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395A - 자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395A
KR20200106395A KR1020190024894A KR20190024894A KR20200106395A KR 20200106395 A KR20200106395 A KR 20200106395A KR 1020190024894 A KR1020190024894 A KR 1020190024894A KR 20190024894 A KR20190024894 A KR 20190024894A KR 20200106395 A KR20200106395 A KR 2020010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eed gear
high speed
low spee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762B1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19002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7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one or more one-way clutches as an essential fe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worm and worm-wheel or gears essentially having helical or herring-bone tee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에 저속기어와 고속기어를 설치하고, 저속 및 고속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하나의 축 상에 마련하여, 최소한의 기어장치로 자동변속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출력축으로 변속 출력시키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변속비로 출력시키는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축의 일부 구간 외주에 제1저속기어가 마련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고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회전 시에 반경이 커지도록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는 원심클러치와, 상기 원심클러치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확장된 상기 원심클러치에 의하여 회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저속기어보다 기어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제1고속기어를 구비하는 고속전환부; 상기 제1저속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제2저속기어와, 상기 제1고속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제2고속기어와, 상기 제2저속기어와 제2고속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제2저속기어와 동력전달축 사이에 마련되는 일방향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축에 마련되는 전달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이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회전 시에 상기 제1저속기어와 제1고속기어에 각각 기어결합되는 상기 제2저속기어와 제2고속기어는 상기 일방향클러치의 작용으로 동일 축 상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동력전달축과 제2저속기어 사이에 일방향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동력전달축과 제2저속기어어가 동일 축 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에 저속기어와 고속기어를 설치하고, 저속 및 고속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하나의 축 상에 마련하여, 최소한의 기어장치로 자동변속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자동차, 스쿠터 등의 차량은 주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속기가 마련된다. 이러한 변속기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속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다단 변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변속기는 고속의 속도를 내기 위하여 높은 단수의 다단 변속기 위주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변속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다양한 부품의 필요로 인한 비용이 많이 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드러운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드러운 변속을 가능하게 하고, 콤팩트하고 내구성이 높은 적은 단수의 자동변속기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유사한 선행기술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791010호 '모터용 변속기'가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에서는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출력축으로 변속 출력시키되, 상기 모터 회전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변속비로 일방향 출력시키는 변속기에 있어서, 일부 구간 외주에 원웨이클러치 경사면이 1개 또는 다수 개 형성된 구동축과, 양면에 소정 위상각 차이를 두고 방사상 등간격으로 정방향 구속체 및 역방향 구속체를 수용하는 캐리어와, 상기 정방향 구속체 및 상기 역방향 구속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정방향 출력링 및 역방향 출력링을 포함하는 2중 원웨이클러치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2중 원웨이클러치의 정방향 출력링 및 역방향 출력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다른 경로의 변속비로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저속 및 고속 회전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이 출력되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입력을 상기 2중 원웨이클러치가 허용 가능하며, 상기 2중 원웨이클러치의 캐리어는 상기 정방향 출력링 및 상기 역방향 출력링의 사이로 플랜지 형상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정방향 출력링 및 상기 역방향 출력링을 향하여 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수용되고, 상기 정방향 출력링 및 상기 역방향 출력링에는 상기 볼에 대응하여 홈이 일주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변속기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역시 