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370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370A
KR20200105370A KR1020190102279A KR20190102279A KR20200105370A KR 20200105370 A KR20200105370 A KR 20200105370A KR 1020190102279 A KR1020190102279 A KR 1020190102279A KR 20190102279 A KR20190102279 A KR 20190102279A KR 20200105370 A KR20200105370 A KR 20200105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disclosure
circuit board
conductor
dispos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상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도전기 filed Critical (주)상도전기
Publication of KR2020010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 장치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로기판 및 발광부를 갖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중앙부와 단부를 갖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면, 상기 상면 반대쪽의 저면,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상면과 저면을 잇는 양 측면을 가지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됨 -; 및 상기 조명부의 상기 단부에 배치된,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조명 장치에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결 전도체-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측부와, 상기 측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대응하는 측면과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상기 상면과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상부를 포함함 -;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개시는, 조명 장치(예컨대, 엘이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도에 따라 필요한 만큼씩 조명 장치들을 복수 개 연결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연결 부위에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조명 장치들 간 신뢰성 있는 전원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내외 인테리어나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미성, 시인성 향상 등 다양한 목적에 의해, 조명 장치가 적극 활용되는 추세이다. 특히, 엘이디 조명 장치는, 전력소비가 적고 휘도가 높으며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어, 여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엘이디 조명 장치는, 전기 회로가 실장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상에 일렬로 장착된 복수의 엘이디들과, 회로기판 및 복수의 엘이디들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조명 장치는, 설치의 용이성 등의 이유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단위 조명 장치(예컨대, 길쭉한 바 형태를 갖는 엘이디바 조명 장치)별로 제작 및 유통되고, 용도 및 목적에 따라, 필요한 수 및 형태로 복수 개씩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복수 개씩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엘이디바 조명 장치에 있어서, 각 단위 장치 사이에 전기 접속 구조물을 배치할 경우 그러한 구조물로 인하여 음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전체적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또한, 많은 수의 각 단위 엘이디바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시공 및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 조명 장치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중력에 의해 전체 조명 장치 중 일부가 처지거나 사용 중 발생한 열에 의해 변형되는 등 일부 휘어짐이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각 단위 엘이디바 조명 장치 간의 전원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소정 길이로 제작 및 유통되는 각 조명 장치를 복수 개씩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각 조명 장치 사이의 연결 부위에 불필요한 음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전체 조명 장치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외력에 의한 일부 휘어짐 또는 뒤틀림이 있는 경우에도, 각 단위 조명 장치 간의 전원 연결이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공정에 의해 다른 조명 장치와의 연결 시공이 가능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조명 장치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로기판 및 발광부를 갖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중앙부와 단부를 갖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면, 상기 상면 반대쪽의 저면,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상면과 저면을 잇는 양 측면을 가지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됨 -; 및 상기 조명부의 상기 단부에 배치된,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조명 장치에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결 전도체-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측부와, 상기 측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대응하는 측면과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상기 상면과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상부를 포함함 -;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된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상면 상의 상기 도전층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측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저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과, 상기 연결 전도체 각각의 상기 측부 및 상기 저부에 의해 규정된 소정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대칭이고, 상기 제2 부분이 다른 조명 장치로부터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부분이 외부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는, 서로 대향 배치되고 서로 절연된 한 쌍의 도전체를 가지며, 상기 각 도전체는,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중 하나의 연결 전도체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각 도전체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소정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소정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각 대응하는 연결 전도체의 상기 측부 및 상기 저부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제1부와 상기 소정 공간에 삽입되지 않는 제2부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 중 일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접하는 상기 각 연결 전도체가 수납되도록 구성된 공동과,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격벽을 갖는 전도체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의 적어도 일부, 상기 측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저부의 적어도 일부와 각각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동 내에 수납된 상기 연결 전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내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격벽은,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와 상기 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과 