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249A -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 Google Patents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249A
KR20200106249A KR1020190024489A KR20190024489A KR20200106249A KR 20200106249 A KR20200106249 A KR 20200106249A KR 1020190024489 A KR1020190024489 A KR 1020190024489A KR 20190024489 A KR20190024489 A KR 20190024489A KR 20200106249 A KR20200106249 A KR 20200106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late
rod
lift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457B1 (ko
Inventor
서한나
Original Assignee
서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나 filed Critical 서한나
Priority to KR102019002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4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23Protective devices, e.g. burn guar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판과 냉각판의 전방의 차단을 통해 작업자의 충돌을 1차적으로 예방함과 동시에 그 작동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2차적으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며, 또한 가열판과 냉각판의 가압 작동구조를 상,하 승강 작동에 의한 승강 작동을 구현하면서도, 그 승강 행정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하고자 하는 원단의 두께 등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효율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Heating press for curved work}
본 발명은 열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에 대하여 상의의 발 부분이나 하의의 다리 부분의 열 압착 및 다림질을 수행함에 있어, 안정된 작동구조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복이나 각종 다양한 형태의 피복은 방수기능이 필수적으로 부여되어야 하는 것인바, 방수 처리를 위해 방수원단과 외피를 서로 열 압착에 의해 접착함으로 그 방수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제작된 의류에 대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평평한 상태로 다림질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등산복 등의 원단을 열 압착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소형 다리미가 있고,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가열판을 갖는 대형의 다림질 장치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림질 장치는 보편적으로 등산복 등의 원단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한 작업대가 본체 상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의 작업대 상부에는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가열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가열판은 공압 또는 유압의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작업대 상에 접착하고자하는 방수원단 및 외피를 올려놓은 후 가열된 상태의 가열판을 하향 작동시켜 가열판의 가압작용을 일시에 열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림질 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가열판이 순간적으로 낙하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상기의 가열판은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와 같은 엑츄에이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강되는 것인데, 상기의 엑츄에이터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에어 또는 유압호스가 엑츄에이터로부터 분리되거나 에어 또는 유압호스가 파손 및 절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중량체인 가열판이 수직방향으로 빠르게 추락하면서 작업자의 손에 심각한 부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작동구조를 갖는 가열판은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가열판은 고온으로 발열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가열판의 급격한 추락시에는 중량에 의한 부상 및 고온의 열기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1485266호와 같이 스윙아암과 가열판 및 냉각판이 회동 작동하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 프레스는 그 작업대의 구조가 기 제작된 의류에 대하여 다림질을 수행시 상의의 팔 부분이나 하의의 다리 부분을 장착함에 있어, 일측에서 삽입 장착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작업자가 본체의 전방과 측면을 오가면서 작업하여야 하는 등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대와 가열판 및 냉각판의 면접부 구조가 평평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장착되는 의류에 대하여 펼침이 곤란하였으며, 이에 따른 작업시 주름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1885985호와 같이 의류의 팔 부분이나 다리 부분의 삽입 설치상의 편리함과 작업대와 가열판 또는 냉각판의 곡률 구조를 통해 의류의 펼침상의 용이함과 이에 따른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곡률형 작업구조와 회전 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 프레스는 의류의 곡률부에 대한 용이한 작업은 가능하였으나, 그 전방이 가열판과 냉각판으로 노출되어 있어, 가열판과 냉각판의 회동 작동되는 특성상 전방 회동 과정에서 자칫 작업자를 타격하게 되는 등 작업자로하여금 항시 부상 위험에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 프레스는 그 가열판과 냉각판이 단순히 회동에 의한 열 압착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원단의 두께나 종류에 따른 가압력의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그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485266호.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8859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열판과 냉각판의 전방의 차단을 통해 작업자의 충돌을 1차적으로 예방함과 동시에 그 작동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2차적으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열판과 냉각판의 가압 작동구조를 상,하 승강 작동에 의한 승강 작동을 구현하면서도, 그 승강 행정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하고자 하는 원단의 두께 등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효율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작업대 곡률면이 형성되고 수평 및 수직 회동 작동되는 작업대와, 작업대 곡률면과 대응되는 가열판 곡률면을 갖는 가열판과 작업대 곡률면과 대응되는 냉각판 곡률면을 갖는 냉각판이 구성되어 가열판과 냉각판의 교체에 의해 작업대의 원단을 가압하여 열 압착 및 냉각을 수행하는 열 프레스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 후방에 형성되며, 상부로 개방되며 내측에는 승강로드가 상부로 출몰 작동하는 승강실린더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는 승강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지주관;
지주관에 수직상으로 삽입 및 승강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양측에는 수평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출몰되는 수평로드를 갖는 수평실린더가 형성된 수평대가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승강로드가 고정되는 승강로드 고정대가 형성되어 승강실린더 작동에 따라 상,하 승강 작동하는 승강대;
상부는 상판으로 마감되고 전후방은 차단판으로 마감되며 양측은 측판으로 마감되어 내부에 하부 개방형 공간부를 이루고, 외부 일측의 후방에는 직각 방향으로 회전작동부 설치대가 형성되어, 수평대의 수평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단 전방에는 수평로드가 결합되어 수평실린더 작동에 따라 수평대의 하부로 출몰 작동하는 수평이동대;
가열판과 냉각판이 형성되며, 수평이동대의 내부에 형성 및 양측이 측판에 회전축 결합되어 회전하며, 승강대의 승강 작동시 작업대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가압수단의 왕복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는, 가열판과 냉각판의 전면이 차단판으로 마감되어 있는 것인바, 작업중 작업자가 가열판이나 냉각판의 충돌이 1차적으로 차단되게 되며, 특히 그 가열판과 냉각판의 후방으로 후퇴한 상태에서 회전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2차적으로 충돌이 방지되는 등 장치와 작업자의 충돌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그 안전성이 완벽히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트록 조절수단을 통해 가열판과 냉각판의 승강 행정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원단의 두께 등의 종류에 따라 그 가압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원단의 적용에 따른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스트록 조절수단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가압수단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회전작동부 요부도.