저속과 고속을 담당하는 기어부가 서로 다른 축에 존재하여 변속장치의 구성이 늘어남에 따라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른 비용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91010호 '모터용 변속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력전달축과 제2저속기어 사이에 일방향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동력전달축과 제2저속기어어가 동일 축 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속장치가 적용된 자동변속기는 내부에 부에 동력전달부(200)와 동력전환부(300) 및 출력부(400)가 위치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20) 양측에 지지되고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 케이스(20) 일측의 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축(100);과 상기 구동축(100)의 일측에 제1저속기어(210)가 축결합되고, 타측 상기 구동축(100)에 제1고속기어(220)가 베어링 또는 부시 결합되며 상기 제1고속기어(220)는 측면으로 연장되어 컵 형상의 클러치하우징(2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속기어 (220)측면에 상기 구동축(100)의 제1스플라인(110)과 결합되고 구동축(100)이 고속회전시 디스크(231)에 의해 클러치하우징(2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클러치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원심클러치(230)가 구성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0);와 상기 제1저속기어(210)와 기어 결합되는 제2저속기어(310)와 상기 제1고속기어(220)와 기어 결합되는 제2고속기어(320)가 본체 케이스(20) 양측에 베어링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종동축(330)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2저속기어(310)는 내륜(312)과 외륜(311) 사이 베어링(313)으로 지지된 일방향클러치가 내장되어 상기 제2저속기어(310)의 외륜(311) 일측에 컵형상의 외주면에 제1헬리컬기어(335)가 형성되고 상기 제1헬리컬기어(335)와 기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제2헬리컬기어((345)가 형성된 연결드라이버(340)와 상기 제2고속기어(320)의 일측인 제1헬리컬기어(335) 방향으로 제2고속기어(320)의 기어수보다 작은 출력기어(326)가 제1헬리컬기어(335)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종동축(330)에 구비된 동력전환부(300);와
상기 출력기어(326)와 기어 결합된 링기어(410)가 본체 케이스(20) 양측에 베어링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출력축(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고속기어(320)의 일측에 구비된 출력기어(326)의 측단면인 제2저속기어(310)의 방향으로 제1레칫기어(327)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제2헬리컬기어(345)가 형성된 연결드라이버(340)의 일측단면인 제1레칫기어(327) 방향으로 구비된 제2레칫기어(3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 케이스(20)의 내부면에 차단벽(22) 사이에 상기 연결드라이버(34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고정핀(342)이 삽입되어 내주면에 제2헬리컬기어(345)가 형성된 연결드라이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클러치의 작동으로 일정속도 이상의 구동속도일 경우 간단장치에 의한 변속이 가능하며, 정방향과 역방향을 동일한 구동축을 사용하여 구동이 가능하고, 종동축과 제2저속기어 사이에 일방향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종동축과 제2저속기어어가 동일 축 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몸체 케이스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와 모터와 몸체 케이스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원심클러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동력전환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동력전환부의 클러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구동축(100), 동력전달부(200), 동력전환부(300), 출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구동축(10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0)은 양측이 베어링에 의해 본체 케이스(20)에 축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축(100)의 일측에는 외주면 일부에 일정길이 만큼 제1스플라인(110)이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구동축(100)은 작동 구동력을 전달되는 구성으로 본체 케이스(20)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0)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은 기설정된 속도 미만(이하 "저속"이라 함)과 기설정된 속도 이상(이하 "고속"이라 함)으로 구동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상기 구동축(100)에 회전력은 동력전달부(200)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먼저, 동력전달부(200)는 구동축(100)의 제1스플라인(110)에 원심클러치(230)의 내주면이 결합되도록 하며 원심클러치(230)의 일측에 제1고속기어(220)가 상기 구동축(100)에 베어링 또는 부시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고속기어(220)와 일정 간격의 둔 구동축(100)에 제1저속기어(210)가 축결합된다.
상기 구동축(100)에 축지지된 제1고속기어(220)는 상기 원심클러치(230) 방향으로 원심클러치(230)의 외주면 보다 약간 크게 원심클러치(230) 외주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컵 형상의 클러치하우징(240)이 형성된다.
