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219A -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219A
KR20200107219A KR1020190026008A KR20190026008A KR20200107219A KR 20200107219 A KR20200107219 A KR 20200107219A KR 1020190026008 A KR1020190026008 A KR 1020190026008A KR 20190026008 A KR20190026008 A KR 20190026008A KR 20200107219 A KR20200107219 A KR 20200107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parator
oil
water
pow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029B1 (ko
Inventor
홍희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Priority to KR102019002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0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02M37/26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연료여과기내의 수분을 탐지봉에 의해 감지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개방신호를 출력하여 수분을 방출하는 유수분리기의 고장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조작부,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셋팅된 규정시간만큼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스위치조작부의 전원인가에 따라 유수분리기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모듈은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의 전원을 유수분리기에 출력하는 제1 전원출력부, 유수분리기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하는 수분배출제어부, 수분배출제어부로부터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출력하여 개방시키는 제2 전원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에 전원입력부를 통해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제1 전원출력부에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유수분리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2차연료여과기내의 수분을 유수분리기의 탐지봉이 감지하는 단계, 유수분리기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수분배출제어부가 표시제어부에 수분충만신호를 출력하며, 수분배출제어부가 제2 전원출력부에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은 제2 전원출력부가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출력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며, 표시제어부가 표시부에 구비된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규정시간동안 수분이 배출되는 단계, 규정시간 종료 후 타이머가 멈추며 더 이상 수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수분배출신호의 중단으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 되는 단계, 규정시간 종료와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상적으로 폐쇄되는지 여부에 의해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유수분리기 고장여부를 시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TEST EQUIPMENT FOR M-SERIES TANK ENGINE WATER SEPARATOR AND TEST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궤도차량의 엔진 유수분리기를 시험하는 장치와 그 시험방법에 대한 것이다.
M계열전차 엔진에는 유수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다. 유수분리기의 탐지봉이 2차연료여과기 내의 수분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고 수분을 배출한다. 물은 연료보다 비중이 크므로, 2차연료여과기의 하부에 위치한 방의 바닥에 모인다. 연료를 제외한 수분만 배출되어야 정상작동이다.
유수분리기 고장은 주로 탐지봉이 연료를 수분으로 인식하는 경우이다. 이때 수분을 배출한 후에도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지 않아 연료를 배출하게 되어 엔진화재 및 토양오염 우려가 있다.
유수분리기 고장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고장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장비가 전무하여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케이블을 제거하여 미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분이 최고수위에 도달하면 배출되어야 하지만 유수분리기 미사용으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엔진실린더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 연료분사기구인 인젝터노즐의 이상소음, 조기마모가 발생하여 엔진을 교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국방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실린더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엔진수명을 늘리고 국방예산을 절감할 수 있도록 유수분리기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시험장치를 제공함에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 배출로 인한 엔진화재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수분리기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조작부,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셋팅된 규정시간만큼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스위치조작부의 전원인가에 따라 유수분리기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모듈은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의 전원을 유수분리기에 출력하는 제1 전원출력부, 유수분리기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하는 수분배출제어부, 수분배출제어부로부터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출력하여 개방시키는 제2 전원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에 전원입력부를 통해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제1 전원출력부에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유수분리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2차연료여과기내의 수분을 유수분리기의 탐지봉이 감지하는 단계, 유수분리기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수분배출제어부가 표시제어부에 수분충만신호를 출력하며, 수분배출제어부가 제2 전원출력부에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은 제2 전원출력부가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출력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며, 표시제어부가 표시부에 구비된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규정시간동안 수분이 배출되는 단계, 규정시간 종료 후 타이머가 멈추며 더 이상 수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수분배출신호의 중단으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 되는 단계, 규정시간 종료와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상적으로 폐쇄되는지 여부에 의해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실린더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엔진의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배출로 인한 엔진화재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유수분리기 고장여부를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수명이 늘어나서 국방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present invention)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가운데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 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M계열전차 엔진에는 유수분리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수분은 연료보다 비중이 크므로, 2차연료여과기(300)의 하부에 위치한 방의 바닥에 모인다. 유수분리기(200)의 탐지봉이 2차연료여과기(300) 내의 수분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고 수분을 외부(500)으로 배출한다. 연료를 제외한 수분만 배출되어야 정상작동이다.
