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952A -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952A
KR20200105952A KR1020207024070A KR20207024070A KR20200105952A KR 20200105952 A KR20200105952 A KR 20200105952A KR 1020207024070 A KR1020207024070 A KR 1020207024070A KR 20207024070 A KR20207024070 A KR 20207024070A KR 20200105952 A KR20200105952 A KR 20200105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rach
transmission
channe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934B1 (ko
Inventor
양석철
김선욱
박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채널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하고, 상기 PRACH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고, 상기 RAR에 기반하여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에 의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채널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PRACH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AR에 기반하여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하고, 상기 PRACH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고, 상기 RAR에 기반하여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상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채널 접속 절차로 인한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random access) 과정 및 이와 관련된 단말의 동작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레임 구조 타입 3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LTE 시스템에 기초한 슬롯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LTE 시스템에 기초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LTE 시스템에 기초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NR 시스템에 기초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NR 시스템에 기초한 프레임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NR 시스템에 기초한 자기 완비 슬롯 구조 (Self-contained slot structur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SS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반적인 랜덤 접속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기지국의 비면허 대역을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CAP (Channel Access Procedure) 흐름도이다.
도 15는 단말의 비면허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CAP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된 랜덤 접속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SR (Scheduling Request) 전송 동작과 관련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gNode B(gNB), 발전된 기지국(ABS: Advanced Base Station) 또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 이동국(MS: Mobile Station), 가입자 단말(SS: Subscriber Station), 이동 가입자 단말(MSS: 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발전된 이동단말(AMS: Advanced 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례로 3GPP LTE/LTE-A 시스템뿐만 아니라 3GPP NR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s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LTE-A pro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3GPP NR(New Radio 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는 3GPP LTE/LTE-A/LTE-A pro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통신 시스템(예, LTE, NR)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는 3GPP TS 36.xxx Release 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3GPP TS 36.xxx Release 10 이후의 LTE 기술은 LTE-A로 지칭되고, 3GPP TS 36.xxx Release 13 이후의 LTE 기술은 LTE-A pro로 지칭된다. 3GPP NR은 TS 38.xxx Release 15 이후의 기술을 의미한다. LTE/NR은 3GPP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xxx"는 표준 문서 세부 번호를 의미한다. LTE/NR은 3GPP 시스템으로 통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된 배경기술, 용어, 약어 등에 관해서는 본 발명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TS 36.211, 3GPP TS 36.212, 3GPP TS 36.213, 3GPP TS 36.300, 3GPP TS 36.321, 3GPP TS 36.331, 3GPP TS 37.213, 3GPP TS 38.211, 3GPP TS 38.212, 3GPP TS 38.213, 3GPP TS 38.214, 3GPP 38.300, 3GPP TS 38.321 및 3GPP TS 38.331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3GPP LTE/LTE-A 시스템뿐만 아니라 3GPP NR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IEEE 802.16e/m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물리 채널 및 프레임 구조
물리 채널 및 일반적인 신호 전송
도 1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 DL)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Uplink, UL)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과 단말이 송수신하는 정보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이 송수신 하는 정보의 종류/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단말은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1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SCH(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SSCH(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cell identity)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DL RS(Downlink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이에 대응되는 PDS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여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
이후,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완료하기 위해 랜덤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S13~S16). 구체적으로, 단말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고(S13), PDCCH 및 이에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할 수 있다(S14). 이후, 단말은 RAR 내의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하고(S15), PDCCH 및 이에 대응하는 PDSCH과 같은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S16).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향/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17) 및 PUSCH/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S18)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한다. UCI는 HARQ 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owledgement/Negative-ACK), SR(Scheduling Request),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CSI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ion) 등을 포함한다. UCI는 일반적으로 PUCCH를 통해 전송되지만, 제어 정보와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어야 할 경우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요청/지시에 따라 단말은 PUSCH를 통해 UCI를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 가능한 LTE 시스템에 기초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LTE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용의 프레임 타입 1, TDD(Time Division Duplex)용의 프레임 타입 2와 UCell(Unlicensed Cell)용의 프레임 타입 3을 지원한다. PCell(Primary Cell)에 부가하여, 최대 31개의 SCell(Secondary Cell)이 병합(aggregated) 될 수 있다. 특별히 기술하지 않는 한, 후술하는 동작은 셀마다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중-셀 병합 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조가 서로 다른 셀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 내의 시간 자원(예, 서브프레임, 슬롯, 서브슬롯)은 TU(Time Unit)로 통칭될 수 있다.
도 2(a)는 프레임 타입 1을 예시한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4개 또는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보통(normal) CP가 사용되는 경우, 서브프레임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extended) CP가 사용되는 경우, 서브프레임은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심볼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A) 심볼, SC-FDM(A) 심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볼은 하향링크에서 OFDM(A) 심볼을 의미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 심볼을 의미할 수 있다. OFDM(A) 심볼은 CP-OFDM(A)(Cyclic Prefix-OFDM(A)) 심볼로 지칭되고, SC-FDM(A) 심볼은 DFT-s-OFDM(A)(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A)) 심볼로 지칭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정의될 수 있다.
- SCS = 7.5 kHz 또는 15 kHz인 경우, 서브프레임 #i는 2개의 0.5ms 슬롯 #2i, #2i+1로 정의된다(i = 0~9).
- SCS = 1.25 kHz인 경우, 서브프레임 #i는 1개의 1ms 슬롯 #2i로 정의된다.
- SCS = 15 kHz인 경우, 서브프레임 #i는 표 A1에 예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서브슬롯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 1은 서브프레임 내의 서브슬롯 구성을 예시한다(보통 CP).
Figure pct00001
도 2(b)는 프레임 타입 2를 예시한다. 프레임 타입 2는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된다. 하프 프레임은 4 (또는 5)개의 일반 서브프레임과 1 (또는 0)개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반 서브프레임은 UL-DL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에 따라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사용된다.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표 2는 UL-DL 구성에 따른 무선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구성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D는 DL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UL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스페셜(special)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Slot), GP(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 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표 3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X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 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등)에 의해 설정되거나, 0 으로 주어진다.
도 3은 프레임 구조 타입 3를 예시한 도면이다.
프레임 구조 타입 3은 UCell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레임 구조 타입 3은 보통 CP를 갖는 LAA(Licensed Assisted Access) SCell의 동작에만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1ms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된다. 서브프레임 #i는 두 개의 연속한(consecutive) 슬롯 #2i, #2i+1로 정의된다. 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거나, 비어(empty) 있을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서브프레임을 점유하며(occupy),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경계(boundary) 또는 표 3의 DwPTS에서 끝난다. 상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연속된 서브프레임을 점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LTE 시스템에 기초한 프레임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domain)에서 복수의 자원 블록 (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심볼은 심볼 구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슬롯의 구조는 N DL/UL RB×N RB sc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N DL/UL symb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 격자(resource grid)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N DL RB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N UL RB은 UL 슬롯에서의 RB 의 개수를 나타낸다. N DL RB와 N UL RB은 DL 대역폭과 UL 대역폭에 각각 의존한다. N DL symb은 DL 슬롯 내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며, N UL symb은 UL 슬롯 내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N RB sc는 RB를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낸다. 슬롯 내 심볼의 개수는 SCS, CP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표 1 참조). 예를 들어, 보통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7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6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RB는 시간 도메인에서 N DL/UL symb개(예, 7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심볼로 정의되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N RB sc개(예, 12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여기서, RB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 또는 VRB(Virtual Resource Block)를 의미할 수 있으며, PRB와 VRB는 1대1로 매핑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2개의 슬롯 각각에 1개씩 위치하는 2개의 RB를 RB 쌍(RB pair)이라 한다. RB 쌍을 구성하는 2개의 RB는 동일한 RB 번호(혹은, RB 인덱스라고도 함)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심볼과 하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 자원을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 혹은 톤(tone)이라고 한다. 자원격자 내 각 RE는 슬롯 내 인덱스 쌍 (k, l)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될 수 있다. 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0부터 N DL/UL RB×N RB sc-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며, l은 시간 도메인에서 0부터 N DL/UL symb-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LTE 시스템에 기초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내 첫 번째 슬롯의 앞에 위치한 최대 3개 (또는 4개)의 OFDM(A) 심볼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에 해당한다. 남은 OFDM(A) 심볼은 PDSCH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data region)에 해당하며, 데이터 영역의 기본 자원 단위는 RB이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채널들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의 수(즉, 제어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 채널이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된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또는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Tx) 파워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LTE 시스템에 기초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500)은 두 개의 0.5ms 슬롯(501)으로 구성된다. 각 슬롯은 복수의 심볼(502)로 구성되며 하나의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에 대응된다. RB(503)는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 그리고 시간 영역에서 한 슬롯에 해당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다.
LTE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크게 데이터 영역(504)과 제어 영역(505)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패킷 등의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 예를 들어 각 단말로부터의 하향링크 채널 품질보고,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 ACK/NACK,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축 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SC-FDMA 심볼을 통하여 전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NR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도 7 과 같은 프레임에 기초한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5ms 하프-프레임(Half-Frame, HF)으로 정의된다. 하나의 하프-프레임은 5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한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보통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 (또는, CP-OFDM 심볼), SC-FDMA 심볼 (또는, DFT-s-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표 4는 보통 CP가 사용되는 경우, SCS에 따른 슬롯 별 심볼의 개수, 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 및 서브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가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표 5는 확장된 CP가 사용되는 경우, SCS에 따른 슬롯 별 심볼의 개수, 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 및 서브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가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상기 표에서, N slot symb 는 슬롯 내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고, N frame,μ slot는 프레임 내 슬롯의 개수를 나타내고, N subframe,μ slot는 서브프레임 내 슬롯의 개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NR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에게 병합되는 복수의 셀들간에 OFDM(A) 뉴모놀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자원(예, SF, 슬롯 또는 TTI)(편의상, TU(Time Unit)로 통칭)의 (절대 시간) 구간이 병합된 셀들간에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NR 시스템에 기초한 프레임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통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7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6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반송파(carrier)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RB(Resource Bloc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예, 12)의 연속한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BWP(Bandwidth Part)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연속한 (P)RB로 정의되며, 하나의 뉴모놀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반송파는 최대 N개(예, 5개)의 BWP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활성화된 BWP를 통해서 수행되며, 하나의 단말한테는 하나의 BWP만 활성화 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에서 각각의 요소는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되며, 하나의 복소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NR 시스템에 기초한 자기-완비 (self-contained) 슬롯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NR 시스템에서 프레임은 하나의 슬롯 내에 DL 제어 채널, DL 또는 UL 데이터, UL 제어 채널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자기-완비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슬롯 내의 처음 N개의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이하, DL 제어 영역), 슬롯 내의 마지막 M개의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하, UL 제어 영역). N과 M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다. DL 제어 영역과 UL 제어 영역의 사이에 있는 자원 영역(이하, 데이터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DL-to-UL 혹은 UL-to-DL 스위칭을 위한 시간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음의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각 구간은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었다.
