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239A -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239A
KR20200106239A KR1020190024463A KR20190024463A KR20200106239A KR 20200106239 A KR20200106239 A KR 20200106239A KR 1020190024463 A KR1020190024463 A KR 1020190024463A KR 20190024463 A KR20190024463 A KR 20190024463A KR 20200106239 A KR20200106239 A KR 20200106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ressing member
concrete structure
box
reinforc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685B1 (ko
Inventor
민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2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휘어진 형태의 보강재를 간이한 방법으로 가압하여 상부 슬래브에 결합함으로써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를 보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설치되었을 때 상방의 캠버가 형성되고 중앙부와 양단부쪽에 볼트공이 마련되는 강재의 보강재를 제작하는 보강재 제작단계; 상기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설치단계; 상기 보강재의 볼트공에 상기 앵커볼트를 관통시킨 후 중앙부쪽의 앵커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보강재를 상기 상부 슬래브에 결합하는 제1결합단계;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 쪽 볼트공을 통과한 앵커볼트에 각각 너트를 체결하는 너트 체결단계;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봉형태의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제1가압부재와, 중앙에 상기 연장부재에 지지될 수 있는 거치부재가 마련되고 일단부에는 회전가능한 휠이 결합한 봉형태의 제2가압부재를 마련하는 가압부재 마련단계; 상기 너트 체결단계 이후에 상기 제1가압부재의 체결부재를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쪽 볼트공을 통과한 앵커볼트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압부재의 거치부재를 상기 제1가압부재의 연장부재에 거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휠을 상기 보강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가압부재의 타단부에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상기 상부 슬래브에 밀착시키고 상기 너트 체결단계에서 체결된 너트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상부 슬래브에 결합하는 제2결합단계; 및, 상기 제1가압부재와 제2가압부재를 제거하는 가압부재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Method for Reinforcing Box typ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휘어진 형태의 보강재를 간이한 방법으로 가압하여 상부 슬래브에 결합함으로써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나 지하철, 수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하에 매립되기도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부(지상)에 성토를 함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성토되는 흙의 자중)이나 도로를 새로 시공하고 도로에 작용하는 교통 하중 등에 의하여 설계하중에 비하여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설계 하중에 비하여 크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하 방향의 측벽이나 천정과 측벽 사이의 모서리 부분인 우각부나 천정부(상부 슬래브)에서 전단력 및 부보멘트가 과도하게 발생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나 천정부를 구조적으로 보강해야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중 우각부를 보강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767호, 제10-1416204호, 제10-1744458호 등이 제안되었고 비교적 효과적으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정부를 보강하는 기술도 다수 출원 및 등록되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52646호가 캠버를 갖도록 휘어진 탄성 보강재(강재)를 구조물에 결합하고 탄성 보강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구조물을 보강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출원/등록되었다.
캠버가 형성된 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합하는 것이 쉬운일은 아니다. 콘크리트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강재에 장공형태의 관통공을 형성한 후 앵커볼트를 관통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해야 하는데 적게는 수백 킬로그램에서 많게는 수톤의 힘을 가해야 한다. 보통 중앙부를 고정한 후 양단부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보강재를 결합하는데 중앙부를 결합하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양단부의 결합 작업은 어려움이 많다.
