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123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123A
KR20200106123A KR1020190023889A KR20190023889A KR20200106123A KR 20200106123 A KR20200106123 A KR 20200106123A KR 1020190023889 A KR1020190023889 A KR 1020190023889A KR 20190023889 A KR20190023889 A KR 20190023889A KR 20200106123 A KR20200106123 A KR 2020010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user
eye posi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경
안종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123A/ko
Priority to US16/667,252 priority patent/US11068054B2/en
Priority to DE102019217523.6A priority patent/DE102019217523A1/de
Publication of KR2020010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B60K35/10
    • B60K35/22
    • B60K35/53
    • B60K35/60
    • B60K35/654
    • B60K35/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02Arrangement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B60K2360/149
    • B60K2360/164
    • B60K2360/166
    • B60K236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7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50Control arrangements; Data network features
    • B60K2370/52Control of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70Arrangements of instruments in the vehicle
    • B60K2370/73Arrangements of instruments in the vehicle with special adaptation to the user or to the vehicle
    • B60K2370/736Arrangements of instruments in the vehicle with special adaptation to the user or to the vehicl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60K35/28
    • B60K35/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야 감지부; 및 눈 위치 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제1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EHIC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각종 엔터테인먼트, 예를 들어 음악 감상, TV 시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내비게이션과 같은 차량 내부 장치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차량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주고 받도록 하거나 또는 음악이나 비디오 같은 미디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 형태, 시각적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야 감지부; 및 상기 눈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종류, 크기 또는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눈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영역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이 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겟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각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크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야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및 시트의 전후 방향 위치, 높이 또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시트 조작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는,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위치, 높이 또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는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는 DMB 영상,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도록 상기 시야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및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종류, 크기 또는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및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눈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눈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및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 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영역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이 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겟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및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운전자의 시청 가능 영역 및 시청 불가능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재생되므로, 주행의 안전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청 가능 영역 결정 및 디스플레의 표시 영역의 분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야 감지부(110), 차량(100) 내부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0), 디스플레이(130), 디스플레이(130)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140) 및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50)를 포함한다.
시야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눈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영상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관한 시트(11)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눈 위치 정보는 시트(11)의 전후 방향 위치, 높이 또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 또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사용자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시야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1) 및 사용자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시트 조작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운전석에 위치한 운전자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승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1)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의 위치와 관련된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111)는 차량(100) 내부에서 운전자의 안구를 캡쳐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1)는 백미러(미도시)에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운전석 상부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1)는 디스플레이(130)를 향하는 사용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111)는 자외선이나 가시선, 적외선, X선 등의 입력에 의하여 전달되는 영상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시트 조작 장치(112)는 시트(1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시트 조작 장치(112)는 시트(11)의 전후 방향 위치, 높이 또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시트 조작 장치(112)는 사용자가 차량(100)에 승하차 하거나 차량(100)의 시트(11)에 앉을 때, 시트(11)가 미리 설정된 시트값을 갖는 위치로 조정되도록 시트(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시트값은 시트(11)의 위치 정보를 의미하며, 제어부(120)에 전달되어 제어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시야 감지부(110)가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 정보 또는 시트(11)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눈 위치 정보는 제어부(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제어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내부는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와, 기어 박스(12), 센터페시아(13) 및 스티어링 휠(14)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Dashboard)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12)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a)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b)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12b)는 차량(100)의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150)로 활용될 수 있으며,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및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전자 제어 유닛(ECU) 또는 AVN 장치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130)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AVN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13) 등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50)가 스티어링휠(14)에도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입력부(150)는 유저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유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13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30)는 입력부(150)로도 사용될 수 있다.