2차연료여과기(300) 내의 수분이 최고수위에 도달하면 이를 수분충만이라고 한다. 이하에서, 수분충만시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어 수분만 모두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규정시간이라고 지칭한다.
유수분리기(200) 고장은 주로 탐지봉이 연료를 수분으로 인식하는 경우다. 이때 수분을 배출한 후에도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닫히지 않아 연료를 배출하게 된다. 이로인한 엔진화재 및 토양오염 우려가 있다.
수분충만상황에서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열림과 동시에 규정시간을 타이머(124)로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규정시간 종료와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정상적으로 폐쇄된다면 연료를 제외한 수분만 배출되는 정상작동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고장의 경우, 수분을 모두 배출한 후에도 연료를 배출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닫힐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규정시간을 초과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규정시간의 종료를 타이머, LED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닫힐 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비교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는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조작부(110),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셋팅된 규정시간만큼을 카운트하는 타이머(124)를 구비하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 스위치조작부(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유수분리기(200) 및 표시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스위치조작부(110)는 제1 스위치(111), 제2 스위치(112), 제3 스위치(113)를 포함한다. 다수의 스위치는 토글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온(ON), 오프(OFF) 조작된다. 제1 스위치(111)는 온(ON) 상태에서 시험장치에 외부전원(600)을 인가한다. 제2 스위치(112)는 온(ON) 상태에서 제1 전원출력부(132)의 전원을 출력하여 유수분리기(2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제3 스위치(113)는 온(ON) 상태에서 수분배출제어부(133)의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타이머(124)를 구비하며, 제1 LED(121), 제2 LED(122), 제3 LED(123)를 포함한다. 제1 LED(121)는 제1 스위치(111)가 온(ON)상태가 되어 외부전원(600)이 인가되면 점등된다. 제2 LED(122)는 유수분리기(200)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수분충만 여부를 알려준다. 제3 LED(123)는 타이머(124)에 미리 셋팅된 규정시간이 끝나면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규정시간 종료를 알려준다.
제어모듈(130)은 전원입력부(131), 제1 전원출력부(132), 수분배출제어부(133), 표시제어부(134), 제2 전원출력부(135)를 포함한다. 전원입력부(131)을 통해 외부전원(600)이 입력된다. 제1 전원출력부(132)는 고장여부 판단의 대상이 되는 유수분리기(200)에 전원을 출력한다. 수분배출제어부(133)는 유수분리기(200)로부터 2차연료여과기(300) 내의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는다. 표시제어부(134)는 표시부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수분배출제어부(133)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120)의 제2 LED(122)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수분충만여부를 알려준다. 제2 전원출력부(135)는 수분배출제어부(133)로부터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 밸브(400)에 전원을 출력하여 개방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제1 스위치(111)를 온(ON)하여 전원입력부(131)를 통해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에 외부전원(600)을 인가한다. 이때 제1 LED(121)가 점등된다.
다음으로, 제2 스위치(112)를 온(ON)하여 제1 전원출력부(132)에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유수분리기(200)에 전원을 인가한다.
다음으로, 2차연료여과기(300)내의 수분을 유수분리기(200)의 탐지봉이 감지한다.
다음으로, 유수분리기(200)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수분배출제어부(133)가 표시제어부(134)에 수분충만신호를 출력하며, 표시제어부(134)는 제2 LED(122)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수분충만 여부를 알려준다.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여 제3 스위치(113)를 온(ON)하고, 수분배출제어부(133)가 제2 전원출력부(135)에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은 제2 전원출력부(135)가 솔레노이드 밸브(400)에 전원을 출력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며, 표시제어부(134)가 표시부(120)에 구비된 타이머(124)를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규정시간동안 수분이 배출된다.
다음으로, 규정시간 종료 후 타이머(124)가 멈추며, 제3 LED(123)가 점등된다. 더 이상 수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수분배출신호의 중단으로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된다.