1. DL only 구성
2. UL only 구성
3. Mixed UL-DL 구성
- DL 영역 + GP(Guard Period) + UL 제어 영역
- DL 제어 영역 + GP + UL 영역
* DL 영역: (i) DL 데이터 영역, (ii) DL 제어 영역 + DL 데이터 영역
* UL 영역: (i) UL 데이터 영역, (ii) UL 데이터 영역 + UL 제어 영역
DL 제어 영역에서는 PDCCH가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영역에서는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영역에서는 PUCCH가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영역에서는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PDCCH에서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예를 들어 D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U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다. PUCCH에서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예를 들어 DL 데이터에 대한 ACK/NACK(Positive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정보,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정보,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전송될 수 있다. GP는 기지국과 단말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시간 갭을 제공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심볼이 GP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전송을 예시한다.
SSB는 SS/PBCH 블록으로 구성되며, SSB 주기(periodicity)에 맞춰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초기 셀 선택 시에 사용되는 SSB 기본 주기는 20ms로 정의된다. 셀 접속 후, SSB 주기는 {5ms, 10ms, 20ms, 40ms, 80ms, 160ms}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각 SS 주기의 시작 부분에 SSB 버스트(burst) 세트가 구성된다. SSB 버스트 세트는 5ms 시간 윈도우로 구성되며, SSB는 SS 버스트 세트 내에서 최대 L번 전송될 수 있다. SSB의 후보 위치는 SS 버스트 세트 내에 기-정의될 수 있다. SSB의 최대 전송 횟수 L은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 For frequency range up to 3 GHz, L = 4
- For frequency range from 3GHz to 6 GHz, L = 8
- For frequency range from 6 GHz to 52.6 GHz, L = 64
단말은 SSB에 기반하여 DL 동기 획득(예, OFDM 심볼/슬롯/하프-프레임 바운더리 검출), 셀 ID(Identifier)(예, Physical Cell Identifier, PCID) 획득, 초기 접속을 위한 빔 정렬, MIB 획득, DL 측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SSB의 구조를 예시한다. 슬롯은 최대 2개의 SSB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SSB는 4개의 연속된 OFDM 심볼에 구성되며, OFDM 심볼 별로 PSS, PBCH, SSS/PBCH 및 PBCH가 전송된다. PSS는 셀 ID 그룹 내에서 셀 ID를 검출하는데 사용되고, SSS는 셀 ID 그룹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BCH는 SSB (시간) 인덱스 검출 및 하프-프레임 검출을 위해 사용되며, MIB를 포함한다. PBCH는 OFDM 심볼마다 데이터 RE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RE로 구성된다. RB 별로 3개의 DMRS RE가 존재하며, 각각의 DMRS RE 사이에는 3개의 데이터 RE가 존재한다.
표 6은 PBCH의 페이로드 구성을 나타낸다.
Field Size (bits)
Cyclic Redundancy Check (CRC) 24
System Frame Number (SFN) 10
Physical RB (PRB) grid offset 4
SCS indication 1
Half frame Indication 1
Most Significant Bit (MSB) of SSB index (for above 6GHz) 3
SSB 시간 위치는 SSB 버스트 세트(즉, 하프-프레임) 내에서 0 ~ L-1로 인덱싱 된다(SSB 인덱스). L = 8 또는 64인 경우, SSB 인덱스의 LSB(Least Significant Bit) 3비트는 8개의 서로 다른 PBCH-DMRS 시퀀스를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L = 2인 경우, SSB 인덱스의 LSB 2비트는 4개의 서로 다른 PBCH-DMRS 시퀀스를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L = 4인 경우, 8개 PBCH-DMRS 시퀀스를 이용하여 지시할 수 있는 3비트 중 SSB 인덱스를 지시하고 남는 1비트는 하프-프레임 지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은 SSB를 검출함으로써 DL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검출된 SSB 인덱스에 기반하여 SSB 버스트 세트의 구조를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OFDM 심볼/슬롯/하프-프레임 바운더리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SSB가 속하는 프레임의 번호는 MIB 내의 SFN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되고, 검출된 SSB가 속하는 하프-프레임의 번호는 MIB 내의 하프-프레임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도 12는 일반적인 랜덤 접속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랜덤 접속 과정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랜덤 접속 과정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핸드오버, 단말-트리거드(triggered) UL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접속 과정을 통해 UL 동기와 UL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랜덤 접속 과정은 충돌 기반(contention-based) 과정과 비-충돌 기반(non-contention based 또는 dedicated) 과정으로 구분된다. 랜덤 접속 과정은 RACH(Random Access Channel) 과정과 혼용된다.
도 12(a)는 충돌 기반 랜덤 접속 과정을 예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접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랜덤 접속이 필요하면, 단말은 랜덤 접속 프리앰블 (메시지 1)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710).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기지국은 랜덤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 (메시지 2)를 단말에게 전송한다(S720). 구체적으로, 랜덤 접속 응답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RA-RNTI(Random Access-RNTI)로 CRC 마스킹 되어 L1/L2 제어채널(PDC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RA-RNTI로 마스킹된 PDCCH는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를 통해서만 전송될 수 있다. RA-RNTI로 마스킹된 스케줄링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지시하는 PDSCH로부터 랜덤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랜덤 접속 응답 메시지에 자신에게 지시된 랜덤 접속 응답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자신에게 지시된 랜덤 접속 응답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단말이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 RAID(Random Access preamble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확인될 수 있다. 랜덤 접속 응답 정보는 UL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옵셋 정보(예, Timing Advance Command, TAC), UL 스케줄링 정보(예, UL 그랜트) 및 단말 임시 식별 정보(예, Temporary-C-RNTI, TC-RNTI)를 포함한다. 랜덤 접속 응답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UL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USCH를 통해 UL-SCH(Shared Channel) 데이터 (메시지 3)를 전송한다(S730). UL-SCH 데이터 수신 후, 기지국은 충돌 해결(contention resolution) 메시지 (메시지 4)를 단말에게 전송한다(S740).
도 12(b)는 비충돌 기반 랜덤 접속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비충돌 기반 랜덤 접속 과정은 핸드오버 과정에서 사용되거나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에 존재할 수 있다. 기본적인 과정은 경쟁 기반 랜덤 접속 과정과 동일하다.
도 12(b)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용(dedicated)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할당 받는다(S810). 전용 랜덤 접속 프리앰블 지시 정보(예, 프리앰블 인덱스)는 RRC 메세지(예, 핸드오버 명령)에 포함되거나 PDCCH 명령(order)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랜덤 접속 과정의 개시 후, 단말은 전용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20).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접속 응답을 수신하고(S830) 랜덤접속 과정은 종료된다. SCell 상에서의 랜덤 접속 과정은 PDCCH 명령에 의해서만 개시될 수 있다.
NR에서는 비충돌 기반 랜덤 접속 과정을 PDCCH 명령(order)으로 개시하기 위해 DCI 포맷 1_0가 사용된다. DCI 포맷 1_0는 하나의 DL 셀에서 PDSCH를 스케줄링 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DCI 포맷 1_0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C-RNTI로 스크램블 되고, "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필드의 비트 값이 모두 1인 경우, DCI 포맷 1_0는 랜덤 접속 과정을 지시하는 PDCCH 명령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DCI 포맷 1_0의 필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 RA 프리앰블 인덱스: 6비트
- UL/SUL(Supplementary UL) 지시자: 1비트. RA 프리앰블 인덱스의 비트 값이 모두 0이 아니면서 단말에 대해 셀 내에 SUL이 설정된 경우, 셀 내에서 PRACH가 전송된 UL 반송파를 지시한다. 그 외의 경우 미사용 된다(reserved).
- SSB 인덱스: 6비트. RA 프리앰블 인덱스의 비트 값이 모두 0가 아닌 경우, PRACH 전송을 위한 RACH 기회(occasion)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SSB를 지시한다. 그 외의 경우 미사용 된다(reserved).
- PRACH 마스크 인덱스: 4비트. RA 프리앰블 인덱스의 비트 값이 모두 0가 아닌 경우, SSB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SSB와 연관된 RACH 기회를 지시한다. 그 외의 경우 미사용 된다(reserved).
- 미사용(reserved): 10비트
DCI 포맷 1_0이 PDCCH 명령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DCI 포맷 1_0은 PDSCH를 스케줄링 하는데 사용되는 필드로 구성된다(예, 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HARQ 프로세스 번호, PDSCH-to-HARQ_feedback timing indicator 등).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 있어, 면허 대역(이하, L-band)에서 동작하는 셀을 L-cell로 정의하고, L-cell의 캐리어를 (DL/UL) LCC라고 정의한다. 또한, 비면허 대역 (이하, U-band)에서 동작하는 셀을 U-cell로 정의하고, U-cell의 캐리어를 (DL/UL) UCC라고 정의한다. 셀의 캐리어/캐리어-주파수는 셀의 동작 주파수(예, 중심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셀/캐리어(예, CC)는 셀로 통칭한다.
도 13(a)와 같이 단말과 기지국이 반송파 결합된 LCC 및 UCC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LCC는 PCC (Primary CC)로 설정되고 UCC는 SCC (Secondary CC)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b)와 같이, 단말과 기지국은 하나의 UCC 또는 반송파 결합된 복수의 UCC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과 기지국은 LCC 없이 UCC(s)만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술하는 비면허 대역에서의 신호 송수신 동작은 (별도의언급이 없으면) 상술한 모든 배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
비면허 대역에서의 동작을 위해 LTE의 프레임 구조 타입 3(도 3 참조) 또는 NR 프레임 구조(도 7 참조)가 사용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위한 프레임 구조 내 상향링크/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점유되는 OFDM 심볼들의 구성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OFDM 심볼은 SC-FDM(A) 심볼로 대체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서브프레임 #n에서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의 구성을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은 슬롯 또는 TU(Time Unit)로 대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n-1 또는 서브프레임 #n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DCI 내 특정 필드(예, Subframe configuration for LAA 필드 등)를 통해 서브프레임 #n 내 점유된 OFDM 심볼의 구성을 가정 (또는 식별)할 수 있다.
표 7은 LTE 시스템에서 Subframe configuration for LAA 필드가 현재 서브프레임 및/또는 다음 서브프레임(current and/or next subframe) 내 하향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물리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방법을 예시한다.
표 7은 LTE 시스템에서 Subframe configuration for LAA 필드가 현재 서브프레임 및/또는 다음 서브프레임(current and/or next subframe) 내 하향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물리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방법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6
비면허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 구간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검출된 DCI 내 'UL duration and offset' 필드를 통해 서브프레임 #n에 대한 'UL duration' 및 'UL offset'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표 8은 LTE 시스템에서 UL duration and offset 필드가 UL offset 및 UL duration 구성을 나타내는 방법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7
일 예로, UL duration and offset 필드가 서브프레임 #n에 대해 UL offset l 및 UL duration d를 설정(또는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n+l+i (i=0,1,…, d-1) 내에서 하향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물리 신호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비면허 대역을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다음 중 하나의 비면허 대역 접속 절차(예, Channel Access Procedure, CAP)를 수행할 수 있다.
