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608A -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608A
KR20200106608A KR1020190025019A KR20190025019A KR20200106608A KR 20200106608 A KR20200106608 A KR 20200106608A KR 1020190025019 A KR1020190025019 A KR 1020190025019A KR 20190025019 A KR20190025019 A KR 20190025019A KR 20200106608 A KR20200106608 A KR 2020010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me
hose
outlet nozzle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090B1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2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0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광원용 피씨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덮개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몸체프레임에 얹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덮개프레임은 상기 몸체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조립 구조를 제공하면서 그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apparatus for discharging water of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조립 구조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UV LED 광원을 조사하는 피씨비로의 수분 침투가 완전히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불순물이 함유된 물을 걸러주어 정화된 물을 제공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각 필터를 거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 음용수를 출수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근래에는 단순히 정수로의 기능 뿐 아니라 냉수나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의 기기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세균 등에 의한 출수노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자외선 조명을 출수노즐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정수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918383호, 공개특허 제10-2018-012320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광원용 PCB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분의 침투 가능성으로 인한 손상 발생이 야기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호스의 연결이 견고하지 못하여 쉽게 빠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자외선램프를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보호창을 개구의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해당 보호창을 감싸도록 설치된 패킹부재가 벗겨지거나 혹은, 상기 패킹부재로 인해 상기 안착부에 정확히 안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이로 인한 조립 불량이 잦아서 재조립을 수행하는 등 조립 작업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918383호 공개특허 제10-2018-0123209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인 조립 구조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UV LED 광원을 조사하는 피씨비로의 수분 침투가 완전히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에 따르면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됨과 더불어 후단 양측으로는 상기 챔버 내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용수용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연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선단의 상부로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안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선단의 하부로는 상기 챔버 내로 공급된 음용수의 출수를 위한 출수노즐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면 및 저면에는 사각 링 형상의 평판형 패킹부재가 각각 적층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보호창;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설치되면서 상기 보호창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면에는 수납홈이 제공되며, 전방에는 상기 수납홈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안착홈에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상면의 수납홈에 안착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출수노즐을 향해 광원을 제공하도록 엘이디가 구비된 광원용 피씨비;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광원용 피씨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덮개프레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 끝단에는 내향 요입된 축경단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축경단의 외주면에는 출구캡이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구캡과 축경단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패킹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출구캡의 하측 끝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내향 절곡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패킹링의 하측 끝단은 상기 출구캡의 절곡 부위 내로 일부 수용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에는 일부가 상기 몸체프레임에 형성된 두 호스 연결부의 후단 둘레를 일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음용수용 호스의 삽입을 안내하는 호스 안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호스 안내부에는 상기 음용수용 호스의 분리를 방지하는 콜렛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의 호스 안내부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각 호스 연결부에 각각 삽입되는 음용수용 호스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안내돌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에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면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되는 돌출후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면 중 호스 안내부 상측에는 상기 돌출후크가 노출되도록 노출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노출공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후크의 끝단이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덮개프레임(500)과 상부프레임 및 몸체프레임이 서로 유기적인 결합 구조에 의해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안정적인 조립 구조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덮개프레임의 추가 제공에 의해 광원용 피씨비로 수분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광원용 피씨비의 동작불량 혹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콜렛을 이용하여 음용수용 호스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덮개프레임의 구획안내돌기에 의해 두 음용수용 호스의 꼬임이나 위치 바뀜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의 결합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의 내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단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의 내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단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크게 몸체프레임(100)과, 보호창(200)과, 상부프레임(300)과, 광원용 피씨비(400) 및 덮개프레임(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덮개프레엠(500)에 의해 상기 광원용 피씨비(400)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음용수용 호스(150)의 연결이 용이함과 더불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호스의 연결 및 음용수의 출수를 위해 제공되는 몸체 부위이다.