상기 전기 커넥터를 절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공동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될 제1 공간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이 삽입될 제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쪽이 개방되고, 상기 격벽의 대향 측 일부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발광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명부의 상기 중앙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 하단의 체결부를 갖는 메인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 하우징부는, 상기 공동과 반대쪽에 상기 메인 하우징부를 향하여 배치된,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착홈부는 제1 및 제2 측벽과 바닥면을 가지며 위쪽으로 개방되고, 상기 안착홈부의 상기 제1 및 제2 측벽에, 상기 중앙부의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이 각각 접하고, 상기 안착홈부의 상기 바닥면 상에 상기 중앙부의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이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저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는, 상기 상부와 상기 측부가 접하는 일변에 인접하여 배치된 홀과 상기 상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상면과 접하는 영역 중간에 형성된 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측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대응하는 회로기판의 측면과 끊임이 없는 면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와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대응하는 측면과 상기 발광부 사이의 상기 상면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와 상기 측부가 접하는 일변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상면과 접하는 영역 중간에 형성된, 상기 상면에 대한 땜납에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측부는, 상기 상부와 상기 측부가 접하는 일변과, 상기 측부와 상기 저부가 접하는 타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일변에 평행하게 형성된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전도체는 황동 또는 인청동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로기판 및 발광부를 갖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중앙부와 단부를 갖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면, 상기 상면 반대쪽의 저면,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상면과 저면을 잇는 양 측면을 가지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됨 -; 및 상기 조명부의 상기 단부에 배치된,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조명 장치에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결 전도체-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측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측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된 저부를 포함함 -;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과, 상기 연결 전도체 각각의 상기 측부 및 상기 저부에 의해 규정된 소정 공간에 삽입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결 전도체에서, 상기 측부와 상기 저부가 각각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은, 서로 대향 배치되고 서로 절연된 한 쌍의 제1 도전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도전체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중 하나의 연결 전도체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도전체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연결 전도체의 상기 측부의 일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외측면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상기 외측면의 일변에서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과, 상기 일변에 대향하는 상기 외측면의 타변에서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하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하면은,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제1 볼록부는, 대응하는 상기 연결 전도체의 상기 측부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제2 볼록부는, 대응하는 상기 연결 전도체의 상기 저부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외측면의 반대측에서,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잇는 내측면을 가지되, 상기 내측면은,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한 쌍의 볼록부와 오목부- 상기 볼록부에서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 간 최단 거리는 상기 오목부에서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 간의 최단 거리에 비해 더 큼 -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전체의 상기 내측면의 상기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볼록부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도전체는 상기 절연성 하우징에 포함되되, 상기 각 제1 도전체의 상기 외측면 상의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하면 상의 상기 제2 볼록부가 상기 절연성 하우징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 각각에 접하는 상기 각 연결 전도체가 수납되도록 구성된 공동과,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격벽을 갖는 전도체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측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저부의 적어도 일부와 각각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동 내에 수납된 상기 연결 전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내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격벽은,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저부의 상방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과 상기 전기 커넥터를 절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명부의 상기 중앙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 하단의 체결부를 갖는 메인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 하우징부는, 상기 공동과 반대쪽에 상기 메인 하우징부를 향하여 배치된,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대칭이며 한 쌍의 제2 도전체를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다른 조명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도전체를 통해 상기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전원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부분은 한 쌍의 제2 도전체를 갖고, 상기 제2 도전체 각각은, 각각 외부 전원을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케이블과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도전체 각각은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과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측면이 상기 상면과 만나는 부분과 상기 외측면이 상기 하면과 만나는 부분 각각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볼록부의 각 변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도전체는 황동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조명장치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로기판 및 발광부를 