(1) 제1 하향링크 CAP 방법
도 14는 기지국의 비면허 대역을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CAP 동작 흐름도이다.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을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예, PDSCH/PDCCH/EPDCCH를 포함한 신호 전송)을 위해 채널 접속 과정(CAP)을 개시할 수 있다(S1410). 기지국은 스텝 1에 따라 경쟁 윈도우(CW) 내에서 백오프 카운터 N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N 값은 초기 값 N init으로 설정된다(S1420). N init 은 0 내지 CW p 사이의 값 중 랜덤 값으로 선택된다. 이어서, 스텝 4에 따라 백오프 카운터 값(N)이 0이라면(S1430; Y), 기지국은 CAP 과정을 종료한다(S1432). 이어, 기지국은 PDSCH/PDCCH/EPDCCH를 포함하는 Tx 버스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434). 반면, 백오프 카운터 값이 0 이 아니라면(S1430; N), 기지국은 스텝 2에 따라 백오프 카운터 값을 1만큼 줄인다(S1440). 이어, 기지국은 U-cell(s)의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450), 채널이 유휴 상태이면(S1250; Y) 백오프 카운터 값이 0 인지 확인한다(S1430). 반대로, S1450 단계에서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니면 즉, 채널이 비지 상태이면(S1450; N), 기지국은 스텝 5에 따라 슬롯 시간(예, 9usec)보다 긴 지연 기간(defer duration T d; 25usec 이상) 동안 해당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460). 지연 기간에 채널이 유휴 상태이면(S1470; Y), 기지국은 다시 CAP 과정을 재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 기간은 16usec 구간 및 바로 뒤따르는 m p 개의 연속하는 슬롯 시간(예, 9us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지연 기간 동안 채널이 비지 상태이면(S1470; N), 기지국은 S1460 단계를 재수행하여 새로운 지연 기간 동안 U-cell(s)의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한다.
표 9는 채널 접속 우선 순위 클래스에 따라 CAP에 적용되는 m p, 최소 CW, 최대 CW,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COT) 및 허용된 CW 크기(allowed CW sizes)가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8
제1 하향링크 CAP에 적용되는 경쟁 윈도우 크기는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경쟁 윈도우 크기는 일정 시간 구간(예, 참조 TU) 내 PDSCH 전송(들)에 대응하는 HARQ-ACK 값들이 NACK으로 결정되는 확률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이 반송파 상에서 채널 접속 우선순위 클래스 p와 관련된 PDSCH를 포함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참조 서브프레임 k (또는 참조 슬롯 k) 내 PDSCH 전송(들)에 대응하는 HARQ-ACK 값들이 NACK으로 결정되는 확률이 적어도 Z = 80% 인 경우, 기지국은 각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서 설정된 CW 값들을 각각 허용된 다음 윗순위로 증가시킨다. 또는, 기지국은 각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하여 설정된 CW 값들을 초기 값으로 유지한다. 참조 서브프레임 (또는 참조 슬롯)은 적어도 일부의 HARQ-ACK 피드백이 이용 가능한 해당 반송파 상의 가장 최근 신호 전송이 수행된 시작 서브프레임 (또는 시작 슬롯)으로 정의될 수 있다.
(2) 제2 하향링크 CAP 방법
기지국은 후술하는 제2 하향링크 CAP 방법에 기초하여 비면허 대역을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예, 발견 신호 전송(discovery signal transmission)을 포함하고 PDSCH를 포함하지 않는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의 신호 전송 구간의 길이가 1ms 이하인 경우, 기지국은 적어도 센싱 구간 T drs =25 us 동안 해당 채널이 아이들로 센싱된 이후 바로(immediately after) 비면허 대역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예, 발견 신호 전송을 포함하고 PDSCH를 포함하지 않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T drs는 하나의 슬롯 구간 T sl = 9us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구간 T f (=16us)로 구성된다.
(3) 제3 하향링크 CAP 방법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 내 다중 반송파들을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다음과 같은 CAP를 수행할 수 있다.
1) Type A: 기지국은 각 반송파 별로 정의되는 카운터 N (CAP에서 고려되는 카운터 N)에 기초하여 다중 반송파들에 대해 CAP를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 Type A1: 각 반송파 별 카운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되고, 각 반송파를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은 각 반송파 별 카운터 N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 Type A2: 각 반송파 별 카운터 N은 경쟁 윈도우 크기가 가장 큰 반송파를 위한 N 값으로 결정되고, 반송파를 통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은 각 반송파 별 카운터 N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2) Type B: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들 중 특정 반송파에 대해서만 카운터 N에 기반한 CAP를 수행하고, 특정 반송파 상에서의 신호 전송에 앞서 나머지 반송파에 대한 채널 아이들 여부를 판단하여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 Type B1: 복수의 반송파들에 대해 단일 경쟁 윈도우 크기가 정의되고, 기지국은 특정 반송파에 대한 카운터 N에 기반한 CAP 수행 시 단일 경쟁 윈도우 크기를 활용한다.
- Type B2: 반송파 별로 경쟁 윈도우 크기가 정의되고, 특정 반송파를 위한 N init 값을 결정 시 경쟁 윈도우 크기들 중 가장 큰 경쟁 윈도우 크기를 활용한다.
비면허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단말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경쟁 기반의 CAP를 수행한다. 단말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Type 1 또는 Type 2 CAP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기지국이 설정한 CAP(예, Type 1 또는 Type 2)를 수행할 수 있다.
(1) Type 1 상향링크 CAP 방법
도 15는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단말의 Type 1 CAP 동작 흐름도이다.
단말은 비면허 대역을 통한 신호 전송을 위해 채널 접속 과정(CAP)을 개시할 수 있다(S1510). 단말은 스텝 1에 따라 경쟁 윈도우(CW) 내에서 백오프 카운터 N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N 값은 초기 값 N init으로 설정된다(S1520). N init 은 0 내지 CW p 사이의 값 중 임의의 값으로 선택된다. 이어서, 스텝 4에 따라 백오프 카운터 값(N)이 0이라면(S1530; Y), 단말은 CAP 과정을 종료한다(S1532). 이어, 단말은 Tx 버스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534). 반면에, 백오프 카운터 값이 0 이 아니라면(S1530; N), 단말은 스텝 2에 따라 백오프 카운터 값을 1만큼 줄인다(S1540). 이어, 단말은 U-cell(s)의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550), 채널이 유휴 상태이면(S1550; Y) 백오프 카운터 값이 0 인지 확인한다(S1530). 반대로, S1550 단계에서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니면 즉, 채널이 비지 상태이면(S1550; N), 단말은 스텝 5에 따라 슬롯 시간(예, 9usec)보다 긴 지연 기간(defer duration T d; 25usec 이상) 동안 해당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560). 지연 기간에 채널이 유휴 상태이면(S1570; Y), 단말은 다시 CAP 과정을 재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 기간은 16usec 구간 및 바로 뒤따르는 m p 개의 연속하는 슬롯 시간(예, 9us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지연 기간 동안 채널이 비지 상태이면(S1570; N), 단말은 S1560 단계를 재수행하여 새로운 지연 기간 동안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한다.
표 10은 채널 접속 우선 순위 클래스에 따라 CAP에 적용되는 m p, 최소 CW, 최대 CW,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COT) 및 허용된 CW 크기(allowed CW sizes)가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9
Type 1 상향링크 CAP에 적용되는 경쟁 윈도우 크기는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경쟁 윈도우 크기는 일정 시간 구간(예, 참조 TU) 내 UL-SCH의 HARQ 프로세스 ID인 HARQ_ID_ref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HARQ 프로세서를 위한 NDI(New Data Indicator) 값의 토글 여부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단말이 반송파 상에서 채널 접속 우선순위 클래스 p와 관련된 Type 1 채널 접속 절차를 이용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HARQ_ID_ref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HARQ 프로세스를 위한 NDI 값이 토글되면 모든 우선순위 클래스
Figure pct00010
를 위해,
Figure pct00011
로 설정하고, 아닌 경우, 모든 우선순위 클래스
Figure pct00012
를 위한 CW p를 다음으로 높은 허락된 값(next higher allowed value)로 증가시킨다.
참조 서브프레임 n ref(또는 참조 슬롯 n ref)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단말이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n g에서 UL 그랜트를 수신하고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Figure pct00013
내에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n 0부터 시작하고 갭이 없는 UL-SCH를 포함한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여기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n w는 단말이 Type 1 CAP에 기초하여 UL-SCH를 전송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n g-3 이전의 가장 최근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임), 참조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n ref는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n 0이다.
(2) Type 2 상향링크 CAP 방법
비면허 대역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예, PUSCH를 포함한 신호) 전송을 위해 단말이 Type 2 CAP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은 적어도 센싱 구간
Figure pct00014
동안 채널이 아이들임을 센싱한 바로 직후(immediately after) 비면허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예, PUSCH를 포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Figure pct00015
은 하나의 슬롯 구간
Figure pct00016
바로 다음에(immediately followed) 구간
Figure pct00017
로 구성된다. T f는 상기 T f의 시작 지점에 아이들 슬롯 구간 T sl을 포함한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채널의 구조
하향링크 채널 구조
기지국은 후술하는 하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단말에게 전송하고, 단말은 후술하는 하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1)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PDSCH는 하향링크 데이터(예, DL-shared channel transport block, DL-SCH TB)를 운반하고,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 QAM, 256 QAM 등의 변조 방법이 적용된다. TB를 인코딩하여 코드워드(codeword)가 생성된다. PDSCH는 최대 2개의 코드워드를 나를 수 있다. 코드워드(codeword) 별로 스크램블링(scrambling) 및 변조 매핑(modulation mapping)이 수행되고, 각 코드워드로부터 생성된 변조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로 매핑된다(Layer mapping). 각 레이어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과 함께 자원에 매핑되어 OFDM 심볼 신호로 생성되고, 해당 안테나 포트를 통해 전송된다.
(2)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DCCH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운반하고 QPSK 변조 방법이 적용된다. 하나의 PDCCH는 AL(Aggregation Level)에 따라 1, 2, 4, 8, 16 개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된다. 하나의 CCE는 6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된다. 하나의 REG는 하나의 OFDM 심볼과 하나의 (P)RB로 정의된다.
상향링크 채널 구조
단말은 후술하는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후술하는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1)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USCH는 상향링크 데이터(예, UL-shared channel transport block, UL-SCH TB) 및/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운반하고, CP-OFDM (Cyclic Prefix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파형(waveform) 또는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 - spread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파형에 기초하여 전송된다. PUSCH가 DFT-s-OFDM 파형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변환 프리코딩(transform precoding)을 적용하여 PUSCH를 전송한다. 일 예로, 변환 프리코딩이 불가능한 경우(예, transform precoding is disabled) 단말은 CP-OFDM 파형에 기초하여 PUSCH를 전송하고, 변환 프리코딩이 가능한 경우(예, transform precoding is enabled) 단말은 CP-OFDM 파형 또는 DFT-s-OFDM 파형에 기초하여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PUSCH 전송은 DCI 내 UL 그랜트에 의해 동적으로 스케줄링 되거나, 상위 계층(예, RRC) 시그널링 (및/또는 Layer 1(L1) 시그널링(예, PDCCH))에 기초하여 반-정적(semi-static)으로 스케줄링 될 수 있다(configured grant). PUSCH 전송은 코드북 기반 또는 비-코드북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2)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UCCH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HARQ-ACK 및/또는 스케줄링 요청(SR)을 운반하고, PUCCH 전송 길이에 따라 Short PUCCH 및 Long PUCCH로 구분된다. 표 11은 PUCCH 포맷들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18
PUCCH format 0는 최대 2 비트 크기의 UCI를 운반하고, 시퀀스 기반으로 매핑되어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복수 개의 시퀀스들 중 하나의 시퀀스를 PUCCH format 0인 PUCCH을 통해 전송하여 특정 UCI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말은 긍정 (positive) SR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대응하는 SR 설정을 위한 PUCCH 자원 내에서 PUCCH format 0인 PUCCH를 전송한다.
