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386A -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386A
KR20200106386A KR1020190024861A KR20190024861A KR20200106386A KR 20200106386 A KR20200106386 A KR 20200106386A KR 1020190024861 A KR1020190024861 A KR 1020190024861A KR 20190024861 A KR20190024861 A KR 20190024861A KR 20200106386 A KR20200106386 A KR 20200106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flame
extinguishing device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334B1 (ko
Inventor
이민철
최한별
강은선
김성은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8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Abstract

접철식 긴급소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는, 중앙파지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탄성복원되는 복수의 지지살; 펼쳐진 상기 지지살과 함께 내부에 진화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살에 설치되어 화재의 번짐을 차단하는 방염시트; 및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방염시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연성시트를 포함하여, 화재발생시 접혀진 상태로 비치된 상기 지지살을 펼쳐 화염을 상기 진화공간 내에 차폐시켜 화재를 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변형되는 지지살과 이에 결합되어 내부에 진화공간을 형성하는 방염시트를 통해 발생된 화염이 차폐되어 1차적으로 질식소화되고, 진화공간에서 화염에 의해 연소된 가연성시트로 인해 직접 제공된 소화물질을 통해 2차적으로 화염이 직접 진화됨에 따라 효과적이고 신속한 초기진화가 질식의 위험 없이 안전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살과 함께 방염시트가 협소한 크기로 접히거나 소정의 크기로 자유롭게 확장됨에 따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초기진화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 등에 보관과 수납이 용이한 편리함이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긴급소화장치{EMERGENCY FIRE EXTINGUISHER DESIGNED TO BE STRETCHED AND FOLDED}
본 발명은 접철식 긴급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혀져 일측 공간에 수납될 수 있고 화재시 펴진 상태로 사용되어 화재 발생 초기에 빠르게 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재를 진화하는 소방시스템은 크게 수계(水系)와 가스계(Gas)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수계 소방시스템은 소화약제가 용해된 액체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화재 발생 장소 및 물건 등에 대한 필연적인 침수를 발생시켜 복원하기 어려운 2차 피해, 즉 수손피해(水損被害)를 동반하게 되고, 물과 전기배선 간의 통전에 따른 위험이 있으며, 전기화재의 경우 적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화전과 같은 수계 시스템은, 한파로 인한 동파 발생시 그 소방기능을 상실함은 물론 배관 파손 등에 따라 유지 및 관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스계 소방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질소나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 화합물 가스 등이 화재 장소에 분사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질식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센서는 물론, 고압설비, 각종 배관, 밸브 및 제어부 등이 필요하므로 소방시스템 구현에 고비용이 소요되고 폭발의 위험이 상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소방시스템의 경우 설치구역 내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방출로 인한 질식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안전 대책을 필요하므로, 화재시 음성경보나 사이렌을 울리면서 인원대피 여부를 확실히 한 후 현장에서 수조작으로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하거나, 화재 영역 내의 인원이 충분히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두고 음성경보나 사이렌을 통해 이를 알린 후에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 중에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53355호(공개일: 2013년05월23일)는 잠수함 기관실의 소화설비에 대한 기술을 설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이산화탄소 소방시스템의 경우, 인원대피 여부를 살피는 동안 초기진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화재로 인한 손해가 확대될 수 있고, 미소한 부분 화재에도 설치영역 전체에 대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진화작동이 효율적이지 못하게 되며, 반면에 인원대피 여부를 살피지 않고 초기진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현하게 되면, 질식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와 같은 소화용 기체의 사용에 따른 질식 위험의 염려가 없고, 노약자 등에 의한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는 비치형 분말소화기와 달리 화재 발생 초기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초기진화를 수행할 수 있는 간이한 소방장치나 도구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53355호(공개일: 2013년05월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상 질식 위험의 염려가 없고, 비치형 분말소화기와 달리 화재 발생 초기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초기진화에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전 협소한 공간 등에 접혀진 상태로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중앙파지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탄성복원되는 복수의 지지살; 펼쳐진 상기 지지살과 함께 내부에 진화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살에 설치되어 화재의 번짐을 차단하는 방염시트; 및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방염시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연성시트를 포함하여, 화재발생시 접혀진 상태로 비치된 상기 지지살을 펼쳐 화염을 상기 진화공간 내에 차폐시켜 화재를 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연성시트는, 화기에 의해 급발화되며 사라지는 플래시 페이퍼일 수 있다.