다음으로, 규정시간 종료와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정상적으로 폐쇄되는지 여부에 의해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발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발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스위치조작부
111: 제1 스위치
112: 제2 스위치
113: 제3 스위치
120: 표시부
121: 제1 LED
122: 제2 LED
123: 제3 LED
124: 타이머
130: 제어모듈
131: 전원입력부
132: 제1 전원출력부
133: 수분배출제어부
134: 표시제어부
135: 제2 전원출력부
200: 유수분리기
300: 2차연료여과기
400: 솔레노이드 밸브
500: 외부
600: 외부전원

Claims (12)

  1. 2차연료여과기내의 수분을 탐지봉에 의해 감지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개방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수분을 방출하는 유수분리기의 고장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조작부;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셋팅된 규정시간만큼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유수분리기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의 전원을 상기 유수분리기에 출력하는 제1 전원출력부;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하는 수분배출제어부; 및
    상기 수분배출제어부로부터 상기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출력하여 개방시키는 제2 전원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부는 온(ON)상태에서 상기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제1 스위치; 및
    온(ON)상태에서 상기 제1 전원출력부에서 전원을 출력하여 상기 유수분리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부는 온(ON)상태에서 상기 수분배출제어부의 상기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하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되어 상기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점등되는 제1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상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점등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수분충만여부를 알려주는 제2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규정시간이 종료되면 점등되는 제3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8. (a)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에 전원입력부를 통해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b) 제1 전원출력부에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유수분리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c) 2차연료여과기내의 수분을 유수분리기의 탐지봉이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수분충만신호를 입력받아 수분배출제어부가 표시제어부에 상기 수분충만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수분배출제어부가 제2 전원출력부에 수분배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수분배출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2 전원출력부가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출력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표시제어부가 표시부에 구비된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f) 규정시간동안 상기 수분이 배출되는 단계;
    (g) 규정시간 종료 후 타이머가 멈추며, 더 이상 상기 수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수분배출신호의 중단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 되는 단계; 및
    (h) 상기 규정시간 종료와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상적으로 폐쇄되는지 여부에 의해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사용자가 제1 스위치를, 상기 (b)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제2 스위치를 온(ON)함에 따라서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되어 상기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제1 LED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표시제어부가 제2 LED를 점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수분충만 여부를 알려주고, 상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고 제3 스위치를 온(ON)함에 따라 상기 수분배출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제3 LED는 상기 규정시간이 종료되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방법.
KR1020190026008A 2019-03-06 2019-03-06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222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08A KR102223029B1 (ko) 2019-03-06 2019-03-06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08A KR102223029B1 (ko) 2019-03-06 2019-03-06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19A true KR20200107219A (ko) 2020-09-16
KR102223029B1 KR102223029B1 (ko) 2021-03-04

Family

ID=7266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08A KR102223029B1 (ko) 2019-03-06 2019-03-06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321A (ko) * 2000-08-25 2002-03-04 김형국 솔레노이드 밸브 테스트 장치
KR20020022399A (ko) * 2000-09-20 2002-03-27 류정열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수분자동배출 유수분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321A (ko) * 2000-08-25 2002-03-04 김형국 솔레노이드 밸브 테스트 장치
KR20020022399A (ko) * 2000-09-20 2002-03-27 류정열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수분자동배출 유수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029B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353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а защиты
KR101755805B1 (ko) 수소연료전지 차량의 수소탱크 내 리크 감지 장치 및 방법
US8068026B1 (en) Periodic tester to determine readiness of a fire pump system
US20090222233A1 (en)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coupled with fuel control valve
EP2824245A2 (en) Water supply apparatus
US5655749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contactless electronic control of the flow of water in a plumbing unit
CN102261296A (zh) 一种柴油机气启动保护装置及包括该装置的气启动柴油机
KR102223029B1 (ko) M계열전차 엔진 유수분리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US11529534B2 (en) Wet pipe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dual air vent with vent failure failsafe feature
KR100781711B1 (ko) 검출회로부를 구비한 수충격 방지장치
KR102663968B1 (ko) 가스 계량기 및 가스 계량기의 차단 밸브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JP6239905B2 (ja) 消火設備
US20180358798A1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0348396B1 (ko) 가스누출 경보/차단 장치
JP2015084822A (ja) 消火設備
JP3703126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03208213A (ja) 冗長遮断路の監視方法および冗長遮断路の監視装置
RU770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загазованности помещений
KR102359697B1 (ko)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4655121B2 (ja) ガス遮断装置
RU7919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водом запорного органа "пульсар"
CN1947075A (zh) 微控制器系统及其运行方法
KR200419733Y1 (ko) 검출회로부를 구비한 수충격 방지장치
KR200268431Y1 (ko) 밸브상태 감지기능을 갖는 가스누출 경보/차단 장치
JP2005233871A (ja) ガス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