상기 원심클러치(230)는 상기 구동축(100)이 고속으로 회전 할 경우, 상기 구동축(100)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스플라인(110) 결합되어 고속 회전하는 그 회전력을 클러치하우징(24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심클러치(230)는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복수개의 디스크(231)가 적층되어 고정핀(232)에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디스크(231)는 복구스프링(233)이 체결된다. 저속회전 시에는 상기 디스크(231)가 상기 복구스프링(233)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 확장되지 못하고, 고속회전 시에는 상기 디스크(231)가 회전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클러치하우징(240)의 내벽에 밀착하여 상기 클러치하우징(240)을 회전시킨다. 즉, 윈심클러치(230)에 고속회전은 상기 디스크(231)가 상기 복구스프링(233)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는 기준 속도를 뜻한다. 상기의 기설정된 속도의 조절은 상기 복구스프링(233)의 장력 조절로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클러치하우징(240)의 회전은 클러치하우징(24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상기 제1고속기어(220)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축(100)의 일측에 베어링 또는 부시 결합된 제1고속기어(220)와 구동축(100)에 축결합된 제1저속기어(210)의 기어수(치차수)가 많게 형성되고, 동력전환부(300)의 종동축(330)에 결합된 상기 제2고속기어(320)와 상기 제2저속기어(310)는 각각 상기 제1고속기어(320)와 상기 제1저속기어(310)와 기어 결합되며 상기 제1고속기어(220)와 기어 결합된 제2고속기어(320)의 회전속도보다 증가된 회전속도를 상기 제1고속기어(220)와 기어 결합된 제2고속기어(32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종동축(330)은 구동축(100)과 같이 양측이 베어링에 의해 본체 케이스(20)에 축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종동축(330)의 일측에는 외주면 일부에 일정길이 만큼 제2스플라인(331)이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종동축(330)의 일측에 형성된 제2스플라인(331)에 제2저속기어(310)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에는 제2고속기어(320)가 결합되어 종동축(330)에는 제2저속기어(310)와 제2고속기어(320)가 축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상기 종동축(330)의 타측에 결합된 제2고속기어(320)의 제2저속기어(310) 방향으로 출력기어(326)가 종동축(330)에 축결합되며 상기 출력기어(326)의 측단면인 제2저속기어(310)의 방향으로 제1레칫기어(327)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고속기어(320)와 제2저속기어(310)로부터 종동축(330)의 동심으로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은 출력기어(326)는 출력부(400)의 링기어(410)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링기어(410)에 축결합된 출력축(430)으로 회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출력축(430)은 링기어(410)와 축결합되고 양측이 베어링에 의해 본체 케이스(20)에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저속기어(310)는 내륜(312)과 외륜(311) 사이에 클러치베어링(313)으로 지지된 일방향클러치가 구비되고 내륜(312)이 상기 종동축(330)의 제2스플라인(331)에 결합되며 외륜(311)의 외주면에 제2저속기어(310)는 제1저속기어(210)와 기어 결합되고 일방향클러치의 외륜(311)에 일측으로 종동축(330)에 중공의 컵형태로 외주면에는 제1헬리컬기어(335)가 형성된다.
상기 제1헬리컬기어(335)의 기어와 맞물리도록 원통 형태의 내주면에는 제2헬리컬기어(345)가 형성되어 제1헬리컬기어(335)와 치합되고 제1헬리컬기어(335)의 측단면인 제1레칫기어(327) 방향으로 제2레칫기어(347)가 구비된 연결드라이브(3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헬리컬기어(335)는 제1레칫기어(327)와 일정한 폭만큼 이격시켜 형성하여 출력기어(326)에 형성된 제1레칫기어(327)와 마주보게 하여 연결드라이브(340)의 이동으로 제1레칫기어(327)와 제2레칫기어(347)가 맞물릴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드라이버(340)의 외주면에 고정핀(342)이 돌출되고 돌출된 고정핀(342)이 본체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된 차단벽(22) 사이에 고정핀(342)이 삽입되어 연결드라이버(340)를 지지함으로서 제1헬리컬기어(335)가 회전될 때 제2헬리컬기어(345)는 고정핀(340)에 의해 지지되어 연결드라이브(34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저속기어(310)의 외륜(311) 측면에 형성된 제1헬리컬기어(355)가 기어톱니의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즉 저속이나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본체 케이스(20)의 차단벽(22) 사이에 고정핀(342)이 삽입되어 제1헬리컬기어(335)는 회전하지만 제1헬리컬기어(335)와 제2헬리컬기어(345)로 치합된 연결드라이버(340)를 차단벽(22)에 고정핀(342)으로 지지하여 제1헬리컬기어(335)와 연결드라이버(340)은 동시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1헬리컬기어(335)의 경사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즉 역회전할 경우 연결드라이버(340)는 제2헬리컬기어(345)의 기어톱에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드라이버(340)의 제2레칫기어(347)은 제1레칫기어(32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드라이버(340)의 제1레칫기어(327)와 제2레칫기어(347)가 기어 결합되어 제2저속기어(310)의 회전력이 출력기어(326)에 전달된다.
상기 제2고속기어(320)와 제2저속기어(310)로부터 종동축(330)의 동심으로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은 출력기어(326)는 출력부(400)의 링기어(410)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링기어(410)에 축결합된 출력축(430)으로 회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출력축(430)은 링기어(410)와 축결합되고 양측이 베어링에 의해 본체 케이스(20)에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서 모터(10)로부터 구동축(100)이 저속으로 회전될 경우 제1저속기어(210)와 치합된 제2저속기어(220)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일방향클러치 구조인 제2저속기어(210)와 동심축인 종동축(330)에 결합된 출력기어(326)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출력기어(326)와 기어 결합된 링기어(410)의 출력축(430)으로 회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제1저속기어(210)의 기어수는 제1고속기어(220)의 기어수보다 작아 각각 제2저속기어(310)와 제2고속기어(320)로 전달되는 회전수가 다를 수 있으나, 제1고속기어(220)가 구동축(100)에 베어링 또는 부시 결합되어 공전될 수 있어 제2저속기어(310)와 제2고속기어(320)에 전달되는 종동축(330)의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회전된다.