도 9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회전작동부 요부도.
도 10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스토핑수단 요부도.
도 11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스토핑수단 요부도.
도 12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원단 걸이구 요부도.
도 13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가압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작업대 작동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후방 이동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가압수단 회전 작동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승강 스트록 조절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는, 본체(100)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작업대 곡률면(111)이 형성되고 수평 및 수직 회동 작동되는 작업대(110)와, 작업대 곡률면(111)과 대응되는 가열판 곡률면(511)을 갖는 가열판(510)과 작업대 곡률면(111)과 대응되는 냉각판 곡률면(521)을 갖는 냉각판(520)이 구성되어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교체에 의해 작업대(110)의 원단(의류)을 가압하여 열 압착 및 냉각을 수행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대(110)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885985에서와 같이 지지부(112)와, 고정아암(113)과, 회동아암(114)과, 회동부재(115)로 구성되되, 회동부재(115)를 통해 수평 및 수직 회동 작동구를 이루는 작업대의 적용 가능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는 지주관(200)과, 승강대(300)와, 수평이동대(400)와, 가압수단(500)과, 회전작동부(600)로 구성된다.
먼저, 지주관(200)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를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승강대(300)의 승강을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지주관(200)은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로 개방된 수직 직사각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내측 바닥에는 상부로 수직 입설되는 승강실린더(210)가 구성되며, 그 승강실린더(210)의 상단에는 상부로 출몰 작동하는 승강로드(211)가 구성된다.
또한, 지주관(200)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부를 향하게 수직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레일(220)이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300)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승강실린더(210) 작동에 의해 후술하는 수평이동대(400) 및 가압수단(500)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승강대(300)는 내부가 중공되는 수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주관(200)에 상부로부터 삽입되되, 상기 지주관(200)의 승강 가이드레일(22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그 지주관(200)을 가이드로 하여 상, 승강되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대(300)에는 그 상단에 전방을 향하게 수평으로 직각 돌출되는 수평대(310)가 구성된 것으로, 그 수평대(310)에는 하부 양측에 전방을 향하게 수평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 가이드레일(3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대(300)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하는 수평실린더(330)가 구성된 것으로, 그 수평실린더(330)에는 전방으로 출몰 작동하는 수평로드(331)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대(300)에는 내부에 상기 승강실린더(210)의 승강로드(211)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승강로드 고정대(340)가 구성된다.
즉, 승강대(300)는 승강실린더(210) 작동에 의해 지주관(200)을 따라 상,하 승강 작동하여 후술하는 가압수단(500)의 작업대(110) 가압 및 해제를 단속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실린더(210)는 그 승강로드(211)의 출몰 정도의 조절 및 이에 따른 승강대(300)의 승강 행정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스트록 조절수단(25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스트록 조절수단(250)은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 승강로드 고정대(340)의 상부에는 내부에 수평상의 축설대(261)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 "ㄷ" 형태의 스트록 바디(260)가 구성된다.
또한, 스트록 조절수단(250)에는 나사축(270)이 구성된 것으로, 나사축(270)은 하부가 상기 승강로드 고정대(340)에 나사 결합되고, 상부가 축설대(261)를 포함한 스트록 바디(260)축설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나사축(270)에는 그 나사축(270)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연동기어(271)가 구성다.
또한, 스트록 조절수단(250)에는 상기 연동기어(27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트록 조절봉(280)이 구성된 것으로, 스트록 조절봉(280)은 상기 승강대(300)의 양측을 관통 및 축설되게 구성되며, 그 관통된 양단에는 스트록 조절봉(28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회전노브(281)가 구성된다.