우선 너트가 원형이 아니라 육각형태를 취하고 있어 강재와의 마찰 때문에 회전시키는 것이 어렵고, 보강재는 휘어져 있으므로 한쪽을 먼저 고정하는 경우에 반대쪽은 천정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커져서 반대쪽의 결합 작업은 어려워지므로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좁은 공간에서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전술한 등록특허 제10-352646호의 등록 이후에 출원/등록된 캠버가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다수의 기술들은 보강재를 구조물에 결합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는 특허들이다. 등록특허 제10-1658390호는 상부 슬래브의 양단(모서리부)에 브라켓을 결합한 후 유압잭과 서포트를 이용하여 상부 슬래브에 치솟음을 형성한 상태에서 캠버가 형성된 보강재를 브라켓에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발명이고, 등록특허 제10-1686993호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에 브래킷 부재를 고정하고 브래킷 부재에 유압잭을 설치한 후 유압잭을 이용하여 캠버가 형성된 보강재를 가압하여 상부 슬래브에 캠버가 형성된 보강재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발명들이 캠버가 형성된 보강재에 힘을 가하는 방식은 주로 유압잭을 이용하게 되고 유압잭의 반력대로서 하부 슬래브를 이용하거나 브래킷 부재를 설치하게 되는데 하부 슬래브를 반력대로 사용하는 경우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높이와 유사한 봉을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안정적이지 못하며, 브래킷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브래킷 부재의 설치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캠버가 형성된 보강재에 간이한 방법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를 보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설치되었을 때 상방의 캠버가 형성되고 중앙부와 양단부쪽에 볼트공이 마련되는 강재의 보강재를 제작하는 보강재 제작단계;
상기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설치단계;
상기 보강재의 볼트공에 상기 앵커볼트를 관통시킨 후 중앙부쪽의 앵커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보강재를 상기 상부 슬래브에 결합하는 제1결합단계;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 쪽 볼트공을 통과한 앵커볼트에 각각 너트를 체결하는 너트 체결단계;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봉형태의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제1가압부재와,
중앙에 상기 연장부재에 지지될 수 있는 거치부재가 마련되고 일단부에는 회전가능한 휠이 결합한 봉형태의 제2가압부재를 마련하는 가압부재 마련단계;
상기 너트 체결단계 이후에 상기 제1가압부재의 체결부재를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쪽 볼트공을 통과한 앵커볼트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압부재의 거치부재를 상기 제1가압부재의 연장부재에 거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휠을 상기 보강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가압부재의 타단부에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상기 상부 슬래브에 밀착시키고 상기 너트 체결단계에서 체결된 너트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상부 슬래브에 결합하는 제2결합단계; 및,
상기 제1가압부재와 제2가압부재를 제거하는 가압부재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결합단계는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에서 함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는 캠버가 형성된 형태로 절단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에 결합하는 굴곡된 평판 형태의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판의 타측에 결합하는 굴곡된 평판 형태의 수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판은 가운데가 상대적으로 넓은 형태이고, 상기 수직판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수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판은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단계에서 상부 슬래브와 너트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면서 상기 너트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보강부재가 상부 슬래브의 작용하는 힘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압부재의 거치부재와 타단부 사이에는 길이 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판 중 상기 수평판에 결합하는 부분은 포물선 형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버가 형성된 보강재를 별도의 반력대 없이 간이한 방법으로 가압하여 구조물에 고정하여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의 (a) 내지 (c)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보강재의 결합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에 보강재를 결합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앵커볼트에 제1가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2가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휠과 수직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2가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보강재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에 설치되고 제1가압부재와 제2가압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e는 각각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의 (a) 내지 (c)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보강재의 결합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에 보강재를 결합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앵커볼트에 제1가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2가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가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휠과 수직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2가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보강재가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에 설치되고 제1가압부재와 제2가압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e는 각각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구조물의 보강방법은 보강재 제작단계, 앵커볼트 설치단계, 제1결합단계, 너트 체결단계, 가압부재 마련단계, 제2결합단계 및 가압부재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100; 도 3 참조)이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차도나 지하철, 수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하에 매립되기도 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슬래브(110), 벽체(120) 및 하부 슬래브(도면에 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재 제작단계는 설치되었을 때 상방의 캠버가 형성되고 중앙부와 양단부쪽에 볼트공(13)이 마련된 강재의 보강재를 마련하는 단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판(12)과 수평판(11)으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공(13)은 수평판(11)에 형성된다.
상기 수직판(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버가 형성된 형태로 절단된 판이고, 수평판(11)은 굴곡된 평판형태의 판이다. 수직판(12)과 수평판(11)은 용접에 의해 결합한다.