이와 같은 몸체프레임(100)은 음용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도록 그의 선단 내부에 형성되면서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호스 연결부(120)와, 상기 챔버(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130)과, 상기 챔버(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출수노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호스 연결부(120)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관로로 제공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스 연결부(120)가 두 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챔버(110)의 후단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두 호스 연결부(120)에는 상기 챔버(110) 내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용수용 호스(온스용 호스, 냉수 및 정수용 호스)(150)가 각각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두 호스 연결부(120) 내에는 상기 음용수용 호스(150)와의 기밀을 위한 오링(121)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안착홈(130)은 상기 챔버(11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내측으로 수납홈을 제공하면서 상기 챔버(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140)은 상기 챔버(110)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챔버(110) 내로 공급된 음용수의 출수를 위해 제공되는 노즐로써, 상기 챔버(110)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출수노즐(140)의 하측 끝단에는 내향 요입된 축경단(141)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축경단(141)의 외주면에는 출구캡(142)이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구캡(142)과 축경단(141)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패킹링(143)이 더 구비되며, 상기 출구캡(142)의 하측 끝단은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그의 끝단이 상부를 향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패킹링(143)의 하측 끝단은 상기 출구캡(142)의 절곡 부위 내로 일부 수용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출수노즐(140)의 구조는 출구캡(142)과의 결합이 통상적인 이중 사출 방식이 아닌 압입 결합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이중 사출 방식으로의 제조시 야기되는 불량률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음용수가 출구캡(142)과 출수노즐(!40) 간의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창(200)은 챔버(110)를 통해 음용수가 출수되는 과정에서 후술될 광원용 피씨비(400)의 자외선 엘이디(410)를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보호창(200)은 유리와 같이 평판형의 광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안착홈(130) 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보호창(200)의 상면 및 저면에는 사각 링 형상의 패킹부재(210)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보호창(200)과 안착홈(130) 간의 틈새를 통한 수분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 패킹부재(210)의 구조는 단순한 적층식의 조립 작업만으로 보호창이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됨과 더불어 해당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전술된 적층 방식의 보호창(200) 조립 구조를 통해 조립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프레임(300)은 후술될 광원용 피씨비(400)의 설치를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상부프레임(300)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상면에 안착 설치되면서 상기 보호창(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면에는 수납홈(310)이 제공되며, 전방에는 상기 수납홈(31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안착홈(130)에 연통되는 연통공(3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양측면에는 해당 벽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수용돌기(16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용돌기(160)가 수용되는 수용홈(330)이 요입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300)을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돌기(160)와 수용홈(330)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정위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후단에는 후술될 덮개프레임(500)의 후면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되는 돌출후크(34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광원용 피씨비(400)는 출수노즐(140)을 향해 광원을 제공하도록 엘이디(410)가 구비된 회로기판이다.
이와 같은 광원용 피씨비(400)에 제공되는 엘이디(410)는 UV 엘이디로써, 이를 통해 발광되는 자외선으로써 챔버(110) 내를 통과하는 음용수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출수노즐(140)을 통해 해당 광원이 음용수의 출수 방향으로 발광되면서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원용 피씨비(400)는 상기 상부프레임(300) 상면의 수납홈(310) 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프레임(500)은 상기 광원용 피씨비(4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덮개프레임(500)은 덮개부(510) 및 호스 안내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510)는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된 부위이고, 상기 호스 안내부(520)는 일부가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형성된 두 호스 연결부(120)의 후단 둘레를 일괄적으로 감싸면서 음용수용 호스(150)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또한, 상기 호스 안내부(520)에는 상기 음용수용 호스(150)의 분리를 방지하는 콜렛(530)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콜렛(530)을 이용하여 상기 음용수용 호스(150)가 호스 연결부(120) 내에 삽입 결합될 경우 원치않는 분리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호스 안내부(520)의 내주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음용수용 호스(150)를 당길 경우 상기 콜렛(530)이 상기 음용수용 호스(150)를 더욱 견고히 조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500)을 이루는 호스 안내부(52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각 호스 연결부(120)에 각각 삽입되는 음용수용 호스(150)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안내돌기(5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구획안내돌기(540)에 의해 상기 각 호스 안내부(520) 내에 삽입되는 각각의 음용수용 호스(150)가 서로 꼬이거나 혹은, 위치의 뒤바뀜 없이 정위치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500)의 후면 중 호스 안내부(520)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돌출후크(340)가 노출되도록 노출공(550)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노출공(550)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후크(340)의 끝단이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턱(560)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돌출후크(340) 및 걸림턱(560)의 구조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300) 및 덮개프레임(500)이 몸체프레임(100)에 정확히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덮개프레임(500)의 후면 중 호스 안내부(520)의 하측 중앙 부위에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호스 연결부(120) 저면 일부를 받쳐주는 받침턱(570)이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받침턱(570)에 의해 상기 덮개프레임(500)과 몸체프레임(100) 및 상부프레임(300) 간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 관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몸체프레임(100)과 보호창(200)과 상부프레임(300) 및 덮개프레임(500)을 각각 준비한다.