그리고, 스트록 조절봉(280)의 중간부에는 상기 연동기어(271)와 치합되어 회전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구동기어(282)가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기어(271)과 구동기어(282)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면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연동기어(271)을 웜휠로 구성하고 구동기어를 웜기어로 구성하거나, 두개 모두 베벨기어로 구성할 수 있는 등 구동기어(282)의 수직 회전력이 연동기어(271)의 수평 회전력을 전환 가능한 것이면 된다.
또한, 승강로드(211)는 그 선단부에 나사부(212)를 더 형성하고, 승강로드 고정대(340)를 관통 및 그 승강로드 고정대(340)의 상부와 하부에서 너트(N) 체결 고정되게 구성하면 된다.
즉, 스트록 조절수단(250)은 승강로드(211)의 너트(N) 체결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트록 조절봉(280)을 회전에 의해 승강로드(211)의 인출작동 행정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평이동대(400)는 본 발명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수평실린더(330) 작동에 의해 후술하는 가압수단(5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수평이동대(400)는 상부는 상판(410)으로 마감되고, 전후방은 차단판(420)으로 마감되며, 양측은 측판(430)(430')으로 마감되어 내부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가압수단(50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이루는 함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수평이동대(400)는 상판(410)이 상기 수평대(310)의 수평 가이드레일(32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수평로드(331)의 선단이 상판(410)의 전방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수평이동대(400)에는 일측 측판(430)(도면중 좌측)의 외측 후방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작동부 설치대(440)가 구성된다.
즉, 수평이동대(400)는 수평실린더(330) 작동에 의해 수평대(310)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 및 전방으로 인출 작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압수단(500)은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작업대(110)에 거치되는 원단의 열 압착 및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이동대(400)의 내부에 수용 및 양측이 회전축(530)(530')을 통해 수평이동대(400)의 양측 측판에 각각 축설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가압수단(500)은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이 상,하로 배열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배열시에는 가열판 곡률면(511)과 냉각판 곡률면(521)이 서로 상,하 외측에 형성되게 상,하 대칭되게 배열 구선된다.
또한, 상기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연결은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전면 및 후반에서 연결판(540)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면의 연결판(540)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연결판(540)의 사이에서 양측에는 축설부(550)가 구성되어 그 축설부(550)를 통해 양측의 연결판(540)이 연결되게 되며, 또한, 양측의 축설부(550)에는 각각 상기 회전축(530)(530')이 수평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가압수단(500)은 후술하는 회전작동부(600)의 회전 작동에 의해 180° 회전되어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상,하 위치가 교체되게 되게 된다.
상기 회전작동부(600)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가압수단(500)의 상,하 왕복 회전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압수단(500)의 일측 회전축(53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회전작동부(60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먼저, 상기 일측의 회전축(530)의 돌출되는 단부에는 전방 스프라켓(6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스프라켓(610)의 후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는 후방 스프라켓(620)이 구성된 것으로, 후방 스프라켓(620)은 전방으로 개방되는 "ㄷ" 형 장력 브라켓(621)에 축설되게 구성되며, 그 장력 브라켓(621)은 상기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의 전방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스프라켓(620)은 상기 전방 스프라켓(610)과 구동체인(622)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연동 작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체인(622)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동실린더(630)가 구성된 것으로, 회동실린더(630)는 후방이 상기 회전작동부 설치대(440)를 수평 관통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회동실린더(630)의 선단에는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의 전방으로 출몰되는 회동로드(631)가 구성된 것으로, 그 회동로드(631)의 선단이 상기 후방 스프라켓(620)과 전방 스프라켓(610)을 연결하는 구동체인(622)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타측 측판(430')(도면주 우측)에는 상기 타측의 회전축(530')을 중심으로하여 원주 방향으로 관통형 회전 가이드공(640)이 더 구성된다.
이때, 회전 가이드공(640)은 회전축(530')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게 180° "호"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가이드공(640)을 관통하여 가압수단(5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봉(650)이 구성된 것으로, 회전 가이드봉(650)은 타측의 측판(430')에서 회전축(530')의 상부에 형성 및 상기 회전 가이드공(640)을 관통하게 구성된다.
즉, 회동실린더(630)는 전방으로 출몰 작동하는 과정에서 구동체인(622)을 전,후로 이동시키되, 그 이동하는 행정거리는 상기 회전축(530)(530')의 180° 회전 구간만큼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동체인(622)의 전,후 왕복 이동 과정에서 전방 스프라켓(610)의 회전 및 회전축(530)이 회전되고, 이에 가압수단(500)이 회전되어 상기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위치가 상,하 교체되게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회동실린더(630)의 회동로드(631)가 전방 인출된 상태에서는 가열판(510)이 하부에 위치되고, 회동로드(631)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냉각판(520)이 하부에 위치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회동실린더(630) 작동에 의해 회전축(530)(530')을 축으로 하여 가압수단(5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 가이드봉(650)이 회전 가이드공(640)을 따라 안내되어 그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후방 스프라켓(710)이 설치되는 장력 브라켓(621)은 장력수단(660)을 통해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장력수단(660)에 의해 구동체인(622)의 장력이 조절되게 된다.