갖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중앙부와 단부를 갖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면, 상기 상면 반대쪽의 저면,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상면과 저면을 잇는 양 측면을 가지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됨 -; 상기 조명부의 상기 중앙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 하단의 체결부를 갖는 메인 하우징부; 및 상기 조명부의 상기 단부에 배치된,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조명 장치에서의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연결 전도체- 상기 각 연결 전도체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각 연결 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대응하는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을 가짐 -; 상기 단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 각각에 접하는 상기 각 연결 전도체가 수납되는 공동과,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일부의 상기 저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격벽을 가지며, 상기 공동의 반대쪽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부를 향하여 배치된,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를 더 가지는 전도체 하우징부;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상기 공동 내에 수납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 하방으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정 공간-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일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소정 공간 내에서 상기 각 연결 전도체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됨 -을 가지며, 상기 공동은,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양 측면 각각에 접하는 상기 각 연결 전도체,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일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내벽 구조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일부는, 서로 대향 배치되고 서로 절연된 한 쌍의 제1 도전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도전체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중 하나의 연결 전도체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도전체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대응하는 연결 전도체의 상기 제1 부분과 전기 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측면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상기 외측면의 일변에서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과, 상기 일변에 대향하는 상기 외측면의 타변에서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하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 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 도전체 각각의 상기 각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의 상기 내벽 구조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접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상기 안착홈부는 제1 및 제2 측벽과 바닥면을 가지며 위쪽으로 개방되고, 상기 안착홈부의 상기 바닥면 상에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저면이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착홈부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공동 내의 상기 격벽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도체 하우징부의 상기 격벽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과 상기 전기 커넥터를 절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도체 하우징부의 상기 공동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될 제1 공간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일부가 삽입될 제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쪽이 개방되고, 상기 격벽의 대향 측 일부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발광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동의 상기 제1 공간과 관련하여, 상기 격벽의 상기 대향 측에서,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격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양측 날개부를 갖고, 상기 양측 날개부 각각은, 상기 공동의 반대쪽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부를 향하여 돌출된 하우징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각 하우징 돌출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상기 안착홈부의 상기 제1 및 제2 측벽 각각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상기 대응하는 측면과 상기 발광부 사이의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제2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도체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전도체 각각의 상기 전도체 돌출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도체 돌출부는, 상기 전도체 돌출부가 상기 상면과 접하는 영역 중간에 형성된, 상기 상면에 대한 땜납에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접속 구조물- 상기 회로기판은 상면, 상기 상면 반대쪽의 저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면과 저면을 잇는 양 측면을 가짐 -로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도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전도체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상면, 상기 저면, 및 상기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 접속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원을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며, 상기 연결 전도체는, 상기 연결 전도체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 또는 슬롯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또는 슬롯은, 상기 연결 전도체에 대하여 인가되는 소정의 외력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대한 상기 연결 전도체의 상기 전기 접속을 강화하도록 동작하는, 전기접속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접속 구조물은, 상기 연결 전도체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전도체 쌍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연결 전도체는 상부, 상기 상부에 평행한 저부, 및 상기 상부와 저부를 잇는 측부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전도체 쌍은 서로 마주보는 ㄷ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전도체 각각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측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대응하는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는 상기 대응하는 측면에 인접한 상기 상면에 접하여 상기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상기 전기 커넥터의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저면과, 상기 연결 전도체 각각의 상기 측부 및 상기 저부에 의해 규정된 소정 공간에 삽입되도록 구성됨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는,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에 걸쳐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슬롯은, 상기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상부와 