상기 수직판(12) 중 상기 수평판(11)에 결합하는 부분은 포물선 형태이다. 포물선 형태로 구성하면 상부 슬래브(110)에 등분포 형태의 하중을 재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보강재(10)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 12a 내지 12e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보강재(10a; 10a로 표시한 것은 도 1에 10으로 표시된 보강재와의 차별을 위한 것이다)는 십(十)자 형태의 수평판(11a)과 수평판(11a)에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게 결합하는 두 쌍의 수직판(12a)으로 구성되며 볼트공(13a)은 수평판(11a)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캠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수직판(12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형태이다. 현장의 상황에 따라 길이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의 수직판은 캠버가 형성되도록 휘어진 형태이고 길이방향(도면상 상하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수직판은 평판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보강재(10b)는 중앙부의 폭이 단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형태의 수평판(11b)과 상기 수평판(11b)에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판(12b)로 구성되며 볼트공(13b)은 역시 수평판(11b)에 형성되어 있다. 도 12b에 도시된 수직판(12b) 역시 도시되진 않았지만 캠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수직판(12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형태이다.
도 12c에 도시된 보강재(10c)는 캠버의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보강재(10)와 차이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보강재(10)의 경우 수직부재(12)의 윗부분이 포물선의 형태인데, 도 12c에 도시된 보강재(10c)의 수직부재(12c)는 일정각도 이격되게 설치되는 세 개의 평판이 수평판(11c)에 결합하는 형태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트공이 수평판(11c)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2a 나 도 12b에 도시된 보강부재(10a, 10b)의 캠버형태도 도 12c에 형성된 캠버형태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2d는 다른 형태의 보강재(10d)의 단면도로서 캠버의 형태는 도 1이나 도 12c에 도시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수직판(11d)가 하나가 사용되고, 수평판(11d)가 두 개 사용된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I빔과 유사한 단면을 가진다.
도 12e는 또 다른 형태의 보강재(10e)의 단면도로서 캠버의 형태는 도 1이나 도 12c에 도시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수평판(11e)와 수직판(12e)가 각각 한 쌍씩 사용된 형태로서 전체적으로는 모자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앵커볼트 설치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부 슬래브(110)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편의상 중앙부에 설치되는 중앙부 앵커볼트(20a), 양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앵커볼트(20b)로 지칭하기로 한다. 앵커볼트(20a, 20b)를 설치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라면 숙지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결합단계는 상기 보강재(10)의 볼트공(13)에 전술한 앵커볼트(20a, 20b)를 관통시킨 후 중앙 앵커볼트(20a)에 너트(30a)를 체결하여 보강재(10)를 상부 슬래브(11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제1결합단계가 완료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면부호 40으로 표시된 구성은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자이다. 눈금자(40)에 대해서는 제2결합단계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너트 체결단계는 상기 보강재(10)의 양 단부쪽 볼트공(13)을 통과한 단부 앵커볼트(20b)에 너트(30b)를 각각 체결하는 단계이다. 너트(30b)는 인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만 회전하면 된다. 도 4에 너트(30b)가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 마련단계는 제1가압부재(50)와 제2가압부재(6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가압부재(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51)와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하는 봉형태의 연장부재(5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재(52)는 원기둥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5는 제1가압부재(50)의 체결부가 단부 앵커볼트(20b)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거치부재(62)가 마련되고 일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휠(61)이 결합하는 봉 형태의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재(612)는 고리 전체적으로 원의 일부에 해당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원형으로 만들어서 연장부재(52)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0)의 거치부재(62)와 타단부 사이에는 길이 조절수단(63)이 마련되어 있어서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할 수 있다. 길이 조절수단으로서 턴버클이나 나사부 등 다양한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단계는 너트 체결단계 이후에 전술한 제1가압부재(50)와 제2가압부재(60)를 이용하여 보강재(10)에 상부 슬래브(110)의 방향의 힘을 가하여 보강재(10)를 상부 슬래브(110)에 밀착하는 단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부재(50)의 체결부재(51)를 단부 앵커볼트(20b)에 체결하여 제1가압부재(50)를 임시 고정한 상태에서 제2가압부재(60)의 거치부재(62)를 상기 연장부재(52)에 거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휠(61)을 보강재(1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가압부재(60)의 타단부(휠(61)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아래 방향의 힘을 가하여 보강재(10)의 단부를 상부 슬래브(110)에 밀착시킨다.