이를 위해, 장력수단(660)은 먼저, 장력 브라켓(621)의 후방 양측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어 회전작동부 설치대(440)를 관통 및 슬라이딩 가능한 양측 한 쌍의 장력 가이드봉(661)이 구성된 것으로, 그 장력 가이드봉(661)의 돌출되는 후방에는 나사부(661a)가 구성된다.
또한, 장력수단(660)의 돌출된 장력 가이드봉(661)에는 원반 형태의 장력 가압판(662)이 관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장력수단(660)에는 장력 가이드봉(661)의 나사부(661a)에는 장력 가압판(662)의 후방에서 장력 조절너트(663)가 체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장력수단(660)에는 상기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의 후방과 장력 가압판(662)의 사이에는 장력 가이드봉(661)을 감싸는 장력 스프링(664)이 탄설되게 구성된다.
즉, 장력수단(660)은 장력 스프링(664)의 탄성에 의해 장력 가이드봉(661)에 고정되는 장력 가압판(662)이 후방로 벌어지려는 탄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탄력 작용에 의해 후방 스프라켓(620)이 구동체인(622)을 후방로 당기려는 탄력이 작용하여 항시 구동체인(622)의 작동에 용이한 긴장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장력의 조절 정도는 장력 조절너트(663)의 체결력에 따른 장력 스프링(664)의 탄성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에는 상기 가압수단(500)이 회동 작동된 상태에서 그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토핑수단(70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스토핑수단(700)은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먼저, 상기 일측의 회전축(530)에 설치되는 회동블록(710)이 구성된 것으로, 회동블록(710)은 회전축(530)과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며, 그 회동블록(710)의 일측 단부면에는 걸림돌기(711)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스토핑수단(700)에는 상기 걸림돌기(711)를 걸어 고정하는 상,하 한 쌍의 스토핑부(720)(720')가 구성된 것으로, 스토핑부(720)(720')는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 및 하부에서 측판(430) 외측에 한 조로 설치된다.
한편, 각각의 스토핑부(720)(720')는 먼저, 일측 측판(430)의 외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핑 실린더(721)가 구성된 것으로, 그 스토핑 실린더(721)는 선단에 전방으로 출몰 작동하는 스토핑로드(721a)가 구성된다.
또한, 스토핑부(720)(720')에는 일측 측판(43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링크 축설부(722)가 구성된다.
또한, 스토핑부(720)(720')에는 상기 스토핑로드(721a)로부터 링크 축설부(722)를 경유하여 링크 연결되는 링크부(723)가 구성된 것으로, 링크부(723)는 상기 스토핑로드(721a)의 출몰 작동에 의해 측판(430)의 외측으로 회동 작동하게 구성된다.
이때, 링크부(723)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링크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일단이 스토핑로드(721a)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축설부(722)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723a)가 구성된다.
또한, 링크부(723)에는 제2 링크(723b)가 구성된 것으로, 제2 링크(723b)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링크(723a)의 중간부에 힌지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링크부(723)에는 제3 링크(723c)가 구성된 것으로, 제3 링크(723c)는 그 후단이 상기 링크 축설부(722)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고, 그 중간부에는 상기 제2 링크(723b)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스토핑부(720)(720')에는 상기 링크부(723)에 그 링크부(723)가 회동 작동하는 과정에서 측판(430) 측으로 회동되어 회동블록(710)의 걸림돌기(711)를 걸어 고정하는 스토핑 블록(724)이 구성된 것으로, 스토핑 블록(72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링크(723c)의 내측면에 구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711)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724a)이 구성된다.
즉, 스토핑부(720)(720')는, 회전축(530)의 회전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180° 회동하는 회동블록(710)에 형성된 걸림돌기(711)를 걸어 고정하되, 바람직하게는 그 걸림돌기(711)가 하부에 위치시에는 하부의 스토핑부(720)에 형성되는 스토핑 블록(724)의 걸림홈(724a)을 통해 걸어 고정하고, 상부에 위치시에는 상부의 스토핑부(720')에 형성되는 스토핑 블록(724)의 걸림홈(724a)을 통해 걸어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걸림돌기(711)의 걸림 고정에 의해 회동된 가열판(510) 또는 냉각판(520)이 회동 유동없이 긴밀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토핑수단(700)에는 상기 돌출된 일측 회전축(530)의 후방에 형성되어 회동블록(710)이 회동 작동하는 과정에서 스토핑 및 완충이 가능하게 하는 완충부(730)가 구성된다.
이때, 완충부(730)는 먼저, 일측 측판(4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완충 지지대(731)가 구성된다.