상기 측부가 접하는 일변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상부가 상기 상면과 접하는 영역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슬롯은, 상기 연결 전도체의 상기 상부와 상기 측부가 접하는 일변에 인접하여 배치된 개구와, 상기 상부의 상기 개구에 대향하여, 상기 저부와 상기 측부가 접하는 타변에 인접하여 배치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모듈화된 조명 장치를,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긴 형태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중간이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또한, 일부 모듈화된 조명 장치가 파손된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의 전원으로 다수 개의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별도의 땜납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기계적 구조에 의해 조명 장치의 연결 구성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한 조명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르면, 연결 부위에 음영이 발생하지 않아서 심미성이 향상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기 접속을 위한 전도체가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력이 있더라도, 신뢰성 있게 전기 접속을 달성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1) 중 전기 커넥터(20)가 분리된 몸체부(1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몸체부(10)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로서, X 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몸체부(10)의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로서, X 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구조를 좀 더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전기 커넥터(20)가 삽입되는 공간 쪽에서 바라본 전도체 하우징부(400)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도 6(a)의 반대쪽, 즉 메인 하우징부(300)에 결합되는 부분 쪽에서 바라본 전도체 하우징부(4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조명 장치(1) 상에 표시된 원형 점선 부분에서, 외부의 전도체 하우징부(400)와 확산 커버(500)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 연결 전도체 쌍(200)이 회로 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기 커넥터(20')에 의해, 외부 전원 케이블(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조명 장치(1'')의 일부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1)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다른 조명 장치(1')에 연결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홀'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면 구조 상에서 구멍 형태로 뚫린 구조를 지칭하고, '슬롯'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면 구조 상에서 한쪽 변으로부터 면 안쪽으로 오목하게 패인 틈 구조를 지칭한다.
덧붙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또는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제한 또는 확장하여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조명 장치(1)는, 몸체부(10)와 전기 커넥터(2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1) 중 전기 커넥터(20)가 분리된 몸체부(1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 공간(464)으로 전기 커넥터(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조명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몸체부(10)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로서, X 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몸체부(10)의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로서, X 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몸체부(10)는, 조명 회로부(10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조명 회로부(100)는, 회로 기판(110)과, 회로 기판(110)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엘이디 소자(12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기판(110)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바 형태를 가진 PCB 기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기판(110)은, 엘이디 소자(120)가 배치된 상면(112)과, 상면(112)의 반대쪽 저면(114)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112)과 저면(114)을 잇는 양 측면(116)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로 기판(110) 내부에는, 각 엘이디 소자(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복수의 엘이디 소자(120)는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의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조명 회로부(100)에 포함된 발광 소자가 엘이디 소자(120)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회로부(100)에 다른 유형의 발광 소자, 예컨대 OLED, 플렉시블 OLED, 플렉시블 LED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회로부(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부(100E), 중앙부(100C), 및 반대쪽 단부(100E)로 분류할 수 있다(추후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양측 단부(100E)는 후술하는 전도체 하우징부(400)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부분을 지칭하고, 중앙부(100C)는 메인 하우징부(300)에 포함될 수 있는 부분을 지칭함).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회로부(100)는 중앙부(100C) 위치의 회로 기판(110) 및 엘이디 소자(120)와, 각 단부(100E) 위치의 회로 기판(110) 및 엘이디 소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단부(100E)에서 회로 기판(110)은, 그 상면(112) 상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도전층(11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각 단부(100E)에서 회로 기판(110)은, 그 상면(112) 및/또는 측면(116)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도전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조명 회로부(100)의 양측 단부(100E) 각각에 각 한 쌍의 연결 전도체(200)가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연결 전도체(200) 각각은, 서로를 향한 쪽으로 마주보는 디귿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및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전도체(200) 각각은, 측부(210)와, 그 측부(210)의 위와 아래쪽 끝부분에서 대향하는 연결 전도체(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상부(220) 및 저부(23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전도체(200)의 측부(210)는, 회로 기판(110)의 양 측면(116)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연결 전도체(200)의 상부(220)와 저부(230)가 측부(210)에 직교하며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연결 전도체(200)의 상부(220)는,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의 일부, 예컨대 회로 기판(110)의 측면(116)과 엘이디 소자 (120) 사이의 기판 상면(112) 부분(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112) 상에 배치된 도전층(118))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전도체(200) 각각은 소정의 전도성 물질(예컨대, 황동, 인청동 등을 포함하며, 다만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4 등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조명 회로부(100)의 중앙부(100C), 구체적으로 중앙부(100C) 위치의 회로 기판(110)이 메인 하우징부(300)에 안착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 및 5 등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조명 회로부(100)의 각 단부(100E), 구체적으로 각 단부(100E) 위치의 회로 기판(110)과, 그 회로 기판(110) 양측에 대향 배치된 연결 전도체 쌍(200)은, 후술하는 전도체 하우징부(400)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각각 메인 하우징부(300) 양단과 결합하여 몸체부(10)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는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310)과 양 측벽(310)의 하단에서 서로를 향하여 절곡 연장된 각 날개부(320)와, 양 측벽(310)의 중간에서 양 측벽(310)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잇는 바닥부(330)를 가질 수 있다. 