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029A - 조절 가능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029A
KR20200106029A KR1020207016881A KR20207016881A KR20200106029A KR 20200106029 A KR20200106029 A KR 20200106029A KR 1020207016881 A KR1020207016881 A KR 1020207016881A KR 20207016881 A KR20207016881 A KR 20207016881A KR 20200106029 A KR20200106029 A KR 2020010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ving
rack
blade assembly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바겔로스 스코드라스
야니스 프소미아디스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0010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2Actuating members, e.g. switches or control knobs; Adjust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블레이드(20)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행한 블레이드(20), 및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에 직교하는 제1 방향(M)으로 상기 제1 블레이드(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블레이드(20)에 결합된 랙(51)을 갖는 제1 랙-피니언 기구(50)를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면도기(100, 100')의 일부일 수 있고,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위치는 상기 랙-피니언 기구(50)를 통해 상기 제1 방향(M)으로 상기 제1 블레이드(20)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방향(M)으로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
본 출원은 2018년 1월 17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EP18152166.7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얼굴, 머리 및/또는 체모를 면도하기 위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이러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면도기 핸들에 부착되도록 적응될 수 있고, 특히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들이 무뎌진 경우에 상호 교환 가능할 수 있고, 또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들이 무뎌진 후에 처분될 수 있는 일회용 면도기를 형성할 수 있다.
면도기 사용자의 개인 취향, 모발 성장 및/또는 해부학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더 과감하게 또는 덜 과감하게 면도하기를 원할 수 있다. "과감하게(boldly)"라는 용어는 각 면도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를 사용자의 피부에 더 강한 압력 및/또는 공격 각도로 가압하여 돌출된 모발을 피부에 더 밀착되게 절삭할 수 있으나, 피부 자체를 자극할 위험이 더 높아지는 면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동일한 사용자는 심지어 특정 영역을 보다 공격적으로 면도할 것을 선호하거나 요구하고, 다른 영역을 더 민감하게, 즉 덜 공격적으로 면도할 것을 선호하거나 요구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노출 기구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면도 헤드 또는 블레이드 유닛은 일반적으로 이 기술 분야에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16/0346944 A1은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와 평행한 축 주위로 선회될 수 있는 블레이드를 갖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유사한 선회 블레이드 배열이 미국 특허 번호 5,313,706 및 4,345,374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회 블레이드 배열은 몇 가지 단점을 나타내는데, 첫째, 선회 블레이드는 개별적으로 탄성 장착될 수 없고, 둘째, 보다 민감한 면도를 달성하기 위해 면도 평면을 향해 블레이드를 선회시키면 동시에 인접한 평행한 블레이드들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어, 면도 효능이 감소하는 한편 세정이 더 어려워진다.
한편 미국 특허 번호 3,955,277은 블레이드의 노출을 조절하기 위해 블레이드 가드(blade guard)에 대해 블레이드의 각각의 절삭 에지에 수직으로 활주하도록 배열된 2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를 개시하고, 미국 특허 번호 3,667,121은 블레이드의 노출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 캡을 갖는 면도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는 또한 개별적으로 탄성 장착된 블레이드와 호환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예에서, 독일 특허 출원 공개 DE 10 2004 020 650 A1은 블레이드 선회 기구와 블레이드 활주 기구 중 적어도 하나와 복수의 평행한 블레이드를 갖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를 개시한다. 이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에서 블레이드 활주 기구는 블레이드 하우징 밖으로 블레이드의 노출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더 과감하거나 덜 과감한 면도를 달성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복수의 블레이드를 활주시키기 위한 캠 또는 스크류 기구이다. 그러나, 블레이드 선회 기구가 없으면, 이 제안된 블레이드 활주 기구는 조절 정밀도가 비교적 낮다는 단점을 여전히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포함된 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들이 여전히 개별적으로 탄성 장착될 수 있으면서 보다 공격적인 면도 또는 보다 민감한 면도를 달성하기 위해 특히 고정밀도로 조절될 수 있는 블레이드 노출을 갖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와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블레이드에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된 랙(rack)을 갖는 제1 랙-피니언 기구(rack-and-pinion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랙-피니언 기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매우 정밀하게 상기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공격적인 면도 또는 