이때,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출수노즐(140) 끝단에는 출구캡(142)이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몸체프레임(100)의 안착홈(130)에 어느 한 패킹부재(210)를 안착시킨 다음 이 패킹부재(210)의 상면에 보호창(200)을 안착시키며, 이후 상기 보호창(200)의 상면에 또 다른 패킹부재(210)를 안착시킨다. 이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상부프레임(300)을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상면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300)은 단순히 몸체프레임(100)의 상면에 얹음으로써 그 조립이 완료되며, 이렇게 조립되는 상부프레임(300)의 상면에는 광원용 피씨비(400)가 안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300)을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상면에 얹은 후 상기 광원용 피씨비(400)를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덮개프레임(500)을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상단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한 덮개프레임(500)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면서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결합되도록 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후크(340)는 상기 덮개프레임(500)의 노출공(55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과 더불어 상기 덮개프레임(500)의 노출공(550) 저면에 돌출된 걸림턱(560)에 걸려 구속된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부프레임(300) 상면에 안착된 광원용 피씨비(400)는 상기 덮개프레임(500)에 감싸여진 상태를 이루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이후, 음용수용 호스(150)를 몸체프레임(100)의 호스 연결부(120)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음용수용 호스(150)는 덮개프레임(500)의 호스 안내부(520)를 관통하여 호스 연결부(120)에 연결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호스 안내부(520)에 설치된 콜렛(530)에 파지되면서 원치않게 분리됨이 방지된다. 이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덮개프레임(50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획안내돌기(540)에 의해 상기 음용수용 호스(150)는 정확한 위치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수기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면 광원용 피씨비(400)로의 전원 공급에 의한 엘이디(410)가 발광되며, 이로써 상기 엘이디(410)의 발광에 의해 발생된 UV 광원은 상기 엘이디(410)의 저부에 위치된 보호창(200)을 투과하여 챔버(110) 내로 조사된다.
이와 동시에 두 음용수용 호스(150) 중 어느 한 음용수용 호스를 통해 음용수가 몸체프레임(100)의 챔버(110) 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110) 내로 공급된 음용수는 상기 챔버(110)의 저부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출수노즐(140)을 통해 출수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엘이디(410)의 발광에 의한 UV 광원이 상기 챔버(110)를 통과하는 음용수에 조사되면서 상기 음용수를 살균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음용수의 출수가 진행되는 도중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음용수용 호스(150)로부터 음용수가 누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음용수의 누수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렇게 누수된 음용수가 덮개프레임(500)에 가로막힌 광원용 피씨비(400)로 튀는 현상이 방지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덮개프레임(500)과 상부프레임(300) 및 몸체프레임(100)이 서로 유기적인 결합 구조에 의해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안정적인 조립 구조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덮개프레임(5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광원용 피씨비(400)로 수분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광원용 피씨비(400)의 동작불량 혹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는 콜렛(530)을 이용하여 음용수용 호스(15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덮개프레임(500)의 구획안내돌기(540)에 의해 두 음용수용 호스(150)의 꼬임이나 위치 바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몸체프레임 110. 챔버
120. 호스 연결부 121. 오링
130. 안착홈 140. 출수노즐
141. 축경단 142. 출구캡
143. 패킹링 150. 음용수용 호스
160. 수용돌기 200. 보호창
210. 패킹부재 300. 상부프레임
310. 수납홈 320. 연통공
330. 수용홈 340. 돌출후크
400. 광원용 피씨비 410. 엘이디
500. 덮개프레임 510. 덮개부
520. 호스 안내부 530. 콜렛
540. 구획안내돌기 550. 노출공
560. 걸림턱 570. 받침턱

Claims (5)

  1.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됨과 더불어 후단 양측으로는 상기 챔버 내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용수용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연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선단의 상부로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안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선단의 하부로는 상기 챔버 내로 공급된 음용수의 출수를 위한 출수노즐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면 및 저면에는 사각 링 형상의 평판형 패킹부재가 각각 적층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보호창;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설치되면서 상기 보호창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면에는 수납홈이 제공되며, 전방에는 상기 수납홈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안착홈에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상면의 