한편, 모터(10)로부터 구동축(100)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 제1저속기어(210)도 고속으로 회전되고 제1고속기어(220)의 일측에 구동축(100)과 스플라인 결합된 원심클러치(230)에 디스크(231)가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클러치하우징(24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클러치하우징(240)의 측면에 구비된 제1고속기어(220)는 고속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고속기어(220)는 기어수가 제1저속기어(210)의 기어수가 많아 제2고속기어(320)의 회전속도가 상대적으로 제2저속기어(310)보다 빠르게 회전되어 각각 전달된다,
여기에서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2저속기어(310)는 일방향클러치에 외륜(311)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2저속기어(310)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제2고속기어(320)는 종동축(330)에 축결합되고 상기 종동축(330)과 스플라인 결합된 제2저속기어(310)의 일방향클러치에 내륜(312)이 제2고속기어(320)의 회전속도로 제2저속기어(310)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저속기어(310)에 구비된 일방향클러치에 외륜(311)보다 내륜(312)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회전하게 되고 외륜(311)인 제2저속기어(310)는 내륜(312)을 따라 내륜(312)보다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동종축(330)의 회전속도는 제2고속기어(320)의 회전속도로 출력기어(326)에 전달되고 출력기어(326)와 치합된 링기어(410)로 회전속도가 전달된다.
이때 모터(10)가 저속이나 고속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연결드라이버(340)은 본체 케이스(20)의 차단벽(22) 사이에 고정핀(342)이 삽입되어 제1헬리컬기어(335)는 회전하지만 제1헬리컬기어(335)와 제2헬리컬기어(345)로 치합된 연결드라이버(340)를 차단벽(22)에 고정핀(342)으로 지지하여 제2저속기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저속기어(310) 또는 제2고속기어(320)의 회전력이 출력기어에 전달된다.
또한, 모터(10)가 역회전으로 저속으로 회전될 경우 대부분의 오토바이 등은 역방향 증 후진할 때 저속으로 사용하게 되며 저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구동축(100)에 저속으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1저속기어(210)는 역방향으로 일방향클러치에 의해 외륜(311)이 내륜(312)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됨으로 외륜(311)만 회전하게 된다. 역회전할 경우 상기 제2저속기어(310)가 역회전하면서 제2저속기어(310)의 외륜(311)에 구비된 제1헬리컬기어(335)가 기어톱니의 경사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결드라이버(340)는 고정핀(342)이 본체 케이스(20)의 차단벽(2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핀(342)이 연결드라이버(340)는 제2헬리컬기어(345)의 기어톱에 경사진 방향으로 밀려 회전하여 연결드라이버(340)가 제1레칫기어(32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드라이버(340)의 제2레칫기어(347)와 출력기어의 제1레칫기어(327)가 기어 결합되어 제2저속기어(310)의 회전력이 출력기어(326)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1고속기어(220)는 구동축(100)에 베어링 또는 부시 결합으로 공전하게 됨으로 제2고속기어(320)의 회전속도는 제2저속기어(320)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터
20 : 본체 케이스 22 : 차단벽
100 : 구동축 110 : 제1스플라인
200 : 동력전달부 210 : 제1저속기어 230 : 원심클러치
231 : 디스크 232 : 고정핀 233 : 복구스프링
240 : 클러치하우징 230 : 제1고속기어
300 : 동력전환부 310 : 제2저속기어 311 : 외륜
312 : 내륜 313 : 클러치베어링 320 : 제2고속기어
326 : 출력기어 327 : 제1레칫기어 330 : 종동축
331 : 제2스플라인 335 : 제1헬리컬기어 340 : 연결드라이버
342 : 고정핀 345 : 제2헬리컬기어 347 : 제2레칫기어
400 : 출력부 410 : 링기어 430 : 출력축

Claims (3)

  1. 내부에 동력전달부(200)와 동력전환부(300) 및 출력부(400)가 위치하는 본체 케이스(20);와
    상기 본체 케이스(20) 양측에 지지되고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 케이스(20) 일측의 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축(100);과
    상기 구동축(100)의 일측에 제1저속기어(210)가 축결합되고, 타측 상기 구동축(100)에 제1고속기어(220)가 베어링 또는 부시 결합되며 상기 제1고속기어(220)는 측면으로 연장되어 컵 형상의 클러치하우징(2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속기어 (220)측면에 상기 구동축(100)의 제1스플라인(110)과 결합되고 구동축(100)이 고속회전시 디스크(231)에 의해 클러치하우징(2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클러치하우징(240)의 내부에 구비된 원심클러치(230)가 구성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0);와