PUCCH format 1은 최대 2 비트 크기의 UCI를 운반하고, 변조 심볼은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호핑 여부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직교 커버 코드(OCC)에 의해 확산된다. DMRS는 변조 심볼이 전송되지 않는 심볼에서 전송된다(즉,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된다).
PUCCH format 2는 2 비트보다 큰 비트 크기의 UCI를 운반하고, 변조 심볼은 DMRS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된다. DM-RS는 1/3의 밀도로 주어진 자원 블록 내 심볼 인덱스 #1, #4, #7 및 #10에 위치한다. PN (Pseudo Noise) 시퀀스가 DM_RS 시퀀스를 위해 사용된다. 2 심볼 PUCCH format 2를 위해 주파수 호핑은 활성화될 수 있다.
PUCCH format 3은 동일 물리 자원 블록들 내 단말 다중화가 되지 않으며, 2 비트보다 큰 비트 크기의 UCI를 운반한다. 다시 말해, PUCCH format 3의 PUCCH 자원은 직교 커버 코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변조 심볼은 DMRS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된다.
PUCCH format 4는 동일 물리 자원 블록들 내에 최대 4개 단말까지 다중화가 지원되며, 2 비트보다 큰 비트 크기의 UCI를 운반한다. 다시 말해, PUCCH format 3의 PUCCH 자원은 직교 커버 코드를 포함한다. 변조 심볼은 DMRS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된다.
비면허 대역의 랜덤 접속
NR 시스템은 단일 물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논리 네트워크를 지원하고자 하며, 따라서 전송 시간 간격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그리고/또는 OFDM 뉴모놀로지 (OFDM numerology, 예, OFDM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를 변경하여 다양한 요구 조건을 갖는 서비스 (예, eMBB, mMTC, URLLC 등)를 지원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한편, 최근 스마트 기기 등의 등장으로 데이터 트래픽 (traffic)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과거 3GPP LTE 시스템의 LAA(License-Assisted Access)와 유사하게, 3GPP NR 시스템에서도 비 면허 대역 (Unlicensed band, U-band)을 셀룰러 (cellular) 통신에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단, LAA와 달리 상기 U-band 내 NR Cell (이하 NR U-cell)은 스탠드 얼론 (Standalone) 동작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례로, 단말의 PUCCH, PUSCH, PRACH 전송 등이 지원될 수 있다.
한편, U-band에서의 Standalone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U-band로의 PRACH 전송에 기반한 랜덤 접속 (random access) 과정이 필수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면허 대역 (Licensed band, L-band)에서와 같이 PRACH 전송/재전송, RAR 수신, Msg3 전송/재전송, Msg4 수신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동작을 하나의 구성요소 반송파 (component carrier, CC)를 통해서만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CAP (channel access procedure, 또는 LBT (listen before talk), 또는 CCA (clear channel assessment))를 통한 기회적 무선채널 점유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U-band의 특성상 이러한 단일 CC에 기반한 랜덤 접속 과정은 접속 지연 (access latency)을 크게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하, CAP 또는 LBT 또는 CCA를 편의상 LBT로 통칭).
U-band 상황에서 단말에게 설정되는 하나의 CC 혹은 BWP (bandwidth part)는 기존 LTE에 비해 큰 BW (bandwidth)를 가지는 광대역 CC/BWP (wideband CC/BWP)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wideband CC/BWP 설정 상황에서 특정 규정 (regulation)에 기초하여 독립적인 LBT 동작에 기반한 CCA가 요구되는 BW는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적인 LBT가 수행되는 단위 서브밴드 (sub-band)를 LBT-SB로 정의하면, 하나의 wideband CC/BWP내에 복수의 LBT-SB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U-band에서 LBT로 인한 접속 지연을 줄이기 위한 복수 CC 기반의 랜덤 접속 과정 및 관련 단말 동작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안 방법은 일반적인 랜덤 접속 과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PRACH (preamble) 신호 또는 SR (PUCCH) 신호를 사용한) 빔 실패 회복 (beam failure recovery) 과정 및 이를 위한 요청 (request) 동작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안 방법은 LBT 기반의 U-band 동작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LBT를 수반하지 않는 L-band (또는 U-band) 동작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복수의 CC (또는 복수의 CC 인덱스)는 1) 하나 이상의 CC 또는 (서빙) 셀 내에 구성된 복수의 BWP (또는 복수의 BWP 인덱스) 또는 2) 하나 이상의 CC 또는 BWP 내에 구성된 복수의 LBT-SB (또는 복수의 LBT-SB 인덱스) 또는 3) 복수의 BWP 또는 복수의 LBT-SB들로 구성된 복수의 CC/cell/BWP (즉, CC (인덱스) 및/또는 BWP (인덱스) 및/또는 LBT-SB (인덱스)의 조합)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안 원리/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PRACH 또는 Msg3는 SR 신호 (예, PUCCH),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 SPS (semi persistent scheduling) 내지는 grant-free 형태의 데이터 신호 (예, PUSCH)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안 원리/동작 (예를 들어, LBT 대상 CC 선택 방법, 및 UL 전송 CC 설정 방식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안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랜덤 접속 과정에 수반되는 파라미터 및 표기(notation)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파라미터 정의
A. PRACH 프리앰블/자원이 설정된 CC 수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의 전체 CC 수): N (multiple)
B. 동시 LBT 수행이 가능한 CC 수: K (one or multiple)
C. PRACH 동시 전송이 가능한 CC 수: L (one or multiple)
D. 상기 K개 CC 중 LBT에 성공한 CC 수: M (where K >=M)
2) notation 정의
A. SS/BCH CC: 단말이 동기 신호 및/또는 BCH를 검출/수신한 CC
(이하에서, SS/BCH는 SSB 또는 SS/PBCH는 동일한 의미로써 사용된다.)
B. PRACH CC: 단말이 PRACH 프리앰블 신호 전송을 수행한 CC
C: RAR CC: 단말이 RAR (PDSCH)를 검출/수신한 CC
D: Msg3 CC: 단말이 Msg3 (PUSCH) 전송을 수행한 CC
E: Msg 4 CC: 단말이 Msg4 (PDSCH)를 검출/수신한 CC
(1) Step 1: LBT 대상 CC (또는 CC 그룹) 선택 방법
단말이 PRACH 전송을 위한 LBT 대상 CC (또는 CC 그룹)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다음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1) Opt 1-1: CC group having SS/BCH CC in center of LBT BW
A. SS/BCH CC를 중심으로, LBT-capable BW (LBT 수행 가능한 대역 또는 이에 상응하는 LBT-SB의 수)의 크기만큼의 대역폭 내에 포함되는 CC 그룹을 LBT 대상으로 선택.
예를 들어, 동기 신호 블록 캐리어를 중심으로 LBT-capable BW (또는 이에 상응하는 LBT-SB의 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대역폭 내에 포함되는 캐리어는 LBT 대상 캐리어가 될 수 있음.
2) Opt 1-2: CC group providing better RSRP (if detecting multiple SS/BCH CCs)
A. 단말이 복수의 SS/BCH CC를 검출/수신한 상태에서, 가장 우수한 RSRP를 제공하는 CC를 포함한 CC 그룹 혹은 평균 RSRP가 가장 우수한 CC 그룹을 선택.
3) Opt 1-3: CC group having the CC with nearest PRACH timing
A. SS/BCH 검출/수신/복호 시점으로부터 PRACH 전송 timing이 가장 가깝게 설정된 CC를 포함한 CC 그룹을 선택.
예를 들어, 기 설정된 PRACH 전송 시간이 동기 신호 블록을 검출/수신/복호한 시점에서 가장 가깝게 설정된 CC가 포함된 CC 그룹이 LBT 대상이 될 수 있음.
4) Opt 1-4: random selection or formula based selection (UE ID, cell ID, 시간 영역 인덱스, 또는 주파수 영역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
A. 전체 N개 CC 중에서 특정 K개 CC를 랜덤한 방식으로 혹은 특정 수식에 기초하여 선택.
랜덤한 방식 또는 수식은 UE ID (예,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IMSI), C-RNTI 등), cell ID, time domain 인덱스 (예, PRA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슬롯 인덱스), frequency domain 인덱스 (예, PRA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PRB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로 결정될 수 있음.
B. 추가적으로, N개 CC 각각에 대하여 해당 CC를 LBT 대상으로 (및/또는 PRACH 전송 대상으로) 선택할 확률이 (SIB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은 상기 확률을 적용하여 LBT 대상 CC (및/또는 PRACH 전송 대상 CC) 선택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5) Opt 1-5: configured by RRC (only for the purpose of SR after RRC connection)
A. 커넥티드 (connected) 모드인 경우, LBT 대상 CC 그룹이 (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음.
6) Opt 1-6: indicated by PDCCH order (candidate CC group or random selection)
A. LBT 대상 CC 그룹이 PDCCH order 등의 L1 시그널링을 통해 지정될 수 있음. PDCCH를 통해 LBT 대상 CC 그룹을 지정하거나 혹은 상기 Opt 1-4의 적용(random selection or formula based selection)을 지시할 수도 있음.
7) Opt 1-7: CC group having maximum number of PRACH-configured CCs
A. LBT-capable BW (또는 이에 상응하는 LBT-SB의 수) 내에 PRACH 자원이 설정된 CC들이 가장 많이 포함되도록 CC 그룹을 선택.
8) Opt 1-8: signaled by UE-common PDCCH or signal (candidate CC group or random selection)
A. LBT 대상 CC 그룹이 특정 UE-common 채널/신호 (예, PDCCH, preamble) 를 통해 주기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음. 단말은 시그널링된 CC 그룹을 다음 UE-common 채널/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의 PRACH 전송을 위한 LBT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음. UE-common 채널/신호를 통해 LBT 대상 CC 그룹을 지정하거나 혹은 상기 Opt 1-4의 적용을 지시할 수도 있음.
한편, Step 1 수행 시점 및 해당 시점 전후에 걸쳐 수반되는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Associated operation 1
A. 하나의 SS/BCH CC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를 통해 복수 개 (예를 들어, 상기 N개) CC들에 대한 PRACH 설정 정보 (PRACH preamble/resource configuration)가 전달될 수 있음. 상기 SS/BCH CC는 복수의 PRACH-configured CC들에 대한 RSRP (또는 pathloss estimate) 참조 캐리어 (reference CC)로 설정될 수 있음. 예를 들어, idle 모드일 때에 단말은 SIB를 통해 LBT 대상 CC들(PRACH 전송이 가능한 CC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
B. SS/BCH CC는 상기 복수의 PRACH-configured CC들에 대한 PRACH 전송 (PRACH TX) timing reference CC로 설정될 수 있음.
C. 한편 상기와 하기에서 SS/BCH CC는 SS/BCH가 전송되는 (initial) DL BWP로 대체될 수 있고, PRACH-configured CC는 SS/BCH CC 또는 DL BWP를 통해 PRACH 자원/전송이 설정/허용된 (initial) UL BWP로 대체될 수 있음.