보다 민감한 면도를 달성하도록 블레이드의 노출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랙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더 밀착되어 더 민감한 면도를 하기 위해 탄성 장착될 수 있고 심지어 개별적으로 탄성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디텐트 기구(detent mechanis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의 상기 랙 또는 피니언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텐트 기구가 상기 피니언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열된 경우, 상기 피니언은 회전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 샤프트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기구에 의해, 면도의 공격성 정도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하게는 복수의 잘 정해진 위치에 상기 제1 면도 블레이드를 정지시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대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1 블레이드를 마찰로 유지하기 위한 제동 기구(brake mechanis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기구와 같이, 상기 제동 기구는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의 랙 또는 피니언과 하우징 사이에, 특히 상기 피니언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동 기구는 미세하게 다른 위치 범위에 걸쳐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제2 단부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의 랙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제1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제2 단부에 결합된 랙을 갖는 제2 랙-피니언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의 피니언과 상기 제2 랙-피니언 기구의 피니언은 회전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의 2개의 단부에 이러한 트윈(twin) 형태의 종국적으로 결합된 랙-피니언 기구는 상기 2개의 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전진 또는 후퇴를 동일하게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제1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행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에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시키면 보다 청결하고 보다 빠른 면도가 가능하게 하는 반면, 상기 랙-피니언 기구에 의해 작동하는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을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의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하면 이 평면에 수직으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위치를 보다 미세하고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은 대신 이 평면에 수직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에 연결하기 위한 해제 가능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해제 가능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면도 면도기 조립체 및 상기 면도기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의 교환 가능한 블레이드 카트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일회용 면도기는 전술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일체형으로 형성된 면도기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제1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제1 블레이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블레이드에 결합된 랙을 갖는 랙-피니언 기구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블레이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제1 블레이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의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각각의 개시된 실시형태 또는 모든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명세서 내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선택된 특징은, 달리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형태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
- 도 3은 도 1의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측면 절개도;
- 도 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횡단면도;
- 도 5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세도;
- 도 6은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면도기의 사시도;
- 도 7은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면도기의 사시도; 및
- 도 8은 도 1의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에서 블레이드 리테이너(blade retainer)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상세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고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태를 설명된 특정 실시형태로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수정, 균등물 및 대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하기 정의된 용어에 대해, 청구범위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다른 정의가 제공되지 않는 한, 이러한 정의가 적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의 요소 및 "상기" 요소는, 명확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요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또는"이라는 용어는, 명확히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 도면을 참조하여 읽어야 한다.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된 것은 아닌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를 위해 의도된 것이다.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선택된 특징은, 달리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 실시형태에서 병합될 수 있다.