상기 소화물질은, 화기와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소화작용을 하는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인산염, 황산염 및 그 밖의 방염성 염류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말소화약제일 수 있다.
상기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액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방염시트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연질의 가연성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는, 상기 중앙파지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의 상기 지지살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거치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변형되며 납작하게 접혀지고 탄성복원되며 펴지는 코일형상의 지지살; 펼쳐진 상기 지지살과 함께 내부에 진화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살에 설치되어 화재의 번짐을 차단하는 방염시트; 및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방염시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연성시트를 포함하여, 화재발생시 접혀진 상태로 비치된 상기 지지살을 펼쳐 화염을 상기 진화공간 내에 차폐시킨 후 상기 소화물질을 통해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살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고깔 형태의 각뿔, 원뿔 또는 타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각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연성시트는, 화기에 의해 급발화되며 사라지는 플래시 페이퍼일 수 있다.
상기 소화물질은, 화기와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소화작용을 하는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인산염, 황산염 및 그 밖의 방염성 염류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말소화약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변형되는 지지살과 이에 결합되어 내부에 진화공간을 형성하는 방염시트를 통해 발생된 화염이 차폐되어 1차적으로 질식소화되고, 진화공간에서 화염에 의해 연소된 가연성시트로 인해 직접 제공된 소화물질을 통해 2차적으로 화염이 직접 진화됨에 따라 효과적이고 신속한 초기진화가 질식의 위험 없이 안전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살과 함께 방염시트가 협소한 크기로 접히거나 소정의 크기로 자유롭게 확장됨에 따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초기진화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 등에 보관과 수납이 용이한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를 소정 위치에 비치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 및 소화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척실 긴급소화장치를 소정 위치에 비치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진화공간을 이용한 화염에 대한 차폐(질식소화)와 함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를 소정 위치에 비치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 및 소화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접척실 긴급소화장치를 소정 위치에 비치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술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100)는, 임의의 비치공간에 접혀져 수납된 상태에서 발생된 화재의 진화를 위해 인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펴지며 진화공간(ES)을 형성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화공간(ES)을 통한 질식소화와, 진화공간(ES) 내측에서 유출되는 소화물질(132)에 의한 직접 진화가 각각 순차적이고 중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살(110), 방염시트(120), 가연성시트(130) 및 가연성튜브(14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상으로 변형되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살(110) 등을 포함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세부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살(110)은, 탄성변형을 통해 내부에 가변적으로 진화공간(ES)을 형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100)의 기본형태를 이루는 뼈대가 되는 구성요소로서, 탄성변형시 얇은 두께나 작은 부피로 접힐 수 있고, 탄성복원시 내측에 소정의 진화공간(ES)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화된 것이라면, 그 형상이나 구조 등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살(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파지부(112)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결합되어 탄성변형되는 복수 개의 탄성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파지부(112)는, 화재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소화장치(100)를 후술할 거치함(150)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쉽게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돌출된 고리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살(110)은, 화염(20)에 대한 저항성 즉,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카(산화 규소)나 유리섬유 등을 강화소재(심재)로 사용한 고탄성 합성수지를 막대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중앙파지부(112)와 지지살(110)은, 각각 별개로 제작된 후 중앙파지부(112)의 둘레를 따라 지지살(110)을 결합하는 방식 또는 유리섬유 등을 함유한 고탄성 합성수지를 소재로 복수의 지지살(110)과 중앙파지부(112)를 함께 성형하는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중앙파지부(112)와 