대시보드(15)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에는 디스플레이(13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운전자에게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0)는 센터페시아(13)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30)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차량(100)에 설치된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시트(11) 및 사이드 미러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스플레이(130)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장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에 대응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디스플레이(130)는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 디스플레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100)은 디스플레이(130)를 회전 시키는 회전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140)는 디스플레이(130)가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부재(140)는 디스플레이(130)가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부재(140)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에 의한 동력이 디스플레이(130)에 전달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눈 위치 정보 및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중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가 제공하는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영역, 즉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영역(이하, '시청 가능 영역'이라 한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시청 가능 영역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중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 즉 사용자가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눈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야, 즉 사용자가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시야 감지부(1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영상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관한 시트(11)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머리 또는 눈에 대한 위치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머리 또는 눈에 대한 위치값은 미리 정해진 원점 위치에 대한 좌표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시트(1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시트(11)의 후방 끝단을 기준으로 전방 및 상방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에 위치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를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카메라(111)로부터 획득한 시트(111)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까지의 높이를 활용하거나,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키에 따른 표준 인체 정보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위치를 각각 결정할 수 있으며, 좌안 또는 우안의 좌표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눈 위치로 결정할 수 있고, 좌안 및 우안의 위치의 평균값을 눈 위치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의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 결정 동작은 시야 감지부(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야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가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달 받은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로부터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시청 가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시청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시청 가능 영역 및 시청 가능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하, '시청 불가 영역'이라 한다)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시청 불가 영역은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지 않는 표시 영역으로, 사용자가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의 분할된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2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시야 감지부(110)가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가 결정하는 경우, 시야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차량(100)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0)은 스피커(16)를 통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제어 기초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의 교환을 위하여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미도시)는 내부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미도시)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12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청 가능 영역 결정 및 디스플레의 표시 영역의 분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 및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S1, S2) 중 시청 가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는 디스플레이(1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를 의미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P)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까지 연결하는 직선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와 만나는 위치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은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P)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한 좌측단 또는 우측단의 위치까지 연결하는 직선을 결정할 수 있고, 좌측단 직선 및 우측단 직선 사이의 범위를 사용자의 시력이 미치는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증 사용자의 시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 있는 표시 영역을 시청 가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시청 가능 영역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130)의 좌측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30)가 좌측으로 회전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P)와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과 만나는 위치(Q)부터 디스플레이(130)의 우측단까지의 표시 영역(S1)을 시청 가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P)와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과 만나는 위치(Q)에 위치하는 가상의 수직선(L1)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S1)을 시청 가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P)와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과 만나는 위치(Q)에 위치하는 가상의 수직선(L1)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S2)을 시청 불가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130)의 우측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30)가 우측으로 회전된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와 디스플레이(130)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과 만나는 위치부터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까지의 표시 영역을 시청 가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와 디스플레이(130)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과 만나는 위치에 위치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을 시청 가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와 디스플레이(130)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과 만나는 위치에 위치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을 시청 불가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시청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시청 가능 영역(S1) 및 시청 가능 영역(S1)을 제외한 시청 불가 영역(S2)로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시청 가능 영역(S1)에는 미리 정해진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시청 불가 영역(S2)에는 미리 정해진 제2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컨텐츠는 주행 규제 대상이 아닌 컨텐츠로, 미리 정해진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제1 컨텐츠는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는 길 안내 등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텐츠는 주행 규제 대상이 되는 컨텐츠로, 미리 정해진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제2 컨텐츠는 주행에 방해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텐츠는 DMB 영상, 멀티미디어 동영상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의 종류는 설계시 미리 정해질 수 있고,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의하여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에 따라 그 종류가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컨텐츠는 시청 가능 영역(S1)에 표시하고, 제2 컨텐츠는 시청 불가 영역(S2)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중 시청 가능한 컨텐츠만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동시에 시청 불가 영역에는 주행과 관련 없는 컨텐츠를 재생되므로, 동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2 컨텐츠의 종류, 크기 또는 비율에 기초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2 컨텐츠의 종류가 자막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동영상인 경우, 시청 불가 영역의 크기가 커지도록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상의 분할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제2 컨텐츠의 크기가 분할된 시청 불가 영역 보다 큰 경우, 시청 불가 영역의 크기가 커지도록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상의 분할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제2 컨텐츠의 비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가 변경되므로, 제어부(120)는 변경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 및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시청 가능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시청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변경된 분할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눈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도록 시야 감지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눈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면, 시청 가능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시청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변경된 분할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가 변경되거나 