도 1은 면도를 위해 노출된 절삭 에지(21)를 각각 갖는 복수의 평행한 블레이드(20)를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블레이드(20)는 함께 평면(C)을 형성하는 절삭 에지(21)에 수직으로 서로 오프셋된다. 각각의 블레이드(20)는 블레이드(20)의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3)까지 절삭 에지(2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는 절삭 에지(21)에 의해 형성된 평면(C)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복수의 평행한 블레이드(20)를 포함하지만, 상황에 따라 단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블레이드(20)가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에서와 같이, 블레이드 캐리어(30)는 블레이드(20)를 함께 유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20)는 블레이드 캐리어(30)에 고정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블레이드(20)는 블레이드 캐리어(30) 내에 개별적으로 탄성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블레이드 캐리어(30)는 하우징(4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하우징(40)에 대해 제1 방향(M)으로 블레이드 캐리어(30) 및 그리하여 각각의 블레이드(20)의 이동을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랙-피니언 기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방향(M)은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에 직교할 수 있으며, 이는 절삭 에지(21)에 수직인 평면(P) 내 임의의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방향(M)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에지(21)의 평면(C)에 대해 경사질 수 있지만, 이 제1 방향은 대신 도 2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평면(C)에 수직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피니언 기구(50)는 블레이드(20)의 제1 단부(22) 및/또는 제2 단부(23)에 인접하여 블레이드 캐리어(30)의 하나의 또는 2개의 길이 방향 단부(33, 34)에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랙-피니언 기구(50)는 피니언(52)과 맞물리는 제1 방향(M)으로 배향된 랙(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M)으로 배향된 안내부(60)는 하우징(40)에 대해 제1 방향(M)으로 블레이드 캐리어(30) 및 그리하여 각각의 블레이드(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이 안내부(60)는 각각의 랙-피니언 기구(50)의 랙(51)의 후방 표면(61), 및 상기 후방 표면(61)과 맞물리는, 하우징(40)의 대향 안내 표면(6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안내 배열은 랙-피니언 기구(50)를 통해 작동되는 블레이드(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더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M)으로 배향된 안내 표면은 블레이드 캐리어(30) 및/또는 하우징(40)의 다른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20)가 블레이드 캐리어(30) 내에 개별적으로 탄성 장착되는 경우, 각 블레이드(20)는 블레이드 캐리어(30)를 통해 각각의 랙(51)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블레이드(20)는 블레이드 캐리어(3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랙-피니언 기구(50)에서, 회전 샤프트(53)는 다이얼 휠(54)을 통해 랙-피니언 기구(5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피니언(52)을 하우징(40)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 다이얼 휠(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회전 샤프트(53)는 또한 블레이드 캐리어(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33, 34)에서 랙-피니언 기구(50)들 사이에 연장되어 이들의 각각의 이동을 결합시켜, 하나의 또는 2개의 다이얼 휠(54)이 수동으로 동작될 때 전체 블레이드 캐리어(30)가 제1 방향(M)으로 균일하게 이동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시된 실시형태는 각각의 랙-피니언 기구(50)를 위한 다이얼 휠(54)을 포함하지만, 2개의 랙-피니언 기구(50)가 회전 샤프트(53)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 단일 다이얼 휠(54)을 사용하면 2개의 랙-피니언 기구(50)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다이얼 휠(54)은 대응하는 랙-피니언 기구(50)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인덱스, 예를 들어, 컬러 코딩 인덱스 및/또는 수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랙-피니언 기구(5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이 인덱스는 사용자가 랙-피니언 기구(50)들을 동일한 위치에 설정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하우징(40)의 전방 면(43)은 면도 평면(S)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은 상기 전방 면(43)에 배치된 윤활제 스트립(41) 및/또는 가드 바(guard bar)(42)를 포함할 수 있고, 면도 평면(S)은 윤활제 스트립(41) 및 가드 바(42)에 접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다. 윤활제 스트립(41) 및/또는 핀 가드 바(finned guard bar)(42)는 면도감을 더 개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노출"이라는 용어는 면도 평면(S)에 수직으로 블레이드(20)의 각각의 절삭 에지(21)로부터 이 면도 평면(S)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블레이드의 노출은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에지(21)가 이 면도 평면(S)을 넘어 하우징(40) 밖으로 돌출될 때 양(positive)으로 간주되고, 블레이드 에지(21)가 면도 평면(S) 뒤 하우징(40) 내 휴지 위치로 후퇴될 때 음(negative)으로 간주된다.