    상기 제1저속기어(210)와 기어 결합되는 제2저속기어(310)와 상기 제1고속기어(220)와 기어 결합되는 제2고속기어(320)가 본체 케이스(20) 양측에 베어링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종동축(330)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2저속기어(310)는 내륜(312)과 외륜(311) 사이 베어링(313)으로 지지된 일방향클러치가 내장되어 상기 제2저속기어(310)의 외륜(311) 일측에 컵형상의 외주면으로 제1헬리컬기어(335)가 형성되고 상기 제1헬리컬기어(335)와 기어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형상의 내주면에 제2헬리컬기어((345)가 형성된 연결드라이버(340)와 상기 제2고속기어(320)의 일측인 제1헬리컬기어(335) 방향으로 제2고속기어(320)의 기어수보다 작은 출력기어(326)가 제1헬리컬기어(335)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종동축(330)에 구비된 동력전환부(300);와
    상기 출력기어(326)와 기어결합된 링기어(410)가 본체 케이스(20) 양측에 베어링 지지되어 회전가능한 출력축(430)이 구비된 출력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2. 청구항 제1항의 상기 제2고속기어(320)에 있어서
    상기 제2고속기어(320)의 일측에 구비된 출력기어(326)의 측단면인 제2저속기어(310)의 방향으로 제1레칫기어(327)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제2헬리컬기어(345)가 형성된 연결드라이버(340)의 일측단면인 제1레칫기어(327) 방향으로 구비된 제2레칫기어(3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3. 청구항 제2항의 상기 연결드라이버(340)에 있어서
    상기 연결드라이버(34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고정핀(342)이 상기 몸체 케이스(20)의 내부면에 차단벽(22) 사이에 삽입되어 내주면에 제2헬리컬기어(345)가 형성된 연결드라이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KR1020190024894A 2019-03-04 2019-03-04 자동변속기 KR10217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894A KR102176762B1 (ko) 2019-03-04 2019-03-04 자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894A KR102176762B1 (ko) 2019-03-04 2019-03-04 자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95A true KR20200106395A (ko) 2020-09-14
KR102176762B1 KR102176762B1 (ko) 2020-11-09

Family

ID=7247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894A KR102176762B1 (ko) 2019-03-04 2019-03-04 자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7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5363A (ja) * 2011-04-15 2012-11-15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
KR101791010B1 (ko) 2015-09-15 2017-10-27 (주)엠비아이 모터용 변속기
KR20180121002A (ko) * 2017-04-28 2018-11-07 이엠티씨 주식회사 2단 변속장치
CN208273733U (zh) * 2018-06-13 2018-12-25 周雨馨 卷帘机用自动变速减速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5363A (ja) * 2011-04-15 2012-11-15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
KR101791010B1 (ko) 2015-09-15 2017-10-27 (주)엠비아이 모터용 변속기
KR20180121002A (ko) * 2017-04-28 2018-11-07 이엠티씨 주식회사 2단 변속장치
CN208273733U (zh) * 2018-06-13 2018-12-25 周雨馨 卷帘机用自动变速减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762B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678B2 (en) Selectable one-way rocker clutch
JP4511668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
JPH05149393A (ja) 変速装置
JPH10184820A (ja) 遊星歯車機構
JP6334501B2 (ja) 動力伝達装置
KR20180124177A (ko) 클리어런스 제어 사판 장치 및 마찰 클러치 적용 단일 축 2속 구동 시스템
CN112721619A (zh) 无动力中断的两挡变速电桥驱动系统
KR102176762B1 (ko) 자동변속기
KR101675383B1 (ko) 아이들 제어가 가능한 듀얼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변속기
EP3740701B1 (en) Gearing assembly and gearing apparatus
KR20150029223A (ko) 무한 변속기
TW201907098A (zh) 行星齒輪變速器
JP2014126181A (ja) 変速装置
CN108626345B (zh) 变速器中的制动器的安装结构、变速器及车辆
JP5747528B2 (ja) 変速機の回転軸支持構造
JPS6346753Y2 (ko)
JP3655955B2 (ja) 自動車用トランスファ装置
KR20150035128A (ko) 무한 변속기
KR100328381B1 (ko) 무단 변속장치
SE535939C2 (sv) Basväxellåda och rangeväxellåda för motorfordon
KR200208195Y1 (ko) 수동변속기의 역진 방지장치
KR100302723B1 (ko) 4륜구동무단변속기
EP0710191B1 (en) Power train of five-spe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0237978B1 (ko) 수동변속기의 피동기어 고정구조
KR100328382B1 (ko) 무단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