분할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주행 규제 대상이 되는 제2 컨텐츠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를 제외한 동승자는 계속해서 제2 컨텐츠를 시청하고, 운전자는 제2 컨텐츠를 시청하지 못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하, 제어부(120)가 디스플레이(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의 분할된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시청 가능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3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시청 가능 영역의 미리 정해진 최대 기준 크기를 의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대한 미리 정해진 비율을 갖는 크기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은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130)의 좌측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30)가 좌측으로 회전된 경우, 시청 가능 영역(S1)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은 좌측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가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고, 시청 가능 영역(S1)의 넓이는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130)의 우측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30)가 우측으로 회전된 경우,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은 우측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가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고,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시청 불가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시청 불가 영역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3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은 시청 불가 영역의 미리 정해진 최소 기준 크기를 의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대한 미리 정해진 비율을 갖는 크기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시청 불가 영역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은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130)의 좌측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30)가 좌측으로 회전된 경우, 시청 불가 영역(S2)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은 좌측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가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고, 시청 불가 영역(S2)의 넓이는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130)의 우측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30)가 우측으로 회전된 경우, 시청 불가 영역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은 우측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가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고, 시청 불가 영역의 넓이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시청 가능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보다 크면, 시청 가능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이 되기 위한 디스플레이(130)의 타겟 각도를 결정할 수 있고, 타겟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3 기준값은 최소한의 시청 불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를 의미하며, 제1 기준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기준값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 및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이 되기 위한 디스플레이(130)의 타겟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각도가 디스플레이(130)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크면, 시청 불가 영역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이므로, 제어부(120)는 경고 메시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규제 대상이 되는 제2 컨텐츠를 시청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제2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거나 제2 컨텐츠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가 고의로 자세를 변경하여 제2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타겟 각도가 디스플레이(130)의 최대 회전 각도 이하인 경우, 시청 불가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시청 불가 영역에 제2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서 동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중 시청 불가 영역을 제외한 시청 가능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획득되는 눈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전술한 시청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가 회전하도록 회전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규제 대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0). 이 때, 규제 대상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주행에 방해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제 대상 컨텐츠는 DMB 영상, 멀티미디어 동영상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규제 대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600의 예), 차량(100)은 사용자의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401). 이 때, 눈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영상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관한 시트(11)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눈 위치 정보는 시트(11)의 전후 방향 위치, 높이 또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 또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사용자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눈 위치 정보 및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중 시청 가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402). 이 때,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는 디스플레이(1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눈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 위치 및 디스플레이(113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야, 즉 사용자가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100)은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영상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자세에 관한 시트(11)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머리 또는 눈에 대한 위치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머리 또는 눈에 대한 위치값은 미리 정해진 원점 위치에 대한 좌표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시트(1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시트(11)의 후방 끝단을 기준으로 전방 및 상방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에 위치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를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0)은 카메라(111)로부터 획득한 시트(111)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까지의 높이를 활용하거나,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키에 따른 표준 인체 정보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위치를 각각 결정할 수 있으며, 좌안 또는 우안의 좌표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0)은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눈 위치로 결정할 수 있고, 좌안 및 우안의 위치의 평균값을 눈 위치로 결정할 수도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까지 연결하는 직선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와 만나는 위치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은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한 좌측단 또는 우측단의 위치까지 연결하는 직선을 결정할 수 있고, 좌측단 직선으로부터 우측단 직선까지의 범위를 사용자의 시력이 미치는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증 사용자의 시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 있는 표시 영역을 시청 가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과 만나는 위치부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우측단까지의 표시 영역을 시청 가능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시청 가능 영역이 결정되면, 차량(100)은 시청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403).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을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시청 가능 영역 및 시청 가능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하, '시청 불가 영역'이라 한다)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시청 불가 영역은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지 않는 표시 영역으로, 사용자가 시각적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영역을 의미한다.
표시 영역이 분할되면(403), 차량(100)은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가 기준 넓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4). 이 때, 기준 넓이는 최소한의 시청 불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를 의미하며,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가 기준 넓이를 초과하는 경우(404의 예), 차량(100)은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가 기준 넓이가 되기 위한 타겟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405).
차량(100)은 결정된 타겟 각도가 디스플레이(130)의 최대 회전 각도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6). 이 때, 디스플레이(130)의 최대 회전 각도는 회전 부재(140)의 최대 회전 각도일 수 있다.
타겟 각도가 디스플레이(130)의 최대 회전 각도 이하인 경우(406의 예), 시청 불가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량(100)은 타겟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를 회전할 수 있다(407).
차량(100)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 중 시청 불가 영역을 제외한 시청 가능 영역에 미리 정해진 컨텐츠를 표시하고, 시청 불가 영역에 규제 대상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408). 이 때, 시청 가능 영역에 표시할 컨텐츠는 규제 대상이 아닌 컨텐츠로, 사용자 또는 외부 장치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길 안내 등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규제 대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고, 동승자는 주행 여부에 상관 없이 규제 대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므로, 동승자의 편의 및 주행 안전성이 동시에 증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타겟 각도가 디스플레이(130)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크면(406의 아니오), 시청 불가 영역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이므로, 차량(100)은 경고 메시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409).