또한, 완충 지지대(731)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나사 되어 회동블록(710)과 간섭되는 상,하 한 쌍의 완충기(732)(732')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완충기(732)(732')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스프링(도면중 미도시함) 작동하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즉, 완충기(732)(732')는 그 선단이 상기 회동블록(710)과 접촉되게 구성된 것으로, 회동블록(710)이 어느 한 측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정점에서 접촉되어 회동력의 차단 및 충격을 흡수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0)와, 지주관(200)과, 승강대(300)와, 수평이동대(400)와, 가압수단(500)과, 회전작동부(600)와, 스토핑수단(700)은 도면중 생략되었으나 그 보호가 가능하도록 케이스(도면중 미도시함)로 마감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본체(100)에는 작업하고자 하는 원단의 걸이 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원단 걸이구(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원단 걸이구(800)은 도 12를 참조하여 본체(100)의 전방 양측에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원단 걸이구(800)은 먼저 본체(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810)가 구성된 것으로, 고정구(810)는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볼팅(도면중 미도시함) 체결에 의해 서로 가압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분리된 양측 고정구(810)의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후술하는 원단 걸이봉(820)의 장착 및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걸이봉 삽입홈(811)이 구성된다.
또한, 원단 걸이구(800)에는 상기 고정구(810)에 장착되어 원단의 걸이 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원단 걸이봉(820)이 구성된다.
이때, 원단 걸이봉(820)은 절곡형 "봉"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걸이봉 삽입홈(811)에 삽입 및 관통 결합되는 수직상의 높이 조절부(821)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821)의 상단에는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원단의 걸이가 가능한 원단 걸이부(822)가 구성된다.
즉, 원단 걸이구(800)는 원단의 프레스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원단을 원단 걸이봉(820)에 걸어 보관하게 되며, 필요시 고정구(810)의 가압 조절에 의해 회전 작동을 통한 전방 또는 양측으로 원단의 이동 조절 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를 이용하여 프레스 작업을 수행시에는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작업대(110)에 의류(10)를 장착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장착되는 의류(10)는 도 12를 참조하여 원단 걸이구(800)를 구성시에는 그 원단 걸이구(800)에 다수의 의류(10)을 보관한 상태에서 한 장씩 인출하여 사용 가능할 것이다.
이에, 도 13의 도시와 같이 작업대(110)의 회동아암(114)이 고정아암(113)으로부터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그 작업대(110)에 의류(10)의 팔 부분이나 다리 부분을 장착시에는 회동아암(114)을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회동 조절하면서 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885985에서와 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4를 참조하여 작업대(110)의 회동아암(114)이 고정아암(113)으로부터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그 작업대(110)에 의류의 팔 부분이나 다리 부분을 장착시에는 회동아암(114)을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게 회동 조절하면 된다.
즉, 일예로 작업자가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시에는 그 회동아암(114)을 회동부재(115)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작업자는 간편하게 작업 위치에서 의류를 장착하면 되고, 이후, 회동아암(114)을 다시 회동 복귀시키면 된다.
이후, 장착된 의류(10)에 대하여 열 압착 또는 다림질 등을 수행하되, 열 가압과 냉각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승강실린더(210)의 작동과, 수평실린더(330)의 작동과, 회동실린더(630)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최초 승강대(300)는 상승된 상태를 이루고 수평이동대(400)는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이루는 한편, 가압수단(500)의 가열판(510)은 가열판 곡률면(511)이 하방을 향하게 이루게 된다.
이에, 승강실린더(210)가 작동 및 승강로드(211)가 하강하게 되면 승강대(300)가 하강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가열판(510)이 작업대(110)를 가압하되, 가열판 곡률면(511)이 작업대 곡률면(111)의 상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그 형합에 의해 의류의 열 가압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승강실린더(210)가 다시 역으로 작동 및 승강로드(211)가 상승하면서 승강대(300) 및 가압수단(500)이 상승 및 가열판(510)을 작업대(110)로부터 분리하여 열가압 작업이 마무리되고, 연속하여 냉각판(520)을 통해 냉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승강대(300)가 상승함과 동시에 수평이동대(400)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중 작업자와의 충돌 위험요소인 가압수단(500) 즉,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은 후방으로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수평이동대(400)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위치가 조절되게 되는 것으로, 이는 회동실린더(63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16의 도시와 같이 회전작동부(600)의 회동실린더(630)를 후방 작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구동체인(622)이 상부로 회전됨과 동시에 전방 스프라켓(610)을 회전 및 일측 회전축(530)을 회전시켜 가압수단(500)을 180°회동 및 냉각판(520)이 하부를 향하게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이 