일체화된 복수의 막대형 지지살(110)이, 중앙파지부(112)를 기준으로 탄성복원되며 펼쳐지게 되면,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볼록한 우산형태의 뼈대를 형성하며 내부에 진화공간(ES)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에 복수의 막대형 지지살(110)이, 중앙파지부(112)를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접혀지게 되면, 콤팩트한 기둥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긴급소화장치(100)는 상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거치함(15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함(150)은, 구조물 내외부의 모퉁이, 출입구 주변, 벽면(10) 등에 비치 내지 설치되어 콤팩트하게 접혀진 본 발명에 따른 긴급소화장치(100)를 간이하게 보관하고 화재 발생시 손쉽게 인출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추가적 구성요소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접철식 긴급소화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태로 감겨져 탄성변형되는 코일형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지살(110`)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형상의 지지살(110`)은, 각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더욱 납작한 형태로 접혀질 수 있고 지면 등에 대한 균형있는 안착을 위해,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고깔 형태의 각뿔, 원뿔 또는 타원뿔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형상의 지지살(110`)은, 상술한 막대형 지지살(110)과 마찬가지로, 화염(20)에 대한 저항성 즉, 내열성과 탄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등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 탄성복원되면,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진화공간(ES)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에 코일형상의 지지살(110`)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접혀지게 되면, 콤팩트한 판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긴급소화장치(100`)는 상방에 슬릿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된 거치함(15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보관되거나, 구조물 내외부의 좁은 틈새, 벽면(10) 등에 간편하게 비치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손쉽게 인출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긴급소화장치(100`)를 이루는 이외의 구성들은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염시트(120)는, 화재의 번짐을 차단하는 진화공간(ES)을 상술한 지지살(110,110`)과 함께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불에 타지 않는 실리카(산화 규소)나 유리섬유 등과 같은 내화성 소재가 함유된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에 따른 방염시트(120)는, 자유롭게 접히거나 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한 대략 0.3mm 내지 5mm의 두께를 갖는 직물이나 필름형의 상용화된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염시트(1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된 지지살(110,110`)의 전체적 형상에 각각 대응한 형태로 제단된 후 지지살(110,110`)에 결합됨으로써 외부와 차폐될 수 있는 진화공간(ES)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소화장치(100,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요한 형상으로 제단된 방염시트(120)의 지지살(110,110`)에 대한 결합은, 접착물질을 사용한 접착, 실 등을 사용한 박음질 또는 표면 마찰을 이용한 열융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실시예 또는 변형예에 따른 지지살(110,110`)에 각각 결합된 방염시트(120)는, 지지살(110,110`)의 탄성변형에 따라 함께 접혀진 상태로 거치함(150) 등에 수납되었다가 화재 발생시에는 막대형 또는 코일형 지지살(110,110`)의 탄성복원에 따라 팽팽하게 펼쳐지며 볼록한 우산형상 또는 원기둥(원뿔) 형상의 진화공간(ES)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팽하게 펼쳐진 방염시트(120)에 의해 형성된 진화공간(ES)을 발화 지점에 신속하게 위치시키게 되면, 방염시트(120)는 화염(20)의 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외부 산소의 유입을 막아 화염(20)을 질식소화시키게 되며, 후술할 소화물질(132)의 외부 유출을 저감함에 따라 질식의 위험 없이 안전하고 신속한 초기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가연성시트(130)는, 발생된 화염(20)이 사용자에 의해 진화공간(ES) 내로 신속하게 차폐된 경우 소정의 소화물질(132)이 진화공간(ES) 내로 투하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화염(2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면 연소되어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가연성 소재로 제작된 시트일 수 있다.
이러한 가연성시트(130)는, 방염시트(120)와의 관계에서 소화물질(132)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을 형성하며 방염시트(1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진화공간(ES)의 내부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발화 지점의 화염(20)을 진화공간(ES)을 이용하여 차폐하게 되면, 가연성시트(130)는 화염(20)에 의해 직접 연소됨에 따라 내부 포켓에 수용된 소화물질(132)은 화염(20)을 포함한 발화 지점 주변에 직접 투하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 등에 따른 가연성시트(130)는, 화기가 접근하게 되면 급발화하여 사라지는 플래시 페이퍼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래시 페이퍼는 열기가 가해지지 않는 동안에는 시트형상을 유지하며 내부 포켓에 수용된 소화물질(132)의 유출을 억제하게 되지만, 열기에 접근하게 되면 흔적도 없이 급발화되며 사라지는 화확처리된 종이를 말한다.