도 3 및 4 등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의 양 측벽(310)은, 중간의 바닥부(330) 아래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벽(312)와 바닥부(330) 위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측벽(3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부(330)와, 양측의 제1 측벽(312)과, 날개부(320)는, 양 날개부(3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대체로 사각 형태를 갖는 공동(34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의 아래쪽, 즉 공동(340)을 향한 쪽 위치에, 소정 형상의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 도시된 바에 의하면, 예컨대 바닥부(330) 아래 공동을 향한 쪽에, 아래가 개방된 고리 형상의 구조(342)가 배치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후 설명하는 것과 같이,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 아래에서, 전술한 바닥부(330)와, 양측의 대향하는 제1 측벽(312)과, 양측 날개부(320) 등에 의해 정의되는 공동(340)은, 전도체 하우징부(400)와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 아래쪽에 배치된 소정 형상의 구조(342)는, 그 구조(342)를 포함한 공동(340)이, 전도체 하우징부(400)와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대응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 위쪽 면, 예컨대 제2 측벽(314) 사이의 평면에 조명 회로부(100)의 중앙부(100C)의 회로 기판(110) 저면(114)이 안착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제2 측벽(314)의 대향 측 내벽은, 바닥부(330) 가까이의 아래쪽 부분과, 바닥부(330) 반대쪽의 위쪽 부분에서 각각 안쪽으로 돌출되고, 이들 위와 아래의 돌출된 부분을 연결하는 중간 측벽의 내벽 부분은 상대적으로 밖으로 오목한 리세스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의 위쪽 면에 회로 기판(110)의 저면(114)이 안착 배치되는 경우, 제2 측벽(314)의 아래쪽 부분 내벽(전술한 아래쪽 돌출된 부분)이, 회로 기판(110)의 양 측면(116)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후술하듯이, 대향하는 제2 측벽(314)의 위쪽 부분 내벽(전술한 위쪽 돌출된 부분)은, 확산 커버(500)의 대응 구조와 결합되는 걸림턱(316)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는, 방열 효과를 위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을 넓게 하기 위해 외부에 요철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조명 회로부(100)의 각 단부(100E) 위치의 회로 기판(110)과, 그 회로 기판(110) 양측에 대향 배치된 연결 전도체 쌍(200)을 둘러싸도록 구성 배치될 수 있다.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410)을 가질 수 있고, 양 측벽(410) 사이에, 회로 기판(110) 및 회로 기판(110)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연결 전도체(200)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메인 하우징부(300) 양단에 체결되어 몸체부(10)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더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6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구조를 좀 더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도 1의 전기 커넥터(20)가 삽입되는 공간 쪽에서 바라본 전도체 하우징부(400)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도 6(a)의 반대쪽, 즉 메인 하우징부(300)에 결합되는 부분 쪽에서 바라본 전도체 하우징부(4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410)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또한 양 측벽(410) 상부 쪽에 양 측벽(410) 각각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돌출 배치된 한 쌍의 날개부(420)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20)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422)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또한, 날개부(420)와 평행하고 양 측벽(410)의 하단 끝에서 양 측벽(4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바닥부(430)를 가질 수 있다.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메인 하우징부(300)에 결합되는 쪽의 양 측벽(410) 사이에서, 바닥부(43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 측벽(4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바닥부(430)로부터 연장된 벽면(440)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440)은, 바닥부(430)로부터, 바닥부(430)와 양측 날개부(420) 사이의 소정 위치까지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또한, 바닥부(430) 반대쪽의 벽면(440)의 끝 부분(즉, 바닥부(430)와 양측 날개부(420) 사이에 위치한 벽면(440)의 높이 상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양측 날개부(420)에 평행하고 양측 날개부(42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중간 격벽(4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중간 격벽(450)은 양측 날개부(42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바닥부(430)쪽으로 이격되어 양측 날개부(42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을 갖춘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양 측벽(410), 양 측벽(410)으로부터 돌출된 양측 날개부(420), 날개부(420)에 평행하게 배치된 바닥부(430), 및 바닥부(430)로부터 연장된 벽면(440)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의 공동(460)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중간 격벽(4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440)으로부터 돌출되어, 위 공동(4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중간 격벽(450)은 벽면(440)으로부터 돌출되고 양측 날개부(420)에 평행하게 배치되지만, 양 측벽에 직접 닿지는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즉, 중간 격벽(450)은 위 공동(460)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도체 하우징부(400)에서, 중간 격벽(450), 양측 날개부(420), 및 양 측벽(410)으로 정의된 공간(462)(공동(460) 내에서 중간 격벽(450) 위쪽 공간)에, 조명 회로부(100)의 단부(100E)에 해당하는 회로 기판(11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양측 날개부(420) 사이 개방된 공간에 엘이디 소자(1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공동(460) 내 중간 격벽(450)을 둘러싸고 양 측벽(410), 양측 날개부(420) 및 바닥부(430)를 따라, 전술한 연결 전도체 쌍(200)이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공동(460) 내에 배치되는 각 연결 전도체(200)는, 그 상부(220), 측부(210), 및 저부(230) 각각의 일부가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날개부(420), 