2) Associated operation 2
A. LBT 대상 CC 그룹은 기본적으로 SS/BCH CC (해당 CC에 PRACH 자원이 configure된 경우) 를 항상 포함하도록 선택/설정될 수 있음.
3) Associated operation 3
A. CC 그룹 내의 모든 CC들에 대해 LBT에 실패했을 경우, (예를 들어, energy detection (ED) level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LBT 대상 CC 그룹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LBT를 시도하거나, 혹은 (예를 들어, ED level이 일정 수준을 초과한 경우) LBT 대상 CC 그룹을 변경한 후 다시 LBT를 시도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4) Associated operation 4
A. N <= K인 경우에는 별도의 선택 과정 없이 N개 CC 모두가 LBT 대상으로 결정될 수 있음. 즉, N > K인 경우에만 LBT 대상 CC 또는 LBT 대상 CC 그룹을 선택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음
5) Associated operation 5
A. 한편, 동시에 LBT 수행이 가능한 LBT 능력 (capability) (예, K) 및/또는 PRACH 동시 전송이 가능한 UL TX capability (예, L) 는 단말간에 상이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음 (예를 들어, UE1의 경우 K>1 & L>1이고, UE2의 경우 K>1 & L=1이며, UE3의 경우 K=L=1일 수 있음).
B. 따라서, 상이한 capability를 가진 단말들이 혼재하는 상황에서의 랜덤 접속 과정 (이 경우 서로 다른 단말에 대응되는 RAR 및/또는 Msg3 구분)을 고려하여, PRACH 신호 구성을 위한 시퀀스 생성 (sequence generation), PRACH 자원 규정 (및 대응되는 RA-RNTI value 결정) 을 위한 frequency 인덱스, Msg3 PUSCH 신호 생성을 위한 scrambling seed 또는 Msg3 DMRS 신호 구성을 위한 sequence generation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 될 수 있음.
- (선택된 CC(들) 기준이 아닌) PRACH preamble/resource가 설정된 전체 상향링크 대역폭 (aggregated UL BW, 예를 들어 N개 CC들에 걸친 전체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frequency resource (예, RB) 인덱스
- PRACH preamble/resource가 설정된 BW/대역을 포함하는 (사전에 SIB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되는) reference UL BW 내에서의 frequency resource (예, RB) 인덱스
(2) Step 2: PRACH 전송 대상 CC (또는 CC 그룹) 선택 방법
상기 Step 1에서 LBT에 성공한 CC들중 PRACH 전송 대상 CC (또는 CC 그룹)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다음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1) Opt 2-1: according to LBT result (with lowest ED level)
A. LBT에 따른 ED level이 가장 낮은 CC들을 PRACH 전송 대상으로 선택.
2) Opt 2-2: close to SS/BCH CC (CC providing similar RSRP to the SS/BCH CC)
A. 주파수 상으로 SS/BCH CC에 가장 가까운 CC들을 PRACH 전송 대상으로 선택.
예를 들어, 주파수가 SS/BCH CC와 가깝다면, RSRP가 SS/BCH CC와 유사하게 측정될 수 있음. RSRP가 SS/BCH CC와 유사한 CC는 주파수 상으로 SS/BCH CC와 가까운 CC라고 식별되어 PRACH 전송 대상 CC가 될 수 있음.
3) Opt 2-3: based on RSRP (if detecting multiple SS/BCH CCs)
A. 단말이 복수의 SS/BCH CC를 검출/수신한 상태에서, 가장 우수한 RSRP를 제공하는 CC들을 PRACH 전송 대상으로 선택.
4) Opt 2-4: according to PRACH resource (with nearest timing)
A. LBT 수행 시점으로부터 PRACH 전송 timing이 가장 가깝게 설정된 CC를 선택.
5) Opt 2-5: random selection or formula based selection
A. LBT에 성공한 M개 CC 중에서 특정 L개 CC를 랜덤한 방식으로 선택하거나 혹은 특정 수식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음. 상기 방식/수식은 UE ID, cell ID, time domain 인덱스, frequency domain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로 결정될 수 있음.
B. 추가적으로, 각각의 CC에 대하여 해당 CC를 PRACH 전송 대상으로 선택할 확률이 사전에 (SIB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은 상기 확률을 적용하여 CC 선택을 수행할 수 있음
한편, 이러한 Step 2 수행 시점 및 해당 시점 전후에 걸쳐 수반되는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Associated operation 1
A. 상기 옵션을 적용하여 선택된 CC 그룹을 통해 전송되는 PRACH 신호 전력은 SS/BCH CC에서의 RSRP (또는 pathloss estimate)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음. 상기 RSRP (또는 pathloss estimate) 자체에 기반한 PRACH 전력이 모든 CC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혹은 SS/BCH CC로부터의 (frequency 상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RSRP (또는 pathloss estimate) 기반 PRACH 전력에) power offset이 부가될 수 있음.
B. 또한 상기 CC 그룹을 통해 전송되는 PRACH 신호의 시작 시점은 상기 SS/BCH CC에서의 DL 신호 수신 시점 (예, slot or symbol boundary) 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음.
C. 한편 상기와 하기에서 SS/BCH CC는 SS/BCH가 전송되는 (initial) DL BWP로 대체될 수 있고, PRACH 전송 대상 CC는 SS/BCH 또는 DL BWP를 통해 PRACH 자원/전송이 설정/허용된 (initial) UL BWP로 대체될 수 있음.
2) Associated operation 2
A. (L값에 대한) 단말 능력 (UE capability)에 따라 복수 CC를 통해 복수 PRACH의 동시전송을 수행할 수 있음. 이후 Msg3에 대해서는 단일 CC를 통해서만 전송을 수행하거나 혹은 Msg3도 복수 CC를 통해 복수 Msg3에 대한 동시전송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3) Associated operation 3
A. M <= L인 경우에는 별도의 선택 과정 없이 M개 CC 모두가 PRACH 전송 대상으로 결정될 수 있음. 즉, M > L인 경우에만 PRACH 전송 대상 CC 또는 PRACH 전송 대상 CC 그룹을 선택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음.
PRACH 전송 대상 CC는 SS/BCH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될 수 있다.
(3) Step 3: RAR 수신 CC 설정 방법
상기 Step 2에서 선택된 CC 그룹을 통한 PRACH 전송에 대응되는 RAR 수신 CC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다음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1) Opt 3-1: SS/BCH CC
A. SS/BCH CC를 통해 RAR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
2) Opt 3-2: PRACH CC
A. PRACH CC를 통해 RAR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
3) Opt 3-3: pre-configured by SIB or RRC (paring between PRACH CC and RAR CC)
A. PRACH CC와 이에 대응되는 RAR CC (또는 candidate RAR CC 그룹) 정보가 SIB 또는 RRC (signaling)를 통해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음.
4) Opt 3-4: indicated by PDCCH order (RAR CC or candidate CC group)
A. RAR이 수신되는 CC 또는 RAR이 수신될 수 있는 candidate RAR CC 그룹에 대한 정보가 PDCCH order 등의 L1 signaling을 통해 지정될 수 있음.
5) Opt 3-5: try to detect RAR over multiple CCs (including SS/BCH CC or PRACH CC)
A. 복수 CC들로 구성된 특정 CC 그룹 (상기 CC 그룹 내 임의의 하나의 CC) 을 통해 RAR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CC 그룹은 적어도 SS/BCH 및/또는 PRACH CC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
한편, 이러한 Step 3 수행 시점 및 해당 시점 전후에 걸쳐 수반되는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Associated operation 1
A. 상기 옵션에서 RAR 수신 CC가 CC 그룹, 즉 복수의 CC들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복수 CC들에 대하여 RAR (및 이를 스케줄링하는 PDCCH) 검출/수신을 시도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2) Associated operation 2
A. PRACH CC 인덱스는 RAR PDSCH에 포함되어 (예를 들어, MAC (sub-)header 형태로) 전송되거나, RAR에 대응되는 PDCCH를 통해 지시되거나, PRACH CC 인덱스를 사용하여 RA-RNTI 값이 결정될 수 있음.
RAR CC는 SS/BCH CC가 아닌 다른 CC 또는 PRACH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될 수 있다.
(4) Step 4: PRACH 재전송 CC 선택 방법 (LBT 대상 CC 포함)
상기 Step 3에서 선택된 CC를 통한 (i) RAR 수신에 실패 또는 (ii) Msg3를 전송/재전송했으나 Msg4 검출에 실패 또는 (iii) Msg4는 수신했으나 CR (contention resolution)에는 실패했을 경우 PRACH 재전송 (및 이를 위한 LBT 대상) CC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다음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1) Opt 4-1: keep initial PRACH CC (or CC group including the CC)
A. 이전 PRACH (최초) 전송이 수행된 CC 를 재전송 (및 LBT 대상) CC로 선택.
2) Opt 4-2: change to different CC (group) from initial PRACH CC (group)
A. 이전 PRACH (최초) 전송이 수행된 CC (또는 CC 그룹)과는 다른 CC (또는 CC 그룹)를 PRACH 재전송 (및 LBT 대상) CC로 선택.
3) Opt 4-3: just go to Step 1/2 in above
A. 상기 Step 1 또는 2를 적용하여 PRACH 재전송 (및 LBT 대상) CC를 선택.
4) Opt 4-4: try LBT for initial PRACH CC (group) then apply Opt 4-2 or Opt 4-3 if LBT is failed
A. 이전 PRACH (최초) 전송이 수행된 CC (또는 CC 그룹) 에 대해 LBT를 시도하여, 성공했을 경우 상기 Opt 4-1을 적용하고 실패했을 경우 상기 Opt 4-2 또는 Opt 4-3를 적용.
한편, 이러한 Step 4 수행 시점 및 해당 시점 전후에 걸쳐 수반되는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Associated operation 1
A. 상기 옵션에서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가 재전송 CC로 선택된 경우 PRACH 전송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는 반면,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가 아닌 다른 CC가 재전송 CC로 선택된 경우 PRACH 전송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음 (혹은, 각 CC별로 PRACH 전송 카운터를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음).
PRACH 전송 카운터는 PRACH 전송 횟수, 즉 RACH 프리앰블 (preamble)의 전송 횟수를 카운트하며, PRACH 전송 카운터의 값은 1부터 시작하여, PRACH가 전송될 때마다 "1"씩 증가함. 단말은 PRACH 전송 카운터 값의 최대값을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음. PRACH 전송 카운터의 값이 상기 최대값보다 작으면, PRACH가 전송될 수 있음. PRACH 전송 카운터의 값이 최대값에 도달하면 PRACH는 전송되지 않으며, 랜덤 접속 절차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음.