제1가압부재(50)의 연결부재(52)가 힘의 작용점이 되고, 거치부재(62)와 휠(61)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앵커볼트(20b)는 상대적으로 길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압부재(60)에 힘을 가하는 것은 인력에 의할 수도 있고 중량물(미도시)을 달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부 슬래브(110)와 제2가압부재(60)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중량물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보강재(10)를 가압하는데 하중만큼 자중을 가지는 중량물을 사용하여 보강재(10)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2가압부재(60)의 거치부(62)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적은 힘을 이용하여 가압할 수 있으므로 길이 조절부(63)를 이용하여 길이를 늘리는 경우 인력에 의해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발생한다.
만약 제1가압부재(50)와 제2가압부재(60)를 하나씩 사용하는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61)을 한 쌍의 수직부재(12)사이에 위치시켜 수직부재(12)를 가이드로 이용할 수 있다. 제1가압부재(50)와 제2가압부재(60)를 한 쌍씩 사용하는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61)을 수직부재(12) 바깥쪽에 위치시켜 수직부재(12)를 가이드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보강재(10)가 상부 슬래브(110)에 밀착되면 눈금자(40)를 이용하여 보강재(10)의 단부와 상부 슬래브(11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면서 너트 체결단계에서 체결된 너트(30b)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강재(10)의 단부를 상부 슬래브(110)에 결합한다. 보강재(10)의 단부를 상부 슬래브(110)에 밀착시키는 정도에 따라 보강재(10)에 의해 상부 슬래브(1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구조 계산을 통하여 보강재(10)의 단부와 상부 슬래브(1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에 너트(20b)를 체결하는 정도(도면상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보강재 단부와 상부 슬래브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가압력이 커진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0)의 단부와 상부 슬래브(110)의 사이에 약간의 유격을 두는 경우 필요한 경우에 보강재(10)를 상부 슬래브(110)에 밀착시킴으로써 추가적인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압단계는 보강재의 양단부에서 함께 진행된다. 함께 진행된다는 의미가 정확하게 동시에 진행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제2봉(62)의 단부에 힘을 가하는 것은 동시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전술한 제2가압단계를 실시함으로써 보강재(10)의 단부가 상부 슬래브(110)에 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배경기술의 경우 보강재(10)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브라켓이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조물 등을 반력대로 활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력대 없이 보강재(10)에 힘을 가할 수 있는데, 반력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 됨으로써 반력대 설치로 인한 모재의 손상이 없고, 반력대의 설치에 필요한 인력, 장비, 재료를 줄일 수 있고, 작업 시간 역시 줄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 제거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압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제1가압부재(50)와 제2가압부재(5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면에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앵커볼트(20c)와 너트(30c)가 도시되어 있는데 중앙 앵커볼트(20a), 단부 앵커볼트(20b)에 체결되는 너트(30a, 30b)로 고정력이 부족한 경우에 설치되는 것이며, 그 설치 위치와 갯수는 설계과정에서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0 :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10 : 보강재
20 : 앵커볼트 30 : 너트
40 : 눈금자 50 : 제1가압부재
60 : 제2가압부재

Claims (9)

  1.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를 보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설치되었을 때 상방의 캠버가 형성되고 중앙부와 양단부쪽에 볼트공이 마련되는 강재의 보강재를 제작하는 보강재 제작단계;
    상기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설치단계;
    상기 보강재의 볼트공에 상기 앵커볼트를 관통시킨 후 중앙부쪽의 앵커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보강재를 상기 상부 슬래브에 결합하는 제1결합단계;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 쪽 볼트공을 통과한 앵커볼트에 각각 너트를 체결하는 너트 체결단계;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봉형태의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제1가압부재와,
    중앙에 상기 연장부재에 지지될 수 있는 거치부재가 마련되고 일단부에는 회전가능한 휠이 결합한 봉형태의 제2가압부재를 마련하는 가압부재 마련단계;
    상기 너트 체결단계 이후에 상기 제1가압부재의 체결부재를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쪽 볼트공을 통과한 앵커볼트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압부재의 거치부재를 상기 제1가압부재의 연장부재에 거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휠을 상기 보강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가압부재의 타단부에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상기 상부 슬래브에 밀착시키고 상기 너트 체결단계에서 체결된 너트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상부 슬래브에 결합하는 제2결합단계; 및,
