannan et al. IOT Based SMART SECUIR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