측벽(410) 및 바닥부(430)에 의해 접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연결 전도체(200)의 측부(210)와 상부(220)가 각각 회로 기판(110)의 측면(116) 및 상면(11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회로 기판(110)의 저면(114)은 중간 격벽(450)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구조와 회로 기판(110)의 배치 관계로 인하여 회로 기판(110) 및 연결 전도체(200)가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공동(460) 내에서 그 결합 관계를 유지하며 고정 수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 및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하우징부(400)에서, 중간 격벽(450), 양 측벽(410), 바닥부(430) 및 벽면(44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464)(공동(460) 내에서 중간 격벽(450) 아래쪽 공간)에, 전기 커넥터(2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는, 절연 몸체(22)와, 절연 몸체(22)에 둘러싸인,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도전체(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가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공간(464)에 삽입되면, 전기 커넥터(20)의 각 도전체(24)가,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공동(460) 내 각 연결 전도체(200)의 측부(210) 및 저부(230)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벽면(44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물(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470)은 M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물(470)은, 전술한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 아래 공동(340)의 형상과 대응되어, 서로 간에 체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 아래 공동(340)의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구조물(470)이 체결되어, 메인 하우징부(300)와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연결될 때,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의 위쪽 면(회로 기판(110) 저면(114)이 안착되는 부분)과,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중간 격벽(450)의 위쪽 면(회로 기판(110)의 저면(114)이 배치되는 부분)은 일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또한 날개부(420)와 같은 평면 상에서, 각 측벽(410)에 접하여 각 날개부(42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물(4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물(480)은, 도 8 및 9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돌출부(280)와 같이, 메인 하우징부(3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물(480)은, 메인 하우징부(300)와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체결될 때, 메인 하우징부(300) 상에 배치된 회로 기판(110) 위쪽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물(480)은, 메인 하우징부(300)와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체결될 때, 메인 하우징부(300) 상에 배치된 회로 기판(110) 위쪽으로, 메인 하우징부(300)의 양 측벽(314)에 접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도체 하우징부(400)는, 또한 벽면(440) 중간에 배치된 홀(490)을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벽면(440)에 형성된 홀(490)과 메인 하우징부(300)의 바닥부(330) 아래 고리 형상 구조(342)와 대응하여, 메인 하우징부(300)와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결합되는 경우, 서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20)는 절연 몸체(22)와, 절연 몸체(22)에 둘러싸인,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도전체(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전기 커넥터(20)의 절연 몸체(22)를 도시하고, 도 7(b)는 한 쌍의 도전체(24)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의 절연 몸체(22)와 도전체 쌍(24)은 모두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20)는, 이 대칭되는 구조 중 제1 부분(Ⅰ)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464)에 삽입되는 경우, 그 공간(464)에 삽입된 부분(Ⅰ)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해당 공간(12)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남겨진 제2 부분(Ⅱ)을 가질 수 있다. 그 외부에 남겨진 부분(Ⅱ)은 다른 조명 장치(1')의 대응되는 구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20)의 구조에 의해, 조명 장치(1)와 또 다른 조명 장치(1') 간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b) 등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전체(24) 각각은, 외측면(242), 그에 대향하는 내측면(244), 외측면(242)과 내측면을 잇는 상면(246), 및 상면(246) 반대쪽의 하면(24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전체(24)의 외측면(242)과 하면(248)은 각각 소정의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20)의 절연 몸체(22)와 도전체 쌍(24)이 결합된 경우, 절연 몸체(22) 외부로 각 도전체(24)의 외측면(242) 및 하면(248)의 볼록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가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공간(464)에 삽입되는 경우, 전기 커넥터(20)의 각 도전체(24)의 외측면(242),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면(242)의 요철 구조 중 볼록부가, 전도체 하우징부(400) 내에 배치된 연결 전도체(200)의 각 측부(21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가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공간(464)에 삽입되는 경우, 전기 커넥터(20)의 도전체(24)의 하면(248),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248)의 요철 구조 중 볼록부가, 전도체 하우징부(400) 내에 배치된 연결 전도체(200)의 각 저부(23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체(24)의 외측면(242)과 하면(248)이 요철 구조를 가지며, 연결 전도체(200)에 접촉할 때 그 요철 구조 중 볼록부가 각 연결 전도체(200)의 대응 부분(측부(210) 및 저부(230))에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간에 이물질이 존재하더라도, 접속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몸체부(10)는, 확산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확산 커버(500)는, 조명 회로부(100) 및 그에 결합된 연결 전도체 쌍(200)을 둘러싼, 메인 하우징부(300) 및 전도체 하우징부(400) 모두의 위쪽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확산 커버(500)는,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내부의 조명 회로부(100) 등을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조명 회로부(100)의 엘이디 소자(120) 점등 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소재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확산 커버(500)는, 양 측벽(510)과, 조명 회로부(100)에 대향하여 양 측벽(510) 사이를 연결하는 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확산 커버(500)는, 메인 하우징부(300) 및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위쪽에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의 위쪽 양 측벽(314)과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양 측벽(410)의 상단에는, 각각 확산 커버(5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턱(316, 