    상기 제1가압부재와 제2가압부재를 제거하는 가압부재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단계는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에서 함께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캠버가 형성된 형태로 절단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에 결합하는 굴곡된 평판 형태의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타측에 결합하는 굴곡된 평판 형태의 수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가운데가 상대적으로 넓은 형태이고, 상기 수직판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수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은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단계에서 상부 슬래브와 너트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면서 상기 너트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보강부재가 상부 슬래브의 작용하는 힘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재의 거치부재와 타단부 사이에는 길이 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 중 상기 수평판에 결합하는 부분은 포물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20190024463A 2019-03-04 2019-03-04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2205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63A KR102205685B1 (ko) 2019-03-04 2019-03-04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63A KR102205685B1 (ko) 2019-03-04 2019-03-04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39A true KR20200106239A (ko) 2020-09-14
KR102205685B1 KR102205685B1 (ko) 2021-01-21

Family

ID=7247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63A KR102205685B1 (ko) 2019-03-04 2019-03-04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32B1 (ko) * 2022-05-11 2022-08-25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07A (ko) * 2013-08-14 2015-02-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강재의 프리플렉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슬래브를 보강하는 지중박스 구조물 및 그 보강 방법
KR20150035060A (ko) * 2013-09-27 2015-04-06 (주)나다건설 지하 박스 구조체 보강 구조물 및 보강 방법
KR101636669B1 (ko) * 2016-02-03 2016-07-05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686993B1 (ko) * 2015-08-17 2016-12-28 지엘콘(주) 암거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07A (ko) * 2013-08-14 2015-02-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강재의 프리플렉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슬래브를 보강하는 지중박스 구조물 및 그 보강 방법
KR20150035060A (ko) * 2013-09-27 2015-04-06 (주)나다건설 지하 박스 구조체 보강 구조물 및 보강 방법
KR101686993B1 (ko) * 2015-08-17 2016-12-28 지엘콘(주) 암거 보강 공법
KR101636669B1 (ko) * 2016-02-03 2016-07-05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32B1 (ko) * 2022-05-11 2022-08-25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685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877B2 (en) Method for removal of temporary support system for road bridge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type concealed bent cap, and equipment therefor
US8539629B2 (en) Fit-together type of precast concrete lining and bridging structural body
US8468766B1 (en) Precast concrete flange connection and method of use
US4123031A (en) Improvements in concrete roadway-slab forming and form-elevation adjusting means
KR101338767B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US3010257A (en) Prestressed girder
KR101434837B1 (ko)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KR102205685B1 (ko)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1844977B1 (ko)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1989769B1 (ko)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JP2003221875A (ja) レールレススライド工法
JPH0791048A (ja) システム型枠
KR101673070B1 (ko) 연속화 강관 소켓 정착장치를 통한 경사지 확장보도
KR101843979B1 (ko) 기존도로 또는 도로진입 토공과의 접속을 위한 가설교량의 범용적 가변 거더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CN201943349U (zh) 高墩、柱梁体模板支模用钢抱箍支撑装置
JP6910101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20040027666A (ko) 강관 가시설 공법
JP4038822B2 (ja) 道路拡張構造
CN113187209B (zh) 边坡作业平台
JP6297198B1 (ja) 鉄道施設の高さ調整装置及び方法
CN113107176B (zh) 具有多种坡度的边坡作业平台搭设方法
JP3921512B2 (ja) 橋梁用支保工
KR102402326B1 (ko)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JP4382599B2 (ja) テンションジャ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