하우징(40)은 블레이드 리테이너(4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의 방향으로 하우징(40)의 각 단부에 블레이드 리테이너(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블레이드 리테이너(44)는 블레이드를 하우징(40) 내에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블레이드(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블레이드 리테이너는 C-형 단면을 나타낼 수 있고, 제1 방향(M)으로 변형 시 약간의 복원력을 나타낼 수 있다. 블레이드(20)가 블레이드 캐리어(30)에 대해 탄성 장착되면, 블레이드(20)가 블레이드 리테이너(44)와 접촉할 때 제1 방향(M)으로 블레이드 캐리어(30)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블레이드 캐리어(30)와 블레이드(20)의 탄성 연결을 로딩하거나 로딩 해제(unload)하여 더 과감하거나 덜 과감한 면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레이드 리테이너는 카운터 스프링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각각의 랙-피니언 기구(50)를 통해 블레이드가 작동하기 전 및/또는 후에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제1 방향(M)으로 각각의 블레이드(2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디텐트 기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텐트 기구는 예를 들어 제1 표면에 돌출부(71)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제1 표면을 향하는 제2 표면의 대응하는 리세스(recess)(72)와 맞물리도록 탄성적으로 로딩된다. 제2 표면이 복수의 리세스(72)를 제공하면, 디텐트 기구(70)는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의 블레이드(20)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이 디텐트 기구(70)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에서 여러 다른 대안적인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1 가능한 배열에 따르면, 디텐트 기구(70)는 안내부(60)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돌출부(71)는 안내 표면(62)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대응하는 리세스(72)는 랙(51)의 후방 표면(61)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이 배열을 반전시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피니언(52)이 약간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고 및/또는 회전 샤프트(53)가 굴곡되는 것에 의해 랙(51)에 탄성 부하가 가해져서, 피니언(52)이 랙(51)과 및 안내부(60)의 표면(61, 62)과 서로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여, 돌출부(71)를 각각의 대응하는 리세스(72)로 가압하여, 하우징(40)에 대해 블레이드 캐리어(30) 및 그리하여 블레이드(20)의 위치를 탄성적으로 그리고 해제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배열은 제1 방향(M)을 따라 블레이드 리테이너(30) 및 블레이드(20)의 작동, 안내 및 위치 유지에 정밀도를 보장한다.
도 4에 도시된 제2 대안적인 배열에 따르면, 돌출부(71)는 다이얼 휠(54)의 표면(55)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대응하는 리세스(72)는 다이얼 휠(54)의 표면(55)과 반대쪽 하우징(40)의 표면(41)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배열은 반전될 수도 있다, 이 특정 배열에서 리세스(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경로를 따라 정렬되어, 다이얼 휠(54)이 회전할 때 돌출부(71)가 하나의 리세스(72)로부터 그 다음 인접한 리세스(72)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53)에 가해지는 축 방향 인장력은 탄성 부하를 제공하여 돌출부(71)를 각각의 리세스(72)로 가압하여 하우징(40)에 대해 블레이드 캐리어(30) 및 그리하여 블레이드(20)의 위치를 탄성적으로 및 해제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대안적인 배열에 따르면, 돌출부(71)는 회전 샤프트(53)의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대응하는 리세스(72)는 돌출부(71)가 위치된 축 방향 위치에서 회전 샤프트(53)를 지지하는, 하우징(40)의 오리피스(45)의 내주에 형성될 수 있다.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이 배열도 반전될 수 있고, 이에 돌출부(71)는 오리피스(45)의 내주에 위치되고 리세스(72)는 회전 샤프트(53)의 외부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오리피스(45) 내에 회전 샤프트(53)를 약간 압입하면 돌출부(71)가 각각의 리세스(72) 내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추가적인 안전 조치로서, 디텐트 기구(70)는 면도 평면(S)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0)에 임계값(Fmax)을 초과하는 외부 힘을 가하면 디텐트 기구(70)를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시켜, 제1 방향(M)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0)를 하우징(40) 내 디텐트 기구(70)의 적어도 그 다음 유지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면도 동안 면도 평면(S)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일반적으로 0.1N 내지 0.7N 범위이기 때문에, 이 임계값(Fmax)은 0.7N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텐트 기구에 대한 대안으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대신 블레이드 캐리어(30) 및 그리하여 각각의 블레이드(20)를 하우징(40)에 대해 제1 방향(M)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마찰로 유지하는 제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동 기구는 맞물리는 질감 표면(mating textured surface)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하우징(40)과 블레이드(20) 사이에 개재된 임의의 마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 기구는 안내부(60)에 형성될 수 있고, 랙(51)의 후방 표면(61)과 안내 표면(62) 사이의 마찰 계수 및 압력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마찰 저항에 대항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1 방향(M)이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의 평면(C)에 대해 기울어진 경우, 제1 방향(M)과 평면(C) 