4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또한, 확산 커버(500)의 양 측벽(510)에는, 전술한 메인 하우징부(300) 및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각 결합턱(316, 416)에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된 결합홈(5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 및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양 측벽(314, 410)과 확산 커버(500)의 양 측벽(510)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8은, 도 1의 조명 장치(1) 상에 표시된 원형 점선 부분에서, 외부의 전도체 하우징부(400)와 확산 커버(500)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 연결 전도체 쌍(200)이 회로 기판(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회로부(100), 연결 전도체 쌍(200), 및 전기 커넥터(20) 간의 관계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도체 쌍(200)은 회로 기판(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 및 측면(116)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20)는 서로 대향하는 연결 전도체 쌍(200) 사이의, 회로 기판(112)의 저면(114) 하방의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의 절연 몸체(22)가 도전체 쌍(24)을 둘러싸되, 각 도전체(24)의 외측면(242) 및 하면(248)의 볼록부가 절연 몸체(2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20)가, 연결 전도체 쌍(200) 사이의, 회로 기판(112)의 저면(114) 하방의 빈 공간에 삽입될 경우, 전기 커넥터(20)에서 절연 몸체(22) 외부로 노출된 각 도전체(24)의 외측면(242) 및 하면(248)의 볼록부가 연결 전도체 쌍(200)의 각 측부(210) 및 저부(230)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전도체 쌍(200)의 구조를 좀 더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전도체(200) 각각은, 측부(210)와, 그 측부(210)의 위와 아래쪽 끝에서 절곡 연장되어 서로 대향 배치된 상부(220) 및 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 전도체(200)는, 그 상부(220)의 일부, 예컨대 상부(220)와 측부(210)가 접하는 일변에 인접한 영역 및/또는 상부(220)가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에 접하는 영역에 배치된 홀(222, 224)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연결 전도체(200)는, 그 저부(230)의 일부, 예컨대 저부(230)가 측부(210)에 접하는 일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홀(232)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도체(200)는, 그 상부(220)와 측부(210)가 접하는 일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홀(222)과, 저부(230)가 측부(210)에 접하는 일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홀(232)을 가질 수 있고, 상부(220)의 홀(222)과 저부(230)의 홀(232)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전도체(200)는, 또한, 상부(220)와 측부(210)가 접하는 일변과, 측부(210)와 저부(230)가 접하는 타변 사이의 측부(210) 상 소정 영역에서 위 일변에 평행하게 형성된 슬롯(212)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긴 바 형태로 구성된 조명 장치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그 조명 장치 내의 회로 기판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구성 배치된 전도체(대개 강성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어 탄성이 낮음)는 그 외력의 영향으로 원래의 위치로부터 틀어질 수 있다. 이는, 원래의 전기 접속 구조를 깨뜨려 회로의 단락을 가져올 수 있다(예컨대, 긴 바 형태의 조명 장치의 일부 발광 소자, 예컨대 엘이디 소자 등이 꺼지거나 깜박거릴 수 있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전도체(200)의 상부(220), 측부(210) 및/또는 저부(230)에 각각 형성된 홀(222, 224, 232) 또는 슬롯(212) 등은, 대체로 강성 물질로 이루어진 연결 전도체(200)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부여할 수 있고, 외력이 발생하여 연결 전도체(200)가 일부 뒤틀려서, 예컨대 회로 기판(110)이나 전기 커넥터(20)와의 전기 접속 위치가 일부 들뜨더라도, 그 외 다른 부분에서 여전히 전기 접속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연결 전도체(200)의 각 부분에 형성된 홀 또는 슬롯으로 인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도체(200)는 또한, 상부(220)와 동일 평면 상에서 그 상부(210)로부터 조명 회로부의 중앙부(100C)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부(300)와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결합될 때, 돌출부(280)는, 메인 하우징부(300)와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결합되는 부분, 즉 조명 회로부(100)의 단부(100E)와 중앙부(100C)가 만나는 영역 근처에서, 중앙부(100C) 쪽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280)는, 중앙부(100C) 위치의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 전도체(200)가 전도체 하우징부(400)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 전도체(200)의 상부(220)가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날개부(420) 아래에 배치될 때, 돌출부(282)는, 연결 전도체(200)의 날개부(420) 영역을 벗어나 뒤쪽(즉, 메인 하우징부(30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80)가, 연결 전도체(200)의 상부(220)와 측부(210)가 접하는 일변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회로 기판(110)의 안쪽을 향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280)는, 돌출부(280)가,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과 접하는 영역의 중간에 형성된 홀(28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조명 장치(1)의 회로 기판(110) 및 연결 전도체(200)는, 땜납 등 별도의 접착 공정 없이, 기계적 구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돌출부(280)에 형성된 홀(282)은, 필요에 따라,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에 대한 연결 전도체(200)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땜납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3, 및 7 등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된 전기 커넥터(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그 대칭되는 각 구조가 두 개의 조명 장치 각각에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두 개의 조명 장치간 전기 접속에 이용되는 것과 달리, 도 10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는 구조를 갖지 않는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는, 예컨대 도 7 등의 전기 커넥터(20)의 대칭되는 구조 중 한 쪽(예컨대, Ⅰ 또는 Ⅱ 부분)과 같은 형태를 갖는 부분(Ⅲ)(따라서, 부분(Ⅲ)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함)과 전원 접속 부분(Ⅳ)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20')는 절연 몸체(22')와 한 쌍의 도전체(24')를 가질 수 있으며, 전원 접속 부분(Ⅳ)에서 양측 도전체(24')가 절연 몸체(2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원 접속 부분(Ⅳ)에서 절연 몸체(22') 외부로 노출된 도전체(24')는 각각,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 케이블(600)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구조(예컨대, 전원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홀 구조 등을 포함하며,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전기 커넥터(20')의 구조에 의해, 케이블(600)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전원이, 전기 커넥터(20')의 부분(Ⅳ) 및 부분(Ⅲ)을 통해, 그에 접속될 조명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전기 커넥터(20')에 의해, 외부 전원 케이블(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조명 장치(1'')의 일부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1'')는, 도 1 및 2 등에 도시된 조명 장치(1)와 유사하게, 메인 하우징부(300), 연결 전도체 하우징부(400), 및 확산 커버(500)를 포함한다. 