이러한 플래시 페이퍼는 질산과 황산을 같은 비율로 섞은 혼합산에 100%의 솜종이를 담가 질화시킨 후, 산기를 제거하여 서서히 승화 건조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안전한 사용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등에서는 20%의 함수율을 갖는 상용화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질(132)은, 화기와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소화작용을 하는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칼륨, 인산염, 황산염 및 그 밖의 방염성 염류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말소화약제로서, 1종 분말(NaHCO3), 2종 분말(KHCO3), 3종 분말(NH4H2PO4), 4종 분말(KC2N2H3O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의 소화작용은, 화염(20)과의 열분해 반응으로 생성되는 물질에 의한 질식 또는 냉각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 진화작용을 말한다.
한편, 소화물질(132)은, 위에 언급한 물질 이외에 전기설비, 변전실, 통신실, 전산실, 항공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하론1211, 하론1301, HCFC Blend A, HFC-227ea 등의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일 수 있다.
위와 같이 플래시 페이퍼로 된 가연성시트(130)는, 사용자에 의해 화염(20)이 진화공간(ES)에 차폐(질식소화)되자마자 즉각적으로 발화되며 진화공간(ES) 내의 산소를 신속히 고갈시키는 한편, 포켓 내의 소화물질(132)이 화염(20)에 신속하게 투하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진화공간(ES) 내에 차폐된 화재는, 진화공간(ES)과 플래시 페이퍼에 의한 중첩적이고 연쇄적인 1,2차 진화작용에 의해 더욱 확실하고 신속하게 진화될 수 있게 된다.
가연성튜브(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염시트(120)로 차폐된 진화공간(ES) 및 소화물질(132)을 수용하는 가연성시트(130)와 함께 추가적인 소화작용을 수행하는 한편, 발화 지점을 덮도록 위치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소화장치(100)가 화기에 의한 열풍이나 외력 등에 의해 위치 이탈하지 않도록 중량물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에 따른 가연성튜브(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화액(142)을 수용한 상태로 방염시트(120)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연질의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연성튜브(140)는, 내부에 소화액(142)을 수용함에 따라 중량물로서 기능하게 되고, 가연성 소재로 제작됨으로 인해 상술한 가연성시트(130)와 유사하게 화염(2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면 연소되어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내부에 수용된 소화액(142)을 토출하게 된다.
이때, 소화액(142)은 물이나 탄산칼륨과 같은 소화약제를 용해시킨 수용액, 가연물에 대한 습윤성 및 침투성을 높이는 등 특수한 목적으로 위해 합성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물 등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벽면 20: 화염
100: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110,110': 지지살 112: 중앙파지부
120: 방염시트 ES: 진화공간
130: 가연성시트 132: 소화물질
140: 가연성튜브 142: 소화액
150: 거치함

Claims (9)

  1. 중앙파지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탄성복원되는 복수의 지지살;
    펼쳐진 상기 지지살과 함께 내부에 진화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살에 설치되어 화재의 번짐을 차단하는 방염시트; 및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방염시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연성시트를 포함하여,
    화재발생시 접혀진 상태로 비치된 상기 지지살을 펼쳐 화염을 상기 진화공간 내에 차폐시켜 화재를 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시트는,
    화기에 의해 급발화되며 사라지는 플래시 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질은,
    화기와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소화작용을 하는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인산염, 황산염 및 그 밖의 방염성 염류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말소화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액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방염시트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연질의 가연성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긴급소화장치는,
    상기 중앙파지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의 상기 지지살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거치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6. 탄성변형되며 납작하게 접혀지고 탄성복원되며 펴지는 코일형상의 지지살;
    펼쳐진 상기 지지살과 함께 내부에 진화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살에 설치되어 화재의 번짐을 차단하는 방염시트; 및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방염시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연성시트를 포함하여,