회전 교체되는 과정에서 원활한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먼저, 상기와 같이 일측 회전축(5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타측의 회전축(530') 측에서 축설부(550)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봉(650)이 회전 가이드공(640)을 따라 상부로 180° 회전 가이드 되어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축(530)(530')의 회전에 따른 가열판(510)과 냉각판(600)이 교체시 그 회전이 안정적으로 정지되는 것으로, 이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스토핑수단(7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일측 회전축(530)이 회전시 그 회전축(530)에 형성된 회동블록(710)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회동블록(710)은 완충부(730)의 어느 한 측의 완충기(732)(732')에 접촉되게 되는 것으로, 그 회전이 차단 및 완충되어 장치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의 정지와 함께 스토핑부(720)(720')가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스토핑부(720)(720')는 스토핑 실린더(721)의 전방 작동과 함께 스토핑로드(721a)가 인출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링크부(723)의 제1 내지 제3 링크(723a)(723b)(723c)의 작동에 의해 스토핑 블록(724)이 회동 및 걸림홈(724a)이 회동블록(710)의 걸림돌기(711)를 구속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회동블록(710)의 걸림돌기(711)가 구속됨으로, 가압수단(500)의 승강 작동 과정에서 그 유동이 방지되어 항시 안정된 가압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축(530)(530')의 가열판(510)에서 냉각판(520)으로 교체시에 대한 스토핑수단(700)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냉각판(520)에서 가열판(510)의 교체시에도 만찬 가지로 스토핑수단(700)이 작동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열 가압된 의류를 급속 냉각시키되, 이는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교체를 위해 후방으로 이동된 가압수단(500)은 반대로 수평실린더(330)의 인출 작동에 의해 수평이동대(4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후, 상기 도 12의 도시와 같이 승강실린더(210) 작동에 의해 승강대(300)가 하강 및 가압수단(500)이 하강하여 냉각판(520)을 이용한 작업대(110)의 가압으로 열 가압된 의류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1)는 작업대(110)에 거치되는 의류의 열 가압 및 냉각 가압 과정에서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교체가 수평이동대(400)가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이루는 한편,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배열을 직렬 배열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차단판(420)에 의한 1차적인 접촉 방지와, 후퇴 및 회전 반경의 축소에 따른 2차적인 충돌이 방지되는 등 작업자의 충돌을 완전히 방지하여 작업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승강대(300)의 승강 작동에 의해 가압수단(500)으로 작업대(11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의류 원단의 두께 등 종류에 따라 그 가압 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스트록 조절수단(25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7의 도시와 같이 스트록 조절수단(250)은 승강로드(211)의 너트(N) 체결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트록 조절봉(280)을 회전시 구동기어(282)가 연동기어(271)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나사축(270)에 나사 결합된 승강로드 고정대(340)가 나사축(270)을 따라 승강 됨에 따라 승강대(300)를 승강시키게 되는 것인바, 이에 승강로드(211)가 승강로드 고정대(340)를 슬라이딩 관통되며, 이에 너트(N)를 고정시 승강대(300)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승강로드(211)의 동일한 출몰 행정거리에도 가압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일예로, 가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그 승강대(300)를 하강 작동시키게 되면 으되는 것으로, 승강로드(211)가 동일한 인입 작동시에는 승강대(300)는 하강 조절만큼 더 하락하게 되는 것인바, 그 가압력이 조절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다양한 의류에 대한 가압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100 : 본체 110 : 작업대
111 : 작업대 곡률면 112 : 지지부
113 : 고정아암 114 : 회동아암
115 : 회동부재
200 : 지주관 210 : 승강실린더
211 : 승강로드 212 : 나사부
220 : 승강 가이드레일 250 : 스트록 조절수단
260 : 스트록 바디 261 : 축설대
270 : 나사축 271 : 연동기어
280 : 스트록 조절봉 281 : 회전노브
282 : 구동기어
300 : 승강대 310 : 수평대
320 : 수평 가이드레일 330 : 수평실린더
331 : 수평로드 340 : 승강로드 고정대
400 : 수평이동대
410 : 상판 420 : 차단판
430,430' : 측판 440 : 회전작동부 설치대
500 : 가압수단 510 : 가열판
511 : 가열판 곡률면 520 : 냉각판
521 : 냉각판 곡률면 530,530' : 회전축
540 : 연결판 550 : 축설부
600 : 회전 작동부 610 : 전방 스프라켓
620 : 후방 스프라켓 621 : 장력 브라켓
622 : 구동체인 630 : 회동실린더
631 : 회동로드 640 : 회전 가이드공
650 : 회전 가이드봉 660 : 장력수단
661 : 장력 가이드봉 661a : 나사부
662 : 장력 가압판 663 : 장력 조절너트
664 : 장력 스프링
700 : 스토핑수단 710 : 회동블록
711 : 걸림돌기 720,720' : 스토핑부
721 : 스토핑 실린더 721a : 스토핑로드
721b : 실린더 브라켓 722 : 링크 축설부
723 : 링크부 723a : 제1 링크
723b : 제2 링크 723c : 제3 링크
724 : 스토핑 블록 724a : 걸림홈
730 : 완충부 731 : 완충 지지대
732,732' : 완충기
800 : 원단 걸이구 810 : 고정구
811 : 걸이봉 삽입홈 820 : 원단 걸이봉
821 : 높이 조절부 822 : 원단 걸이부

Claims (6)

  1. 본체(100)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작업대 곡률면(111)이 형성되고 수평 및 수직 회동 작동되는 작업대(110)와, 작업대 곡률면(111)과 대응되는 가열판 곡률면(511)을 갖는 가열판(510)과 작업대 곡률면(111)과 대응되는 냉각판 곡률면(521)을 갖는 냉각판(520)이 구성되어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교체에 의해 작업대(110)의 원단을 가압하여 열 압착 및 냉각을 수행하는 열 프레스에 있어서,