수납홈에 안착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출수노즐을 향해 광원을 제공하도록 엘이디가 구비된 광원용 피씨비;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광원용 피씨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덮개프레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의 하측 끝단에는 내향 요입된 축경단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축경단의 외주면에는 출구캡이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구캡과 축경단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패킹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출구캡의 하측 끝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내향 절곡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패킹링의 하측 끝단은 상기 출구캡의 절곡 부위 내로 일부 수용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에는 일부가 상기 몸체프레임에 형성된 두 호스 연결부의 후단 둘레를 일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음용수용 호스의 삽입을 안내하는 호스 안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호스 안내부에는 상기 음용수용 호스의 분리를 방지하는 콜렛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의 호스 안내부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각 호스 연결부에 각각 삽입되는 음용수용 호스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안내돌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에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면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되는 돌출후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면 중 호스 안내부 상측에는 상기 돌출후크가 노출되도록 노출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노출공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후크의 끝단이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KR1020190025019A 2019-03-05 2019-03-05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KR102183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19A KR102183090B1 (ko) 2019-03-05 2019-03-05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19A KR102183090B1 (ko) 2019-03-05 2019-03-05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08A true KR20200106608A (ko) 2020-09-15
KR102183090B1 KR102183090B1 (ko) 2020-11-26

Family

ID=7246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019A KR102183090B1 (ko) 2019-03-05 2019-03-05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0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47U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배스호스와 연결배관 꼬임방지장치
KR101729962B1 (ko) * 2016-09-28 2017-04-25 (주)씨디씨뉴매틱 정수기 튜브의 커플링 기구
KR20180032778A (ko) * 2016-09-23 2018-04-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급수전
KR20180070354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123209A (ko) 2018-11-06 2018-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18383B1 (ko)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47U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배스호스와 연결배관 꼬임방지장치
KR20180032778A (ko) * 2016-09-23 2018-04-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급수전
KR101729962B1 (ko) * 2016-09-28 2017-04-25 (주)씨디씨뉴매틱 정수기 튜브의 커플링 기구
KR20180070354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18383B1 (ko)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123209A (ko) 2018-11-06 2018-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090B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21B1 (ko)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CA2140228C (en) Fluid disinfection unit
KR20180049757A (ko) 접속형 살균장치
US20110240880A1 (en) Fluid treatment system
KR102183090B1 (ko) 정수기용 출수노즐 어셈블리
US7188378B2 (en) Swimming pool immersed light fixture
EP2625461B1 (en) Sleeve holder assembly
US10479705B2 (en) Illuminated ventilation ring for a UV-light water sanitizer
JP6117004B2 (ja) 洗濯機
KR20180032778A (ko) 급수전
KR20140126117A (ko) 정수기
CN218972851U (zh) 一种空调消杀模组及空调消杀机构
CN109402960B (zh) 一种杀菌装置、装配方法及洗衣机
CN219279572U (zh) 一种杀菌出水嘴
JP2003203519A (ja) 照明装置、照明管、アダプタケース及びアダプタ
JP2014100690A (ja) 水殺菌装置
ITMI960715A1 (it) Bruciatore a gas di semplice connessione alla struttura del piano di cottura ed al condotto di alimentazione del gas
KR101311603B1 (ko) 정수라인 설치용 살균기
CN217808837U (zh) 一种灯架及紫外线消毒器
CN213537340U (zh) 一种杀菌模组及杀菌箱体
JP5299451B2 (ja) インプラント用紫外線照射装置
EP3119722B1 (en) Pond filters and uv filter chambers for pond filters
KR20180128306A (ko) 살균 장치
JP2018051423A (ja) 除菌装置及び温水装置
KR200287643Y1 (ko) 음료수 순간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