또는, 차량(100)은 규제 대상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거나 규제 대상 컨텐츠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가 고의로 자세를 변경하여 규제 대상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청 가능 영역의 넓이가 기준 넓이 이하인 경우(404의 아니오),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시청 불가능 영역이 확보된 경우이므로, 차량(100)은 시청 불가 영역에 규제 대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408).
이를 통해, 주행 여부에 상관 없이 규제 대상 컨텐츠가 운전자의 시청 불가능 영역에 표시되므로, 동승자의 편의성 및 주행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시야 감지부
111: 카메라
112: 시트 조작 장치
120: 제어부
130: 디스플레이
140: 회전 부재
150: 입력부

Claims (22)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야 감지부; 및
    상기 눈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종류, 크기 또는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눈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제어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영역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제어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이 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겟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제어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각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크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차량.
  10. 제2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차량.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및
    시트의 전후 방향 위치, 높이 또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시트 조작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는,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위치, 높이 또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는 DMB 영상,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인 차량.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도록 상기 시야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차량.
  15.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및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종류, 크기 또는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및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눈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눈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분할 비율을 변경하고; 및
    상기 변경된 분할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 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영역의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이 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겟 각도를 결정하고; 및
    상기 타겟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2.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관한 눈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눈 위치 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및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23889A 2019-02-28 2019-02-2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106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889A KR20200106123A (ko) 2019-02-28 2019-02-2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6/667,252 US11068054B2 (en) 2019-02-28 2019-10-29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19217523.6A DE102019217523A1 (de) 2019-02-28 2019-11-13 Fahrzeug und Steuerungsverfahren hier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889A KR20200106123A (ko) 2019-02-28 2019-02-2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123A true KR20200106123A (ko) 2020-09-11

Family

ID=7204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889A KR20200106123A (ko) 2019-02-28 2019-02-2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68054B2 (ko)
KR (1) KR20200106123A (ko)
DE (1) DE102019217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067B (zh) * 2020-03-16 2023-05-26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汽车中控系统及控制该汽车中控系统的控制方法
CN115373518B (zh) * 2022-10-18 2023-03-03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显示屏显示区域可视性的划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4481A2 (en) * 2000-03-02 2001-09-07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JP2003252127A (ja) * 2001-12-28 2003-09-10 Pioneer Electronic Corp 駆動制御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WO2004088622A1 (ja) * 2003-03-31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表示システム
JP4899340B2 (ja) * 2004-08-02 2012-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運転感覚調整装置及び運転感覚調整方法
KR20150041482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US10866714B2 (en) * 2014-02-13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2243106B1 (ko) * 2014-08-20 2021-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92919A1 (en) * 2015-03-31 2016-10-06 Cae Inc. Modular Infrastructure For An Interactive Computer Program
KR101806892B1 (ko) * 2016-05-09 201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장치
DE102016124125A1 (de) * 2016-12-13 2018-06-14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Kraft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CN106601171A (zh) * 2016-12-31 2017-04-26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的转动控制方法
CN106708169A (zh) * 2016-12-31 2017-05-24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基于vpx架构的多计算机系统时间同步方法与装置
KR20180093583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별 제어가 가능한 다중 표시영역을 구현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US10507783B2 (en) * 2017-09-13 2019-12-17 Nio Usa, Inc. Adaptive backup structure for airbag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8054B2 (en) 2021-07-20
DE102019217523A1 (de) 2020-09-03
US20200278745A1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9208B1 (en) Human machine interface (hmi) control unit for multiple vehicle display devices
US7747961B2 (en) 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s
US8700309B2 (en) Multiple visual display device and vehicle-mounted navigation system
US96456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navigating within a menu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selecting a menu entry from the menu
US9446712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nic rear-view mirror
US20070297064A1 (en) Display Device
US201202870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interface in a vehicle
US10179510B2 (en) Vehicle arran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rrangement
US20180011313A1 (en) In-vehicle projection display system with dynamic display area
KR20160076294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91645A (ja) 表示装置
JP2006189782A (ja) 表示装置
JP6257978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CN107852481B (zh) 图像显示控制装置
US20100156782A1 (en) Hand Control Image For Replication
KR20160023550A (ko)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클러스터-라디오 정보 교환 시스템
KR20200106123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EP37761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8141574A (ja) 車両用視覚補助装置
CN110884426A (zh) 显示控制装置
US20190258245A1 (en) Vehicle remote operation device, vehicle remote operation system and vehicle remote operation method
CN110895443A (zh) 显示控制装置
JP2007212342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70011817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6327526A (ja) 車載機器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