사이의 마찰 계수 및 경사각(α)(ALPHA)은 심지어 평면(C)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이 제동 기구를 잠그는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를 면도기 핸들(9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여 면도기(100)를 형성하기 위한 해제 가능 커넥터(80)를 더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블레이드 카트리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일체로 형성된 면도기 핸들(90')을 갖는 일회용 면도기(100')에 통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블레이드(20)와 피부 사이에 더 나은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면도기(100) 또는 일회용 면도기(100')는 하우징(40)과 면도기 핸들(90, 9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 관절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 중 임의의 예의 동작에서, 블레이드 노출은 하우징(40)에 대해 제1 방향(M)으로 블레이드(20)와 함께 블레이드 캐리어(30)의 이동을 작동시켜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에 의해 형성된 평면(C)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랙-피니언 기구(50)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다이얼 휠(54)이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53)를 통해 피니언(52)이 구동될 수 있고, 랙(51)과 맞물리는 피니언(52)이 회전하면 제1 방향(M)으로 블레이드(20)와 함께 블레이드 리테이너(30)가 구동될 수 있다. 최종 위치까지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를 통과할 수 있는 이러한 움직임은 면도 평면(S)에 대해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에 의해 형성된 평면(C)을 이동시켜 더 과감한 면도 또는 덜 과감한 면도를 달성할 수 있다.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가 도 3 내지 도 5 중 임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 기구(70)를 포함하는 경우, 초기 위치, 최종 위치 및 임의의 중간 위치는, 블레이드(20)와 함께 블레이드 리테이너(30)가 이들 위치 각각에서 해제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리고 또한 사용자가 중간 위치에서 돌출부를 연속적인 리세스(72) 내외로 클릭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40) 내로 블레이드 캐리어(30)의 이동을 정확히 느낄 수 있도록 돌출부(71)가 대응하는 리세스(72)에 맞물리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에서 움직이는 부분들 간에 마찰에 의해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는 제동 기구는 또한 블레이드 리테이너(30)를 초기 위치 및/또는 최종 위치에 마찰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고려되는 특정 실시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상세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로서,
    제1 블레이드(20)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행한 블레이드(20); 및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에 직교하는 제1 방향(M)으로 상기 제1 블레이드(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블레이드(20)에 결합된 랙(51)을 갖는 제1 랙-피니언 기구(50)를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20)는 상기 랙(51)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M)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20)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디텐트 기구(detent mechanism)(70)를 더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디텐트 기구(70)는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50)의 랙(51)과 상기 하우징(40) 사이에 배열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5.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디텐트 기구(70)는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50)의 피니언(52)과 상기 하우징(40) 사이에 배열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52)은 회전 샤프트(5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텐트 기구(70)는 상기 하우징(40)과 상기 회전 샤프트(53) 사이에 배열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M)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1 블레이드(20)를 마찰로 유지하기 위한 제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는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제1 단부(22)로부터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제2 단부(23)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50)의 랙(51)은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제1 단부(22)에 결합되고,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는 상기 제1 블레이드(20)의 제2 단부(23)에 결합된 랙(51)을 갖는 제2 랙-피니언 기구(70)를 더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피니언 기구(50)의 피니언(52)과 상기 제2 랙-피니언 기구(50)의 피니언(52)은 회전 샤프트(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에 의해 형성된 평면(C)에 대해 경사지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를 면도기 핸들(90)에 연결하기 위한 해제 가능 커넥터(80)를 더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12. 면도기(100)로서, 제11항에 따른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및 상기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의 해제 가능 커넥터(80)에 연결된 면도기 핸들(90)을 포함하는, 면도기(100).
  13. 일회용 면도기(100')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 및 일체로 형성된 면도기 핸들(90')을 포함하는, 일회용 면도기(100').