    화재발생시 접혀진 상태로 비치된 상기 지지살을 펼쳐 화염을 상기 진화공간 내에 차폐시켜 화재를 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고깔 형태의 각뿔, 원뿔 또는 타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각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시트는,
    화기에 의해 급발화되며 사라지는 플래시 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질은,
    화기와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소화작용을 하는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인산염, 황산염 및 그 밖의 방염성 염류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말소화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KR1020190024861A 2019-03-04 2019-03-04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KR10219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861A KR102195334B1 (ko) 2019-03-04 2019-03-04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861A KR102195334B1 (ko) 2019-03-04 2019-03-04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86A true KR20200106386A (ko) 2020-09-14
KR102195334B1 KR102195334B1 (ko) 2020-12-24

Family

ID=7247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861A KR102195334B1 (ko) 2019-03-04 2019-03-04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3303A (zh) * 2021-09-09 2021-11-30 金泥沙 一种高校实验室消防安全应急处理设备
CN115006764A (zh) * 2022-05-25 2022-09-06 青岛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消防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766U (ja) * 1993-03-17 1994-09-27 静代 紅野 消火用消火粉末付きシート
JPH10201871A (ja) * 1997-01-22 1998-08-04 Masato Haga 消火シート
JP2003062102A (ja) * 2002-09-18 2003-03-04 Kazuhiko Takeshita 磁石と消火剤入り密封ポケットお、取り付けた消火用袋
KR20130053355A (ko) 2011-11-16 2013-05-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기관실의 소화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766U (ja) * 1993-03-17 1994-09-27 静代 紅野 消火用消火粉末付きシート
JPH10201871A (ja) * 1997-01-22 1998-08-04 Masato Haga 消火シート
JP2003062102A (ja) * 2002-09-18 2003-03-04 Kazuhiko Takeshita 磁石と消火剤入り密封ポケットお、取り付けた消火用袋
KR20130053355A (ko) 2011-11-16 2013-05-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기관실의 소화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3303A (zh) * 2021-09-09 2021-11-30 金泥沙 一种高校实验室消防安全应急处理设备
CN115006764A (zh) * 2022-05-25 2022-09-06 青岛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消防机器人
CN115006764B (zh) * 2022-05-25 2023-08-22 青岛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消防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334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6848B (zh) 蓄電系統消防裝置及其運作方法
US3918526A (en) Fire-extinguishing device
KR102195334B1 (ko)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WO2014192900A1 (ja) 消火装置及び消火方法
US20070068683A1 (en) Manually activated, portable fire-extinguishing aerosol generator
US20070079972A1 (en) Manually activated, portable fire-extinguishing aerosol generator
CN105339051A (zh) 可投掷灭火器
KR101719492B1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JP2005323811A (ja) 消火装置
ES2710367T3 (es) Equipo contra incendios
KR101037659B1 (ko) 산불진압용 소화탄
KR20170104261A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Log et al. ‘Water mist’for fire protection of historic buildings and museums
US20190083830A1 (en) Fire-Extinguishing Bag
KR101872258B1 (ko) 마스크 보관함
US20090050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a fire
Kim et al. Study of explosion protection in a small compartment
KR100427083B1 (ko) 열팽창폭발식소화기
CN219700940U (zh) 一种适应于爆炸性气氛条件下的热敏线组合装置
TR201701594A2 (tr) Yangın söndürme topunu ısı veya elektrik tetiklemesi ile uzaktan otomatik veya manuel olarak patlatma sistemi
BR102018011520A2 (pt) esfera corta-fogo
JP2012183201A (ja) 自動消火器
Patel et al. Cease fire: An emergency practice in domestic as well as in profession
Senecal et al. Explosion Suppression in Occupied Spaces
BR202018070757U2 (pt) bola extintora de proteção e combate contra incên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