2) Associated operation 2
A. 상기 옵션에서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가 재전송 CC로 선택된 경우 PRACH 전력 (power)을 증가시키는 (ramping-up) 반면,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가 아닌 다른 CC가 재전송 CC로 선택된 경우 PRACH power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no ramping) 동작할 수 있음 (혹은, 각 CC별로 PRACH power ramping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음).
3) Associated operation 3
A. 상기 옵션에서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가 재전송 CC로 선택된 경우 경쟁 윈도우 크기 (CWS, contention window size) 를 증가시킬 수 있음. 반면에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가 아닌 다른 CC가 재전송 CC로 선택된 경우 (i) CWS를 증가, (ii) CWS를 증가시키지 않고 유지 또는 (iii) CWS 초기화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될 수 있음(혹은, 각 CC별로 CWS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음).
상기 CWS는, (a) LBT 동작을 수행할 CCA 슬롯의 수를 (랜덤하게) 선택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최대 CCA 슬롯의 수에 상응하는) CWS 및/또는 (b) 재전송 PRACH 자원을 (랜덤하게) 선택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선택 대상이 되는 전체 후보 PRACH 자원 수에 상응하는) CWS가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동작에 따라 PRACH 재전송 CC는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될 수 있다.
(5) Step: Msg3 전송 CC 설정 방법 (LBT 포함)
상기 Step 3에서 선택된 CC를 통한 RAR 검출/수신에 성공했을 경우 Msg3 전송 (이를 위한 LBT 대상) CC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다음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1) Opt 5-1: SS/BCH CC
A. SS/BCH CC를 Msg3 전송 (및 LBT 대상) CC로 설정.
2) Opt 5-2: PRACH CC
A. PRACH CC를 Msg3 전송 (및 LBT 대상) CC로 설정.
3) Opt 5-3: RAR CC
A. RAR CC를 Msg3 전송 (및 LBT 대상) CC로 설정.
4) Opt 5-4: pre-configured by SIB or RRC (paring between PRACH CC and Msg3 CC)
A. PRACH CC와 이에 대응되는 Msg3 CC (또는 candidate Msg3 CC 그룹) 정보가 SIB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음.
5) Opt 5-5: indicated by RAR (Msg3 CC or candidate CC group)
A. Msg3 CC (또는 candidate Msg3 CC 그룹) 정보가 RAR (혹은 이에 대응되는 PDCCH) 을 통해 지정될 수 있음.
6) Opt 5-6: try to transmit Msg3 over multiple CCs (including SS/BCH CC or PRACH CC or RAR CC)
A. 단말이 복수 CC들로 구성된 특정 CC 그룹에 대해 LBT를 수행하면 상기 CC 그룹 내 임의의 하나 이상의 CC를 통해 Msg3 전송이 수행될 수 있음. 상기 CC 그룹은 SS/BCH CC, PRACH CC, RAR C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
한편, 이러한 Step 5 수행 시점 및 해당 시점 전후에 걸쳐 수반되는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Associated operation 1
A. 상기 옵션에서 Msg3 전송 (및 LBT 대상) CC가 CC 그룹, 즉 복수의 CC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상기 복수 CC들에 대하여 LBT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LBT에 성공했을 경우 상기 Step 2 (예를 들어, Step 2에서 Opt 2-1 또는 Opt 2-5)를 적용하여 Msg3 전송 CC를 설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2) Associated operation 2
A. PRACH CC 인덱스 및/또는 RAR CC 인덱스는 Msg3 (PUSCH) 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음. PRACH CC 인덱스 및/또는 RAR CC 인덱스에 따라 Msg3 PUSCH 신호 구성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예, cyclic shift and/or OCC sequence for DMRS, data/DMRS scrambling parameter (ID) for PUSCH)가 달리 결정될 수 있음.
Msg3 CC는 SS/BCH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되거나 PRACH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되거나 RAR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될 수 있다.
(6) Step 6: Msg3 재전송 CC 설정 방법 (LBT 대상 CC 포함)
상기 Step 5에서 선택된 CC를 통한 Msg3 전송 이후 Msg4 검출/수신에 실패했을 경우, Msg3 재전송 (이를 위한 LBT 대상) CC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다음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1) Opt 6-1: keep initial Msg3 CC (or CC group including the CC)
A. 이전 Msg3 (최초) 전송이 수행된 CC (또는 CC 그룹)를 재전송 (및 LBT 대상) CC로 선택.
2) Opt 6-2: change to different CC (group) from initial Msg3 CC (group)
A. 이전 Msg3 (최초) 전송이 수행된 CC (또는 CC 그룹)과는 다른 CC (또는 CC 그룹) 를 Msg3 재전송 (및 LBT 대상) CC로 선택.
3) Opt 6-3: just go to Step 5 in above
A. 상기 Step 5를 적용하여 Msg3 재전송 (및 LBT 대상) CC를 선택.
4) Opt 6-4: try LBT for initial Msg3 CC (group) then apply Opt 6-2 or Opt 6-3 if LBT is failed
A. 이전 Msg3 (최초) 전송이 수행된 CC (또는 CC 그룹)에 대해 LBT를 시도하여, 성공했을 경우 상기 Opt 6-1을 적용하고 실패했을 경우 상기 Opt 6-2 또는 Opt 6-3을 적용.
한편, 이러한 Step 6 수행 시점 및 해당 시점 전후에 걸쳐 수반되는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Associated operation 1
A. LBT에 기반한 U-band 동작 특성상 Msg3에 대한 재전송은 grant-less manner로 수행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음. 구체적으로는 Msg3 전송 이후 일정 구간 (예, X slots) 동안 Msg4가 검출되지 않으면 (별도의 UL grant에 대한 전송/검출 없이) Msg3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B. X-slots 주기의 (grant-less) Msg3 재전송은 최대 N번까지 허용될 수 있으며, N번의 Msg3 재전송 동안 Msg4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은 PRACH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C. (grant-less) Msg3 재전송이 허용되는 slot 정보 또는 패턴 (예를 들어, 상기 X값, N값, 각 slot별 Msg3 전송 주파수 (예, CC/RB 자원) 중 적어도 하나)이 RAR (및/또는 SIB) 를 통해 지시될 수 있음.
D. 최초 전송된 Msg3 (PUSCH) 자원 정보 (예, CC 인덱스, slot 인덱스)는 재전송되는 Msg3 (PUSCH)에 포함시켜 전송되거나, 혹은 재전송되는 Msg3 (PUSCH) 신호를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예, cyclic shift and/or OCC sequence for DMRS, data/DMRS scrambling parameter (ID) for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음.
Msg3 재전송 CC는 이전 Msg3 (최초) 전송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될 수 있다.
(7) Step 7: Msg4 수신 CC 설정 방법
상기 Step 5/6에서 선택된 CC를 통한 Msg3 전송 이후 Msg4 수신 CC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다음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1) Opt 7-1: SS/BCH CC
A. SS/BCH CC를 통해 Msg4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
2) Opt 7-2: PRACH CC
A. PRACH CC를 통해 Msg4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
3) Opt 7-3: RAR CC
A. RAR CC를 통해 Msg4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
4) Opt 7-4: Msg3 CC
A. Msg3 CC를 통해 Msg4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음.
5) Opt 7-5: pre-configured by SIB or RRC (paring between PRACH CC and Msg4 CC)
A. PRACH CC와 이에 대응되는 Msg4 CC (또는 candidate Msg4 CC 그룹) 정보가 SIB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음.
6) Opt 7-6: indicated by RAR (Msg4 CC or candidate CC group)
A. Msg4 가 전송될 CC (또는 Msg4 가 전송될 CC 그룹) 정보가 RAR (혹은 이에 대응되는 PDCCH) 을 통해 지정될 수 있음.
7) Opt 7-7: try to detect Msg4 over multiple CCs (including SS/BCH or PRACH or RAR or Msg3 CC)
A. 복수 CC들로 구성된 특정 CC 그룹 (상기 CC 그룹 내 임의의 하나의 CC)을 통해 Msg4 검출/수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CC 그룹은 SS/BCH CC, PRACH CC, RAR CC, Msg3 CC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
한편, 이러한 Step 7 수행 시점 및 해당 시점 전후에 걸쳐 수반되는 동작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Associated operation 1
A. 상기 옵션에서 Msg4 수신 CC가 CC 그룹, 즉 복수의 CC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복수 CC들에 대하여 Msg4 (및 이를 스케줄링하는 PDCCH) 검출/수신을 시도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2) Associated operation 2
A. PRACH CC index 및/또는 Msg3 CC index의 경우 Msg4 (PDSCH)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혹은 Msg4에 대응되는 PDCCH를 통해 지시될 수 있음.
Msg4 CC는 SS/BCH CC가 아닌 다른 CC 또는 PRACH CC가 아닌 다른 CC 또는 RAR CC가 아닌 다른 CC 또는 Msg3 CC가 아닌 다른 CC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RACH 과정에 수반되는 CC 조합을 다음과 같이 고려할 수 있다.