  14. 제1 블레이드(20)의 절삭 에지(21)에 직교하는 제1 방향(M)으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제1 블레이드(2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블레이드(20)에 결합된 랙(51)을 갖는 랙-피니언 기구(50)를 통해 상기 제1 방향(M)으로 상기 제1 블레이드(20)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의 제1 블레이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KR1020207016881A 2018-01-17 2018-12-20 조절 가능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 KR20200106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2166.7A EP3513920B1 (en) 2018-01-17 2018-01-17 Ajustable shaving blade assembly and razor
EP18152166.7 2018-01-17
PCT/EP2018/086372 WO2019141488A1 (en) 2018-01-17 2018-12-20 Adjustable shaving blade assembly and raz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029A true KR20200106029A (ko) 2020-09-10

Family

ID=6100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81A KR20200106029A (ko) 2018-01-17 2018-12-20 조절 가능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97109B2 (ko)
EP (1) EP3513920B1 (ko)
KR (1) KR20200106029A (ko)
CN (1) CN111417498A (ko)
PL (1) PL3513920T3 (ko)
WO (1) WO2019141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3918B1 (en) * 2018-01-17 2021-05-05 BIC Violex S.A. Shaving blade assembly
EP3513919B1 (en) * 2018-01-17 2020-11-18 BIC Violex S.A. Shaving blade assembly
EP3590669B1 (en) * 2018-07-05 2021-03-31 BIC Violex S.A. Adjustable shaving blade assembly
EP3974128A1 (en) 2020-09-29 2022-03-30 Bic Violex S.A. Shaving head with hair moving mechanism
RU2764448C1 (ru) * 2021-05-27 2022-01-17 Сергей Валерьевич Синицкий Кассета для бритвы
CN115156409B (zh) * 2022-09-05 2022-11-25 山东宏泰电器有限公司 冷柜内胆底板加工用切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2628A (en) * 1939-04-10 1941-08-12 Walter Good Hair trimmer
GB656371A (en) * 1949-01-10 1951-08-22 Leelan Earl Witne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mbs
US2711014A (en) * 1953-04-08 1955-06-21 Spanel Abraham Nathaniel Hair cutter
US3667121A (en) 1970-07-10 1972-06-06 Gillette Co Safety razor
US3855695A (en) * 1973-01-05 1974-12-24 Spanel Abram Nathaniel Hair cutters
GB1487305A (en) 1973-09-20 1977-09-28 Gillette Co Safety razor
US4345374A (en) 1974-01-14 1982-08-24 The Gillette Company Razor with means to adjust blade geometry
DE9108213U1 (ko) * 1991-07-03 1992-10-29 Wilkinson Sword Gmbh, 5650 Solingen, De
DE69225324T2 (de) 1991-07-18 1998-11-05 Warner Lambert Co Rasierkopf mit einer veränderlichen rasiergeometrie
US6070327A (en) * 1999-02-19 2000-06-06 Taso; Selim Manual shaving apparatus
DE102004020650A1 (de) 2004-04-22 2005-11-10 Wolfgang Steffen Rasierapparatekopf insbesondere für die Nassrasur
DE102010022606B4 (de) * 2010-06-02 2012-06-14 Eric Mieth Rasier- und Haarschneidegerät, Nassrasierer mit stufenlos verstellbarer Schnittkantenhöhe
CN102126223B (zh) * 2011-01-07 2012-10-03 中国科学院地质与地球物理研究所 一种可调整刀片伸缩的水果刀
US20160346944A1 (en) 2015-05-29 2016-12-01 Shayan Sadrialaei Razor With Cleaning Adjustment
CN108367448B (zh) * 2015-12-17 2021-01-22 比克沃莱克斯公司 剃刀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17498A (zh) 2020-07-14
PL3513920T3 (pl) 2021-04-06
US11597109B2 (en) 2023-03-07
WO2019141488A1 (en) 2019-07-25
EP3513920B1 (en) 2020-11-25
US20200346357A1 (en) 2020-11-05
EP3513920A1 (en)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6029A (ko) 조절 가능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및 면도기
US7954244B2 (en) Razor cartridge with comb
US11559912B2 (en) Shaving blade assembly
US11420351B2 (en) Adjustable shaving blade assembly
JP4875074B2 (ja) キャップ前方枢動を有するシェービング器具
EP1708855B1 (en) Bidirectional shaving implement
US8499459B2 (en) Shaving blade unit and shaver having such a blade unit
US7140116B2 (en) Razor having a multi-position shaving head
US11524418B2 (en) Shaving blade assembly
US20040181954A1 (en) Shaving implement having improved pivot axis location
US20240083051A1 (en) Razor heads, kits, razors & methods compri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