    본체(100)의 상부 후방에 형성되며, 상부로 개방되며 내측에는 승강로드(211)가 상부로 출몰 작동하는 승강실린더(210)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는 승강 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된 지주관(200);
    지주관(200)에 수직상으로 삽입 및 승강 가이드레일(220)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양측에는 수평 가이드레일(32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출몰되는 수평로드(331)를 갖는 수평실린더(330)가 형성된 수평대(310)가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승강로드(211)가 고정되는 승강로드 고정대(340)가 형성되어 승강실린더(210) 작동에 따라 상,하 승강 작동하는 승강대(300);
    상부는 상판(410)으로 마감되고 전후방은 차단판(420)으로 마감되며 양측은 측판(430)(430')으로 마감되어 내부에 하부 개방형 공간부를 이루고, 외부 일측의 후방에는 직각 방향으로 회전작동부 설치대(440)가 형성되어, 수평대(310)의 수평 가이드레일(32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단 전방에는 수평로드(331)가 결합되어 수평실린더(330) 작동에 따라 수평대(310)의 하부로 출몰 작동하는 수평이동대(400);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이 형성되며, 수평이동대(400)의 내부에 형성 및 양측이 측판(430)(430')에 회전축(530)(530') 결합되어 회전하며, 승강대(300)의 승강 작동시 작업대(110)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500); 및
    가압수단(500)의 왕복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작동부(6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실린더(210)의 승강로드(211) 출몰 행정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스트록 조절수단(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스트록 조절수단(250)은,
    승강로드 고정대(34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축설대(261)가 형성된 스트록 바디(260);
    승강로드 고정대(340)에 나사 결합 및 스트록 바디(260)를 수직을 관통되며, 둘레에는 연동기어(271)가 형성된 나사축(270); 및
    양단이 승강대(300)의 양측을 관통 및 축설되며, 관통된 양단에는 회전노브(28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연동기어(271)와 치합되어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구동기어(282)가 형성된 스트록 조절봉(28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승강로드(211)의 선단에는 나사부(212)를 형성 및 승강로드 고정대(340)에 너트(N)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3. 제 1항에 있어서,
    가압수단(500)은,
    가열판 곡률면(511)과 냉각판 곡률면(521)이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되게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이 상,하 대칭 형성되게 구성하되,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을 양측에서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판(540);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양측 사이에서 양측 연결판(540)을 연결하며, 양단에는 회전축(530)(530')이 돌출 형성되는 축설부(55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회전작동부(600)의 작동에 의해 가압수단(500)이 180° 왕복 회전하여 가열판(510)과 냉각판(520)의 위치가 변경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4.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작동부(600)는,
    일측 측판(4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 회전축(530)에 축설되는 전방 스프라켓(610);
    전방 스프라켓(610)과 대응되게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에 장력 브라켓(621)을 통해 설치되며, 전방 스프라켓(610) 과는 구동체인(622)으로 연결되는 후방 스프라켓(620);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단부가 구동체인(622)과 연결되어 구동체인(622)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회동로드(631)가 형성된 회동실린더(630);
    타측 회전축(530')이 돌출되는 타측의 측판(430')에서 타측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게 180°"호" 형태를 이루는 회전 가이드공(640); 및
    축설부(550)에 형성되며, 회전 가이드공(640)을 관통하는 회전 가이드봉(6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장력 브라켓(621)은,
    장력수단(660)을 통해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에 설치되게 구성하되,
    장력수단(660)은,
    회전작동부 설치대(440)를 관통 및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후방에는 나사부(661a)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장력 가이드봉(661);
    돌출된 장력 가이드봉(661)이 관통되는 장력 가압판(662);
    장력 가압판(662)의 후방에서 나사부(661a)에 체결되는 장력 조절너트(663); 및
    장력 가이드봉(661)을 감싸며 회전작동부 설치대(440)와 장력 가압판(662)의 사이에 탄설되어 벌어지는 탄력을 가지는 장력 스프링(664)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5. 제 1항에 있어서,
    가압수단(500)의 고정력을 부여하는 스토핑수단(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스토핑수단(700)은,
    일측 측판(430) 측으로 돌출된 회전축(530)에 고정 설치 및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축(530)이 회전시 함께 회동하며, 단부면에는 걸림돌기(711)가 돌출 형성된 회동블록(710);
    일측 측판(430)의 외측에서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걸림돌기(711)를 걸어 고정하는 스토핑부(720)(720'); 및
    일측 측판(430)의 외측에서 회전축(530)의 후방에 형성되어 회동블록(710)외 회동력을 스토핑 및 완충력을 부여하는 완충부(7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스토핑부(720)(720')는,