1) Combination 1
A. PRACH CC, RAR CC, Msg3 CC, Msg4 CC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고,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와 PRACH 재전송 CC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
2) Combination 2
A. RAR CC, Msg3 CC, Msg4 CC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PRACH CC와 RAR CC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
3) Combination 3
A. PRACH CC와 RAR CC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Msg3 CC와 Msg4 CC는 동일하게나, 설정되나, PRACH CC와 Msg3 CC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
4) Combination 4
A. PRACH CC와 Msg3 CC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RAR CC와 Msg4 CC는 동일하게 설정되나, PRACH CC와 RAR CC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
5) Combination 5
A. 이전 PRACH (최초) 전송 CC와 PRACH 재전송 CC는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는 반면, 이전 Msg3 (최초) 전송 CC와 Msg3 재전송 CC는 동일하도록 규정될 수 있음. 단, Msg3 CC 내에서 실제 Msg3 전송/재전송이 수행되는 BWP는 이전 (최초) 전송과 재전송간에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
한편, 상기 제안 방법들은 N = 1, 즉 PRACH preamble/resource가 설정된 CC/BWP 수가 하나인 경우 (이를 기반으로 M = 1, 즉 LBT에 성공한 CC/BWP 수가 상기 PRACH-configured CC/BWP와 동일하게 하나인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8) 복수 candidate resource 기반의 Msg3 전송
U-band 동작 상황에서는 RACH 과정에서의 LBT 실패 (이로 인한 신호 전송 drop)를 고려하여, (RAR 및/또는 SIB를 통해) 시간 및/또는 주파수상으로 복수의 candidate resource를 할당/설정하고, 단말은 복수 candidate resource들중 LBT에 성공한 특정 하나의 resource를 통해 Msg3 (PUSCH)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일례로, 단일 Msg3 전송에 시간상으로 TDM된 복수의 candidate resource (예, slot, symbol group)들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은 해당 자원 (resource)들에 시간 순차적으로 LBT를 시도하여, CCA에 최초 성공한 resource를 통해 Msg3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단일 Msg3 전송에 주파수상으로 분리된 복수의 candidate resource (예, LBT-SB, BWP, CC)들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은 해당 복수 (frequency) resource들에 대해 LBT를 시도하여, CCA에 성공한 특정 하나의 (frequency) resource를 통해 Msg3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L-band 동작 상황에서도 (RAR 및/또는 SIB를 통해) 시간 및/또는 주파수상으로 복수의 candidate resource를 할당/설정하고, 단말은 해당 복수 resource들중 랜덤하게 선택한 또는 UL data 사이즈나 단말 자신의 (global) ID 등에 따라 선택한 특정 하나의 resource를 통해 Msg3 (PUSCH)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단말에 대하여 복수 candidate resource 할당/선택을 기반으로 Msg3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경우 gNB 수신 단에서는, 하나의 RAR에 대응되는 (Msg3 전송에 할당된) 복수의 서로 다른 candidate resource들을 통해, (서로 다른 단말로부터의) 복수의 Msg3 신호가 동시에 검출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gNB에서 하나의 RAR에 대해 복수 단말들의 Msg3 신호가 검출된 상황에서, 만약 기존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 해당 복수 단말들 중 특정 하나의 단말만이 Msg4 (PDSCH) 수신을 통해 RRC connection에 성공하게 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선택 안된 다른 단말들의 경우, gNB에서 Msg3 신호가 제대로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RACH 전송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고, 더욱이 U-band 상황에서는 모든 신호 전송 step에 LBT 동작 (이를 통한 CCA 성공)이 요구되므로 매우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동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나의 RAR에 대하여 복수의 Msg3 신호가 검출되는 상황이 연출될 경우, 해당 복수 Msg3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 단말들을 가능하면 최대한 access시켜주는 것이, resource나 latency 측면에서 모두 효율적일 수 있으며, 위와 같이 복수 Msg3 전송 단말들의 access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1) Msg4 (PDSCH)를 통해 단말에게, TC-RNTI를 그대로 C-RNTI로 사용하도록 confirm할지, 아니면 TC-RNTI와 다른 값을 C-RNTI로 최종 할당할지를 indication할 수 있음
A. 또한, Msg4를 통해 (이전에 RAR로 지시했던 TA에 더하여) 추가적인 TA command를 지시할 수 있으며, 단말은 해당 command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된 TA를 적용하여 Msg4 수신에 대한 HARQ-ACK PUCCH 전송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2) 단말은 (CR timer가 expire되기전 시점에) decoding에 성공한 Msg4에 포함된 UE ID가, 자신의 ID와 다르더라도, CR timer가 expire될때까지 Msg4를 monitoring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A. 또는, Msg4를 통해 단말에게 (동일한 TC-RNTI로 앞으로 더 스케줄링/전송될) 남은 Msg4 수, 내지는 Msg3가 detection된 candidate resource 정보/인덱스를 indication할 수 있음
B. 또는, Msg4 PDSCH에 대한 단말의 decoding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정보 (예를 들어, Msg3가 검출된 candidate resource 인덱스) 를 Msg4를 스케줄링하는 TC-RNTI 기반 PDCCH 내의 DCI 필드를 통해 지시할 수 있음
3) 다른 방법으로, 하나의 RAR에 대응되는 복수의 candidate Msg3 resource들 각각에, 개별적인 (서로 다른) TC-RNTI를 할당할 수 있음
A. 이에 따라, 단말은 자신이 선택/전송했던 candidate resource에 대응되는 TC-RNTI (PDCCH)에 대해서만 monitoring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4) 만약, 하나의 단말이 복수의 candidate resource상으로 Msg3를 반복 전송했을 경우, 해당 단말은 해당 복수 resource 수/인덱스에 상응하는 Msg4 또는 PDCCH에 대한 monitoring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
추가적으로, 위와 같은 동작 상황에서는 Msg3 (PUSCH)에 대한 재전송 역시 각 candidate resource별로 분리해서 스케줄링/지시하는 구조가 효율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sg3에 대한 재전송 UL grant DCI를 통해, 해당 DCI가 이전 시점의 어떤 candidate resource에서의 Msg3 전송에 대한 재전송 스케줄링인지를 indication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된 랜덤 접속 과정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LBT 즉, 채널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S1610). 채널 센싱은 단말의 능력 (UE capability)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채널 센싱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포함된 캐리어 그룹(제1 캐리어 그룹)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은 idle 모드라면,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통해 시스템 정보에 의해서, connected 모드라면,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의해서 설정/지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DCI를 통해 PRACH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610은 상술한 Step 1의 LBT 대상 CC (또는 CC 그룹)을 선택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단말은 채널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PRACH를 전송할 수 있다(S1620). 단계 S1620은 상술한 Step 2의 PRACH 전송 대상 CC (또는 CC 그룹)을 선택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단말은 PRACH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할 수 있다(S1630). 제2 캐리어 그룹은 제1 캐리어 그룹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단계 S1630은 상술한 Step 3의 RAR 수신 CC 설정 방법과 관련된다.
단말은 상기 RAR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채널(예, PUSCH)을 전송할 수 있다(S1640). 단계 S1640은 상술한 Step 5의 Msg3 전송 CC를 설정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충돌(경쟁) 기반 랜덤 접속인 경우,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채널은 Msg3이고, Msg3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경쟁 해소 메시지 (즉, Msg4)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제1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710). 제1 캐리어 그룹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며, 채널 센싱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그룹 후보는 idle 모드라면,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통해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connected 모드라면,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의해서 설정/지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DCI를 통해 PRACH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2 캐리어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 대하여 PRACH를 수신하면(S1720), 이에 대한 응답으로 RAR을 전송한다(S1730). RAR은 제2 캐리어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CC에 대하여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연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S174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LBT 및 랜덤 접속 수행될 수 있다.
(9) U-band에서의 SR (scheduling request) 전송 (transmission) 관련 동작
기존 L-band 시스템에서 SR 전송은 SR 전송 시점(timing), SR 전송 주기 (period) 및 SR PUCCH 자원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전에 미리 설정된다.
도 18(a)는 L-band 시스템에서 SR 전송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18(b)는 U-band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positive SR이 trigger된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SR 전송 timing에 설정된 SR PUCCH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SR 전송을 수행할 때마다 SR 전송 카운터 (SR counter) 값은 증가되고 SR 전송 시점에 SR 금지 타이머 (SR prohibit timer)값은 리셋되어 SR 금지 타이머의 구동이 시작된다. SR 금지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예, 최대 값에 도달할 때까지) SR 전송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은 SR 전송을 위해 설정 받은 자원(예, PUCCH)을 이용하여 설정된 시점에 SR을 전송할 수 있다(1801). SR 전송을 위해 설정된 자원이 없다면, 단말은 랜덤 접속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SR이 전송되면(1801) SR 카운터 값이 "1" 증가되고, SR 금지 타이머 값은 리셋되어 SR 금지 타이머의 구동이 시작된다(1802). SR 금지 타이머가 구동 중인 동안에는 SR 전송은 수행되지 않는다. SR 금지 타이머의 구동이 만료되면, 즉 SR 금지 타이머의 값이 기 설정된 값(최대 값)에 도달되면, 다음 SR의 전송이 수행되고(1803) SR 카운터의 값은 "1" 증가되며, SR 금지 타이머의 값은 리셋되어 다시 SR 금지 타이머의 구동이 시작된다(1804). SR 카운터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값(예, dsr-TransMax)에 도달하게 되면 단말은 더 이상 SR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랜덤 접속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dsr-TransMax 값, SR 전송이 방지되는 SR prohibit timer의 값은 RRC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이거나 또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SR 카운터와 SR 금지 타이머는 1)너무 잦은 SR 전송은 방지함과 동시에, 2) SR 카운터가 빠르게 dsr-TransMax에 도달하여 단말이 랜덤 접속 과정으로 쉽게 진입하는 동작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U-band에서도 상기와 유사한 설정 및 단말 동작을 고려할 수 있다. U-band 환경에서, 단말은 LBT를 고려하여 SR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positive SR이 trigger된 상태에서 설정된(configured) SR 전송 timing에 대하여 단말이 LBT에 실패했을 경우, SR 카운터 및 SR 금지 타이머를 어떻게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이 LBT를 수행하여 SR을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이 있다면, 단말은 SR을 전송한다(1811). SR counter의 값은 "1" 증가되며, SR 금지 타이머의 구동이 개시된다(1812). SR 금지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SR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SR 금지 타이머의 값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즉 SR 금지 타이머의 구동이 만료된 시점(1813)에 기존의 L-band 하에서는 SR 카운터의 값이 drs-TransMax의 값보다 작다면 SR의 전송이 항상 다시 시작될 수 있다. 그런데, U-band에서는 LBT 결과에 따라 단말이 SR을 전송할 자원을 점유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는 SR을 전송할 수 없다. 1813 시점에 LBT에 실패하여 단말이 SR을 전송하지 못한 경우에 SR 카운터의 값과 SR 금지 타이머의 값을 어떻게 처리할 지가 문제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옵션을 제안한다.
1) Opt 9-1: no increase of SR counter + no reset of SR prohibit timer
A. SR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지 않고, SR 금지 타이머는 리셋하지 않음.
B. 이 옵션에 따르면, LBT 실패 시에도 1813 시점에 SR 금지 타이머의 값은 리셋되지 않고 계속 기 설정된 값 (최대값) 에 도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LBT 실패 시점 이후 가장 가까운 SR-configured timing을 통해 단말은 다시 SR 전송 (이를 위한 LBT 동작)을 시도함으로써, SR 전송 지연(transmission latency)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SR 카운터 값이 너무 빨리 drs-TransMax에 도달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랜덤 접속 (RACH) 과정이 조기에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Opt 9-2: increase of SR counter + no reset of SR prohibit timer
A. SR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SR 금지 타이머는 리셋하지 않음.
B. 이 옵션에 따르면, 상기 Opt 9-1에서와 같은 SR 금지 타이머 처리를 통한 SR transmission latency 최소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LBT 실패 시에도 SR 카운터는 증가시킴으로써 interference가 높은 상황에서 불필요한 latency 없이 랜덤 접속 (RACH) 과정으로 전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3) Opt 9-3: increase of SR counter + reset of SR prohibit timer
A. 이 경우 SR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SR 금지 타이머는 리셋함.
B. 이 옵션에 따르면, LBT 실패 (이로 인한 SR 전송 생략) 시에도 SR 카운터와 금지 타이머를 SR 전송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와 등가적으로 처리함으로써, SR 전송 기회/빈도 수 및 RACH 과정 전환 시기를 기존 L-band 환경에서와 거의 동일하게 운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configured) SR 전송 timing에 대하여 단말이 LBT에 실패했을 경우, SR 금지 타이머가 만료되는 값(최대값)을 감소시키는 방법 또한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리셋한다' 함은 SR 금지 타이머의 값을 초기화하여 초기값부터 SR 금지 타이머를 다시 시작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대로 리셋하지 않는다 함은 SR 금지 타이머의 값을 초기화하지 않고, SR 금지 타이머를 재구동(restart)하지 않은 동작 (예, 최대 값에서 멈춘 상태로 유지)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Opt 9-1은 1813 시점에 단말의 LBT 실패로 인해 SR (PUCCH) 전송이 생략 (drop)된 상황이므로 SR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지 않는 동작을 생각할 수 있겠으나, 만약 단말이 복수의 SR timing들에 걸쳐 계속적으로 LBT에 실패했는데도 SR 카운터는 증가 없이 계속 유지될 경우, 적정 시점에 RACH 과정으로 전환하는 동작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특정 수 (예, M개, M>1)의 혹은 특정 시구간(time duration)에 해당하는 복수의 (연속하는) SR 전송 timing에 걸쳐 (계속적으로) LBT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말 동작을 규정할 수 있다.