도 11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도체 하우징부(400) 및 메인 하우징부(300) 내부에 배치된 구성은, 앞서 설명된 구성과 유사하며, 여기서는 이들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1'')는, 외부 전원 케이블(600)에 연결된 전원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 커버(700) 내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20')의 부분(Ⅳ)가 배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1)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다른 조명 장치(1')에 연결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1) 및 조명 장치(1')는 각각 전술한 연결 전도체 쌍(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커넥터(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각각 모듈화된 단위 조명 장치로서, 필요에 따라, 동일한 구조의 다른 조명 장치(들)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동일한 구조의 다른 조명 장치(들)과 연결되어 사용될 경우, 전기 커넥터(20)와 연결 전도체(200) 간의 전기 접속 및 연결 전도체(200)와 회로 기판(11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서로 연결된 조명 장치들(1)이 모두 전원을 적절하게 공급받을 수 있고, 조명 장치(1) 상의 각 엘이디 소자(120)가 점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1)를 동일한 구조의 다른 조명 장치(들)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그 연결되는 조명 장치들의 각 회로 기판들 사이(즉, 회로 기판들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 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 접속을 위한 구조물(예컨대, 연결 단자 등)을 배치하는 대신에, 각 조명 장치(1)의 회로 기판(110)의 높이 방향(즉, 회로 기판(110)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아래쪽에 전기 접속 구조물(예컨대, 전기 커넥터(20))을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예컨대, 측부 높이)를 갖는 연결 전도체(200)가 이용되어, 그 높이 방향 위쪽에서 회로 기판(110)의 상면 및/또는 측면과 연결 전도체(200)가 접하도록 구성되고, 그 높이 방향 아래쪽으로 전기 커넥터(20)와 연결 전도체(200)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조명 장치를 연결함에 있어서, 각 회로 기판(1) 사이에 임의의 전기 접속 구조물이 배치될 경우 음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전기 접속 구조물(예컨대, 전기 커넥터(20))이 각 회로 기판(1) 사이가 아닌 아래쪽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기판(1) 사이에 음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경우, 조명 장치들 간 전기 접속을 위하여 이용되는 연결 전도체(200)를, 하나 이상의 홀 또는 슬롯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전도체(200)가 홀 또는 슬롯 구조를 가질 경우, 외력이 있을 때 그에 대응하여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회로 기판에 대한 연결 전도체(200)의 전기 접속이 더욱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회로 기판(110)과 연결 전도체(200) 간 접속을 땜납 등 별도의 고정 공정 없이 기계적 구조에 의해 신뢰성 있게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메인 하우징부(300)와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각각 회로 기판(110)의 일부를 지지하면서 서로 간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점, 전도체 하우징부(400)가, 회로 기판(110)과 그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 및 측면(116)의 각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연결 전도체(200)를 고정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갖는다는 점, 연결 전도체(200)의 돌출부(280)가 전도체 하우징부(400) 측으로부터 메인 하우징부(300) 측으로 회로 기판(110)의 상면(112)에 접하여 연장 배치될 수 있는 점, 전도체 하우징부(400)의 후방 돌출 구조물(480)이 연결 전도체(200)의 돌출부(280) 위쪽에서 메인 하우징부(300) 쪽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는 점 등, 회로 기판(110)과 연결 전도체(200) 간 신뢰성 있는 접속을 돕는 여러가지 구조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모듈화된 조명 장치를,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긴 형태의 조명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중간이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또한, 일부 모듈화된 조명 장치가 파손된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의 전원으로 다수 개의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별도의 땜납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기계적 구조에 의해 조명 장치의 연결 구성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한 조명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르면, 연결 부위에 음영이 발생하지 않아서 심미성이 향상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기 접속을 위한 전도체가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력이 있더라도, 신뢰성 있게 전기 접속을 달성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개시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

Claims (1)

  1. 조명 장치.
KR1020190102279A 2019-02-28 2019-08-21 조명 장치 KR20200105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3774 2019-02-28
KR1020190023774 2019-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70A true KR20200105370A (ko) 2020-09-07

Family

ID=7247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79A KR20200105370A (ko) 2019-02-28 2019-08-2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3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206B1 (ko) 고 투광률을 갖는 발광 축조 블록
US8814383B2 (en) Lighting module
US9033742B2 (en) Connector and illumination device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10359164B2 (en) Modular lighting apparatus
US9335007B2 (en) Light-emitting diode lamp assembly
KR102059342B1 (ko) 조명 장치
JP2014203672A (ja) 照明具
JP6615177B2 (ja) 有機el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及び有機elモジュール
US7833060B2 (en) LED bulb assembly
JP7394356B2 (ja) 照明装置およびショーケース
KR102059344B1 (ko) 조명 장치
KR20200105370A (ko) 조명 장치
KR102006988B1 (ko) 조명 장치
KR102006983B1 (ko) 조명 장치
KR101713963B1 (ko) 간접 조명장치
US20230013292A1 (en) Lighting device
JP2014203821A (ja) 照明具
KR101512499B1 (ko) 비용절감형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
KR200248528Y1 (ko) 형광램프용 소켓이 부착된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JP6464521B2 (ja) 基板用コネクタ、照明用電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982821B2 (ja) 基板、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23148734A (ja) 照明装置
KR101810425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20210178280A1 (en) Lighting module of assemblable toy