    일측 측판(430)의 외측에서 전방 출몰되는 스토핑로드(721a)를 갖는 스토핑 실린더(721);
    일측 측판(430)에 고정 설치되는 링크 축설부(722);
    스토핑로드(721a)로부터 링크 축설부(722)를 경유하여 링크 연결되어 스토핑로드(721a)의 출몰 작동에 의해 일측 측판(430)의 외측으로 회동 작동하는 링크부(723); 및
    링크부(723)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회동 작동 과정에서 걸림돌기(711)가 걸림 또는 해제되는 걸림홈(724a)이 형성된 스토핑 블록(724)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완충부(730)는,
    일측 측판(4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완충 지지대(731); 및
    완충 지지대(731)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나삽 관통되는 양측 한 쌍의 완충기(732)(732')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완충기(732)(732')는 하단이 회동블록(710)과 접촉되어 그 회동블록(710)의 회동을 차단 및 완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6.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0)에는,
    전방 양측에 작업하고자 하는 원단의 걸이가 가능하게 하는 원단 걸이구(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원단 걸이구(800)는,
    본체(100)에 고정 형성되며, 양측 분리 구성되어 볼팅 가압력을 가지며, 사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걸이봉 삽입홈(811)이 형성된 고정구(810); 및
    수직상의 높이 조절부(821)와, 높이 조절부(821)의 상단에서 직각 절곡되어 원단의 걸이가 가능한 원단 걸이부(822)로 된 원단 걸이봉(82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KR1020190024489A 2019-03-04 2019-03-04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KR10218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89A KR102183457B1 (ko) 2019-03-04 2019-03-04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89A KR102183457B1 (ko) 2019-03-04 2019-03-04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49A true KR20200106249A (ko) 2020-09-14
KR102183457B1 KR102183457B1 (ko) 2020-11-26

Family

ID=724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89A KR102183457B1 (ko) 2019-03-04 2019-03-04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971B1 (ko) 2023-04-21 2023-06-22 서한나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2546937B1 (ko) * 2023-04-21 2023-06-22 서한나 개선된 작동 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000A (ja) * 1993-01-19 1994-09-20 Brisay Maschinen Gmbh プレス機及びプレス方法
KR20110136353A (ko) * 2010-06-15 2011-12-21 서기원 작업 편리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피복 다림질 장치
KR101485266B1 (ko) 2013-12-20 2015-01-21 서기원 가열판 및 냉각판 회전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1508868B1 (ko) * 2014-01-03 2015-04-07 서기원 가열판과 냉각판의 승강 작동 및 회동 교체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1828205B1 (ko) * 2017-01-26 2018-02-12 서한나 옷깃 압착용 열 프레스
KR101885985B1 (ko) 2017-01-26 2018-08-06 서한나 곡률형 작업구조와 회전 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000A (ja) * 1993-01-19 1994-09-20 Brisay Maschinen Gmbh プレス機及びプレス方法
KR20110136353A (ko) * 2010-06-15 2011-12-21 서기원 작업 편리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피복 다림질 장치
KR101485266B1 (ko) 2013-12-20 2015-01-21 서기원 가열판 및 냉각판 회전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1508868B1 (ko) * 2014-01-03 2015-04-07 서기원 가열판과 냉각판의 승강 작동 및 회동 교체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1828205B1 (ko) * 2017-01-26 2018-02-12 서한나 옷깃 압착용 열 프레스
KR101885985B1 (ko) 2017-01-26 2018-08-06 서한나 곡률형 작업구조와 회전 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457B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457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곡률 작업형 열 프레스
KR102001737B1 (ko) 합성수지용 열 압착기
KR101130941B1 (ko) 작업 편리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피복 다림질 장치
CN210976515U (zh) 隧道施工升降脚手架
CN108791421B (zh) 一种多功能的汽车维修装置
CN107496129A (zh) 一种医疗床
FI80392C (fi) Riktningsanordning foer bilkaross.
CN219870714U (zh) 一种建筑工程模板支撑强度检测机构
CN212428566U (zh) 一种边坡快速施工用钻机工作平台
CN201949886U (zh) 一种煤质分析仪用坩埚架
CN109083885B (zh) 液压缸自锁装置及合页坝
CN109538268A (zh) 一种矿井巷道扩修时的临时可移动支护装置
CN114352065B (zh) 一种墙体修补装置
CN105346918B (zh) 配电开关柜安装就位平台
CN213710279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稳定型工程建筑施工架
CN105689626B (zh) 一种自动铆接设备
KR102101114B1 (ko) 작업대 틸팅구조를 갖는 열 압착기
CN211081887U (zh) 一种伸缩式滑动平台及包含该平台的台车
CN209575605U (zh) 一种单双杠引体助力装置
KR102546937B1 (ko) 개선된 작동 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2546971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2411570B1 (ko)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
JP2018502798A (ja) 作業機械のための支持脚及び支持構造
CN210388146U (zh) 工件位置保持装置
CN219982383U (zh) 一种便于升降调节的办公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