- SR 카운터를 증가시킴 (예를 들어, 연속하는 M개 SR 전송 timing에 대해 모두 LBT에 실패하면 SR 카운터에 1을 더함)
- (SR 카운터 값에 관계없이) 바로 RACH 과정으로 전환
- LBT 실패 결과를 단말이 자신의 상위 계층 (higher layer)으로 전달
- RLF (Radio Link Failure)를 선언
한편, U-band 환경에서는 단말의 LBT 실패로 인해 SR (PUCCH) 전송이 생략 (drop)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특정 주기(period)를 기반으로 SR 전송 timing을 주기적으로 설정하되, 각각의 단일 SR 전송 timing별로 복수의 (TDM된) candidate SR 전송 (PUCCH) 자원들 (편의상, "ndidate SR resource set"로 칭함)을 설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단말은 하나의 SR 전송 timing에 설정된 복수 candidate SR (PUCCH) resource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LBT을 수행할 수 있으며, 최초로 LBT에 성공한 resource (혹은 해당 resource를 포함하여 이후 시점에 설정된 resource들 모두)를 통해 SR 정보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특정 수 (예, M개, M>1)의 혹은 특정 time duration에 해당하는 복수의 (연속하는) SR 전송 timing 혹은 특정 수 (예, L개, L>1)의 (연속하는) candidate SR resource들에 걸쳐 (계속적으로) LBT에 실패했을 경우, SR 카운터를 증가시키거나 혹은 바로 RACH 과정으로 전환 (혹은 해당 결과를 단말이 자신의 higher layer로 전달 혹은 RLF를 선언)하도록 단말 동작을 규정할 수 있다.
(10) U-band에서의 SRS switching 관련 동작
기존 L-band 시스템에서 SRS 스위칭 (switching) 동작의 경우, 단말은 소스 CC에서의 UL 전송을 중단하고 주파수 튜닝 (frequency tuning)을 통해 타겟 CC에서 SRS 전송을 수행한 후, 다시 frequency retuning을 통해 소스 CC로 변경하여 UL 전송을 재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는, 한정적인 UL CA capability를 갖는 단말이 DL only CC를 타겟 CC로 설정하여 SRS switching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TDD 상황에서 channel reciprocity를 이용한 DL CSI 획득을 빠르게 수행(fast DL CSI acquisition)하려는 목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U-band에서도 상기와 유사한 설정 및 단말 동작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때 타겟 CC에서의 LBT 성공/실패 여부에 따라 소스 CC에서의 중단 시기(interruption time) 및 자원 효율(resource efficiency)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동작/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1) SRS switching UE operation
A. 타겟 CC에서 LBT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CC에서 SRS 전송을 수행한 후 소스 CC로 변경하고, 타겟 CC에서 LBT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CC에서의 SRS 전송을 생략하고) SRS 전송 없이 바로 소스 CC로 변경하도록 동작.
2) SRS switching configuration
A. 타겟 CC에 SRS 전송을 위한 복수의 LBT timing을 설정하거나 (즉, LBT를 복수 번 허용) 및/또는 복수의 SRS 심볼 후보 (SRS 심볼 candidate)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은 최초로 LBT에 성공한 시점에 대응되는 SRS 전송을 수행한 후 (추가적인 LBT 동작을 생략하고) 바로 소스 CC로 변경하도록 동작.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예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및 단말(UE, 12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릴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 또는 단말은 릴레이로 대체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메모리(114) 및/또는 RF 유닛(116)을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2)는 메모리(11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RF 유닛(11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RF 유닛(116)을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14)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2)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을 포함한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RF 유닛(116)은 송신기(transmitter) 및/또는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RF 유닛(116)은 송수신기(transceiver)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2)와 메모리(114)는 프로세싱 칩(예, System on a Chip, SoC)(111)의 일부일 수 있다.
단말(120)은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무선 주파수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24) 및/또는 RF 유닛(126)을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2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RF 유닛(126)을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는 RF 유닛(126)을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24)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2)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을 포함한다.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RF 유닛(126)은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RF 유닛(126)은 송수신기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2)와 메모리(124)는 프로세싱 칩(예, SoC)(121)의 일부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신호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송수신 관계는 단말과 릴레이 또는 기지국과 릴레이간의 신호 송수신에도 동일/유사하게 확장된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gNode B(g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기지국, 또는 기타 다른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에 의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채널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PRACH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AR에 기반하여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은 복수의 캐리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은 캐리어 그룹들의 집합 중 하나의 캐리어 그룹이며,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은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또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설정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센싱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SSB를 검출하여 상기 SSB에 대한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가 가장 높은 캐리어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SSB에 대한 RSRP가 가장 높은 캐리어가 포함된 캐리어 그룹에서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센싱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에서 수행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RACH가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채널 센싱에 따른 에너지 검출 (energy detection, ED) 레벨이 가장 낮은 캐리어 또는 상기 채널 센싱 시점으로부터 PRACH 전송 시간이 가장 근접하게 설정된 캐리어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그룹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과 동일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그룹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과 상이한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하고,
    상기 PRACH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캐리어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하고,
    상기 RAR에 기반하여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은 복수의 캐리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은 캐리어 그룹들의 집합 중 하나의 캐리어 그룹이며,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은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또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설정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센싱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SSB를 검출하여 상기 SSB에 대한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가 가장 높은 캐리어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SSB에 대한 RSRP가 가장 높은 캐리어가 포함된 캐리어 그룹에서 수행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센싱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에서 수행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RACH가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상기 채널 센싱에 따른 에너지 검출 (energy detection, ED) 레벨이 가장 낮은 캐리어 또는 상기 채널 센싱 시점으로부터 PRACH 전송 시간이 가장 근접하게 설정된 캐리어인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그룹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과 동일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그룹은 상기 제1 캐리어 그룹과 상이한 장치.
KR1020207024070A 2018-04-05 2019-04-05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194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83 2018-04-05
KR20180039483 2018-04-05
KR20180115389 2018-09-27
KR1020180115389 2018-09-27
KR1020190004177 2019-01-11
KR20190004177 2019-01-11
PCT/KR2019/004099 WO2019194652A1 (ko) 2018-04-05 2019-04-05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952A true KR20200105952A (ko) 2020-09-09
KR102194934B1 KR102194934B1 (ko) 2020-12-24

Family

ID=681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070A KR102194934B1 (ko) 2018-04-05 2019-04-05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03650B2 (ko)
EP (1) EP3749041A4 (ko)
KR (1) KR102194934B1 (ko)
CN (1) CN111955044B (ko)
WO (1) WO2019194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6627B (zh) * 2018-06-21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资源请求方法及用户设备
EP3648369A1 (en) 2018-11-01 2020-05-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in carrier aggregation
KR20210109583A (ko) * 2018-12-28 2021-09-06 지티이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1182648B (zh) * 2019-01-18 2022-05-17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传输方法及终端
CN113767677B (zh) * 2019-04-30 2024-03-0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非许可频带中的随机接入消息重传
US11357026B2 (en) * 2019-06-06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and medium access control options for preempted scheduling requests
US11917566B2 (en) 2020-02-13 2024-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31110A1 (en) * 2020-02-13 2024-0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836573A (zh) * 2020-09-30 2023-03-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先侦听后传输失败上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40073905A1 (en) * 2021-01-14 2024-02-29 Apple Inc. High Band Frequency PUCCH Configurations
CN115835418A (zh) * 2021-09-16 2023-03-21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连续lbt失败处理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55890A2 (en) * 2021-09-30 2023-04-06 Ofinno, Llc Reporting timing advance information in non-terrestrial networks
WO2023102896A1 (zh) * 2021-12-10 2023-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011A2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13168960A1 (ko) * 2012-05-07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12666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를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23128A1 (ko) * 2013-08-14 2015-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7023074A1 (ko) * 2015-07-31 2017-02-0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캐리어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7222327A1 (ko) * 2016-06-22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13261A (pt) * 2004-07-14 2008-04-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ositivo de transmissão via rádio e método de transmissão via rádio em comunicação multiportadora
WO2013075340A1 (en) * 2011-11-25 2013-05-30 Renesas Mobile Corporation Radio resource sharing and contention scheme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hite space spectrum bands
JP2018527768A (ja) * 2015-07-17 2018-09-20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セルラIoTのためのNB−PRACH送信及び受信技術(狭帯域物理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技術)
JP6917905B2 (ja) * 2016-01-20 2021-08-1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7170678A1 (ja) *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912210B1 (ko) * 2016-04-12 2018-10-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일한 자원으로 광대역 트래픽과 기계간 통신 트래픽 또는 초저지연 통신 트래픽을 동시에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6631929B2 (ja) * 2016-08-10 2020-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21769B2 (en) * 2016-12-01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techniques in synchronous systems
EP3937589B1 (en) * 2017-09-28 2023-11-22 Sony Group Corporation Random access method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device
EP3681239A4 (en) * 2017-10-27 2020-09-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RECT ACCESS METHOD AND DEVICE
CN109788574B (zh) * 2017-11-15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的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MX2020005072A (es) * 2017-11-15 2020-08-13 Nokia Technologies Oy Acceso aleatorio con conmutacion de parte de ancho de banda.
CN109803376B (zh) * 2017-11-17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寻呼消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213323B (zh) * 2017-12-08 2022-03-0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EP3744142A4 (en) * 2018-02-12 2021-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SSION OF UPLINK INFORMATION
US11778659B2 (en) * 2018-02-26 2023-10-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selection for PDCCH order
AU2018415389A1 (en) * 2018-03-30 2020-10-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CN111869304B (zh) * 2018-04-04 2023-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执行多个rach程序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011A2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13168960A1 (ko) * 2012-05-07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12666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를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23128A1 (ko) * 2013-08-14 2015-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20084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7023074A1 (ko) * 2015-07-31 2017-02-0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캐리어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26539A (ko) * 2015-07-31 2018-03-1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캐리어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7222327A1 (ko) * 2016-06-22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9935 *
3GPP R1-180223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51256B2 (en) 2023-09-05
US20230038123A1 (en) 2023-02-09
EP3749041A4 (en) 2021-02-17
US11503650B2 (en) 2022-11-15
EP3749041A1 (en) 2020-12-09
CN111955044B (zh) 2023-12-19
US20210007147A1 (en) 2021-01-07
WO2019194652A1 (ko) 2019-10-10
CN111955044A (zh) 2020-11-17
KR102194934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934B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6526207B2 (ja) 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使用者器機、並びに上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基地局
JP599672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ランダムアクセス過程を行う方法及び装置
US10938540B2 (en) Method for allocating transmission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CN10657634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无线信号的方法及其设备
KR10234534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24821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US9265069B2 (en) Method of performing a random access process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CN109982444B (zh) 发送用于mtc的信号的方法及其设备
KR102124485B1 (ko)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839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84378B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9009938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1154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99949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无线信号的方法和设备
KR20200029580A (ko) 랜덤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256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신호 및/또는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7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